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16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163A
KR20200009163A KR1020180082822A KR20180082822A KR20200009163A KR 20200009163 A KR20200009163 A KR 20200009163A KR 1020180082822 A KR1020180082822 A KR 1020180082822A KR 20180082822 A KR20180082822 A KR 20180082822A KR 20200009163 A KR20200009163 A KR 20200009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ircuit
printed circuit
films
poin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용수
박진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2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163A/ko
Priority to US16/405,738 priority patent/US20200029437A1/en
Priority to CN201910641695.4A priority patent/CN110794627A/zh
Publication of KR20200009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27Non-rectangular flat PCB, e.g. circula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1Tape Carrier Package [TCP]; Flexible sheet conn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측과 마주보는 복수 개의 인쇄 회로 기판들, 및 상기 제1 측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성 회로 필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연성 회로 필름들의 길이들은 상기 제1 측의 소정의 지점으로 정의된 제1 지점부터 상기 제1 측의 일단 및 상기 제1 측의 타단으로 갈수록 길어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에 연결된 상기 연성 회로 필름들의 일측들은 상기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연장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성 회로 필름들의 응력을 감소시키고, 인쇄 회로 기판들의 실장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복수 개의 화소들이 배치된 표시 패널,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표시 패널에 배치되어 화소들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부 및 표시 패널의 일측에 연결되어 화소들에 연결된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복수 개의 소스 구동 칩들을 포함하고, 소스 구동 칩들은 연성 회로 필름들 상에 배치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다. 연성 회로 필름들은 표시 패널의 일측과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소스 구동 칩들은 연성 회로 필름들을 통해 타이밍 컨트롤러 및 표시 패널에 연결된다. 연성 회로 필름들은 밴딩되고 인쇄 회로 기판은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평평한 형태로 제조되어 왔으나, 최근 곡면 형태를 갖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평평한 상태의 표시 패널을 곡면 형태로 변형하여 곡면 표시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을 곡면 형태로 변형할 경우, 표시 패널에 연결된 연성 회로 필름들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연성 회로 필름들이 표시 패널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 회로 필름들의 응력을 감소하고, 인쇄 회로 기판들의 실장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측과 마주보는 복수 개의 인쇄 회로 기판들, 및 상기 제1 측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성 회로 필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연성 회로 필름들의 길이들은 상기 제1 측의 소정의 지점으로 정의된 제1 지점부터 상기 제1 측의 일단 및 상기 제1 측의 타단으로 갈수록 길어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에 연결된 상기 연성 회로 필름들의 일측들은 상기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연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곡면 표시 패널의 일측의 끝단으로 갈수록 연성 회로 필름들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연성 회로 필름들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인쇄 회로 기판들에 연결된 연성 회로 필름들의 일측들을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들의 실장 영역을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곡면 형태로 변형하고,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 연성 회로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연성 회로 필름들 중 제1 기판의 일측의 일단에 인접한 제1 연성 회로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연성 회로 필름과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의 연성 회로 필름들 및 인쇄 회로 기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DP), 게이트 구동부(GD), 복수 개의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 복수 개의 데이터 구동부들(DD1,DD2), 및 복수 개의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은 양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기판(SUB1), 제1 기판(SUB1)과 마주보는 제2 기판(SUB2), 및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L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들(SUB1,SUB2)은 투명한 유기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들(SUB1,SUB2)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액정층(LC)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DP)이 도 1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표시 패널(DP)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및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에는 복수 개의 화소들(PX),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m), 및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이 배치될 수 있다. m 및 n은 자연수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하나의 화소(PX)만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복수 개의 화소들(PX)이 제1 기판(SUB1)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1~G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게이트 구동부(GD)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데이터 구동부들(DD1,DD2)에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1~GLm) 및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서로 절연되어 교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게이트 라인들(GL1~GLm) 및 데이터 라인들(DL1~DLn)에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는 제1 기판(SUB1)의 일측에 인접한 제1 기판(SUB1)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의 일측은 제1 기판(SUB1)의 단변들 중 어느 하나의 단변으로 정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는 화소들(PX)의 트랜지스터들과 동일한 공정으로 동시에 형성되어 ASG(Amorphous Silicon TFT Gate driver circuit) 형태 또는 OSG(Oxide Silicon TFT Gate driver circuit) 형태로 제1 기판(SUB1)에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게이트 구동부(GD)는 복수 개의 게이트 구동 칩들을 포함하고, 게이트 구동 칩들은 연성 회로 필름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들이 제1 기판(SUB1)에 연결되고, 게이트 구동 칩들이 연성 회로 필름들을 통해 제1 기판(SUB1)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복수 개의 게이트 구동 칩들은 제1 기판(SUB1)에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들(DD1,DD2)은 복수 개의 소스 구동 칩들(S-IC1,S-IC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소스 구동 칩들(S-IC1,S-IC2)은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은 표시 패널(DP)의 제1 측(FS)과 이격되어 표시 패널(DP)의 제1 측(FS)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제1 측(FS)은 표시 패널(DP)의 장변들 중 어느 하나의 장변으로 정의되며, 제1 기판(SUB1)의 일측(FS)을 정의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제1 측(FS)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 및 표시 패널(DP)에 연결될 수 있다. 소스 구동 칩들(S-IC1,S-IC2)은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 및 표시 패널(DP)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일측들은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에 연결되고,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타측들은 표시 패널(DP)의 제1 측(FS)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 각각의 타측은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 각각의 일측의 반대측일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은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1,DD2)는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에 연결된 제1 데이터 구동부(DD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에 연결된 제2 데이터 구동부(DD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DP)은 두 개의 제1 영역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DD1)는 표시 패널(DP)의 제1 영역의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동부(DD2)는 표시 패널(DP)의 제2 영역의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DD1)는 복수 개의 제1 소스 구동 칩들(S-IC1)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 구동부(DD2)는 복수 개의 제2 소스 구동 칩들(S-IC2)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은 복수 개의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 및 복수 개의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스 구동 칩들(S-IC1)은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 상에 배치되고, 제2 소스 구동 칩들(S-IC2)은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은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과 표시 패널(DP)의 제1 측(FS)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소스 구동 칩들(S-IC1)은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을 통해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과 표시 패널(DP)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은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과 표시 패널(DP)의 제1 측(FS)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소스 구동 칩들(S-IC2)은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을 통해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과 표시 패널(DP)에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 상에 타이밍 컨트롤러들(미 도시됨)이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들은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 상에 실장되어 데이터 구동부들(DD1,DD2)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 상에 배치된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1 데이터 구동부(DD1)에 연결되고,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 상에 배치된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2 데이터 구동부(DD2)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들은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영상 데이터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이밍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는 어느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예를 들어 최 우측에 배치된 연성 회로 필름(FL1))을 통해 게이트 구동부(GD)에 연결될 수 있고,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 개의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는 게이트 신호들은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신호들은 게이트 라인들(GL1~GLm)을 통해 행 단위로 화소들(PX)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화소들(PX)은 행 단위로 구동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들(DD1,DD2)은 영상 데이터들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들(DD1,DD2)은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통해 화소들(PX)에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게이트 라인들(GL1~GLm)을 통해 제공받은 게이트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통해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화소들(PX)이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계조를 표시함으로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DP) 후방에 백라이트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DP)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는 게이트 라인(GLi) 및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 화소(PX)가 도시되었으며, 표시 패널(DP)의 다른 화소들(PX)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화소(PX)와 동일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X)는 게이트 라인(GLi) 및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lc), 및 액정 커패시터(Clc)에 병렬로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생략될 수 있다. i 및 j는 자연수이다.
트랜지스터(TR)는 제1 기판(SUB1)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라인(GLi)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미 도시됨),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 소스 전극(미 도시됨), 및 액정 커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미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제1 기판(SUB1)에 배치된 화소 전극(PE), 제2 기판(SUB2)에 배치된 공통 전극(CE), 및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LC)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LC)은 유전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화소 전극(PE)은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화소 전극(PE)은 비 슬릿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 전극(PE)은 십자 형상의 줄기부 및 줄기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가지부들을 포함하는 슬릿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제2 기판(SUB2)의 하부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통 전극(CE)은 제1 기판(SUB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소 전극(PE) 및 공통 전극(CE) 중 적어도 하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화소 전극(PE), 스토리지 라인(미 도시됨)으로부터 분기된 스토리지 전극(미 도시됨), 및 화소 전극(PE)과 스토리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라인은 제1 기판(SUB1)에 배치되며, 게이트 라인들(GL1~GLm)과 동일층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전극은 화소 전극(PE)과 부분적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화소(PX)는 레드, 그린, 및 블루 색 중 하나를 나타내는 컬러 필터(C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컬러 필터(CF)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SUB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컬러 필터(CF)는 제1 기판(SUB1)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라인(GLi)을 통해 제공받은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된다. 데이터 라인(DLj)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전압은 턴 온된 트랜지스터(TR)를 통해 액정 커패시터(Clc)의 화소 전극(PE)에 제공될 수 있다. 공통 전극(CE)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전압 및 공통 전압의 전압 레벨의 차이에 의해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액정층(LC)의 액정 분자들이 구동될 수 있다. 전계에 의해 구동된 액정 분자들에 의해 광 투과율이 조절되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스토리지 라인에는 일정한 전압 레벨을 갖는 스토리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리지 라인은 공통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액정 커패시터(Clc)의 충전량을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의 제1 측(FS)의 소정의 지점(point)은 제1 지점(P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지점(P1)은 제1 측(FS)의 중심부일 수 있으나, 제1 지점(P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측(FS)은 제1 지점(P1)부터 제1 측(FS)의 일단까지 연장하는 제1 부분(PT1) 및 제1 지점(P1)부터 제1 측(FS)의 타단까지 연장하는 제2 부분(PT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제1 측(FS)의 일단은 제1 측(FS)의 좌측이고, 제1 측(FS)의 타단은 제1 측(FS)의 우측일 수 있다. 제1 부분(PT1)의 끝단은 제1 측(FS)의 일단이고 제2 부분(PT2)의 끝단은 제1 측(FS)의 타단일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은 제1 부분(PT1)과 이격되어 제1 부분(PT1)과 마주볼 수 있다.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은 제2 부분(PT2)과 이격되어 제2 부분(PT2)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은 제1 부분(PT1) 및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은 제2 부분(PT2)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길이들은 제1 지점(P1)부터 제1 측(FS)의 일단으로 갈수록, 그리고 제1 지점(P1)부터 제1 측(FS)의 타단으로 갈수록 길어질 수 있다. 즉, 제1 측(FS)의 중심부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길이들이 길어질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의 길이들은 제1 지점(P1)부터 제1 측(FS)의 일단으로 갈수록 길어질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의 길이들은 제1 지점(P1)부터 제1 측(FS)의 타단으로 갈수록 길어질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은 제1 지점(P1)부터 제1 측(FS)의 일단으로 갈수록 제1 부분(PT1)으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은 제1 지점(P1)부터 제1 측(FS)의 타단으로 갈수록 제2 부분(PT2)으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에 연결된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일측들은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좌우로 서로 반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제1 방향(DR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에 연결된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의 일측들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제1 부분(PT1)과 90도보다 작은 제1 각도(θ1)를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에 연결된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의 일측들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제2 부분(PT2)과 90도보다 작은 제2 각도(θ2)를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이하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1 측(FS)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은 좌측 방향(LDR1)으로 정의되고,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1 측(FS)의 타단을 항햐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은 우측 방향(RDR1)으로 정의한다. 제1 방향(DR1)은 좌측 방향(LDR1) 및 우측 방향(RD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의 일측들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좌측 방향(LDR1)과 제1 각도(θ1)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의 일측들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RDR1)과 제2 각도(θ2)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의 일측들은 제1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좌측 방향(LDR1)과 제1 각도(θ1)를 이루고 연장하는 가상의 선은 제1 연장선(EL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연장선(EL1)은 제1 부분(PT1)과 마주보는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일측에 인접하고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을 가로지르는 연장선일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의 일측들은 제1 연장선(EL1)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1 연장선(EL1)은 제1 동일선(EL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의 일측들은 제2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RDR1)과 제2 각도(θ2)를 이루고 연장하는 가상의 선은 제2 연장선(EL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연장선(EL2)은 제2 부분(PT2)과 마주보는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의 일측에 인접하고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을 가로지르는 연장선일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의 일측들은 제2 연장선(EL2)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2 연장선(EL2)은 제2 동일선(EL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일측들과 달리, 표시 패널(DP)에 연결된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타측들 각각은 제1 방향(DR1)에 평행한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각도(θ1)는 제2 각도(θ2)와 같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의 일측들은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의 일측들과 대칭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각각 2도 내지 10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각도(θ1)는 제2 각도(θ2)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의 일측들은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의 일측들과 대칭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전체 형상을 기준으로,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은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과 각각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은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과 각각 대칭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제1 부분(PT1)과 제1 각도(θ1)를 이루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좌측 방향(LDR1)과 제1 각도(θ1)를 이룰수 있다.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제2 부분(PT2)과 제2 각도(θ2)를 이루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RDR1)과 제2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은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은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과 대칭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 각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직사각형의 장변들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제1 부분(PT1)과 제1 각도(θ1)를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의 직사각형의 장변들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제2 부분(PT2)과 제2 각도(θ2)를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직사각형의 단변들은 직사각형의 장변들의 끝단들에서 직사각형의 장변들과 수직하게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직사각형의 단변들은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장변들이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여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장변들의 끝단들에서 연장 수 있다.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의 직사각형의 단변들은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의 장변들이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여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의 장변들의 끝단들에서 연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소스 구동 칩들(S-IC1,S-IC2)은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중심 부분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중심 부분들은 벤딩부들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곡면 형태로 변형하고,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서로 합착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며, 화소들(PX), 게이트 구동부(GD), 및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들(GL1~GLm,DL1~DLn)은 생략되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곡면 표시 장치(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제1 방향(DR1)에 대해서 휘어지고, 제2 방향(DR2)에 대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곡률은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DP)의 양측들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즉, 표시 패널(DP)은 표시 패널(DP)의 양측들로 갈수록 더 크게 휘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은 표시 패널(DP) 하부를 향해 벤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이 벤딩되어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이 표시 패널(DP)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의 중심 부분들은 제1 벤딩부들(BP1)로 정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 벤딩부들(BP1)은 제1 소스 구동 칩들(S-IC1)이 배치된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의 부분들과 오버랩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의 중심 부분들은 제2 벤딩부들(BP2)로 정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2 벤딩부들(BP2)은 제2 소스 구동 칩들(S-IC2)이 배치된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의 부분들과 오버랩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은 표시 패널(DP) 하부를 향해 제1 벤딩부들(BP1)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은 표시 패널(DP) 하부를 향해 제2 벤딩부들(BP2)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벤딩부들(BP1,BP2)이 벤딩됨으로써,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이 표시 패널(DP)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비교 연성 회로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연성 회로 필름들 중 제1 기판의 일측의 일단에 인접한 제1 연성 회로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이 휘어지고, 제1 기판(SUB1)의 양측들로 갈수록 제1 기판(SUB1)은 더 크게 휘어질 수 있다.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은 제1 기판(SUB1)에서 곡률이 가장 큰 제1 기판(SUB1)의 일측에 인접한 제1 기판(SUB1)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은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 각각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은 제1 기판(SUB1)의 일측에 인접한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의 벤딩부(BP')를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벤딩부(BP')는 제1 및 제2 벤딩부들(BP1,BP2)보다 제1 기판(SUB1)에 인접할 수 있다.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이 평평하게 펼쳐져 있을 경우,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은 표시 패널(DP) 하부를 향해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그러나, 곡면 형태로 변형된 제1 기판(SUB1)에 연결된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은 제1 기판(SUB1)과 같이 곡면 형태로 변형된다. 평평한 상태보다 휘어진 상태에서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의 벤딩이 보다 더 어렵게 수행될 수 있다.
휘어진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을 벤딩하기 위해 보다 더 강한 힘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제1 기판(SUB1)의 일측에 연결된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의 일측(OS1')에 보다 강한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응력에 의해 비교 연성 회로 필름(FL')의 일측(OS1')이 제1 기판(SUB1)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기판(SUB1)의 일측의 일단 및 타단으로 갈수록 제1 기판(SUB1)이 더 크게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비교 연성 회로 필름들(FL')이 제1 기판(SUB1)에 연결될 경우, 제1 기판(SUB1)의 일측의 일단 및 타단으로 갈수록 보다 더 큰 응력이 비교 연성 회로 필름들(FL')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의 일측은 평평한 상태인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에 연결되고,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의 타측은 휘어진 제1 기판(SUB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은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 중 가장 긴 길이를 갖고, 제1 기판(SUB1) 중 상대적으로 가장 큰 곡률을 갖는 제1 기판(SUB1)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에 인접한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의 부분은 제1 기판(SUB1)과 같이 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기판(SUB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은 보다 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의 길이를 길게함으로써, 제1 벤딩부(BP1)는 벤딩부(BP')보다 제1 기판(SUB1)으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보다 덜 휘어지고 제1 기판(SUB1)으로부터 보다 더 이격된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의 제1 벤딩부(BP1)를 기준으로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이 벤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기판(SUB1)에 연결된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의 응력이 약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기판(SUB1)의 일측의 일단 및 타단으로 갈수록 제1 기판(SUB1)이 더 크게 휘어지고, 제1 기판(SUB1)이 더 크게 휘어질수록 응력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길이들은 제1 기판(SUB1)의 일측의 일단 및 타단으로 갈수록 길어지므로,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응력들은 제1 기판(SUB1)의 휘어진 정도에 비례해서 약해질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연성 회로 필름과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의 일측이 경사면을 갖지 않고 점선으로 도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경우,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은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보다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외에도 다양한 전자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 및 다양한 전자 소자들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또는 실장 영역)이 부족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의 일측이 경사면을 가지므로,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은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보다 적은 부분을 차지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밍 컨트롤러 및 다양한 전자 소자들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보다 더 확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의 응력을 감소시키고,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의 실장 영역을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의 연성 회로 필름들 및 인쇄 회로 기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연성 회로 필름들(FL1_1,FL2_1,FL2_2) 및 도 10에 도시된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은 실질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연성 회로 필름들(FL1,FL2) 및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과 다른 구성들을 위주로, 연성 회로 필름들(FL1_1,FL2_1,FL2_2) 및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 내지 도 10에는 연성 회로 필름들(FL1_1,FL2_1,FL2_2)에 연결된 제1 기판(SUB1)의 일부분이 도시되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_1)의 일측들 중 일부는 제1 동일선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제1 동일선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_1) 중 홀수 번째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_1)은 제1 연장선(EL1)에 오버랩하고, 짝수 번째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_1)은 제1 연장선(EL1)에 오버랩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_1)의 일측들 중 일부는 제2 동일선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제2 동일선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_1) 중 홀수 번째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_1)은 제2 연장선(EL2)에 오버랩하고, 짝수 번째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_1)은 제2 연장선(EL2)에 오버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은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_2)과 서로 대칭되는 위치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점(P1)을 기준을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이 배치된 위치들은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_2)이 배치된 위치들과 대칭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필름들(FL1) 각각은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_2) 중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연성 회로 필름들(FL2_2)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FS)의 일단에 인접한 제1 연성 회로 필름(FL1)은 제1 측(FS)의 타단에 인접한 제2 연성 회로 필름(FL2)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들(PCB1'PCB2') 각각은 평행 사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평행 사변형의 장변들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제1 부분(PT1)과 제1 각도(θ1)를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평행 사변형의 단변들은 제1 인쇄 회로 기판(PCB1')의 장변들의 끝단들에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의 평행 사변형의 장변들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제2 부분(PT2)과 제2 각도(θ2)를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의 평행 사변형의 단변들은 제2 인쇄 회로 기판(PCB2')의 장변들의 끝단들에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SUB1,SUB2: 제1 및 제2 기판 FL1,FL2: 제1 및 제2 연성 회로 필름
PCB1,PCB2: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
DD1,DD2: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 GD: 게이트 구동부
S-IC1,S-IC2: 제1 및 제2 소스 구동칩
FS: 제1 측 P1: 제1 지점
PT1,PT2: 제1 및 제2 부분 EL1,EL2: 제1 및 제2 연장선
BP1,BP2: 제1 및 제2 벤딩부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측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측과 마주보는 복수 개의 인쇄 회로 기판들; 및
    상기 제1 측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성 회로 필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연성 회로 필름들의 길이들은 상기 제1 측의 소정의 지점으로 정의된 제1 지점부터 상기 제1 측의 일단 및 상기 제1 측의 타단으로 갈수록 길어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에 연결된 상기 연성 회로 필름들의 일측들은 상기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연장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은,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1 측의 상기 일단까지 연장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1 측의 상기 타단까지 연장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은,
    상기 제1 부분과 마주보는 제1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부분과 마주보는 제2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들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부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연성 회로 필름들; 및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의 길이들은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1 측의 상기 일단으로 갈수록 길어지고,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의 길이들은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1 측의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길어지는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1 측의 상기 일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더 멀어지고,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1 측의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표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은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과 각각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과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된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의 일측들은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부분과 90도보다 작은 제1 각도를 이루고 연장하고,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된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의 일측들은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부분과 90도보다 작은 제2 각도를 이루고 연장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의 상기 일측들은 제1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의 상기 일측들은 제2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의 상기 일측들 중 일부는 제1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1 동일선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의 상기 일측들 중 일부는 제2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동일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 표시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와 같은 표시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는 각각 2도 내지 10도로 설정되는 표시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와 다른 표시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1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지고,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지는 표시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들 각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직사각형의 장변들은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1 각도를 이루고 연장하고,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직사각형의 장변들은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각도를 이루고 연장하는 표시 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들 각각은 평행 사변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평행 사변형의 장변들은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1 각도를 이루고 연장하고,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평행 사변형의 단변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평행 사변형의 장변들은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각도를 이루고 연장하고,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평행 사변형의 단변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을 기준을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이 배치된 위치들은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이 배치된 위치들과 대칭되고,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 각각은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 중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연성 회로 필름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표시 장치.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휘어지고,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평평한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은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의 중심 부분들로 정의되는 상기 제1 연성 회로 필름들의 제1 벤딩부들 기준으로 상기 표시 패널 하부를 향해 벤딩되고,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은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의 중심 부분들로 정의되는 상기 제2 연성 회로 필름들의 제2 벤딩부들 기준으로 상기 표시 패널 하부를 향해 벤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은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1 측의 중심부인 표시 장치.
KR1020180082822A 2018-07-17 2018-07-17 표시 장치 KR20200009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22A KR20200009163A (ko) 2018-07-17 2018-07-17 표시 장치
US16/405,738 US20200029437A1 (en) 2018-07-17 2019-05-07 Display device with angular flexible circuit film
CN201910641695.4A CN110794627A (zh) 2018-07-17 2019-07-16 具有有角度的柔性电路膜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22A KR20200009163A (ko) 2018-07-17 2018-07-17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163A true KR20200009163A (ko) 2020-01-30

Family

ID=6916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822A KR20200009163A (ko) 2018-07-17 2018-07-1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29437A1 (ko)
KR (1) KR20200009163A (ko)
CN (1) CN1107946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6757B (zh) * 2018-12-04 2020-08-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基板及采用该柔性基板的显示面板
JP7274365B2 (ja) * 2019-06-26 2023-05-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94627A (zh) 2020-02-14
US20200029437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5195B2 (en) Horizontal stri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361899B (zh) 一种显示装置
CN109523963B (zh) 一种显示装置的驱动电路和显示装置
US80138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713092B2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77243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power supply lin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1501152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ulti-panel display apparatus
EP3296808A1 (en) Curved display apparatus having a flexible circuit board
US10488717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ulti display apparatus
US10884300B2 (en) Display device
US10901276B2 (en) Display device
KR20200009163A (ko) 표시 장치
US20160139462A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US9275932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8188951B2 (en) Chip on glass type display device
US10215910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71915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module
KR2006010632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210024270A (ko) 표시 장치
US10234625B2 (en) Display apparatus
JP6936750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315767B1 (ko) 표시 장치
KR2006009514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장치와 가요성인쇄회로기판
KR20080054479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KR20060001163A (ko) 액정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