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767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767B1
KR102315767B1 KR1020150092387A KR20150092387A KR102315767B1 KR 102315767 B1 KR102315767 B1 KR 102315767B1 KR 1020150092387 A KR1020150092387 A KR 1020150092387A KR 20150092387 A KR20150092387 A KR 20150092387A KR 102315767 B1 KR102315767 B1 KR 102315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ata
display device
extensions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766A (ko
Inventor
박성동
이상환
전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767B1/ko
Priority to US15/000,595 priority patent/US10034369B2/en
Publication of KR2017000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1Arrangement of scan or data electrode driver circuits at the periphery of a panel not inherent to a split matrix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5Flexible insulating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기판 위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 및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을 갖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데이터 구동칩은 칩 바디, 및 제1 및 제2 방향들과 예각을 이루며 상기 칩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를 갖는다.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은 빛샘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좁은 베젤 폭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칩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와 연결되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의 일부는 상기 주변 영역 상에 직접 실장되거나 집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의 팬아웃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압착공정에 의하여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에 포함된 구동칩이 상기 주변 영역 상에 직접 실장될 때,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액티브 영역이 열화되고 빛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빛샘 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구동칩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는 경우, 상기 주변 영역이 넓어지고 상기 표시 장치의 베젤 폭 또한 넓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표시 패널의 빛샘 현상을 줄이고 좁은 베젤 폭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위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을 갖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데이터 구동칩은 칩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예각을 이루며 상기 칩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를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력경감부는 상기 칩 바디로부터 제1 각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칩 바디로부터 제2 각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일단들은 상기 칩 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타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과의 각각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일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과의 각각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은 V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은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은 상기 칩 바디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칩 바디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일면들은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며, 상기 일면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타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은 직사각형의 인접한 두 모서리가 일부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은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응력경감부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제3 각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제4 각으로 연장되는 제4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및 제4 각들은 상기 제1 및 제2 각들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의 일단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과 연결되며,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의 타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과의 각각의 거리는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의 일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과의 각각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은 상기 칩 바디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칩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게이트 구동칩은 칩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예각을 이루며 상기 칩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칩은 V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칩은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열압착공정에 의하여 구동칩이 실장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결점들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칩이 기판에 실장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빛샘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구동칩의 상기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대향하는 면이 넓어지므로, 상기 열압착공정 시 발생되는 응력이 분산되며 상기 열압착공정에 의한 상기 표시 패널의 결점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칩은 상기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가깝게 실장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게이트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인쇄 회로 기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 전압 생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42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FPC, 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42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들(420)은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410)은 인쇄 회로 기판(PCB, 20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이웃하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픽셀들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 상에 배치된다.
각 픽셀은 스위칭 소자(미도시), 상기 스위칭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미도시)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 영역(PA) 상에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와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부(PD) 및 상기 데이터 라인(DL)의 팬아웃부(FO)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 제2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판은 어레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상에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기판 상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에는 픽셀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은 대향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 하부에는 상기 픽셀 전극과 마주보는 공통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는 상기 픽셀의 색을 정의하는 컬러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이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실링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10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LU)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칩(420)은 칩 바디(422), 및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칩 바디(422)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424)를 포함한다.
응력경감부(424)는 칩 바디(422)로부터 제1 각(θ1)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26), 및 칩 바디(422)로부터 제2 각(θ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이터 구동칩(420)은 V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은 칩 바디(42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칩 바디(422)는 제1 방향(D1)을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들의 일단들은 칩 바디(422)와 연결된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의 타단들과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과의 각각의 거리(L1)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의 일단들과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과의 각각의 거리(L2)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열압착공정에 의해 데이터 구동칩(420)을 부착할 때,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의 타단들에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일부분들에 결점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점은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빛샘 현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의 타단들이 열압착됨에 의해 표시 패널(100)에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주로 발생되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를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면서 동시에 데이터 구동칩(420)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가까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의 면적을 줄이면서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압착공정에 의해 비교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칩(430)을 실장하면, 데이터 구동칩(430)의 일단(432) 및 타단(434)에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일부분들(102, 104)에는 스트레스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스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는 빛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데이터 구동칩(430)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이격시키면 베젤 폭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데이터 구동칩(420)은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발생될 수 있는 빛샘 현상을 줄일 수 있고,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2)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인쇄 회로 기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 전압 생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2)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44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2)는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FPC, 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44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들(440)은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410)은 인쇄 회로 기판(PCB, 20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이웃하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픽셀들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 상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칩(440)은 칩 바디(442), 및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칩 바디(442)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444)를 포함한다.
응력경감부(444)는 칩 바디(442)로부터 제1 각(θ1)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46), 및 칩 바디(442)로부터 제2 각(θ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48)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이터 구동칩(440)은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446, 448)은 칩 바디(44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칩 바디(442)는 제1 방향(D1)을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열압착공정에 의해 데이터 구동칩(440)을 부착할 때, 제1 및 제2 연장부들(446, 448)의 타단들에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일부분들에 결점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점은 빛샘 현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446, 448)의 타단들이 열압착됨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주로 발생되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446, 448)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면서 동시에 데이터 구동칩(440)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가까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4)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인쇄 회로 기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 전압 생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4)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45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4)는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FPC, 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45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들(450)은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450)은 각각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4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410)은 인쇄 회로 기판(PCB, 20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이웃하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픽셀들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 상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칩(450)은 칩 바디(452), 및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칩 바디(452)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454)를 포함한다.
응력경감부(454)는 칩 바디(452)로부터 제1 각(θ1)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56), 및 칩 바디(452)로부터 제2 각(θ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5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칩 바디(452)는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장부들(456, 458)의 일면들(457)은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대향하고, 제1 및 제2 연장부들(456, 458)의 일면들(457)은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타면들(459)은 제1 방향(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450)은 직사각형의 인접한 두 모서리가 일부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456, 458)은 칩 바디(45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열압착공정에 의해 데이터 구동칩(450)을 부착할 때, 제1 및 제2 연장부들(456, 458)의 타단들에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일부분들에 결점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점은 빛샘 현상일 수 있다.
특히, 표시 패널(100)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456, 458)의 타면들(457)의 면적을 넓혀, 발생하는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456, 458)의 타단들이 열압착됨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주로 발생되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456, 458)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면서 동시에 데이터 구동칩(450)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가까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6)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인쇄 회로 기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 전압 생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6)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46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6)는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FPC, 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46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들(460)은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410)은 인쇄 회로 기판(PCB, 20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이웃하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픽셀들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 상에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칩(460)은 칩 바디(462), 및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칩 바디(462)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464)를 포함한다.
응력경감부(464)는 칩 바디(462)로부터 제1 각(θ1)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66), 및 칩 바디(462)로부터 제2 각(θ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6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칩 바디(462)는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장부들(466, 468)의 일면들(467)은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대향하고, 제1 및 제2 연장부들(466, 468)의 일면들(467)은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타면들(469)은 제1 방향(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460)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466, 468)은 칩 바디(46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열압착공정에 의해 데이터 구동칩(460)을 부착할 때, 제1 및 제2 연장부들(466, 468)의 타단들에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일부분들에 결점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점은 빛샘 현상일 수 있다.
특히, 표시 패널(100)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466, 468)의 타면들(467)의 면적을 넓혀, 발생하는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466, 468)의 타단들이 열압착됨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주로 발생되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466, 468)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면서 동시에 데이터 구동칩(460)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가까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8)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인쇄 회로 기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 전압 생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8)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47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8)는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FPC, 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47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들(470)은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410)은 인쇄 회로 기판(PCB, 20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이웃하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픽셀들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 상에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칩(470)은 칩 바디(472), 및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칩 바디(472)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474)를 포함한다.
응력경감부(474)는 칩 바디(472)로부터 제1 각(θ1)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76), 및 칩 바디(472)로부터 제2 각(θ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7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칩 바디(472)는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장부들(476, 478)의 일면들(477)은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대향하고, 제1 및 제2 연장부들(476, 478)의 일면들(477)은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타면들(479)은 제1 방향(D1)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470)은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476, 478)은 칩 바디(47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열압착공정에 의해 데이터 구동칩(470)을 부착할 때, 제1 및 제2 연장부들(476, 478)의 타단들에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일부분들에 결점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점은 빛샘 현상일 수 있다.
특히,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 연장부들(476, 478)의 타면들(477)의 면적을 넓혀, 발생하는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들(476, 478)의 타단들이 열압착됨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주로 발생되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들(476, 478)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면서 동시에 데이터 구동칩(470)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가까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데이터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3 및 제4 연장부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인쇄 회로 기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 전압 생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12)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48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12)는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FPC, 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48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들(480)은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410)은 인쇄 회로 기판(PCB, 20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이웃하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픽셀들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 상에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칩(480)은 칩 바디(482), 및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칩 바디(482)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484)를 포함한다.
응력경감부(484)는 칩 바디(482)로부터 제1 각(θ1)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26), 및 칩 바디(482)로부터 제2 각(θ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응력경감부(484)는 제1 연장부(426)로부터 제3 각(θ3)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486), 및 제2 연장부(428)로부터 제4 각(θ4)으로 연장되는 제4 연장부(4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제3 및 제4 각들(θ3, θ4)은 제1 및 제2 각들(θ1, θ2)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486, 488)의 일단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과 연결되며,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486, 488)의 타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과의 각각의 거리는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486, 488)의 일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과의 각각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446, 448)은 칩 바디(48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며, 제3 및 제4 연장부들(486, 488)은 칩 바디(48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열압착공정에 의해 데이터 구동칩(480)을 부착할 때, 제3 및 제4 연장부들(486, 488)의 타단들에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일부분들에 결점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점은 빛샘 현상일 수 있다.
제3 및 제4 연장부들(486, 488)의 타단들이 열압착됨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주로 발생되므로, 제3 및 제4 연장부들(486, 488)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면서 동시에 데이터 구동칩(480)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가까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게이트 구동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게이트 구동부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302) 및 데이터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인쇄 회로 기판들(200, 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200, 21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 전압 생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42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FPC, 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42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칩들(420)은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연성 회로 기판(410)은 인쇄 회로 기판(PCB, 20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2)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칩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402)는 게이트 연성 회로 기판(FPC, 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칩들(320)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칩들(420)은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연성 회로 기판(310)은 인쇄회로 기판(210)과 상기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이웃하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픽셀들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 상에 배치된다.
각 픽셀은 스위칭 소자(미도시), 상기 스위칭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미도시)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 영역(PA) 상에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와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부(PD) 및 상기 데이터 라인(DL)의 팬아웃부(FO)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 제2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2)에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2)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2)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칩(420)은 칩 바디(422), 및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칩 바디(422)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424)를 포함한다.
응력경감부(424)는 칩 바디(422)로부터 제1 각(θ1)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26), 및 칩 바디(422)로부터 제2 각(θ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데이터 구동칩(420)은 V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은 칩 바디(42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칩 바디(422)는 제1 방향(D1)을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동칩(320)은 칩 바디(322), 및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예각을 이루며 칩 바디(322)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324)를 포함한다.
응력경감부(324)는 칩 바디(322)로부터 제5 각(θ5)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526), 및 칩 바디(522)로부터 제6 각(θ6)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5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게이트 구동칩(520)은 V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게이트 구동칩(530)은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장부들(526, 528)은 칩 바디(52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칩 바디(522)는 제2 방향(D2)을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열압착공정에 의해 데이터 구동칩(420) 및 게이트 구동칩(320)을 부착할 때, 데이터 구동칩(420)의 제1 및 제2 연장부들(426, 428)의 타단들, 및 게이트 구동칩(520)의 제1 및 제2 연장부들(526, 528)의 타단들에 각각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의 일부분들에 결점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점은 빛샘 현상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칩(420) 및 게이트 구동칩(320)을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A)에 근접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인쇄 회로 기판
300: 게이트 구동부 310: 게이트 연성 인쇄 회로 기판
320: 게이트 구동 칩 330: 제2 게이트 구동부
400: 데이터 구동부 410: 데이터 연성 인쇄 회로 기판
420: 데이터 구동 칩

Claims (20)

  1. 기판 위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복수의 데이터 구동칩들을 갖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데이터 구동칩은 칩 바디;
    상기 칩 바디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칩 바디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제2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각은 예각이고 상기 제2 각은 예각이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서로 평행한 두변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평행한 두 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일단들은 상기 칩 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타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과의 각각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일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과의 각각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은 V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은 U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은 상기 칩 바디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칩 바디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일면들은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며,
    상기 일면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로부터 경사진 방향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의 타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제3 각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제4 각으로 연장되는 제4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 각은 상기 제1 각보다 크고,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4 각은 상기 제2 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의 일단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과 연결되며,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의 타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과의 각각의 거리는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의 일단들과 상기 표시 패널과의 각각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들은 상기 칩 바디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칩들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칩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게이트 구동칩은 칩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칩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응력경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칩은 V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칩은 U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92387A 2015-06-29 2015-06-29 표시 장치 KR102315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87A KR102315767B1 (ko) 2015-06-29 2015-06-29 표시 장치
US15/000,595 US10034369B2 (en) 2015-06-29 2016-01-1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87A KR102315767B1 (ko) 2015-06-29 2015-06-2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66A KR20170002766A (ko) 2017-01-09
KR102315767B1 true KR102315767B1 (ko) 2021-10-22

Family

ID=5760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387A KR102315767B1 (ko) 2015-06-29 2015-06-2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34369B2 (ko)
KR (1) KR1023157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480A (ja) * 1999-01-20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840A (ko) 2006-12-22 2008-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700701B1 (ko) * 2010-09-24 2017-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KR102252380B1 (ko) * 2014-04-24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배선 기판,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480A (ja) * 1999-01-20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79587A1 (en) 2016-12-29
KR20170002766A (ko) 2017-01-09
US10034369B2 (en)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074B1 (ko) 곡면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77243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power supply lin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EP3067736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reduced-width bez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02077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576520B2 (en) Display device with groove in a non-display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76547B1 (ko) 표시 장치
US9880413B2 (en) Display device
KR10241348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782581B2 (en) Display device
US20190025629A1 (en) Display device and smart mobile device
JP2017215411A (ja) 液晶表示装置
US20160139462A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KR102608434B1 (ko) 표시 장치
KR20140097774A (ko) 액정표시장치
KR102381908B1 (ko) 표시패널과 그 정전기 방전 방법
KR20080002336A (ko) 액정표시장치
US20190162994A1 (en) Electronic device
KR102315767B1 (ko) 표시 장치
KR20200009163A (ko) 표시 장치
KR10129663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5884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112258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81630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31533B1 (ko) 표시장치
KR102212456B1 (ko) 씨오지 방식의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