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471B1 - 스토커로 - Google Patents

스토커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471B1
KR102318471B1 KR1020217008988A KR20217008988A KR102318471B1 KR 102318471 B1 KR102318471 B1 KR 102318471B1 KR 1020217008988 A KR1020217008988 A KR 1020217008988A KR 20217008988 A KR20217008988 A KR 20217008988A KR 102318471 B1 KR102318471 B1 KR 102318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stage
post
drying
st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0160A (ko
Inventor
요시마사 사와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23G5/05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using dryi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7/00Inclined or stepped grates
    • F23H7/06Inclined or stepped grates with movable bars disposed parallel to direction of fuel feeding
    • F23H7/08Inclined or stepped grates with movable bars disposed parallel to direction of fuel feeding reciprocating along their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피더 (4) 와,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과, 배출 슈트 (17) 를 구비하는 스토커로 (1) 에 있어서, 피더 (4) 의 상방에서부터 건조단 (11) 또는 연소단 (12) 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프론트 아치 (31) 와, 배출 슈트 (17) 의 상방에서부터 후연소단 (13) 또는 연소단 (12) 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리어 아치 (32) 와, 피소각물 (B) 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도출하는 사각통형상의 노벽 (33) 을 갖고,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의 각각의 주면이, 연소단 (12) 의 상방에 생성되는 주연소부 (M) 를 향하도록, 건조단 (11) 은 반송 방향 하류측이 하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고, 연소단 (12) 은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고, 후연소단 (13) 은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는 스토커로.

Description

스토커로
본 발명은 스토커로 (爐) 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8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61818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쓰레기 등의 피소각물을 소각하는 소각로로서, 대량의 피소각물을 선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소각 처리할 수 있는 스토커로가 알려져 있다. 스토커로로는, 스토커를 계단식으로 구성하고, 건조, 연소, 후연소의 각 기능을 완수할 수 있도록 건조단, 연소단, 및 후연소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피소각물을 확실하게 연소시키기 위해, 스토커의 경사각에 대해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스토커의 경사각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조단, 연소단, 후연소단의 모든 단의 설치면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 하향이 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있다. 또한, 이하, 예를 들어 건조단의 설치면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 하향인 경우, 간단히 건조단이 하향이라고 한다 (연소단, 후연소단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조단이 하향으로 경사지고, 연소단 및 후연소단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 특허문헌 4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조단 및 연소단이 하향으로 경사지고, 후연소단의 설치면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 특허문헌 5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모든 단이 상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연소단의 설치면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인 경우, 간단히 연소단이 상향이라고 한다 (건조단, 후연소단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6512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86814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84140호 일본 특허공보 소57-12053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7-127129호
그런데, 상기 스토커로에서는, 다양한 성상 (소재, 형상, 함수율) 의 피소각물이 투입되는데, 미끄러지기 쉬운 소재 또는 구형 (球形) 등의 굴러가기 쉬운 형상의 피소각물이나, 함수율이 높은 (수분량이 많은) 피소각물에 대해서는, 어느 스토커로에서도, 그 밖의 피소각물과 동일한 소각이 곤란하였다.
즉,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 에 기재되어 있는 스토커로에서는, 건조단이 하향으로 경사, 또한, 연소단이 하향으로 경사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쉬운 소재 또는 굴러가기 쉬운 형상의 피소각물이, 그 밖의 피소각물에 비해, 후연소단까지 빠르게 반송되기 때문에, 충분히 소각되지 않고 불완전 연소인 채로 배출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5 에 기재되어 있는 스토커로에서는, 건조단, 연소단, 후연소단의 모두가 상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쉬운 소재 또는 굴러가기 쉬운 형상의 피소각물이나 함수율이 높은 피소각물이, 피더와 건조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차 (낙차벽) 의 바닥에 괴여 연소단까지 반송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투입량을 제한하거나, 투입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예를 들어, 피소각물 중의 수분의 건조 효율이나, 피소각물의 연소 효율은, 피소각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화염의 복사열이 피소각물에 대해 접촉하는 방식에 의존하지만,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스토커로에서는, 복사열의 접촉 방식에 대해서 고려되어 있지 않고, 스토커 전체적으로 연소·회화 (灰化) 가 비효율적인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피소각물의 성상에 상관없이 피소각물을 연속 투입할 수 있고, 또한, 스토커 전체적으로 연소·회화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피소각물의 불완전 연소물을 없앨 수 있는 스토커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커로는, 피더로부터 피소각물을 공급하고, 복수의 고정 화격자와 복수의 이동 화격자를 구비한 건조단, 연소단, 및 후연소단에서, 상기 피소각물을 순차 반송하면서, 각각 건조, 연소, 및 후연소를 실시하고, 상기 후연소단에 접속된 배출 슈트로부터 상기 후연소 후의 상기 피소각물을 배출하는 스토커로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상방에서부터 상기 건조단 또는 상기 연소단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프론트 아치와, 상기 배출 슈트의 상방에서부터 상기 후연소단 또는 상기 연소단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리어 아치와, 상기 프론트 아치와 상기 리어 아치에 접속되고, 상기 피소각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도출 (導出) 하는 사각통형상의 노벽을 갖고, 상기 건조단, 상기 연소단, 및 상기 후연소단의 각각의 주면 (主面) 이, 상기 연소단의 상방에 생성되는 주연소부를 향하도록, 상기 건조단은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하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연소단은 상기 건조단에 접속되고,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후연소단은 상기 연소단에 접속되고,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단, 연소단, 후연소단의 모두가, 각각의 주면이 주연소부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주연소부의 복사열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건조단에서는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연소단에서는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연소단에서도 효과적으로 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토커로에서는, 피소각물의 성상에 상관없이 피소각물을 연속 투입할 수 있고, 또한, 스토커 전체적으로 연소·회화를 효율적으로 실시하여, 피소각물의 불완전 연소물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스토커로에 있어서, 상기 사각통형상의 노벽의 중심선은, 상기 연소단 상에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연소부의 위치를 연소단 상으로 하고, 건조단, 연소단 및 후연소단에 효율적으로 복사열을 쏘일 수 있다.
상기 스토커로에 있어서, 상기 후연소단의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소단의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와 동일 위치, 또는 상기 연소단의 상기 단부보다 상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만일 건조단에서 피소각물이 굴러 떨어지는 등 한 경우에 있어서도, 피소각물이 충분히 연소되지 않은 채로 후연소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커로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화격자 및 상기 이동 화격자는, 상기 건조단, 상기 연소단, 및 상기 후연소단의 설치면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동 화격자를, 고정 화격자 상의 피소각물을 교반하면서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보내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커로에 있어서, 상기 연소단과 상기 후연소단은, 단차 없이 연속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소각물을 보다 연속적으로 소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소각물의 성상에 상관없이 피소각물을 연속 투입할 수 있고, 또한, 피소각물의 불완전 연소물을 없앨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스토커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스토커로의 스토커 경사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스토커로의 화격자 형상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건조단의 스토커 경사각의 적정 범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연소단의 스토커 경사각의 적정 범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건조단과 연소단의 쌍방을 감안한 경우, 연소단의 스토커 경사각의 적정 범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스토커로의 스토커 경사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스토커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토커로는, 쓰레기 등의 피소각물 연소용 스토커로이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소각물 (B) 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호퍼 (2) 와, 피소각물 (B) 을 연소시키는 소각로 (3) 와, 소각로 (3) 에 피소각물 (B) 을 공급하는 피더 (4) 와, 소각로 (3) 의 바닥부측에 형성된 스토커 (5)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의 화격자 (15, 16) 를 포함한다) 와, 스토커 (5) 의 하방에 형성된 윈드 박스 (6) 를 구비하고 있다.
피더 (4) 는, 호퍼 (2) 를 통해 연속적으로 피드 테이블 (7) 상에 공급된 피소각물 (B) 을 소각로 (3) 내로 밀어낸다. 피더 (4) 는, 피더 구동 장치 (8) 에 의해 피드 테이블 (7) 상을 소정의 스트로크로 왕복 운동한다.
윈드 박스 (6) 는, 송풍기 (도시하지 않음) 로부터의 1 차 공기를 스토커 (5) 의 각 부에 공급한다.
소각로 (3) 는 스토커 (5) 의 상방에 설치되고, 1 차 연소실과 2 차 연소실로 이루어지는 연소실 (9) 을 가지고 있다. 소각로 (3) 는, 연소실 (9) 에 2 차 공기를 공급하는 2 차 공기 공급 노즐 (10) 을 가지고 있다.
스토커 (5) 는, 화격자 (15, 16) 를 계단형상으로 정렬한 연소 장치이다. 피소각물 (B) 은, 스토커 (5) 상에서 연소된다.
이하, 피소각물 (B) 이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 (D) 이라고 부른다. 피소각물 (B) 은, 스토커 (5) 상에서 반송 방향 (D) 으로 반송된다. 도 1,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 우측이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이다. 또한, 화격자 (15, 16) 가 장착되는 면을 설치면이라고 부르고, 건조단 (11), 연소단 (12), 또는 후연소단 (13) 의 상류측의 단부 (11b, 12b, 13b) 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과 설치면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방향 (D) 측의 각도를 스토커 경사각 (설치 각도) 이라고 부른다. 설치면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 수평면보다 상향인 경우에는, 스토커 경사각은 정 (正) 의 값으로 하고, 설치면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 수평면보다 하향인 경우에는, 스토커 경사각은 부 (負) 의 값으로 하여, 여기서는 설명한다.
스토커 (5) 는, 피소각물 (B) 의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피소각물 (B) 을 건조시키는 건조단 (11) 과, 피소각물 (B) 을 소각하는 연소단 (12) 과, 미연소분을 완전히 소각 (후연소) 하는 후연소단 (13) 을 가지고 있다. 스토커 (5) 에서는,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에서, 피소각물 (B) 을 순차 반송하면서, 각각 건조, 연소 및 후연소를 실시한다.
각각의 단 (11, 12, 13) 은, 복수의 고정 화격자 (15) 와, 복수의 이동 화격자 (16) 를 가지고 있다.
고정 화격자 (15) 와 이동 화격자 (16) 는, 반송 방향 (D) 에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동 화격자 (16) 는, 피소각물 (B) 의 반송 방향 (D) 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동 화격자 (16) 의 왕복 운동에 의해 스토커 (5) 상의 피소각물 (B) 이 반송됨과 함께 교반된다. 즉, 피소각물 (B) 의 하층부가 움직이고, 상층부와 교체된다.
건조단 (11) 은, 피더 (4) 에 의해 밀려나와 소각로 (3) 내에 낙하한 피소각물 (B) 을 받아, 피소각물 (B) 의 수분을 증발시킴과 함께 일부 열분해한다. 연소단 (12) 은, 하방의 윈드 박스 (6) 로부터 공급되는 1 차 공기에 의해, 건조단 (11) 에서 건조시킨 피소각물 (B) 에 착화시켜, 휘발분 및 고정 탄소분을 연소시킨다. 후연소단 (13) 은, 연소단 (12) 에서 연소되지 않고 통과해 온 고정 탄소분 등의 미연소분을 완전히 재가 될 때까지 연소시킨다.
후연소단 (13) 의 출구에는, 배출 슈트 (17) 가 형성되어 있다. 재는, 배출 슈트 (17) 를 통해 소각로 (3) 로부터 배출된다.
스토커로 (1) 는, 피더 (4) 의 상방에서부터 적어도 건조단 (11) 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프론트 아치 (31) 와, 배출 슈트 (17) 의 상방에서부터 적어도 후연소단 (13) 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리어 아치 (32) 를 가지고 있다. 즉, 프론트 아치 (31) 의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의 단부 (31b) 는, 건조단 (11) 또는 연소단 (12)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리어 아치 (32) 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 (32a) 는, 연소단 (12) 또는 후연소단 (13)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프론트 아치 (31) 및 리어 아치 (32) 는, 소각로 (3) 의 노벽 (33) 에 접속되어 있다. 노벽 (33) 은, 사각통형상을 이루고, 피소각물 (B) 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도출한다. 노벽 (33) 은, 반송 방향 (D) 을 향하는 전벽 (前壁) (34) 및 후벽 (後壁) (35) 과, 반송 방향 (D) 을 따르는 한 쌍의 측벽 (36) 을 가지고 있다. 전벽 (34) 과 후벽 (35) 의 간격 및 한 쌍의 측벽 (36) 끼리의 간격은, 예를 들어 3 m ∼ 4 m 이다. 또한, 전벽 (34) 은 후벽 (35) 보다 반송 방향 (D) 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사각통형상의 노벽 (33) 의 중심선 (C) 은, 연소단 (12) 상에 있다. 즉, 전벽 (34), 후벽 (35) 및 측벽 (36) 을 따라, 노벽 (33) 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 (C) 은, 연소단 (12) 과 교차한다.
2 차 공기 공급 노즐 (10) 은, 전벽 (34) 및 후벽 (35) 에 배치되어 있다. 2 차 공기 공급 노즐 (10) 은, 전벽 (34) 및 후벽 (35) 으로부터 노벽 (33) 의 중심을 향하여 2 차 공기를 분사하도록 지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 차 공기 공급 노즐 (10) 을 전벽 (34) 및 후벽 (35) 에 배치했지만, 프런트 아치 (31) 및 리어 아치 (32) 에 배치해도 된다.
프론트 아치 (31) 및 리어 아치 (32) 는, 스토커 (5) 의 천장 (상벽) 을 이루는 부위이다. 프론트 아치 (31) 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 (31a) 는, 피더 (4)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프론트 아치 (31) 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 (31a) 와 피더 (4) 의 연직 방향의 간격은, 약 1 m 이다.
프론트 아치 (31) 는,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의 단부 (31b) 가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 (31a) 보다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즉, 프론트 아치 (31) 는, 스토커 (5) 내의 공간이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리어 아치 (32) 의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의 단부 (32b) 와 후연소단 (13) 의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의 단부의 연직 방향의 간격은, 약 1 m 이다.
리어 아치 (32) 의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의 단부 (32b) 는, 배출 슈트 (17)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리어 아치 (32) 는,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의 단부 (32b) 가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 (32a) 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즉, 리어 아치 (32) 는, 스토커 (5) 내의 공간이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의 각각은, 이동 화격자 (16) 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 (18) 를 가지고 있다. 즉,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은, 복수의 이동 화격자 (16) 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 (18) 를 각각 별개로 가지고 있다.
구동 기구 (18) 는, 스토커 (5) 에 형성되어 있는 보 (梁) (19) 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구 (18) 는, 보 (19) 에 장착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 (20) 와, 유압 실린더 (20) 에 의해 동작하는 아암 (21) 과, 아암 (21) 의 선단에 접속되어 있는 빔 (22) 을 가지고 있다. 빔 (22) 과 이동 화격자 (16) 는, 브래킷 (23)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기구 (18) 에 따르면, 유압 실린더 (20) 의 로드의 신축에 의해, 아암 (21) 이 동작한다. 아암 (21) 의 동작에 동반하여, 건조단 (11) 의 설치면 (11a), 연소단의 설치면 (12a), 후연소단 (13) 의 설치면 (13a) 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빔 (22) 이 이동하여, 빔 (22) 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화격자 (16) 가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기구 (18) 는, 유압 실린더 (20) 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압 모터, 전동 실린더, 전도 리니어 모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구 (18) 의 형태는, 상기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화격자 (16) 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아암 (21) 을 배치하지 않고, 빔 (22) 과 유압 실린더 (20) 를 직결하여 구동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스토커로 (1) 는,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에 있어서의 이동 화격자 (16) 의 구동의 속도를, 서로 동일한 속도 또는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이한 속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소단 (12) 에서 충분히 연소시킬 것이 요구되는 피소각물 (B) 이 투입된 경우에, 연소단 (12) 의 이동 화격자 (16) 의 구동의 속도를 느리게 하여, 연소단 (12) 상의 피소각물 (B) 의 반송 속도를 느리게 해서, 충분히 연소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화격자 (15) 및 이동 화격자 (16) 는,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의 각각의 설치면 (11a, 12a, 13a) 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건조단 (11) 의 이동 화격자 (16) 의 일부는,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이다 (그 밖의 것은, 후술하는 노멀 화격자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단 (11) 의 반송 방향의 길이 중,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부터 50 % 내지 80 % 의 범위 (R1) 의 이동 화격자 (16) 가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로 되어 있다.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를 사용함으로써, 교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는, 판형상의 화격자 본체 (25) 와, 화격자 본체 (25) 의 선단에 형성된 삼각 형상의 돌기 (26) 를 가지고 있다. 돌기 (26) 는, 화격자 본체 (25) 의 상면에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 (26)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이나, 둥근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3 의 고정 화격자 (15) 는, 선단의 상면에 돌기가 없는 화격자이고, 이 형상을 노멀 화격자라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화격자 (16) 만을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화격자 (16) 및 고정 화격자 (15) 의 양방을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로 해도 된다.
또한,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를 형성하는 범위도 상기 서술한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건조단 (11) 의 모든 화격자를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로 해도 된다.
또한, 피소각물 (B) 의 성상이나 종류에 따라서는, 건조단에서의 모든 화격자 (고정 화격자 및 이동 화격자) 를 노멀 화격자로 해도 된다.
건조단 (11) 과 마찬가지로, 연소단 (12) 의 이동 화격자 (16) 중 일부는,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이다. 구체적으로는, 연소단 (12) 의 반송 방향의 길이 중,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부터 50 % 내지 80 % 의 범위 (R2) 의 이동 화격자 (16) 가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로 되어 있다. 연소단 (12) 의 그 밖의 이동 화격자 (16) 는, 노멀 화격자이다. 건조단과 마찬가지로, 피소각물 (B) 의 성상이나 종류에 따라서, 이동 화격자 (16) 및 고정 화격자 (15) 의 양방을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로 해도 되고, 모든 화격자 (고정 화격자 및 이동 화격자) 를 노멀 화격자로 해도 된다.
후연소단 (13) 의 화격자는, 도 2 에서는 이동 화격자 (16) 및 고정 화격자 (15) 는 어느 것이나 모두 노멀 화격자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건조단 (11) 및 연소단 (12) 과 마찬가지로,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6P) 를 채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의 스토커 경사각 (설치 각도) 에 대하여 설명한다.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은, 그 주면이 주연소부 (M) 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여기서, 주연소부 (M) 는, 피소각물 (B) 의 연소에 의해, 사각통형상의 노벽 (33) 의 하단부 근방 (바꿔 말하면, 프론트 아치 (31) 의 단부 (31b) 및 리어 아치 (32) 의 단부 (32a) 의 근방) 으로서, 노벽 (33) 의 중심선 (C) 근방이면서 또한 피소각물 (B) 의 상방에 발생하는 부위이다. 주연소부 (M) 의 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 (H) 은, 주연소부 (M) 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발산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토커 (5) 의 건조단 (11) 은 하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건조단 (11) 의 설치면 (11a) 은,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조단 (11) 의 상류측의 단부 (11b) 를 중심으로 한 수평면과 설치면 (11a) 의 반송 방향측의 각도인 건조단 (11) 의 스토커 경사각 (θ1) 은, -15°(마이너스 15 도) 에서 -25°(마이너스 25 도) 사이의 각도이다.
이것에 의해, 건조단 (11) 의 주면 (설치면 (11a)) 은, 주연소부 (M) 를 향하고, 복사열 (H) 을 효율적으로 받는다.
본 실시형태의 스토커 (5) 의 연소단 (12) 은 상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연소단 (12) 의 설치면 (12a) 은,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이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소단 (12) 의 상류측의 단부 (12b) 를 중심으로 한 수평면과 설치면 (12a) 의 반송 방향측의 각도인 연소단 (12) 의 스토커 경사각 (θ2) 은, +5°(플러스 5 도) 에서 +15°(플러스 15 도) 사이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8°(플러스 8 도) 에서 +12°(플러스 12 도) 사이의 각도이다.
이것에 의해, 연소단 (12) 의 주면 (설치면(12a))은, 주연소부 (M) 를 향하고, 복사열 (H) 을 효율적으로 받는다.
본 실시형태의 스토커 (5) 의 후연소단 (13) 은 상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후연소단 (13) 의 설치면 (13a) 은,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이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후연소단 (13) 의 상류측의 단부 (13b) 를 중심으로 한 수평면과 설치면 (13a) 의 반송 방향측의 각도인 후연소단 (13) 의 스토커 경사각 (θ3) 은, 연소단 (12) 의 스토커 경사각 (θ2) 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연소단 (13) 의 상류측의 단부 (13b) 를 중심으로 한 수평면과 설치면 (13a) 의 반송 방향측의 각도인 후연소단 (13) 의 스토커 경사각 (θ3) 은, +5°(플러스 5 도) 에서 +15°(플러스 15 도) 사이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8°(플러스 8 도) 에서 +12°(플러스 12 도) 사이의 각도이다.
이것에 의해, 후연소단 (13) 의 주면 (설치면 (13a)) 은, 주연소부 (M) 를 향하고, 복사열 (H) 을 효율적으로 받는다.
또한, 후연소단 (13) 의 스토커 경사각 (θ3) 은, θ2 ≠ θ3 으로 해도 되고, 또한 θ2 = θ3 이어도 된다.
건조단 (11) 과 연소단 (12) 의 사이에는, 단차 (낙차벽) (27) 가 형성되어 있다. 건조단 (11)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11c) 는, 연소단 (12) 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 (12b) 보다 연직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소단 (12) 과 후연소단 (13) 의 사이에는 단차 (낙차벽) 가 없다. 즉, 연소단 (12) 과 후연소단 (13) 은,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소단 (12) 과 후연소단 (13) 은, 연소단 (12)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12c) 와 후연소단 (13) 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 (13b) 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후연소단 (13) 의 단부 (13c) 가 연소단 (12) 의 단부 (12c) 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건조단 (11) 의 스토커 경사각을 -15°(마이너스 15 도) 에서 -25°(마이너스 25 도) 사이의 각도로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건조단 (11) 의 기능은, 피소각물 (B) 의 상방에 있는 주연소부 (M) 로부터의 복사열 (H) 및 화격자 아래로부터의 1 차 공기의 현열 (顯熱) 에 의해 효율적으로 피소각물 (B) 중의 수분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주연소부 (M) 의 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 (H) 쪽이, 1 차 공기의 현열에 비해 건조에 대한 기여도가 높아, 피소각물 (B) 의 상층부의 건조가 진행되기 쉽다.
이 때문에, 화격자에 의한 교반 동작에 의해서, 피소각물 (B) 의 하층부를 상방으로 움직이고, 상층부와 교체함으로써 건조 속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교반 동작을 실시해도, 건조단 (11) 에 있어서, 수분 증발이 충분히 진행될 만큼의 길이의 확보는 필요해진다.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장치가 대형화되고 비용도 소요되므로, 스토커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스토커 경사각의 절대값이 피소각물 (B) 의 안식각보다 크면, 자중에 의해 무너져, 피소각물 (B) 의 층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스토커 (5) 로서 성립되지 않는다. 한편, 스토커 경사각의 절대값을 피소각물 (B) 의 안식각보다 작게 해 나가면, 스토커로서 성립되지만, 피소각물 (B) 의 중력에 의한 이동 (자중에 의한 이동) 이 감소해 간다. 또한, 설치면이 상향, 즉 스토커 경사각이 정의 값 (플러스값) 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 중력은 피소각물 (B) 을 반송 방향으로부터 밀어 되돌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스토커 (5) 에 의한 피소각물 (B) 의 반송량이 투입된 피소각물 (B) 의 양을 하회하면, 반송 한계가 되어 처리 불능이 된다.
최적의 스토커 경사각은, 투입되는 피소각물 (B) 의 양과 피소각물 (B) 의 함수율에 따라 상이하다. 여기서는, 투입되는 피소각물 (B) 의 양이 많고 또한 함수율이 높은 (수분량이 많은) 경우를, 투입 피소각물 부하가 큰 경우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반대로, 투입되는 피소각물 (B) 의 양이 적고 또한 함수율이 낮은 경우는, 투입 피소각물 부하가 작은 경우가 된다.
도 4 는, 가로축을 건조단 (11) 의 스토커 경사각, 세로축을 건조단 (11) 의 필요 스토커 길이로 하고, 투입 피소각물 부하가 가장 큰 경우 (1) 부터 순서대로, 투입 피소각물 부하가 가장 작은 경우 (4) 까지, 건조단 (11) 의 스토커 경사각과 건조단 (11) 의 필요 스토커 길이와의 관계를 플롯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필요 스토커 길이란, 투입되는 피소각물 (B) 의 수분의 95 % 가 건조되는 거리이다. 가로축의 「안식각」은, 피소각물 (B) 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 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커 경사각 -30°가 피소각물 (B) 의 층을 형성하는 한계이다. 이 층 형성 한계의 스토커 경사각에 대하여, 스토커 경사각이 완만해짐에 따라서, 필요 스토커 길이는 감소하지만, 스토커 경사각이 정의 값으로 바뀌면, 필요 스토커 길이는 서서히 길어진다. 이것은, 스토커 경사각이 정의 값이 되면, 설치면이 상향이 되고, 반송 속도가 느려지는 결과, 피소각물 (B) 의 층이 두꺼워져, 하층부의 피소각물 (B) 의 건조가 진행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투입되는 피소각물 (B) 의 부하가 가장 큰 경우 (1) 부터 투입되는 피소각물 (B) 의 부하가 가장 작은 경우 (4) 까지의 4 개의 케이스로부터, 피소각물 (B) 을 어떠한 성상, 양이어도 적정하게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스토커 길이를 가장 짧게 할 수 있는 최적의 건조단 (11) 의 스토커 경사각은, (1) 의 곡선의 최하점 근방의 스토커 길이에 대응하는 -15°(마이너스 15 도) 에서 -25°(마이너스 25 도) 사이의 각도가 적정 범위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최적값은 -20°(마이너스 20 도) 가 된다.
다음으로, 건조단 (11) 의 스토커 경사각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적정 범위의 것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연소단 (12) 의 스토커 경사각을 +8°(플러스 8 도) 내지 +12°(플러스 12 도) 사이의 각도로 하는 것이 적합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소단 (12) 의 기능은, 주연소부 (M) 의 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 (H), 자기 연소열에 의해 피소각물 (B) 의 층의 온도를 유지하고, 휘발분의 열분해에 의한 가연 가스의 발생 촉진, 열분해 후에 남은 고정 탄소의 연소를 실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휘발성 가연 가스의 휘발에 필요로 하는 시간에 비해 고정 탄소의 연소에 필요로 하는 시간 쪽이 길기 때문에, 연소단 (12) 의 필요 스토커 길이는, 고정 탄소의 연소에 필요한 시간에 따라 정해진다.
도 5 는, 건조단 (11) 의 스토커 경사각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적정 범위의 것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가로축을 연소단의 스토커 경사각, 세로축을 연소단의 필요 스토커 길이로 하고, 투입 피소각물 부하가 가장 큰 경우 (1) 부터 순서대로, 투입 피소각물 부하가 가장 작은 경우 (4) 까지, 연소단의 스토커 경사각과 연소단의 필요 스토커 길이와의 관계를 플롯한 것이다. 여기서, 연소단의 필요 스토커 길이란, 가연분의 95 % 가 휘발 또는 연소되는 거리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커 경사각 -30°가 피소각물 (B) 의 층을 형성하는 한계이다. 이 층 형성 한계의 스토커 경사각에 대하여, 각도가 완만해짐에 따라서, 필요 스토커 길이는 감소한다. 반송 한계를 고려하면, 스토커 경사각의 적정 범위는, 도 5 에 나타내는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는 범위로 할 수 있다.
건조단 (11) 에 있어서 투입 피소각물 부하가 큰 경우라도, 건조단 (11) 은 스토커 경사각이 적정 범위이기 때문에, 쓰레기의 함수율 저감 및 체적 감소가 촉진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건조단 (11) 에서 부하가 (1) 에 상당하는 것이라도 연소단 (12) 에서는 부하는 (3), (4) 에 상당하는 것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연소단 (12) 에서는, 보다 큰 스토커 경사각을 채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연소단을 상향으로 할 수 있음으로써 고정 탄소의 연소에 필요한 체류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스토커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도 6 은, 가로축을 연소단 (12) 의 스토커 경사각, 세로축을 건조단 (11) 과 연소단 (12) 의 양방에서 필요한 스토커 길이로 하고, 투입되는 피소각물 (B) 의 부하가 가장 큰 경우 (1) 부터 순서대로, 투입되는 피소각물 (B) 의 부하가 가장 작은 경우 (4) 까지, 연소단 (12) 의 스토커 경사각과 건조단 (11) 과 연소단 (12) 의 양방에서 필요한 스토커 길이와의 관계를 플롯한 것이다. 여기서, 건조단 (11) 의 스토커 경사각은 최적값인 -20°(마이너스 20 도) 로 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한계를 고려하면, 연소단 (12) 의 스토커 경사각의 적정 범위는, 대략 +5°(플러스 5 도) 에서 +15°(플러스 15 도) 사이의 각도, 보다 상세하게는 +8°(플러스 8 도) 내지 +12°(플러스 12 도) 사이의 각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건조단 (11) 의 스토커 경사각이 최적값인 -20°(마이너스 20 도) 인 경우, 연소단 (12) 의 스토커 경사각의 최적값은 +10°(+10 도) 이다.
건조단 (11) 과 연소단 (12) 의 필요 스토커 길이는, 각각의 스토커 경사각을 적정 범위, 특히 최적값으로 함으로써 가능한 한 짧은 스토커 길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후연소단 (13) 까지 포함시켜도, 비교적 작은 사이즈이면서 또한 저비용의 스토커로로 할 수 있다.
또한, 후연소단 (13) 의 스토커 경사각 (θ3) 은, 상기 서술한 연소단 (12) 의 스토커 경사각 (θ2) 과 동일한 각도 범위 내에서 θ2 ≠ θ3 으로 해도 되고, 또, θ2 = θ3 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의 주면이 주연소부 (M) 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주연소부 (M) 의 복사열 (H) 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건조단 (11) 에서는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연소단 (12) 에서는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연소단 (13) 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피소각물 (B) 을 회화할 수 있다.
또, 건조단 (11) 이 하향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어떠한 성상의 피소각물 (B) 이라도 연소단 (12) 까지 정체없이 반송할 수 있고, 또한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은 상향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연소단 (12) 의 하류에 피소각물 (B) 이 쉽게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굴러 떨어지거나 하지 않고, 충분히 연소되어 반송된다.
즉, 미끄러지기 쉬운 소재 또는 굴러가기 쉬운 형상의 피소각물 (B) 의 경우, 건조단 (11) 을 굴러가는 등 하여 연소단 (12) 까지 조기에 반송되므로, 건조단 (11) 에서는 충분히 건조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연소단 (12) 과 후연소단 (13) 이 상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건조단 (11) 에서 굴러 떨어진 피소각물 (B) 이 연소단 (12) 과 후연소단 (13) 에서 다시 굴러 떨어지는 일 없이, 연소단 (12) 에서 반드시 충분히 건조, 소각이 이루어진다. 함수율이 높은 피소각물 (B) 은, 건조단 (11) 에 체류하지 않고, 건조되면서 연소단 (12) 으로 반송되므로, 역시 마찬가지로 연소단 (12) 에서 반드시 충분히 소각된다.
이로써, 피소각물의 성상에 상관없이 피소각물 (B) 을 연속 투입할 수 있고, 또한 피소각물 (B) 의 불완전 연소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만일 건조단 (11) 을 굴러 떨어진 피소각물 (B) 의 기세가 강하여, 연소단 (12) 을 그 기세로 통과했다고 해도, 후연소단 (13)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13c) 는 연소단 (12)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12c) 보다 연직 방향에서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적어도 후연소단 (13) 에서 정지하여, 후연소단 (13) 으로부터 배출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후연소단 (13) 과 연소단 (12) 이 단차 없이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만일, 후연소단 (13) 까지 충분히 연소되지 않은 피소각물 (B) 이 구르거나 하여 진행되었다고 해도, 자중에 의해 연소단 (12) 까지 되돌려져, 연소를 실시할 수 있다. 즉, 불완전하게 연소된 피소각물 (B) 의 배출을 최대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사각통형상의 노벽 (33) 의 중심선 (C) 이 연소단 (12) 상에 있음으로써, 주연소부 (M) 의 위치를 연소단 (12) 상으로 하고, 건조단 (11), 연소단 (12) 및 후연소단 (13) 에 효율적으로 복사열 (H) 을 쏘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스토커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토커 (5) 의 연소단 (12) 과 후연소단 (13) 사이에는 단차 (낙차벽) (28) 가 형성되어 있다.
연소단 (12)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12c) 와 후연소단 (13)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13c) 는, 연직 방향에서 동일 위치이거나, 또는 후연소단 (13) 의 단부 (13c) 가 연소단 (12) 의 단부 (12c) 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토커로 (1) 는, 연소단 (12)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12c) 와 후연소단 (13) 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13c) 를, 연직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로 한 예이다.
이로써, 만일 건조단 (11) 에서 피소각물 (B) 이 굴러 떨어지거나 한 경우에 있어서도, 피소각물 (B) 이 충분히 연소되지 않은 채로 후연소단 (13) 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화격자 (15, 16) 의 선단이 반송 방향 하류측 (D1) 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건조단 (11) 의 화격자 (15, 16) 의 선단이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1 : 스토커로
2 : 호퍼
3 : 소각로
4 : 피더
5 : 스토커
6 : 윈드 박스
7 : 피드 테이블
8 : 피더 구동 장치
9 : 연소실
10 : 2 차 공기 공급 노즐
11 : 건조단
11a : 건조단 설치면
12 : 연소단
12a : 연소단 설치면
13 : 후연소단
13a : 후연소단 설치면
15 : 고정 화격자
16 : 이동 화격자
16P : 돌기가 형성된 화격자
17 : 배출 슈트
18 : 구동 기구
19 : 보
20 : 유압 실린더
21 : 아암
22 : 빔
23 : 브래킷
25 : 화격자 본체
26 : 돌기
27. 28 : 단차 (낙차벽)
31 : 프론트 아치
32 : 리어 아치
33 : 노벽
34 : 전벽
35 : 후벽
36 : 측벽
B : 피소각물
C : 중심선
D : 반송 방향
D1 : 반송 방향 하류측
H : 복사열
M : 주연소부
θ1, θ2, θ3 : 스토커 경사각

Claims (6)

  1. 피더로부터 피소각물을 공급하고, 복수의 고정 화격자와 복수의 이동 화격자를 구비한 건조단, 연소단, 및 후연소단에서, 상기 피소각물을 순차 반송하면서, 각각 건조, 연소, 및 후연소를 실시하고, 상기 후연소단에 접속된 배출 슈트로부터 상기 후연소 후의 상기 피소각물을 배출하는 스토커로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상방에서부터 상기 건조단 또는 상기 연소단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프론트 아치와,
    상기 배출 슈트의 상방에서부터 상기 후연소단 또는 상기 연소단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리어 아치와,
    상기 프론트 아치와 상기 리어 아치에 접속되고, 상기 피소각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도출하는 사각통형상의 노벽을 갖고,
    상기 건조단, 상기 연소단 및 상기 후연소단의 각각의 주면이, 상기 연소단의 상방에 생성되는 주연소부를 향하도록, 상기 건조단은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하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연소단은 상기 건조단에 접속되고,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후연소단은, 상기 연소단에 접속되고,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통형상의 노벽의 중심선은, 상기 연소단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연소단의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소단의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와 동일 위치, 또는 상기 연소단의 상기 단부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화격자 및 상기 이동 화격자는, 상기 건조단, 상기 연소단, 및 상기 후연소단의 설치면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단과 상기 후연소단은, 단차 없이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로.
  6. 피더로부터 피소각물을 공급하고, 복수의 고정 화격자와 복수의 이동 화격자를 구비한 건조단, 연소단, 및 후연소단에서, 상기 피소각물을 순차 반송하면서, 각각 건조, 연소, 및 후연소를 실시하고, 상기 후연소단에 접속된 배출 슈트로부터 상기 후연소 후의 상기 피소각물을 배출하는 스토커로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상방에서부터 상기 건조단 또는 상기 연소단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프론트 아치와,
    상기 배출 슈트의 상방에서부터 상기 후연소단 또는 상기 연소단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리어 아치와,
    상기 프론트 아치와 상기 리어 아치에 접속되고, 상기 피소각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도출하는 노벽을 갖고,
    상기 건조단, 상기 연소단 및 상기 후연소단의 각각의 주면이, 상기 연소단의 상방에 생성되는 주연소부를 향하도록, 상기 건조단은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하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연소단은 상기 건조단에 접속되고,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후연소단은, 상기 연소단에 접속되고,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향이 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로.
KR1020217008988A 2018-08-30 2018-10-26 스토커로 KR102318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1818 2018-08-30
JP2018161818A JP6484874B1 (ja) 2018-08-30 2018-08-30 ストーカ炉
PCT/JP2018/039873 WO2020044578A1 (ja) 2018-08-30 2018-10-26 ストーカ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160A KR20210040160A (ko) 2021-04-12
KR102318471B1 true KR102318471B1 (ko) 2021-10-27

Family

ID=6580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988A KR102318471B1 (ko) 2018-08-30 2018-10-26 스토커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845805A4 (ko)
JP (1) JP6484874B1 (ko)
KR (1) KR102318471B1 (ko)
CN (1) CN111133252A (ko)
BR (1) BR112020007994B1 (ko)
PH (1) PH12020550233A1 (ko)
RU (1) RU2751531C1 (ko)
SG (1) SG11202003072YA (ko)
TW (1) TWI706112B (ko)
WO (1) WO2020044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3794A (zh) * 2020-07-28 2020-10-30 广州市顺创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固体废物处理用焚烧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1747A (ja) 2007-11-15 2009-06-04 Hitachi Zosen Corp 二次燃焼室における二次燃焼空気の吹き込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8370C3 (de) * 1973-07-28 1978-09-21 Johannes Josef Dr.-Ing. Martin Feuerung mit drei stufenförmig hintereinander angeordneten Einzelrosten
CH567230A5 (ko) * 1973-10-08 1975-09-30 Kuenstler Hans
JPS6019943B2 (ja) 1980-06-25 1985-05-18 大日本塗料株式会社 防食被覆組成物
JPS57127129A (en) 1981-01-30 1982-08-07 Atsugi Motor Parts Co Ltd Fluid coupler
JPS5986814A (ja) * 1982-11-10 1984-05-19 Sanki Eng Co Ltd ごみ焼却炉における自動燃焼制御方法
JPH0684140A (ja) 1992-09-07 1994-03-25 Fujitsu Ltd 接触型薄膜磁気ヘッド
JPH06265125A (ja) 1993-03-15 1994-09-20 Unitika Ltd ごみ焼却炉の火格子
RU2088850C1 (ru) * 1994-04-05 1997-08-27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ЭНЭКО" Механическая топка
RU94038626A (ru) * 1994-10-14 1996-09-10 Чамин В.А.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высоковлажных отходов и коры
JP3794753B2 (ja) * 1996-04-10 2006-07-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ごみ等の被焼却物燃焼用ストーカ炉
CN1285857C (zh) * 2003-04-22 2006-11-22 株式会社田熊 用于机动炉排燃烧装置中的炉篦和用于炉篦形成的炉篦体
JP5712053B2 (ja) 2010-07-15 2015-05-07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KR101438578B1 (ko) * 2014-05-22 2014-09-12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화격자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와 소각로
CN205261569U (zh) * 2015-12-29 2016-05-25 重庆科技学院 双层机械炉排式垃圾气化焚烧系统
CN205979803U (zh) * 2016-07-29 2017-02-22 北京航天动力研究所 交替运动式炉排垃圾焚烧炉
JP6825445B2 (ja) 2017-03-27 2021-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収容ユニットおよび収容ユニットの液体量管理方法
JP6397107B1 (ja) * 2017-10-17 2018-09-26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ごみ等の被焼却物燃焼用ストーカ炉
JP6393822B1 (ja) * 2017-12-28 2018-09-19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トーカ炉用シール装置及びストーカ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1747A (ja) 2007-11-15 2009-06-04 Hitachi Zosen Corp 二次燃焼室における二次燃焼空気の吹き込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4578A1 (ja) 2020-03-05
BR112020007994A2 (pt) 2020-06-23
EP3845805A1 (en) 2021-07-07
TW202012847A (zh) 2020-04-01
PH12020550233A1 (en) 2021-02-08
BR112020007994B1 (pt) 2020-12-01
KR20210040160A (ko) 2021-04-12
EP3845805A4 (en) 2022-08-17
RU2751531C1 (ru) 2021-07-14
JP2020034233A (ja) 2020-03-05
TWI706112B (zh) 2020-10-01
CN111133252A (zh) 2020-05-08
JP6484874B1 (ja) 2019-03-20
SG11202003072YA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37328B (zh) 被焚烧物燃烧用机械炉排炉
KR102318973B1 (ko) 스토커로
KR102318471B1 (ko) 스토커로
JP6393822B1 (ja) ストーカ炉用シール装置及びストーカ炉
JP6481231B1 (ja) ストーカ炉
JP3219379U (ja) ストーカ炉
JP2019199991A (ja) 廃棄物焼却炉及び廃棄物焼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