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977B1 -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977B1
KR102180977B1 KR1020180110403A KR20180110403A KR102180977B1 KR 102180977 B1 KR102180977 B1 KR 102180977B1 KR 1020180110403 A KR1020180110403 A KR 1020180110403A KR 20180110403 A KR20180110403 A KR 20180110403A KR 102180977 B1 KR102180977 B1 KR 10218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ece
dental implant
periphery
removal uni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421A (ko
Inventor
이진균
Original Assignee
이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균 filed Critical 이진균
Priority to KR102018011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9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에 식립된 매식체를 제거할 때, 제거부가 매식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매식체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ELEVATOR FOR REMOVING DENTAL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 매식체를 교체하기 위하여 치조골에 식립된 매식체를 제거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에 관한 것이다.
일례를 들면, 여러 요인들로 인하여 자연치아가 손상 및 손실되었을 때, 인공치아가 사용된다. 인공치아는 자연치아와 비교할 때, 외형 및 기능면에서 유사 내지 동일한 상태로 만들어진 치아이다. 인공치아에는 보철, 틀니 또는 치조골에 식립하는 방식이 있다.
보철이나 틀니는 사용상 많은 불편함을 유발시킨다. 그러나 치조골에 식립하는 방식의 인공치아는 주변의 다른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고, 보철이나 틀니와 비교할 때, 식립 완료된 후, 외형 및 기능면에서 우수성을 가진다.
치조골에 식립되는 인공치아는 식립 및 관리 상태에 따라 수명이 좌우되므로 인공치아의 이용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인공치아를 치조골에 식립할 때, 임플란트 유닛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매식체(fixture), 매식체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 및 지주대에 설치되는 치관(crown)을 포함한다. 관리 불량 및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예를 들면, 음식물 찌꺼기 및 치석 등으로 인하여, 매식체가 손상될 경우, 임플란트 유닛을 제거하고 다식 식립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치조골에 식립되어 치조골과 일체화 되어 있던 매식체를 제거하는 공정이 수반된다.
이때, 매식체를 제거하는 겸자 또는 기자(elevator)가 제대로 개발되어 있지 않으므로 치과 발치용 겸자 또는 기자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발치용 겸자는 자연치아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파지부의 내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치과 발치용 기자는 발치부의 측면에 턱을 형성하고 있다.
즉 자연치아는 상단의 폭이 넓고 치조골 측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구조(언더컷)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지부의 내면은 발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과 산을 구비하고, 서로 마주하는 1쌍 선단부의 내면들은 파지부의 끝에서 손잡이 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간격을 이루고 있다. 또한, 치과 발치용 기자는 발치부의 끝에 얇아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골과 산 및 넓어지는 구조를 갖는 선단부 내면은 겸자의 손잡이에 악력을 가할 때, 치아의 언더컷을 이용하여 치아를 치조골로부터 밀어내는 즉, 치아의 발치를 돕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가한다. 또한, 기자의 발치부는 치아의 언더컷을 이용하여 치아를 치조골로부터 밀어내는 작용력을 가한다. 그러나 매식체는 자연치아와 달리 그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사산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치과 발치용 겸자를 사용하여 매식체를 제거하게 되면, 파지부의 내면과 매식체와의 마찰력 부족으로 인하여, 매식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악력을 가하게 되면 파지부가 매식체로부터 미끄러지게 된다.
또한, 치과 발치용 기자를 사용하여 매식체를 제거하게 되면, 발치부의 단부와 매식체와의 마찰력 부족으로 인하여, 매식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가하게 되는 발치력에도 불구하고 발치부가 매식체로부터 미끄러지게 된다.
미국공개특허 US2014/0,234,798(2014. 08. 2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에 식립된 매식체를 제거할 때, 제거부가 매식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매식체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편은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경사각(θ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거부는 끝에서 상기 지지편에 상응하는 호로 시작하여 상기 스탬 측으로 가면서 호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홈을 구비하여, 제거되는 상기 매식체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상기 나사부의 나사산 간격보다 작은 두께(t)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상기 나사산의 높이(H)보다 더 큰 폭(W)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사각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의 상면과 내측면은 직각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거부에서 하나의 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가상의 호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거부에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편은 상기 나사부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경사각(θ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제1경사각(θ3)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편 부재, 및 상기 제1경사각에 교차하고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제2경사각(θ4)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사각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 단면에서, 상면과 하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내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사각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 단면에서, 상면과 하면을 평면과 경사면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내측을 쐐기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거부의 지지편으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의 외주에 (스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경사각(θ1)으로) 형성되는 나사부의 나사산 및 골을 지지하므로 치조골에 식립된 매식체를 제거할 때, 제거부의 지지편이 매식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매식체를 제거할 때, 제거부의 지지편이 매식체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으로 매식체를 지지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으로 매식체를 지지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으로 매식체를 지지한 상태의 Ⅸ-Ⅸ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으로 매식체를 지지한 상태의 ⅩⅠ-ⅩⅠ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1)는 손잡이(10), 스탬(20) 및 제거부(30)를 포함한다. 제거부(30)는 지지편(40)을 포함한다.
음식물 찌꺼기 및 치석 등으로 인하여, 매식체(fixture)가 손상된 경우, 임플란트 유닛에서 치관(crown)과 지주대(abutment)를 제거하고, 매식체를 치조골로부터 노출시킨다. 제1실시예의 매식체 제거용 기자(1)로 노출된 매식체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매식체 제거용 기자(1)에서, 손잡이(10)는 매식체를 제거하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써,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례로써 다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탬(20)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손잡이(10)에 연결된다. 제거부(30)는 스탬(20)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지렛대의 원리로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치조골에 식립된 매식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손잡이(10)를 잡고 제거부(30)를 매식체에 위치시킨 후 치조골을 받침으로 하여 스탬(20)에 지렛대 작용을 가하게 되면, 제거부(30)는 지지편(40)을 통하여 매식체를 지지하면서 제거하는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매식체가 흔들리면서 치조골로부터 분리 제거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으로 매식체를 지지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매식체 제거용 기자(1)는 환자의 구강에서 제거 대상인 매식체(50)의 위치에 따라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며, 적절한 각도의 매식체 제거용 기자(1)가 사용된다. 기울어진 각도에도 불구하고 제거부(30) 및 지지편(40)은 매식체(50)에 제거하는 힘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례로써, 지지편(40)은 매식체(5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치조골(60)에 식립된 매식체(50)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51)의 골(53)에 삽입되어 나사부(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례로써, 지지편(40)은 치조골(60)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된다.
제1실시예서 스탬(20)은 제거부(30)에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탬(20)은 목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목 각도는 스탬(20)의 직선 방향에서 절곡된 각도를 의미하며, 다양한 구조의 치과 발치용 기자에서와 각각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거부(30)의 지지편(40)은 스탬(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에서 설정된 경사각(θ1)으로 형성된다. 지지편(40)은 경사각(θ1)에서 호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경사각(θ1)은 지지편(40)이 환자의 구강 내에서 매식체(50)에 효과적으로 지지되어 제거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게 한다. 호는 지지편(40)의 전체 영역으로 나사부(51)를 긴밀하게 지지하여 제거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게 한다. 호는 지지편(40)이 나사부(51)에서 나사산(52) 및 골(53)에 대응하는 곡률로 설정된다.
제거부(30)는 끝에서 지지편(40)에 상응하는 호로 시작하여 스탬(20) 측으로 가면서 호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홈(31)을 구비한다. 홈(31)은 지지편(40)이 매식체(50)의 상단을 지지할 때, 매식체(50)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나사부(51)는 사각나사로 형성되고, 지지편(40)의 상면과 내측면은 직각단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편(40)은 나사부(51)에서 나사산(52)의 간격(G)보다 작은 두께(t)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편(40)이 매식체(50)의 나사부(51)를 지지할 때, 지지편(40)이 나사산(52)의 간격(G) 및 골(53)에 삽입되어 매식체(5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매식체(50)를 제거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지지편(40)은 나사산(52)의 높이(H)보다 더 큰 폭(W)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지지편(40)이 매식체(50)의 나사부(51)를 지지할 때, 지지편(40)이 나사산(52)의 간격(G) 및 골(53)에 삽입되어, 나사산(52)의 하측(도 3에서)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제거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 지지편(40)은 나사부(51)의 골(53)에 삽입되어 나사산(52)의 하측을 받쳐주므로 .매식체(50)를 제거하는 힘을 매식체(50)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매식체(50)를 제거할 때, 지지편(40)이 매식체(50)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매식체 제거용 기자(1)에서, 지지편(40)은 제거부(30)에서 하나의 호를 형성한다. 호 형상의 지지편(40)은 매식체(50)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사부(51)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거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매식체에서 나사부는 사다리꼴 나사로 형성되고, 지지편의 상면과 내측면은 직각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편은 사다리꼴 나사산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지지편은 사다리꼴 나사산을 지지하므로 매식체를 제거하는 힘을 매식체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매식체를 제거할 때, 지지편이 매식체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편은 매식체에 대하여 매식체의 제거를 돕는 방향(상방)으로 작용력을 더 가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매식체에서 나사부는 톱니 나사로 형성되고, 지지편의 상면과 내측면은 직각단면으로 형성된다. 지지편은 톱니 나사산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지지편은 톱니 나사산을 지지하므로 매식체를 제거하는 힘을 매식체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매식체를 제거할 때, 지지편이 매식체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편은 매식체에 대하여 매식체의 제거를 돕는 방향(상방)으로 작용력을 더 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기 설명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으로 매식체를 지지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매식체 제거용 기자(2)에서, 제거부(230)의 지지편(240)은 가상의 호 상에 배치되도록 제거부(230)에서 복수로 형성된다.
복수의 지지편(240)은 나사부(51)의 비틀림 경사에 대응하도록 스탬(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에서 설정된 경사각(θ2)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지지편(240)은 경사각(θ2)에서 가상의 호 상에 배치된다.
가상의 호 상에 복수로 배치 및 형성되는 지지편(240)은 제거부(230)의 끝에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5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매식체(50)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51)의 골(53)에 삽입되어 지지할 때, 호 전체로 형성되는 제1실시예의 지지편(40)에 비하여, 더 용이하게 삽입되어 매식체(50)를 지지하고 제거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매식체 제거용 기자(3)에서, 제거부(330)의 지지편(340)은 제1지지편 부재(341) 및 제2지지편 부재(342)를 포함한다.
제1지지편 부재(341)는 스탬(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에서 설정된 제1경사각(θ3)으로 형성되고, 제2지지편 부재(342)는 제1경사각에 교차하고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에서 설정된 제2경사각(θ4)으로 형성된다.
제1지지편 부재(341) 및 제2지지편 부재(342)는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시술자가 매식체 제거용 기자(3)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지지편 부재(341) 및 제2지지편 부재(342)는 매식체의 좌측 및 우측에서 매식체 제거용 기자(3)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으로 매식체를 지지한 상태의 Ⅸ-Ⅸ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4실시예의 매식체 제거용 기자(4)에서, 나사부(51)는 사각나사로 형성되고, 제거부(430)의 지지편(440)은 스탬(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 단면에서, 상면과 하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내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한다.
지지편(440)은 매식체(50)에서 나사부(51)의 골(53)에 삽입되어 나사산(52)의 하측을 받쳐주므로 매식체(50)를 제거하는 힘을 매식체(50)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편(440)에서 곡면인 내측면은 나사부(51)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치조골로부터 매식체(50)를 제거할 때, 지지편(440)이 매식체(50)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편(440)의 곡면은 매식체(50)에 대하여 매식체(50)의 제거를 돕는 방향(상방)으로 작용력을 더 가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의 제거부 및 지지편으로 매식체를 지지한 상태의 ⅩⅠ-ⅩⅠ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나사부(51)는 사각나사로 형성되고, 제거부(530)의 지지편(540)은 스탬(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 단면에서, 상면과 하면을 평면과 경사면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내측을 쐐기로 형성한다.
제거부(530)의 지지편(540)은 매식체(50)에서 나사부(51)의 골(53)에 삽입되어 나사산(52)의 하측을 받쳐주므로 매식체(50)를 제거하는 힘을 매식체(50)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편(540)에서 쐐기 형상은 나사산(52)과의 접촉을 피하면서 골(53)에 삽입되어 나사부(51)와 면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치조골로부터 매식체(50)를 제거할 때, 지지편(540)이 매식체(50)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2, 3: 매식체 제거용 기자 10: 손잡이
20: 스탬 30, 230, 330, 430, 530: 제거부
31: 홈 40, 240, 340, 440, 540: 지지편
50: 매식체 51: 나사부
52: 나사산 53: 골
60: 치조골 341: 제1지지편 부재
342: 제2지지편 부재 G: 간격
H: 높이 t: 두께
W: 폭 θ1, θ2: 경사각
θ3: 제1경사각 θ4: 제2경사각

Claims (12)

  1. 삭제
  2.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경사각(θ1)으로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3.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끝에서 상기 지지편에 상응하는 호로 시작하여 상기 스탬 측으로 가면서 호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홈을 구비하여,
    제거되는 상기 매식체의 상단을 수용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4.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나사부의 나사산 간격보다 작은 두께(t)로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나사산의 높이(H)보다 더 큰 폭(W)으로 돌출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6.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사각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의 상면과 내측면은
    직각단면으로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7.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거부에서 하나의 호를 형성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8.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가상의 호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거부에서 복수로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지편은
    상기 나사부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경사각(θ2)으로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10.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제1경사각(θ3)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편 부재, 및
    상기 제1경사각에 교차하고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제2경사각(θ4)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편 부재
    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11.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사각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 단면에서,
    상면과 하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내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12.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서 연장되는 스탬; 및
    상기 스탬의 일측 끝에 구비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를 제거하는 제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매식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매식체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호로 형성되는 지지편
    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사각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스탬의 길이 방향 단면에서,
    상면과 하면을 평면과 경사면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내측을 쐐기로 형성하는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KR1020180110403A 2018-09-14 2018-09-14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KR10218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403A KR102180977B1 (ko) 2018-09-14 2018-09-14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403A KR102180977B1 (ko) 2018-09-14 2018-09-14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421A KR20200031421A (ko) 2020-03-24
KR102180977B1 true KR102180977B1 (ko) 2020-11-19

Family

ID=7000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403A KR102180977B1 (ko) 2018-09-14 2018-09-14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9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488Y1 (ko) 2001-02-06 2001-07-03 권성오 임플란트 시술용 치즐
KR200425767Y1 (ko) * 2006-06-28 2006-09-13 주식회사 덴티움 임플란트 시술용 치즐
KR100820358B1 (ko) 2007-02-02 2008-04-07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나사제거용 공구
JP2009502441A (ja) 2005-08-04 2009-01-29 ジョン チャオ 歯周外科手術の方法と器具
US20140234798A1 (en) * 2013-02-19 2014-08-21 Dental Usa, Inc. Dental Screw Tip Eleva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488Y1 (ko) 2001-02-06 2001-07-03 권성오 임플란트 시술용 치즐
JP2009502441A (ja) 2005-08-04 2009-01-29 ジョン チャオ 歯周外科手術の方法と器具
KR200425767Y1 (ko) * 2006-06-28 2006-09-13 주식회사 덴티움 임플란트 시술용 치즐
KR100820358B1 (ko) 2007-02-02 2008-04-07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나사제거용 공구
US20140234798A1 (en) * 2013-02-19 2014-08-21 Dental Usa, Inc. Dental Screw Tip Eleva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421A (ko)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8884B2 (ja) 歯科用くさび
US8303306B2 (en) Dental prosthesis removal tool
US8496478B2 (en) Intra-osseous implant
US5069621A (en) Dental appliance
US3510948A (en) Dental wedge
WO2018080845A1 (en) Removable and adjustable abutment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DK3158966T3 (en) dental Wedge
US6705865B1 (en) Dental hand instrument
US5217371A (en) Dental prosthetic extracting tool
KR102180977B1 (ko)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기자
KR102180976B1 (ko)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겸자
JP2010137052A (ja) 歯インプラントの結合ねじの、ねじ基部を除去する器具
KR101653798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KR101629667B1 (ko) 크라운 제거장치
KR100721603B1 (ko) 임플란트용 분리장치
KR10152539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9603719B2 (en) Surgical extraction device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KR101538917B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개 및 박리를 위한 블레이드 핸들
RU2290894C1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его установки
KR102423053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200496625Y1 (ko) 힐링 어버트먼트용 지그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KR100444947B1 (ko) 임플랜트 시술시의 치조골확장 장치
US8292622B2 (en) Impla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