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832B1 -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 Google Patents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832B1
KR101006832B1 KR1020090005358A KR20090005358A KR101006832B1 KR 101006832 B1 KR101006832 B1 KR 101006832B1 KR 1020090005358 A KR1020090005358 A KR 1020090005358A KR 20090005358 A KR20090005358 A KR 20090005358A KR 101006832 B1 KR101006832 B1 KR 101006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alveolar bone
bone removal
present
forc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149A (ko
Inventor
김수관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5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8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탄성판(101a)이 구비된 손잡이(101)와, 상기 손잡이(101)에 축 결합으로 연동되는 집게(102)로 이루어진 본 론저에 있어서, 상기 집게(102)의 선단부로부터 일정너비로 외측면(102a)에 파형의 돌기(111,112)를 구비하는 골 제거부(11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골 제거부(110)의 폭은 선단부(102b)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더 커지도록 구성되는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100)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발명은 본 론저의 집게의 외측면 일측 또는 양측에 치조골 제거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골 제거부를 형성함으로써 임플란트 수술시 수술도구의 교체없이 곧바로 잔존 치조골을 다듬거나 채취하고 이와 동시에 치조골의 제거가 가능하여 시술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으며, 또 상기 집게의 선단부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그 외측에 형성된 돌기는 후방에 형성된 돌기에 비해 길이가 현저하게 작으므로 치조골 제거시 미세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치조골, 제거, 삭제, 본 론저

Description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Bone rongeur having removal-function of a dentary bone}
본 발명은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수술시 잔존 치조골을 다듬거나 골 채취시 사용되는 본 론저의 집게의 외측면 일측 또는 양측에 골 제거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술도구의 교체없이 곧바로 골 채취 및 제거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론저(Bone Rongeur)는 임플란트 수술시 잔존 치조골을 다듬거나 골 채취시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본 론저(10)는 내측에 탄성판(11a)이 구비된 손잡이(11)와, 상기 손잡이(11)에 축 결합으로 연동되는 집게(1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집게(12)는 손잡이(11)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기도 하지만, 시술의 난이도에 따라 상기 집게(12)는 상방으로 경사져 형성되거나 또는 가늘고 기다란 몸체로 형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임플란트 수술은 숙련된 시술자에 의해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 여러 수술도구를 교체하여 수술(임플란트 식립)이 이루어지는바, 상기한 종래의 본 론저(10)는 일련의 수술공정에 있어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 천공된 픽스츄어 설치용 홀의 잔존 치조골을 다듬거나 채취한 후 불필요한 치조골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수술도구를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처럼 임플란트 수술은 골 치유 및 재생에 영항을 끼치지 않도록 지체없이 연속하여 시술되어야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수술도중에 수술도구의 잦은 교체로 인해 시간이 지연될 뿐더러 임플란트 식립 후 골의 치유 및 재생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내측에 탄성판이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축 결합으로 연동되는 집게로 이루어진 본 론저에 있어서, 상기 집게의 선단부로부터 일정너비로 외측면에 파형의 돌기를 구비하는 골 제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골 제거부의 폭은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더 커지도록 구성되는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그 외측에 형성된 돌기는 후방에 형 성된 돌기에 비해 길이가 작으므로 미세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골 제거부는 그 표면에 사각뿔 형상의 돌기를 다수 반복하여 구성되는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본 론저의 집게의 외측면 일측 또는 양측에 치조골 제거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골 제거부를 형성함으로써 임플란트 수술시 수술도구의 교체없이 곧바로 잔존 치조골을 다듬거나 채취하고 이와 동시에 치조골의 제거가 가능하여 시술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집게의 선단부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그 외측에 형성된 돌기는 후방에 형성된 돌기에 비해 길이가 현저하게 작으므로 치조골 제거시 미세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100)는 내측에 탄성판(101a)이 구비된 손잡이(101)와, 상기 손잡이(101)에 축 결합으로 연동되는 집게(102)로 이루어진 본 론저에 있어서, 상기 집게(102)의 선단부로부터 일정너비로 외측면(102a)에 파형(波形)의 돌기(111,112)를 구비하는 골 제거부(11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골 제거부(110)의 폭은 선단부(102b)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더 커지도록 구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파형의 돌기(111,112)는 단면이 V형상일 수도 있으며, 사각뿔 형상의 돌기(11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파형의 돌기(111,112)는 형상에 구애받지 않으며 뼈를 갈아내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집게(102)의 선단부(102b) 일측에 돌기(111,112)를 형성하는 것은 잔존 치조골을 다듬거나 채취한 후 곧바로 임플란트 식립에 불필요한 치조골을 갈아서 없애는 제거수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단부(102b)에 가까운 쪽의 골 제거부(110)의 폭이 후방에 형성된 골 제거부(110)의 폭을 크게 형성하여 골 제거부(110)의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을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선단부(102b)에 가까운 쪽의 골 제거부(110)는 매우 폭이 좁은 상태여서 치조골의 미세한 부분까지도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골 제거부(110)의 돌기(111,112)는 위치에 따라 길이가 달리 형성되므로 치근에 천공된 픽스츄어 설치용 홀의 상태에 따른 시술자의 선택적인 치조골 제거수술이 가능하게 된다.
즉 미세한 제거수술은 집게(102)의 선단부(102b)에 형성된 돌기(111,112)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집게(102)의 외측면(101a)에 형성된 돌기(111,112)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치조골의 제거수술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판(101a)은 손잡이(101)의 후방 내측에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평상시 또는 수술도중에 상기 손잡이(101)에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 집게(102)가 벌어지도록 한다.
또 상기 손잡이(101)의 외측면에는 오목홈(101b)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시술자가 손잡이(101)를 잡고 시술시 상기 오목홈(101b)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시술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 본 론저(100)는 먼저 잔존 치조골을 다듬거나 채취한 다음 곧바로 불필요한 치조골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 후에 재차 본 발명 본 론저(100)에 의한 잔존 치조골의 채취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의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 종래의 본 론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본 론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본 론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종래의 본 론저
11: 손잡이 11a: 탄성판
12: 집게
100: 본 발명의 본 론저
101: 손잡이 101a: 탄성판
101b: 오목홈 102: 집게
102a: 외측면 102b: 선단부
110: 골 제거부 111,112: 돌기

Claims (2)

  1. 내측에 탄성판(101a)이 구비된 손잡이(101)와, 상기 손잡이(101)에 축 결합으로 연동되는 집게(102)로 이루어진 본 론저에 있어서,
    상기 집게(102)의 선단부로부터 일정너비로 외측면(102a)에 파형의 돌기(111,112)를 구비하는 골 제거부(11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골 제거부(110)의 폭은 선단부(102b)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더 커지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의 돌기(111)는 단면이 V형상이거나 사각뿔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KR1020090005358A 2009-01-22 2009-01-22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KR10100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58A KR101006832B1 (ko) 2009-01-22 2009-01-22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58A KR101006832B1 (ko) 2009-01-22 2009-01-22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149A KR20100086149A (ko) 2010-07-30
KR101006832B1 true KR101006832B1 (ko) 2011-01-12

Family

ID=4264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358A KR101006832B1 (ko) 2009-01-22 2009-01-22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9043B (zh) * 2019-08-16 2024-05-24 杭州新元素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椎板咬骨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86777Y (zh) 1999-09-13 2000-07-12 姜士炜 咬骨钳
CN2627992Y (zh) 2003-06-25 2004-07-28 东南大学 通用型枪式椎板咬骨钳
CN2699843Y (zh) 2004-05-09 2005-05-18 宜昌市第二人民医院 咬骨钳
CN2735937Y (zh) 2004-08-20 2005-10-26 黄楹 蝶窦咬骨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86777Y (zh) 1999-09-13 2000-07-12 姜士炜 咬骨钳
CN2627992Y (zh) 2003-06-25 2004-07-28 东南大学 通用型枪式椎板咬骨钳
CN2699843Y (zh) 2004-05-09 2005-05-18 宜昌市第二人民医院 咬骨钳
CN2735937Y (zh) 2004-08-20 2005-10-26 黄楹 蝶窦咬骨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149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727B2 (en) Flexible tooling for use in maxillary sinus elevation procedur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309219B1 (en) Periotome
US8377064B2 (en) Tooling and methodology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JP4738884B2 (ja) 歯科用くさび
CA2752191C (en) File for working on the interproximal space in orthodontics as well as in conservative treatments and prophylaxis of teeth and relative device able to be connected to an oscillating handpiece
JP6979697B2 (ja) 寛骨臼カップ摘出器
WO2007053761A3 (en) Endodontic instruments
JPH1028690A (ja) 口内外科手術用器具、その使用法及び開口を顎の骨に形成する方法
JP5951805B2 (ja) 医療分野のためのラチェット、ラチェットを製造する方法、及びトルク伝達システム
MXPA05010470A (es) Instrumento para endodoncia.
KR101006832B1 (ko) 치조골 제거기능이 구비된 본 론저
US20170333169A1 (en) Scaler Tips and Implant Cleaning Inserts
EP2779933B1 (en) Dental instrument
JP2010137052A (ja) 歯インプラントの結合ねじの、ねじ基部を除去する器具
EP3622916B1 (en) Forceps for removing dental implant fixture
CN113367812A (zh) 一种口腔科辅助拔牙器
JP2010194239A (ja) 可変式エレバトリウム
KR20110006250U (ko) 치과용 기구 홀딩장치
JP5859820B2 (ja) 抜歯器具
KR200425767Y1 (ko) 임플란트 시술용 치즐
RU2290894C1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его установки
CN212521983U (zh) 一种膝关节置换术中的骨水泥清除工具
CN219289587U (zh) 用于内镜手术中的镫骨显微锯
CN216933518U (zh) 一种牙龈刀
KR102180977B1 (ko)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