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546B1 -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546B1
KR102316546B1 KR1020200031498A KR20200031498A KR102316546B1 KR 102316546 B1 KR102316546 B1 KR 102316546B1 KR 1020200031498 A KR1020200031498 A KR 1020200031498A KR 20200031498 A KR20200031498 A KR 20200031498A KR 102316546 B1 KR102316546 B1 KR 10231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urntable
coupled
rotation
weld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559A (ko
Inventor
고기명
고현호
Original Assignee
고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호 filed Critical 고현호
Priority to KR102020003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54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에 결합되며, 손잡이부(6000)를 회전시켜 하판플레이트(5000)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의 돌출부(4100)가 요홈부를 따라 회전 이동됨으로써,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지름의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고, 파이프의 이동을 방지하여 용접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Portable Welding Chuck Device}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에 결합되며, 손잡이부(6000)를 회전시켜 하판플레이트(5000)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의 돌출부(4100)가 요홈부를 따라 회전 이동됨으로써,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지름의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고, 파이프의 이동을 방지하여 용접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용 턴테이블이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턴테이블 상에 용접하고자 하는 피용접물을 위치시킨 후, 척 등으로 고정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용접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용접용 턴테이블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118767호인 용접용 듀얼 턴테이블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용접용 턴테이블은 크게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턴테이블 위에는 피용접물이 척 등으로 고정하여 위치되며, 작업자가 회전하는 턴테이블에 고정된 피용접물의 외주부 등을 용접하게 되는 것이다.
작업자가 피용접물의 형상이나 용접 위치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의 경사각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경사각 조절핸들을 이용하여 턴테이블을 기울여 경사각을 고정한 후 용접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이었다.
상기한 용접용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척 장치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지만, 척 장치에 고정될 파이프의 지름에는 제한이 따르게 되어 다양한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를 고정시켜 용접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척 장치의 무게가 상당하여 용접용 턴테이블에 결합시킬 경우에 앞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1187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에 결합되며, 손잡이부(6000)를 회전시켜 하판플레이트(5000)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의 돌출부(4100)가 요홈부를 따라 회전 이동됨으로써,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지름의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접시, 파이프의 이동을 방지하여 용접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는,
턴 테이블 장치(9000);와
턴 테이블 장치에 결합되는 척 디바이스(8000);로 구성되되,
상기 척 디바이스(8000)는,
일정 지름을 가지는 상판플레이트(1000);와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상면에 외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이어 형성되며, 용접대상체고정부가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가이드하도록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부(3000);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되어 용접 대상체와 접촉시켜 용접시 용접 대상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와
상기 상판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면에 스크류기어부(510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에 다수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플레이트(5000);와
상기 하판플레이트의 일측에 다수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시킬 경우에 하판플레이트(5000)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회전 이동시켜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키는 손잡이부(60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는,
종래 척 장치의 문제점인 상당한 무게를 경량화시킨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에 결합되는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즉, 간단한 구조를 통해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에 결합되며, 손잡이부(6000)를 회전시켜 하판플레이트(5000)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의 돌출부(4100)가 요홈부를 따라 회전 이동됨으로써,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킴으로써, 범용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킴으로써, 용접시, 파이프의 이동을 방지하여 용접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며, 도 4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상판플레이트(1000)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8은 상판플레이트(1000)의 평면 사진이며, 도 9는 상판플레이트(1000)의 측면 사진이며, 도 10은 손잡이부(6000) 회전시 용접대상체고정부(4000)가 내측으로 이동한 사진이며, 도 11은 손잡이부(6000) 회전시 하판플레이트(5000)의 저면 사진이며, 도 12는 하판플레이트(5000) 평면 사진이며, 도 13은 하판플레이트(5000) 저면 사진이며, 도 14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가 하판플레이트(5000)의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진이며, 도 15는 상판플레이트(1000)의 저면과 하판플레이트(5000)의 상면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16은 턴테이블에 본 발명의 척 장치가 결합된 사진이며, 도 17은 파이프가 결합된 사진이며, 도 18은 중앙구멍부에 파이프가 관통할 경우에 파이프를 결합한 사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측면도이며, 도 21은 정면도이며, 도 22는 평면도이며, 도 23은 90도 회전시 측면도이다.
도 24는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의 사진이며, 도 25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진이며, 도 26은 상측에서 바라본 턴테이블 사진이며, 도 27은 축케이싱의 내부 사진이며, 도 28은 정면 사진이며, 도 29a는 축케이싱의 사진이며, 도 29b는 다른 각도에서 본 축케이싱의 사진이며, 도 30은 모터기어부와 모터기어부에 치차 결합되는 턴테이블회전기어부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1은 후면에서 바라본 사진이며, 도 32는 컨트롤러 사진이며, 도 33은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척 예시도이며, 도 34는제1회전가이드부 및 제2회전가이드부의 양 끝단 모양이 각진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며, 도 4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상판플레이트(1000)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8은 상판플레이트(1000)의 평면 사진이며, 도 9는 상판플레이트(1000)의 측면 사진이며, 도 10은 손잡이부(6000) 회전시 용접대상체고정부(4000)가 내측으로 이동한 사진이며, 도 11은 손잡이부(6000) 회전시 하판플레이트(5000)의 저면 사진이며, 도 12는 하판플레이트(5000) 평면 사진이며, 도 13은 하판플레이트(5000) 저면 사진이며, 도 14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가 하판플레이트(5000)의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진이며, 도 15는 상판플레이트(1000)의 저면과 하판플레이트(5000)의 상면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16은 턴테이블에 본 발명의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가 결합된 사진이며, 도 17은 파이프가 결합된 사진이며, 도 18은 중앙구멍부에 파이프가 관통할 경우에 파이프를 결합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는,
상판플레이트(1000);와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상면에 외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이어 형성되며, 용접대상체고정부가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가이드하도록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부(3000);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되어 용접 대상체와 접촉시켜 용접시 용접 대상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와
상기 상판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면에 스크류기어부(510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에 다수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플레이트(5000);와
상기 하판플레이트의 일측에 다수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시킬 경우에 하판플레이트(5000)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회전 이동시켜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키는 손잡이부(6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는,
일정 지름을 가지는 상판플레이트(1000);와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상면에 외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이어 형성되며,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어 용접대상체고정부가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가이드하도록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부(3000);와
하측에 하판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는 돌출부(4100)가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되어 용접 대상체와 접촉시켜 용접시 용접 대상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와
상기 상판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면에 스크류기어부(510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에 다수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플레이트(5000);와
상기 하판플레이트의 일측에 다수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시킬 경우에 하판플레이트(5000)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의 돌출부(4100)가 요홈부를 따라 회전 이동됨으로써,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키는 손잡이부(6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상판플레이트(1000)는 일정 지름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판플레이트에는 다수의 가이드부(3000)와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3000)는 상판플레이트의 상면에 외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이어 형성되며, 중앙 부위에 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있어 용접대상체고정부가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가이드하도록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3개의 가이드부를 구성하고 있고, 여기에 각각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삽입하여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는 하측에 하판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는 돌출부(4100)가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되어 용접 대상체와 접촉시켜 용접시 용접 대상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는 하측에 돌출부(4100)가 일정 간격 다수 형성하게 됨으로써, 하판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게 되고,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되어 용접 대상체와 접촉시켜 용접시 용접 대상체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있는 수평프레임(4010);
상기 수평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용접 대상체와 접촉시 접촉 면적을 넓게 하는 접촉면적확장부(4020);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가이드부에 일정 길이 형성된 가이드돌출부(320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부(4030);
상기 슬라이딩홈부의 하측에 일정 간격 다수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4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수평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접촉면적확장부(4020)를 형성하여 용접 대상체와 접촉시 접촉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단단하게 용접 대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평프레임의 양측면에 슬라이딩홈부(4030)를 수평하게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부에 일정 길이 형성된 가이드돌출부(320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부의 하측에 일정 간격 다수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4100)를 통해 용접대상체고정부(4000)가 하판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판플레이트의 중앙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중앙구멍부(2000);를 형성함으로써, 용접용 턴테이블 결합시 용접 대상체의 길이가 10cm 이상일 경우에 중앙구멍부를 관통시켜 결합시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7과 같이, 중앙구멍부의 직경보다 큰 파이프의 경우에는 접촉면적확장부(4020)의 측면에 파이프가 접촉되어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며, 중앙구멍부의 직경보다 작은 파이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접촉면적확장부(4020)의 측면에 파이프가 접촉되어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 대상체의 길이가 10cm 이상일 경우에 용접 대상체의 하중에 의해 턴테이블이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상판플레이트의 중앙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중앙구멍부(200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8과 같이, 중앙구멍부를 관통시키게 되어 파이프의 하중에도 턴테이블이 기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판플레이트(5000)는 상판플레이트에 결합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중앙구멍부의 주변을 따라 수직 돌출되게 원형돌출부(11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원형돌출부의 외곽면에 하판플레이트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플레이트의 원형돌출부에 하판플레이트를 삽입할 경우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링부(7000)를 삽입하기 위하여 원형돌출부(1100)의 일정 높이에 링삽입홈(1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플레이트에 하판플레이트를 결합한 후, 링삽입홈에 링부를 삽입함으로써, 도 4와 같은 형태를 띄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판플레이트(5000)는 상면에 스크류기어부(510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에 다수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기어부는 달팽이관 형상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기어부(5100)에 형성된 요홈부(5200)를 따라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다보면 직경이 작아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부(6000)를 작업자가 회전시키게 되면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의 돌출부(4100)가 요홈부를 따라 회전 이동하게 됨으로써,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대상체고정부(4000)가 이동하게 되면 요홈부를 따라 중앙구멍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6000)는 하판플레이트의 일측에 다수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시킬 경우에 하판플레이트(5000)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의 요홈부(52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의 돌출부(4100)가 요홈부를 따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손잡이부를 회전시키게 되면 용접대상체고정부가 중앙구멍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파이프의 외면에 접촉되게 되면 용접대상체고정부가 용접 대상체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용접이 마무리될 경우에 반시계방향으로 손잡이부를 회전시키게 되면 용접대상체고정부가 외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파이프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던 용접대상체고정부가 용접 대상체를 고정 상태를 풀게 되어 작업자가 마무리된 용접 대상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접시, 파이프의 이동을 방지하여 용접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를 회전시키게 되면 다양한 지름의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름의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판플레이트(1000)에 일정 간격으로 턴테이블결합홀(1500)이 다수 형성되어 턴테이블 장치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척결합홀(800)과 상기 턴테이블결합홀(1500) 간에 결합수단(1600)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볼트로 사용하게 된다.
즉,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결합홀을 관통한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척결합홀을 일정 간격으로 턴테이블에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6개의 장방형 척결합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에 본 발명의 척 디바이스가 장착되어 용접용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게 되면 같은 회전 방향으로 척 장치도 회전하게 되며, 척 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파이프도 동시에 같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기에서는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측면도이며, 도 21은 정면도이며, 도 22는 평면도이며, 도 23은 90도 회전시 측면도이다.
도 24는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의 사진이며, 도 25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진이며, 도 26은 상측에서 바라본 턴테이블 사진이며, 도 27은 축케이싱의 내부 사진이며, 도 28은 정면 사진이며, 도 29a는 축케이싱의 사진이며, 도 29b는 다른 각도에서 본 축케이싱의 사진이며, 도 30은 모터기어부와 모터기어부에 치차 결합되는 턴테이블회전기어부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1은 후면에서 바라본 사진이며, 도 32는 컨트롤러 사진이며, 도 33은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척 예시도이며, 도 34는제1회전가이드부 및 제2회전가이드부의 양 끝단 모양이 각진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한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는,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가 삽입될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
상기 구멍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회전시, 돌려서 고정을 해제하고, 원하는 각도에서 돌려서 고정시키기 위한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
축케이싱(300)의 양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가 관통하여 결합되며, 축케이싱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
상기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를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할 경우에 구동모터가 결합되어 있는 축케이싱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측베어링부(130) 및 제2측베어링부(230);
상기 제1측베어링부 및 제2측베어링부에 타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이 축케이싱에 각각 결합되는 제1측회전바(140) 및 제2측회전바(240);
상기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상기 제1측회전바 및 제2측회전바가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구멍부(310)에 구동모터의 샤프트가 관통하며, 상기 샤프트관통구멍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한 파이프관통구멍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케이싱(300);
상기 축케이싱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구멍부(310)에 샤프트(410)를 관통시켜 형성되며,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 획득시, 동작하여 회전하는 구동모터(400);
상기 구동모터에 형성된 샤프트에 결합되는 모터기어부(420);
상기 파이프관통구멍부(320)에 결합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모터기어부(420)에 치차 결합되는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가 구성되어 있는 턴테이블용베어링부(500);
상기 턴테이블용베어링부(5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모터기어부와 치차 결합되어 구동모터 회전시, 회전되며, 일정 간격으로 턴테이블결합홀(435)이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턴테이블과 결합되는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
중앙에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용관통홀(6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에 형성된 턴테이블결합홀(435)과 동일한 위치에 홀(650)이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와 결합시켜 구동모터 회전시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턴테이블(600);
상기 구동모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구동모터를 시계 방향 회전 혹은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기 위한 컨트롤러(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의 양 끝단에는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의 외형과 동일한 모양을 형성하고 있어 정확한 9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700)는,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710);
구동모터의 정회전, 역회전을 조작하기 위한 회전조작부(720);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속도조작부(730);
상기 회전조작부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조작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조작신호분석모듈(741);
상기 분석 결과, 정회전이면 구동모터에 정회전 신호를 전송하며, 역회전이면 구동모터에 역회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회전방향분석모듈(742);
상기 회전속도조작부로부터 회전 속도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구동모터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알피엠조절모듈(7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앙컨트롤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에는 일정 간격으로 파이프가 결합되는 척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한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척결합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9 내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는,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가 삽입될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
상기 구멍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회전시, 돌려서 고정을 해제하고, 원하는 각도에서 돌려서 고정시키기 위한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
축케이싱(300)의 양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가 관통하여 결합되며, 축케이싱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
상기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를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할 경우에 구동모터가 결합되어 있는 축케이싱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측베어링부(130) 및 제2측베어링부(230);
상기 제1측베어링부 및 제2측베어링부에 타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이 축케이싱에 각각 결합되는 제1측회전바(140) 및 제2측회전바(240);
상기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상기 제1측회전바 및 제2측회전바가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구멍부(310)에 구동모터의 샤프트가 관통하며, 상기 샤프트관통구멍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한 파이프관통구멍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케이싱(300);
상기 축케이싱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구멍부(310)에 샤프트(410)를 관통시켜 형성되며,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 획득시, 동작하여 회전하는 구동모터(400);
상기 구동모터에 형성된 샤프트에 결합되는 모터기어부(420);
상기 파이프관통구멍부(320)에 결합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모터기어부(420)에 치차 결합되는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가 구성되어 있는 턴테이블용베어링부(500);
상기 턴테이블용베어링부(5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모터기어부와 치차 결합되어 구동모터 회전시, 회전되며, 일정 간격으로 턴테이블결합홀(435)이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턴테이블과 결합되는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
중앙에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용관통홀(6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에 형성된 턴테이블결합홀(435)과 동일한 위치에 홀(650)이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와 결합시켜 구동모터 회전시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턴테이블(600);
상기 구동모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구동모터를 시계 방향 회전 혹은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기 위한 컨트롤러(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서로 마주하여 대향하도록 위치하도록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을 고정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에는 하기의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가 삽입될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이를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는 상기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회전시, 돌려서 고정을 해제하고, 원하는 각도에서 돌려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도 조절시 구동모터의 무게에 따른 각도 조절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제1회전결합해제부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의 풀림을 방지하면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용접 불량을 방지하고,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구동모터와 축케이싱 자체의 무게가 상당하여 종래에는 단단히 고정하여도 고정이 풀리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와 같은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는 축케이싱(300)의 양측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케이싱 양측에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시 부드럽게 회전이 가능하며, 축케이싱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90도로 꺽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는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가 이동하기 위한 이동홀을 원호 형상으로 도면과 같이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가 관통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원하는 90도가 아닌 원하는 각도에서 단단하게 고정 결합이 가능하며, 축케이싱 회전을 안전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파손될 염려가 없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의 양 끝단에는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의 외형과 동일한 모양을 형성하고 있어 정확한 9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1회전결합해제부(110) 및 제2회전결합해제부(210)가 장볼트(970)와 너트(980)로 구성되었다면, 장볼트가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에 삽입되고, 너트(980)를 통해 단단하게 고정하게 된다면 상기 너트의 모양이 육각형이므로 육각형의 일부 각진 형상(990)이 양끝단에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작업자가 확실하게 90도로 회전시켰다 하더라도 정확하게 90도 인지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을 개선하여 각진 형상에 너트가 결합되게 되면 정확한 90도 고정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용접 진행시, 정밀한 용접이 필수이기 때문에 경사지게 용접이 진행된다면 용접 불량이 발생하게 될 것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확한 90도 회전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제1측베어링부(130) 및 제2측베어링부(230)는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의 상측에 형성되는데, 당연히 상측에 구멍이 형성되게 되고, 구멍에 제1측베어링부(130) 및 제2측베어링부(230)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120) 및 제2회전가이드부(220)를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할 경우에 구동모터가 결합되어 있는 축케이싱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1측회전바(140) 및 제2측회전바(240)가 상기 제1측베어링부 및 제2측베어링부에 타측이 각각 결합되고, 일측이 축케이싱에 각각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축케이싱 회전시 축케이싱의 회전을 안전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케이싱(300)은 제1측프레임(100) 및 제2측프레임(200)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에 상기 제1측회전바 및 제2측회전바가 결합되어 있게 된다.
결합수단은 용접 혹은 볼트 결합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일측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구멍부(310)에 구동모터의 샤프트가 관통하며, 상기 샤프트관통구멍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한 파이프관통구멍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멍부를 파이프 관통과 샤프트 관통을 위하여 2개를 구성하는 이유는 파이프가 길 경우에 파이프의 일단이 구동모터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기어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해 상당히 긴 파이프라도 관통시켜 본 발명의 장치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종래에는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 자체가 구동모터가 위치하기 전까지 짧은 길이만 가능하였기 때문에 1미터 이상의 파이프는 턴테이블 장치에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이는 파이프가 길기 때문에 앞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용접 불량이 발생하거나, 파이프를 턴테이블 장치가 쏠리지 않도록 1미터 이하로 절단하여 용접을 진행해야 하므로 파이프 절단이라는 불필요한 작업 공정이 필요하였다.
반면에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어 1미터 이상의 긴 파이프라도 충분이 용접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축케이싱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구멍부(310)에 샤프트(410)를 관통시켜 형성되는 구동모터(400)가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는 컨트롤러의 동작 신호 획득시, 동작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에 형성된 샤프트에 모터기어부(420)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턴테이블용베어링부(500)는 상기 파이프관통구멍부(320)에 결합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모터기어부(420)에 치차 결합되는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파이프관통구멍부(320)에는 일측에 원통 형상의 베어링위치부(325)를 형성하여 턴테이블용베어링부(500)가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턴테이블용베어링부(500)의 둘레를 따라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는 상기 모터기어부와 치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운데에 1미터 이상의 긴 파이프를 관통시킬 경우에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가 필요한데, 종래에는 벨트 타입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었으나, 벨트는 영구적이지 못하여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동력 전달력이 떨어져 무거운 파이프를 회전시킬 경우에 벨트에 의한 동력 전달이 어려워 고장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기어 방식을 개시하게 된 것이며, 이를 통해 제대로 된 동력 전달이 가능하였으며, 동시에 1미터 이상의 긴 파이프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 회전시, 구동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된 모터기어부가 회전하게 되며, 이와 치차 결합된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는 일정 간격으로 턴테이블결합홀(435)이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턴테이블과 결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와 턴테이블(600)이 결합되기 위하여, 턴테이블(600)에는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에 형성된 턴테이블결합홀(435)과 동일한 위치에 홀(650)이 형성되어 결합수단(1600)에 의해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와 결합시켜 구동모터 회전시 턴테이블회전기어부(4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턴테이블의 중앙에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용관통홀(65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볼트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700)는 구동모터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구동모터를 시계 방향 회전 혹은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700)는,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710);
구동모터의 정회전, 역회전을 조작하기 위한 회전조작부(720);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속도조작부(730);
상기 회전조작부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조작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조작신호분석모듈(741);
상기 분석 결과, 정회전이면 구동모터에 정회전 신호를 전송하며, 역회전이면 구동모터에 역회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회전방향분석모듈(742);
상기 회전속도조작부로부터 회전 속도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구동모터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알피엠조절모듈(7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앙컨트롤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원공급부(710)를 구성하여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회전조작부(720)를 외관에 형성시켜 구동모터의 정회전, 역회전을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회전속도조작부(73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정회전, 역회전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선택 신호가 하기의 중앙컨트롤부에서 획득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하기에서는 중앙컨트롤부(74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조작신호분석모듈(741)은 상기 회전조작부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조작 신호를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회전을 선택하게 되면, 회전방향분석모듈(742)은 분석 결과, 정회전이면 구동모터에 정회전 신호를 전송하며, 역회전이면 구동모터에 역회전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정회전 신호를 획득하게 되었으므로 구동모터에 정회전 신호를 송출하여 정방향 회전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역회전 신호를 획득하게 되면 구동모터에 역회전 신호를 송출하여 역방향 회전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알피엠조절모듈(743)은 회전속도조작부로부터 회전 속도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구동모터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0 ~ 10 까지의 스피드를 표시하게 되며, 작업자가 5 스피드를 선택하게 되면 회전 속도 조작 신호를 획득하여 구동모터에 5 스피드에 해당하는 RPM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발판버튼부(7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 상기 중앙컨트롤부(740)는 발판버튼부의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구동모터에 회전 동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발판동작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에는 발판버튼부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포트부를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발판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누름 신호를 상기 중앙컨트롤부의 발판동작모듈에서 획득하여 구동모터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턴테이블 장치의 정회전과 역회전 및 회전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접 부위가 잘되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정회전 상태라면 지속적으로 회전시켜 확인하기를 원하는 위치를 확인함에 따른 작업 속도 지연을 방지하여 원하는 위치를 역회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회전 속도를 작업자의 용접 속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기존의 척 장치들은 웜기어 방식으로서, 강력하게 고정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용접에는 강력할 필요가 없고, 천천히 이동하기 때문에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척 디바이스는 스크류 기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손잡이부를 돌리게 되면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가볍고 부피가 작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하판플레이트(5000)는 철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판플레이트(1000)는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기에 용접 스팟이 달라붙는 현상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상판플레이트
2000 : 중앙구멍부
3000 : 가이드부
4000 : 용접대상체고정부
5000 : 하판플레이트
6000 : 손잡이부

Claims (3)

  1.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에 있어서,
    턴 테이블 장치(9000);와
    턴 테이블 장치에 결합되는 척 디바이스(8000);로 구성되되,
    상기 척 디바이스(8000)는,
    일정 지름을 가지는 상판플레이트(1000);와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상면에 외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이어 형성되며, 용접대상체고정부가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가이드하도록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부(3000);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100)을 따라 중앙 방향 혹은 외곽 방향으로 이동되어 용접 대상체와 접촉시켜 용접시 용접 대상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용접대상체고정부(4000);와
    상기 상판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면에 스크류기어부(510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에 다수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플레이트(5000);와
    상기 하판플레이트의 일측에 다수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시킬 경우에 하판플레이트(5000)에 형성된 스크류기어부(5100)에 접촉되어 있는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를 회전 이동시켜 용접 대상체에 접촉 고정시키는 손잡이부(6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용접대상체고정부(4000)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있는 수평프레임(4010);
    상기 수평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용접 대상체와 접촉시 접촉 면적을 넓게 하는 접촉면적확장부(4020);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가이드부에 일정 길이 형성된 가이드돌출부(320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부(4030);
    상기 슬라이딩홈부의 하측에 일정 간격 다수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4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중앙구멍부의 주변을 따라 수직 돌출되게 원형돌출부(11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원형돌출부의 외곽면에 하판플레이트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원형돌출부에 하판플레이트를 삽입할 경우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링부(7000)를 삽입하기 위하여 원형돌출부(1100)의 일정 높이에 링삽입홈(1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손잡이부(6000)를 회전시킬 경우, 용접대상체고정부가 중앙구멍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파이프의 외면에 접촉되게 되면 용접대상체고정부가 용접 대상체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지름의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중앙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중앙구멍부(2000);를 형성함으로써, 용접용 턴테이블 결합시 용접 대상체의 길이가 10cm 이상일 경우에 중앙구멍부를 관통시켜 결합시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판플레이트(1000)에 일정 간격으로 턴테이블결합홀(1500)이 다수 형성되어 턴테이블 장치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척결합홀(800)과 상기 턴테이블결합홀(1500) 간에 결합수단(1600)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KR1020200031498A 2020-03-13 2020-03-13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KR10231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98A KR102316546B1 (ko) 2020-03-13 2020-03-13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98A KR102316546B1 (ko) 2020-03-13 2020-03-13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559A KR20210115559A (ko) 2021-09-27
KR102316546B1 true KR102316546B1 (ko) 2021-10-25

Family

ID=7792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498A KR102316546B1 (ko) 2020-03-13 2020-03-13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4687B (zh) * 2022-07-29 2024-01-19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轴定位装置及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449A (ko) * 2006-12-13 200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빙머신용 지그 측정장치
KR101118767B1 (ko) * 2009-04-30 2012-03-20 김병억 용접용 듀얼 턴테이블 장치
KR20160060334A (ko) * 2014-11-20 2016-05-30 (주)케이텍글로벌 연동 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559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9276B2 (ja) 卓上切断機
JP4186663B2 (ja) 卓上丸鋸
KR20200048395A (ko)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
KR102316546B1 (ko) 휴대가 용이한 용접용 척 디바이스
JP2003145501A (ja) 左右傾斜式卓上切断機
US8413562B2 (en) Slide circular saw
KR20200083054A (ko) 용접용 터닝 롤러 장치
JP2008221812A (ja) 卓上切断機
JP2002307270A (ja) 竪型両頭平面研削盤
KR100354122B1 (ko) 이형관을 위한 관체의 절단장치
CN110102949A (zh) 一种焊接台
JP2001287202A (ja) 携帯用動力切断機
KR102379792B1 (ko)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JP2012157931A (ja) 卓上切断機
KR20200048394A (ko) 구동모터 샤프트와 직접 결합되는 용접용 턴테이블 장치
JP5196897B2 (ja) スライド型切断機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4800784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および眼鏡レンズ
KR100532849B1 (ko) 엑스선 검사장치의 피검사물용 테이블
JPH10217088A (ja) 舶用弁と弁座の研磨装置
JP6934266B2 (ja) 溶接ビード切削装置
CN216541661U (zh) 一种全自动底脚焊接机加工调节装置
JP5493162B2 (ja) 畳の平刺縫着装置
JP4754011B2 (ja) 真空吸着パッドセッティング装置における定置板の傾斜角度設定装置
JP2003205501A (ja) 卓上切断機
JP3724172B2 (ja) 卓上切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