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510B1 -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510B1
KR102315510B1 KR1020210036597A KR20210036597A KR102315510B1 KR 102315510 B1 KR102315510 B1 KR 102315510B1 KR 1020210036597 A KR1020210036597 A KR 1020210036597A KR 20210036597 A KR20210036597 A KR 20210036597A KR 102315510 B1 KR102315510 B1 KR 102315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d
weight
powder
lactic aci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우
김영민
조성휘
Original Assignee
협동조합 바이오융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동조합 바이오융합기술 filed Critical 협동조합 바이오융합기술
Priority to KR102021003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을 함유한 항산화 복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포닌을 다량 함유한 추출물 및 장기 숙성 대두콩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Antioxidant composite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을 함유한 항산화 복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효식품 및 발효 소재를 이용한 식품 및 화장품 개발이 활기를 띠면서, 천연 식물 소재 또는 전통적인 민간 요법으로 전래되는 한약재 등을 발효시킨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나, 추출된 이후에는 불안정하고 때론 자극적이어서, 인체에 독성을 유발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 추출물을 안정화시키거나, 독성을 줄이거나, 안정한 유도체로 전환시켜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많이 진행되고 있고, 그 일환으로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전환(Biological transformation)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 발효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발효는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 작용에 의해 식물 및 동물 유래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과정으로, 다시 유기 생명체의 필수적인 영양분으로 재생산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발효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 또는 합성 과정으로 인체에 유용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같이, 인체에 유용한 물질을 만들어내는 대표적인 발효 미생물로는 누룩균, 효모, 곰팡이, 고초균, 유산균, 초산균 등이 있다.
또한, 다양한 식품들이 상기 발효 미생물을 통한 발효 과정에 의해서 생산된다. 미생물에 의해 식품의 성분이 변환되어 얻어지는 이러한 식품을 발효식품이라 정의하며,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는 된장, 청국장, 고추장, 김치, 젓갈, 치즈, 요구르트, 식초, 식혜, 술 등 매우 다양하다.
인체에 섭취된 음식물은 장내의 유산균 등에 의해서 분해되어, 인체 세포에 흡수가 용이한 저분자 물질로 전환, 불안정하거나 불활성인 형태에서 활성 형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음식물에 포함된 인체 유해성분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제거(Detoxification)되는 등 다양한 작용을 거쳐 흡수된다. 이러한 결과는 장내 미생물에 의한 생물전환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발효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성 신 소재를 개발하는 데에는 극복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발효 소재를 이용한 새로운 건강기능식품,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으면서 발효 소재를 이용한 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315277호(공고일 2013.10.07)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1529호(공개일 2017.02.02)
본 발명자들은 천연 소재를 이용하면서, 유산균과 같은 유익균을 다량 포함하고, 섭취 시에는 장내 유익균 생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최적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는 대두콩 숙성물, 2년 숙성 청국장, 산양삼 추출물, 전기분해 이온수, 식물성 에탄올, 첨가제 및 천일염을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귀리 숙성 분말, 자일로 올리고당,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산화아연 및 프락토 올리고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대두콩 숙성물, 2년 숙성 청국장, 산양삼 추출물, 전기분해 이온수, 식물성 에탄올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시키는 2단계; 균질화시킨 균질물을 여과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살균 처리하는 3단계; 및 살균 처리한 여과액에 천일염을 투입한 후, 숙성시키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는 장내 부패 균주의 억제 및 항산화 효과 장내 면역 기능 활성화가 효과가 우수하면, 장내 환경 개선 효과를 통한, 대장염, 대장암 등 장 질환의 예방 효과 및 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항산화 기능 및 유산균 수분 유지력이 우수한 바,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다양한 응용 제품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는 대두콩 숙성물, 2년 숙성 청국장, 산양삼 추출물, 전기분해 이온수, 식물성 에탄올, 첨가제 및 천일염을 포함한다.
상기 대두콩 숙성물은 대두콩을 2년간 숙성시킨 숙성물로서, 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중 43 ~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43.0 ~ 4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3.0 ~ 4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두콩 숙성물은 유산균주를 형성하는 주요 성분의(주 원료)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량이 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중 43 중량% 미만이면 항산화 복합재 내 유산균 함량이 적어서 항산화 효과가 미비할 수도 있고, 45 중량%를 초과 사용하면 원료의 사용량만 비대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청국장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lu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등의 균주를 이용하여 숙성 시킨 고유의 대표적인 숙성 식품 중 하나이며, 항산화 복합재는 상기 2년 숙성 청국장을 사용한다. 청국장은 숙성 과정 중의 효소 균주의 탄수화물. 섬유질 등의 소화기능의 흡수율이 높아지는 비타민 B₂,E, K. 및 칼슘의 함량이 높아지며, 레시틴, 이소풀라본, 사포닌 성분, 피틴산 균주의 대두콩 자체에서 존제하지 않는 폴리 글루루탐산 균주의 생리 활성화 물질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항산화 복합재 내 2년 숙성 청국장은 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중 23 ~ 24 중량%, 바람직하게는 23.2 ~ 2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3.4 ~ 2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년 숙성 청구장 함량이 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중 23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기술이 갖는 원료의 함량의 효과가 없을 수 있고, 24 중량% 를 초과 사용하면 과량 사용이며, 오히려 항산화 복합재 내 다른 성분들과의 균형이 깨져셔, 항산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산양삼 추출물은 하기 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양삼 추출물은 5 ~ 7년근 산양삼을 2년간 숙성시켜 숙성된 산양삼을 제조하는 단계; 숙성된 산양삼을 가압추출하여 액상 성분을 추출하여 제1액상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액상 성분이 추출된 산양삼을 에탄올에 함침시킨 후, 건져내어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산양삼을 분쇄한 후, 가압추출하여 액상 성분을 추출한 후, 액상 성분로부터 침전물을 필터링하여 제2액상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액상 추출물 및 상기 제2액상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압추출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가압추출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압축기(예를 들면, 유압 압축 프레스)를 압축시켜서 가압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침은 5 ~ 6℃에서 25 ~ 40일간, 바람직하게는 5 ~ 6℃에서 27 ~ 35일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6℃에서 29 ~ 32일간 정도 함침시켜서 우려내진 산양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자연 건조, 열풍 건조 등 일반적인 건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액상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의 필터링은 건조된 산양삼을 분쇄한 후, 가압추출하여 액상 성분을 추출한 다음, 이를 고액분리법으로 침전물인 고체와 상등액인 액체를 분리하여 제2액상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항산화 복합재는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한 산양삼 추출물을 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중 4.0 ~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양삼 추출물은 본 발명 복합재에 다량의 사포닌 성분, 진세노이드 성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적어서 이를 사용함으로 인한 항산화 효과가 적을 수 있고, 6.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은 비경제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항산화 복합재 조성 중 상기 전기분해 이온수는 용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10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1.0 ~ 1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14.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전기분해 이온수 함량이 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중 10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 간 혼화가 잘 안될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항산화 복합재가 너무 묽게 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항산화 복합재 조성 중 상기 식물성 에탄올(주정)은 보존제 및/또는 점증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량은 1.2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4 ~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식물성 에탄올 함량이 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중 1.2 중량% 미만이면 항산화 복합재 제조시, 조성물이 혼합된 혼합물의 점도가 너무 낮은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성분의 균형을 유지가 깨지고, 오히려 항산화 복합재 내 유산균 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항산화 복합재 조성 중 상기 천일염은 보존제 및/또는 친수성 가용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량은 1.2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3 ~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천일염 함량이 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중 1.2 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이를 사용하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과량 사용이며, 복합제 내 염도가 높아져서 유산균 생성 및 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첨가제는 앞서 설명한 대두콩 숙성물, 산양삼 추출물, 전기분해 이온수, 식물성 에탄올, 천일염 외 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중 잔량의 나머지 100 중량%를 만족하는 양으로 사용한다.
상기 첨가제는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귀리 숙성 분말, 자일로 올리고당,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산화아연 및 프락토 올리고당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귀리 숙성 분말 40 ~ 50 중량부, 자일로 올리고당 40 ~ 45 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5 ~ 35 중량부, 산화아연 25 ~ 30 중량부 및 프락토 올리고당 62 ~ 7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귀리 숙성 분말 43.5 ~ 47.0 중량부, 자일로 올리고당 40.0 ~ 43.0 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7.0 ~ 32.0 중량부, 산화아연 26.0 ~ 29.5 중량부 및 프락토 올리고당 65.0 ~ 7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아욱잎 숙성 분말, 치커리뿌리 숙성 추출물, 차전차피 숙성 분말, 밀크시술 숙성 분말, 다시마 줄기 숙성 분말 및 타우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욱잎 숙성 분말 70 ~ 80 중량부, 치커리뿌리 숙성 추출물 32 ~ 40 중량부, 차전차피 숙성 분말 42 ~ 48 중량부, 밀크시술 숙성 분말 20 ~ 30 중량부, 다시마 줄기 숙성 분말 40 ~ 50 중량부 및 타우린 15 ~ 2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욱잎 숙성 분말 72 ~ 76 중량부, 치커리뿌리 숙성 추출물 32.5 ~ 38.0 중량부, 차전차피 숙성 분말 43.0 ~ 47.5 중량부, 밀크시술 숙성 분말 24.0 ~ 29.0 중량부, 다시마 줄기 숙성 분말 42.5 ~ 48.0 중량부 및 타우린 16.5 ~ 19.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귀리 숙성 분말, 아욱잎 숙성 분말, 차전차피 숙성 분말, 밀크시술 숙성 분말, 다시마 줄기 숙성 분말 각각은 알로에 전잎, 귀리, 아욱잎, 차전차피, 밀크시술, 다시마 줄기 각각을 별도로 3 ~ 5℃ 조건 하에서 28 ~ 35일간 숙성시킨 숙성물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수득한 분말이다.
그리고, 상기 치커리뿌리 숙성 추출물은 치커리뿌리를 3 ~ 5℃ 조건 하에서 28 ~ 35일간 숙성시킨 숙성물을 건조시킨 후, 건조물을 분쇄한 다음, 분쇄물을 80 ~ 100℃ 하에서 열수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이다.
상기 첨가제 중 상기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은 장내 활성을 도움으로서 소화의 원할 하게하는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첨가제 중 상기 귀리 숙성 분말은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첨가제 중 상기 자일로 올리고당은 유산균주의 형성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첨가제 중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은 유산균주의 활성 증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첨가제 중 상기 산화아연은 면역기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첨가제 중 상기 프락토 올리고당은 장내 배변활 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첨가제 중 상기 아욱잎 숙성 분말은 식물성 소화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첨가제 중 치커리뿌리 숙성 추출물은 장내 탄수화물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첨가제 중 상기 차전차피 숙성 분말은 장내 배변 기능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크시술 숙성 분말은 위장에 세포분열에 도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시마 줄기 숙성 분말은 소화를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타우린은 유산균주를 배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조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는 대두콩 숙성물, 2년 숙성 청국장, 산양삼 추출물, 전기분해 이온수, 식물성 에탄올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시키는 2단계; 균질화시킨 균질물을 여과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살균 처리하는 3단계; 및 살균 처리한 여과액에 천일염을 투입한 후, 숙성시키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복합재 제조에 사용되는 대두콩 숙성물, 2년 숙성 청국장, 산양삼 추출물, 전기분해 이온수, 식물성 에탄올, 첨가제 및 천일염의 종류, 사용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2단계의 균질화는 호모나이져로 상온(20 ~ 30℃)에서 30 ~ 6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3단계의 상기 살균 처리는 상온 가열 처리하여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4단계의 상기 숙성은 30 ~ 40℃에서 20 ~ 30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35 ~ 40℃에서 25 ~ 30시간 동안 진탕배양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는 유산균 주의 유지력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투과 유지성이 매우 우수하며, 다량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면서도 인체 내외에 부작용이 없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준비예 : 산양삼 추출물의 제조
7년근 산양삼을 2년간 숙성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2년간 숙성된 산양삼을 세척한 후에 압축기로 압축하여 액상 성분을 추출하였다(제1액상 추출물).
다음으로, 상기 액상 성분을 추출시킨 산양삼을 에탄올을 혼합한 후, 5.5℃에서 30일 동안 저온 함침시켜서 우려낸 후, 우려내진 산양삼을 건져내어 하루 동안 자연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산양삼을 파쇄기로 3 ~ 4mm 크기로 1차 분쇄한 후에 다시 2 ~ 3mm의 크기로 2차 분쇄한 후에 분쇄물을 망에 넣어서 유압 압축 프레스(2HP)로 액상 압축기 가압하여 액상 분리를 수행하였다. 액상 분리된 결과물을 2시간 존치시켜 상등액과 침전물(슬러리)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등액만을 수득하여 제2액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제1액상 추출물 및 제2액상 추출물을 혼합하여 산양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제조
2년 숙성된 대두콩 숙성물 43 중량%, 2년 숙성된 청국장 24 중량%, 준비예 1의 산양삼 추출물 5.5 중량%, 전기분해 이온수 13 중량%, 식물성 에탄올(주정) 1.4 중량%,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5.5 중량%, 귀리 숙성 분말 2.5 중량%, 자일로 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 2.2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6 중량% 및 산화아연 1.5 중량% 및 프락토올리고당 3.8 중량%를 혼합한 후, 호모나이져로 상온에서 40분 동안 균질화시킨 다음 여과하였다.
다음으로, 여과액을 20분간 상온 가열처리 및 살균한 후, 35℃로 냉각한 후, 천일염 1.4 중량%(항산화 복합재 전체 중량 기준)를 투입한 다음, 교반을 수행하여 천일염을 여과액에 녹인 후, 이를 진탕배양기에 투입한 다음, 35 ~ 36℃ 하에서 38시간 동안 숙성시켜서,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은 알로에 전잎을 3 ~ 5℃ 조건 하에서 30일간 숙성시킨 숙성물을 건조시킨 후, 분쇄한 분말이다.
상기 귀리 숙성 분말은 귀리를 3 ~ 5℃ 조건 하에서 30일간 숙성시킨 숙성물을 건조시킨 후, 분쇄한 분말이다.
실시예 2 ~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를 제조하되, 하기 표 1및 표 2와 같이 조성을 달리하여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를 각각 제조하여, 실시예 2 ~ 3을 실시하였다.
구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2년숙성 대두콩 43 43 43
2년숙성 청국장 24 24 24
산양삼 추출물 5.5 5.5 5.5
전기분해 이온수 13 13 13
식물성 에탄올(주정) 1.4 1.4 1.4
첨가제 11.6 11.6 11.6
천일염 1.5 1.5 1.5
총 합계 100 100 100
첨가제 조성 실시예 1
(중량부)
실시예 2
(중량부)
실시예 3
(중량부)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100 100 100
귀리 숙성 분말 45.5 45.5 45.5
자일로 올리고당 41.8 41.8 41.8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9.1 29.1 29.1
산화아연 27.3 27.3 27.3
프락토올리고당 69.1 69.1 69.1
아욱잎 숙성 분말 - 74.6 74.6
치커리뿌리 숙성 분말 - 36.4 36.4
밀크시술 분말 - 27.3 27.3
다시마 줄기 분말 - 45.5 45.5
타우린 - - 18.2
실험예 1 :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의 수분 유지력 및 장내 유산균 투과 유지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의 수분 유지력을 측정하였다.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의 유산균주 유지력 완화는 90 ~ 95% 측정기(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유산균 수를 90% 기준으로 하여, 균주 95%의 75% 평균유지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상기 장내 유산균주 측정기는 장내 유산균 함량을 정전 부하 용량 계측법(capacitance measurement)으로 측정하는 장비로 표면 수분함량 측정이 이미 국소에 도포된 시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탐침 센서 접촉 부위 아래로 30 ~ 40㎛ 깊이의 일정한 측정 레벨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유산균주 측정은 23 ~ 25℃의 온도와 상대 습도 56 ~ 58%가 유지되는 항온, 항습 조건에서 유산균 균주 유지를 이용한 5명의 피검사자에 대하여 2cm × 2cm의 면적에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를 적용하고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다.
또한, 장내 유산균주의 완화 유지력은 하기 수학식 1으로 계산되는데, 한 측정 부위를 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¾) 표준 편차로 표시하였다.
또한, 유산균주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값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를 도포하지 않은 경우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전도도 증가율(%)= {(실시예 1 도포 후 전도도 측정값 - 실시예 1 도포 전 전도도 측정값)/(실시예 1 도포 전 전도도 측정값) × 100%}
구분 전도도 증가율(%)
실시예 1 690 ~ 710%
실시예 2 820 ~ 880%
실시예 3 890 ~ 935 %
본 발명의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는 유기산을 생성하여 장내(√. pH) 산성도를 낫추고 유해 세균들의 발육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데, 시험물질인 염산리트카인 투여 후, 시간 도과 후, 분변 중 누적 염사리트카인양을 측정하여, 본 발명 복합재의 장내 유산균 투과 유지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특정 시간 도과 후 분면 내 누적 염산리트카인 양 (㎍/cm2)
0시간 9시간 10시간 15시간
- - - 270 ~ 287
실시예 1 - 710 ~ 730 830 ~ 870 1200 ~ 1350
실시예 2 - 690 ~ 710 820 ~ 935 935 ~ 965
실시예 3 - 730 ~ 755 955 ~ 980 968 ~ 987
측정 결과 순수한 물과 비교했을 때, 실시예 1의 복합재는 누적 염산리트카인양이 8 내지 9시간일 때 710 ~ 730㎍/cm2, 10시간 일때 930 ~ 970㎍/cm2, 15시간일 때 1200 ~ 1350㎍/cm2로 측정되었는데, 순수한 물의 경우는 15시간일 때 270 ~ 287㎍/cm2 인 것과 비교해보면 매우 우수한 장내 유산균 투과 유지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 ~ 3 역시 높은 장내 유산균 투과 유지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대두콩 숙성물, 2년 숙성 청국장, 산양삼 추출물, 전기분해 이온수, 식물성 에탄올, 첨가제 및 천일염을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귀리 숙성 분말, 자일로 올리고당, 카복실기메틸셀룰로오스, 산화아연 및 프락토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대두콩 숙성물 43 ~ 45 중량%, 2년 숙성 청국장 23 ~ 24 중량%, 산양삼 추출물 4.0 ~ 6.5 중량%, 전기분해 이온수 10 ~ 15 중량%, 식물성 에탄올 1.4 ~ 1.5 중량%, 천일염 1.2 ~ 1.5 중량% 및 잔량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귀리 숙성 분말 40 ~ 50 중량부, 자일로 올리고당 40 ~ 45 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5 ~ 35 중량부, 산화아연 25 ~ 30 중량부 및 프락토 올리고당 62 ~ 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아욱잎 숙성 분말, 치커리뿌리 숙성 추출물, 차전차피 숙성 분말, 밀크시술 숙성 분말, 다시마 줄기 숙성 분말 및 타우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5. 대두콩 숙성물, 2년 숙성 청국장, 산양삼 추출물, 전기분해 이온수, 식물성 에탄올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을 균질화시키는 2단계;
    균질화시킨 균질물을 여과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살균 처리하는 3단계; 및
    살균 처리한 여과액에 천일염을 투입한 후, 숙성시키는 4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첨가제는 알로에 전잎 숙성 분말, 귀리 숙성 분말, 자일로 올리고당,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산화아연 및 프락토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양삼 추출물은
    5 ~ 7년근 산양삼을 2년간 숙성시켜 숙성된 산양삼을 제조하는 단계;
    숙성된 산양삼을 가압추출하여 액상 성분을 추출하여 제1액상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액상 성분이 추출된 산양삼을 에탄올에 5 ~ 6℃에서 25 ~ 40일간 함침시킨 후, 건져내어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산양삼을 분쇄한 후, 가압추출하여 액상 성분을 추출한 후, 액상 성분로부터 침전물을 필터링하여 제2액상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액상 추출물 및 상기 제2액상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4단계의 숙성은 30 ~ 40℃에서 20 ~ 30시간 동안 진탕배양기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아욱잎 숙성 분말, 치커리뿌리 숙성 추출물, 차전차피 숙성 분말, 밀크시술 숙성 분말, 다시마 줄기 숙성 분말 및 타우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20210036597A 2021-03-22 2021-03-22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597A KR102315510B1 (ko) 2021-03-22 2021-03-22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597A KR102315510B1 (ko) 2021-03-22 2021-03-22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510B1 true KR102315510B1 (ko) 2021-10-22

Family

ID=7827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597A KR102315510B1 (ko) 2021-03-22 2021-03-22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5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811A (ko) * 2003-04-10 2004-10-15 권정숙 청국장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조성물
KR101315277B1 (ko) 2010-11-25 2013-10-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장료용 복합식물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6177B1 (ko) * 2012-03-23 2014-02-24 이은혜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70011529A (ko) 2015-07-23 2017-02-02 (주)코이즈 발효추출물과 산소수를 포함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5925B1 (ko) * 2020-03-03 2020-08-19 협동조합 바이오융합기술 사포닌 성분이 함유된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52870B1 (ko) * 2019-11-25 2020-09-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청보마을 혈전용해효소를 갖는 균주를 이용한 청국장프로바이오틱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811A (ko) * 2003-04-10 2004-10-15 권정숙 청국장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조성물
KR101315277B1 (ko) 2010-11-25 2013-10-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장료용 복합식물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6177B1 (ko) * 2012-03-23 2014-02-24 이은혜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70011529A (ko) 2015-07-23 2017-02-02 (주)코이즈 발효추출물과 산소수를 포함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2870B1 (ko) * 2019-11-25 2020-09-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청보마을 혈전용해효소를 갖는 균주를 이용한 청국장프로바이오틱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145925B1 (ko) * 2020-03-03 2020-08-19 협동조합 바이오융합기술 사포닌 성분이 함유된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432924B1 (ko) 식물성 콜라겐 및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조성물
KR102060237B1 (ko) 철피석곡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8401B1 (ko)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140056802A (ko)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CN108433101A (zh) 一种竹叶超微粉制备竹叶酵素及竹叶酵素饮料的方法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46693B1 (ko) 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 껍질, 열매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235334B1 (ko) 전복, 굴껍질을 이용한 칼슘분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칼슘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의약품
KR100898311B1 (ko) 두유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3003A (ko) 화장료 조성물용 아이스플랜트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2315510B1 (ko) 유산균 함유 항산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1892A (ko) 돼지감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1080A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4748380B (zh) 一种含海洋植物提取物的组合物及其应用
KR100796395B1 (ko) 화장품 원료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1771B1 (ko) 닥나무 또는 그 추출물의 발효방법, 그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179728A (zh) 一种可食用冻干粉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780000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083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케피어 그레인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 조성물에 의한 발효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10116389A (ko)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89366A (ko) 한약재박을 이용한 자돈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2364428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