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562B1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562B1
KR102322562B1 KR1020207013995A KR20207013995A KR102322562B1 KR 102322562 B1 KR102322562 B1 KR 102322562B1 KR 1020207013995 A KR1020207013995 A KR 1020207013995A KR 20207013995 A KR20207013995 A KR 20207013995A KR 102322562 B1 KR102322562 B1 KR 10232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up lid
vacuum device
pressure
gas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144A (ko
Inventor
윈샹 뤼
바오강 리
하이 양
젠페이 쉬
한 한
Original Assignee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1045.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3538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1043.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55149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33500.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74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7104.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55149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28043.8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74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6826.7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37164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6648.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37166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33340.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748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36331.2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55146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41527.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751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33496.X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741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33499.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743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33498.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74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28044.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747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7003.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55105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33497.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693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6830.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3537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7130.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37166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526104.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37165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33641.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70750B/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70Mixer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at sub-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e.g. combined with de-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버클 커버 연결되고, 상기 컵 본체의 챔버에 연통되는 기체 흡입 개구가 개방되며, 뚜껑 핸들이 더 구비되는 컵 뚜껑과, 상기 컵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체 흡입구 및 기체 배출구가 구비되되,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될 경우 상기 기체 흡입구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에 연통되는 진공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조리기의 진공 구조를 간략화시켜, 조리기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조리기
본 발명은 가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조리기로 식재료를 교반하는 과정에, 컵 본체 내의 식재료는 분쇄된 이후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식재료가 산화되기 용이하며, 이로 인해 식재료의 영양이 유실되거나 식재료의 식감이 저감된다.
음식물 조리기에 진공 구조를 구성할 경우, 식재료가 교반하는 과정에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음식물 조리기에 있어서, 진공 장치는 베이스에 설치되고, 베이스와 고정 연결된 가이드 축 내부에 기체 통로를 설치하거나 컵 본체 내부에 컵 뚜껑으로 연장된 기체 통로를 설치하나, 이러한 기체 흡입 구조의 기체 통로의 설계로 인해 기체 흡입 기체 통로가 길게 되고, 전반적인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기체 흡입 과정에서의 신뢰성이 낮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으로서, 조리기의 기체 흡입 구조를 간략화시켜 조리기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출하는 조리기는,
상단부의 개구 면적이 하단부의 개구 면적보다 큰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버클 커버 연결되고, 상기 컵 본체의 챔버에 연통되는 기체 흡입 개구가 개방되며, 뚜껑 핸들이 구비되는 컵 뚜껑과,
상기 컵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체 흡입구 및 기체 배출구가 구비되되,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될 경우 상기 기체 흡입구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에 연통되는 진공 장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컵 뚜껑에는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체 흡입 개구는 상기 삽입홈의 저벽에 개방되며, 상기 진공 장치는 삽입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흡입구는 상기 삽입 연결부에 개방되고, 상기 삽입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 내부에 임베딩되며, 및/또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는 상기 컵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낮게 설치되며, 및/또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는 상기 컵 뚜껑의 중간부분에 위치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삽입홈의 수직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삽입 연결부의 외부 윤곽 형상과 상기 삽입홈의 수직 단면 형상은 서로 적합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삽입홈이 상기 컵 본체의 축 방향에서 연장하는 크기는 삽입홈의 깊이로 정의되고, 상기 삽입홈의 깊이는 5mm 내지 50mm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진공 장치는 제1 전원 구조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전원 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는 상기 컵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원 구조와 서로 독립적인 제2 전원 구조가 구비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는 상기 삽입 연결부을 둘러싸게 설치되고 내부에 제1 실링 링이 설치되는 슬롯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진공 장치 및 상기 컵 뚜껑에 의해 클램핑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컵 뚜껑은 상기 기체 흡입 개구의 테두리에서 상기 컵 본체의 챔버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진공 장치는 삽입 연결부의 외벽에서 내부에 상기 기체 흡입구가 위치되고, 일부가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외부에 제1 실링 링이 둘러싸는 상기 실링 링 설치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진공 장치 및 상기 컵 뚜껑에 의해 클램핑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삽입 연결부의 외벽과 상기 삽입홈의 저벽 사이에 클램핑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실링 링 설치부와 상기 연결부는 모두 배럴 구조이고,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실링 링 설치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클램핑며, 또는,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삽입 연결부와 상기 삽입홈의 저벽 사이에 클램핑되는 제1 실링 부재와 상기 실링 링 설치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클램핑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실링 부재와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서로 연결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컵 뚜껑에는 상기 삽입홈을 둘러싸게 설치되고 상기 컵 본체의 챔버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 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링의 외벽에는 고리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홈 내부에는 제2 실링 링이 임베딩되고, 상기 제2 실링 링은 상기 컵 본체의 내벽에 맞대어진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컵 뚜껑에는 상기 컵 본체의 챔버에 연통되는 압력 방출구가 더 개방되고, 상기 컵 뚜껑은 압력 방출구에서 상기 압력 방출구를 열거나 닫는 압력 방출 밸브가 더 설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밸브 플랩 및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 뚜껑에는 설치 홀이 더 개방되고, 상기 설치 홀은 상기 압력 방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는 상기 설치 홀을 통해 슬라이딩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플랩은 상기 컵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는 상기 컵 뚜껑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상기 밸브 플랩으로 상기 압력 방출구를 열거나 닫도록 상기 설치 홀에 대해 슬라이딩하며, 상기 밸브 플랩이 상기 압력 방출구를 멀리하여 상기 압력 방출구를 개방할 경우 상기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는 상기 컵 뚜껑의 내벽에 의해 정지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압압부 및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밸브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는 상기 압력 방출구를 통해 슬라이딩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압부는 상기 컵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밸브 플랩은 상기 컵 뚜껑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에는 일 단부가 상기 압압부에 맞대이고 타 단부는 상기 컵 뚜껑에 맞대이는 탄성 부재로 둘러싸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밸브 플랩으로 상기 컵 뚜껑의 내부 표면에 맞대어 상기 압력 방출구를 닫도록 상기 밸브 플랩을 구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외력의 구동하에, 상기 밸브 플랩은 상기 압력 방출구를 멀리하여 상기 압력 방출구를 열게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진공 장치는 하우징 및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밀폐된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은 상기 수용 챔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기체 흡입구, 압력 방출구 및 기체 배출구가 개방되며, 상기 기체 흡입구와 압력 방출구는 모두 상기 수용 챔버에 연통되고,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의 기체 진입구는 상기 수용 챔버에 연통되고, 상기 기체 배출구는 파이프를 통해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의 기체 배출구에 연통되며,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될 경우 상기 기체 흡입구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에 연통되며,
상기 기체 흡입구, 수용 챔버 및 상기 압력 방출구는 연통되어 압력 방출 기체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기체 흡입구, 수용 챔버, 기체 흡입 동력 유닛 및 기체 배출구는 연통되어 기체 흡입 기체 통로를 구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진공 장치는 스냅인 구조, 스레드 구조 또는 자기 흡착 구조를 통해 상기 컵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컵 뚜껑과 상기 진공 장치 사이에는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되었는 지 여부를 검출하는 설치 검출 구조가 더 구비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조리기는 방수 및 통기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수 및 통기 구조는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 흡입 개구를 덮거나, 또는 상기 방수 및 통기 구조는 상기 진공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 흡입구를 덮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진공 장치는 하우징 및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수용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은 상기 수용 챔버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진공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어 회로 기판 및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은 상기 작동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의 작동을 제어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조리기는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수용 챔버에 수용되어 상기 제어 회로 기판 및/또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의 전류, 기체 흡입 압력 또는 작동 기간을 검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조리기는 블렌더, 믹서기 및 주스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은 컵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공 장치를 설계하되, 진공 장치는 조리기의 베이스에 고정되지 않으며, 이로써 진공 장치는 자체의 내부에 기체 흡입 기체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조리기에 진공 흡입이 필요할 경우 진공 장치를 컵 뚜껑에 설치하여 진공 장치의 기체 흡입구와 컵 뚜껑의 기체 흡입 개구 사이에서 맞대임 연통을 실현함으로써, 진공 장치 내부의 기체 흡입 기체 통로가 컵 본체로 직접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간단한 기체 통로 구조를 통해 조리기의 진공 기능을 실현하며, 조리기로 식재료를 교반하는 과정에 식재료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기의 사용 효과를 향상시키며, 아울러 진공 장치를 컵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켜, 조리기에는 컵 본체 또는 베이스에 진공 장치의 설치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조리기의 전반적인 구조를 간략화시키고, 조리기의 부피도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선행 기술 중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 또는 선행 기술에 대한 설명에 이용하기에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한 소개를 진행하기로 하며, 아래의 설명 중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진보성 노동이 없이 이러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기타의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음을 자명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진공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진공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진공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진공 장치의 제4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7은 도6 중의 A 부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4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10은 도9 중의 B 부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5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12는 도11 중의 C 부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6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14는 도13 중의 D 부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7 실시 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16은 도15 중의 F 부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8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18은 도17 중의 G 부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19는 도17 중의 H 부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9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21은 도20 중의 J 부분의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10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조리기의 제11 실시예의 진공 장치의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실시예를 결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한 구현, 기능 특점 및 장점에 대한 진일보의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 방안에 대한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이 분명할 것이다. 본 발명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진보성 노동이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의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모든 방향성 지시(예컨대, 상, 하, 좌, 우, 전, .......)는 단지 임의의 특정된 자세(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서 각 부재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 운동 상황 등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특정된 자세가 변화될 경우, 해당 방향성 지시도 대응되게 변화됨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명확히 다르게 규정되거나 한정되지 않는 한, "연결", "고정"등의 용어는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하며, 예컨대, 명확히 다르게 한정되지 않는 한, "고정"은 고정 연결일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인 연결일 수 있으며,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으며, 2개의 구성 요소 내부의 연통 또는 2개의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1", "제2" 등에 관련된 설명이 존재할 경우, 해당 "제1", "제2" 등의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이용될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기재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 사이의 기술적 방안은 상호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실현할 수 있는지를 기초로 하여야 하며, 기술적 방안의 결합이 서로 모순되거나 실현될 수 없을 경우, 이러한 기술적 방안의 결합은 존재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보호 범위 내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시인하여야 한다.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를 제출하며, 해당 진공 장치(100)는 조리기(900)의 식재료를 교반하기 전의 진공 처리에 이용되어, 조리기(900) 내부의 식재료가 상대적으로 진공인 환경에서 식재료 교반을 진행하여 식재료가 교반 과정에서 공기와 작용하여 산화되어 영양 성분이 손실되는 것을 피면하거나, 식재료의 외형 및 식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진공 장치(100)는 독립적인 물체로서 운송되고 수납될 수 있으며, 즉, 본 출원의 진공 장치(100)는 조리기(900)와 고정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조리기(900)에 진공 흡입이 필효할 경우에만 조리기(900)와 결합되어 조리기(900)의 교반 컵의 컵 본체(500)의 챔버에 대해 진공 흡입을 진행하며, 본 출원의 진공 장치(100)가 사용될 경우, 이는 조리기(900)의 컵 뚜껑(300)과 조립되어 컵 본체(500)의 챔버에 대한 진공 흡입을 진행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진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진공 장치(100)는 하우징(110),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 제어 회로 기판(130) 및 제1 전원 구조(140)를 포함하되,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수용 챔버(미표기)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에는 기체 흡입구(101) 및 기체 배출구(102)가 더 개방되고,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 제어 회로 기판(130) 및 제1 전원 구조(140)는 수용 챔버 내부에 수용되고, 제어 회로 기판(130)은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과 제1 전원 구조(14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은 진공 펌프일 수 있으며, 이는 기체 진입구(121) 및 기체 방출구(122)를 구비하고, 기체 진입구(121)는 하우징(110) 상의 기체 흡입구(101)에 연통되고, 기체 방출구(122)는 하우징(110) 상의 기체 배출구(102)에 연통되며, 조리기(900)에서 흡입된 공기는 기체 흡입구(101)를 경유하여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진입구(121)에 진입하고,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구동하에, 공기는 기체 방출구(122)를 경유하여 나중에 기체 배출구(102)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제어 회로 기판(130)은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1 전원 구조(140)은 전반적인 진공 장치(100)의 작동에 에너지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은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 및 제어 회로 기판(130)으로 진공 장치(100)를 구성하고, 진공 장치(100)는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조리기(900)에 대해 진공 흡입 조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수납에 편리한 효과를 구비하며, 아울러, 조리기(900)의 베이스(700)에 독립적인 진공 장치(100)를 설계함으로써, 진공 흡입 조작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진공 장치(100)와 조리기(900)를 분리하여 배치하며, 기존의 진공 장치(100)와 조리기(900)가 일체로 설계되는 방안과 비교시,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은 조리기(90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출원의 하우징(110)은 서로 스냅되어 상기 수용 챔버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3)를 포함하고,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수용 챔버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의 재료는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는 그들의 테두리에 서로 맞춤되는 스냅 인 구조를 구비하여 양자 간의 스냅 연결을 실현할 수 있으며, 또는,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 중의 하나는 테두리에 홈 구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홈 내부에 스냅되어 나사 연결 또는 접착제를 통해 양자를 연결시킨다.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 및 제어 회로 기판(130)은 모두 수용 챔버 내부에 설치되며, 여기서, 상부 케이스(111)와 하우징(110)은 수용 챔버 내부에서 연장되는 설치판이 구비하며,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 및 제어 회로 기판(130)은 설치판에 스냅 연결되거나 스레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하우징(110)에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진공 장치(100)로 조리기(900)에 대해 진공 흡입 조작을 진행하므로, 아러한 과정에서 진공 장치(100)의 기체 통로의 기밀성 및 청소 작업의 편리성을 감안하여야 하며, 본 출원의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는 바람직하게 버클 연결 방식으로 하우징(110)의 착탈 가능한 연결을 실현할 수 있으며, 양자 사이에 실링 링을 설치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의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 및 제어 회로 기판(130) 등의 부재를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어서 기체 흡입 과정에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의 기체 흡입 기체 통로에 대해 아래와 같은 설계를 더 진행한다.
도1 을 참조하면, 기체 흡입 기체 통로의 제1 구조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로 스냅 연결되어 형성된 수용 챔버는 밀폐된 챔버이며, 기체 흡입구(101)는 수용 챔버에 연통되고,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진입구(121)는 수용 챔버에 연통되며,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방출구(122)는 파이프를 통해 기체 배출구(102)에 연통된다. 기체 통로의 제1 구조에 있어서, 수용 챔버는 기체 흡입 기체 통로의 일부분으로 이용되며, 이로써 진공 장치(100)의 작동 과정에, 제어 회로 기판(130) 및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의해 발생된 열량은 기류와 함께 배출될 수 있으며, 이로써 진공 장치(100)의 방열 성능은 상대적으로 양호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기체 흡입 기체 통로의 제2 구조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로 스냅 연결되어 형성된 수용 챔버는 밀폐된 챔버이며,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진입구(121)는 파이프를 통해 기체 흡입구(101)에 연통되고,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방출구(122)는 파이프를 통해 기체 배출구(102)에 연통된다. 기체 통로의 제2 구조에 있어서, 기체 흡입 기체 통로가 상대적으로 밀폐되어, 기체 배출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안정된다.
도3을 참조하면, 기체 흡입 기체 통로의 제3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에는 수용 챔버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틈(102a)이 구비되고,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진입구(121)는 파이프를 통해 기체 흡입구(101)에 연통되고,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방출구(122)는 수용 챔버에 연통되며, 기체 배출구(102)는 상기 틈(102a)에 형성된다. 기체 흡입 기체 통로의 제3 구조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는 스냅 연결된 후 밀폐된 수용 챔버를 형성하지 않으며,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 사이의 틈(102a)을 이용하여 기체 흡입 장치의 기체 배출구(102)를 구성하고,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방출구(122)는 수용 챔버에 연통되어 수용 챔버도 기체 흡입 기체 통로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하며, 기체 흡입 과정에서 기체는 틈(102a)을 통해 배출되고, 기체 통로의 제3 구조로 실현하는 효과는 기체 통로의 제1 구조의 효과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4를 참조하면, 기체 흡입 기체 통로의 제4 구조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는 스냅 연결된 후 밀폐된 수용 챔버를 형성하지 않고 틈(102a)을 구비하며, 하우징(110)은 틈(102a) 이외에 기체 배출구(102)를 더 구비하며,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방출구(122)와 상기 기체 배출구(102)는 파이프를 통해 연통된다. 기체 통로의 제4 구조에 있어서, 수용 챔버 내부의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과 제어 회로 기판(130)은 틈을 통해 외부 공기와 열 교롼을 진행하여 자연적인 방열을 진행할 수 있으며, 기체 흡입 기체 통로는 상대적으로 밀폐되어, 기체 배출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안정된다.
나아가, 본 출원은 기체 흡입 장치의 기체 통로의 상술한 몇가지 구조에서 모두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의 기체 방출구(122)에 체크 밸브(123)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진공 흡입 과정에서 역류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기체 흡입 효과를 향상시킨다.
나아가, 상기 기체 흡입구(101)는 상기 하부 케이스(113)에 개방되고, 상기 기체 배출구(102)는 상부 케이스(111) 또는 하부 케이스(113)에 개방될 수 있다. 기체 배출구(102)가 상부 케이스(111)에 개방되는 경우, 진공 흡입 과정에서 상부로 기체를 배출하므로,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기체 배출구(102)가 하부 케이스(113)에 설치될 경우, 진공 흡입 과정에서 하부로 기체를 배출하므로, 기체 배출 과정에서 기류가 쉽게 사용자를 향하게 되지 않으며, 사용 과정이 보다 안전하게 된다.
본 출원은 상술한 진공 장치(100)를 적용한 조리기(900)을 더 제출한다. 조리기(900)는 두유 제조기, 블렌더, 주스기, 믹서기 등의 소형의 가전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장치(100)는 조리기(900)의 식재료 교반 이전에 진공 흡입 처리를 진행하여, 조리기(900) 내부의 식재료가 교반 과정에서 공기 중의 산소와 산화 작용이 발생하여 영양이 유실되고 식재료 식감 및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피면한다.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조리기(900)는 컵 본체(500), 컵 뚜껑(300) 및 진공 장치(100)를 포함하고, 진공 장치(100)는 상술한 내용의 구조를 구비하며, 물론, 진공 장치(100)가 조리기(900)에 적용될 경우, 실제의 적용에 따라 상술한 구조를 기반으로 구조 개선 조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컵 뚜껑(300)은 컵 본체(500)의 상단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버클 커버 연결되고, 컵 뚜껑(300)에는 컵 본체(500)의 챔버에 연통되는 기체 흡입 개구(301)가 개방되고, 진공 장치(100)는 컵 뚜껑(3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진공 장치(100)가 상기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기체 흡입구(101)는 기체 흡입 개구(301)에 연통되며, 여기서, 컵 본체(500)의 측벽에는 핸들(미표기)이 설치되고, 컵 뚜껑(300)에는 뚜껑 핸들(330)이 더 구비되며, 뚜껑 핸들(330)은 외부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고, 뚜껑 핸들(330)의 설치를 통해 사용자가 뚜껑 핸들(330)을 통해 밀어 뚜껑을 열거나 뚜껑을 닫는 조작을 편리하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뚜껑을 닫는 위치에 있을 경우, 뚜껑 핸들(330)은 핸들과 대응되고, 뚜껑을 열고자 할 경우, 축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뚜껑 핸들(330)을 밀어, 뚜껑을 열거나 뚜껑을 닫는 힘을 절약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된다.
본 출원의 조리기(900)의 컵 본체(500)의 상단부 개구의 단면 면적은 그의 하단부 개구의 단면 면적보다 크다. 또한, 컵 본체(500)의 컵벽에는 조리기(900)의 사용 과정에서 들어 올리기 편리하도록 핸들이 구비된다.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착탈 가능한 연결은 컵 뚜껑(300)과 진공 장치(100) 사이에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를 통해 실현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은 아래의 내용에서 착탈 가능한 연결의 기술적 방안에 대한 상세한 소개를 진행하기로 한다.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를 컵 뚜껑(300)에 연결한 이후, 진공 장치(100)를 조리기(900)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전반적인 구조의 착탈이 편리하도록 한다. 조리기(9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컵 본체(500) 내부에 식재료를 투입한 이후, 컵 뚜껑(300)을 컵 본체(500)에 덮고, 이어서 진공 장치(100)를 컵 뚜껑(300)에 설치하여 컵 본체(500) 내부에 대한 진공 흡입을 실현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은 진공 장치(100)를 컵 뚜껑(3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진공 장치(100)와 조리기(900)의 컵 뚜껑(300)은 서로 독립적으며, 진공 장치(100)는 컵 본체(500)의 내부에 대한 진공 흡입 처리를 실현함과 동시에 사용 후의 분리 수납이 편리하여, 사용이 상대적으로 편리해지며, 본 출원은 컵 뚜껑(300)에 기체 흡입 개구(301)를 구비하여 진공 흡입 과정을 진행할 경우 진공 장치(100)와 맞대이게 되고, 이로써 단지 간단한 구조로 컵 본체(500)의 챔버 내부의 공기에 대한 진공 장치(100)의 흡입을 실현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나아가, 진공 장치(100)가 착탈 가능한 연결 과정에서 컵 뚜껑(300)에 조립될 경우 과정이 상대적으로 편리하고 연결 구조가 안정적인 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 있어서, 컵 뚜껑(300)에 삽입홈(301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기체 흡입 개구(301)는 삽입홈(3011)의 저벽에 개방되며, 진공 장치(100)의 하우징(110)에는 삽입 연결부(1131)가 형성되고, 기체 흡입구(101)는 삽입 연결부(1131)에 개방되며,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삽입 연결부(1131)는 삽입홈(3011) 내부에 임베딩된다. 이러한 구조 설치를 통해,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 상에 설치될 경우, 전반적인 구조는 너무 높지 않게 되며, 전반적인 높이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기계를 사용 완료한 이후 배치 및 저장이 편리하게 되며, 기체 흡입 개구(301)는 컵 본체(500)상부 가장자리에 맞대이게 설치될 수 있으며, 및/또는, 기체 흡입 개구(301)는 컵 뚜껑(30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고, 기체 흡입 개구(301)는 컵 본체(500)상부 가장자리보다 낮게 설치되어, 제품 설계가 보다 합리하게 되어 전반적인 제품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기체 흡입 개구(301)는 컵 뚜껑(30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며, 아울러 재료 투입구로 이용되어, 진공 장치(100)를 이동시켜 제거할 경우 중간부분에 위치한 기체 흡입 개구(301)에 재료를 추가하여, 재료가 컵 본체(500) 내부의 교반 부재(믹싱 나이프를 포함) 상에 마침 떨어지거나 교반 부재 주위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재료에 대한 가공이 보다 균일하게 된다.
삽입홈(3011)의 수직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삽입 연결부(1131)는 하부 케이스(113)에 형성되고, 삽입 연결부(1131)의 외부 윤곽 형상과 삽입홈(3011)의 수직 단면 형상은 서로 적합하다. 본 출원삽입 연결부(1131)는 진공 장치(100)의 하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삽입 연결부(1131)는 진공 장치(100)의 하우징(110)으로 형성되며, 삽입 연결부(1131) 의 전반적인 형상은 원추형 테이블 또는 원통형 형상이거나 입방체 형상일 수 있으며, 삽입 연결부(1131)와 컵 뚜껑(300)의 슬롯홈(1133)의 맞춤을 통해,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정렬이 보다 편리하고, 아울러 기체 흡입 개구(301)는 삽입홈(3011)의 저벽에 설치되고, 기체 흡입구(101)는 대응되게 삽입 연결부(1131)에 설치되며, 이로써 삽입 연결부(1131)가 삽입홈(3011)에 삽입될 경우 기체 흡입 개구(301)와 기체 흡입구(101)은 정렬 연통을 실현할 수 있다.
삽입홈(3011)이 컵 본체(500)의 축 방향에서 연장되는 크기는 삽입홈(3011)의 깊이로 정의되고, 삽입홈(3011)의 깊이는 5mm 내지 50mm이다. 삽입홈(3011)의 깊이를 상술한 수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조립된 이후 진공 장치(100)는 흔들림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조립된 이후, 기체 흡입 과정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에 실링 구조를 더 설치하며, 본 출원은 또한 실링 구조에 대한 각종의 방안 설계를 진행한다.
도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벽에는 슬롯홈(1133)이 더 형성되고, 슬롯홈(1133)은 삽입 연결부(1131)를 둘러싸게 설치되며, 상기 슬롯홈(1133) 내부에는 제1 실링 링(901)이 설치되며, 진공 장치(100)가 상기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제1 실링 링(901)은 상기 진공 장치(100)와 상기 컵 뚜껑(300)에 의해 클램핑된다. 상기 제1 실링 링(901)의 재료는 실리콘일 수 있으며, 링 형성을 나타내며, 진공 장치(100)가 상기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제1 실링 링(901) 컵 뚜껑(300)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맞대이게 되어 양자의 실링을 실현하며, 이러한 실링 방식에 있어서, 실링 링은 삽입홈(3011)의 주변에 클램핑되어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된다.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면, 실링 구조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300)은 기체 흡입 개구(301)의 테두리에서 컵 본체(500)의 챔버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310)가 연결되고, 진공 장치(100)는 삽입 연결부(1131)의 외벽에서 실링 링 설치부(115)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기체 흡입구(101)는 실링 링 설치부(115) 내측에 위치하고, 실링 링 설치부(115)는 부분적으로 연결부(310)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부(310)에 연결되고, 실링 링 설치부(115)의 외부는 제1 실링 링(901)으로 둘러싸이고,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제1 실링 링(901)은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에 의해 클램핑된다. 도6 내지 도8은 삽입홈(3011) 내부에서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을 실링하는 2가지 구조 형식을 나열하며, 여기서, 상기 실링 링 설치부(115)와 상기 연결부(310)는 모두 배럴 구조이다.
도8에서, 상기 제1 실링 링(901)은 상기 삽입 연결부(1131)의 외벽과 상기 삽입홈(3011)의 저벽 사이에 클램핑된다. 이러한 실링 구조는 간단하다.
하나의 가능한 실링 방식(미도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링(901)은 상기 실링 링 설치부(115)와 상기 연결부(310) 사이에 클램핑되고, 이러한 실링 구조에 있어서, 제1 실링 링(901)은 배럴 형상으로 실링 링 설치부(115)와 연결부(310) 사이에 클램핑되어, 반경 방향에서의 실링을 실현한다.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착탈 가능한 연결은 실링 링 설치부(115)와 연결부(310)를 통해 제1 실링 링(901)을 클램핑하는 과정 및 삽입홈(3011)과 삽입 연결부(1131)가 맞춤되는 구조를 실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6 및 도7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링(901)은 서로 연결되는 제1 실링 부재(9011) 및 제2 실링 부재(90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 부재(9011)는 상기 삽입 연결부(1131)와 상기 삽입홈(3011)의 저벽 사이에 클램핑되고, 상기 제2 실링 부재(9013)는 상기 실링 링 설치부(115)와 상기 연결부(310) 사이에 클램핑된다. 이러한 실링 구조에 있어서, 제1 실링 링(901)의 단면은 T형상을 나타내고, 실링 링 설치부(115)와 상기 연결부(310) 사이의 반경 방향에서의 실링을 실현할 뿐만 아니라, 삽입 연결부(1131)의 외벽과 설치홈의 저벽 사이의 축 방향에서의 실링을 실현하기도 하며, 이로써 실링 효과가 상대적으로 양호할 뿐만 아니라,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연결 고정을 실현할 수도 있으며,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착탈 가능한 연결을 실현한다.
나아가, 상기 컵 뚜껑(300)에는 연결 링(320)이 더 구비되고, 연결 링(320)은 삽입홈(3011)을 둘러싸게 설치되어 상기 컵 본체(500)의 챔버를 향해 연장되며, 연결 링(320)의 외벽에는 고리형 홈(3201)이 형성되고, 고리형 홈(3201) 내부에는 제2 실링 링(902)이 임베딩괴며, 제2 실링 링(902)은 컵 본체(500)의 내벽에 맞대이게 된다.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착탈 가능한 연결을 실현하며, 구체적인 실현 구조은 여러가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은 스냅 연결 구조, 스레드 연결 구조 및 자기 흡착 구조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기체 흡입 개구(301)가 삽입홈(3011)의 저벽에 개방될 경우, 스냅인 구조는 배럴 구조의 실링 링 설치부(115)의 외벽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1 돌출부(1151) 및 배럴 구조의 연결부(310)의 내벽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 돌출부(3101)를 포함하고, 실링 링 설치부(115)는 부분적으로 연결부(310) 내부에 삽입되고, 제1 돌출부(1151)와 제2 돌출부(3101)의 맞춤을 통해 연결부(310)와 스냅 연결된다. 상기 제1 돌출부(1151)와 제2 돌출부(3101)는 모두 다수개를 구비하며, 각자 부착되는 구조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의 설치 과정에, 제2 돌출부(3101)는 인접한 2개의 제1 돌출부(1151)를 경유하여 제1 돌출부(1151)의 하부 표면에 맞대이게 되어 축 방향에서의 팽팽함을 실현하며,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 사이에 실링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제1 돌출부(1151)와 제2 돌출부(3101)가 서로 맞대이게 된 이후, 제1 실링 링(901)에서 발생하는 예비 하중의 작용 하에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연결 구조가 보다 견고하게 된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착탈 가능한 연결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체 흡입 개구(301)가 삽입홈(3011)의 저벽에 개방될 경우, 상기 스레드 구조는 배럴 구조의 연결부(310)의 내벽에 형성되는 내부 스레드(3103) 및 배럴 구조의 실링 링 설치부(115)의 외벽에 형성되는 외부 스레드(1153)를 포함하고, 실링 링 설치부(115)는 부분적으로 연결부(310)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 스레드(3103)와 외부 스레드(1153)의 맞춤을 통해 연결부(310)와 스레드 연결된다. 본 출원에서 스레드 연결 방안을 적용할 경우,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실링 구조는 삽입 연결부(1131)의 외벽과 삽입홈(3011)의 저벽 사이에 실링 링을 설치하는 축 방향에서의 실링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연결 구조는 스레드 연결 방안이며, 연결 구조는 상대적으고 견고하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착탈 가능한 연결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 사이에 자기 연결 구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자기 구조는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제1 자기 부재(1155) 및 컵 뚜껑(300)에 고정되는 제2 자기 부재(3105)를 포함하며, 진공 장치(100)는 제1 자기 부재(1155)와 제2 자기 부재(3105)의 맞춤을 통해 컵 뚜껑(300)에 자기 흡착된다. 자기 흡착 과정에서의 견고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자기 부재(1155)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삽입 연결부(1131)에 대응되는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자기 부재(3105)는 상기 컵 뚜껑(300)의 상기 삽입홈(3011)에 대응되는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자기 부재(1155)와 제2 자기 부재(3105)는 모두 판 형상의 영구 자석일 수 있으며, 영구 자석과 자화될 수 있는 금속판의 조합일 수도 있다. 자기 부재는 컵 뚜껑(300) 또는 진공 장치(100)의 생산 제조 과정에서 측벽에 임베딩될 수 있으며, 삽입 연결부(1131) 및 삽입홈(3011)의 부위에 자기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진공 장치(100)의 설치 과정에서 진공 장치(100)는 삽입홈(3011)의 가이드에 다라 컵 뚜껑(300)에 스냅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조립 과정은 보다 편리하며,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 사이의 실링 구조는 상술한 구조 중의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컵 뚜껑(300)에 대한 진공 장치(100)의 설치를 실현한 이후, 진공 장치(100) 중의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대해 전원 조작을 진행하여 컵 본체(500)의 내부에 대한 진공 흡입을 진행하며, 다시 도8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 장치(100)는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원 구조(140)를 더 포함하고, 조리기(900)는 베이스(700)를 더 포함하며, 컵 본체(500)는 베이스(700)에 설치되고, 베이스(700)에는 제2 전원 구조가 구비디며, 제1 전원 구조(140)와 제2 전원 구조는 서로 독립적이다.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에 제1 전원 구조(140)를 구비하고, 제1 전원 구조(140)과 베이스(700) 내부의 제2 전원 구조를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설계를 간략화시키고, 조리기(900)의 구조를 간단화시킴 동시에 진공 장치(100)가 휴대하기에 보다 편리하게 되어 사용이 보다 편리하다.
본 출원의 제1 전원 구조(140)는 여러가지 구조 형식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원 구조(140)에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며, 전원 인터페이스는 하우징(110)에 고정 연결된다. 여기서, 전원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 또는 기존의 단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진공 장치(100)의 사용 과정에서, 진공 장치(100)는 가정용 전기에 접속되어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시판의 이동식 전원에 접속되어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사용이 완료된 이후, 외부 전원의 코드를 뽑으면 되기에, 이러한 진공 장치(100)는 휴대가 보다 편리하고 사용이 보다 편리하다.
제1 전원 구조(140)의 다른 일 구조 형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구조(140)는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어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이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리튬 배터리 또는 건전지일 수 있으며, 여기서, 건전지는 충전 가능한 건전지이거나 충전이 불가능한 건전지 일 수 있으며,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하우징(110) 내부에서의 고정 방식은 제어 회로 기판(130)에서의 방식과 동일하며, 제1 전원 구조(140)를 하우징(110)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내장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진공 장치(100)의 기능이 보다 개선되고 사용이 보다 편리하다.
상기 제1 전원 구조(140)는 제어 회로 기판(130) 및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전력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조리기(900)는 작동되기 이전에,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서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진일보로 확보하여, 컵 본체(500)의 챔버의 밀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시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은 컵 뚜껑(300)과 진공 장치(100) 사이에 설치 검출 구조(4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설치 검출 구조(400)는 상기 진공 장치(100)가 상기 컵 뚜껑(30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설치 검출 구조(400)는 제어 회로 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설치 검출 구조(400)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과 직렬로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설치 검출 구조(400)가 연통될 경우에만 진공 장치(100) 중의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은 제1 전원 구조(140)에 전기적으로 전도됨으로써,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은 작동되어 진공 흡입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설치 검출 구조(400)를 설치하여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설치되는 것을 확보한 이후,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의 맞대임이 정확하고, 기밀성을 보장함으로써, 기체 흡입 과정이 순조롭도록 진공 장치(100)의 기체 흡입 과정에서 기체가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 검출 구조(400)는 상기 진공 장치(100)에 설치되는 트리거 스위치(410) 및 상기 트리거 스위치(410)에 대응되게 상기 컵 뚜껑(300)에 설치되는 트리거(420)를 포함하며,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경우, 트리거(420)는 트리거 스위치(410)에 작용되어 트리거 스위치(410)가 전도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트리거 스위치(410)는 자기성 스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트리거(420)는 자기 부재에 대응되고, 트리거(420)는 자기성 작용을 통해 트리거 스위치(410)의 전도를 유도한다.
또는, 트리거 스위치(410)는 미동 스위치이고, 트리거(420)는 컵 뚜껑(3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이며, 트리거(420)는 맞대임 작용을 통해 트리거 스위치(410)의 전도를 유도한다.
트리거 스위치(410)는 진공 장치(100)의 하우징(110) 상에 고정되어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과 직렬되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트리거(420)는 컵 뚜껑(300)의 표면에 설치되고, 컵 뚜껑(300)에 형성되는 삽입홈(3011)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진공 장치(100)의 삽입 연결부(1131)를 컵 뚜껑(300)의 삽입홈(3011)에 삽입하여 진공 장치(100)와 컵 뚜껑(300)을 연결시킨 이후, 트리거 스위치(410)와 트리거(420)의 연결은 트리거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전도되도록 하며, 트리거 스위치(410)와 트리거(420)의 연결은 돌출부를 미동 스위치에 접촉시켜 미동 스위치를 전도시킬 수 있으며, 또는 자기 부재로 자기성 스위치에 자기적으로 작용시켜 자기성 스위치를 전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은 컵 본체(500)의 챔버가 실링된 경우에 진일보의 작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진공 흡입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스위치(410)는 상기 삽입 연결부(113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트리거(420)는 상기 삽입홈(30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설치 검출 구조(400)의 배치는 보다 합리하게 되고, 삽입 연결부(1131)가 삽입홈(3011)에 완전히 삽입될 경우에만 설치 검출 구조(400)를 트리거함으로써, 검출이 보다 정확하다.
상술한 내용에 있어서, 트리거 스위치(410)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과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설치 검출 구조를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을 작동시키는 하나의 판단 입력 신호로 이용하며, 기타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 장치(100)는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제시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제시 장치는 트리거 스위치(4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트리거 스위치(410)가 전도될 경우, 제시 장치는 제시 정보를 발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시 장치는 하우징(120)에 고정되는 경고등 또는 부저이다. 즉, 본 출원의 조리기는 소리 또는 광선을 통해 사용자에게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 본 출원의 진공 장치(100)와 조리기(900)의 베이스(700)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며, 양자의 전원 구조는 서로 독립적이며, 조리기(900)의 사용 편리성을 진일보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2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진공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제어 회로 기판(130) 및 작동 스위치(150)를 더 포함하고, 제어 회로 기판(130)은 작동 스위치(150)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 상에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150)를 설치함으로써, 진공 장치(100)로 조리기(900)에 대해 진공 흡입 처리를 진행할 경우, 작동 스위치(150)를 조작시켜 진공 장치(100)에 대한 독립적인 작동을 진행하며, 이러할 경우, 조리기(900)의 사용 과정에 진공 장치(100)는 조리기(900)의 식재료 교반 전에 식재료에 대해 진공 흡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 교반 과정에 수요에 따라 진공 흡입을 진행함으로써 조리기(900)의 사용 과정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내표면에는 스위치 고정 부재(1115)와 스위치 위치 제한 부재(1116)가 연결되고, 스위치 고정 부재(1115)와 스위치 위치 제한 부재(1116)는 상기 수용 챔버 내부를 향해 연장되고, 스위치 고정 부재(1115)와 스위치 위치 제한 부재(1116)는 상대적으로 설치되고 맞춤되어 스위치 설치 공간(1117)을 형성하며, 작동 스위치(150)는 상기 스위치 설치 공간(1117)에 위치 제한되어 하우징(110)에 고정 연결된다.
스위치 고정 부재(1115)와 스위치 위치 제한 부재(1116)가 상대적으로 설치되고 맞춤되어 스위치 설치 공간(1117)을 형성함으로써, 작동 스위치(150)와 하우징(110)의 연결 구조가 견고해지고, 이러할 경우 작동 스위치(150)를 누르게 되면, 작동 스위치(150)는 하우징(11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스위치 위치 제한 부재(1116)의 자유 단부에는 위치 제한부(1118)가 설치되고, 위치 제한부(1118)는 상기 작동 스위치(150)를 정지시켜 작동 스위치(150)를 상기 스위치 설치 공간(1117) 내부에 위치 제한시킨다.
위치 제한부(1118)는 역 갈고리 형상을 나타내며, 이는 스위치 위치 제한 부재(1116)의 하우징(110)과 연결되지 않는 일 단부(즉, 자유 단부)에 설치되며, 위치 제한부(1118)의 설치를 통해 작동 스위치(150)를 누를 경우, 작동 스위치(150)는 그에 변형이 발생하는 축 방향에서 스위치 설치 공간(1117)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이로써 작동 스위치(150)의 설치 구조는 보다 견고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 스위치(150)는 미동 스위치 또는 터치 스위치이다. 본 출원의 진공 장치(100)는 터치 기계적 작동되므로, 물론, 기타의 실시예에 있어서, 리모콘 작동으로 진일보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즉,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 내부에 신호 수신 장치(미도시)가 더 설치되며, 신호 수신 장치는 제어 회로 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 스위치(150)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 및 제어 회로 기판(130)과 하나의 전기 신호 회로를 구성하고, 본 출원의 조리기(900)에는 진공 장치(100) 내부의 신호 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리모콘이 더 구비되고, 리모콘은 수신 장치에 제어 신호를 발송하고, 제어 회로 기판(130)은 해당 신호에 따라 작동 스위치(150)를 전도시켜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을 전기적으로 전도시킴으로써, 조리기가 기계적 터치 누름 작동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 작동을 실현할 수도 있어, 조리기(900)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조리기(900)의 사용 편리성을 진일보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 스위치(150)는 하우징(110)의 측벽 도는 상부벽에 연결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작동 스위치(150)를 터치하여 누르는 조작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도15 내지 도20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조리기(900)는 기체 흡입 과정이 순조롭도록 확보하고, 기체 흡입 과정에 컵 본체(500) 내부의 식재료 찌꺼기가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진입하여 기체 흡입 기체 통로가 폐쇄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조리기(900)에는 방수 및 통기 구조(미표기)가 더 설치되고, 도20 및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 및 통기 구조는 컵 뚜껑(300)에 설치되어 기체 흡입 개구(301)를 덮고, 도15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및 통기 구조는 진공 장치(100)에 설치되어 기체 흡입구(101)를 덮는다.
본 발명은 컵 뚜껑(300) 또는 진공 장치(100)에 방수 및 통기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진공 장치(100)로 컵 뚜껑(300)에 대해 진공 흡입을 진행하는 과정에, 방수 및 통기 구조는 컵 본체(500) 내부의 식재료 찌꺼기가 기체 흡입 기체 통로에 진입하여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기체 흡입 기체 통로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진공 장치(100)로 진공 흡입 과정이 순조롭도록 확보한다.
본 출원의 상기 방수 및 통기 구조는 방수 및 투기막(820)일 수 있으며, 또는, 방수 및 통기 구조는 설치 배럴(810) 및 방수 및 투기막(820)을 포함하고, 설치 배럴(810)에는 설치 배럴(810)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방수 및 투기막(820)은 설치 배럴(810)에 고정 연결되어 통로를 덮는다. 여기서, 방수 및 투기막(820)은 1200 메쉬 시트일 수 있다. 설치 배럴(810)은 배럴 구조이며, 구체적으로, 방수 및 통기 구조가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방수 및 투기막(820)일 경우, 방수 및 투기막(820)은 컵 뚜껑(300)에 고정 연결되어 기체 흡입 개구(301)를 덮고, 또는, 방수 및 투기막(820)은 진공 장치(100)에 고정 연결되어 기체 흡입구(101)를 덮으며, 방수 및 투기막(820)이 진공 장치(100)에 설치될 경우 방수 및 투기막(820)은 하우징(110)에 고정 연결되고, 방수 및 투기막(820)이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방수 및 투기막(820)은 컵 뚜껑(300) 상의 배럴 형상의 연결부(310)에 고정 연결되어 배럴 형상의 연결부(310)의 챔버를 덮는다. 방수 및 통기 구조가 설치 배럴(810)과 방수 및 투기막(820)의 맞춤 구조일 경우, 본 출원은 진공 장치(100)의 기체 흡입구(101)가 위치하는 곳에 기체 흡입 노즐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즉, 기체 흡입구(101)는 기체 흡입 노즐의 저벽에 개방되고, 설치 배럴(810)은 기체 흡입 노즐에 스레드 설치되며, 방수 및 통기 구조가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컵 뚜껑(300)의 배럴 구조의 연결부(310)의 외벽에는 외부 스레드(115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설치 배럴(810)의 컵 뚜껑(300)에 연결되는 일 단부는 연결부(310)에 스레드 연결되며, 즉, 상기 하우징(300)은 실링 링 설치부(115)의 내측에서 기체 흡입 노즐이 형성되고, 설치 배럴(810)은 기체 흡입 노즐의 외부에 연결되며, 또는, 설치 배럴(810)은 연결부(310)에 연결되어 컵 본체(500)의 일 단부에 삽입된다.
본 출원의 방수 및 통기 구조가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방수 및 투기막(820)일 경우, 전반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방수 및 통기 구조가 설치 배럴(810)과 방수 및 투기막(820)의 조합 구조일 경우, 착탈이 상대적으로 편리하게 된다.
조리기(900)는 진공을 실현하고 식재료 교반을 진행한 이후, 뚜껑을 열기 전에 조리기(900)의 컵 본체(500)에 대해 압력 방출 처리를 진행한다. 물론, 기타의 경우, 압력 방출 조작을 진행하기만 하면, 압력 방출 조작을 진행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은 압력 방출 방식을 해결하는 전제하에 아래와 같은 구조 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도15 및 도16을 참조하면, 조리기(900)의 압력 방출 구조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300)에는 컵 본체(500)의 챔버에 연통되는 압력 방출구(302)가 더 개방되고, 컵 뚜껑(300)은 압력 방출구(302)에서 압력 방출구(302)를 열거나 닫는 압력 방출 밸브(600)가 더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장치(100)로 컵 본체(500)의 내부에 대해 진공 흡입을 진행할 경우, 압력 방출 밸브(600)는 압력 방출구(302)를 닫아, 컵 본체(500) 내부에 밀폐된 챔버 구조를 형성하며, 컵 뚜껑(300)을 열어야 할 경우, 압력 방출 밸브(600)를 조작시켜 압력 방출구(103)를 열고, 외부 공기는 압력 방출구(302)를 경유하여 컵 본체(500)에 진입하여 컵 본체(500)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균형되도록 하며, 이로써 컵 뚜껑(300)을 여는 조작이 순조롭게 진행된다. 압력 방출 조작이 편리하도록, 본 출원에서 컵 뚜껑(300)에 설치되는 압력 방출 밸브(600)는 컵 뚜껑(3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삽입홈(3011)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즉, 진공 장치(100)가 컵 뚜껑(300)에 설치된 이후, 진공 장치(100)의 하우징(110)은 압력 방출 밸브(600)에 접촉되지 않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압력 방출 밸브(600)와 진공 장치(100)의 하우징(11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 예컨대 1cm의 간격이 더 구비되며, 이로써 진공 장치(100)로 진공 흡입이 완료된 이후, 작업자는 용이하게 압력 방출 밸브(600)를 조작하여 압력 방출구(302)를 열게 된다.
상술한 내용에서 우리는 진공 장치(100) 내부에 여러가지 기체 흡입 기체 통로가 구비되는 경우를 소개하였으나, 압력 방출 밸브(600)가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진공 장치(100) 중의 제1 기체 흡입 기체 통로 내지 제4 기체 흡입 기체 통로가 모두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컵 뚜껑(300) 상에 압력 방출 밸브(600)를 설치함으로써, 압력 방출 조작을 진행하여야 할 경우, 압력 방출의 기체 통로가 상대적으로 짧아, 압력 방출 조작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되고,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된다.
본 출원에서 컵 뚜껑(300) 상에 압력 방출 밸브(600)를 설치하는 구체적인 구조는 2가지 구조 형식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5 및 도16을 참조하면, 압력 방출 밸브(600)의 제1 구조 형식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600)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밸브 플랩(620) 및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630)를 포함하고, 컵 뚜껑(300)에는 설치 홀(303)이 더 개방되고, 설치 홀(303)은 상기 압력 방출구(302)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는 설치 홀(303)을 통해 슬라이드 되고, 밸브 플랩(620)은 컵 뚜껑(3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압력 방출 밸브(600)는 상기 설치 홀(303)에 대해 슬라이드 되어 상기 밸브 플랩(620)으로 상기 압력 방출구(302)를 열거나 닫으며, 상기 밸브 플랩(620)이 상기 압력 방출구(302)를 멀리하여 상기 압력 방출구(302)을 열 경우, 상기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630)는 상기 컵 뚜껑(300)의 내벽에 의해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흡입력의 작용하에, 압력 방출 밸브(600)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를 통해 압력 방출구(302)과의 사이에 상대적인 슬라이드를 발생시켜, 밸브 플랩(620)이 압력 방출구(302)에 접근하여 압력 방출구(302)를 닫으며, 압력 방출 조작을 진행하여야 할 경우, 압력 방출 밸브(600)를 당겨 밸브 플랩(620)이 컵 뚜껑(300)을 멀리하여 압력 방출구(302)를 열게 되며, 압력 방출 밸브(600)의 제1 구조 형식 구조는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본 실시예의 설치 홀(303)은 링 형상으로 설치되고, 압력 방출구(302)는 설치 홀(303)의 주변에 둘러싸이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설치 홀(303)은 압력 방출구(302)로 구성된 링 형상의 중심에 위치하며, 이로써 압력 방출구(302)가 설치 홀(303)에 대해 슬라이드 되어 압력 방출구(302)를 열거나 닫을 경우, 압력 방출 밸브(600)에 인가되는 힘이 균일하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운동은 컵 뚜껑(300)을 멀리하거나 접근하는 선형 운동이고, 이러한 열고 닫는 조작은 편리하며, 압력 방출 밸브(600)로 압력 방출구(302)를 닫는 기밀성ㄷ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압력 방출 밸브(600)로 압력 방출구(302)를 닫을 경우의 기밀성을 진일보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의 상기 컵 뚜껑(300)의 외벽에는 위치 제한 슬롯(3013)이 더 오목하게 구비되고, 압력 방출구(302)는 위치 제한 슬롯(3013)의 저벽을 관통하며, 상기 밸브 플랩(620)가 상기 압력 방출구(302)에 접근하여 상기 압력 방출구(302)를 닫을 경우 상기 밸브 플랩(620)은 상기 위치 제한 슬롯(3013)에 임베딩된다.
도17 및 도18을 참조하면, 압력 방출 밸브(600)의 제2 구조 형식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600)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압압부(640) 및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밸브 플랩(620)을 포함하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는 압력 방출구(302)를 통해 슬라이드 되고, 압력 방출구(302)의 구경은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의 외경보다 크며, 압압부(640)는 컵 뚜껑(300)의 외부로 노출되고, 밸브 플랩(620)은 컵 뚜껑(300) 내측에 위치하고,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는 탄성 부재(660)로 둘러싸이고, 탄성 부재(660)의 일 단부는 압압부(640)에 맞대어지고, 타 단부는 컵 뚜껑(300)에 맞대어지며, 탄성 부재(660)는 밸브 플랩(620)을 구동시켜 컵 뚜껑(300)의 내표면에 맞대어지어 압력 방출구(302)를 덮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외력의 구동하에, 밸브 플랩(620)은 압력 방출구(302)를 멀리하여 압력 방출구(302)를 열게 된다.
본 출원의 압력 방출 밸브(600)의 제2 구조 형식은 탄성 압력 방출 밸브(600) 구조로 설치되며, 압력 방출 조작 과정에서 압압부(640)를 누르기만 하면 되므로, 압력 방출 조작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플랩(620)의 컵 뚜껑(300)을 향한 일측에는 실링 패드(650)가 더 설치된다. 실링 패드(650)는 실리콘 재료일 수 있으며, 이는 밸브 플랩(620)에 일체로 성형되며, 압력 방출 밸브(600)로 압력 방출구(302)를 닫을 경우 실링 패드(650)는 압력 방출구(302)를 덮어, 실링 패드(650)의 설치를 통해 실링 과정에서의 엄밀성을 진일보로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컵 뚜껑(300)의 외표면에는 위치 제한 배럴(3015)이 더 돌출되게 구비되며, 위치 제한 배럴(1113)은 밸브 플랩(620)의 주변을 둘러싼다. 위치 제한 배럴(3015)의 설치를 통해 압력 방출 밸브(600)를 누르는 과정의 순조롭도록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압력 방출 밸브(600)가 컵 뚜껑(300)에 설치되는 경우를 소개하였고, 도20 내지 도22를 참조하면, 조리기(900)의 압력 방출 구조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 장치(100)에는 기체 흡입 기체 통로 및 압력 방출 기체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진공 장치(100)에는 상기 압력 방출 기체 통로를 열거나 닫는 압력 방출 밸브(60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조리기(900)는 제1 사용 상태 및 제2 사용 샅애를 구비하며, 제1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기체 흡입 기체 통로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301)에 연통되어 컵 본체(500)의 챔버에 대해 진공 흡입 처리를 진행하고, 제2 사용 상태일 경우 압력 방출 밸브(600)는 압력 방출 기체 통로를 열어 압력 방출 기체 통로와 기체 흡입 개구(301)를 연통시켜 컵 본체(500)의 챔버에 대해 압력 방출 처리를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장치(100)의 기체 흡입 기체 통로는 진공 장치(100)의 하우징(110)으로 실링 챔버를 구성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즉, 상술한 내용에서 진공 장치(100)의 제1 기체 흡입 기체 통로 및 제2 기체 흡입 기체 통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은 조리기(900)에 진공 장치(1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진공 장치(100)에 기체 흡입 기체 통로 및 압력 방출 기체 통로를 설치하며, 조리기(900)에 진공 흡입이 필요할 경우 기체 흡입 기체 통로로 컵 본체(500)의 챔버를 연통시키고, 압력 방출 조작이 필요할 경우 압력 방출 밸브(600)로 압력 방출 기체 통로를 열어 압력 방출 기체 통로와 컵 뚜껑(300)의 기체 흡입 개구(301)를 연통시킴으로써, 조리기(900)는 교반 과정에서 식재료가 공기와 작용이 발생하여 산화되는 것을 피면하여, 조리기(900)의 식재료 가공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밀폐된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기체 배출구(102)가 더 개방되며, 상기 기체 흡입구(101)와 압력 방출구(103)는 모두 상기 수용 챔버에 연통되고,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진입구(121)는 상기 수용 챔버에 연통되며, 상기 기체 배출구(102)는 파이프를 통해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배출구에 연통되고, 상기 진공 장치(100)가 상기 컵 뚜껑(300)에 설치될 경우 상기 기체 흡입구(101)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301)에 연통된다.
상기 기체 흡입구(101), 수용 챔버 및 상기 압력 방출구(103)는 연통되어 상기 압력 방출 기체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기체 흡입구(101), 수용 챔버,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 및 기체 배출구(102)는 연통되어 상기 기체 흡입 기체 통로를 구성한다.
본 출원에서 진공 장치(100) 상에 압력 방출 밸브(600)를 설치할 경우, 압력 방출 밸브(600)의 구체적은 구조도 2가지 구조 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도20 및 도21을 참조하면, 압력 방출 밸브(600)의 제1 구조 형식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600)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밸브 플랩(620) 및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630)를 포함하고, 컵 뚜껑(300)에는 설치 홀(104)이 더 개방되고, 설치 홀(104)은 상기 압력 방출구(103)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는 설치 홀(104)을 통해 슬라이드 되며, 밸브 플랩(620)은 컵 뚜껑(300)의 외부에 노출되고, 기체 진입 밸브는 상기 설치 홀(104)에 대해 슬라이드 되어 상기 밸브 플랩(620)으로 상기 압력 방출구(103)를 열거나 닫으며, 상기 밸브 플랩(620)이 상기 압력 방출구(103)를 멀리하여 상기 압력 방출구(103)를 열 경우 상기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630)는 상기 컵 뚜껑(300)의 내벽에 의해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흡입 작용하에, 압력 방출 밸브(600)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를 통해 압력 방출구(103)와의 사이에 상대적인 슬라이드를 발생하여, 밸브 플랩(620)이 압력 방출구(103)에 접근하여 압력 방출구(103)를 닫으며, 압력 방출 조작을 진행하여야 할 경우 압력 방출 밸브(600)를 당겨 밸브 플랩(620)이 컵 뚜껑(300)을 멀리하여 압력 방출구(103)를 열게 되며, 압력 방출 밸브(600)의 제1 구조 형식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 홀(104)은 링 형상으로 설치되고, 압력 방출구(103)는 설치 홀(104)의 주변을 둘러싸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 홀(104)은 압력 방출구(103)로 구성된 링 형상의 중심에 위치하고, 이로써 압력 방출구(103)가 설치 홀(104)에 대해 슬라이드 되어 압력 방출구(103)를 열거나 닫을 경우, 압력 방출 밸브(600)에 인가되는 힘이 균일하게 되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운동은 컵 뚜껑(300)을 멀리하거나 접근하는 선형 운동이고, 이러한 열고 닫는 조작은 편리하고, 압력 방출 밸브(600)로 압력 방출구(103)를 닫는 밀폐성도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압력 방출 밸브(600)로 압력 방출구(103)를 닫을 경우의 기밀성을 진일보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의 상기 컵 뚜껑(300)의 외벽에는 위치 제한 슬롯(1111)이 오목하게 구비되고, 압력 방출구(103)는 위치 제한 슬롯(1111)의 저벽을 관통하며, 상기 밸브 플랩(620)이 상기 압력 방출구(103)를 접근하여 상기 압력 방출구(103)를 닫을 경우 상기 밸브 플랩(620)은 상기 위치 제한 슬롯(1111) 내부에 임베딩된다.
도22를 참조하면, 압력 방출 밸브(600)의 제2 구조 형식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600)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압압부(640) 및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밸브 플랩(620)을 포함하고,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는 압력 방출구(103)를 통해 슬라이드 되며, 압압부(640)는 컵 뚜껑(300)의 외부에 노출되고, 밸브 플랩(620)은 컵 뚜껑(300)의 내측에 위치하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610)는 탄성 부재(660)로 둘러싸이고, 탄성 부재(660)의 일 단부는 압압부(640)에 맞대이고, 타 단부는 컵 뚜껑(300)에 맞대이며, 탄성 부재(660)는 밸브 플랩(620)을 구동시켜 컵 뚜껑(300)의 내표면에 맞대여 압력 방출구(103)를 덮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외력의 구동하에, 밸브 플랩(620)은 압력 방출구(103)를 멀리하여 압력 방출구(103)를 열게 된다.
본 출원의 압력 방출 밸브(600)의 제2 구조 형식은 탄성 압력 방출 밸브(600) 구조로 설치되며, 압력 방출 조작 과정에 압압부(640)를 누리기만 하면 되므로, 압력 방출 조작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플랩(620)의 컵 뚜껑(300)을 향한 일측에는 실링 패드(650)가 더 설치된다. 실링 패드(650)는 실리콘 재료일 수 있으며, 이는 밸브 플랩(620)에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압력 방출 밸브(600)가 압력 방출구(103)를 닫을 경우 실링 패드(650)는 압력 방출구(103)를 덮고, 실링 패드(650)의 설치를 통해 실링 과정에서의 엄밀성을 진일보로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컵 뚜껑(300)의 외표면에는 위치 제한 배럴(1113)이 더 돌출되게 구비되고, 위치 제한 배럴(1113)은 밸브 플랩(620)의 주변을 둘러싼다. 위치 제한 배럴(1113)의 설치를 통해 압력 방출 밸브(600)를 누르는 과정이 순조롭도록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조리기를 실현하기 위하여, 조작 과정에서 진공도가 기정치에 도달한 이후 진공 장치는 자동으로 조작을 정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진공 장치는 검출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일부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모듈은 전류 검출 모듈이고, 전류 검출 모듈은 상기 제어 회로 기판(130)과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 사이의 회로 상에 직렬되어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조작 과정에서의 전류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모듈은 전류 검출 모듈이고, 구체적으로 전류계 또는 전류 센서일 수 있으며, 검출 모듈은 수용 챔버 내부에 수용되고, 검출 모듈은 상기 제어 회로 기판(130)과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 사이의 회로 상에 직렬되어,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의 조작 과정에서의 전류를 검출한다. 기타의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모듈은 전압 검출 모듈을 이용하여 대체할 수도 있다.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으로 컵 본체(500)의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경우 컵 본체(500)의 챔버 내부의 공기량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므로,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으로 진공 흡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의 전류는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며, 최종의 전류가 증가하는 추세가 0에 근접하게 될때 까지 전류가 증가하는 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때, 진공 장치(50)를 보호하여 진공 장치(100)가 회손되는 것을 피면하여 진공 장치의 안전성 및 조작 신뢰성이 향상시키도록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을 제어하여 조작을 정지시켜야 한다.
나아가, 일부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모듈은 기체 압력 검출 모듈이고, 상기 기체 압력 검출 모듈은 상기 제어 회로 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흡입 압력을 검출한다.
나아가, 상기 기체 압력 검출 모듈은 압력 센서이고, 상기 압력 센서는 기체 진입구(121)와 상기 기체 흡입구(512) 사이에 설치되어,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조작 과정에서의 기체 흡입 압력을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모듈은 기체 압력 검출 모듈이고,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 또는 기압계일 수 있으며, 상기 기체 압력 검출 모듈은 수용 챔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기체 압력 검출 모듈은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기체 진입구(121)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회로 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연결되며, 주로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의 조작 과정에서의 기체 흡입 압력을 검출하도록 이용된다.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으로 컵 본체(500)의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경우, 컵 본체(500)의 챔버 내부의 공기량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므로,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으로 진공 흡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의 기체 흡입 압력은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고, 최종의 기체 흡입 압력이 증가하는 추세가 0에 근접하게 될때 까지 기체 흡입 압력이 증가하는 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때, 진공 장치(100)를 보호하여 진공 장치(100)가 회손되는 것을 피면하여 진공 장치의 안전성 및 조작 신뢰성이 향상시키도록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을 제어하여 조작을 정지시켜야 한다.
나아가, 일부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모듈은 타이머이고,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제어 회로 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작동 기간을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모듈은 타이머이고, 상기 타이머는 하우징(110)으로 형성되는 수용 챔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타이머는 제어 회로 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타이머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타이머는 제어 회로 기판(130)과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 사이의 전류 회로 상에 직렬되며, 제어 회로 기판(130)이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에 전류를 입력할 경우 상기 타이머는 타이밍을 시작하고, 제어 회로 기판(130)이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에 전류를 입력하는 것을 정지할 경우, 상기 타이머는 타이밍을 정지하여, 기체 흡입 동력 유닛(120)의 작동 기간을 기록하며, 상기 작동 기간은 컵 본체(500)의 챔버의 부피(V) 및 기체 흡입 동력 유닛(53)의 기체 흡입 속도(v)에 관련되며, 일반적으로 30초 내지 120초이고, 바람직하게는 90초이며, 진공 장치(100)에 대해 퍼지 제어를 진행할 경우, 진공 장치(100)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도록 진공 장치(100)의 작동이 시작된 90초 뒤에 조작을 정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이로 인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발명 개념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진행한 동등한 구조 변환 또는 기타의 관련된 기술 범위에서의 직접적인/간접적인 운용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 진공 장치 301: 기체 흡입 개구
101: 기체 흡입구 310: 연결부
102: 기체 배출구 3101: 제2 돌출부
102a: 틈 3103: 내부 스레드
103, 302: 압력 방출구 3105: 제2 자기 부재
104, 303: 설치 홀 320: 연결 링
110: 하우징 3201: 고리형 홈
111: 상부 케이스 3011: 삽입홈
1111, 3013: 위치 제한 슬롯 330: 뚜껑 핸들
1113, 3015: 위치 제한 배럴 400: 설치 검출 구조
1115: 스위치 고정 부재 410: 트리거 스위치
1116: 스위치 위치 제한 부재 420: 트리거
1117: 설치 공간 500: 컵 본체
1118: 위치 제한부 600: 압력 방출 밸브
113: 하부 케이스 610: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
1131: 삽입 연결부 620: 밸브 플랩
1133: 슬롯홈 630: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
115: 실링 링 설치부 640: 압압부
1151: 제1 돌출부 650: 실링 패드
1153: 외부 스레드 660: 탄성 부재
1155: 제1 자기 부재 700: 베이스
120: 기체 흡입 동력 유닛 810: 설치 배럴
121: 기체 진입구 820: 방수 및 투기막
122: 기체 방출구 900: 조리기
123: 체크 밸브 901: 제1 실링 링
130: 제어 회로 기판 9011: 제1 실링 부재
140: 제1 전원 구조 9013: 제2 실링 부재
150: 작동 스위치 902: 제2 실링 링
300: 컵 뚜껑

Claims (20)

  1.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버클 커버 연결되고, 상기 컵 본체의 챔버에 연통되는 기체 흡입 개구가 개방되며, 뚜껑 핸들이 구비되는 컵 뚜껑과,
    상기 컵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체 흡입구 및 기체 배출구가 구비되되,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될 경우 상기 기체 흡입구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에 연통되는 진공 장치와,
    방수 및 통기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컵 뚜껑에는 상기 컵 본체의 챔버에 연통되는 압력 방출구가 더 개방되고,
    상기 컵 뚜껑은 압력 방출구에서 상기 압력 방출구를 열거나 닫는 압력 방출 밸브가 더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방수 및 통기 구조는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 흡입 개구를 덮거나, 또는 상기 방수 및 통기 구조는 상기 진공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 흡입구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에는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체 흡입 개구는 상기 삽입홈의 저벽에 개방되며, 상기 진공 장치는 삽입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흡입구는 상기 삽입 연결부에 개방되고, 상기 삽입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 내부에 임베딩되며, 및/또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는 상기 컵 본체의 축 방향에서 최상부의 가장자리보다 낮게 설치되며, 및/또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는 상기 컵 뚜껑의 반경 방향에서 중앙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홈의 수직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 또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삽입 연결부의 외부 윤곽 형상과 상기 삽입홈의 수직 단면 형상은 서로 적합한 것이고,
    상기 삽입홈이 상기 컵 본체의 축 방향에서 연장하는 크기는 삽입홈의 깊이로 정의되고, 상기 삽입홈의 깊이는 5mm 내지 50mm이고,
    상기 컵 뚜껑에는 상기 삽입홈을 둘러싸게 설치되고 상기 컵 본체의 챔버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 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링의 외벽에는 고리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홈 내부에는 제2 실링 링이 임베딩되고, 상기 제2 실링 링은 상기 컵 본체의 내벽에 맞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장치는,
    제1 전원 구조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전원 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는,
    상기 컵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원 구조와 서로 독립적인 제2 전원 구조가 구비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는 상기 삽입 연결부을 둘러싸게 설치되고 내부에 제1 실링 링이 설치되는 슬롯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진공 장치 및 상기 컵 뚜껑에 의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은 상기 기체 흡입 개구의 테두리에서 상기 컵 본체의 챔버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진공 장치는 삽입 연결부의 외벽에서 내부에 상기 기체 흡입구가 위치되고, 일부가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외부에 제1 실링 링이 둘러싸는 실링 링 설치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진공 장치 및 상기 컵 뚜껑에 의해 클램핑되고,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삽입 연결부의 외벽과 상기 삽입홈의 저벽 사이에 클램핑되며,
    상기 실링 링 설치부와 상기 연결부는 모두 배럴 구조이고,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실링 링 설치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클램핑되며, 또는,
    상기 제1 실링 링은 상기 삽입 연결부와 상기 삽입홈의 저벽 사이에 클램핑되는 제1 실링 부재와 상기 실링 링 설치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클램핑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실링 부재와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밸브 플랩 및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를 포함하거나 - 여기에서 상기 컵 뚜껑에는 설치 홀이 더 개방되고, 상기 설치 홀은 상기 압력 방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는 상기 설치 홀을 통해 슬라이딩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플랩은 상기 컵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는 상기 컵 뚜껑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상기 밸브 플랩으로 상기 압력 방출구를 열거나 닫도록 상기 설치 홀에 대해 슬라이딩하며, 상기 밸브 플랩이 상기 압력 방출구를 멀리하여 상기 압력 방출구를 개방할 경우 상기 압력 방출 밸브 고정부는 상기 컵 뚜껑의 내벽에 의해 정지됨 -, 또는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압압부 및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밸브 플랩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는 상기 압력 방출구를 통해 슬라이딩하게 설치되고, 상기 압압부는 상기 컵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밸브 플랩은 상기 컵 뚜껑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압력 방출 밸브 설치부에는 일 단부가 상기 압압부에 맞대이고 타 단부는 상기 컵 뚜껑에 맞대이는 탄성 부재로 둘러싸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밸브 플랩으로 상기 컵 뚜껑의 내부 표면에 맞대어 상기 압력 방출구를 닫도록 상기 밸브 플랩을 구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외력의 구동하에, 상기 밸브 플랩은 상기 압력 방출구를 멀리하여 상기 압력 방출구를 열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장치는 하우징 및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밀폐된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은 상기 수용 챔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기체 흡입구, 압력 방출구 및 기체 배출구가 개방되며, 상기 기체 흡입구와 압력 방출구는 모두 상기 수용 챔버에 연통되고,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의 기체 진입구는 상기 수용 챔버에 연통되고, 상기 기체 배출구는 파이프를 통해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의 기체 배출구에 연통되며,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될 경우 상기 기체 흡입구는 상기 기체 흡입 개구에 연통되며,
    상기 기체 흡입구, 수용 챔버 및 상기 압력 방출구는 연통되어 압력 방출 기체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기체 흡입구, 수용 챔버, 기체 흡입 동력 유닛 및 기체 배출구는 연통되어 기체 흡입 기체 통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과 상기 진공 장치 사이에는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설치 검출 구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장치는 하우징 및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수용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은 상기 수용 챔버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진공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어 회로 기판 및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 기판은 상기 작동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수용 챔버에 수용되어 상기 제어 회로 기판 및/또는 기체 흡입 동력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기체 흡입 동력 유닛의 전류, 기체 흡입 압력 또는 작동 기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뚜껑과 상기 진공 장치 사이에는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설치 검출 구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설치 검출 구조는 상기 진공 장치에 설치되는 트리거 스위치 및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장치가 상기 컵 뚜껑에 설치된 경우, 상기 트리거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 작용되어 상기 트리거 스위치가 전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7013995A 2017-11-14 2018-08-07 조리기 KR102322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28043.8A CN109770740B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33641.4 2017-11-14
CN201711141527.6 2017-11-14
CN201711133498.9 2017-11-14
CN201721526826.7U CN208371645U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21526648.8 2017-11-14
CN201721526648.8U CN208371660U (zh) 2017-11-14 2017-11-14 抽真空装置及料理机
CN201711133340.1A CN109770748B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33496.X 2017-11-14
CN201721527130.6 2017-11-14
CN201721536331.2U CN208551468U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41527.6A CN109770751B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33499.3 2017-11-14
CN201711133500.2A CN109770749B (zh) 2017-11-14 2017-11-14 抽真空装置和料理机
CN201711133340.1 2017-11-14
CN201711133499.3A CN109770743B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21521045.9U CN208435389U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28044.2A CN109770747B (zh) 2017-11-14 2017-11-14 抽真空装置、料理机及其抽真空控制方法
CN201721527003.6 2017-11-14
CN201711133498.9A CN109770742B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21521045.9 2017-11-14
CN201721527104.3 2017-11-14
CN201721526830.3 2017-11-14
CN201721521043.X 2017-11-14
CN201721526826.7 2017-11-14
CN201711133497.4A CN109770693B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28044.2 2017-11-14
CN201721526830.3U CN208435377U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28043.8 2017-11-14
CN201721527130.6U CN208371661U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33500.2 2017-11-14
CN201721526104.1U CN208371659U (zh) 2017-11-14 2017-11-14 抽真空装置和料理机
CN201711133641.4A CN109770750B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21527003.6U CN208551052U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33497.4 2017-11-14
CN201721536331.2 2017-11-14
CN201721526104.1 2017-11-14
CN201721521043.XU CN208551490U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21527104.3U CN208551491U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CN201711133496.XA CN109770741B (zh) 2017-11-14 2017-11-14 料理机
PCT/CN2018/099073 WO2019095732A1 (zh) 2017-11-14 2018-08-07 料理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144A KR20200064144A (ko) 2020-06-05
KR102322562B1 true KR102322562B1 (ko) 2021-11-05

Family

ID=6653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995A KR102322562B1 (ko) 2017-11-14 2018-08-07 조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17798B2 (ko)
EP (1) EP3708048A4 (ko)
JP (1) JP7062765B2 (ko)
KR (1) KR102322562B1 (ko)
WO (1) WO2019095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953A (zh) * 2019-07-05 2019-09-20 广东大任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料理机的机盖结构
CN113784649B (zh) * 2019-10-07 2023-12-19 Lg电子株式会社 料理机
CN114794920B (zh) * 2019-12-26 2023-09-05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
CN112315329B (zh) * 2020-10-28 2022-04-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煲盖组件及具有其的电饭煲
CN114275374B (zh) * 2022-01-10 2023-03-10 深圳逗爱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感应抽气的真空储粮桶以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988A (ja) * 2005-02-08 2006-08-24 Ebara Corp ポンプ装置及びポンプ装置用携帯端末
KR101384979B1 (ko) * 2013-09-12 2014-04-14 설정구 분해 조립이 용이한 믹서기
KR101565928B1 (ko) * 2014-11-05 2015-11-05 주식회사 다윈 정수기가 구비된 바코드 인식형 조리장치
CN110630857A (zh) * 2019-09-25 2019-12-31 河南日盛综合检测有限公司 建筑结构强度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1908A (en) * 1955-08-01 1960-06-21 Bendix Aviat Corp Ultrasonic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JPH03168044A (ja) * 1989-11-29 1991-07-19 Kato Sangyo Kk 減圧漬物容器
KR20100023194A (ko) * 2008-08-21 2010-03-0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포브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벨트 조절 장치 및 방법
JP5719586B2 (ja) * 2010-06-08 2015-05-20 株式会社マルコム 真空混練脱泡装置
CN103027598A (zh) 2011-10-10 2013-04-10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厨用碎食机
CN102631153B (zh) 2012-03-28 2015-04-08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CN202589335U (zh) 2012-05-21 2012-12-12 王晓东 带组合式抽气装置的食品处理机
KR20170016021A (ko) 2012-10-05 2017-02-10 데스고무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조리기
JP5639136B2 (ja) 2012-10-05 2014-12-10 株式会社テスコム 真空電動調理器
CN103110333B (zh) 2012-12-06 2015-02-25 孙立峰 真空榨汁机
CN203088842U (zh) 2013-01-29 2013-07-31 昆山尚达智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食品搅拌机
CN203693401U (zh) 2013-12-03 2014-07-09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搅拌装置
CN203943509U (zh) 2014-06-18 2014-11-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压力锅的自动排汽驱动控制装置和电压力锅
CN204218743U (zh) 2014-11-11 2015-03-25 九阳股份有限公司 食物处理器
CN204336722U (zh) 2014-12-26 2015-05-20 苏龙 一种食品料理机
US9675212B2 (en) 2015-02-03 2017-06-13 Sharkninja Operating Llc Container for food processing system
US20170231431A1 (en) 2015-03-30 2017-08-17 Jworld Tech Blender
CN204813533U (zh) 2015-06-20 2015-12-02 佛山市顺德区客浦电器有限公司 一种可抽真空的食物料理机
CN204813534U (zh) 2015-06-29 2015-12-02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真空食物处理装置
CN106308575B (zh) * 2015-06-29 2019-10-01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真空食物处理装置
CN204813295U (zh) 2015-08-05 2015-12-02 宁波泰尔斯电子实业有限公司 具有抽真空功能的搅拌器
CN205433439U (zh) 2015-12-30 2016-08-1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食品加工平台
CN205458224U (zh) 2016-01-12 2016-08-1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N205379221U (zh) 2016-01-12 2016-07-13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N205286126U (zh) 2016-01-12 2016-06-0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N105520659A (zh) 2016-01-23 2016-04-27 王强 一种具有抽真空功能的搅拌机
CN205458226U (zh) 2016-02-01 2016-08-17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搅拌机
CN205625689U (zh) 2016-02-15 2016-10-1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食物料理机
CN205612343U (zh) 2016-03-16 2016-10-05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N205612350U (zh) 2016-03-25 2016-10-05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真空食物料理装置
CN205923822U (zh) * 2016-04-21 2017-02-0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N205658804U (zh) 2016-04-22 2016-10-26 深圳市品慕科技有限公司 搅拌机
CN205994362U (zh) * 2016-04-29 2017-03-08 李功科 一种真空破壁料理机
CN205795471U (zh) 2016-05-13 2016-12-1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榨汁机
CN205994373U (zh) 2016-06-20 2017-03-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料理机及其供电装置
CN105919396B (zh) * 2016-07-14 2018-03-06 广东辉骏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真空果汁机
CN206080063U (zh) 2016-07-15 2017-04-1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榨汁机杯盖和榨汁机
CN105996826A (zh) 2016-07-21 2016-10-12 江门市恒通高科有限公司 多功能真空加热破壁机
CN206062977U (zh) 2016-07-21 2017-04-0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厨师机
CN105996824A (zh) 2016-07-21 2016-10-12 江门市恒通高科有限公司 多功能真空加热破壁机的控制方法
CN206102479U (zh) 2016-07-28 2017-04-1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料理机
KR101750798B1 (ko) 2016-08-09 2017-06-26 (주)제이월드텍 믹서기
CN206354938U (zh) 2016-08-20 2017-07-28 佛山市艾诗摩尔网络科技有限公司 真空搅拌机
CN106136831A (zh) 2016-08-31 2016-11-23 江门市恒通高科有限公司 多功能真空ptc加热静音破壁机
CN106235910A (zh) 2016-09-08 2016-12-21 廖玉连 食品搅拌机的安全开关装置
CN206333822U (zh) * 2016-10-10 2017-07-18 中山市喜卓电器有限公司 一种真空破壁机的抽真空结构
CN206403656U (zh) 2016-10-26 2017-08-15 佛山市顺德区好生活电子科技有限公司 真空搅拌机
CN206560387U (zh) 2016-12-01 2017-10-1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N206560377U (zh) 2016-12-06 2017-10-1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US10556208B2 (en) * 2017-01-09 2020-02-11 Nuwave, Llc Vacuum blender
CN106974565B (zh) * 2017-05-10 2023-07-14 中山市索虹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真空破壁机
CN107051310A (zh) * 2017-06-14 2017-08-18 张毅蔚 一种真空搅拌容器
EP3643408A4 (en) * 2017-07-24 2021-06-16 Joung Geun Ahn VACUUM MIXER
KR102096518B1 (ko) * 2017-08-18 2020-04-02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988A (ja) * 2005-02-08 2006-08-24 Ebara Corp ポンプ装置及びポンプ装置用携帯端末
KR101384979B1 (ko) * 2013-09-12 2014-04-14 설정구 분해 조립이 용이한 믹서기
KR101565928B1 (ko) * 2014-11-05 2015-11-05 주식회사 다윈 정수기가 구비된 바코드 인식형 조리장치
CN110630857A (zh) * 2019-09-25 2019-12-31 河南日盛综合检测有限公司 建筑结构强度检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2857A (ja) 2021-02-04
US11717798B2 (en) 2023-08-08
US20200282372A1 (en) 2020-09-10
EP3708048A1 (en) 2020-09-16
JP7062765B2 (ja) 2022-05-06
KR20200064144A (ko) 2020-06-05
EP3708048A4 (en) 2021-01-06
WO2019095732A1 (zh)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562B1 (ko) 조리기
WO2020192583A1 (en) A bowl cover, a bowl, and a food processor
CN109770747B (zh) 抽真空装置、料理机及其抽真空控制方法
CN109381068B (zh) 杯盖组件、搅拌杯组件和食物料理机
CN208371659U (zh) 抽真空装置和料理机
CN109770741B (zh) 料理机
CN208435389U (zh) 料理机
CN109770693B (zh) 料理机
CN109770750B (zh) 料理机
CN208371645U (zh) 料理机
CN208435377U (zh) 料理机
CN109770740B (zh) 料理机
CN208551490U (zh) 料理机
CN208371661U (zh) 料理机
CN208551052U (zh) 料理机
CN109770749B (zh) 抽真空装置和料理机
CN109770751B (zh) 料理机
US20230363588A1 (en) Vacuum processor
CN109770748B (zh) 料理机
CN109770743B (zh) 料理机
CN208551491U (zh) 料理机
CN208551468U (zh) 料理机
CN109770742B (zh) 料理机
CN220540436U (zh) 一种无线蓝牙电磁式燃气紧急切断阀及燃气供气系统
CN110613358B (zh) 烹饪器具和用于烹饪器具的锅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