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589A - 주차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589A
KR20130062589A KR1020110128941A KR20110128941A KR20130062589A KR 20130062589 A KR20130062589 A KR 20130062589A KR 1020110128941 A KR1020110128941 A KR 1020110128941A KR 20110128941 A KR20110128941 A KR 20110128941A KR 20130062589 A KR20130062589 A KR 2013006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space
empty
vehic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589A/ko
Publication of KR2013006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빈 주차공간을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각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부와; 차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유도등 점등부와; 차로를 공유하는 복수의 주차공간을 하나의 주차 구역으로 설정한 후, 상기 주차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주차 감지 신호에 따라 각 주차 구역에 빈 주차공간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결과에 따라 상기 유도등 점등부를 제어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운전자의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함으로써, 운전자가 헤매지 않고 신속하게 주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차 유도 시스템{PARKING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주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빈 주차공간을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할인마트나 백화점, 경기장 또는 공동주택 단지와 같이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이용하는 시설에는 매우 광대한 지역 또는 다수의 층에 걸쳐 주차장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주차장은 주차구역을 분리하여 고유기호나 색깔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주차한 구역의 위치를 찾기 쉽도록 돕고 있다. 그런데, 주차 시설이 대형화하고 복잡화되고 있기 때문에 빈 주차구역 및 위치를 운전자가 확인하지 않은 상태로 주차장에 들어섰다 낭패를 보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빈 주차구역을 알려주는 주차 도우미가 상주하여 운전자들에게 어떤 위치에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들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방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은 상시 주차 도우미가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빈 주차공간을 감지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을 진입구의 전광판에 표시하거나, 각 주차공간의 상단에 램프를 이용하여 주차 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하고 있으나, 빈 주차공간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 빈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 주차장을 헤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3857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차장에 진입한 운전자의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함으로써, 운전자가 빈 주차공간을 신속하게 인지하여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은, 각각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각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부와; 차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유도등 점등부와; 차로를 공유하는 복수의 주차공간을 하나의 주차 구역으로 설정한 후, 상기 주차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주차 감지 신호에 따라 각 주차 구역에 빈 주차공간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결과에 따라 상기 유도등 점등부를 제어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차 유도 시스템에 따르면, 운전자의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함으로써, 운전자가 헤매지 않고 신속하게 주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도등 점등부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에서, 주차 감지부(10)는 각각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각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전술한, 주차 감지부(10)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주차공간의 적소(예를 들어, 바닥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면 제어부(30)로 해당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이 빠져나가면 해당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주차 여부 점등부(20)는 각각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제어부(30)의 제어하에 각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전술한, 주차 여부 점등부(20)는 각 주차공간의 상단에 설치되어, 제어부(30)의 제어하에 해당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면 적색등을 점등시키고, 해당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으면 녹색등을 점등시킨다.
유도등 점등부(40)는 차로의 적소(예를 들어, 바닥 또는 상단)에 설치되며,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점등되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한다.
전술한, 유도등 점등부(40) 중에서 주차장 내의 교차로에 설치되는 유도등 점등부(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또는 우측)에 빈 주차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좌회전(또는 우회전) 유도등(43)과 좌측(또는 우측)에 빈 주차공간이 없으므로 직진하라는 직진 유도등(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30)는 차로를 공유하는 복수의 주차공간을 하나의 주차 구역으로 설정한 후, 주차 감지부(10)로부터 수신한 주차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각 주차 구역에 빈 주차공간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결과에 따라 유도등 점등부(40)를 제어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각각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 감지부(10)는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한 후, 감지결과에 따라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면 제어부(30)로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30)로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 감지부(10)로부터 주차 감지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는 수신한 주차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각각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 여부 점등부(20)의 점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1번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 감지부(10)로부터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는 1번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 여부 점등부(20)를 적등색으로 점등시켜 주차할 수 없음을 나타내고, 3번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 감지부(10)로부터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는 3번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 여부 점등부(20)를 녹색등으로 점등시켜 주차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로를 공유하는 복수의 주차공간을 하나의 주차 구역으로 설정한 후, 주차 감지부(10)로부터 수신한 주차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각 주차 구역에 빈 주차공간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결과에 따라 차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등 점등부(40)의 점등을 제어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차로를 공유하는 복수의 주차공간을 하나의 주차 구역(a~c)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가, 주차 감지부(10)로부터 수신한 주차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주차 구역 b, c에는 빈 주차공간이 없고, 주차 구역 a에만 빈 주차공간이 있으면, 주차 구역 a에 있는 빈 주차공간에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등 점등부(40)의 점등을 제어한다. 즉, 주차 구역 b의 교차로 진입로에 위치한 유도등 점등부(40)의 직진 유도등(45)을 점등하여 주차 구역 b에 빈 주차공간이 없음을 나타내고, 주차 구역 a의 교차로 진입로에 위치한 유도등 점등부(40)의 좌회전 유도등(43)을 점등하여 주차 구역 a에 빈 주차공간이 있음을 나타내어, 차량이 주차 구역 a에 있는 빈 주차공간에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차 구역 a~c에 빈 주차공간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주차 구역 a 및 b의 교차로 진입로에 위치한 유도등 점등부(40)을 모두 직진 유도등(45)으로 점등시켜 차량이 다른 층으로 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주차 유도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주차 감지부, 20. 주차 여부 점등부,
30. 제어부, 40. 유도등 점등부,
43. 좌회전(또는 우회전) 유도등, 45. 직진 유도등

Claims (3)

  1. 각각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각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부와;
    차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하는 복수의 유도등 점등부와;
    차로를 공유하는 복수의 주차공간을 하나의 주차 구역으로 설정한 후, 상기 주차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주차 감지 신호에 따라 각 주차 구역에 빈 주차공간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결과에 따라 상기 유도등 점등부를 제어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을 빈 주차공간으로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차 유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주차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각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주차 여부 점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도등 점등부 중에서 주차장 내의 교차로에 설치되는 유도등 점등부는,
    좌/우측에 빈 주차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좌/우회전 유도등과 좌/우측에 빈 주차공간이 없으므로 직진하라는 직진 유도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KR1020110128941A 2011-12-05 2011-12-05 주차 유도 시스템 KR20130062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941A KR20130062589A (ko) 2011-12-05 2011-12-05 주차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941A KR20130062589A (ko) 2011-12-05 2011-12-05 주차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589A true KR20130062589A (ko) 2013-06-13

Family

ID=4886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941A KR20130062589A (ko) 2011-12-05 2011-12-05 주차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5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9436A (zh) * 2016-06-18 2016-08-17 合肥松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提示灯
CN108230738A (zh) * 2018-01-31 2018-06-29 四川驿停车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交叉式车位停车感应系统
CN108766024A (zh) * 2018-06-13 2018-11-06 厦门华方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计算的停车场管理方法、介质、终端设备以及装置
CN108806317A (zh) * 2018-06-15 2018-11-13 厦门华方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计算的停车位推送方法、介质、终端设备以及装置
KR102233521B1 (ko) 2020-09-08 2021-03-29 주식회사 아이오토 Lng 충전소용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9436A (zh) * 2016-06-18 2016-08-17 合肥松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提示灯
CN108230738A (zh) * 2018-01-31 2018-06-29 四川驿停车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交叉式车位停车感应系统
CN108766024A (zh) * 2018-06-13 2018-11-06 厦门华方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计算的停车场管理方法、介质、终端设备以及装置
CN108766024B (zh) * 2018-06-13 2020-06-30 厦门华方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计算的停车场管理方法、介质、终端设备以及装置
CN108806317A (zh) * 2018-06-15 2018-11-13 厦门华方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计算的停车位推送方法、介质、终端设备以及装置
KR102233521B1 (ko) 2020-09-08 2021-03-29 주식회사 아이오토 Lng 충전소용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JP5269755B2 (ja) 人横断支援車両システム及び人横断支援方法
CN105070064B (zh) 一种车库车行指引停车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30062589A (ko) 주차 유도 시스템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KR101454104B1 (ko) 투영방식 주차안내 조명장치, 이를 이용한 주차안내 조명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KR20160132531A (ko) 주차장의 주차 안내 유도시스템
CN204946347U (zh) 一种车库车行指引停车智能控制系统
KR20170133133A (ko) 주차유도 및 충돌 알림장치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101937905B1 (ko) 교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81754B1 (ko) 조명유도 주차 안내 시스템
KR101334829B1 (ko) 교차로의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KR20180119266A (ko) 스마트 신호등 제어장치
JP5530000B2 (ja) 人横断支援通知システム及び人横断支援方法
KR20110043556A (ko) 주차유도시스템에 의한 자동전력 제어시스템
KR100999475B1 (ko) 주차장 조명 자동 제어장치
JP5732904B2 (ja) 交通信号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742804B1 (ko) 인공지능형 주차안내 시스템
KR102320871B1 (ko)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KR20090130535A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122507A (ko) 인접 그룹별로 점등하는 독립형 조명 제어장치
KR20190132019A (ko) 무게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기
KR100968040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
KR100968041B1 (ko) 교차로에서의 교통 신호등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