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839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839B1
KR102317839B1 KR1020180170957A KR20180170957A KR102317839B1 KR 102317839 B1 KR102317839 B1 KR 102317839B1 KR 1020180170957 A KR1020180170957 A KR 1020180170957A KR 20180170957 A KR20180170957 A KR 20180170957A KR 102317839 B1 KR102317839 B1 KR 102317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generating device
cap
case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948A (ko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8017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8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본체부,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 리브부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함몰부가 내면에 형성된 캡부, 및 리브부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홈부가 내면에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캡부는 본체부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에 결합되고 케이스부는 본체부의 타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에 결합되며, 본체부에 캡부와 케이스부가 모두 결합될 때, 함몰부는 리브부의 일 부분을 수용하고 홈부는 리브부의 타 부분을 수용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의 치수 공차로 인하여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 시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본체를 덮는 캡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본체와 캡의 사이에 마찰력을 이용하는 끼워 맞춤방식의 구조가 사용된다. 다만, 끼워 맞춤방식을 이용한 결합 구조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각 구성 요소를 제조할 때 필수적으로 존재하는 치수 공차로 인하여 구성 요소들이 서로 결합할 때 구성 요소들 사이에 유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와 캡을 제조할 때 본체로 및 캡의 각각에는 치수 공차가 존재한다. 치수 공차의 존재로 인하여 본체에 캡이 결합할 때 본체와 캡의 사이에 조립 단차(段差)가 발생하여 본체와 캡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게 하는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를 제조할 때 발생하는 치수 공차로 인하여 본체 및 캡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의 기밀성이 감소되어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이 헐겁게 된다. 이로 인해 제품이 손상되거나 유실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구적인 완성도 및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단차에 따른 유격의 발생을 감소시켜 제품의 손상 및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구적인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수단 및 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의 사이의 치수 공차로 인한 조립 단차(段差)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리브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리브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 상기 리브부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함몰부가 내면에 형성된 캡부, 및 상기 리브부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홈부가 내면에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캡부와 상기 케이스부가 모두 결합될 때, 상기 함몰부는 상기 리브부의 일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리브부의 타 부분을 수용한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부의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단면은 다각형, 원호(圓弧), 또는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면을 갖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1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1 리브부 및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 1 축을 가로지르는 제 2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2 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브부는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캡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제 2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리브부는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캡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제 1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브부의 상기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홈부의 상기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브부의 상기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홈부의 상기 제 1 축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리브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리브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의 제조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치수 공차로 인한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각 구성 요소들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은 서로에 대하여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하여 편향되어 결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구적 완성도 및 품질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리브부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캡부와 본체부 사이의 결합 부분을 제 1 축 및 제 2 축에 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본체와 케이스부 사이의 결합 부분을 제 1 축 및 제 2 축에 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본체부의 중심축에 대한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도식화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a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본체부의 중심축에 대한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도식화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캡부(110), 본체부(120), 리브부(125), 및 케이스부(13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본체부(120), 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125), 리브부(125)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함몰부(115)가 내면에 형성된 캡부(110), 및 리브부(125)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홈부(135)가 내면에 형성된 케이스부(130)를 포함하고, 캡부(110)는 본체부(120)의 일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에 결합되고 케이스부(130)는 본체부(120)의 타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에 결합되며, 본체부(120)에 캡부(110)와 케이스부(130)가 모두 결합될 때, 함몰부(115)는 리브부(125)의 일 부분을 수용하고 홈부(135)는 리브부(125)의 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본체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20)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20)는 배터리, 제어부, 및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내부 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0)는 액체 카트리지를 본체부(120)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액체 카트리지 내부의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증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증기화기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부(120)는 액체 카트리지를 수용한 후 증기화기를 통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궐련과 액체 카트리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궐련과 액체 카트리지를 함께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20)는 궐련이 본체부(120)에 삽입되면, 본체부(120)는 증기화기를 작동시켜, 증기화기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화기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체부(120)에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할 때 본체부(120)의 형상은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부(12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는데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은 본체부(12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사각기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리브부(125)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함몰부(115)가 내면에 형성된 캡부(110) 및 리브부(125)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홈부(135)가 내면에 형성된 케이스부(13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길이 방향 단면도인 도 1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을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는 각각 본체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캡부(110)는 본체부(120)의 일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에 결합되고 케이스부(130)는 본체부(120)의 타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에 결합된다. 캡부(110)는 본체부(120)의 일 측 부분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117)을 포함할 수 있고, 케이스부(130)는 본체부(120)의 타 측 부분을 수용하는 제 2 수용 공간(137)을 포함할 수 있다.
캡부(110)가 본체부(120)의 일 측 부분을 수용하고 케이스부(130)가 본체부(120)의 타 측 부분을 수용함에 따라 캡부(110)의 외면과 케이스부(130)의 외면은 서로 접촉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캡부(110)의 내면에 형성된 함몰부(115)는 리브부(125)의 일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함몰부(115)의 형상 및 크기는 리브부(125)의 일 부분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캡부(110)가 본체부(120)의 일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에 결합될 때 함몰부(115)는 리브부(125)의 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 같이 리브부(125)의 일 부분이 사각기둥 형상일 때 캡부(110)의 함몰부(115)는 사각기둥 형상을 수용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리브부(125)의 일 부분은 함몰부(115)에 수용되어 리브부(125)의 일 부분의 외면과 함몰부(115)의 외면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다만, 리브부(125)와 함몰부(115)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한 리브부(125)와 함몰부(115)의 형상 및 크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케이스부(130)의 내면에 형성된 홈부(135)는 리브부(125)의 타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홈부(135)의 형상 및 크기는 리브부(125)의 타 부분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케이스부(130)가 본체부(120)의 타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에 결합될 때 홈부(135)는 리브부(125)의 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와 같이 리브부(125)의 타 부분이 사각기둥 형상일 때 케이스부(130)의 홈부(135)는 사각기둥 형상을 수용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리브부(125)의 타 부분은 홈부(135)에 수용되어 리브부(125)의 타 부분의 외면은 홈부(135)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다만, 리브부(125)와 홈부(135)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한 리브부(125)와 홈부(135)의 형상 및 크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이하 횡방향)에서의 리브부(125)의 단면도이다.
리브부(125)의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단면은 다각형, 원호(圓弧), 또는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면을 갖는 다각형일 수 있다.
리브부(125)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각형의 횡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브부(125)의 횡방향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리브부(125)는 사각형의 횡방향 단면을 가지며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사각형의 횡방향 단면을 가지며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된 리브부(125)는 사각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리브부(125)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함몰부(115) 및 리브부(125)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홈부(135)는 사각기둥의 일 부분과 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브부(125)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호(圓弧)의 횡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리브부(125)는 원의 적어도 일 부분을 단면으로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원은 타원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부(125)는 원호의 횡방향 단면을 가지며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원호의 횡방향 단면을 가지며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부(125)는 원(호)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리브부(125)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함몰부(115) 및 리브부(125)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홈부(135)는 원(호)기둥의 일 부분과 타 부분을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리브부(125)의 횡방향 단면은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면을 갖는 다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의 횡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리브부(125)는 테이퍼드 형상의 횡방향 단면을 가지며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리브부(125)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함몰부(115) 및 리브부(125)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홈부(135)는 테이퍼드 형상의 횡방향 단면을 갖는 기둥의 일 부분과 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a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캡부(110)와 본체부(120) 사이의 결합 부분을 제 1 축 및 제 2 축에 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본체와 케이스부(130) 사이의 결합 부분을 제 1 축 및 제 2 축에 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을 보다 상세히 알아본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1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1 리브부(125a) 및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과 제 1 축을 가로지르는 제 2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2 리브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는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1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는 제 1 축 방향을 따라 본체부(120)의 중심축에 대칭되도록 2 개가 위치할 수 있으나 제 1 리브부(125a)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리브부(125b)는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과 제 1 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 2 리브부(125b)는 제 2 축 방향을 따라 본체부(120)의 중심축에 대칭되도록 2 개가 위치할 수 있으나 제 2 리브부(125b)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캡부(110)와 본체부(120)의 사이의 결합을 제 1 축 및 제 2 축에 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인 3a를 참조하면 본체부(120)에 캡부(110)가 결합된 모습을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의 일 부분 및 제 2 리브부(125b)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함몰부(115)가 캡부(11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캡부(110)가 본체부(120)에 결합될 때 함몰부(115)는 제 1 리브부(125a)의 일 부분과 제 2 리브부(125b)의 일 부분을 각각 수용할 수 있으며, 함몰부(115)의 개수는 제 1 리브부(125a) 및 제 2 리브부(125b)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개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115)는 제 1 리브부(125a) 및 제 2 리브부(125b)가 각각 2 개일 때 제 1 리브부(125a) 및 제 2 리브부(125b)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도록 4 개일 수 있으나 제 1 리브부(125a), 제 2 리브부(125b), 및 함몰부(115)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함몰부(115)의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제 1 리브부(125a) 및 제 2 리브부(125b)의 크기,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음은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는 함몰부(115)에 수용되어 캡부(110)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제 2 리브부(125b)는 함몰부(115)에 수용되어 캡부(110)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 1 리브부(125a)와 제 2 리브부(125b)는 캡부(110)의 함몰부(115)에 수용되어 캡부(110)의 본체부(120)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여 유격(裕隔)을 최소화함으로써 구성 요소들의 사이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제 1 리브부(125a)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은 함몰부(115)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 2 리브부(125b)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은 함몰부(115)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리브부(125a)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과 함몰부(115)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 1 리브부(125a)가 함몰부(115)에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리브부(125b)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과 함몰부(115)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 2 리브부(125b)가 함몰부(115)에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가 캡부(110)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제 2 리브부(125b)가 캡부(110)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함에 따라 캡부(110)와 본체부(120)는 서로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캡부(110)와 본체부(120)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됨에 따라 캡부(110)의 중심축과 본체부(120)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될 수 있으며 캡부(110)가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부(110)의 본체부(120)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여 유격(裕隔)을 최소화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기구적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케이스부(130)와 본체부(120)의 사이의 결합을 제 1 축 및 제 2 축에 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인 3b를 참조하면 본체부(120)에 케이스부(130)가 결합된 모습을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의 타 부분 및 제 2 리브부(125b)의 타 부분을 수용하는 홈부(135)가 케이스부(13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130)가 본체부(120)에 결합될 때 홈부(135)는 제 1 리브부(125a)의 타 부분과 제 2 리브부(125b)의 타 부분을 각각 수용할 수 있으며, 홈부(135)의 개수는 제 1 리브부(125a) 및 제 2 리브부(125b)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개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부(135)는 제 1 리브부(125a) 및 제 2 리브부(125b)가 각각 2 개일 때 제 1 리브부(125a) 및 제 2 리브부(125b)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도록 4 개일 수 있으나 제 1 리브부(125a), 제 2 리브부(125b), 및 홈부(135)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홈부(135)의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제 1 리브부(125a) 및 제 2 리브부(125b)의 크기,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음은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는 홈부(135)에 수용되어 케이스부(130)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제 2 리브부(125b)는 홈부(135)에 수용되어 케이스부(130)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 1 리브부(125a)와 제 2 리브부(125b)는 케이스부(130)의 홈부(135)에 수용되어 케이스부(130)의 본체부(120)에 대한 대한 이동을 제한하여 유격(裕隔)을 최소화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기구적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리브부(125a)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은 홈부(135)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 2 리브부(125b)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은 홈부(135)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리브부(125a)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과 홈부(135)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 1 리브부(125a)가 홈부(135)에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리브부(125b)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과 홈부(135)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 2 리브부(125b)가 홈부(135)에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가 케이스부(130)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제 2 리브부(125b)가 케이스부(130)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함에 따라 케이스부(130)와 본체부(120)는 서로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케이스부(130)와 본체부(120)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됨에 따라 케이스부(130)의 중심축과 본체부(120)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부(130)가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30)의 본체부(120)에 대한 유격을 제한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기구적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125)와 이에 대응되는 함몰부(115) 및 홈부(135)를 통한 결합으로써 유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를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본체부(1200)의 중심축에 대한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도식화한 단면도들인 도 3 및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본체부(120)의 중심축에 대한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도식화한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도 4는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본체부(1200)의 중심축에 대한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도식화한 단면도들이다.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본체부(1200), 캡부(1100), 및 케이스부(13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캡부(1100)는 본체부(1200)의 일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0)에 결합되고, 케이스부(1300)는 본체부(1200)의 타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0)에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는 본체부(1200)에 캡부(1100) 및 케이스부(1300)를 결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구성 요소들의 사이의 마찰을 이용한 끼워 맞춤 형식을 사용하였다. 이때 끼워 맞춤을 통한 결합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본체부(1200), 캡부(1100), 및 케이스부(1300)를 제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치수 공차로 인하여 구성 요소들이 서로 결합할 때 구성 요소들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00)에 결합된 캡부(1100)는 본체부(1200)의 치수 공차 및 캡부(1100)의 치수 공차 중 적어도 하나로 인하여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본체부(1200)에 캡부(1100)가 결합될 때 본체부(1200)의 중심축과 캡부(1100)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캡부(1100)가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결합되면 캡부(1100)와 본체부(1200)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될 수 없어 캡부(1100)와 본체부(1200)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00)에 결합된 케이스부(1300)는 본체부(1200)의 치수 공차 및 케이스부(1300)의 치수 공차 중 적어도 하나로 인하여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본체부(1200)에 케이스부(1300)가 결합될 때 본체부(1200)의 중심축과 케이스부(1300)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케이스부(1300)가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결합되면 케이스부(1300)와 본체부(1200)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되지 않아 케이스부(1300)와 본체부(120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200)에 대하여 캡부(1100) 또는 케이스부(1300)가 유격될 수 있는 거리 및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치수 공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200)에 대해 캡부(1100)는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중 일 방향으로 편향되고 케이스부(1300)는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중 타 방향으로 편향되어 본체부(1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치수 공차가 크게 발생할수록 편향된 거리는 증가할 수 있다.
본체부(1200)에 대해 캡부(1100)는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중 일 방향으로 편향되고 케이스부(1300)는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중 타 방향으로 편향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캡부(1100)와 케이스부(1300)의 사이의 유격 거리, 즉 캡부(1100)와 케이스부(1300)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수 있다.
캡부(1100)와 케이스부(1300)의 사이의 유격으로 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결합의 기밀성이 감소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결합의 기밀성이 감소되면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의 정도가 헐겁게 되어 제품이 손상되거나 유실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기구적인 완성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치수 공차로 인한 캡부(1100)와 케이스부(1300)의 사이의 유격은 캡부(1100)의 외면과 케이스부(1300)의 외면이 서로 접촉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매끄러운 외면을 형성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200)에 대해 캡부(1100)는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중 일 방향으로 편향되고 케이스부(1300)는 본체부(1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중 타 방향으로 편향되어 본체부(1200)에 결합되면 캡부(1100)의 외면과 케이스부(1300)의 외면 사이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캡부(1100)의 외면과 케이스부(1300)의 외면의 사이에 형성된 단턱은 캡부(1100)의 외면과 케이스부(1300)의 외면이 서로 접촉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면을 형성할 때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즉, 캡부(1100)의 외면과 케이스부(1300)의 외면의 사이에 형성된 단턱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면에 요철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파지하는 것에 불편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a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본체부(120)의 중심축에 대한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도식화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125)를 포함하며,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1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1 리브부(125a) 및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과 제 1 축을 가로지르는 제 2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2 리브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는 함몰부(115) 및 홈부(135)에 수용되어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제 2 리브부(125b)는 함몰부(115) 및 홈부(135)에 수용되어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제 1 리브부(125a)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은 함몰부(115) 및 홈부(135)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되고, 제 2 리브부(125b)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은 함몰부(115) 및 홈부(135)의 제 1 축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리브부(125a)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과 함몰부(115) 및 홈부(135)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 1 리브부(125a)가 함몰부(115)에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리브부(125b)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과 함몰부(115) 및 홈부(135)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 2 리브부(125b)가 함몰부(115)에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리브부(125a)가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의 제 2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제 2 리브부(125b)가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의 제 1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함에 따라 캡부(110)와 케이스부(130)는 본체에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캡부(110)와 케이스부(130)가 본체부(120)에 서로 밀착되어 결합됨에 따라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의 중심축과 본체부(120)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될 수 있으며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가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의 본체부(120)에 대한 유격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20)에 대해 캡부(110)는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중 일 방향으로 편향되고 케이스부(130)는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중 타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본체부(120)에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가 본체부(120)에 대해 편향되어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캡부(110), 본체부(120), 리브부(125), 및 케이스부(130)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본체부(120), 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125), 리브부(125)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함몰부(115)가 내면에 형성된 캡부(110), 및 리브부(125)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홈부(135)가 내면에 형성된 케이스부(130)를 포함하고, 캡부(110)는 본체부(120)의 일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에 결합되고 케이스부(130)는 본체부(120)의 타 측 부분을 수용하며 본체부(120)에 결합되며, 본체부(120)에 캡부(110)와 케이스부(130)가 모두 결합될 때, 함몰부(115)는 리브부(125)의 일 부분을 수용하고 홈부(135)는 리브부(125)의 타 부분을 수용할 수 있으며 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및 효과 중 일부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한 바,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본체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리브부(125)에 대하여 본체부(12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리브부(125)가 본체부(120)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리브부(125)에 인접하게 형성된 절개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129)는 본체부(120)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일 수 있으며 리브부(125)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절개부(129)의 형상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절개부(129)는 리브부(125)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리브부(125)가 본체부(120)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리브부(125)에 대하여 복수 개의 절개부(129)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절개부(129)들은 리브부(125)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절개부(129)들은 리브부(12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부(125)가 본체부(120)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될 때 절개부(129)는 리브부(125)가 본체부(120)의 중심축 방향을 향하여 변형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리브부(125)의 탄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리브부(125)의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단면은 다각형, 원호(圓弧), 또는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면을 갖는 다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부(125)는 본체부(12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의 횡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리브부(125)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리브부(125)는 캡부(110)의 함몰부(115) 및 케이스부(130)의 홈부(135)에 더욱 기밀하게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부(125)가 본체부(120)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며 본체부(12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드(tapered) 형상의 횡방향 단면을 가질 때 리브부(125)는 함몰부(115) 또는 홈부(135)에 의하여 본체부(12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리브부(125)가 본체부(12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리브부(125)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부(12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리브부(125)가 테이퍼드 형상의 횡방향 단면을 가짐으로써 리브부(125)의 변형이 커질수록 함몰부(115) 및 홈부(135)에 수용되는 리브부(125)의 크기는 줄어들 수 있다. 즉, 리브부(125)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함몰부(115) 및 홈부(135)에 수용되는 리브부(125)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어 리브부(125)가 함몰부(115) 및 홈부(135)에 더욱 밀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
리브부(125)가 캡부(110)의 함몰부(115) 및 케이스부(130)의 홈부(135)에 더욱 기밀하게 수용됨에 따라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도 본체부(120)에 보다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부(110)와 케이스부(130)가 본체에 서로 밀착되어 결합됨에 따라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의 중심축과 본체부(120)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될 수 있으며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가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부(110) 및 케이스부(130)의 본체부(120)에 대한 유격을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수용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구성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및 효과는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한 바,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수용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본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궐련 또는 카트리지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리브부(125)를 포함함으로써 각 구성 요소들의 치수 공차로 인하여 각 구성 요소들의 결합 시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각 구성 요소들이 서로에 대하여 기밀하게 결합됨에 따라 구성 요소들이 편향되어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기구적 완성도 및 품질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 캡부
115: 함몰부
117: 캡부의 수용 공간
120: 본체부
125: 리브부
125a: 제 1 리브부
125b: 제 2 리브부
129: 절개부
130: 케이스부
135: 홈부
137: 케이스부의 수용 공간
1000: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0: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캡부
1200: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부
1300: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케이스부

Claims (11)

  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부;
    상기 리브부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함몰부가 내면에 형성된 캡부; 및
    상기 리브부의 타 부분에 대응되는 홈부가 내면에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에 상기 캡부와 상기 케이스부가 모두 결합될 때, 상기 리브부의 일 부분은 상기 캡부의 상기 함몰부에 끼워 맞춤되고, 상기 리브부의 다른 일 부분은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홈부에 끼워 맞춤되며,
    상기 리브부는 상기 캡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의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단면은 다각형, 원호(圓弧), 또는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면을 갖는 다각형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1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1 리브부; 및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 1 축을 가로지르는 제 2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2 리브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부는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캡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제 2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부는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캡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제 1 축 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부의 상기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홈부의 상기 제 2 축 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부의 상기 제 1 축 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홈부의 상기 제 1 축방향에서의 폭에 대응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리브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80170957A 2018-12-27 2018-12-27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17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957A KR102317839B1 (ko) 2018-12-27 2018-12-27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957A KR102317839B1 (ko) 2018-12-27 2018-12-27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948A KR20200080948A (ko) 2020-07-07
KR102317839B1 true KR102317839B1 (ko) 2021-10-26

Family

ID=7160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957A KR102317839B1 (ko) 2018-12-27 2018-12-27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8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8380B2 (ja) * 1995-03-22 2001-10-15 株式会社新川 テープボンディング装置
JP5183493B2 (ja) * 2006-02-20 2013-04-1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消費物の再閉可能容器の自己組立用キット
KR101733448B1 (ko) * 2015-03-31 2017-05-08 신종수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440B1 (ko) * 2016-10-19 2024-01-19 석인선 조이너 구조로 결합하는 전자담배
JP3218380U (ja) * 2018-07-27 2018-10-11 深▲セン▼市格▲凱▼科技有限公司 不燃性加熱式タバコ用モバイルバッテリ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8380B2 (ja) * 1995-03-22 2001-10-15 株式会社新川 テープボンディング装置
JP5183493B2 (ja) * 2006-02-20 2013-04-1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消費物の再閉可能容器の自己組立用キット
KR101733448B1 (ko) * 2015-03-31 2017-05-08 신종수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1838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948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2813B2 (en) Cartridge-type cosmetic container
JP6867137B2 (ja) 車両用取付部品
US4879491A (en) Electric lamp assembly
KR10231783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10136905A1 (en) Swirl Ring and Contact Element for a Plasma Arc Torch Cartridge
US10335888B2 (en) Swirl ring and contact element for a plasma arc torch cartridge
KR101172181B1 (ko) 클립
US3674184A (en) Self-aligning aerosol overcap and button
JP2019220256A (ja) コネクタ
US3040160A (en) Electric cigar lighter
JP6802227B2 (ja) 接続端子
JP6576147B2 (ja) 吐出具
JP6473578B2 (ja) 光コネクタ
JP7291554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装置
JP5898603B2 (ja) コネクタ及びシール部材
WO2020137018A1 (ja) コネクタ装置
JP6611307B2 (ja) コネクタ
US5410213A (en) Mounting strap for replacement halogen lamp
JP6530190B2 (ja) 二重筒体
KR101896447B1 (ko) 다단구조가 형성된 용접팁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기
JP2006289725A (ja) クリップ
JP2020067108A (ja) 樹脂部品の固定方法
JP6447452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6518905B2 (ja) スイッチの位置決め構造
KR102253612B1 (ko) 고전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