KR200381492Y1 - 방한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방한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492Y1
KR200381492Y1 KR20-2005-0000142U KR20050000142U KR200381492Y1 KR 200381492 Y1 KR200381492 Y1 KR 200381492Y1 KR 20050000142 U KR20050000142 U KR 20050000142U KR 200381492 Y1 KR200381492 Y1 KR 200381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part
protection
ear
face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배
Original Assignee
박춘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배 filed Critical 박춘배
Priority to KR20-2005-0000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공업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방한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한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외피와 내피로 형성되고, 눈부위를 따라 곡면을 이루며 안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안면보호부(100)와; 상기 안면보호부(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코부위를 따라 곡면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개방되게 형성된 코보호부(200)와; 상기 코보호부(200) 하측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310)이 형성된 입보호부(300)와; 상기 입보호부(300)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보호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목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목보호부(400)와; 상기 안면보호부(100)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귀부위를 덮도록 형성된 귀보호부(500)와;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일측 귀보호부(500)에 고정되어 머리부위를 지나 타단부는 상기 타측 귀보호부(500)에 착탈결합되게 형성된 고정부(600)와; 상기 귀보호부(500) 단부에 형성되고, 매직테이프로 형성되어, 머리부위 뒤측 하측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수단(700)과; 상기 안면보호부(100), 코보호부(200), 목보호부(400), 귀보호부(500)의 테두리를 에워싸며 마감처리시킨 마감테이프(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마스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안면, 코, 입, 목, 귀부위를 효율적으로 보온하며, 착용이 편리하며 숨쉬기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방한용 마스크{mask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본 고안은 중공업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방한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한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공업이나 건설현장 등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외부에서 작업시 추위를 막기 위한 각종 작업복과 안전모, 안전화 등을 착용하게 된다.
특히 안면부위를 방한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크를 주로 착용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를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의 분진이나 냄새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의 이러한 마스크는 주로 안면부위만을 보호하게 되어, 특히 체온이 낮은 귀부위나, 온도 손실이 큰 목부위의 방한은 이루어지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하는 도중, 안전모를 벗거나 쓰는 경우에 마스크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는 경우가 있어, 작업자가 신경이 분산되어 작업능률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마스크는, 마스크와 안면사이에 틈이 있어 작업중에 그 사이로 분진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으며, 입과 코부위를 마스크가 막고 있기 때문에 숨쉬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숨쉬는 동안 입이나 코로부터 습기가 베어나와 마스크가 젖게 되어 방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작업자의 안경 등에 성에가 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안면, 코, 입, 목, 귀부위를 효율적으로 보온하며, 착용이 편리하며 숨쉬기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한용 마스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외피와 내피로 형성되고, 눈부위를 따라 곡면을 이루며 안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안면보호부와; 상기 안면보호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코부위를 따라 곡면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개방되게 형성된 코보호부와; 상기 코보호부 하측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입보호부와; 상기 입보호부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보호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목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목보호부와; 상기 안면보호부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귀부위를 덮도록 형성된 귀보호부와;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일측 귀보호부에 고정되어 머리부위를 지나 타단부는 상기 타측 귀보호부에 착탈결합되게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귀보호부 단부에 형성되고, 매직테이프로 형성되어, 머리부위 뒤측 하측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수단과; 상기 안면보호부, 코보호부, 목보호부, 귀보호부의 테두리를 에워싸며 마감처리시킨 마감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마스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방한용 마스크는, 내피가 보온성재질로 형성되고, 외피는 청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안면, 코, 입, 목, 귀부위를 효율적으로 보온하며, 착용이 편리하며 숨쉬기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마스크의 적용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마스크는 전체적으로 외피와 내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안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안면보호부(100)와, 상기 안면보호부(100)의 중심부에는 코보호부(200), 그 하측에 입보호부(300), 상기 안면보호부(100)의 양측에는 귀보호부(500)와, 상기 귀보호부(500) 양단부에는 결합수단(700), 그리고 상기 귀보호부(500)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어 머리부위를 지나도록 형성된 고정부(6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먼저 안면보호부(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안면보호부(100)는 외피와 내피로 형성되고, 안면부위, 즉 눈 바로 밑과 턱선까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내피는 보온성의 섬유재질로 형성되며, 보온효과를 높이기 위해 인조털 등을 형성시키거나, 외피는 내구성과 내연성이 뛰어나며 세탁이 편리한 청소재로 형성되게 한다. 상기 안면보호부(100)의 외피와 내피는 섬유접착제나 재봉질 등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상기 안면보호부(100) 중심부에는 후술할 코보호부(200)와 입보호부(300), 목보호부(400)가 형성되게 되며, 양측으로는 귀보호부(500)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안면을 완전히 감싸며, 목과 귀부위까지 방한하게 되며, 마스크의 고정은 머리부위 뒤쪽에서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코보호부(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코보호부(200)는 상기 안면보호부(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외피와 내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보호부(200)는 코부위를 감싸도록 코부위를 따라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코 형상에 대응되어 안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원활한 숨쉬기를 위해서 하측으로는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보호부(200) 하측에는, 상기 코보호부(200)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310)이 형성된 입보호부(300)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통기공(310)은 원형으로 형성되게 하며, 입으로부터 나오는 입김이나, 작업도중 의사소통의 원활함을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입보호부(300) 하측으로는 목보호부(400)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목 앞쪽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져 있으며, 목을 완전히 감싸도록 상기 입보호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게 한다. 즉 코보호부(200)와 입보호부(300)가 코와 입의 형상에 대응되어 돌출되게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아래에 목보호부(400)가 목에 딱 맞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목 부분을 밀착되게 감싸게 되어 외부로부터의 바람이 새어들어오지 않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귀보호부(500)는 상기 안면보호부(100) 양측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귀부위를 완전히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코보호부(200)에서 상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안면보호부(100)의 눈부위 근처에서는 눈부위 아래로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고, 귀부위에서는 귀를 완전히 덮기 위해 상측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코보호부(200), 입보호부(300), 목보호부(400), 귀보호부(500)의 내피와 외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면보호부(100)의 내피, 외피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600)는 띠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일단부가 상기 일측 귀보호부(500)에 고정되게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타측 귀보호부(500)에 착탈결합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600)는 일측 귀보호부(500)에 고정되어 머리 상부를 지나 타측 귀보호부(500)에서 결합되게 된다. 이 결합부위는 매직테이프 등으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두상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하여 결합시키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시에는 안전모를 반드시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부(600)는 안전모를 착용하거나 벗을 때나 작업자가 목을 회전시켜도 마스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수단(7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결합수단(700)은 상기 귀보호부(500) 단부에 형성되고, 양측 각각의 단부에 매직테이프 암수결합부가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에 의해 마스크가 안면에 고정되게 되며, 작업자의 목둘레나 안면둘레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귀보호부(500) 단부는 점차로 좁게 형성되어 머리 뒤통수는 감싸지 않고 뒷목부위만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 부분에 상기 결합수단(700) 즉 매직테이프가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하므로써 마스크 전체가 원통형상을 이루게 되어 안면과 목을 효율적으로 감싸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테이프(8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마감테이프(800)는 부직포나 섬유재로 형성되며, 상기 안면보호부(100), 코보호부(200), 목보호부(400), 귀보호부(500)의 테두리를 에워싸며 마감처리시킨 것이다.
상기 마감테이프(800)는 부직포테이프나 섬유재테이프를 상기 안면보호부(100), 코보호부(200), 목보호부(400), 귀보호부(500)의 테두리를 따라 재봉질로 결합형성시킨 것으로, 상기 보호부의 내외피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며, 전체 방한용 마스크의 심미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방한용 마스크는 작업자가 중공업현장이나 건설현장 등에 나가기 전에 평상복 위에 착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보호부(200)와 입보호부(300)로 코와 입을 감싸고 상기 목보호부(400)로 목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결합수단(700)에 의해 목과 안면 둘레에 밀착되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한다. 이렇게 착용한 후 방한용 마스크 위에 작업복을 입거나 안전모를 착용하여 작업현장에 나가게 되면 추위에 잘 견딜 수 있으며, 위험한 작업환경으로 부터 안면과 목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안면, 코, 입, 목, 귀부위를 효율적으로 보온하여 작업자를 추위로부터 막고, 착용이 편리하며 숨쉬기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마스크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방한용 마스크의 적용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안면보호부 200 : 코보호부
300 : 입보호부 310 : 통기공
400 : 목보호부 500 : 귀보호부
600 : 고정부 700 : 결합수단
800 : 마감테이프

Claims (2)

  1. 외피와 내피로 형성되고,
    눈부위를 따라 곡면을 이루며 안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안면보호부(100)와;
    상기 안면보호부(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코부위를 따라 곡면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개방되게 형성된 코보호부(200)와;
    상기 코보호부(200) 하측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310)이 형성된 입보호부(300)와;
    상기 입보호부(300)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보호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목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목보호부(400)와;
    상기 안면보호부(100)에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귀부위를 덮도록 형성된 귀보호부(500)와;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일측 귀보호부(500)에 고정되어 머리부위를 지나 타단부는 상기 타측 귀보호부(500)에 착탈결합되게 형성된 고정부(600)와;
    상기 귀보호부(500) 단부에 형성되고, 매직테이프로 형성되어, 머리부위 뒤측 하측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수단(700)과;
    상기 안면보호부(100), 코보호부(200), 목보호부(400), 귀보호부(500)의 테두리를 에워싸며 마감처리시킨 마감테이프(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한용 마스크는,
    내피가 보온성재질로 형성되고, 외피는 청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마스크.
KR20-2005-0000142U 2005-01-04 2005-01-04 방한용 마스크 KR200381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42U KR200381492Y1 (ko) 2005-01-04 2005-01-04 방한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42U KR200381492Y1 (ko) 2005-01-04 2005-01-04 방한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492Y1 true KR200381492Y1 (ko) 2005-04-14

Family

ID=4368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142U KR200381492Y1 (ko) 2005-01-04 2005-01-04 방한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4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80Y1 (ko) * 2011-05-31 2011-09-30 강홍구 방한 마스크
KR200461294Y1 (ko) * 2011-04-06 2012-07-03 강홍구 방한 마스크
WO2012165790A2 (ko) * 2011-05-31 2012-12-06 Kang Hong Goo 방한 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94Y1 (ko) * 2011-04-06 2012-07-03 강홍구 방한 마스크
KR200455880Y1 (ko) * 2011-05-31 2011-09-30 강홍구 방한 마스크
WO2012165790A2 (ko) * 2011-05-31 2012-12-06 Kang Hong Goo 방한 마스크
WO2012165790A3 (ko) * 2011-05-31 2013-04-04 Kang Hong Goo 방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1371B2 (en) Collar configuration for firefighter garment
KR100647899B1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200392720Y1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20100008169U (ko) 안경에 김 서림을 방지하는 마스크
KR200381492Y1 (ko) 방한용 마스크
JP3205333U (ja) 耳カバー付きマスク
KR200348476Y1 (ko) 작업용 목 보호대
KR101763715B1 (ko) 에어공급형 작업두건
KR200426051Y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200347693Y1 (ko) 안전모용 방한막이
KR101314798B1 (ko) 원통형 스카프
KR200412891Y1 (ko) 방한용 안전모
KR200348895Y1 (ko) 얼굴보온마스크
KR200173109Y1 (ko) 군인용 방한 안면커버
JP3240211U (ja) 上着
KR200491609Y1 (ko)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
CN211561634U (zh) 一种森林消防用本质阻燃降温头套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102128172B1 (ko)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KR200419267Y1 (ko) 방탄모 턱끈에 결합 사용하는 안면보호대
JP3132414U (ja) 通気性帽子
KR200442390Y1 (ko) 안전모
KR200210265Y1 (ko) 안전모의 방한막이
KR20210128717A (ko) 산업용 넥워머
KR20240017666A (ko) 일체형 활선 안전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