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642B1 - 의료 장비 - Google Patents

의료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642B1
KR102320642B1 KR1020167026501A KR20167026501A KR102320642B1 KR 102320642 B1 KR102320642 B1 KR 102320642B1 KR 1020167026501 A KR1020167026501 A KR 1020167026501A KR 20167026501 A KR20167026501 A KR 20167026501A KR 102320642 B1 KR102320642 B1 KR 102320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edge
enclosure
portions
medical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910A (ko
Inventor
리카르트 뵘되르퍼
Original Assignee
에스 엔드 티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엔드 티 아게 filed Critical 에스 엔드 티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0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with a roughene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with a roughened portion
    • A61B2017/0043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with a roughened portion knurled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 장비, 특히 수술 장비로서, 의료 개입을 위한 개입 부분(20); 장비를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개입 부분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그립(14)으로서,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되며 리세스(0)들 및 이들 리세스 사이에 형성되는 엔클로저 부분(4, 5, 6, 7)을 갖는 구조를 나타내는 그립 표면 부분(1)을 갖는 그립을 구비한 의료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길이로 된 6개의 에지 부분(3-1, 3-2, 3-3, 3-4, 3-5, 3-6)을 갖는 육각형 에지(2)를 갖춘 리세스(0)가 마련되며, 평면 표면 상에서의 상기 구조의 전개 전, 후, 또는 전후 모두에 있어 각각의 리세스(0)의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3-1, 3-2; 3-2, 3-3; …)은 동일한 120 도의 각도(φ)를 이루며, 육각형 에지(2)는 이웃하는 리세스(0)들 사이에 형성되는 엔클로저 부분(4, 5, 6, 7)들에 의해 형성되고, 그 결과로서, 허니컴 구조(9)가 획득된다.

Description

의료 장비{MED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의료 장비, 구체적으로는 수술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의료 개입(medical intervention)을 위한 개입 부분, 그리고 장비를 유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손잡이로서, 성형부들 및 이들 성형부 사이에 형성되는 엔클로저 부분(enclosure portion)을 갖는 구조를 나타내는 손잡이 표면 부분을 갖춘 손잡이를 구비한 장비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다수의 의료 장비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의료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의료 개입, 특히 수술 개입 혹은 미세수술 개입을 위한 개입 부분이 또한 장비 선단부로 알려져 있는, 의료 장비의 원위 단부(외과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에 배치되며, 손잡이는 의료 장비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다.
위생 규정 때문에, 이들 장비는 보통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금속, 일반적으로 크롬 바나듐, 스테인레스 강, 또는 티타늄으로 형성되며, 함몰부 또는 상승부를 도입하지 않으면서 매끈한 표면 구조를 갖는다.
외과의가 의료 장비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특히 의료 장비를 조작하는 외과의의 손 또는 손가락이 의료 장비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외과의가 의료 개입을 용이하게 하는 개입 부분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료 장비에는 손잡이 표면 부분을 갖춘 손잡이가 마련된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의료 장비의 제1 유형에 있어서, 손잡이 표면 부분은, 성형부로서, 손잡이의 표면 내로 밀링(milling)되는 가늘고 긴 홈을 가지며, 이들 홈 사이에서 손잡이의 표면 중 밀링되지 않은 나머지 재료는 엔클로저 부분으로서 돌출된 가늘고 긴 리브(rib)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깊은 홈들은 흔히 각각 삼각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피라미드 형상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이웃한 홈들의 단면 프로파일들 사이에는 직각이 형성된다. 이들 홈 및 리브는, 이들 홈 및 리브의 각각의 길이방향이 의료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과 60 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때, 수술의의 손 및 구체적으로 힘을 가하는 엄지손가락이 특히 효과적으로 미끄러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들 홈 및 리브는 손잡이에 적용되는 엄지손가락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되며, 이 엄지손가락의 길이방향 축선은 통상적인 의료 장비에서 해당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과 30 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의료 장비의 제2 유형에 있어서, 손잡이 표면 부분은, 손잡이의 표면에 있는 상호 평행한 가늘고 긴 홈의 제1 그룹 및 상호 평행한 가늘고 긴 홈의 제2 그룹을 성형부로서 구비하며, 제1 그룹의 홈은 제2 그룹의 홈과 함께 직각을 형성한다. 손잡이의 표면에서 밀링되지 않은 나머지 재료는 돌출된 직사각형 랜드부(land)의 구조를 형성하는데, 상기 나머지 재료는 2개의 그룹의 홈에 의해 경계가 결정된다.
그 세척 특성 및 그립(grip)과 관련하여 의료 장비, 특히 수술 장비에 대해 매우 높은 수준의 요건이 부여된다. 그립의 양태와 관련되는 한, 외과의 및 의료 장비의 사용자가 자신의 보호 및 환자의 보호를 위해 위생상의 이유로, 보통 라텍스로 제조되는 장갑을 착용하는 것은 성가신 일이다. 따라서, 의료 장비의 손잡이는, 외과의의 손을 둘러싸는 장갑과 접촉하는 손잡이 표면 부분이,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서 장갑이 미끄러지는 일 없이 그리고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 힘을 가하는 손가락이 장갑의 미끄러짐에 따르는 일 없이, 큰 마찰력의 인가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손잡이 표면 부분은 큰 정지 마찰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되어야만 하며, 초기 미끄러짐의 경우에 있어서 큰 미끄럼 마찰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 표면 부분은 예컨대 리브와 홈 사이에서 날카로운 에지형 천이부에 의해 외과의의 장갑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더욱이, 손잡이 표면 부분은, 외과의의 손가락이 의료 장비로부터 떨어질 때 장갑이 손잡이 표면 부분에 달라붙지 않도록 또는 손잡이 표면 부분에 있는 홈에 고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세척 특성과 관련되는 한, 의료 장비의 경우에 있어서, 장비에, 특히 양호한 그립을 달성하기 위해 홈 또는 다른 함몰부가 마련되는 손잡이 표면 부분에, 들러붙어 말라붙은 오염물, 예컨대 혈액이 애쓰지 않고도 제거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세척 특성이 관련되는 한 매우 중요하다. 대충 세척한 이후에 의료 장비는 후속하여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증기로 살균되기 때문에, 의료 장비는 증기로 살균한 이후에 정해진 대로 되도록 구성되어야만 하며, 즉 장비 내에 또는 장비 상에 어떠한 잔여량의 액체 포집물도 존재해서는 안 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일반적인 의료 장비는, 장비의 양호한 그립의 달성과 장비의 양호한 세척 특성 사이의 절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전술한 제1 유형의 의료 장비의 경우에 있어서, 손잡이 표면 부분의 표면을 따르는 힘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홈 및 리브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인가되지 않을 때 그립감은 저하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외과의에 의한 의료 장비의 안전한 안내가 위태롭게 되는데, 왜냐하면 홈 및 리브에 대해 적용되는 외과의의 손가락이 홈 및 리브의 각각의 길이방향의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미끄러짐이 있는 상황에 있어서, 리브는 칼날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고 장갑은 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전술한 미끄러짐에 의해 초래되는 운동으로 인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추가적으로,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깊은 홈들은 세척하기가 곤란하다.
일반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전술한 제2 유형의 의료 장비의 경우에 있어서, 특히 직각으로 교차하는 홈 부분들의 메시(mesh)형 패턴을 형성하여 세척이 곤란한 홈들에 의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랜드부가 완전히 둘러싸이게 된다는 사실로부터 세척 특성이 저하된다. 추가적으로, 돌출된 랜드부들의 상호 간격이 너무 좁다면, 이들 랜드부 사이에 장갑이 고착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의료 장비의 2가지 유형의 경우에 있어서, 증기로 세척한 이후에 장비의 홈 내에서 또는 홈 상에서 액체 축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 10 2007 047 059 A1은, 바람직하게는 가늘고 긴 함몰부가 마련될 수 있는 손잡이 표면 부분을 갖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의료 장비를 설명하고 있다. 그립은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의료 장비에 대해 다양한 손잡이 개념이 해설되는, 전문가 영역 이외의 종래 기술은 US 2012/0137472 A1, US 2013/0175067 A1 및 WO 2013/130365 A1에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과의에 의해 안전하게 그리고 장비를 파지하고 있는 손이 장비로부터 미끄러질 어떠한 우려도 없이 의료 장비가 안내될 수 있도록 최적의 그립을 갖고, 손잡이 표면 부분으로부터 장갑을 양호하게 탈착 가능하며, 종래 기술에 비해 최적화된 세척 특성을 갖는 의료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을 갖는 일반적인 의료 장비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추가 실시예의 추가적인 특징은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비, 특히 수술 장비 또는 미세수술 장비에는 의료 개입을 위한 개입 부분이 마련되며, 장비를 파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개입 부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손잡이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는, 성형부들 및 이들 성형부 사이에 형성되는 엔클로저 부분을 갖춘 구조를 나타내는 손잡이 표면 부분을 갖는다. 상기 개입 부분은 이동 불가능하게 또는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겸자로서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성형부들은 각각 동일한 길이로 된 6개의 에지 부분을 갖는 육각형 에지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성형부의 에지 부분들 중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은, 평평한 평면 상에서 장비를 전개하기에 앞서 및/또는 전개한 이후에 120 도의 동일한 각도를 형성한다. 육각형 에지는 엔클로저 부분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이웃하는 성형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직사각형 구조의 엔클로저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그 결과로서,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 허니컴 구조(honeycomb structure)가 형성된다. 직사각형 구조의 엔클로저 부분을 갖는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3개의 직사각형 엔클로저 부분은 삼각형 부분을 한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 표면 부분의 성형부는 함몰부로서 형성되며, 다시 말하면 손잡이 표면 부분에 있는 리세스(recess), 자국(impression), 오목부(indentation) 또는 오목형상(concavity)으로서 형성된다. 손잡이 표면 부분의 엔클로저 부분은, 손잡이 표면 부분의, 함몰부로서 형성된 성형부에 대해 돌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의료 장비를 파지하는 외과의의 장갑의 손가락 끝 또는 손가락 끝을 둘러싸는 부분은, 손가락 끝의 대응하는 탄성 변형을 수반하는, 각각 육각형으로 형성된 에지를 갖춘 함몰부와 맞물리며, 돌출된 방식으로 형성된 엔클로저 부분 상에 안착한다.
함몰부로서 형성된 각각의 성형부는 돌출된 엔클로저 부분 내로 천이하는 6개의 에지 부분을 갖기 때문에, 상기 에지 부분은 60 도만큼(또는 각각 120 도만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3개의 축선 중 하나의 축선 상에 배치되고, 이러한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표면 부분은, 의료 장비를 파지하고 있는 외과의에 의한 힘의 인가 방향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서 장비의 그립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매우 향상된 그립 및 이에 따른 미끄럼 우려의 감소에 추가하여, 상기 함몰부는, 함몰부의 육각형 에지 때문에, 손잡이 표면 부분과 접촉하는 외과의의 장갑의 소정 영역에 가해지는 힘이 다수의 접촉 지점에 걸쳐 고르게 분배되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장갑에 대한 손상 위험은, 홈이 마련된 공지의 손잡이 표면 부분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육각형 에지를 갖는 함몰부의 이웃한 에지 부분들이 둔각 및 이에 따른 120 도의 넓은 각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함몰부는 양호한 세척 특성을 나타낸다. 더욱이, 함몰부의 본 발명에 따른 배치는, 증기를 이용한 장비의 살균이 수행된 이후에 남아있는 액체의 축적을 방지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 표면 부분의 성형부는 돌기(prominence)로서 형성되며, 다시 말하면 손잡이 표면 부분 상의 벌지(bulge), 상승부(elevation), 또는 마운드(mound)로서 형성된다. 손잡이 표면 부분의 엔클로저 부분은, 손잡이 표면 부분의, 돌기로서 형성된 성형부에 대해 함몰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의료 장비를 파지하는 외과의의 장갑의 손가락 끝 또는 손가락 끝을 둘러싸는 영역은, 손가락 끝의 대응하는 탄성 변형을 수반하는, 돌기로서 형성된 성형부의 육각형 에지를 형성하는 엔클로저 부분과 맞물리며, 마찬가지로 손가락 끝의 대응하는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돌기 상에 안착한다.
돌기로서 형성된 각각의 성형부는 함몰된 엔클로저 부분 내로 천이하는 6개의 에지 부분을 갖기 때문에, 상기 에지 부분은 60 도만큼(또는 각각 120 도만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3개의 축선 중 하나의 축선 상에 배치되고, 이러한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표면 부분은, 의료 장비를 파지하고 있는 외과의에 의한 힘의 인가 방향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서 장비의 그립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크게 향상된 그립 및 이에 따른 미끄럼 우려의 감소에 추가하여, 상기 돌기는, 돌기의 육각형 에지 때문에, 손잡이 표면 부분과 접촉하는 외과의의 장갑의 소정 영역에 가해지는 힘이 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접촉 지점에 걸쳐, 손잡이 표면 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함몰된 엔클로저 부분 내로 천이하는 에지 부분에 걸쳐 고르게 분배되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장갑에 대한 손상 위험은 줄어들게 된다.
돌기를 둘러싸는 엔클로저 부분이 둔각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각각 이웃하는 엔클로저 부분과 120 도의 각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는 양호한 세척 성능을 제공하며, 증기를 이용한 장비의 살균이 행해진 이후에 잔류하는 액체의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
성형부를 고려하지 않으면서 평평한 표면을 갖는 평면형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 전술한 장치가 배치되면, 각각의 성형부의 에지 부분 중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은 평평한 평면 상에 상기 장치를 전개하기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동일한 120 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평면적인 손잡이 표면 부분에 대해, 전개와 관련하여 경우에 따른 차이를 둘 필요는 없으며 그 결과로서 하나의 동일한 실시예가 형성된다.
만곡된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 즉 성형부를 고려하지 않으면서 만곡된 표면 또는 아치형 표면을 갖는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 상기 장치가 배치되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성형부의 에지 부분들 중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은, 평평한 평면 상에서 손잡이 표면 부분의 만곡된 표면을 전개하기에 앞서 120 도의 동일한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결과적으로 손잡이 표면 부분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단일 성형부가 고려될 때, 성형부의 육각형 에지를 형성하는, 동일한 길이로 된 6개의 에지 부분은 해당 성형부에 대해 특정한 평평한 표면에서 손잡이의 만곡된 손잡이 표면 부분 또는 아치형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 연장되어, 에지 부분이 직선형 방식으로 엄격하게 연장되며, 성형부의 이웃한 에지 부분들은 120 도의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고, 에지 부분들은 손잡이 표면 부분의 만곡된 표면의 곡률에 대응하지 않는 방식으로 아치를 형성하며 및/또는 성형부의 이웃한 에지 부분들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수준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이는 성형부들 중 다른 성형부에 대해 대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되며, 성형부의 동일한 길이로 된 각각의 6개의 에지 부분이 해당 성형부에 대해 특정의 평평한 표면에 있는 손잡이의 만곡된 손잡이 표면 부분 또는 아치형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서 연장되고, 상기 특정의 평평한 표면은 다른 성형부의 특정의 평평한 표면과 상이할 수 있다.
이때,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성형부들의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손잡이 표면 부분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지 않을 때 대략 전체 손잡이 표면 부분에 걸쳐 일관되게 그립 및 세척에 관한 뚜렷한 특성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성형부의 에지 부분들 중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은, 평평한 평면 상에서 손잡이 표면 부분의 만곡된 표면을 전개한 이후에 120 도의 동일한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결과적으로 손잡이 표면 부분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단일 성형부가 고려될 때, 성형부의 육각형 에지를 형성하는, 동일한 길이로 된 6개의 에지 부분은 해당 성형부에 대해 특정한 평면에서 손잡이의 만곡된 손잡이 표면 부분 또는 아치형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 연장되며, 상기 평면은 손잡이 표면 부분의 만곡된 표면 또는 아치형 표면의 세그먼트(segment)를 나타내어, 상기 에지 부분은 손잡이 표면 부분의 아치형 표면의 곡률에 따라 아치를 형성하며 및/또는 성형부의 이웃한 에지 부분들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수준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이는 성형부들 중 다른 성형부에 대해서도 대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손잡이 표면 부분의 아치형 표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아치형 방식으로 구성되는 에지 부분들 때문에, 본 실시예는, 각각의 성형부에 대해, 성형부로부터 성형부를 둘러싸는 에지 부분으로의 천이부가 손잡이 표면 부분의 아치형 표면 각각의 곡률에 적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로서, 곡률이 큰 경우에 있어서, 성형부로부터 이 성형부를 둘러싸는 엔클로저 부분까지의 날카로운 에지형 천이부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성형부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성형부에 대해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의 에지 부분들 중 한 쌍의 상호 평행한 에지 부분들이 장비의 사용을 위해 마련되는 파지부 축선과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손잡이 또는 손잡이 표면 부분 및/또는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과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파지부 축선은, 예컨대 의료 장비가 의도대로 사용될 때 손잡이 표면 부분 상에 배치되는 외과의의 엄지손가락이 따르는 축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직 배치의 결과로서, 파지부 축선에 대해 각각의 성형부의, 평행한 총 3 쌍의 에지 부분 중 한 쌍의 손잡이 표면 부분의 일 레벨(level)에서, 손잡이 표면 부분에 의해 마련되는 그립은 파지부 축선의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성형부들의 에지 부분들 중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의 각 이등분선(angle bisector)이 손잡이 또는 손잡이 표면 부분 및/또는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성형부들이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성형부의 총 3쌍의 평행한 에지 부분들 중 한 쌍은, 손잡이에 적용되는 엄지손가락의 길이방향 축선과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길이방향 축선은 통상적인 의료 장비에서 손잡이, 또는 손잡이 표면 부분 및/또는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과 30 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손잡이 표면 부분에 의해 마련되는 그립은 엄지손가락에 대한 통상적인 파지부 축선의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추가적인 장점은, 의료 장비가 심지어 그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180 도에 걸쳐 회전될 때에도 변함 없이 양호한 그립을 갖는다는 것이며, 이는 심지어 여기서 각각의 성형부의 한 쌍의 평행한 에지 부분들이, 손잡이에 적용되는 엄지손가락의 길이방향 축선과 직각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는,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180 도에 걸쳐 회전될 때 그립을 놓치게 되는, 종래 기술로부터 일반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의료 장비의 전술한 제1 유형에 비해 상당한 개선을 제공하는데, 왜냐하면 이 경우 종래 기술에서의 홈은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30 도인 통상의 파지부 축선과 더 이상 직각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모든 성형부에 대해,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의 에지 부분들 중 하나의 에지 부분은, 다른 성형부의 에지 부분들 중 이웃하는 에지 부분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엔클로저 부분들 중 전술한 이웃하는 평행한 에지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는 엔클로저 부분은 평행한 에지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한 일정한 엔클로저 부분 폭을 갖는다.
그 결과로서, 전체 손잡이 표면 부분에 걸쳐 균일하게 향상된 그립 및 동등하게 양호한 세척 특성을 갖는 매우 규칙적인 허니컴 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지막으로 언급된 실시예를 추가적으로 개량 및 개선하기 위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마지막으로 언급된 실시예의 전술한 특징에 추가하여, 엔클로저 부분의 에지 부분들 중 평행하게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는 모든 엔클로저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0.4 mm 내지 3.7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3.5 mm, 더욱 비람직하게는 0.6 mm 내지 1.6 mm의 엔클로저 부분 폭을 갖도록 및/또는 각각의 성형부가 그 각각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에지 부분들 사이에서 0.7 mm 내지 5.7 mm, 바람직하게는 0.8 mm 내지 5.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4 mm 범위에 속하는 일정한 폭, 바람직하게는 다른 성형부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치수를 갖는 결과적인, 특히 일정한, 허니컴 구조는, 전체 손잡이 표면 부분에 걸쳐 의료 장치에 대한 최적의 그립 및 의료 장치의 최적의 세척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지막으로 언급된 실시예를 더더욱 개선 및 개량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마지막으로 언급된 실시예의 전술한 특징에 추가하여, 성형부들의 폭과 엔클로저 부분 폭 사이의 비율이 1.4 내지 1.8의 범위에 속하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황금 분할에 대응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황금 분활에 대응하는 비율은 숫자 1에 대한 황금수(golden number)의 비율, 즉 대략 1.618:1이다. 황금수는 무리수로서, 단지 대략적인 방식으로만 주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황금수의 수학적 정의로부터 5 퍼센트 미만으로 벗어나 있는 수치는 황금수로 간주된다. 황금수는 또한 피보나치 수열 중 매우 높은 값의, 피보나치 수열의 이전 숫자에 대한 비율로부터 획득된다.
전술한 치수 및 비율을 갖는 결과적인, 특히 일정한, 허니컴 구조는, 전체 손잡이 표면 부분에 걸쳐 의료 장치에 대해 훨씬 더 최적의 그립 및 의료 장치의 훨씬 더 최적의 세척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는, 성형부가, 무엇보다도 특히 일관성 있게, 각각의 성형부의 육각형 에지가 위치하는 레벨(level)에 대해, 함몰부로서 형성되도록, 다시 말하면 리세스, 자국, 오목부, 또는 오목형상으로서 형성되도록 혹은 돌기로서 형성되도록, 다시 말하면 벌지, 상승부, 또는 마운드로서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성형부가 무엇보다도 특히 일관성 있게 각각의 성형부의 육각형 에지가 위치하는 레벨에 대해 수직으로 최대로 0.1 mm 내지 1.4 mm,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1.4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mm 내지 1.20 mm의 범위에 속하도록 구성된다.
성형부의 이러한 형성은 매우 양호한 그립 및 양호한 세척 특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지막으로 언급된 실시예에 추가하여,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성형부의 적어도 서브세트(subset)가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이는 특히 의료 장비의 세척 특성을 개선시키며, 증기 살균 이후에 장비 상에 잔류 액체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는, 특히 무엇보다도 일관성 있게, 곡선형이 되도록 성형부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돌기는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함몰부로서 또는 볼록한 돌기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곡률 반경은 증기 살균 이후에 잔류하는 액체의 축적이 방지되는 수준을 결정한다.
이러한 만곡된 구성은 세척 특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며, 증기 살균 이후에 의료 장비 상에 잔류하는 액체의 축적을 방지한다. 더욱이, 오목한 함몰부 또는 볼록한 돌기의 결과로서, 의료 장비에 충돌하는 빛은 이산되고 전향되며, 이에 따라 공지된 일반적인 장비에 비해, 장비 상에 입사하는 빛에 의해 초래되는 눈부심 효과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는, 엔클로저 부분들 중 하나의 엔클로저 부분으로부터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로의 천이 영역이 각진 방식으로 또는 라운딩된 방식으로, 특히 모든 엔클로저 부분에 대해 그리고 모든 성형부에 대해 일관성 있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각진 방식으로 형성되는 천이 영역은 그립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라운딩된 방식으로 형성된 천이 영역은 세척 특성을 향상시키며, 증기 살균 이후에 잔류하는 액체의 축적의 방지를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지막으로 언급된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이에 추가하여, 엔클로저 부분들 중 하나의 엔클로저 부분의 벽 부분은, 특히 모든 엔클로저 부분에 대해 그리고 모든 성형부에 대해 일관성 있게,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의, 천이 영역에 의해 이격된 벽 부분과 직각 또는 둔각을 형성한다.
형성된 직각은 그립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둔각은 세척 특성을 향상시키며, 증기 살균 이후에 잔류하는 액체의 축적의 방지를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표면 부분은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반경 둘레 방향(radial circumferential direction)으로 적어도 20 도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으로 세분되며, 각각의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은 반경 둘레 방향으로 전체 반경 둘레 방향의 적어도 10 퍼센트에 걸쳐 배치된다.
손잡이 표면 부분의 이러한 세분의 결과로서, 세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손잡이 표면 부분에 비해 그립이 개선될 수 있는데, 이는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이 외과의의 다양한 손가락에 대해 목표한 방식으로 손잡이 상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일한 넓은 손잡이 표면 부분에 비해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을 보다 목적지향적이고 이에 따라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세척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는, 손잡이 표면 부분이 이웃하는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들로 세분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들 중 하나의 서브 부분이 오직 함몰부로서만 형성되는 반면,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들 중 다른 서브 부분은 오직 돌기로서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성형부의 기본적으로 가능한 2가지 구성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표면 부분은 2가지 유형의 성형부의 개별적인 장점 모두를 활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해당 조합이 명백하게 불합리하지 않은 한, 전술한 바 또는 후속하는 본 명세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2개의 실시예의 조합으로부터 귀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각도 치수 및 언급된 동일한 길이의 세부사항과 관련하여, 각도 치수에 대해 최대 2 도까지의 편차 및 길이에 관련된 최대 2 퍼센트의 편차는 전술한 치수 및 세부사항에 부합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주각(round angle)으로서 알려져 있는, 완전한 원의 각도상 치수는 360 도이다.
손잡이 표면 부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는, 스테인레스 금속, 예컨대 크롬 바나듐, 스테인레스 강, 또는 티타늄으로 생산된다. 그러나, 이들 장비의 부품은 또한 플라스틱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비는, 본 발명에 따른 육각형 구조를 갖는 손잡이 표면 부분이 마련되는 신경외과용 겸자이다. 그 결과로서, 손잡이 표면 부분에 대한 외과의의 손의 양호한 부착은 심지어 이렇게 매우 섬세한 장비의 경우에도 보장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후속하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성형부들 및 이들 성형부 사이에 형성되는 엔클로저 부분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성형부들이 일관성 있게 오목한 함몰부로서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해 도 1에 제시된 섹션 라인 C-C'을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성형부들이 일관성 있게 볼록한 돌기로서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1에 제시된 섹션 라인 C-C'을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엔클로저 부분들 중 하나의 엔클로저 부분으로부터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로의 천이 영역과 관련하여, 그리고 엔클로저 부분들 중 하나의 엔클로저 부분의 벽 부분과,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의, 상기 천이 영역에 의해 이격되는 벽 부분 사이에 의해 한정되는 각도와 관련하여,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2개의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을 갖는 의료 장비의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의 예에 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도 5a로부터의 본 발명에 따른 장비의 예에 관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성형부들 및 이들 성형부 사이에 형성되는 엔클로저 부분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손잡이 표면 부분(1)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길이로 된 6개의 에지 부분(3-1, 3-2, 3-3, 3-4, 3-5 및 3-6)을 갖는 하나의 육각형 에지(2)를 갖춘 복수 개의 성형부(0)를 포함하며, 성형부(0)들 중 하나의 성형부의 이들 에지 부분들 중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은 동일한 각도, 즉 φ = 120 도를 형성한다. 이웃하는 성형부들의 이웃하며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에지 부분들 사이에는, 서로 상이하게 배향되는 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엔클로저 부분(4, 5 및 6)이 형성된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이들 3개의 직사각형 엔클로저 부분(4, 5 및 6)의 하나의 변은 삼각형의 엔클로저 부분(7)을 한정하며, 이에 따라 직사각형 엔클로저 부분(4, 5 및 6)은 서로 상이하게 배향되는 변을 갖는 삼각형의 엔클로저 부분(7)을 둘러싸고 있다. 성형부(0)들은 상호간에 일관된 폭(A)을 가지며, 이 폭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대향하는 에지 부분, 예컨대 각각의 성형부(0)에서 각각 3-1과 3-4, 그리고 3-2와 3-5, 그리고 3-3과 3-6의 간격에 의해 한정된다. 이웃하는 성형부들의 이웃하며 평행한 에지 부분들은 엔클로저 부분 폭(B)만큼 일관성 있게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손잡이 표면 부분은 일정한 허니컴 구조(9)를 갖는다. 더욱이, 성형부(0)에서 각각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 예컨대 3-1과 3-2, 그리고 3-4와 3-5의 각 이등분선은,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8), 즉 장비 끝의 방향으로 지향하는 도 1에 표시된 화살표의 끝에 대해 평행하다. 더욱이, 장비의 사용을 위해 마련되는 파지부 축선(1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흔히 나타나는 파지부 각도, 즉 β = 30 도를 가정하여 도 1에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성형부(0)의 에지 부분들(3-2 및 3-5)은 파지부 축선(15)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손잡이 표면 부분(1)은, 단지 완벽하게 폐쇄된 육각형 에지를 갖춘 성형부만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 표면 부분은, 완전하게 폐쇄된 육각형 에지를 갖지 않으면서 6개의 에지 부분보다 적은, 예컨대 3개의 에지 부분으로 된 개방형 에지를 갖는 성형부에 의해 해당 에지에서 한정될 수 있다.
도 2a는 성형부들이 일관성 있게 오목한 함몰부로서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해 도 1에 제시된 섹션 라인 C-C'을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성형부(0)는 오목한 함몰부(11)로서 형성되며, 엔클로저 부분(4, 5 및 6)은 돌출된 엔클로저 부분(10)으로서 형성된다.
도 2b는 성형부들이 일관성 있게 볼록한 돌기로서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1에 제시된 섹션 라인 C-C'을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성형부(0)는 볼록한 돌기(13)로서 형성되며, 엔클로저 부분(4, 5 및 6)은 함몰된 엔클로저 부분(12)으로서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의 2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성형부들은 곡선부 부분, 곡선부의 곡률 반경 및 곡선부의 최대 깊이와 관련하여 서로 일관성 있게 형성된다.
가능한 성형부들의 후속하는 실시예가 도 3에서 상하로 도시되어 있으며, 돌출된 엔클로저 부분과 함몰부 사이에서 라운딩(rounding)된 천이 영역을 갖는 함몰부로서 형성되는 성형부로서, 라운딩된 천이 영역에 연결되는 벽 부분은 직각을 형성하는 것인 성형부; 돌출된 엔클로저 부분과 함몰부 사이에서 각진 천이 영역을 갖는 함몰부로서 구성되는 성형부로서, 각진 천이 영역에 연결되는 벽 부분은 직각을 형성하는 것인 성형부; 돌출된 엔클로저 부분과 함몰부 사이에서 라운딩된 천이 영역을 갖는 함몰부로서 형성되는 성형부로서, 라운딩된 천이 영역에 연결되는 벽 부분은 둔각을 형성하는 것인 성형부; 돌출된 엔클로저 부분과 함몰부 사이에서 각진 천이 영역을 갖는 함몰부로서 형성되는 성형부로서, 각진 천이 영역에 연결되는 벽 부분은 둔각을 형성하는 것인 성형부; 함몰된 엔클로저 부분과 돌기 사이에서 라운딩된 천이 영역을 갖는 돌기로서 형성되는 성형부로서, 라운딩된 천이 영역에 연결되는 벽 부분은 직각을 형성하는 것인 성형부; 함몰된 엔클로저 부분과 돌기 사이에서 각진 천이 영역을 갖는 돌기로서 형성되는 성형부로서, 각진 천이 영역에 연결되는 벽 부분은 직각을 형성하는 것인 성형부; 함몰된 엔클로저 부분과 돌기 사이에서 라운딩된 천이 영역을 갖는 돌기로서 형성되는 성형부로서, 라운딩된 천이 영역에 연결되는 벽 부분은 둔각을 형성하는 것인 성형부; 함몰된 엔클로저 부분과 돌기 사이에서 각진 천이 영역을 갖는 돌기로서 형성되는 성형부로서, 각진 천이 영역에 연결되는 벽 부분은 둔각을 형성하는 것인 성형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2개의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을 갖는 의료 장비의 손잡이를 제시한 것이다.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8)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14)는,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8)과 관련하여 반경 둘레 방향에서 각도(α)만큼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1-1 및 1-2)을 가지며, 각각의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1-1 및 1-2)은 반경 둘레 방향으로 전체 반경 둘레 방향의 적어도 10 퍼센트에 걸쳐 배치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비는, 개입 부분(20)과, 손잡이 표면 부분(1)을 갖는 손잡이를 구비한다.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8)은 손잡이의 길이방향 축선(19)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손잡이의 길이방향 축선(19), 그리고 엄지손가락에 대해 장비의 사용을 위해 마련되는 파지부 축선(15)은 각도(β)를 형성한다.
예로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0 성형부
1 손잡이 표면 부분
1-1, 1-2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
2 육각형 에지
3-1, 3-2, 3-3, 3-4, 3-5, 3-6 에지 부분
4, 5, 6 직사각형의 엔클로저 부분
7 삼각형의 엔클로저 부분
8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
9 허니컴 구조
10 돌출된 엔클로저 부분
11 오목한 함몰부
12 함몰된 엔클로저 부분
13 볼록한 돌기
14 손잡이
15 장비의 사용을 위해 마련된 파지부 축선
16 엔클로저 부분의 벽 부분
17 천이 영역
18 성형부의 벽 부분
19 손잡이의 길이방향 축선
20 개입 부분
α 손잡이 표면 서브 부분들의 이격 간격
β 장비의 사용을 위해 마련되는 파지부 축선과 손잡이 및/또는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 사이에서 한정되는 파지부 각도
φ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들에 의해 한정되는 각도

Claims (11)

  1. 의료 장비에 있어서,
    의료 개입(medical intervention)을 위한 개입 부분(intervention portion; 20);
    의료 장비의 파지를 위해 구성되는 그립(grip; 14)으로서, 스테인레스 금속으로 제조되며 성형부(0)들과 이들 성형부 사이에 형성되는 엔클로저 부분(enclosure portion; 4, 5, 6, 7)을 갖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립 표면 부분(1)을 갖는 그립
    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성형부(0)는 동일한 길이의 6개의 에지 부분(3-1, 3-2, 3-3, 3-4, 3-5, 3-6)을 갖춘 육각형 에지(2)를 갖고, 평면 표면 상에서의 상기 구조의 전개 전, 후, 또는 전후 모두에 있어 각각의 성형부(0)의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3-1, 3-2; 3-2, 3-3; …)들은 120 도의 동일한 각도(φ)를 이루며, 상기 육각형 에지(2)는 이웃하는 성형부(0)들 사이에 형성되는 엔클로저 부분(4, 5, 6, 7)에 의해 형성되고, 그 결과로서 허니컴 구조(honeycomb structure; 9)가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0)는,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의 한 쌍의 상호 평행한 에지 부분(3-2, 3-5)들이, 의료 장비의 사용을 위해 마련되는 파지부 축선(15)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들은, 성형부의 상호 이웃하는 에지 부분(3-1, 3-2; 3-4, 3-5)들의 각 이등분선(angle bisector)이 그립 또는 의료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19, 8)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의 에지 부분들 중 하나의 에지 부분은 다른 성형부들의 에지 부분 중 이웃한 에지 부분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들 이웃하며 평행한 에지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는 엔클로저 부분(4, 5, 6)은, 상기 평행한 에지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한 일정한 엔클로저 부분 폭(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며 평행한 에지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는 엔클로저 부분들 모두(4, 5, 6)는, 0.4 mm 내지 3.7 mm의 범위의 일정한 엔클로저 부분 폭(B)을 갖거나, 또는 서로 대향하고 평행한 에지 부분(3-1, 3-4; 3-2, 3-5; 3-3, 3-6)들 사이에서 각각의 성형부는, 0.7 mm 내지 5.7 mm의 범위의 일정한 폭(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의 폭(A)과 상기 엔클로저 부분 폭(B) 사이의 비율은 1.4 내지 1.8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0)들은, 해당 성형부의 육각형 에지(2)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함몰부(11)로서 또는 벌지(bulge; 13)로서 구성되며, 최대로 0.2 mm 내지 1.4 mm의 범위 내에서, 해당 성형부의 육각형 에지(2)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적어도 성형부(0)들의 서브세트(subset)는 관통 구멍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만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 부분들 중 하나의 엔클로저 부분으로부터 상기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로의 천이 영역(17)은 각진 방식으로 또는 라운딩(rounding)된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엔클로저 부분들 중 하나의 엔클로저 부분의 벽 부분(16)은, 상기 천이 영역에 의해 상기 벽 부분(16)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상기 성형부들 중 하나의 성형부의 벽 부분(18)과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표면 부분은 의료 장비의 길이방향 축선(8)에 대해 반경 둘레 방향(radial circumferential direction)으로 적어도 20 도의 각도(α)로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부분적인 그립 표면 부분(1-1, 1-2)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상기 부분적인 그립 표면 부분은 전체 반경 둘레 방향의 적어도 10 퍼센트 상에서 상기 반경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표면 부분(1)은, 이웃하는 부분적인 그립 표면 부분들로 분할되며, 상기 부분적인 그립 표면 부분들 중 하나의 부분적인 그립 표면 부분은 오직 함몰부(11)로서만 구성되는 성형부(0)를 갖는 반면, 상기 부분적인 그립 표면 부분들 중 다른 부분적인 그립 표면 부분은 오직 벌지(13)로서만 구성되는 성형부(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비.
KR1020167026501A 2014-02-24 2015-02-02 의료 장비 KR102320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6385.8A EP2910204B1 (de) 2014-02-24 2014-02-24 Medizinisches Instrument
EP14156385.8 2014-02-24
PCT/EP2015/052091 WO2015124416A1 (de) 2014-02-24 2015-02-02 Medizinisches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10A KR20170003910A (ko) 2017-01-10
KR102320642B1 true KR102320642B1 (ko) 2021-11-04

Family

ID=5019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501A KR102320642B1 (ko) 2014-02-24 2015-02-02 의료 장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38410B2 (ko)
EP (1) EP2910204B1 (ko)
JP (1) JP6480958B2 (ko)
KR (1) KR102320642B1 (ko)
AU (1) AU2015221037B2 (ko)
DK (1) DK2910204T3 (ko)
ES (1) ES2585708T3 (ko)
WO (1) WO2015124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6749A1 (de) * 2019-06-20 2020-12-24 Geister Medizintechnik Gmbh Chirurgisches Instrument, insbesondere Nadelhalter
JP6956439B1 (ja) * 2021-06-24 2021-11-02 ヒーテックス エルエルシーHeatEx, LLC.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7059A1 (de) 2007-10-01 2009-04-09 Microma Martin Alber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riffstruktur
JP2012143540A (ja) 2010-12-02 2012-08-02 Eaton Corp 部分的に手触り面を備えた弾性グリ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517869A (ja) 2009-02-19 2012-08-09 モリア ソシエテ アノニム 手術用ピンセット
US20130175067A1 (en) 2012-01-06 2013-07-11 Thomas Parel Grip surface for a power tool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880A (en) 1984-09-26 1989-01-31 Catalano J Denis Surgical needle holder
US5047049A (en) * 1989-05-24 1991-09-10 Salai Diane L Self orienting instrument handle
US4928962A (en) * 1989-09-08 1990-05-29 Finley Charles O Grip enhanced football
US4991842A (en) * 1989-09-08 1991-02-12 Finley Charles O Grip enhanced basketball
US4973300A (en) * 1989-09-22 1990-11-27 Pioneering Technologies, Inc. Cardiac sling for circumflex coronary artery surgery
US5121624A (en) * 1991-07-08 1992-06-16 Haughian Sales Ltd. Pipe ring crimping tool
US5441515A (en) * 1993-04-23 1995-08-1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atcheting stent
US5573530A (en) * 1994-12-15 1996-11-12 Cabot Technology Corporation Handle for a surgical instrument including a manually actuated brake
US5795242A (en) * 1997-02-18 1998-08-18 Ree; Sook H. Healthy golf club grip
US6121143A (en) * 1997-09-19 2000-09-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s comprising a fluorochemical agent for wafer surface modification
US6596000B2 (en) * 1999-11-05 2003-07-22 Alcon Universal Ltd. Instrument for positioning an intracorneal optical lens
US6663500B2 (en) * 2000-02-04 2003-12-16 Ben Huang All-weather composite grip for golf clubs
JP2001310273A (ja) 2000-04-25 2001-11-06 Makita Corp 電動工具のグリップ構造
US6361317B1 (en) * 2000-06-23 2002-03-26 Hu-Friedy Mfg. Co., Inc. Molded, reinforced handle
US20040109980A1 (en) * 2002-12-10 2004-06-10 Chen Sam H. Grip tape with self-textured surface
US7140973B2 (en) * 2002-12-20 2006-11-28 Rohrer Technologies, Inc. Putter grip with improved vibration transmission to hands
US8409231B2 (en) * 2004-09-13 2013-04-02 University Of Massachusetts Scalpel handle
US7485050B2 (en) * 2005-10-12 2009-02-03 Grip Surface Technologies, Inc. Micropattern grip surface
US7588523B2 (en) * 2005-10-18 2009-09-15 Everhard Products, Inc. Seam roller and tester for roofing membrane
JP5121132B2 (ja) * 2005-11-02 2013-01-1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用操作補助装置
DE102006044788A1 (de) * 2006-09-13 2008-03-27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 Nad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chirurgischen Nadel
GB0620359D0 (en) * 2006-10-13 2006-11-22 Symmetry Medical Inc Medical devices
MX340160B (es) * 2007-03-07 2016-06-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Conjunto de seguridad para recoleccion de sangre con indicador.
US9924898B2 (en) * 2008-04-15 2018-03-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ash activated passive shielding needle assembly
WO2009154849A1 (en) * 2008-06-20 2009-12-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ed microstructured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968210B2 (en) * 2008-10-01 2015-03-03 Covidien LLP Device for needle biopsy with integrated needle protection
US20100132530A1 (en) * 2008-12-03 2010-06-03 Kun-Chen Chen Multi-Use Punch
US8006350B2 (en) * 2008-12-29 2011-08-30 Kun-Chen Chen File handle
US20100229693A1 (en) * 2009-03-11 2010-09-16 Kun-Chen Chen Detachable screwdriver assembly
US8657851B2 (en) * 2009-05-21 2014-02-25 Moria Sa Surgical tweezers
US8573981B2 (en) * 2009-05-29 2013-11-05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rol portion
US20110048177A1 (en) * 2009-08-27 2011-03-03 Chia-Yun Lin Wrench with a sheath
TWM384091U (en) * 2009-10-02 2010-07-11 Tien I Ind Co Ltd T-shaped tool
GB0921940D0 (en) * 2009-12-16 2010-02-03 Depuy Ireland A surgical instrument
US20120042478A1 (en) * 2010-08-17 2012-02-23 Kelly Daniel Bridges Adjustable Handle
US8579887B2 (en) * 2010-11-09 2013-11-12 Synergetics Usa, Inc. Axially reciprocating microsurgical instrument with radially compressed actuator handle
PE20141436A1 (es) * 2011-01-24 2014-11-15 Abbvie Biotechnology Ltd Dispositivos de inyeccion automatica con superficies de agarre sobremoldeadas
WO2012109594A2 (en) * 2011-02-12 2012-08-16 Eca Medical Instruments Medical tool and waste collection device
US8585725B2 (en) * 2011-02-25 2013-11-19 DSign Surgical Innovations, LLC Laparoscopic scalpel and method for use
US20120253364A1 (en) * 2011-03-28 2012-10-04 Perin James C Surgical Instrument Handle and Grip
SE535804C2 (sv) * 2011-04-18 2012-12-27 Carl-Fredrik Frimand Roennow Kirurgisk tång
WO2013130365A1 (en) * 2012-02-29 2013-09-06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handle with a soft grip
US9095299B2 (en) * 2012-04-23 2015-08-04 Stephen P. RAY Surgical sleeve suction retractor
US8418321B1 (en) * 2012-05-10 2013-04-16 Ron Heiman Auxiliary pole handle assembly
US9193058B2 (en) * 2012-05-15 2015-11-24 Wagic, Inc. Adjustable tool handle for holding a tool during use
US8608774B1 (en) * 2012-10-02 2013-12-17 Hasan M. Sh. Sh. Alshemari Bifurcated forceps
EP2764839B1 (en) * 2013-02-06 2016-04-20 Hasan M. Sh. Sh. Alshemari Bifurcated forceps
CN106061419B (zh) * 2013-12-23 2020-09-11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骨科驱动器器械及生产方法
US10201362B2 (en) * 2014-04-24 2019-02-12 University Of Massachusetts Contoured surgical forceps
US20160317214A1 (en) * 2015-05-01 2016-11-03 Kirwan Surgical Products Llc Electrosurgical forceps with soft gr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7059A1 (de) 2007-10-01 2009-04-09 Microma Martin Alber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riffstruktur
JP2012517869A (ja) 2009-02-19 2012-08-09 モリア ソシエテ アノニム 手術用ピンセット
JP2012143540A (ja) 2010-12-02 2012-08-02 Eaton Corp 部分的に手触り面を備えた弾性グリ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175067A1 (en) 2012-01-06 2013-07-11 Thomas Parel Grip surface for a power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10A (ko) 2017-01-10
US10238410B2 (en) 2019-03-26
JP6480958B2 (ja) 2019-03-13
US20170007286A1 (en) 2017-01-12
EP2910204B1 (de) 2016-05-04
EP2910204A1 (de) 2015-08-26
JP2017506135A (ja) 2017-03-02
ES2585708T3 (es) 2016-10-07
AU2015221037B2 (en) 2019-05-30
WO2015124416A1 (de) 2015-08-27
DK2910204T3 (en) 2016-08-22
AU2015221037A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3904T3 (es) Guante
ES2523348T3 (es) Mango para herramientas quirúrgicas y dentales
JP2019058683A5 (ko)
US10751103B2 (en) Cutting/bending tool for polymer implant
KR102320642B1 (ko) 의료 장비
US9358026B2 (en) Gripping instrument
US20160050993A1 (en) Glove with enhanced gripping surface
WO2015124467A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adhesion optimized edge condition
US9095322B2 (en) Speculum with hinged portion
USD794789S1 (en) Electrosurgical forceps
RU2553180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варианты)
EP3319564B1 (en) Ophthalmic scrape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S2528233T3 (es) Utensilio para el cuidado bucal
WO2022043956A1 (es) Dispositivo de dermoabrasión
KR101691918B1 (ko) 작업용 고무장갑
RU2747829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имеющий текстуру поверхности
KR101006832B1 (ko)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RU2466691C1 (ru) Скальпель
JP2018527986A5 (ko)
KR102211425B1 (ko) 수술용 보호용구
KR102185602B1 (ko) 수술용 보호용구
EP4342552A1 (en) Limb protection device, in particular shin guard
US20240100410A1 (en) Limb protection device, in particular, shin guard
WO2021224961A1 (ja) 破膜用医療器具
JP2010194239A (ja) 可変式エレバトリウ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