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377B1 -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377B1
KR102314377B1 KR1020210005794A KR20210005794A KR102314377B1 KR 102314377 B1 KR102314377 B1 KR 102314377B1 KR 1020210005794 A KR1020210005794 A KR 1020210005794A KR 20210005794 A KR20210005794 A KR 20210005794A KR 102314377 B1 KR102314377 B1 KR 10231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voice
store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박은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박은진
박지성
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박은진, 박지성, 박지원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1020210005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주문 단말기(100), 네트워크(200), 음성주문 서버(300), 음성변환 서버(300a)를 포함하며, 음성주문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 상으로 액세스를 통해 음성주문 앱(100a)을 설치하고, 설치된 음성주문 앱(100a)으로 매장에 비치된 a) QR Tag를 촬영하거나 또는 b) NFC Tag에 태깅하여 자신이 위치한 매장과 매장 내의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고, 음성주문 앱(100a)에 음성으로 주문 내용을 말하여 주문을 요청에 따라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주문 앱(100a)에는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음성변환 서버(300a) 상에서 제공하는 음성인식 서비스에 가입된 ID가 포함되어 있어, 음성변환 서버(300a)에 대해서 음성인식 서비스 호출시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ID로 음성변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매장내에서 음성주문을 수행시 음성주문 서비스의 음성변환 과정 관여 여부,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단말기 소유 유형,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의 단말기 유형에 따라 종합적으로 음성주문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주문을 위해서 제공자 호출이 불필요하고, 제공자(종업원)의 부재 또는 다른 고객에게 서비스 중인 상태로 인한 호출 대기 시간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제공자의 상황과 상관 없이 언제든지 주문할 수 있고, 불필요한 반복 주문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In-store voice order brokerage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장내에서 음성주문을 수행시 음성주문 서비스의 음성인식 과정 관여 여부,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단말기 소유 유형,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의 단말기 유형에 따라 종합적으로 음성주문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당 등과 같은 요식업에서 주로 음식에 대한 주문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러한 장소에서는 주문을 위해 주문자와 제공자측의 의사소통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소란스럽고 상호의 의사 소통이 어려운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주문자와 제공자측이 대면하지 않고도 음성을 통해 쉽게 주문을 시키면 제공자측에서는 음성이 자동으로 제공자측에서 제공하는 주문 정보로 전달됨으로써, 주문자측과 제공차측의 편의를 증진시키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60185호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푸드 코트 이용자에게 푸드 코트에서 판매되는 음식에 대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무인 주문 방식으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음식을 주문 및 결제할 수 있는 음식 주문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인 주문 방식은 푸드 코트 등에서 무인결제용 키오스크를 이용한 기술로, 최근에 인력을 대체하는 기술로 급격히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다른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8789호 "음성주문 포스시스템"은 내부에는 해당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명을 대응 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매핑 테이블을 구비하고, 서빙을 담당하는 서빙 종업원으로부터 손님이 위치하는 테이블 번호와 주문 내용을 음성으로 입력받은 후, 주문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음식 코드로 출력하는 음성 주문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12893호 "음성주문처리장치의 원격관리시스템"은 음성주문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업종별 고유의 개별텍스트를 수집한 후, 수집된 개별텍스트를 음성주문처리장치의 사용자단말로 입력하며, 운영 중 고장 또는 에러 발생시 관련 관리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음성주문처리장치의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4-0025589호 "음성주문장치 및 음성주문접수방법"은 주문자 측의 테이블정보와 주문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주문접수자의 명령에 따라 먼저 저장된 주문정보 중 테이블정보는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고, 음성정보는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주문과 해당 주문의 접수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음성주문장치 및 이 음성주문장치를 이용한 음성주문접수방법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1-0016997호 "음성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은 공급자서버, 유선전화 및 이동전화를 포함하는 주문자 전화, 주문서버, 상기 주문자 전화와 상기 주문서버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망, 및 상기 공급자서버와 주문서버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을 포함하는 음성주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문서버는, 상기 주문자의 전화에 대해 응답하여 주문자의 음성주문을 접수하는 자동응답부(ARU); 상기 수신된 음성주문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주문 텍스트에 따라 주문서를 작성하여 상기 공급자서버에 전송하는 주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매장내에서 음성주문을 수행시 음성주문 서비스의 음성인식 과정 관여 여부,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단말기 소유 유형,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의 단말기 유형에 따라 종합적으로 음성주문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60185호 "음식 주문 방법(FOOD ORDERING METHO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87895호 "음성주문 포스시스템(SOUND POS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12893호 "음성주문처리장치의 원격관리시스템(Remote management system for wireless ordering devi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4-0025589호 "음성주문장치 및 음성주문장치를 이용한 음성주문접수방법(A voice-order apparatus and voice-order accept metho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1-0016997호 "음성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peech-ord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장내에서 음성주문을 수행시 음성주문 서비스의 음성변환 과정 관여 여부,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단말기 소유 유형,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의 단말기 유형에 따라 종합적으로 음성주문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음성주문 단말기(100), 네트워크(200), 음성주문 서버(300), 음성변환 서버(300a)를 포함하며, 음성주문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 상으로 액세스를 통해 음성주문 앱(100a)을 설치하고, 설치된 음성주문 앱(100a)으로 매장에 비치된 a) QR Tag를 촬영하거나 또는 b) NFC Tag에 태깅하여 자신이 위치한 매장과 매장 내의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고, 음성주문 앱(100a)에 음성으로 주문 내용을 말하여 주문을 요청에 따라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주문 앱(100a)에는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음성변환 서버(300a) 상에서 제공하는 음성변환 서비스에 가입된 ID가 포함되어 있어, 음성변환 서버(300a)에 대해서 음성인식 서비스 호출시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ID로 음성변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음성변환 서버(300a)는, 음성인식 및 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로,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문장으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음성주문 서버(300)는, 운영하는 음성주문 앱(100a)을 배포하며, 음성주문 앱(100a)을 통해서 주문을 받아 처리를 한 후 매장에 해당하는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전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성주문 서버(300)는, 음성변환 서버(300a)에 대해서 제공받은 음성-텍스트 변환 서비스 비용에 대해서 변환 수수료 청구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성주문 단말기(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 상으로 액세스를 통해 음성주문 앱(100a)을 설치하고, 설치된 음성주문 앱(100a)으로 매장에 비치된 a) QR Tag를 촬영하거나 또는 b) NFC Tag에 태깅하여 자신이 위치한 매장과 매장 내의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및 음성주문 단말기(100) 상에서 음성주문 앱(100a)을 통해 음성으로 주문 내용을 말하는 주문 요청에 따라 음성주문 단말기(100)에서 음성주문 서버(300)로 음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주문 앱(100a)에는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음성변환 서버(300a) 상에서 제공하는 음성변환 서비스에 가입된 ID가 포함되어 있어, 음성변환 서버(300a)에 대해서 음성변환 서비스 호출시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ID로 음성변환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매장내에서 음성주문을 수행시 음성주문 서비스의 음성변환 과정 관여 여부,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단말기 소유 유형,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의 단말기 유형에 따라 종합적으로 음성주문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주문을 위해서 제공자 호출이 불필요하고, 제공자(종업원)의 부재 또는 다른 고객에게 서비스 중인 상태로 인한 호출 대기 시간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제공자의 상황과 상관 없이 언제든지 주문할 수 있고, 불필요한 반복 주문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매장내에서 음성 및 위치 정보 기반 주문 서비스 기본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음성주문 방법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관여형 및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한 음성주문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매장내에서 음성 및 위치 정보 기반 주문 서비스 기본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음성주문 단말기(100), 네트워크(200), 음성주문 서버(300), 음성변환 서버(300a),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 및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중심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매장내에서 음성 및 위치 정보 기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주문 음성과 고객의 위치 정보를 입력 받아 주문 음성을 주문 텍스트로 변환하여 매장에 전달하면, 매장의 제공자(직원)가 주문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관련 주체로는 고객, 음성주문 앱(100a)(음성주문 단말기(100), 매장 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음성변환 서버(300a),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음성주문 서버(300), 서비스 제공자(매장, 매장 운영자, 점원)가 운영하는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고객은 음성주문 앱을 이용하여 매장에 주문을 하는 사람이다.
음성주문 앱(음성주문 단말기(100))은 고객의 음성을 입력 받아 매장에 주문 내역을 전송하는 앱을 의미한다.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V->T(Voice to Text Conversion) 사업자)는 음성변환 서버(300a)를 운영하는 음성인식 및 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문장으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의미하며, Kakao(카카오 음성인식 서비스), Naver(Naver CLOVA), Google, MS(마이크로소프트 Congitive Service), Amazon 등과 같은 사업자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는 음성주문 서버(300)를 운영하는 음성주문 앱(100a)을 개발하여 배포하고 음성주문 서버(300)를 운영하며, 음성주문 앱(100a)을 통해서 주문을 받아 음성주문 서버(300)를 거쳐 처리를 한 후 매장에 해당하는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전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먼저, 음성주문 단말기(100) 상에서의 고객의 동작(Action)에 대해서 살펴보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 상으로 액세스를 통해 음성주문 앱(100a)을 설치하고, 설치된 음성주문 앱(100a)으로 매장에 비치된 a) QR Tag를 촬영하거나 또는 b) NFC Tag에 태깅하여 자신이 위치한 매장과 매장 내의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고, 음성주문 앱(100a)에 음성으로 주문 내용을 말하여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장 및 매장 직원, 관리자에 해당하는 매장(직원, 관리자)의 동작(Action)에 대해서 살펴보면, 음성주문 서비스에 가입한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된 주문 내용을 읽고 해당 주문을 처리한다.
음성주문 서버(300)는 위치 정보 획득 방식에 있어서, QR Code, NFC, 직접 입력 방식을 취할 수 있다.
QR Code는 매장 내 테이블에 테이블 고유의 QR 코드 스티커로 부착되며, 고객은 매장에 테이블에 착석 후 테이블 위의 자신의 폰인 음성주문 단말기(100)의 음성주문 앱(100a)을 이용해서 QR 코드를 읽으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QR 코드 정보를 획득한 음성주문 서버(300)는 고객이 어느 매장의 어느 테이블에 앉아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NFC Tag는 매장 내 테이블에 테이블 고유의 NFC Tag로 부착되며, 고객은 매장에 테이블에 착석 후 테이블 위의 자신의 폰인 음성주문 단말기(100)의 음성주문 앱(100a)을 이용해서 NFC Tag를 태깅하여 읽으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QR 코드 정보를 획득한 음성주문 서버(300)는 고객이 어느 매장의 어느 테이블에 앉아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입력 방식은 음성주문 앱(100a)으로 매장을 검색하여 선택하고,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QR 코드 정보를 획득한 음성주문 서버(300)는 고객이 어느 매장의 어느 테이블에 앉아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주문에 있어서 음성주문 단말기(100)은 주문 요청을 위해 음성주문 앱(100a)의 “주문” 버튼을 클릭하고, 음성으로 주문 내용을 말하며, 주문을 완료하려면 “완료” 버튼을 클릭하며, 음성주문 앱(100a)의 디스플레이에 주문 내용이 표시되며, 고객은 내용을 확인하고 맞으면 “전송”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 2와 같은 주문 요청 흐름도와 같이 구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음성주문 단말기는 구성에 따라 음성주문 앱(100a)이 설치된 고객의 스마트 폰인 음성주문 단말기(100)이 될 수도 있고, 매장에 비치된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가 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노란색(밝은색) 원의 번호 1~7 은 주문 요청 및 서비스 제공까지의 흐름 순서 번호이며, 적색(어두운 색) 원의 a, b 는 음성 변환 요청에 대한 비용 청구 절차에 대한 순서이다.
음성변환 서버(300a)에서의 음성 인식 기술은 기존에 나온 기술을 활용하며, 카카오 음성인식 API, Naver CLOVA, 구글 Speech API, MS Cognitive API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음성주문 서버(300)는 고객의 주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변환 서버(300a)에 전달하고, 음성변환 서버(300a)에서 변환된 주문 텍스트를 회신 받아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해당하는 매장의 주문 화면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주문 서버(300)는 또한 고객의 주문 음성 데이터와 변환된 주문 텍스트 및 주문 관련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330)에 기록하고, 주문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성주문 앱(100a)에는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음성변환 서버(300a) 상에서 제공하는 음성변환 서비스에 가입된 ID가 포함되어 있어, 음성변환 서비스 호출시 폰의 사용자가 아닌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ID로 음성변환 서비스를 요청한다.
고객이 매장 안에서 실제로 주문하는 것인지 아니면 매장 밖에서, 다른 매장에서 또는 장난이나 악의적인 의도로 주문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악의적으로 불필요한 주문을 넣어 매장에 피해를 입힐 수 있고, 또한 불필요한 음성변환 서비스 호출로 인한 불필요한 서비스 비용이 발생하여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에게도 금전적 손해를 입힐 수 있다.
구체적인 제 1 예로, 고객이 QR 코드를 찍고, 매장 밖 다른 곳에서 주문을 할 수도 있다.
다른 제 2 예로, A 매장에서 QR 코드를 찍고 주문을 한 후 B 매장으로 이동한 후 깜빡 잊고 QR 코드를 찍지 않은 채 주문을 하게 되면 고객은 B 매장에 주문을 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음성주문 앱(100a)은 A 매장으로 주문을 보내게 된다.
또 다른 제 3 예로, 장난이나 악의적인 의도로 주문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음성주문 서비스 요청을 사전에 방지하고, 유효한 주문 요청인지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음성주문 앱(100a)은 GPS 연동을 통해 GPS 기능을 켜도록 유도하고, QR 코드 찍을 때와 주문을 할 때 GPS 정보를 읽도록 한다. 음성주문 앱(100a)은 QR 코드 찍을때 GPS를 기록하고, 주문을 보내려 할 때 GPS를 읽어 QR 때 읽은 GPS 위치와 위치가 유효 범위 안에 있으면 주문을 진행하도록 한다. 만약 음성주문 앱(100a)은 GPS 위치 차가 크면 경고 메세지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과금에 대해서 살펴본다. 음성주문 서버(300)는 음성변환 서버(300a)에 대해서 제공받은 음성-텍스트 변환 서비스 비용에 대해서 변환 수수료 청구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받고(Sa), 비용에 대해서 지불(Sb)을 수행하고,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운영하는 매장에 대해서 주문 중개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청구하여 지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음성-텍스트 변환 서비스 비용 지불은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가 음성인식 서비스 사업자에게 지불하며, 주문 중개 서비스 비용 지불은 매장 운영자가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에게 지불하되,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는 매장 운영자에게 다음 두가지 비용인 음성-텍스트 변환 서비스 비용 및 주문 중개 서비스 비용을 합산하여 청구하고 이중 음성-텍스트 변환 서비스 비용을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에 지불하는 것이다.
음성-텍스트 변환 과금 방식은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과금 방식과 요율을 따르며, 월 단위로 서비스 사용 내역을 누적 합산하여 정산한다.
음성주문 서비스 과금 방식은 월 단위로 서비스 사용 내역을 누적 합산하여 정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음성주문 방법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음성주문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단말기의 구성 및 음성주문 서버의 관여 정도에 따라서 변형(도 5 - 비관여형 음성주문 시스템 구성 방식, 도 6 - 관여형 음성주문 시스템 구성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도 4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의 음성주문 방법을 제공하는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음성변환 과정, 또는 단말기의 소유자 등에 따라 시스템의 세부 구성 및 운영 방식에 변형될 수 있다.
즉 제 1 변형 선택 옵션으로, 음성주문 서비스의 음성변환 과정 관여 여부인 음성변환 과정에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관여 여부에 따라 비관여형과 관여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비관여형은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의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변환 데이터 전송 및 결과 수신 과정에 관여하지 않으며, 관여형은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의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변환 데이터 전송 및 결과 수신 과정에 관여한다.
또한, 제 2 변형 선택 옵션으로,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단말기 소유 유형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즉, 음성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단말기로, 고객이 소지한 단말기인 음성주문 단말기(100) 또는 매장에 비치된 단말기인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 3 변형 선택 옵션으로,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단말기 유형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즉,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스마트 단말기 및 더미 단말기의 2종류로 분류되며, 스마트 단말기는 태블릿으로 구성하고, 더미 단말기는 마이크, 버튼 및 소형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전용 단말기와 주문 중계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의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관여형에 해당하며, 먼저 비관여형을 먼저 서술하고, 이후 관여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비관여형은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주문 단말기(100)와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인 음성변환 서버(300a)간의 음성인식/변환 처리에 관여하지 않는 방식으로, 음성주문 단말기(100)에서 음성 변환 요청을 직접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인 음성변환 서버(300a)에게 요청하는 방식이다.
음성변환에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주문 서버(3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음성주문 단말기(100)로부터 음성변환 서버(300a)에게 전송하기 때문에 음성 데이터 전송량이 반으로 줄게 되어 비용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한 음성주문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과 동일하나 음성변환에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주문 단말기(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변환 서버(300a)로 직접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음성주문 서버(300)는 음성주문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는 기록 내용으로 주문자, 주문일자, 주문 문장 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인식/변환 작업에 관여하는 방식으로,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주문 단말기(100) 또는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인 음성변환 서버(300a)에게 변환 요청을 보내는 방식이다. 이 경우는 음성 데이터가 고객 단말기/매장 단말기->음성주문 서비스 구간과 음성주문 서비스->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 구간 2군데서 발생하므로 데이터 전송 비용이 좀 더 발생한다.
이 방식의 장점은 음성주문 서비스에서 고객의 음성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점이며, 음성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①고객 주문 음성과 변환된 데이터를 같이 보관, ② 향후 문제 발생, 고객의 주문 이상 컴플레인시 원인 규명 및 증거 자료 제시, ③ 고객 주문 음성 빅 데이터 구축, ④ 지속적 학습으로 정확도 개선, ⑤ 빅데이터를 이용한 파생 기능 작업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한 음성주문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과 동일하며, 도 5와는 차별적 특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음성주문 서버(300)는 음성주문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는 기록 내용으로 주문자, 주문일자, 주문 문장 내역 +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제 2 변형 선택 옵션에 대해서 살펴보면, 음성주문 단말기(100)는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에 음성주문 앱(100a)을 활용하여 주문을 수행한다.
한편, 매장 전용 단말기로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매장내 각 테이블에 주문을 위한 전용 단말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 단말기를 통해서 주문을 수행한다.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기능에 따라서 더미형과 스마트형과 같이 두가지 형태가 있다.
더미형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마이크와 조작 버튼 및 디스플레이를 갖춘 단순 단말기로 다음과 같은 특징 및 동작을 갖는다.
즉, 더미형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①주문 중계기 및 매장 내 내부 네트워크를 필요로 한다. ② 사용자의 음성을 매장 안의 주문 중계기(500a)로 전송, ③ 변환된 문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 확인, 취소 버튼 기능, ④ 주문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주문 중계기를 통해서 음성주문 서비스 또는 음성변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게 되며, 변환된 결과도 주문 중계기를 통해서 수신된 후 해당 더미 단말기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스마트형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주문 중계기(500a) 없이 독자적으로 서버와 통신 기능을 갖춘 단말기이며, 안드로이드, 아이패드 등과 같은 OS 를 갖춘 단말기로 다음과 같은 특징과 동작을 갖는다.
즉, 스마트형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① 별도의 주문 중계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② 직접 음성주문서비스 또는 음성변환 서비스와 통신을 수행하며, ③ 사용자의 음성을 직접 음성주문 서비스 또는 음성변환 서비스에 전송하며, ④ 변환된 문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 ⑤ 확인, 취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형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 상의 앱은 고객의 스마트폰의 음성주문 앱(100a)과 거의 동일한 앱이며, 고객 스마트폰의 앱은 고객이 사용하는 범용 앱이고, 매장내 스마트형 단말기인 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음성주문앱은 매장용으로 특화된 앱이다.
한편, 단말기 구성 및 구성 별 음성주문 시퀀스에 대해서 살펴보면,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시스템의 구성은 다양한 조합의 단말기와 중계기, 서버의 구성이 가능한데, 매장과 고객 측 장비 및 앱 구성 기준과 음성주문 서비스의 음성 변환 관여 여부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 1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 제 2 액티브 구성 주체로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제 3 액티브 구성 주체로 더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와 주문 중계기(500a)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 4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 제 5 액티브 구성 주체로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제 6 액티브 구성 주체로 더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와 주문 중계기(500a)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1 액티브 구성 주체와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4 액티브 구성 주체가 동일하고,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2 액티브 구성 주체과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5 액티브 구성 주체가 서로 동일하고,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3 액티브 구성 주체와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6 액티브 구성 주체가 동일하나 음성주문 서비스가 음성 변환에 관여 여부의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별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음성주문 시퀀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의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 1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을 활용하되, 음성으로 주문을 하면 음성 데이터가 녹음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매장 ID(m-id) 요청이 수행되는데, m-id는 음성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매장에 부여되는 고유의 인식 번호에 해당한다.
즉, 음성주문 단말기(100)인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 음성주문 앱(100a)을 설치하고, 음성주문 단말기(100)를 통해서 음성주문 수행하여 음성변환 서비스 호출시 음성주문서비스 사업자의 ID 를 이용해서 주문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음성주문 앱(100a)에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ID가 저장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제 2 액티브 구성 주체로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에 대해서 살펴보면,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매장 안 각 테이블마다 매장에서 제공하며, 매장전용 스마트 음성주문 단말기 안에 일련번호, 매장 정보, 테이블 번호가 이미 저장되어 있어 별도의 QR, 일련번호 입력이 필요없을 수 있다. 이후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내의 스마트 음성주문 앱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주문을 하면 해당 매장의 음성주문 서버(300)에게 주문 정보가 문자로 전송되어 음성주문 서버(300)가 주문을 접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 8과 같을 수 있다.
다음으로,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제 3 액티브 구성 주체로 더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와 주문 중계기(500a)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도 9와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도 8과의 차이는 하나의 주문 중계기(500a)와 음성주문 단말기(500)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아 주문 중계기(500a)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으로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제 4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10과 같은 음성주문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4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을 활용하되, 음성으로 주문을 하면 음성 데이터가 녹음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매장 ID(m-id) 요청이 수행되는데, m-id는 음성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매장에 부여되는 고유의 인식 번호에 해당한다.
즉, 음성주문 단말기(100)인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 음성주문 앱(100a)을 설치하고, 음성주문 단말기(100)를 통해서 음성주문 수행하여 음성변환 서비스 호출시 음성주문서비스 사업자의 ID 를 이용해서 주문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음성주문 앱(100a)에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ID가 저장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는 것은 도 7과 같으나 음성주문 서버(300)에 의한 음성변환 서버(300a)에 대한 관여를 통해 서비스가 수행되는 점에 차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제 5 액티브 구성 주체로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11과 같은 음성주문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정보를 제공하면 음성주문 서버(300)가 다시 음성변환 서버(300a)로 음성 데이터 변환 요청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2와 같이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제 6 액티브 구성 주체로 더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와 주문 중계기(500a)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11과의 차이는 하나의 주문 중계기(500a)와 음성주문 단말기(500)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아 주문 중계기(500a)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음성주문 서버(300)는 고객이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상에서 입력부에 해당하는 마이크 활성 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행된 뒤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부터 주문 식별 ID 및 초기 신호(Start Signal)을 수신한 주문 중계기(500a)로부터 주문 식별 ID 및 초기 신호(Start Signal)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주문 서버(300)는 주문 중계기 ID도 함께 주문 중계기(500a)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음성주문 서버(300)는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주문이 수행되면,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주문 중계기(500a)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주문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음성 데이터, 그리고 주문 중계기 ID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음성주문 서버(300)는 관여형인 경우 음성변환 서버(300a)에 대한 요청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분석을 위해, 음성주문 서버(300)는 각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에서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입력부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전 수집을 수행한 뒤, 각 사전 수집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변환 서버(300a)로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문장으로의 변환 요청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변환 서버(300a)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분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각 음성을 이루는 문자에 대해서 각각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조합하여 텍스트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음성변환 서버(300a)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음성변환 서버(300a)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분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다수의 구분 정보에 해당하는 성별, 연령대, 표준말 또는 사투리를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텍스트를 조합하여 텍스트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음성변환 서버(300a)는 텍스트 문장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음성변환 서버(300a)는 음성 데이터를 문장에 해당하는 텍스트로 분석하고, 분석된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주문 서버(300)로 반환함으로써, 음성주문 서버(300)가 텍스트 문장에 해당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주문 서버(300)는 임시로 저장된 주문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음성 데이터, 그리고 주문 중계기 ID에 음성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음성주문 서버(300)는 분석된 텍스트 데이터에서 주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주문 서버(300)가 텍스트 데이터에서 주문 정보를 추출시, 상술한 음성변환 서버(300a)로의 요청을 통해 특징 정보에 해당하는 성별, 연령대, 표준말 또는 사투리에 해당하는 구분 정보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장 정보를 음성변환 서버(300a)가 자신이 구비한 빅데이터 DB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문장 정보를 기초로, 제공자측에 해당하는 주문 중계기(500a)에서 주문 목록으로 제공한 주문명칭과, 각 주문명칭을 주문시 자주 사용하는 개수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주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음성주문 서버(300)는 텍스트 데이터에서 주문 정보를 추출한 뒤, 주문 식별 ID 및 주문 중계기 ID를 메타데이터로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주문 정보가 하나의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음성주문 서버(30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되는 주문 단위 정보는 제공자측과 주문자측의 분쟁 발생시 법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음성주문 서버(300)가 주문 단위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주문 서버(300)는 주문 식별 ID에 해당하는 주문 단위 정보에서 주문 중계기 ID 및 주문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주문 중계기 ID 및 주문정보를 주문 식별 ID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 상에는 RF 리더기를 통해 ID 태그 또는 ID 태그가 구비된 ID 터치펜에 대한 RF 기반의 인식을 통해 제공자 ID를 인식한 뒤, 인식된 제공자 ID와 일치하는 주문 중계기 ID에 해당하는 주문 정보 및 주문 식별 ID를 주문 시간의 순서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공자 측에서는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출력된 주문 정보에 대해서 주문을 접수하고 진행한 뒤, 접수된 주문 정보에 대해서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공자측에서는 터치 모니터에 해당하는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기록된 주문을 확인 후 응대할 수 있으며, 제공자가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접근하여 제공자 소지 ID 태그 또는 ID 터치펜으로 모니터 터치시 자동으로 제공자 정보에 해당하는 제공자 ID가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인식되어 제공자와 관련된 주문 정보를 출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음성주문 서버(300)는 입력부에 해당하는 마이크 활성 버튼에 대해서 비활성 상태에서 각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에서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주문 중계기(500a)을 통해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음성주문 서버(300)는 음성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여 인식률이 일정 값 이하로 지속적으로 떨어지면 주문 식별 ID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제공하거나 제공자측 단말인 주문 중계기(500a)로 제공하거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가 양방향 단말기인 경우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 제공함으로써,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성주문 서버(300)는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중 타 단말 대비 장시간 요청이 없는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주문 식별 ID에 대해서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주문 중계기(500a)를 통해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제공하거나 제공자측 단말인 주문 중계기(500a)로 제공하거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이 양방향 단말기인 경우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 제공함으로써,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음성주문 단말기 200 : 네트워크
300 : 음성주문 서버 300a : 음성변환 서버
400 :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
500 :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

Claims (5)

  1. 음성주문 단말기(100), 네트워크(200), 음성주문 서버(300), 음성변환 서버(300a),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 및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음성주문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단말기(100) 또는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부터 고객의 주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변환 서버(300a)에 전달하고, 음성변환 서버(300a)에서 변환된 주문 텍스트를 회신 받아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해당하는 매장의 주문 화면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고객의 주문 음성 데이터와 변환된 주문 텍스트 및 주문 관련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330)에 기록하며,
    음성주문 단말기(100)에 설치된 음성주문 앱(100a)에는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음성변환 서버(300a) 상에서 제공하는 음성변환 서비스에 가입된 ID가 포함되어 있어, 음성변환 서비스 호출시 음성주문 단말기(100) 또는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사용자가 아닌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ID로 음성변환 서비스를 요청하며,
    음성주문 앱(100a)은,
    GPS 연동을 통해 GPS 기능을 켜도록 유도하고,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와 주문하는 경우 GPS 정보를 읽으며,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GPS를 기록하고, 주문을 보내려고 하는 경우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와 주문하는 경우의 GPS 위치와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유효 범위 안에 있으면 주문을 진행하도록 하며,
    음성주문 서버(300)는,
    음성변환 서버(300a)에 대해서 제공받은 음성-텍스트 변환 서비스 비용에 대해서 변환 수수료 청구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받고, 비용에 대해서 지불을 수행하고,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운영하는 매장에 대해서 주문 중개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청구하여 지불을 제공받음으로써,
    음성-텍스트 변환 서비스 비용 지불은 음성주문 서버(300)를 운영하는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가 음성변환 서버(300a)를 운영하는 음성인식 서비스 사업자에게 지불하며, 주문 중개 서비스 비용 지불은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운영하는 매장 운영자가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에게 지불하되,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는 매장 운영자에게 두가지 비용인 음성-텍스트 변환 서비스 비용 및 주문 중개 서비스 비용을 합산하여 청구하고 이중 음성-텍스트 변환 서비스 비용을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에 지불하며, 음성-텍스트 변환 과금 방식은 음성주문 서비스 사업자의 과금 방식과 요율을 따르며, 월 단위로 서비스 사용 내역을 누적 합산하여 정산하여, 음성주문 서비스 과금 방식은 월 단위로 서비스 사용 내역을 누적 합산하여 정산하며,
    음성주문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 1 변형 선택 옵션으로 단말기의 구성 및 음성주문 서버의 관여 정도에 따라서 "비관여형" 음성주문 시스템 구성 방식, "관여형" 음성주문 시스템 구성 방식"으로 수행하며,
    "비관여형"은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의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변환 데이터 전송 및 결과 수신 과정에 관여하지 않으며, "관여형"은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의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변환 데이터 전송 및 결과 수신 과정에 관여하며,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 2 변형 선택 옵션으로,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단말기 소유 유형에 따라 분류하되, 음성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단말기인, 고객이 소지한 단말기인 음성주문 단말기(100) 또는 매장에 비치된 단말기인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 분류되며,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 3 변형 선택 옵션으로,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단말기 유형에 따라 분류하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스마트 단말기 및 더미 단말기의 2종류로 분류되며, 스마트 단말기는 태블릿으로 구성하고, 더미 단말기는 마이크, 버튼 및 소형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전용 단말기와 주문 중계기로 구성되며,
    "비관여형"은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주문 단말기(100)와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인 음성변환 서버(300a)간의 음성인식/변환 처리에 관여하지 않는 방식으로, 음성주문 단말기(100)에서 음성 변환 요청을 직접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인 음성변환 서버(300a)에게 요청하는 방식으로,
    음성변환에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주문 서버(3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음성주문 단말기(100)로부터 음성변환 서버(300a)에게 전송하기 때문에 서비스 상에서의 음성 데이터 전송량이 반으로 줄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음성변환에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주문 단말기(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변환 서버(300a)로 직접 제공함으로써, 음성주문 서버(300)는 음성주문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는 기록 내용으로 주문자, 주문일자, 주문 문장 내역을 관리하며,
    "관여형"은,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인식/변환 작업에 관여하는 방식으로, 음성주문 서버(300)가 음성주문 단말기(100) 또는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아 음성변환 서비스 사업자인 음성변환 서버(300a)에게 변환 요청을 보내는 방식으로, 음성주문 서비스에서 고객의 음성 데이터를 확보하여, 음성주문 서버(300)는 음성주문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는 기록 내용으로 주문자, 주문일자, 주문 문장 내역 외에 음성 데이터를 관리하며,
    음성주문 단말기(100)는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에 음성주문 앱(100a)을 활용하여 주문을 수행하며,
    매장 전용 단말기로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매장내 각 테이블에 주문을 위한 전용 단말기이며,
    "더미형"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마이크와 조작 버튼 및 디스플레이를 갖춘 단순 단말기로, ① 주문 중계기 및 매장 내 내부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며, ② 사용자의 음성을 매장 안의 주문 중계기(500a)로 전송하며, ③ 변환된 문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 확인, 취소 버튼 기능을 수행하며, ④ 주문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주문 중계기를 통해서 음성주문 서비스 또는 음성변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게 되며, 변환된 결과도 주문 중계기를 통해서 수신된 후 해당 더미 단말기에 전달되며,
    "스마트형"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주문 중계기(500a) 없이 독자적으로 서버와 통신 기능을 갖춘 독자의 OS(Operating System)을 갖춘 단말기이며, ① 별도의 주문 중계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② 직접 음성주문서비스 또는 음성변환 서비스와 통신을 수행하며, ③ 사용자의 음성을 직접 음성주문 서비스 또는 음성변환 서비스에 전송하며, ④ 변환된 문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⑤ 확인, 취소 기능을 제공하며,
    스마트형 매장내 음성주문 단말기(500) 상의 앱은 고객의 스마트폰의 음성주문 앱(100a)과 동일한 기능을 갖추며,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 1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 제 2 액티브 구성 주체로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제 3 액티브 구성 주체로 더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와 주문 중계기(500a)로 이루어지며,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 4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 제 5 액티브 구성 주체로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제 6 액티브 구성 주체로 더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와 주문 중계기(500a)로 이루어지며,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1 액티브 구성 주체와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4 액티브 구성 주체가 동일하고,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2 액티브 구성 주체과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5 액티브 구성 주체가 서로 동일하고,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3 액티브 구성 주체와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제 6 액티브 구성 주체가 동일하나 음성주문 서비스가 음성 변환에 관여 여부의 차이가 있으며,
    음성주문 시퀀스에 있어서,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 1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을 활용하되, 음성으로 주문을 하면 음성 데이터가 녹음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매장 ID(m-id) 요청이 수행되는데, m-id는 음성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매장에 부여되는 고유의 인식 번호에 해당하며, 음성주문 단말기(100)인 음성주문 앱(100a)을 설치하고, 음성주문 단말기(100)를 통해서 음성주문 수행하여 음성변환 서비스 호출시 음성주문서비스 사업자의 ID 를 이용해서 주문을 수행하며,
    음성주문 시퀀스에 있어서,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 2 액티브 구성 주체로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에 대해서 살펴보면,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매장 안 각 테이블마다 매장에서 제공하며, 매장전용 스마트 음성주문 단말기 안에 일련번호, 매장 정보, 테이블 번호가 이미 저장되어 있어 별도의 QR, 일련번호 입력이 필요없으며,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내의 스마트 음성주문 앱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주문을 하면 해당 매장의 음성주문 서버(300)에게 주문 정보가 문자로 전송되어 음성주문 서버(300)가 주문을 접수하게 되며, "비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제 3 액티브 구성 주체로 더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와 주문 중계기(500a)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하나의 주문 중계기(500a)와 음성주문 단말기(500)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아 주문 중계기(500a)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정보를 제공하며,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제 4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의 동작에 있어서, 제 4 액티브 구성 주체로 음성주문 단말기(100) 내 음성주문 앱(100a)을 활용하되, 음성으로 주문을 하면 음성 데이터가 녹음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매장 ID(m-id) 요청이 수행되는데, m-id는 음성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매장에 부여되는 고유의 인식 번호에 해당하며,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제 5 액티브 구성 주체로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동작에 있어서, 스마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정보를 제공하면 음성주문 서버(300)가 다시 음성변환 서버(300a)로 음성 데이터 변환 요청을 제공하며,
    "관여형"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서 제 6 액티브 구성 주체로 더미형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와 주문 중계기(500a)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있어서, 하나의 주문 중계기(500a)와 음성주문 단말기(500)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아 주문 중계기(500a)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주문 서버(300)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음성주문 서버(300)는 고객이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상에서 입력부에 해당하는 마이크 활성 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행된 뒤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부터 주문 식별 ID 및 초기 신호(Start Signal)을 수신한 주문 중계기(500a)로부터 주문 식별 ID 및 초기 신호(Start Signal)을 수신하며, 음성주문 서버(300)는, 주문 중계기 ID도 함께 주문 중계기(500a)로부터 수신하며,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주문이 수행되면,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음성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주문 중계기(500a)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주문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음성 데이터, 그리고 주문 중계기 ID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음성변환 서버(300a)에 대한 요청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분석하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분석을 위해, 각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에서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입력부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사전 수집을 수행한 뒤, 각 사전 수집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성변환 서버(300a)로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문장으로의 변환 요청을 통해 수행하며, 음성변환 서버(300a)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분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고 각 음성을 이루는 문자에 대해서 각각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조합하여 텍스트 문장을 생성하며,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분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분석시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분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한 결과로 복수의 구분 정보에 해당하는 성별, 연령대, 표준말 또는 사투리를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분된 음성 데이터와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음성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인식한 텍스트를 조합하여 텍스트 문장을 생성하며, 음성 데이터를 문장에 해당하는 텍스트로 분석하고, 분석된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주문 서버(300)로 반환함으로써, 음성주문 서버(300)가 텍스트 문장에 해당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도록 하며, 음성주문 서버(300)는 임시로 저장된 주문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음성 데이터, 그리고 주문 중계기 ID에 음성 데이터를 추가하며, 분석된 텍스트 데이터에서 주문 정보를 추출하며, 텍스트 데이터에서 주문 정보를 추출시, 음성변환 서버(300a)로의 요청을 통해 특징 정보에 해당하는 성별, 연령대, 표준말 또는 사투리에 해당하는 구분 정보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장 정보를 음성변환 서버(300a)가 자신이 구비한 빅데이터 DB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문장 정보를 기초로, 제공자측에 해당하는 주문 중계기(500a)에서 주문 목록으로 제공한 주문명칭과, 각 주문명칭을 주문시 자주 사용하는 개수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주문 정보를 추출하며,
    음성주문 서버(300)는, 텍스트 데이터에서 주문 정보를 추출한 뒤, 주문 식별 ID 및 주문 중계기 ID를 메타데이터로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주문 정보가 하나의 "주문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도록 하며, 음성주문 서버(30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되는 주문 단위 정보는 제공자측과 주문자측의 분쟁 발생시 법적 자료로 사용되도록 하며, 주문 단위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제공되도록 하되, 주문 식별 ID에 해당하는 주문 단위 정보에서 주문 중계기 ID 및 주문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주문 중계기 ID 및 주문정보를 주문 식별 ID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전송하며,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 상에는 RF 리더기를 통해 ID 태그 또는 ID 태그가 구비된 ID 터치펜에 대한 RF 기반의 인식을 통해 제공자 ID를 인식한 뒤, 인식된 제공자 ID와 일치하는 주문 중계기 ID에 해당하는 주문 정보 및 주문 식별 ID를 주문 시간의 순서에 따라 출력함으로써, 제공자 측에서는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출력된 주문 정보에 대해서 주문을 접수하고 진행한 뒤, 접수된 주문 정보에 대해서 삭제를 수행하도록 하며, 제공자측에서는 터치 모니터에 해당하는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기록된 주문을 확인 후 응대할 수 있도록 하며, 제공자가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접근하여 제공자 소지 ID 태그 또는 ID 터치펜으로 모니터 터치시 자동으로 제공자 정보에 해당하는 제공자 ID가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인식되어 제공자와 관련된 주문 정보를 출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음성주문 서버(300)는,
    입력부에 해당하는 마이크 활성 버튼에 대해서 비활성 상태에서 각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에서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주문 중계기(500a)을 통해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음성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여 인식률이 일정 값 이하로 지속적으로 떨어지면 주문 식별 ID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제공하거나 제공자측 단말인 주문 중계기(500a)로 제공하거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가 양방향 단말기인 경우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 제공함으로써,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하며,
    음성주문 서버(300)는,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 중 타 단말 대비 장시간 요청이 없는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의 주문 식별 ID에 대해서 네트워크(200)와 연결된 주문 중계기(500a)를 통해 주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제공하거나 제공자측 단말인 주문 중계기(500a)로 제공하거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이 양방향 단말기인 경우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 제공함으로써,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500)로 출력하도록 하며,
    음성주문 서버(300)는,
    매장 내 위치 정보 획득 방식에 있어서, QR Code, NFC, 직접 입력 방식을 취하며, QR Code를 이용시 매장 내 테이블에 테이블 고유의 QR 코드 스티커로 부착되며, 매장에 테이블에 착석 후 고객이 운영하는 음성주문 단말기(100)의 음성주문 앱(100a)이 QR 코드를 인식하면, 음성주문 단말기(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QR 코드 정보를 획득하여 고객이 어느 매장의 어느 테이블에 앉아 있는지 확인하거나, NFC Tag를 이용시 매장 내 테이블에 테이블 고유의 NFC Tag가 부착된 상태에서, 음성주문 단말기(100)의 음성주문 앱(100a)이 NFC Tag를 태깅 인식하면, 음성주문 단말기(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QR 코드 정보를 획득하여 고객이 어느 매장의 어느 테이블에 앉아 있는지 확인하거나, 직접 입력 방식을 이용시 음성주문 앱(100a) 상에서 매장 검색하여 선택과, 테이블 번호 입력 과정이 수행되면, 음성주문 단말기(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QR 코드 정보를 획득하여 고객이 어느 매장의 어느 테이블에 앉아 있는지 확인하여,
    매장내에서 음성주문을 수행시 음성주문 서비스의 음성변환 과정 관여 여부,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단말기 소유 유형, 음성주문 서비스 상의 매장전용 음성주문 단말기의 단말기 유형에 따라 종합적으로 음성주문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05794A 2021-01-15 2021-01-15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1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94A KR102314377B1 (ko) 2021-01-15 2021-01-15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94A KR102314377B1 (ko) 2021-01-15 2021-01-15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377B1 true KR102314377B1 (ko) 2021-10-21

Family

ID=7826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794A KR102314377B1 (ko) 2021-01-15 2021-01-15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448A1 (ko) * 2022-04-18 2023-10-26 (주)엔조이소프트 인공 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스마트 접객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794A (ko) * 2018-01-17 2019-08-12 주식회사 오리지널메이커스 음성 인식을 이용한 주문 처리 시스템 및 그 주문 처리 방법
KR20200126624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드림소프트 Qr 코드 또는 이미지 스캔 방식의 모바일주문 플렛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794A (ko) * 2018-01-17 2019-08-12 주식회사 오리지널메이커스 음성 인식을 이용한 주문 처리 시스템 및 그 주문 처리 방법
KR20200126624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드림소프트 Qr 코드 또는 이미지 스캔 방식의 모바일주문 플렛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60185호 "음식 주문 방법(FOOD ORDERING METHO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1-0016997호 "음성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peech-order)"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4-0025589호 "음성주문장치 및 음성주문장치를 이용한 음성주문접수방법(A voice-order apparatus and voice-order accept metho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12893호 "음성주문처리장치의 원격관리시스템(Remote management system for wireless ordering devi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87895호 "음성주문 포스시스템(SOUND POS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448A1 (ko) * 2022-04-18 2023-10-26 (주)엔조이소프트 인공 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스마트 접객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16399A (zh) 投诉件的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216514B1 (ko) 신속한 반품 및 환불이 가능한 반품서비스 시스템
US111661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call initiated texting session
US20230206213A1 (en) Method for Payment of an Order to be Forwarded to one of a Plurality of Client Establishments
US20170053288A1 (en) Cloud Based Customer Relationship Mapping
US201602927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placement of an order
US20210073752A1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managing proofs of purchase
KR102314377B1 (ko) 매장내 음성주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934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ustomer payments for an establishment
KR20160116538A (ko) 문자통신을 이용한 개인 비서 시스템
KR102311296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콜센터 업무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841128A (zh) 基于人工智能的业务交互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WO2009114199A2 (en) First notice of loss reporting with integrated claim processing
KR2012002532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상품 주문 시스템
US118423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processing of audio feedback
US11270328B1 (en) Method and system that gives any brand or retailer instant visibility by crowd-servicing grocery shoppers using a photo-based app and dashboard
KR102562186B1 (ko) 건물임대관리 기반 공문발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34759A (ko) 메신저 화면 관리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5850108B (zh) 自动响应系统数据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6177539A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104165A (ko)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거래 중개 방법
KR102479745B1 (ko) 경기장 내 배달 업무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102550037B1 (ko) Gps를 활용한 간편 체크인에 연동된 맞춤형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58706B1 (ko) 무선망을 이용한 재무 관리 시스템
KR102181452B1 (ko) 대화형 계피상이 청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