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871B1 -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71B1
KR102320871B1 KR1020200037604A KR20200037604A KR102320871B1 KR 102320871 B1 KR102320871 B1 KR 102320871B1 KR 1020200037604 A KR1020200037604 A KR 1020200037604A KR 20200037604 A KR20200037604 A KR 20200037604A KR 102320871 B1 KR102320871 B1 KR 102320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intersection
vehicle
floo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637A (ko
Inventor
조홍식
Original Assignee
조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홍식 filed Critical 조홍식
Priority to KR1020200037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 교차로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의 감지 순서에 따라 정한 선순위 차량에게 통행 허용 방향을 안내하고, 후순위 차량에게 진입 차단하도록 경고하여, 교차로에서의 차량 충돌을 예방하고, 통행 허용 방향 및 진입 차단을 교차로 바닥면을 통해 표시하여 각 통로 상의 차량의 가시권에 들어오게 함으로써, 상호 공유하게 하며, 이를 통해 교차로의 상황 전반을 인지하며 안전 운전할 수 있게 하는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WARNING SYSTEM AT INTERSECTION OF PARKING LOT}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 교차로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의 감지 순서에 따라 정한 선순위 차량에게 통행 허용 방향을 안내하고, 후순위 차량에게 진입 차단하도록 경고하여, 교차로에서의 차량 충돌을 예방하고, 통행 허용 방향 및 진입 차단을 교차로 바닥면을 통해 표시하여 각 통로 상의 차량의 가시권에 들어오게 함으로써, 상호 공유하게 하며, 이를 통해 교차로의 상황 전반을 인지하며 안전 운전할 수 있게 하는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차장은 제한된 면적에 가능한 많은 수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 통로의 양측 또는 일측에 주차선으로 구획한 주차 영역을 확보하고, 통로를 통해 출차함은 물론이고 주차 영역을 찾을 수 있도록 통로를 이어지게 한다. 이에 서로 다른 방향의 통로가 교차하는 교차로가 있게 된다.
그런데, 주차장 교차로는 주차 영역의 차량에 의해 시야가 가려져 교차로를 통과하려는 다른 통로의 차량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교차로에서 차량끼리 충돌할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며, 특히, 지하 주차장 또는 실내 주차장에서는 시야 확보가 더욱 어려워 차량 충돌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교차로의 차량 충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교차로에 이어진 각 통로의 차량을 감지하여 우선순위를 정한 후 신호등처럼 교통 안내하고, 다른 통로 상의 차량 유무를 경고등으로 알리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 안내/경고 표시등은 일반 도로의 교차로 신호등처럼 각 통로별로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안내 또는 경고하고, 안내/경고 표시등이 향하는 방향의 통로를 통해 주행하는 차량의 가시권에 들어오게 하고, 다른 통로 상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가시권에 들어오지 않게 한다. 이는 안내/경고 표시를 혼동하여 차량 충돌 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통로 상의 일부 구간에서 다른 통로의 표시등을 부분적으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각 통로별로 설치한 안내/경고 표시등은 분산 설치되어 있어 한눈에 직관적으로 인지하기 곤란하고, 더욱이, 조명등이 설치되는 지하 주차장 또는 실내 주차장에서는 조명등 및 다른 차량 불빛에 의해 쉽게 인지하고 더욱 곤란하다.
KR 10-2017-0133133 A 2017.12.05. KR 10-1886325 B1 2018.08.0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장의 교차로에서 교차로 통과 순서에 따라 통행 허용 방향 및 진입 차단을 표시하여, 차량 충돌 사고를 방지하고, 교차로 초입 영역 바닥면에 표시하여 각 통로 상의 차량 운전자가 표시 내용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주차장 교차로의 상황 전반을 한눈에 직관적으로 인지하며 안전 운전할 수 있게 안내 및 경고할 수 있는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내의 복수 통로가 교차하는 교차로에서 통로별로 설치되며, 교차로부터 거리가 상이한 적어도 2개소 위치에서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20); 교차로 바닥면 중에 통로 방향별 초입 바닥면에 각각 진입 차단을 표시하고, 초입 바닥면보다는 교차로 바닥면 중심에 편중된 바닥면에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할 수 있게 하여, 표시하는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각각의 통로 상에 있는 차량의 가시권에 들어오게 하는 경고부(30); 및 상기 차량감지부(20)에 의해 교차로 방향 주행 차량이 감지된 통로에 대해서 교차로 방향 주행 차량이 감지된 순서에 따라 순번을 정하고, 순번에 따라 선택한 통로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하고, 선택받지 못한 나머지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진입 차단 표시를 하도록 상기 경고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부(30)는 통행 허용 방향을 통로 방향별 초입 바닥면에 개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어부(10)에서 순번에 따라 선택한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는 순번에 따라 선택한 통로 이외의 통로 방향 초입 바닥면 중에, 차량이 감지되는 통로 방향 초입 바닥면에만 진입 차단 표시를 하고, 차량이 감지되지 아니하는 통로 방향 초입 바닥면에는 진입 차단 표시를 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경고부(3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부(30)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선택 가능한 통로 방향별로 교차로 바닥면에 표시할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이미지로 미리 저장하여 두어, 상기 제어부(10)에서 선택한 통로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교차로 바닥면에 투영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부(30)는 내부 바닥 및 내부 측면을 반사면으로 하고 내부 천정면을 광투광성 난반사면으로 하는 내부공간에 와이어형 발광등을 수용한 관상체를 외형이 사다리꼴 단면을 갖게 구성하고, 광투광선 상면을 교차로 바닥면 높이에 맞추고, 양측 외측면에 방수재로 충진하며 매립한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감지부(20)는 교차로의 경계선과 통로 경계선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어 교차로를 가로질러 차량 감지할 통로를 향하게 한 송신파의 반사파로 통로 상의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로 구성되며, 각각의 통로별로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0)는 교차로를 향하는 통로 상의 차량에 의해 통로별로 측정되는 거리에 따라 교차로 진입 순서를 정하고, 통로에 대해 순번을 정한 후 순번에 따라 상기 경고부(30)를 제어하되,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량이 상기 차량감지부(20)로 측정된 거리에 의해 감지될 시에 다음 순번으로 넘어가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감지부(20)는 교차로의 경계선 중에 통로의 양측 경계선의 연장선과 만나는 지점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사선 방향의 경로에 의해 상호 교차하는 송수신파로 차량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10)는 사선 방향의 경로에 의해 상호 교차하는 송수신파로 측정한 거리 값 중에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 값을 차량과의 거리 값으로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교차로 통과를 허용하여 순번의 통로와, 통과 허용한 방향과, 진입 차단한 통로를 각 통로 상의 차량 운전자의 가시권에 들어오게 하고, 교차로 바닥면을 표시 영역을 하여, 한눈에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순번에 가변적으로 표시하여, 교차로에서의 차량 충돌 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차로 상황 전반을 인지하여, 교차로 통과 차량 및 통로 상의 차량 모두가 안전 운전할 수 있게 하고, 구성적으로 간소화하여 주차장 교차로에 용이하게 설치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 교차로(1)를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 교차로(1)를 개략적 평면도로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4는 도 2에서 경고부(30)가 설치된 교차로(1) 바닥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의 우선순위에 따라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선별적으로 표시한 사용 상태도(a)와,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순위별로 표시한 교차로(1) 바닥면의 평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을 3방향 통로에 이어진 주차장 교차로에 설치한 설치 상태도(a) 및 꺾인 통로의 구간을 교차로로 취급하여 설치한 설치 상태도(b).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을 개략적 평면도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 교차로를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10은 도 9에서 어느 한 통로를 교차로 통과 허용 통로로 선택할 시에 투영할 이미지 영상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 교차로를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한 설치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복수 개의 동일 구성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로 이어진 부호를 부가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블록 구성도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설치 상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은 주차장 내의 교차로(1)에 이어진 통로(2) 상의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20)와,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교차로(1) 바닥면에 표시할 수 있게 구성 설치한 경고부(30)와, 감지한 차량의 교차로 진입 순서를 판정한 후 진입 순서에 따라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의 표시 방식을 가변하여 선순위 진입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는 중에 후순위 진입 차량은 진입 대기하도록 경고할 수 있게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주차장 교차로(1)는 차량이 주행하는 복수 통로(2)가 교차하는 곳으로서, 통상적으로 4각 영역을 갖게 되고, 도 2 및 도 3의 예시에서는 4방향의 통로(2)가 교차하므로, 상기 차량감지부(20)는 각각의 통로(2) 별로 하나씩 대응되게 설치되어 총 4개가 설치된다.
상기 차량감지부(20)는 통로(2) 상의 차량을 감지함은 물론이고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교차로(1)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설치하여, 교차로(1)로부터 원거리에 설치한 것에서 먼저 차량을 감지한 후 소정 시간 이내로 근거리에 설치한 것에서 차량을 감지하면, 차량이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차량감지부(20)는 레이더 센서, 적외선 센서, 광학 센서, 초음파 센서, 차량감지용 루프코일 등으로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구성할 수 있고, 주차장의 여건에 따라 천장, 통로(2) 양측 경계선 근처, 통로(2) 바닥 등을 설치 장소로 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통로(2) 별로 설치한 근거리의 차량감지부(20)는 교차로(1)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근거리와 원거리의 차량감지부(20) 사이 간격도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근거리와 원거리 차량감지부(2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차량의 전장을 고려하여 6-7m로 하고, 차량은 일반적으로 주차장 내에서 서행 주행하므로, 경고 시점과 경고에 따라 주행 정지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근거리 차량감지부(20)는 교차로(1)로부터 4-7m 거리로 이격되게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고부(30)는 교차로(1) 바닥면 중에 통로 방향별 초입 바닥면에 각각 설치한 진입 차단 표시부(31)와, 초입 바닥면을 지나서 교차로(1) 중심에 좀 가깝게 편중된 위치의 바닥면에 설치한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를 포함한다.
교차로(1)는 통로(2)와의 경계선을 넘어 차량이 진입한 후 통과하는 구역이므로, 그 경계선에 인접한 영역, 즉 교차로 초입은 통로(2) 방향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통로(2) 방향별 초입의 바닥면에 각각 진입 차단을 표시할 진입 차단 표시부(31)를 설치한다. 진입 차단 표시는 표시된 방향의 통로(2)로부터 진입하려는 차량의 진입 차단을 경고하기 위한 표시이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선과 평행한 직선 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통로(2) 상에서 반대방향 차량끼리 교차 주행할 시에 우측통행함을 고려하여, 상기 진입 차단 표시부(31)를 설치하는 교차로(1)의 초입 바닥면은 통로(2)의 통행 방향의 연장선 상에 있는 바닥면 부분으로 하였다. 물론, 국가별로 차이 나서 좌측통행한다면, 좌측통행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진입 차단 표시부(31)를 설치한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진입 차단 표시부(31)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 분리되어, 선별적으로 진입 차단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로(2) 방향별 초입 바닥면에 각각 설치한 교차로(1) 바닥면의 모든 진입 차단 표시부(31)는 어느 통로(2)를 통해서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이더라도 차량의 가시권 내에 들어오게 되므로, 진입 차단을 표시한 방향의 통로(2)에 대해서는 진입하지 않도록 경고하는 기능과, 교차로(1)를 통과하려는 차량에 대해서는 차량이 존재한 통로(2)를 알려주어 주행할 시에 주의하도록 경고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우측통행 방향의 연장선 상에 상기 진입 차단 표시부(31)를 설치함으로써, 진입 차단 경고에 따라 차량을 정지시킬 시에 통로(2)의 우측 경계선에 붙여놓게 유도하고, 교차로(1)를 통과하는 차량에게는 진입 차단을 표시한 방향의 통로(2)를 진입 차단으로 오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는 교차로(1)를 통과할 수 있는 통로(2)에 대해 통행이 허용된 방향의 통로(2)를 알려주는 구성요소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어느 통로(2)에서든 나머지 통로(2)를 통행 허용 방향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주차장에서는 교차로(1)를 경유하여 통행할 수 있는 통로(2)를 한정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한정된 통로(2)의 방향만 통행 허용 방향으로 표시하게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는 통로(2) 방향별 초입 바닥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서, 통행 허용 방향을 통로(2) 방향별로 개별 표시할 수 있게 하였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 예를 참조하며 설명하면, 상기 진입 차단 표시부(31)보다는 교차로(1) 안쪽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되, 통로(2)의 연장선 상의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 분리되어, 선별적으로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로(2) 방향별 초입 바닥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는 상기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는 어느 방향의 통로(2) 상에 있는 차량이든 차량의 가시권 내에 들어오게 하여서, 교차로(1) 통과를 허용한 통로(2)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고, 특히, 교차로(1) 통과를 허용한 통로(2)를 제외한 나머지 통로(2) 상의 차량에서 교차로(1) 통과를 허용한 통로(2)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즉, 교차로(1)를 통과하는 차량은 물론이고 통로(2) 상에 대기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상황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진입 차단 표시부(31)와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를 포함한 상기 경고부(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주차 영역(5)에 주차되어 있더라도, 각 통로(2) 상의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이에, 상기 경고부(30)에 의해 각 통로(2) 방향으로 안내되는 모든 사항을 각 통로(2) 상의 차량 운전자가 공유하게 되어서, 교차로(1)를 통과시키게 안내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이 존재하는 통로를 안내하여 교차로(1)를 통과한 후 진입한 통로에서 안전 운전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고, 우측통행을 기준으로 교차로의 초입 바닥면이 우측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차량이 존재하는 통로로 진입할 시에 우측통행하게 유도하여 통로 상에서의 차량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운전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부(30)는 도 2에서 부분 확대하여 단면도로 도시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형 발광등(30a)을 내부공간에 수용한 관상체(30c)로 구성되어, 진입 차단 표시부(31) 및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의 형상을 따라 매립 배관하듯이 교차로의 콘트리트 바닥(1a)에 설치된다. 물론, 진입 차단 표시부(31) 및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는 각각 관상체(30c) 상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와이어형 발광등(30a)을 개별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와이어형 발광등(30a)은 예를 들어 EL wire(Electroluminescent Wire)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관상체(30c)는 외형적으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추고, 적어도 내부공간의 상부를 덮는 부분을 광투광성 재질로 구성하며, 상기 와이어형 발광등(30a)을 수용한 내부공간의 바닥 및 측면을 반사면(30b)으로 하고, 내부공간의 천정면을 난반사면(30d)으로 하도록 구성하여서, 상부 부분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상기 와이어형 발광등(30a)의 발광 빛을 각 통로 측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실내 주차장, 지하 주차장 또는 필로티 구조 건축물의 주차장은 콘크리트 바닥(1a)을 방수재(1b)로 코팅하므로, 상기 관상체(30c)의 폭보다는 약간 큰 폭의 홈을 콘트리트 바닥(1a)에 조성한 후 상기 관상체(30c)를 삽입하고, 상기 관상체(30c)의 양측 외측면의 틈새를 방수재(30e)로 충진한다. 여기서, 상기 관상체(30c)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방수재(30e)를 용이하게 충진하며 상면측의 방수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차량감지부(20)를 통해 통로(2) 상의 차량을 감지하고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을 통로(2) 별로 식별하여, 교차로(1)의 통과 순번을 결정하는 순번 선정부(11)와, 상기 경고부(30)를 제어하여 차량이 순번에 따라 교차로(1)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며 후순위 순번의 통로 차량에게는 대기하도록 경고 안내하는 경고 표시부(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차량감지부(20) 및 경고부(30)와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하기에 적당한 장소에서 함체로 수용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지하 주차장, 실내 주차장, 필로티 구조물의 주차장 등에 본 발명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교차로(1) 모퉁이 또는 근처의 기둥(3)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순번 선정부(11)는 교차로(1)에 이어진 통로(2) 상의 차량을 상기 차량감지부(20)로 감지하고, 적어도 2개소에서 차량을 감지하게 설치된 상기 차량감지부(20)를 통해서 감지된 차량 중에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을 식별한다. 그리고, 차량 감지에 의해 주행 차량을 식별한 순서, 즉, 교차로(1)로부터 가까운 순서에 따라 통로(2)의 순번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각 통로(2) 상의 차량 주행 속도가 상이하여 교차로 진입 순서가 달라질 수는 있으나, 교차로에 근접할 시에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차량의 교차로 진입 순서를 판정하고, 통로(2) 순번을 결정하는 데 적용한다.
상기 경고 표시부(12)는 순번에 따라 통로(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각 통로(2)를 선택할 때마다 선택한 통로(2) 방향의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로 통해 허용 방향을 표시하고, 선택하지 아니한 나머지 통로(2) 방향의 진입 차단 표시부(31)로 진입 차단을 표시하도록 상기 경고부(30)를 제어한다.
도 5는 도 3에서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4-1, 4-2, 4-3, 4-4)의 우선순위에 따라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선별적으로 표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에서 경고부(30)는 점등하여 발광한 부분만 도시한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4방향 통로(2 : 2-1, 2-2, 2-3, 2-4)에서 각각 교차로(1)로 주행하는 차량(4-1, 4-2, 4-3, 4-4)이 식별된 상황이며, 이에, 상기 제어부(10)는 교차로(1) 진입 순서를 판정하여, 통로(2 : 2-1, 2-2, 2-3, 2-4)의 순번을 결정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가장 앞선 순번의 통로(2-1), 즉, 교차로(1)에 가장 먼저 진입할 것으로 판정한 차량(4-1)이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고 있는 통로(2-1)를 선택하고, 선택한 통로(2-1)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설치한 진입 차단 표시부(31) 및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 중에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에서만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하게 하고, 진입 차단 표시부(31)에서는 진입 차단을 표시하지 아니하게 한다. 그리고, 선택하지 아니한 통로(2-2, 2-3, 2-4) 방향의 각 초입 바닥면에 설치한 진입 차단 표시부(31) 및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 중에 진입 차단 표시부(31)에서만 진입 차단을 표시하고,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에서는 통해 허용 방향을 표시하지 아니하게 한다.
이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먼저 진입할 차량(4-1)은 통행 허용 방향을 안내받으며 주행하고, 다른 통로 방향의 진입 차단 표시가 가시권에 들어와 인지할 수 있어, 차량이 있는 통로(2-2, 2-3, 2-4)로 주행할 시에 주의하게 한다. 나머지 차량(4-2, 4-3, 4-4)은 진입 차단하도록 경고받아 통로(2-2, 2-3, 2-4) 상에 정지하도록 유도하고, 더욱이, 진입 차단이 우측통행 방향에 표시되어 우측으로 편향되게 정지하도록 유도하며, 4개소의 초입 바닥면 중에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한 초입 바닥면의 위치에 따라 차량(2-1) 진입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지하여 주행시 주의하게 한다.
차량(4-1)이 교차로(1)를 통과하며 안내받은 방향의 통로(2-2, 2-3, 2-4) 중에 어느 한 방향의 통로로 주행한 이후에는, 다음 순번의 통로(2-2)를 선택하여, 해당 순번의 통로(2-2)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하고, 나머지 통로(2-1, 2-3, 2-4) 방향의 각 초입 바닥면에는 진입 차단을 표시하는 과정을 순번에 따라 반복하여,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로(1)의 바닥면에 표시하는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순차적으로 가변한다.
한편, 순번을 정하는 통로(2 : 2-1, 2-2, 2-3, 2-4)는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이 식별된 통로로만 한정하고,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이 없는 통로에 대해서는 순번을 정하는 통로에서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방향 통로(2) 중에 3방향 통로에서만 교차로(1) 방향 주행 차량이 감지되면 3방향 통로에 대해서만 순번을 정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로서, 순번에 따라 선택한 통로 이외의 통로 방향 초입 바닥면 중에, 차량이 감지되는 통로 방향 초입 바닥면에만 진입 차단 표시를 하고, 차량이 감지되지 아니하는 통로 방향 초입 바닥면에는 진입 차단 표시를 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최우선 순번의 통로(2-1) 상에 있던 차량(4-1)이 교차로(1)를 통과한 이후, 순번에 따라 다음 순번의 통로(2-2)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하고, 나머지 통로(2-1, 2-3, 2-4)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진입 차단을 표시하겠지만, 이때, 최우선 순번의 통로(2-1) 상에서 차량이 감지되지 아니하면, 최우선 순번의 통로(2-1)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는 진입 차단을 표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로서, 순번에 따라 선택한 통로(2)에서 차량이 주행하여 교차로를 통과한 직후에도 차량이 교차로를 향해 주행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소정 대수, 즉, 기설정하여 둔 대수의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한 이후에 다음 순번의 통로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순번에 따라 선택한 통로(2)에 대해 통행 허용 방향을 안내하여 교차로를 통과시키게 할 시에 소정 대수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차량의 교차로(1)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교차로(1)에 추가 설치하여서,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할 시에 다음 순번으로 넘어갈 시점으로 결정하게 방식, 또는 차량이 교차로로 진입하도록 안내한 방향의 통로를 제외한 나머지 통로에 각각 설치한 차량감지부(20)에서 교차로(1)로부터 멀어지는 차량을 감지할 시점을 다음 순번으로 넘어갈 시점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여기서, 교차로(1)에 설치하는 센서는 교차로(1)와 통로(2) 사이의 경계선을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물론, 어느 방향의 통로(2)에서도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이 감지되지 아니하면, 교차로(1)의 모든 초입 바닥면 상에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 중 어느 것도 표시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주차장의 특성상 통로 상에서 움직이며 주차 영역(5)에 주차하고 있는 차량 또는 주차 영역(5)에서 통로로 나오려는 차량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차량은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으로 식별되지 아니하고, 통로(2)에 존재하는 차량으로만 감지된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한 설명에 따르면,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 중 어느 것도 표시하지 아니한다. 이에, 본 발명은 차량은 감지되지만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으로 식별되지는 않는 통로(2)에 대해서는 해당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진입 차단을 표시하여서, 다른 방향 통로(2) 경계측 주차 영역에 주차한 차량에게 미리 주의를 주게 하여도 좋다.
도 6(a)은 3방향 통로(2)가 교차하는 교차로(1)에 설치한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방향의 통로(2)로 이어진 교차로(1)에서는 3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각각 진입 차단 표시부(31) 및 통해 허용 방향 표시부(32)를 하나씩 설치하고, 3방향 통로(2)에 각각 차량감지부(20)를 설치한다. 그리고, 3방향 통로(2) 중에 어느 하나의 통로(2)라도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이 식별되면, 교차로(1) 방향 주행 차량이 식별된 통로(2)에 대해서 교차로(1) 진입 순서에 따라 순번을 정하고, 순번에 따라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선택한 각각의 통로에 대해 통행 허용 방향으로 안내하고, 나머지 통로 방향에 대해서는 진입 차단을 표시하여 차량 충돌 사고를 방지한다.
도 6(b)는 중간에 꺾인 통로(2)에 대해 꺾인 구간을 교차로(1)로 취급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에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을 설치한 설치 상태도이다. 즉, 상호 마주하지 않는 2개 통로(2)가 맞나는 곳에서도 통로(2) 경계선 측에 일반적으로 주차 영역(5)을 조성하므로, 이곳도 교차로(1)로 취급할 수 있다.
상기 경고부(30)는 동일한 방식으로 교차로(1)의 각 통로(2) 방향 초입 바닥면에 각각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할 수 있게 설치되고, 제어부(10)는 양측 통로(2) 중에 차량 진입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택한 선순위의 통로(2) 방향 초입에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하고, 후순위의 통로(2) 방향 초입에는 진입 차단을 표시한다. 물론, 후순위의 통로(2) 상에서 차량이 감지되지 아니하면 진입 차단을 표시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즉, 주차장에서 통로(2) 꺾인 구간에서는 일반적으로 2대의 차량이 교차 주행하기에 공간이 협소하므로, 후순위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을 개략적 평면도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교차로(1) 바닥면에 설치하는 상기 경고부(30)는 통로(2) 방향별 초입 바닥면에 하나씩 설치하는 진입 차단 표시부(31)와 교차로(1)의 바닥면 중심에 설치하는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를 포함한다.
상기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는 교차로(1) 바닥면 중심에서 각각의 통로(2) 방향을 향하는 화살표 형태의 표시부를 개별적으로 점등할 수 있게 구성되어서, 교차로 통과를 허용한 통로에서 허용되는 주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곳에만 상기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를 설치하더라도 각 통로에 대해 통행 허용 방향을 안내할 수 있으나, 교차로 통과를 허용한 통로 방향을 제1 실시 예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하긴 어렵고, 더욱이, 차량이 존재하지 아니한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진입 차단 표시부(31)를 표시하지 아니할 경우, 교차로 통과를 허용한 통로 방향을 인지하기 곤란할 수 있으므로, 제1 실시 예처럼 통로 방향별 초입 바닥면에 각각 상기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3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 교차로를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어느 한 통로를 교차로 통과 허용 통로로 선택할 시에 투영할 이미지 영상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부(30)는 이미지 영상을 교차로 바닥면에 투영하여, 진입 차단 이미지(31A) 및 통행 허용 방향 이미지(32A)를 교차로 바닥면에 표시하게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통로별로 준비한 이미지 영상(30A)을 미리 저장하여 둔 빔 프로젝터 또는 로고젝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교차로(1) 바닥면에 투영한 상기 이미지 영상(30A)은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한 어느 한 통로(2-1)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투영한 통행 허용 방향 이미지(32A)와, 나머지 통로(2-2, 2-3, 2-4) 중에 차량이 감지된 통로(2-2, 2-3)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투영한 진입 찬단 이미지(31A)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는 통로별로 감지한 차량에 따라 교차로 통과를 허용한 통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순차적으로 통로를 선택하므로, 선택 가능한 통로 방향별로 상기 이미지 영상(30A)을 미리 저장하여 두어야 한다. 즉, 통로 방향별 상기 이미지 영상(30A)은 해당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투영할 통행 허용 방향 이미지(32A)를 기본적으로 갖추고, 나머지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는 차량의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입 차단 이미지(31A)를 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이미지 영상으로 저장하여 둔다.
도 9에 예시한 교차로는 4개 통로가 이어지므로, 어느 한 통로에 대응되게 저장하여둔 이미지 영상을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로 방향별 이미지 영상(30A)은 해당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투영할 통행 허용 방향 이미지(32A)를 기본적으로 갖추고, 나머지 3개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각각 투영할 진입 차단 이미지(31A)를 갖춘 영상(a), 나머지 3개 통로 중 2개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각각 투영할 진입 차단 이미지(31A)를 갖춘 영상(b), 나머지 3개 통로 중 1개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투영할 진입 차단 이미지(31A)를 갖춘 영상(c), 및 나머지 3개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투영할 진입 차단 이미지(31A)를 갖추지 아니한 영상(d)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통로 방향별 이미지 영상이 저장된 상기 경고부(30)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차량감지부(20)를 이용하여 통로 별로 감지한 차량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선택한 통로와, 선택받지 못한 통로의 차량 유무에 따라 구분한 통로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대응되는 이미지 영상을 선택하여 교차로 바닥면에 투영한다.
한편, 상기 이미지 영상(30A)은 진입 차단에 관련된 안내 문구, 통행 허용 방향에 관련된 안내 문구,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한 다음 순번의 통로에 관련된 안내 문구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안내 문구를 텍스트 이미지로 갖추게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 교차로를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감지부(20)는 교차로(1)의 모퉁이에 설치되어서, 교차로(1)를 가로질러 통로(2)를 향하게 전파한 송신파의 반사파를 검출하여 통로 상의 차량을 감지하고, 아울러, 교차로(1)를 통과하는 차량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즉, 통로(2) 별로 설치하는 상기 차량감지부(20)는 감지한 차량과의 거리를 송신파 송출시점과 반사파 수신시점의 시간차로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로 구성되고, 통로(2) 경계선을 교차로(1)를 향해 연장하여 교차로(1) 경계선과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어, 통로(2)를 향하게 한 송신파의 반사파로 통로 상의 차량 및 교차로(1) 상의 차량을 감지하게 한다. 이에, 상기 차량감지부(20)는 통로(2) 상의 차량을 적어도 2개소 위치에서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통로(2)에 있는 차량 중에 교차로(1)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을 식별할 수도 있고, 측정한 거리에 따라 통로(2) 상의 차량과 교차로(1) 상의 차량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감지부(20)는 교차로(1)의 모퉁이에 있는 기둥(3)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기둥(3)이 없는 경우, 지주를 세워 설치하거나, 아니면 주변에 적절한 벽체가 있는 경우 그 벽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감지부(20)는 통로(2)의 양측 경계선의 연장선과 각각 만나는 교차로(1) 경계선 상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고, 각각 통로(2) 경계선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송신파를 송출하게 하여서, 2개의 상기 차량감지부(20)에서 하나의 통로(2)을 향해 송출한 송신파 및 반사파로 수신되는 수신파가 통로(2) 상에서 상호 교차하게 한다. 이에, 통로(2) 상에서 어느 한쪽 경계선에 가깝게 있는 차량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2개의 상기 차량감지부(20)에서 각각 상호 교차하는 송수신파로 감지한 차량과의 거리 값을 얻은 후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 값을 차량과의 거리 값으로 선택 적용한다. 물론, 상기 제어부(10)는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 값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20)의 측정 거리 값의 연속적인 변화에 따라 주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부(10)는 교차로(1)를 향하는 통로 상의 차량에 의해 통로별로 측정된 거리에 따라 교차로 진입 순서를 정할 수 있고, 통로에 대해 순번을 정한 후 순번에 따라 상기 경고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교차로(1)의 크기, 가로세로 폭 등에 따라 미리 설정하여 둔 거리 값 이내로 감지되면, 차량이 교차로(1)를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이후, 다음 순번의 통로를 선택하여 교차로(1) 바닥면에 표시하는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다음 순번의 통로에 맞게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교차로 2,2-1,2-2,2-3,2-4 : 통로
3 : 기둥 4-1,4-2,4-3,4-4 : 차량
5 : 주차 영역
10 : 제어부
11 : 순번 선정부 12 : 경고 표시부
20 : 차량감지부
30 : 경고부
31 : 진입 차단 표시부 32 : 통행 허용 방향 표시부

Claims (7)

  1. 주차장 내의 복수 통로가 교차하는 교차로에서 통로별로 설치되며, 교차로의 경계선 중에 통로의 양측 경계선의 연장선과 만나는 지점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교차로를 가로질러 차량 감지할 통로를 향하게 한 송신파의 반사파로 통로 상의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되, 사선 방향의 경로에 의해 상호 교차하는 송수신파로 차량을 감지하여 거리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로 구성되는 차량감지부(20);
    교차로 바닥면 중에 우측통행 아니면 좌측통행으로 하는 통로의 통행 방향의 연장선 상에 있는 바닥면 부분을 초입 바닥면으로 하여 통로 방향별 초입 바닥면에 각각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하되, 통행 허용 방향을 진입 차단보다는 교차로 바닥면 중심에 편중된 바닥면에 표시하여, 표시하는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각각의 통로 상에 있는 차량의 가시권에 들어오게 하는 경고부(30); 및
    상기 차량감지부(20)에서 사선 방향의 경로에 의해 상호 교차하는 송수신파로 측정한 거리 값 중에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 값을 차량과의 거리 값으로 선택하여, 교차로를 향하는 통로 상의 차량에 의해 통로별로 측정되는 거리에 따라 교차로 진입 순서를 정하고, 교차로 진입 순서로 정한 순번에 따라 선택한 통로 방향의 초입 바닥면에 통행 허용 방향을 표시하고, 순번에 따라 선택한 통로 이외의 통로 방향 초입 바닥면 중에, 차량이 감지되는 통로 방향 초입 바닥면에만 진입 차단 표시를 하고, 차량이 감지되지 아니하는 통로 방향 초입 바닥면에는 진입 차단 표시를 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경고부(30)를 제어하되,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량이 상기 차량감지부(20)로 측정된 거리에 의해 감지될 시에 다음 순번으로 넘어가게 한 제어부(10);
    를 포함하는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30)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선택 가능한 통로 방향별로 교차로 바닥면에 표시할 진입 차단 및 통행 허용 방향을 이미지로 미리 저장하여 두어, 상기 제어부(10)에서 선택한 통로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교차로 바닥면에 투영하는 것으로 하는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30)는
    내부 바닥 및 내부 측면을 반사면으로 하고 내부 천정면을 광투광성 난반사면으로 하는 내부공간에 와이어형 발광등을 수용한 관상체를 외형이 사다리꼴 단면을 갖게 구성하고, 광투광선 상면을 교차로 바닥면 높이에 맞추고, 양측 외측면에 방수재로 충진하며 매립한 것으로 하는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37604A 2020-03-27 2020-03-27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KR102320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604A KR102320871B1 (ko) 2020-03-27 2020-03-27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604A KR102320871B1 (ko) 2020-03-27 2020-03-27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37A KR20210120637A (ko) 2021-10-07
KR102320871B1 true KR102320871B1 (ko) 2021-11-01

Family

ID=7811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604A KR102320871B1 (ko) 2020-03-27 2020-03-27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19540B (zh) * 2021-12-30 2023-12-15 滁州职业技术学院 一种城市停车场停车诱导投射显示系统
KR102543193B1 (ko) * 2022-07-28 2023-06-14 주식회사 바른테크 공동 주차장에서 사고 방지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133A (ko) 2016-05-25 2017-12-05 이종선 주차유도 및 충돌 알림장치
KR101869391B1 (ko) * 2016-07-19 2018-07-19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937905B1 (ko) * 2016-12-22 2019-04-10 이탁형 교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86325B1 (ko) 2018-01-16 2018-08-08 조용성 주차장 교차로의 진입차량 경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37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871B1 (ko)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RU26315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вижение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3562980B (zh) 用于支持机动车的驾驶员的方法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CN108569209B (zh) 图像显示装置
CN108569204B (zh) 图像显示装置
KR101886325B1 (ko) 주차장 교차로의 진입차량 경고 시스템
KR20160132531A (ko) 주차장의 주차 안내 유도시스템
KR102129105B1 (ko) 교차로 차선 가이드라인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33133A (ko) 주차유도 및 충돌 알림장치
KR101781754B1 (ko) 조명유도 주차 안내 시스템
US20190272757A1 (en) System for collision avoidance and method for collision avoidance
KR101937905B1 (ko) 교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72803B1 (ko) 스쿨존 횡단보도 안내 장치
CN109416880B (zh) 用于运行泊车引导系统的方法和泊车引导系统
JP2013152554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30062589A (ko) 주차 유도 시스템
KR20160095364A (ko) 파킹 트레커
KR101096806B1 (ko) 교통 신호 통과 구간 안내 시스템
JP2009167725A (ja) 駐車場設備
JP4178422B1 (ja) 誘導表示装置
KR200481643Y1 (ko) 교차로에 장착되는 차량 감지기
KR102115833B1 (ko) 주차장 안전 보조 장치
KR101693262B1 (ko) 자동차 운행 가이드 시스템
JPH07127022A (ja) 視界不良地点などにおける相手方の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