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861B1 -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 Google Patents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861B1
KR102319861B1 KR1020210048009A KR20210048009A KR102319861B1 KR 102319861 B1 KR102319861 B1 KR 102319861B1 KR 1020210048009 A KR1020210048009 A KR 1020210048009A KR 20210048009 A KR20210048009 A KR 20210048009A KR 102319861 B1 KR102319861 B1 KR 102319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packaging
exterior material
vacuu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102021004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6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 B65B25/065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meat
    • B65B25/067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meat combined with its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은, 육류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내장재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 진공 포장된 육류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락트산, 및 열가소성 전분으로 이루어진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외장재에 소스를 더 투입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MEAT PACKING METHOD FOR SELLING AT REFRIGERATED DISPLAY}
본 발명은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온 안정성과 내구성, 보관성이 우수하고 효율적인 진열 수납이 가능한 육류 포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육류의 포장에는 발포제 함유 폴리스티렌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트레이에 육류를 수납하고,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밀봉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었다. 이 같은 방식으로 포장되는 경우 트레이의 하면이 진열대의 바닥에 닿도록 진열되므로 효율적인 수납이 어려울뿐더러, 구매자가 육류의 상태를 식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포 폴리스티렌은 내한성이 부족하여 육류가 보관되는 낮은 온도에서 깨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냉동 진열되어 판매되는 육류에 최적화된 포장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육류의 포장에 진공 포장에 주로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폴리아미드 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온 보관 상태에서 포장재의 경화, 포장재의 변질로 인한 육류 품질의 변화와 오염, 포장재 손상으로 인해 제품으로부터 핏물이 유출되는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포장재 구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포장재가 외부 포장재로 사용될 경우 지퍼팩, 이지컷, 로고나 문구의 잉크 프린팅 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면서 내구성이 강화된 포장재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공보 제10-2019-0120913호(2019.10.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에 대한 인식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내장재 및 외장재의 재질과 포장에 사용되는 첨가제의 구성을 구체화하여 육류의 상태를 온도 변화에 관계 없이 오랫동안 보존하고 포장재의 변질과 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냉동 진열되는 육류에 적합한 포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진열대에 효율적인 수납이 가능하며, 구매자로 하여금 육류의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냉동고에서도 포장재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에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은, 육류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내장재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 진공 포장된 육류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락트산, 및 열가소성 전분으로 이루어진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외장재에 소스를 더 투입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육류를 내장재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장재는 하이드로퀴논, 및 폴리디메틸실록산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 포장된 육류를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장재는 이소소르비드 및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외장재 내측면이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잔탄검 혼합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육류를 내장재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에서, 진공 포장 시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전해수, 천일염수, 및 작약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 첨가제를 육류에 추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장재를 밀봉하는 단계에서, 질소, 이산화탄소,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제2 혼합 첨가제를 외장재 내부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볏짚, 왕겨, 녹차 및 호두껍질 유래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셀룰로오스계 섬유, 하이드로퀴논, 및 폴리디메틸실록산디올은 35 : 35 : 20 : 7 : 3 의 중량비로 내장재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락트산, 열가소성 전분, 이소소르비드 및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는 35 : 35 : 5 : 15 : 4 : 6의 중량비로 외장재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 포장시 첨가되는 제1 혼합 첨가제는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전해수, 천일염수 및 작약뿌리 추출물을 70 : 5 : 10 : 5 : 5 : 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장재 밀봉시 첨가되는 제2 혼합 첨가제는 질소, 이산화탄소,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를 80 : 15 : 2 : 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은, 육류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 진공 포장된 육류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외장재에 소스를 더 투입하는 단계; 상기 외장재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장재는 대향하는 2개의 주면과 하면을 갖고, 상기 2개의 주면은 양 측단에서 서로 밀봉되어 있고, 상기 하면은 상기 2개의 주면의 하단에서 각 주면들과 밀봉되어 상기 외장재가 스탠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장재의 일 주면의 상측에는 상기 상측에 평행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장재의 다른 주면의 상측에는 상기 상측에 평행한 오목부-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짐-를 포함하고, 가압에 의해 돌출부와 오목부가 맞물려 개폐될 수 있는 슬라이드 캡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장재는 아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21043091633-pat00001
[화학식 1]
(상기 식 중, m 및 n은 1~20의 정수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시아노기, 탄소수 1~15의 알킬기, 탄소수 1~15의 알케닐기 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21043091633-pat00002
[화학식 2]
(상기 식 중, n은 1~20의 정수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시아노기, 탄소수 1~15의 알킬기, 탄소수 1~15의 알케닐기 중 어느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육류 포장 방법은, 상기 진공 포장된 육류를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외장재에 투명부-상기 투명부는 상기 외장재에 수납된 육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장재에 투명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장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마스킹하고, 마스킹되지 않은 영역에 착색부를 형성함으로써 투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색부는 홍보 문구 및 도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부는 상기 주면의 하측으로부터 0.1L 내지 0.6L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L은 상기 주면의 하측으로부터 상측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열대에 효율적으로 다수의 포장된 육류를 진열하는 것이 가능하며, 포장된 육류를 스탠딩된 상태로 진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구매자로 하여금 육류의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육류가 변질되지 않는 저온에서 보관되더라도 포장재가 손상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은, 육류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내장재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 진공 포장된 육류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락트산, 및 열가소성 전분으로 이루어진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외장재에 소스를 더 투입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장재 및 외장재는 필름 형태의 재질로서, 구성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첨가제가 혼합된 후 필름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육류를 내장재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장재는 하이드로퀴논, 및 폴리디메틸실록산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장된 육류를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장재는 이소소르비드 및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외장재 내측면이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잔탄검 혼합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장재 및 외장재의 첨가제를 통해 포장재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강화하고 육류와 직접 접촉된 저온 환경에서도 육류 제품과 포장재의 오염,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육류를 내장재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에서, 진공 포장 시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전해수, 천일염수, 및 작약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 첨가제를 육류에 추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를 밀봉하는 단계에서, 질소, 이산화탄소,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제2 혼합 첨가제를 외장재 내부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포장 단계, 외장재 밀봉 단계에서 각각 혼합 첨가제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육류 제품의 보관성을 극대화하고 유통기한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질소, 이산화탄소의 경우 종래 육류나 어류의 보관에서 첨가되는 불활성 기체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에 냉동 포장용 육류 제품에 대한 보관성과 안정성 향상을 위해 전해수, 천일염수, 작약뿌리 추출물 등을 추가하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볏짚, 왕겨, 녹차 및 호두껍질 유래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셀룰로오스계 섬유, 하이드로퀴논, 및 폴리디메틸실록산디올은 35 : 35 : 20 : 7 : 3 의 중량비로 내장재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락트산, 열가소성 전분, 이소소르비드 및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는 35 : 35 : 5 : 15 : 4 : 6의 중량비로 외장재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장시 첨가되는 제1 혼합 첨가제는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전해수, 천일염수 및 작약뿌리 추출물을 70 : 5 : 10 : 5 : 5 : 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밀봉시 첨가되는 제2 혼합 첨가제는 질소, 이산화탄소,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를 80 : 15 : 2 : 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장재, 외장재, 제1 혼합 첨가제 및 제2 혼합 첨가제의 구성 비율이 이로부터 현저히 벗어날 경우 포장재의 재질이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첨가제의 첨가로 인해 육류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은 육류를 진공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육류의 선도를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는 공기 노출을 최소화하여야 하므로, 육류를 외장재 등에 포장하기 이전에 진공 포장함으로써 공기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냉동 진열 판매의 대상이 되는 육류는 구이용이거나 찌개용일 수도 있으며, 생고기이거나 양념된 고기일 수도 있다. 밀봉 방법으로서는, 필름으로 이루어진 내부 중공부에 육류를 재치하고, 입구에 장착된 노즐에 의해 필름 내부를 탈기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으며, 육류를 사이에 두고 2매의 필름을 상하로 위치시킨 후 2매의 필름을 압착시키면서 탈기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으로 필름 내부를 탈기한 후 상술한 제1 혼합 첨가제를 육류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은 진공 포장된 육류를 상기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육류 포장에는 발포제 함유 폴리스티렌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트레이를 사용되고 있어, 수납의 효율성이나 저온 안정성이 매우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육류 포장에 사용되는 외장재의 조성, 형상 등을 구체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냉동 진열대에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육류의 수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재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아래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식 중 m 및 n은 1~20의 정수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시아노기, 탄소수 1~15의 알킬기, 탄소수 1~15의 알케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아래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식 중, n은 1~20의 정수이고,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시아노기, 탄소수 1~15의 알킬기, 탄소수 1~15의 알케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gure 112021043091633-pat00003
[화학식 1]
Figure 112021043091633-pat00004
[화학식 2]
폴리아미드 수지는 PA6, PA66, PA11, PA12 및 PA610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일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온에서의 내한성 측면에서 PA11 또는 PA1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유할 수도 있다. 외장재의 형상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육류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트레이로 포장되는 경우에는 구매 이후 가정 또는 식당에서 소비될 때 일부 소분하거나 또는 전체로서 보관하기 위해 별도의 포장재에 보관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최근 플라스틱 폐기물이 증가하여 환경 부하가 크게 늘어난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을 가능한 한 줄이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트레이와 달리, 본 발명의 외장재는 육류로부터 진공 포장 필름을 제거한 후에도 육류 보관에 사용될 수 있도록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가정 또는 식당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감소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은 외장재에 소스를 더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는 육류의 종류에 따라 곁들이기에 추천되는 소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은 외장재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은 외장재의 개방된 상측을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은 진공 포장된 육류를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 이전에, 외장재에 투명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부는 외장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마스킹하고, 마스킹되지 않은 영역에 착색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부는 마스킹되어 착색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착색부는 상기 외장재의 표면에 도료를 분사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으며,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착색부는 비투명부로서 기능할 뿐 아니라, 육류의 제조사 또는 제조 방법을 홍보할 수 있는 홍보 문구 및/또는 도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재의 착색부에는 투명부를 포인팅하는 손 모양의 도안과 함께 '눈으로 직접 확인하세요' 라는 문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재는 대향하는 2개의 주면과 하면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주면은 양 측단에서 서로 밀봉되어 있으며, 하면은 2개의 주면의 하단에서 각 주면들과 밀봉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밀봉은 2개의 주면 또는 주면과 하면 사이의 가장자리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같이 주면의 하단과 하면이 밀봉되어 바닥부에 대향하는 지지 가능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육류를 냉동 진열대에서 스탠드되도록 진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재의 일 주면의 상측에는 상측에 평행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외장재의 다른 주면의 상측에는 상측에 평행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는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압에 의해 돌출부와 오목부가 맞물려 개폐될 수 있는 슬라이드 캡을 구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캡은 외장재의 상측 중 밀봉되는 부분 하단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되는 부분으로부터 0.5mm 이상 떨어진 하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캡이 밀봉되는 부분으로부터 0.5mm 이상 하단에 형성되는 경우, 외장재의 밀봉된 부분이 제거된 후에도 슬라이드 캡에 의하여 외장재를 밀봉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소비자는 육류의 상태 확인이나 소분을 위해 외장재의 밀봉된 부분을 제거한 후에도, 슬라이드 캡을 활용하여 남은 육류를 다시 밀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장재의 주면의 하측으로부터 상측까지의 길이를 L이라 했을 때, 투명부는 주면의 하측으로부터 0.1L 내지 0.6L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육류는 외장재 내에 투입되고 냉동 진열대에서 스탠드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노출되므로, 외장재의 하측에 육류가 재치하게 된다. 따라서, 투명부를 상기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육류의 빛깔 등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의 두께는 1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육류는 1차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진공 포장되므로 2차적인 포장을 담당하는 외장재는 1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더라도 육류를 산패 또는 변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장재의 두께는 제조 편의 상 과도하게 박형의 두께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추후 재활용시의 내구성을 위하여 0.1mm 이상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셀룰로오스계 섬유, 하이드로퀴논, 및 폴리디메틸실록산디올을 35 : 35 : 20 : 7 : 3 의 비율로 혼합하고 240℃의 온도로 용융하여 스핀 코터에 의해 기재 상에 두께 0.7mm의 코팅을 형성하였다. 이를 80℃의 온도의 건조대에서 5분 동안 계류시킨 후 경화시켜 필름지를 제조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락트산, 열가소성 전분, 이소소르비드 및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를 35 : 35 : 5 : 15 : 4 : 6의 비율로 혼합하여 필름지를 제조하였다.제조된 필름지를 15cmX13cm의 크기로 재단한 2매의 주면 및 15cmX4cm의 크기로 재단한 하면을 생성하였다. 이들 면을 배치하고 가장자리에 220℃ 의 온도에서 15 kg/cm2g로 5분간 가압하여 내장재 및 외장재를 제조하였다.
도축된 지 2일 된 돼지고기 200g을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내부 중공부에 육류를 재치하고, 입구에 장착된 노즐에 의해 내장재 필름 내부를 탈기하여 진공 포장하였다. 이 때 내장재 내부에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전해수, 천일염수 및 작약뿌리 추출물을 70 : 5 : 10 : 5 : 5 : 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제1 혼합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진공 포장된 고기를 외장재에 투입하고, 질소, 이산화탄소,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를 80 : 15 : 2 : 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제2 혼합 첨가제를 추가한 후, 상부 가장자리를 동일하게 가열 및 가압하였다.
[비교예 1]
폴리스티렌 수지 97중량부에 발포제 3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제 함유 폴리스티렌을 10cmX15cm의 크기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트레이의 형태로 성형하였다.
도축된 지 2일 된 돼지고기 200g을 트레이에 재치하고, 두께 0.3mm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트레이의 상면에 씌워 밀봉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서 내장재 내부에 제1 혼합 첨가제를 포함시키지 않고 나머지 과정은 동일한 방법으로 육류를 포장하여 밀봉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외장재 내부에 제2 혼합 첨가제를 포함시키지 않고 나머지 과정은 동일한 방법으로 육류를 포장하여 밀봉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재질을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로 구성한 내장재를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과정은 동일한 방법으로 육류를 포장하여 밀봉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재질을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로 구성한 외장재를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과정은 동일한 방법으로 육류를 포장하여 밀봉하였다.
[실험예 1: 육류 변질 여부 측정]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포장된 육류를 -2℃의 온도에 보관하면서, 시간에 따른 육류의 변질 여부를 측정하였다. 전혀 변색되지 않은 경우 ◎, 일부 부위에서 갈변이 관찰된 경우 ○, 전체 부위에서 갈변이 관찰된 경우 △, 전체 부위에서 갈변이 관찰되었으며 냄새도 변질된 경우 Ⅹ로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경과 시간 24 48 72 96 120 144 168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험예 2: 포장재의 저온 취성 측정]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포장된 육류를 -10℃의 온도에 24시간 보관한 후 1m의 높이로부터 바닥으로 떨어뜨려 포장재의 손상 여부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포장재가 전혀 손상되지 않은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트레이가 깨지거나 부서져 내부의 육류가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으로서,
    육류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내장재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
    진공 포장된 육류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락트산, 열가소성 전분, 이소소르비드 및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가 35 : 35 :5 : 15 : 4 : 6의 중량비로 포함된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외장재에 소스를 더 투입하는 단계;
    상기 외장재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를 내장재로 진공 포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내장재는 하이드로퀴논, 및 폴리디메틸실록산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장된 육류를 외장재에 투입하는 단계에서, 외장재 내측면이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잔탄검 혼합물로 코팅된 것인,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KR1020210048009A 2021-04-13 2021-04-13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KR10231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009A KR102319861B1 (ko) 2021-04-13 2021-04-13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009A KR102319861B1 (ko) 2021-04-13 2021-04-13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861B1 true KR102319861B1 (ko) 2021-11-01

Family

ID=7851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009A KR102319861B1 (ko) 2021-04-13 2021-04-13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8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8336A (ja) * 2002-07-25 2004-02-2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トルト用包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レトルト処理包装製品
KR20070111329A (ko) * 2006-05-17 2007-11-21 커우드 인코포레이티드 고기의 바람직한 색채를 발현하거나 보존하는 포장재, 필름및 방법
KR20190120913A (ko) 2018-04-17 2019-10-25 이형진 육류 포장방법
KR20190133307A (ko) * 2018-05-23 2019-12-03 한국화학연구원 산소 차단성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8336A (ja) * 2002-07-25 2004-02-2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トルト用包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レトルト処理包装製品
KR20070111329A (ko) * 2006-05-17 2007-11-21 커우드 인코포레이티드 고기의 바람직한 색채를 발현하거나 보존하는 포장재, 필름및 방법
KR20190120913A (ko) 2018-04-17 2019-10-25 이형진 육류 포장방법
KR20190133307A (ko) * 2018-05-23 2019-12-03 한국화학연구원 산소 차단성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695B1 (ko) 마이크로파 가열가능한 냉동 내충격성 기밀밀봉 식품 포장 용기
US20160311564A1 (en) Heat-able On-the-Go Food Products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79257A1 (en) Method to obtain a food product for immediate consumption or to be prepared later provided with marks or engravings made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food product and food product with marked surface
BR112019016772A2 (pt) Processo para manter frescor de pedaços de vegetais
JPH0951767A (ja) 具材を有する食品及び食品容器
KR102319861B1 (ko) 냉동 진열 판매를 위한 육류 포장 방법
KR20160017936A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1658993B1 (ko)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밥의 제조방법
CN207903164U (zh) 一种新型隔热保温箱
EP0194780A1 (en) Food products
JP3556946B1 (ja) 生海老の包装方法
CN108249006A (zh) 一种用于农产品运输的包装盒、包装结构、包装方法、运输系统以及定价方法
KR102130568B1 (ko) 보온, 보냉 포장상자 제작용 종이
KR20080035234A (ko) 이동식 초밥 제공시스템
KR102016086B1 (ko) 즉석조리용 냉면용기 및 그 조리방법
Gonçalves Packaging for chilled and frozen seafood
KR200493403Y1 (ko) 찐 갑각류의 포장용 보온박스
CN207417578U (zh) 一种油桃储藏保鲜盒
RU144190U1 (ru) Упаковка с кулинарным набором
KR20180120330A (ko) 김치 포장용기
CN2605220Y (zh) 专用真空保鲜容器
SU1740195A1 (ru) Упак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CN109625603A (zh) 一种可视梅菜扣肉包装盒
CN205087362U (zh) 一种适宜运输和存放无花果的泡沫箱
CN104891023A (zh) 一种果蔬保鲜包装袋或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