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389A -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389A
KR20110116389A KR1020100035774A KR20100035774A KR20110116389A KR 20110116389 A KR20110116389 A KR 20110116389A KR 1020100035774 A KR1020100035774 A KR 1020100035774A KR 20100035774 A KR20100035774 A KR 20100035774A KR 20110116389 A KR20110116389 A KR 20110116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loe
composition
extract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근
안영훈
이건봉
나윤선
주철규
이근하
주일우
정용철
이범천
Original Assignee
(주)마임
(주)모아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임, (주)모아캠 filed Critical (주)마임
Priority to KR102010003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6389A/ko
Publication of KR2011011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알로에와 천마를 추출하고 유산균을 가하여 배양하고 얻어진 발효배양액을 여과하여 제조된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손상된 피부장벽 복구, 피부세포성장 촉진, 주름개선 효과, 항염증 등의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A skin-care agent containing fermented Aloe and Gastrodia elata}
본 발명은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을 발효 및 여과시킨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가하고 배양하여 발효배양액을 제조하고, 상기 발효배양액을 여과하여 얻은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피부세포의 성장 촉진, 콜라겐 합성 촉진,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반응 억제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
최근 발효를 이용한 식품 및 화장품 개발이 활기를 띠면서, 천연 발효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발효는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이 분해 또는 합성되는 과정으로, 유기 생명체의 필수적인 영양분으로 재생산되는 과정이다. 대표적인 발효 미생물로는 누룩균, 효모, 곰팡이, 고초균, 유산균, 초산균 등이 있으며 상기 발효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된장, 청국장, 고추장, 김치, 젓갈, 치즈, 요구르트, 식초, 식혜, 술 등 다양한 발효식품이 만들어진다.
알로에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다육식물로 중동, 마다가스카르, 아프리카 남부가 원산지로 약 200여 종류가 있다. 알로에의 잎에서 나오는 즙은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는데, 여기에는 안트론글리코시드인 앨로인, 안트라퀴논에 속하는 앨로에모딘의 글리코시드, 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하제(下劑)로서 변비에 쓰이며 통경제에도 배합된다. 소량을 사용하면 강장제가 되며, 민간약으로 베인 상처, 화상, 터지거나 튼 곳에 외용되고 최근에는 각종 화장품 재료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알로에는 알로에 베라(Aloe vera Linne, Aloe bradesis Miller)와 알로에 아보레센스(Aloe arborescens) 등이다. 알로에는 독성과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병증을 치유하면서 각종 성인병, X선 조사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해결해 주고 있다.
알로에에는 건위정장, 소화기계통을 비롯한 각 내장에 작용하는 알로인, 알로에 에모딘, 강알킬리성으로서 체액개선 및 항암작용을 갖는 분자량 약 45만의 고분자 다당체, 항균작용을 갖는 알로에틴, 궤양에 작용하는 알로에울신, 항종양 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알로미씬 등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알로에의 여러 성분들로 인해 알로에는 살균 작용, 항궤양 세포부활작용, 강심 혈액순환 촉진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내분비의 안정 촉진작용, 건위완하(緩下) 식용증진작용, 항암작용, 체액의 알칼리화작용, 교원(膠原)의 개선작용, 피부미용작용, 해독작용, 내병력(耐炳力) 항염증대작용, 항알레르기 항히스타민 작용 등을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로 인해 많이 애용되고 있다.
천마(Gastrodia elata Blume)는 뽕나무버섯균과 공생하는 기생식물인 난초과 천마 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천마 속은 전 세계에 약 25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천마, 한라천마, 애기천마가 자라고 있다. 땅속 살진 덩이줄기는 두껍고 다육질이며 타원형으로 길이는 약 10㎝이고 지름은 3~4.5㎝이며 그리 뚜렷하지 않은 환절이 있다.
천마에는 가스트로딘, 히드록시벤질알콜(p-hydroxybenzyl-alcoh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페놀성 화합물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천마의 대표적인 약리작용으로는 중풍, 고혈압, 두통, 스트레스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경계진정작용, 항경련작용, 진통작용, 사지마비, 반신불수, 어지러움, 메스꺼움, 신경쇠약, 구토, 팔다리가 저린데, 성기능장애, 육체적 피로, 소아경간, 편두통, 가래삭임, 관절통, 근육통, 피부병, 현기증, 히스테리, 혈액순환촉진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허등록 제434854호 "알로에가 함침된 화장료용 실리카조성물과 그를 함유한 화장료 및 알로에를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은 40배 농축의 알로에젤리질을 함침한 다공성 실리카를 1~15%의 양으로 화장료에 배합하여 제조한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알로에를 화장품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특허공개 제2006-31007호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천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물, 탄소수 1~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부탄올을 가용하여 추출한 천마 추출에 관한 것이고, 특허공개 제2009-23236호 "생약재 발효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천마를 발효시켜 아토피 등에 사용한 예를 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 특허공개 제2007-6960호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감마 아미노부틸산은 항염 및 항노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마 아미노부틸산은 천연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뇌와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로 작용하며 불안해소, 스트레스해소, 항경련 작용, 집중력 향상등 기능성 식품으로의 기능이 확인되었다.
감마 아미노부틸산의 피부효능은 2000년도 이후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감마아미노부틸산이 손상된 피부에서 칼슘 이온을 증가시키고, 피부장벽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져 있으며(시세이도 피부과학 연구소, 2002년), 감마아미노부틸산의 국소도포는 손상된 장벽의 복원시 층판소체(Lamella body)의 엑소사이토시스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시세이도 , 2003년). 한편 2007년도에는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성효소가 피부에서 발현됨이 밝혀졌고, 이는 피부에서의 히아론산의 합성을 촉진하고,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진피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의 증거로서 노화피부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의 합성 활성이 떨어지며, 감마아미노부틸산 합성효소 결핍마우스에서 히아론산과 콜라젠의 양이 감소한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2007년, Ichimaru pharcos Inc.,).
본 발명은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에 유산균을 가하고 배양하여 발효 및 여과시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함유하는 발효여과물을 제조하고, 이를 함유함으로써 피부노화의 억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보호, 염증완화, 주름 개선 효과 등 우수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에 유산균을 가하고 배양하여 발효시키고, 이를 여과하여 얻어지는 감마아미노부틸산을 함유하는 발효여과물을 이용하여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알로에 생잎의 껍질을 완전히 제거한 알로에를 건조한 건조분말 0.5~2중량%에 건조한 천마가루 0.5~2중량%를 첨가하여 추출한다. 열수 또는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 핵산, 디에틸에테르의 가용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00~130℃에서 15분간 살균하면서 추출한다.
상기 추출물에 글루타민산나트륨(MSG)을 첨가하여 배지를 완성시킨 다음 글루타민산나트륨을 감마아미노부틸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유산균을 접종하여 20~40℃에서 1~10일간 배양하여 발효배양액을 얻은 후 여과한 발효여과물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이 0.01~5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거의 없으며, 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 중 선택된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의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피부세포의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피부의 자외선이나 공해물질에 의한 피부세포의 손상 또는 자극으로부터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세포 성장 촉진효과, 피부 염증 방지효과, 콜라겐 증가 효과를 나타었다.
도 1은 알로에 추출물 및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혼합 발효에서의 미생물의 균수 증가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및 발효여과물에서 생성된 감마아미노부틸산을 박층크래마토그래피법으로 확인한 사진이다.
도 3은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및 발효여과물이 피부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와 도 5는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및 발효여과물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및 발효여과물이 콜라겐의 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감마아미노부틸산을 함유한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발효여과물 제조
알로에 건조분말 1중량%, 천마가루 1중량%, 글루타민산나트륨(MSG) 1중량%를 첨가하여 정제수에 현탁한 다음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상기 멸균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하였다. 배양 온도를 25℃로 하여 약 3일간 배양하여 발효배양액을 제조하였다.
발효가 끝난 발효배양액을 8,000rpm으로 연속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상등액으로부터 균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0.2㎛ 필터가 장착된 막 여과기(membrane filtrator)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발효여과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알로에 추출물 발효여과물 제조
알로에 건조분말 1중량%, 글루타민산나트륨(MSG) 1중량%를 첨가하여 정제수에 현탁한 다음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상기 멸균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하였다. 배양 온도를 25℃로 하여 약 3일간 배양하여 발효배양액을 제조하였다.
발효가 끝난 발효배양액을 8,000rpm으로 연속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상등액으로부터 균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0.2㎛ 필터가 장착된 막 여과기(membrane filtrator)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발효여과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혼합물 제조
알로에 건조분말 1중량%, 천마가루 1중량%을 첨가하여 정제수에 현탁한 다음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추출 한다. 열수 추출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하여 건조분말과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상등액으로부터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하여 1.2㎛ 필터가 장착된 막 여과기(membrane filtrator)를 이용하여 여과 후 추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일반유산균 발효여과물 제조
알로에 건조분말 1중량%, 천마가루 1중량%, 글루타민산나트륨(MSG) 1중량%를 첨가하여 정제수에 현탁한 다음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상기 멸균한 배지에 일반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접종하였다. 배양 온도를 25℃로 하여 약 3일간 배양하여 발효배양액을 제조하였다.
발효가 끝난 발효배양액을 8,000rpm으로 연속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상등액으로부터 균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0.2㎛ 필터가 장착된 막 여과기(membrane filtrator)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발효여과물을 제조하였다.
알로 추출물 단독발효에 비해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가 미생물의 균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발효가 왕성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도 1). 이는 천마 추출물이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필수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발효의 효과를 높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도 2는 실시예 1, 비교예 1~3에서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성을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사진이다.
실험예 1: 피부세포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
실시예 1에서 얻은 감마아미노부틸산을 함유하는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발효여과물의 피부세포 성장 촉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세포성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 (normal human fibroblast : ATCC CCL110)를 페니실린 (100IU/㎖), 스트렙토마이신(100g/㎖),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얻어진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105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 실시예 1, 비교예 1~3을 각각 처리하여 다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회수하고 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섬유아세포의 성장률을 측정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마아미노부틸산을 함유하는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발효여과물은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혼합물에 비해 약 30% 정도의 피부세포 성장촉진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알로에 추출물 단독 발효의 10%,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일반 유산균 발효여과물의 20%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실험예 2: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반응 억제실험
사람 피부각질세포(human keratinocyte : ATCC CRL-2404)를 페니실린(100IU/㎖), 스트렙토마이신(100g/㎖),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피부각질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105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 25mJ/㎠ 양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실시예 1, 비교예 1~3을 첨가한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혼합물, 알로에 추출물 단독 발효여과물,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감마아미노부틸산을 생성하지 않은 일반 유산균 발효여과물,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성 유산균 발효여과물의 첨가는 자외선의 자극에 의한 TNF-α의 분비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감마아미노부틸산 생성 유산균을 발효시킨 경우가 가장 우수한 염증반응 억제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항노화 효과) 측정
실시예 1에서 얻은 발효여과물의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았다.
사람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 ATCC CCL110)를 페니실린 (100IU/㎖), 스트렙토마이신(100g/㎖),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얻어진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105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 실시예 1, 비교예 1~3을 첨가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회수하고 파쇄한 후 웨스턴블랏 어세이를 이용하여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도 6과 같이 실시예 1의 발효여과물들은 모두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알로에 추출물 단독 발효여과물에 비해 천마 추출물과의 혼합 발효여과물의 경우가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감마아미노부틸산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감마 아미노부틸산이 생성된 경우가 콜라겐의 증가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제형실시예 1 및 제형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발효여과물을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을 표 1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천마 발효여과물
2.0 -
17 증류수 잔량 잔량
18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원료 12~17의 수성성분을 80℃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원료 1~11을 80℃로 가온하여 상기 원료 12~ 17의 용액에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 Mark Ⅱ, Primix, JPN)를 이용하여 3000rpm에서 15분간 유화시켰다. 그 후, 원료 18을 투입하여 5분간 교반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실험예 4: 제형에서의 주름개선효과 측정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의 주름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피부노화가 진행중인 30대 이상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12주간 양쪽 눈가주름(crow feets)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4주, 8주, 12주 간격으로 눈가 주름 주형(replica)을 영상분석법으로 Skin visiometer(SV-600, C+K, Germany)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균값
제형 실시예1 제형 비교예1
도포 전 321±13 338±14
도포 12주후 229±10 320±16
주름깊이 감소율(%) 28.7 % 5.3 %
상기 결과와 같이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발효여과물이 첨가된 제형 실시예 1의 영양크림은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발효여과물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과 비교하였을 때, 주름개선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제형에서의 손상 피부장벽 개선효과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의 손상된 피부장벽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피부장벽 손상방법으로 아세톤을 도포하였다. 8~12주령의 무모생쥐의 배부에 아세톤을 점적하여 경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이 4.0g/㎡/h에 도달하면 상기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도포하였다. 경피수분손실량은 C+K사(Cologne, Germany)의 증발계인 Tewameter 210으로 측정하였다. 도포 6시간 경과후에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피부장벽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효능평가에 사용된 회복율의 계산은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단, Bt =6 : 피부장벽 손상 6시간 경과 후의 TEWL 측정값,
Bt =0 : 피부장벽 손상 이전의 TEWL 측정값,
Bt =d : 피부장벽 손상 직후의 TEWL 측정값.
회복율(%) 평균값
제형 실시예1 제형 비교예1
6시간 경과 회복율
(초기TEWL기준)
57 8
상기 결과와 같이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추추물과 천마 추출물 발효여과물이 첨가된 제형 실시예 1의 영양크림은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발효여과물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과 비교하였을 때, 피부장벽 손상 후 회복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비누형, 로션형, 크림형, 팩형 및 미용액형 제제를 예시하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2: 비누형 제제
번호 성 분 함량(%)
1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천마 발효여과물 5.00
2 유지 75.00
3 수산화나트륨 5.00
4 향료 10.00
5 정제수 잔량
실시예 3: 로션형 제제
번호 성 분 함량(%)
1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천마 발효여과물 1.00
2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3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4 시트르산 나트륨 0.10
5 시트르산 0.05
6 감초 엑기스 0.20
7 1,3-부틸렌글리콜 3.00
8 정제수 잔량
실시예 4: 크림형 제제
번호 성 분 함량(%)
1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천마 발효여과물 0.50
2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4 세틸알코올 4.00
5 스쿠알렌 6.00
6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7 스핑고당지질 1.00
8 1,3-부틸렌글리콜 7.00
9 정제수 잔량
실시예 5: 팩형 제제
번호 성 분 함량(%)
1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천마 발효여과물 5.00
2 폴리비닐알코올 13.00
3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4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5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6 1,3-부틸렌글리콜 3.00
7 에탄올 5.00
8 정제수 잔량
실시예 6: 미용액형 제제
번호 성 분 함량(%)
1 감마아미노부틸산 함유 알로에 천마 발효여과물 2.00
2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3 크산탄검 (% 수용액) 2.00
4 1,3-부틸렌글리콜 6.00
5 진한 글리세린 4.00
6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7 정제수 잔량
.

Claims (7)

  1. 알로에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에 유산균을 가하여 배양 및 발효하여 얻어지는 감마아미노부틸산이 생성된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카제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은 0.01~5중량%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 중 선택된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세포의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자외선이나 공해물질에 의한 피부세포의 손상 또는 자극으로부터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0035774A 2010-04-19 2010-04-19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116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74A KR20110116389A (ko) 2010-04-19 2010-04-19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74A KR20110116389A (ko) 2010-04-19 2010-04-19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389A true KR20110116389A (ko) 2011-10-26

Family

ID=4503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774A KR20110116389A (ko) 2010-04-19 2010-04-19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63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13B1 (ko) * 2011-07-16 2012-05-21 최재홍 천마를 활용한 에르고티오닌 증강조성물 제조방법
KR20210062350A (ko) * 2019-11-21 2021-05-31 애경산업(주)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025991A1 (en) * 2020-07-31 2022-02-03 Ecolution.Ag Llc Novel organic fungicide for use against fusarium wil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13B1 (ko) * 2011-07-16 2012-05-21 최재홍 천마를 활용한 에르고티오닌 증강조성물 제조방법
KR20210062350A (ko) * 2019-11-21 2021-05-31 애경산업(주)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025991A1 (en) * 2020-07-31 2022-02-03 Ecolution.Ag Llc Novel organic fungicide for use against fusarium wilt
GB2612552A (en) * 2020-07-31 2023-05-03 Ecolution Ag Llc Novel organic fungicide for use against fusarium wi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90123458A (ko)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080094457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55373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6800A (ko) 화장료 조성물
KR102111752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2009676B1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11B1 (ko) 두유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20110116389A (ko)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32001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
KR101007252B1 (ko) 라비지아 푸밀라의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조성물
KR102361015B1 (ko) 스핑고모나스 올레이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2192A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79A (ko) 콩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한방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8736B1 (ko) 마이크로박테리움 올레이보란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25129B1 (ko) 미숙 자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36747B1 (ko) 판토에아 아나나티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