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12B1 -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612B1
KR102253612B1 KR1020190055183A KR20190055183A KR102253612B1 KR 102253612 B1 KR102253612 B1 KR 102253612B1 KR 1020190055183 A KR1020190055183 A KR 1020190055183A KR 20190055183 A KR20190055183 A KR 20190055183A KR 102253612 B1 KR102253612 B1 KR 10225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n
female
hol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972A (ko
Inventor
송용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관통공(112)을 가지는 터미널관통부(111)가 형성된 메일하우징(110)에 외부와 연통되는 핀삽입공간(121)을 가지는 메일터미널(120)이 삽입되는 메일커넥터(100)와, 결합공간(213)을 가지는 피메일하우징(210)에 피메일터미널(230)과, 상기 피메일터미널(230) 내에 삽입되는 안전핀(240)이 설치되되 상기 안전핀(240)은 상기 피메일터미널(230)보다 상대적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되는 피메일커넥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핀(240)은 상기 핀삽입공간(121)에 삽입되면서 상기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 사이의 결합을 안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핀이 피메일터미널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안전핀이 피메일터미널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실수로 인해 피메일터미널 내부로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없도록 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 {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커넥터의 터미널을 만지지 않도록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적인 성질을 가진 부품들의 연결을 견고하게 이어주면서 전기적인 성능을 유지토록 하는 매개체로서,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 전기 배선인 전선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커넥터는 자동차 부품에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에 구성되는 부품으로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터미널과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결속하여 전류가 손실 없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장부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다수의 전선을 한번에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전압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전압 커넥터에 사용되는 고전압의 전류는 감전의 위험이 매우 높아서 감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고전압 커넥터 자체에 안전장치가 구비된다. 메일(male) 커넥터는 수형 단자를 절연성의 수지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이 감싸고, 그 선단에 절연캡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단자를 직접 만지지 못하게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예방한다.
종래의 피메일(female) 커넥터도 메일(male)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절연성의 수지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이 감싸고, 그 선단에 절연캡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단자를 직접 만지지 못하게 차단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암형 단자의 특성상 수형 단자가 삽입되는 공간인 내측에 손가락이 닿아서 작업자가 감전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350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메일(female) 커넥터의 터미널 내측에 안전핀(safety pin)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삽입공과 와이어삽입공이 서로 직교하게 연통되도록 내부에 절곡된 형상의 결합공간을 가지는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삽입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터미널삽입공과 와이어삽입공과 대응되는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에서부터 상기 와이어삽입공 쪽으로 안착단이 돌출된 이너하우징과, 상기 와이어삽입공으로 삽입되며, 결합홀이 형성된 단자부가 상기 제2개구부를 지나서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조인트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삽입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인트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피메일터미널과, 상기 피메일터미널 내부를 관통하여 후단부가 피메일터미널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너하우징의 상기 안착단에 결합되는 안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핀은 절연재질이며, 상기 피메일터미널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터미널삽입공의 입구 쪽으로 더 연장된다.
상기 피메일터미널은 일측이 개방되게 접촉공간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보다 단면의 넓이가 좁고, 상기 접촉공간과 연통되는 핀관통구를 가지는 핀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핀관통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공간과 핀관통구 사이 에 단면의 넓이차이가 발생하는 구간에 핀지지면이 형성된다.
상기 안전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핀바디와, 상기 핀바디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을 가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레그는 상기 핀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안착단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핀바디는 상기 접촉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안전핀에는 상기 핀바디와 결합레그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상기 핀바디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날개는 상기 핀지지면에 안착된다.
상기 피메일터미널 내측에 스프링단자가 설치되어 메일터미널과 면접촉한다.
상기 조인트터미널의 결합홀에는 내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스프링단자가 설치되어 상기 피메일터미널의 핀관통부와 면접촉한다.
상기 터미널삽입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피메일터미널의 선단을 가리도록 상기 이너하우징의 제1개구부의 입구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핑거캡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핀이 피메일터미널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안전핀이 피메일터미널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실수로 인해 피메일터미널 내부로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없도록 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메일터미널이 절연하우징 및 이너하우징과 조립되고, 안전핀이 피메일터미널을 관통하여 이너하우징과 결합하므로 안전핀이 피메일터미널, 절연하우징, 이너하우징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피메일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구성을 이중으로 고정하여 결합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핀은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결합될 때, 메일하우징의 핀삽입공간으로 삽입되면서 메일커넥터를 가이드하므로 조립성능이 향상되고, 스프링단자가 메일터미널 및 피메일터미널의 측면에 면접촉하므로 접촉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고전압 커넥터의 단면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피메일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피메일터미널의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스프링단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안전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핑거캡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절연하우징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인트터미널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피메일커넥터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전압 커넥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고전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전압 커넥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메일커넥터(100)의 외관은 메일하우징(110)이 형성한다. 상기 메일하우징(100)은 절연성 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일하우징(110)에는 터미널관통부(111)가 상기 메일하우징(11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관통부(111)에는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상기 메일하우징(110)을 관통한다.
상기 관통공(112)의 내부로 메일터미널(120)이 삽입된다. 상기 메일터미널(120)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메일터미널(120)과 터미널관통부(111)의 내측은 서로 접하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메일터미널(120)은 상기 메일터미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측에 핀삽입공간(121)이 형성된다. 상기 핀삽입공간(121)은 피메일커넥터(200)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서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뒤에서 설명될 안전핀(240)이 상기 핀삽입공간(121)으로 삽입된다. 상기 핀삽입공간(121)에 상기 안전핀(240)이 삽입되는 구조는 상기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를 서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일터미널(120)에는 상기 핀삽입공간(121)이 개구된 방향의 선단에 절연캡(130)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캡(130)은 절연재질의 부도체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캡(130)은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메일터미널(120)을 만져서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예방한다.
즉, 상기 메일터미널(120)은 절연성 수지 재질의 터미널관통부(111)에 의해 측면이 감싸지고, 상기 절연캡(130)에 의해 선단이 가려지므로 작업자는 실수 등으로 인해서 상기 메일터미널(120)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메일커넥터(100)는 피메일커넥터(200)와 결합된다. 상기 피메일커넥터(200)의 외관은 피메일하우징(210)이 형성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210)은 절연성 수지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210)에는 상기 피메일하우징(21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공간(21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213)에는 피메일터미널(230)과 조인트터미널(270) 등의 구성품이 설치되어 상기 조인트터미널(270)과 연결되는 와이어를 통해서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결합공간(213)에 설치되는 구성품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210)에는 피메일터미널(230)이 삽입되는 터미널삽입공(211)과 조인트터미널(270) 및 상기 조인트터미널(270)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삽입공(21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공(211)과 와이어삽입공(212)은 상기 피메일하우징(21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공간(213)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일커넥터(100)는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커넥터(200)와 결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공간(213)에는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을 통해서 이너하우징(220)이 설치된다. 상기 이너하우징(220)은 절연성 수지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외관은 이너바디(221)가 형성한다. 상기 이너바디(221)는 대략 원통형상의 외관을 가진다.
다만, 상기 이너바디(221)는 상기 결합공간(213)의 형상과 대응되게 제1개구부(222)와 제2개구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개구부(222)는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의 입구쪽을 향해서 개방되고, 상기 제2개구부(223)는 상기 와이어삽입공(212)의 입구쪽을 향해서 개방된다. 즉, 상기 제1개구부(222)와 제2개구부(223)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이너바디(221)에는 상기 제1개구부(222)의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서 조립공(222')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공(222')에는 뒤에서 설명될 핑거캡(250)이 걸어져서 감전사고를 예방한다.
상기 이너바디(221)에는 상기 제1개구부(222)가 형성된 반대측 선단에 눌림면(223')이 형성된다. 상기 눌림면(223')은 상기 제2개구부(223)의 가장자리 일측을 형성한다. 즉, 상기 눌림면(223')은 상기 이너바디(221)의 바닥면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공간(213)의 바닥에 접촉하여 뒤에서 설명될 절연하우징(260)의 누름단(262')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눌림면(223')이 상기 절연하우징(260)의 누름단(26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이너하우징(220)이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을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이너바디(221)의 내측에는 상기 눌림면(223')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단(22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24)은 상기 눌림면(223')과 평행한 평면을 가진다. 상기 안착단(224)에는 피메일터미널(230)의 후단부가 안착된다.
상기 안착단(224)에는 체결공(22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24')은 뒤에서 설명될 안전핀(240)이 관통된다. 상기 체결공(224')을 관통한 안전핀(240)은 상기 안착단(224)의 반대면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이너바디(221)에는 상기 이너바디(221)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단차부(225)가 형성된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단차부(225)는 상기 제2개구부(223)와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눌림면(223')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단차부(225)는 상기 메일하우징(110)의 터미널관통부(111)의 선단을 지지한다.
상기 이너바디(221)에는 상기 제2개구부(223)와 단차부(225)의 사이에 삽입슬롯(22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롯(226)에는 뒤에서 설명될 절연하우징(260)의 삽입단(263)이 삽입되어 상기 이너하우징(220)이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을 통해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상기 단차부(225)에는 외팔보 형상의 걸림단(227) 한 쌍이 상기 이너바디(2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림단(227)은 상기 이너바디(221)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227)은 상기 단차부(225)에 고정단이 형성되며, 자유단은 상기 제1개구부(222)가 개방된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걸림단(227)은 상기 이너바디(221)가 상기 피메일하우징(210)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걸림단(227)은 상기 이너바디(221)의 위치를 상기 결합공간(213) 내에 고정하여 상기 와이어삽입공(212)과 제2개구부(223)의 개방된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걸림단(227)은 외팔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바디(221)의 외면과 이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너바디(221)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피메일터미널(230)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제1개구부(222)를 통해서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외관은 핀관통부(231)와 몸체부(232)가 형성한다. 상기 핀관통부(231)와 몸체부(232)는 직경이 다른 원통형상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외면은 상기 핀관통부(231)와 몸체부(232)의 직경차이로 인해 단차가 생긴다.
상기 핀관통부(231)에는 핀관통구(231')가 형성된다. 상기 핀관통구(231')는 상기 핀관통부(231)를 관통한다. 상기 핀관통구(231')에는 뒤에서 설명될 안전핀(240)의 결합레그(242)가 관통된다.
상기 몸체부(232)에는 접촉공간(232')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공간(232')은 상기 핀관통구(231')와 연통된다. 상기 접촉공간(232')에서 상기 메일터미널(120)이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터미널(230)과 메일터미널(120)이 접촉된다. 상기 접촉공간(232')은 상기 메일터미널(120)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상기 핀관통구(231')보다 넓은 직경을 가진다.
상기 핀관통구(231')와 접촉공간(232')이 연통되면서 상기 핀관통구(231')와 접촉공간(232')의 직경이 달라지는 구간에 핀지지면(233)이 형성된다. 상기 핀지지면(233)에는 뒤에서 설명될 안전핀(240)의 지지날개(243)가 접하고, 안전핀(240)은 기울어지지 않고 바로 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핀바디(241)가 가압되어도 상기 안전핀(240)이 상기 핀관통구(231')로 더 진입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안전핀(240)의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접촉공간(232')의 내주면에는 안착홈(23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34)에는 스프링단자(235)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공간(232') 내부로 삽입된 메일터미널(120)의 측면과 스프링단자(235)가 서로 면접촉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프링단자(235)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단자(235)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기 원주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슬릿(235a)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235a)에 의해 복수의 접촉리브(235b)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접촉리브(235b)는 대략 중앙이 상기 스프링단자(235)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메일터미널(12)과 더욱 확실하게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단자(235)에는 직경조절부(235c)가 형성된다. 상기 직경조절부(235c)는 상기 스프링단자(235)가 완벽한 링형상을 가지지 못하고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직경조절부(235c)는 상기 스프링단자(235)가 가지는 직경보다 좁은 홈에도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단자(235)의 직경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단자(235)의 외면을 가압하면, 금속재질의 스프링단자(235)는 상기 직경조절부(235c)의 폭이 좁아지면서 상기 스프링단자(235)의 직경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상기 스프링단자(235)의 외면을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단자(235)는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돌아온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안전핀(240)은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안전핀(240)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안전핀(24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핀바디(241)가 구비된다. 상기 안전핀(240)은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에 삽입되어 작업자의 손가락이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내부에 들어가서 감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핀바디(241)는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몸체부(232)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된다. 상기 핀바디(241)는 대략 원기둥형상이지만, 일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핀바디(241)의 테이퍼진 형상은 상기 메일터미널(120)의 핀삽입공간(121)에 상기 핀바디(241)가 삽입되기 쉽도록 안내한다. 상기 핀바디(241)의 직경은 따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핀삽입공간(12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핀바디(241)의 일측으로 복수의 결합레그(242)가 연장된다. 상기 결합레그(242)는 상기 핀바디(241)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그(242)는 둘 이상이 형성되어 복수의 결합레그(242) 사이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레그(242)는 상기 복수의 결합레그(242)가 이루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통로 예를 들어, 핀관통구(231')도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레그(242)가 통과하면 탄성변형이 해제되어 상기 결합레그(242)의 외면이 상기 핀관통구(231')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레그(242)의 선단에는 체결단(24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단(242')은 상기 각각의 결합레그(242)의 선단 외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체결단(242')은 상기 결합레그(242)가 상기 핀관통구(231')를 통과하면 핀관통구(231')의 저면에 걸어져 상기 안전핀(240)과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을 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핀바디(241)와 결합레그(242)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상기 핀바디(241)의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날개(24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날개(243)는 상기 안전핀(24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방향으로 여러 개가 돌출되며, 상기 핀바디(241)의 단면과 평행한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날개(243)는 상기 핀지지면(233)에 안착되어 상기 안전핀(240)이 기울어지지 않게 지지한다.
상기 안전핀(240)은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을 지나서 상기 결합공간(213) 내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모두 관통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안전핀(240)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성들을 이중으로 고정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각 구성들 간의 유기적인 결합상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핑거캡(250)은 링형상의 캡몸체(251)를 가진다. 상기 핑거캡(250)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핑거캡(250)은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선단을 가리도록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선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을 만져서 감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캡몸체(251)에는 상기 캡몸체(251)를 따라서 탄성암(252)과 밀착단(253)이 번갈아가면서 형성된다. 상기 탄성암(252)과 밀착단(253)은 상기 캡몸체(251)의 직경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탄성암(252)의 선단에는 조립돌기(252')가 돌출된다. 상기 조립돌기(252')는 상기 캡몸체(251)의 외면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252')는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조립공(222')에 걸어진다.
상기 밀착단(253)은 상기 핑거캡(250)이 설치되는 구멍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며, 설치되는 구멍 내부로 상기 핑거캡(250)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캡몸체(251)에는 선단걸이부(254)가 형성된다. 상기 선단걸이부(254)는 상기 조립돌기(252')가 돌출된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된다. 상기 선단걸이부(254)는 상기 제1개구부(222)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핑거캡(250)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제1개구부(222)의 입구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암(252)은 캡몸체(251)의 중심을 향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개구부(222)로 삽입되고, 상기 탄성암(252)의 탄성변형이 해제되면서 상기 조립돌기(252')가 상기 조립공(222')에 걸어진다. 동시에, 상기 선단걸이부(254)는 상기 제1개구부(222)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핑거캡(250)은 상기 선단걸이부(254)에 의해 더이상 상기 이너하우징(220)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핑거캡(250)은 상기 조립돌기(252')가 상기 조립공(222')에 걸어져서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절연하우징(260)은 상기 와이어삽입공(212)을 통해서 삽입되어 상기 이너하우징(220)과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절연하우징(260)의 외관은 절연바디(261)가 형성한다. 상기 절연바디(261)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바디(261)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절연바디(261)의 일측에는 터미널노출부(26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노출부(262)는 상기 절연바디(261)의 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단차져서 상기 절연바디(26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뒤에서 설명될 조인트터미널(270)이 상기 절연바디(261)의 일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노출부(262)로 노출된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70)은 상기 절연바디(261)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노출부(262)는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이 결합되는 방향의 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노출부(262)에는 누름단(26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노출부(262)는 상기 절연바디(261)의 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단차져서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만큼의 높이를 보상하기 위해 누름단(262')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262')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눌림면(223')을 가압한다.
상기 누름단(262')이 형성된 맞은편에는 삽입단(263)이 상기 절연바디(26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263)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삽입슬롯(226)에 삽입된다.
상기 누름단(262')과 삽입단(263)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이 상기 터미널삽입공(211) 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이너하우징(220)을 상기 결합공간(213) 내에 고정시킨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인트터미널(270)은 상기 피메일터미널(230)과 와이어로 연결된 외부장치(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70)은 와이어결합부(271)와 단자부(272)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결합부(271)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10에는 상기 와이어결합부(271)가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70)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터미널(23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부(272)의 형상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자부(272)의 단면형상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제2개구부(223)의 형상과 대응된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제2개구부(223)가 사각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단자부(272)의 단면형상도 사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이너바디(221)가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단자부(272)의 선단 형상도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단자부(272)에는 결합홀(27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273)에는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핀관통부(231)가 삽입되어 상기 피메일터미널(230)과 단자부(27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결합홀(273)의 내주면에는 안착홈(27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74)에는 스프링단자(235)가 설치되고,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측면과 스프링단자(235)가 서로 면접촉한다. 상기 스프링단자(235)가 상기 결합홀(273) 내주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피메일터미널(230)과 조인트터미널(270)이 더욱 확실하게 서로 접촉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전압 커넥터의 조립 및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메일커넥터(100)의 조립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일커넥터(100)는 상기 메일하우징(110)의 터미널관통부(111)에 메일터미널(120)을 삽입한다. 상기 메일터미널(120)의 핀삽입공간(121)이 개구된 선단에 절연캡(13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여 피메일커넥터(200)의 조립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210)의 터미널삽입공(211)을 통해서 상기 이너하우징(220)을 상기 결합공간(213) 내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이너하우징(220)은 상기 제2개구부(223)가 상기 와이어삽입공(212)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걸림단(227)에 의해 상기 제2개구부(223)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임시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절연하우징(260)이 상기 이너하우징(220)에 결합된다. 상기 절연하우징(260)은 상기 와이어삽입공(212)을 통해서 삽입된다. 상기 절연하우징(260)의 삽입단(263)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삽입슬롯(226)에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노출부(262)의 누름단(262')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눌림면(223')을 가압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이너하우징(220)은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노출부(262)의 누름단(262')이 형성된 면은 상기 안착단(224)과 같은 평면을 이루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하우징(26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와이어삽입공(212)을 통해서 조인트터미널(270)이 삽입된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70)은 상기 와이어삽입공(212)을 지나 상기 절연하우징(260)에 삽입되고, 상기 단자부(272)가 상기 터미널노출부(262)를 통해서 노출된다. 상기 단자부(272)는 상기 단자부(272)의 결합홀(273)과 상기 안착단(224)의 체결공(224')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단자부(272)의 안착홈(274)에는 스프링단자(235)가 설치된다.
상기 조인트터미널(27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을 통해서 피메일터미널(230)이 삽입된다.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은 상기 제1개구부(222)를 지나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핀관통부(231)는 상기 결합홀(273)에 끼워진다. 상기 몸체부(232)의 저면은 상기 조인트터미널(270)의 단자부(272)의 외면과 접한다. 즉, 상기 핀관통부(231)가 상기 결합홀(273)에 끼워지면서 상기 단자부(272)는 상기 몸체부(232)에 의해 가압된다. 이때, 상기 핀관통부(231)의 저면은 상기 안착단(224)에 접하고, 상기 핀관통부(231)의 외면은 상기 결합홀(273) 내에 설치된 스프링단자(235)와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핀관통구(231')와 체결공(224')은 서로 동심원이 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232)의 안착홈(234)에는 스프링단자(235)가 설치된다.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을 통해서 안전핀(240)이 삽입된다. 상기 안전핀(240)은 상기 복수의 결합레그(242)가 상기 핀관통구(231')를 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복수의 결합레그(242)가 상기 핀관통구(23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레그(24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 되어서 상기 결합레그(242)의 선단이 상기 안착단(224)의 체결공(224')을 지난다. 상기 결합레그(242)가 상기 체결공(224')을 통과하면 상기 복수의 결합레그(242)에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핀관통구(231') 내주면에 상기 결합레그(242)의 외면이 밀착된다. 또한, 상기 결합레그(242) 선단에 형성된 체결단(242')은 상기 안착단(224)의 저면에 걸어져서 상기 안전핀(240)이 삽입됐던 경로로 다시 빠지는게 방지된다.
한편, 상기 안전핀(240)은 상기 지지날개(243)가 상기 핀지지면(233)에 걸쳐져 상기 안전핀(240)이 기울어지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핀바디(241)가 가압되어도 상기 안전핀(240)이 상기 핀관통구(231')로 더 진입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안전핀(240)의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핀(240)의 핀바디(241)는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의 선단보다 더 돌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에 손가락을 집어넣더라도 상기 피메일터미널(230)과 접촉하기 전에 먼저 상기 안전핀(240)의 핀바디(241)와 접하므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핀(240)은 상기 피메일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안착단(224)의 저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안전핀(240)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성품들을 이중으로 고정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핀(24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터미널삽입공(211)을 통해서 핑거캡(250)이 삽입된다. 상기 핑거캡(250)은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제1개구부(222)로 삽입되어 상기 조립돌기(252')가 상기 조립공(222')에 걸어지고, 상기 선단걸이부(254)가 상기 제1개구부(222)의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핑거캡(250)은 상기 이너하우징(220)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핑거캡(250)이 삽입된 경로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핑거캡(250)이 상기 이너하우징(220)의 제1개구부(222) 가장자리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피메일터미널(230)이 완전히 가려지고,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손가락이 피메일터미널(230)에 접촉하여 감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핑거캡(250)의 설치까지 완료되면, 상기 피메일커넥터(200)의 조립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여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의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메일터미널(120)의 선단에 설치된 절연캡(130)이 상기 피메일커넥터(200)의 터미널삽입공(211)을 향하도록 상기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를 배치한다.
배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 사이의 거리를 좁히고, 상기 안전핀(240)의 핀바디(241)를 상기 핀삽입공간(121)에 결합시킨다. 상기 메일터미널(120)이 상기 몸체부(232)의 접촉공간(232')내로 삽입되면, 상기 안착홈(234)에 설치된 스프링단자(235)가 상기 메일터미널(120)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밖에 상기 조인트터미널(270)에 와이어가 설치되거나 추가적으로 쉴드하우징 구조 및 상기 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커넥터(20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구조등이 더 설치될 수 있으나, 이것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주요특징부라고 할 수 없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메일커넥터 110 : 메일하우징
111 : 터미널관통부 112 : 관통공
120 : 메일터미널 121 : 핀삽입공간
130 : 절연캡 200 : 피메일커넥터
210 : 피메일하우징 211 : 터미널삽입공
212 : 와이어삽입공 213 : 결합공간
220 : 이너하우징 221 : 이너바디
222 : 제1개구부 222' : 조립공
223 : 제2개구부 223' : 눌림면
224 : 안착단 224' : 체결공
225 : 단차부 226 : 삽입슬롯
227 : 걸림단 230 : 피메일터미널
231 : 핀관통부 231' : 핀관통구
232 : 몸체부 232' : 접촉공간
233 : 핀지지면 234 : 안착홈
235 : 스프링단자 235a : 슬릿
235b : 접촉리브 235c : 직경조절부
240 : 안전핀 241 : 핀바디
242 : 결합레그 242' : 체결단
243 : 지지날개 250 : 핑거캡
251 : 캡몸체 252 : 탄성암
252' : 조립돌기 253 : 밀착단
254 : 선단걸이부 260 : 절연하우징
261 : 절연바디 262 : 터미널노출부
262' : 누름단 263 : 삽입단
270 : 조인트터미널 271 : 와이어결합부
272 : 단자부 273 : 결합홀
274 : 안착홈

Claims (7)

  1. 터미널삽입공과 와이어삽입공이 서로 직교하게 연통되도록 내부에 절곡된 형상의 결합공간을 가지는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삽입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터미널삽입공과 와이어삽입공과 대응되는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에서부터 상기 와이어삽입공 쪽으로 안착단이 돌출된 이너하우징과,
    상기 와이어삽입공으로 삽입되며, 결합홀이 형성된 단자부가 상기 제2개구부를 지나서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조인트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삽입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인트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는 피메일터미널과,
    상기 피메일터미널 내부를 관통하여 후단부가 피메일터미널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너하우징의 상기 안착단에 결합되는 안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핀은 절연재질이며, 상기 피메일터미널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터미널삽입공의 입구 쪽으로 더 연장되는 고전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터미널은
    일측이 개방되게 접촉공간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보다 단면의 넓이가 좁고, 상기 접촉공간과 연통되는 핀관통구를 가지는 핀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핀관통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공간과 핀관통구 사이 에 단면의 넓이차이가 발생하는 구간에 핀지지면이 형성되는 고전압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핀바디와,
    상기 핀바디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을 가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레그는 상기 핀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안착단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핀바디는 상기 접촉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전압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에는 상기 핀바디와 결합레그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상기 핀바디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날개는 상기 핀지지면에 안착되는 고전압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터미널 내측에 스프링단자가 설치되어 메일터미널과 면접촉하는 고전압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터미널의 결합홀에는 내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스프링단자가 설치되어 상기 피메일터미널의 핀관통부와 면접촉하는 고전압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삽입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피메일터미널의 선단을 가리도록 상기 이너하우징의 제1개구부의 입구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핑거캡을 더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KR1020190055183A 2019-05-10 2019-05-10 고전압 커넥터 KR102253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183A KR102253612B1 (ko) 2019-05-10 2019-05-10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183A KR102253612B1 (ko) 2019-05-10 2019-05-10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972A KR20200129972A (ko) 2020-11-18
KR102253612B1 true KR102253612B1 (ko) 2021-05-18

Family

ID=7369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183A KR102253612B1 (ko) 2019-05-10 2019-05-10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906A (ja) * 1999-03-18 2000-09-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雌側端子金具
JP2014053127A (ja) * 2012-09-06 2014-03-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充電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55B1 (ko) 2015-09-22 2023-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906A (ja) * 1999-03-18 2000-09-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雌側端子金具
JP2014053127A (ja) * 2012-09-06 2014-03-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充電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972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87783A (ja) 密封型電気コネクタ
US7537466B2 (en) Plug with retainer spring for an earth contact
JP2009541919A (ja) 電気コネクタ
CN109768419B (zh) 连接器
US20040127107A1 (en) Electrical connector in the form of a socket contact having a special lamellar construction
US10148028B1 (en) Terminal for round pin-shaped electrical contact
US10283912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resistant to vibration
KR102253612B1 (ko) 고전압 커넥터
US1045419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astic latch integrated into contact cavity
US20020076988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2713433B (zh) 电连接器基座以及电连接器
KR102277845B1 (ko) 고전압 커넥터
JP2001035602A (ja) 電気コネクタ
KR102361579B1 (ko) 커넥터
KR101723049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210078321A (ko) 커넥터
KR20160002379U (ko) 고전압 커넥터용 접지장치
TWI627797B (zh) 電連接頭
JPH0229659Y2 (ko)
KR102421406B1 (ko)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CN219760012U (zh) 端子组件和连接器
JP7274007B2 (ja) ケーブル保持部材、及びケーブル保持部材を有する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US20230387623A1 (en) Connection terminal, finger protective cap,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cable assembly, and charging seat
US20230129483A1 (en) Outer Conductor and Coaxial Connector
US20230387618A1 (en)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cable assembly, and charging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