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609B1 -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 Google Patents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609B1
KR102319609B1 KR1020210048906A KR20210048906A KR102319609B1 KR 102319609 B1 KR102319609 B1 KR 102319609B1 KR 1020210048906 A KR1020210048906 A KR 1020210048906A KR 20210048906 A KR20210048906 A KR 20210048906A KR 102319609 B1 KR102319609 B1 KR 10231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air
wastewater treatment
support frame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완
Original Assignee
신신이앤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신이앤지(주) filed Critical 신신이앤지(주)
Priority to KR102021004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내측에 설치되어, 순환 동작되는 체인컨베이어(20);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린(30); 체인컨베이어(20)에 설치되어, 체인컨베이어(20)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레이크(40);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PLANAR SCREEN FOR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위로 노출되는 전면 부위를 간편하게 커버할 수 있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면스크린은 동력을 이용하여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의 입구 수로 등 부유물이 유입되는 장소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을 제거하는 기계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평면스크린은 그 사용목적 및 용도 등에 따라 여러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특히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경우, 하수 및 오폐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확산을 방지함과 아울러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은 프레임;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킷; 한 쌍의 스프로킷에 걸리며, 상호 평행하게 유지되는 체인; 체인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며, 상호 이격되어 물로부터 이물질을 취출하는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수면 위로 노출되는 프레임의 전면에는 악취의 확산방지 및 미관을 고려한 커버가 설치되며, 커버에는 스크린의 이상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은 등록특허공보 제10-065592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은 커버 전체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됨으로 인해, 그 유지보수 작업 시 커버를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분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
이는 결국,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유지보수성을 상대적으로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버의 구조변경을 통해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내측에 설치되어, 순환 동작되는 체인컨베이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체인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레이크;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은 커버부재가 상하방향으로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의해 간편하게 개폐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유지보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유지보수 작업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상대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고정커버 및 이동커버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고정커버 및 이동커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이동커버의 슬라이딩이동부를 분리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이동커버의 가이드레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커버부재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작동부재 및 스크레이퍼브러쉬 연결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내측에 설치되는 체인컨베이어(20);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린(30); 체인컨베이어(20)에 설치되는 레이크(40);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는 커버부재(50); 체인컨베이어(20)에 연결되는 작동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은 서로 이격 배치되며, 장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0)은 내수성 및 내구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이나 크기 또는 재질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체인컨베이어(20)는 작동부재(60)에 의해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환 동작된다.
특히 체인컨베이어(20)는 이와 연동되는 레이크(40)를 통하여 스크린(3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순환 동작된다.
스크린(30)은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스크린(30)은 수직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한편, 스크린(30)으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레이크(4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갈퀴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이 한 쌍의 체인컨베이어(20)에 연결되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됨으로써 스크린(30)에 걸려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레이크(40)의 하부에는 칼날판 또는 톱니판 등과 같은 커터(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터(미도시)를 통해 각목이나 협잡물 등을 보다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레이크(40)는 물속에서의 이동에 따른 유속의 저항을 제거하여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물속에서의 이동방향이 물의 흐름방향과 서로 일치되도록 순환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인컨베이어(20)의 전방에서는 레이크(40)가 하강하고, 체인컨베이어(20)의 후방에서는 레이크(40)가 상승하는 방식으로 순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랍직하다.
예컨대, 물속에서의 레이크(40) 이동방향이 물의 흐름방향과 반대가 되면 물속에서의 레이크(40) 이동 시 유속의 저항으로 인해 동력손실이 발생됨은 물론이고 스크린(30)에 걸려 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커버부재(50)는 수면 위로 노출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의 전면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수 및 오폐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스크린(30)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부재(50)는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하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다단의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커버부재(5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커버(51); 고정커버(51)에 다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커버(52); 고정커버(51)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53); 회전샤프트(53)를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54); 회전샤프트(5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드럼(55); 일단은 와이어드럼(55)에 권취되고, 타단은 이동커버(52)의 끝단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56)로 이루어진다.
고정커버(51)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며, 그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커버(51)에는 부품의 점검을 위한 점검도어(51a)가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이동커버(52)는 평상 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유지보수 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동커버(52)는 고정커버(5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이동커버(52) 각각은 커버부(52a); 커버부(52a)의 양단에 절곡 형성되는 슬라이딩이동부(52b);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며, 슬라이딩이동부(52b)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레일부(52c)로 이루어진다.
커버부(52a)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전면에 위치한다.
슬라이딩이동부(52b)는 장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이동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가이드홈(G) 및 가이드돌기(P)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홈(G) 및 가이드돌기(P)에는 슬라이딩 이동으로 인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접촉면에 마찰방지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라이딩이동부(52b)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그 하단에 복수의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52a) 및 슬라이딩이동부(52b)는 접시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
가이드레일부(52c)는 슬라이딩이동부(52b)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슬라이딩이동부(52b)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이동부(52b)와의 접촉면에 마찰방지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부(52c)는 슬라이딩이동부(52b)의 위치를 구속할 있도록 그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이동부(52b)를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바닥면에 슬라이딩이동부(52b)가 삽입되는 슬릿홈(S)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53)는 구동모터(54)에 의해 회전되고, 와이어드럼(55)은 회전샤프트(53)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며, 와이어로프(56)는 와이어드럼(55)의 회전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 동작되어 복수의 이동커버(5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구동모터(54)에는 이물질 등에 의해 이동커버(52)의 접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회전샤프트(53)에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54)를 중지시키는 토크리미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56)는 그 단부가 복수 개로 분기되어 이동커버(52)의 끝단에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적은 수의 와이어로프(56)로 이동커버(52)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커버부재(50)의 동작상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7의 (a)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경우로서, 복수의 이동커버(52)가 고정커버(51)의 하부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하수 및 오폐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확산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면 위로 노출된 부위를 커버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한 경우로서, 버턴 등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이동커버(52)가 자동으로 상부로 이동하여 고정커버(51)의 내부에 다단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커버(52)의 개방된 영역을 통해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다단으로 접혀진 상태의 이동커버(52)가 자동으로 펼쳐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의 작동부재 및 스크레이퍼브러쉬의 동작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동부재(60)는 메인모터(61); 메인모터(61)에 연결되는 감속기(62); 감속기(62)에 연결되는 제1 스프로킷(63); 제1 스프로킷(63)과 연결체인(64)에 의해 연결되는 제2 스프로킷(65); 제2 스프로킷(65)과 결합되어, 체인컨베이어(20))를 순환 동작시키는 샤프트(66); 샤프트(66)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3 스프로킷(67); 제3 스프로킷(37)과 연결체인(68)에 의해 연결되는 제4 스프로킷(69)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크레이퍼브러시(70)는 레이크(40)에 걸린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체인컨베이어(20)를 가동하는 메인모터(61)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된다.
즉, 메인모터(61)의 구동력이 제1 스프로킷(62) 및 제2 스프로킷(65)에 전달되어 샤프트(66)를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3 스프로킷(67)이 회전함과 아울러 이와 연동되는 제4 스프로킷(68)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스크레이퍼브러쉬(70)가 동작된다.
이때, 스크레이퍼브러쉬(70)의 회전속도는 기어비의 적절한 조절로 가능하게 된다.
10 : 지지프레임 20 : 체인컨베이어
30 : 승강스크린 40 : 레이크
50 : 커버부재 51 : 고정커버
51a : 점검도어 52 : 이동커버
52a : 커버부 52b : 슬라이딩이동부
52c : 가이드레일부 53 : 회전샤프트
54 : 구동모터 55 : 와이드드럼
56: 와이어로프 G : 가이드홈
P : 가이드돌기

Claims (6)

  1.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내측에 설치되어, 순환 동작되는 체인컨베이어(2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린(30);
    상기 체인컨베이어(20)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컨베이어(20)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레이크(40);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커버(51); 상기 고정커버(51)에 다단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커버(52); 상기 고정커버(51)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53); 상기 회전샤프트(53)를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54); 상기 회전샤프트(5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드럼(55); 일단은 상기 와이어드럼(55)에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커버(52)의 끝단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5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커버(52)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 전면에 위치하는 커버부(52a); 상기 커버부(52a)의 양단에 절곡 형성되는 슬라이딩이동부(52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이동부(52b)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가이드홈(G) 및 가이드돌기(P)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이동부(52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52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51)의 전면에 점검도어(51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KR1020210048906A 2021-04-15 2021-04-15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KR10231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06A KR102319609B1 (ko) 2021-04-15 2021-04-15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06A KR102319609B1 (ko) 2021-04-15 2021-04-15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609B1 true KR102319609B1 (ko) 2021-11-01

Family

ID=7851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906A KR102319609B1 (ko) 2021-04-15 2021-04-15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345B1 (ko) 2022-04-13 2023-10-06 송원일 딥러닝 기반의 영상 학습을 이용한 자동 역세 기능을 갖는 스크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858A (ja) * 1995-06-19 1997-01-07 Kubota Corp エスカレーター式高速除塵機
JP2001157944A (ja) * 1999-12-01 2001-06-12 Tokyo Seimitsu Hatsujo Kk パンタグラフを設けた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
KR100655920B1 (ko) * 2004-12-23 2006-12-12 신재식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101757640B1 (ko) * 2016-12-23 2017-07-26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레이크 스크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858A (ja) * 1995-06-19 1997-01-07 Kubota Corp エスカレーター式高速除塵機
JP2001157944A (ja) * 1999-12-01 2001-06-12 Tokyo Seimitsu Hatsujo Kk パンタグラフを設けた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
KR100655920B1 (ko) * 2004-12-23 2006-12-12 신재식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101757640B1 (ko) * 2016-12-23 2017-07-26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레이크 스크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345B1 (ko) 2022-04-13 2023-10-06 송원일 딥러닝 기반의 영상 학습을 이용한 자동 역세 기능을 갖는 스크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330078B4 (de) Zentrifugaltrockner für Pellets
EP3211136A1 (en) Waste screening apparatus
KR102319609B1 (ko) 하수 및 오폐수 처리용 평면스크린
KR102080060B1 (ko) 전위스크린 및 제진기의 승하강 구조를 갖는 제진기
KR101666028B1 (ko) 로터리식 제진기
US20130032515A1 (en) Cylindrical filter panel screen for a water intake
KR101821221B1 (ko)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SE506390C2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manövrering av ett objekt t ex port
KR101969529B1 (ko) 레이크 플레이트 회전반경 축소구조를 갖는 제진기
KR100893393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JP6917326B2 (ja) 背面降下前面掻揚式除塵機
US2282914A (en) Shutter
KR101459660B1 (ko) 승강식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160112269A (ko) 로타리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101760094B1 (ko) 수평형 제진기
KR100424430B1 (ko) 일체형 자중 제진기
JP6008701B2 (ja) フライト及び汚泥掻寄機
JP4217637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210122062A (ko) 제진기
KR200406021Y1 (ko) 개폐식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JP2002167735A (ja) 除塵機
KR100565566B1 (ko) 레이크 미세 스크린
CN211620545U (zh) 一种带有遮挡组件的驴皮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