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271B1 -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271B1
KR102309271B1 KR1020200042851A KR20200042851A KR102309271B1 KR 102309271 B1 KR102309271 B1 KR 102309271B1 KR 1020200042851 A KR1020200042851 A KR 1020200042851A KR 20200042851 A KR20200042851 A KR 20200042851A KR 102309271 B1 KR102309271 B1 KR 10230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joint groove
joint
inner blade
concrete pa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택
이승남
권경근
박병수
최영화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인영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인영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00042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커팅시 폭염에 의한 콘크리트의 압축팽창에 따른 제거부위의 수축현상 발생에 대해 예방 및 응력을 완화한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시공방법으로써,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에 복수개의 간격재(26)를 끼워서,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커팅기(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R)에 줄눈홈(H)을 형성하는 단계(S2); 커팅된 줄눈홈(H)에 매립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S3); 콘크리트가 제거된 줄눈홈(H)에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여 줄눈홈(H)의 간격을 유지하는 단계(S4); 및 줄눈홈(H)에 설치된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함과 동시에 팽창제를 시공하는 단계(S5);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Cutting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the blades interval for concrete pavement and cutt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커팅시 폭염에 의한 콘크리트의 압축팽창에 따른 제거부위의 수축현상 발생에 대해 예방 및 응력을 완화한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와 콘크리트 포장도로로 구분된다. 전자인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시공비가 비싸고 승차감이 좋은 반면에 강도가 약하여 사용 중 도로 파손이 많아 자주 보수공사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후자인 콘크리트 포장도로는 시공비가 싸고 승차감이 약간 떨어지는 반면에 강도가 강하여 사용 시 도로파손이 적어 유비 보수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도로는 열에 의해 길이가 신장, 수축되어, 주위 기온의 변화에 따라 미세하게 그 길이가 변화되어 도로가 파손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 따른 신장, 수축, 솟음(Blow up)에 의해 도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줄눈을 시공한다. 줄눈은 콘크리트 도로의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 면에 종횡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줄눈홈을 판 후, 이 줄눈홈 내부로 빗물이나 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온도차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가 신장, 단축되는 것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줄눈재를 삽입하여 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커팅기는 절삭날이 규격화되어 그 폭과 직경이 일정한 다양한 규격의 절삭날을 절삭하고자 하는 제1줄눈홈 및 제2줄눈홈에 맞게 선택하여 교체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깊이와 폭이 다른 제1줄눈홈 및 제2줄눈홈 커팅시 매번 그 규격에 맞는 절삭날을 교체면서 각각의 커팅작업이 이루어짐으로 작업 공수가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작업시간이 늘어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638858 호(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119076 호(줄눈형성용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줄눈 시공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커팅시 폭염에 의한 콘크리트의 압축팽창에 따른 제거부위의 수축현상 발생에 대해 예방 및 응력을 완화하도록 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에 있어서, 커팅을 위한 회전축(10); 회전축(10) 상에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내측 블레이드(20b); 회전축(10) 상에서 내측 블레이드(20b)와 간격을 유지한 채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외측 블레이드(20a); 내측 블레이드(20b)와 외측 블레이드(20a) 사이에서 회전축(10)에 끼워지는 간격재(26); 내측 블레이드(20b)를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내측 고정부재(24); 및 외측 블레이드(20a)를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가 제공된다.
또한, 간격재(26)는 복수개가 끼워질 수 있고, 간격재(26)의 전체 두께에 따라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의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커팅을 위한 회전축(10); 회전축(10) 상에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내측 블레이드(20b); 회전축(10) 상에서 내측 블레이드(20b)와 간격을 유지한 채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외측 블레이드(20a); 내측 블레이드(20b)와 외측 블레이드(20a) 사이에서 회전축(10)에 끼워지는 간격재(26); 내측 블레이드(20b)를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내측 고정부재(24); 및 외측 블레이드(20a)를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시공방법으로써,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에 복수개의 간격재(26)를 끼워서,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커팅기(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R)에 줄눈홈(H)을 형성하는 단계(S2); 커팅된 줄눈홈(H)에 매립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S3); 콘크리트가 제거된 줄눈홈(H)에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여 줄눈홈(H)의 간격을 유지하는 단계(S4); 및 줄눈홈(H)에 설치된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함과 동시에 팽창제를 시공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ㄱ자형 받침대(100); 받침대(10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쐐기(110); 및 쐐기(110) 상에 고정 설치되며, 측면에 인양공(122)이 형성된 두부판(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ㄱ자형 받침대(100); 받침대(10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스크류잭(130); 및 스크류잭(13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스크류잭(130)의 회전에 따른 압착 또는 확장이 이루어지는 라쳇(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ㄱ자형 받침대(100); 및 받침대(100)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1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대(100); 받침대(100) 사이에서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60); 및 유압실린더(16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팩(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대(100); 받침대(100) 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180); 및 받침대(10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스토퍼(180)에 회전이 저기되는 반원판(19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대(100); 받침대(100) 사이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축에 대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200); 및 사각기둥(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중 블레이드를 이용함으로 줄눈의 일회 커팅으로 인하여 2줄눈이 형성됨으로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작업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방법이 일일 약 16.4 m를 작업할 수 있는데 반해, 본원발명에 의할 경우 일일 32.8 ~ 50 m를 작업할 수 있어 동일한 작업시간에 대해 2~3배의 작업량이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특성에 따라 이중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정하여 커팅함으로써 팽창제의 시공두께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줄눈홈의 절단후 줄눈홈의 중앙부에 남은 콘크리트 잔재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줄눈홈에 수축완화장치의 설치 및 제거가 편리하여 작업편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줄눈홈의 커팅 및 수축완화장치의 설치 및 제거에 따른 연속되는 작업공정이 원활하여 전체적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공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일 33m를 작업한다고 가정할 때, 종래의 방법에 의할 경우 소요경비가 287,224원/m 이었으나, 본원발명에 의할 경우 210,949원/m으로 감소하여 76,275원/m의 절감효과가 나타났다.
부수적으로는 공기의 단축을 통해 도로의 교통통제 시간도 50% 이상 축소할 수 있어 원활한 교통이 이루어졌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가 휠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중 블레이드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블레이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쐐기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잭서포트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링크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유압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회전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수동식 돌림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가 휠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는 커팅을 위한 회전축(10); 회전축(10) 상에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내측 블레이드(20b); 회전축(10) 상에서 내측 블레이드(20b)와 간격을 유지한 채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외측 블레이드(20a); 내측 블레이드(20b)와 외측 블레이드(20a) 사이에서 회전축(10)에 끼워지는 간격재(26); 내측 블레이드(20b)를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내측 고정부재(24); 및 외측 블레이드(20a)를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22);를 포함한다.
또한, 블레이드(20)는 표면에 다이아몬드팁(30)이 응착된 부재이다.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는 엔진, 연료통, 무한궤도나 바퀴와 같은 구동장치, 조향장치, 냉각수 공급장치 조작패널 등을 포함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중 블레이드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0)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블레이드를 회전시킨다.
회전축(1)에는 외측고정부재(22), 외측 블레이드(20a), 복수의 간격재(26), 내측 블레이드(20b), 내측고정부재(24)가 순차적으로 체결된다.
외측고정부재(22)와 내측고정부재(24)는 볼트가 될 수 있다.
간격재(26)는 소정 두께(예: 1cm, 2cm, 5cm 등)를 갖는 금속 디스크일 수 있다. 2개 ~ 10개 범위에서 간격재(26)를 겹쳐 끼움으로써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는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를 이용하여 줄눈의 1회 커팅으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고,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특성에 따라 블레이드(20)의 간격을 조정하여 절단함으로써 팽창제의 시공두께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줄눈 시공방법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에 복수개의 간격재(26)를 끼워서,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S1).
그 다음,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커팅기(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R)에 줄눈홈(H)을 형성한다(S2). 이때, 외측 블레이드(20a)와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줄눈홈(H)이 절삭된다.
그 다음, 커팅된 줄눈홈(H) 사이에 매립된 콘크리트를 제거한다(S3). 제거는 매립된 콘크리트를 파쇄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콘크리트가 제거된 상기 줄눈홈(H)에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여 줄눈홈(H)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S4).
그 다음, 줄눈홈(H)에 설치된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함과 동시에 팽창제를 시공한다(S5). 팽창재는 탄성재, 시일재, 줄눈재 등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어느 특정한 한 가지 부재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줄눈홈(H))의 시공이 완료된다.
만약, 편도 2차로의 차선에 대해 줄눈홈을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1차로에 대하여, 줄눈홈을 형성하고(S2), 콘크리트 잔재를 제거하고(S3) 수축완화장치를 설치한다(S4). 그리고, 2차로 대해서 다시 줄눈홈을 형성하고(S2), 콘크리트 잔재를 제거하고(S3) 수축완화장치를 설치한다(S4). 이후, 1차로와 2차로에 대해 팽창제를 시공하여(S5) 완성한다.
복수의 차로에 대해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중앙선의 안쪽 차선부터 S2, S3, S4 단계를 시행하고, 모든 차선에 대해 S2, S3, S4 단계가 완료되면 전차선에 대해 팽창제 시공(S5)을 수행한다.
수축완화장치
이하에서는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는 S4단계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쐐기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ㄱ자형 받침대(100); 받침대(10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쐐기(110); 및 쐐기(110) 상에 고정 설치되며, 측면에 인양공(122)이 형성된 두부판(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철재로 제작된 ㄱ자형 받침대(100)를 콘크리트가 제거된 줄눈홈(H) 내부에 각각 설치한다. 그 다음, 철재 받침대(100)에 역삼각형 형태의 철재 쐐기(110)를 해머로 박아서 설치함으로써, 줄눈홈(H)의 콘크리트 제거부분의 압축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쐐기(110)의 상부 양측단에 경사진 날개부(123)를 설치하여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시 수축완화장치(A)를 쇠지렛대(124)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두부판(120)의 측면에 인양공(122)을 형성하여, 인양공(122)에 와이어를 걸어 견인함으로써 쐐기(10)를 쉽게 줄눈홈(H)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잭서포트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ㄱ자형 받침대(100); 받침대(10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스크류잭(130); 및 스크류잭(13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스크류잭(130)의 회전에 따른 압착 또는 확장이 이루어지는 라쳇(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잭(130)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류잭(130)은 한쌍의 받침대(100) 사이에서 수평으로 설치한다. 스크류잭(130)의 가운데에 라쳇(140)을 설치함으로써 라쳇(140)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루잭(130)이 줄눈홈(H) 내에 설치된 받침대(100)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잭(130)과 라쳇(140)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꺾기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ㄱ자형 받침대(100); 및 받침대(100)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150);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150)의 양단은 한쌍의 받침대(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부재(150)의 중간영역에도 상대 회동이 가능한 링크가 구성된다. 따라서, 링크부재(150)가 접혀진 채로 줄눈홈(H) 내에 설치한 후, 링크부재(150)를 일직선으로 펼침으로써, 콘크리트의 압축에 저항하도록 한다. 링크부재(150)를 위로 꺾어서 올리면 압착되어 있던 철재 받침대(100)를 용이하게 줄눈홈(H)으로 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유압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대(100); 받침대(100) 사이에서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60); 및 유압실린더(16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팩(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철재 받침대(100)의 가운데 부분에 유압실린더(160)를 가로질러 설치한 후, 유압실린더(160)에 연결된 유압팩(170)을 통해서 유압을 공급하면 유압실린더(160)가 팽창하면서 철재 받침대(100)를 밀어서 줄눈홈(H)에 설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회전형 수축완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대(100); 받침대(100) 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180); 및 받침대(10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스토퍼(180)에 회전이 저기되는 반원판(19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줄눈홈(H)의 콘크리트 제거부에 스토퍼(180)가 부착된 철재 받침대(100)를 설치한다. 그 다음, 철재 받침대(100)의 가운데 부분에 반원 단면의 반원판(19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반원판(190)은 줄눈홈(H)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반원판(190)을 돌려서 스토퍼(180)에 걸리면, 받침대(100)가 줄눈홈(H) 내에 밀착된다. 그 후 수축완화장치(A)의 제거시에는 반원판(19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수동식 돌림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완화장치(A)는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대(100); 받침대(100) 사이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축에 대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200); 및 사각기둥(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1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줄눈홈(H)의 콘크리트 제거부에 철재 받침대(100)를 설치하고, 철재 받침대(100)의 가운데 부분에 손잡이(210)가 구비된 사각기둥(200)을 설치한다. 이때, 사각기둥(200)의 짧은 변이 받침대(100) 사이에 오도록 한다. 그 다음, 손잡이(210)를 돌리면 사각기둥(200)이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사각기둥(200)의 긴변이 철재 받침대(100)를 밀게 되어 철재 받침대(100)가 줄눈홈(H)에 밀착된다.
그 후, 수축완화장치(A)의 제거시에는 수축완화장치(A)를 줄눈홈(H)에 설치할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손잡이(210)를 돌린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은 이중 블레이드를 이용함으로 줄눈의 일회 커팅으로 인하여 2줄눈이 형성됨으로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작업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고,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특성에 따라 이중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정하여 커팅함으로써 팽창제의 시공두께 및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줄눈홈의 절단후 줄눈홈의 중앙부에 남은 콘크리트 잔재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줄눈홈에 수축완화장치의 설치 및 제거가 편리하여 작업편이성이 우수하며, 줄눈홈의 커팅 및 수축완화장치의 설치 및 제거에 따른 연속되는 작업공정이 원활하여 전체적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공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회전축,
20: 블레이드,
20a : 외측 블레이드,
20b : 내측 블레이드,
22 : 외측고정부재,
24 : 내측고정부재,
26 : 간격재
30: 다이아몬드팁,
100: 받침대,
110: 쐐기,
120: 두부판,
122: 인양공,
123: 날개부,
124: 쇠지렛대,
130: 스크류잭,
140: 라쳇,
150: 링크부재,
160: 유압실린더,
170: 유압팩,
180: 스토퍼,
190: 반원판,
200: 사각기둥,
210: 손잡이,
A: 수축완화장치,
C: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
H: 줄눈홈,
R: 콘크리트 포장도로.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커팅을 위한 회전축(10); 상기 회전축(10) 상에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내측 블레이드(20b); 상기 회전축(10) 상에서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간격을 유지한 채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외측 블레이드(20a);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10)에 끼워지는 간격재(26);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내측 고정부재(24); 및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시공방법으로써,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간격재(26)를 끼워서,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상기 커팅기(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R)에 줄눈홈(H)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커팅된 줄눈홈(H)에 매립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S3);
    상기 콘크리트가 제거된 상기 줄눈홈(H)에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여 상기 줄눈홈(H)의 간격을 유지하는 단계(S4); 및
    상기 줄눈홈(H)에 설치된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함과 동시에 팽창제를 시공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축완화장치(A)는,
    상기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ㄱ자형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쐐기(110); 및
    상기 쐐기(110) 상에 고정 설치되며, 측면에 인양공(122)이 형성된 두부판(1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5. 커팅을 위한 회전축(10); 상기 회전축(10) 상에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내측 블레이드(20b); 상기 회전축(10) 상에서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간격을 유지한 채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외측 블레이드(20a);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10)에 끼워지는 간격재(26);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내측 고정부재(24); 및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시공방법으로써,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간격재(26)를 끼워서,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상기 커팅기(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R)에 줄눈홈(H)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커팅된 줄눈홈(H)에 매립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S3);
    상기 콘크리트가 제거된 상기 줄눈홈(H)에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여 상기 줄눈홈(H)의 간격을 유지하는 단계(S4); 및
    상기 줄눈홈(H)에 설치된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함과 동시에 팽창제를 시공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축완화장치(A)는,
    상기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ㄱ자형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스크류잭(130); 및
    상기 스크류잭(13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잭(130)의 회전에 따른 압착 또는 확장이 이루어지는 라쳇(1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6. 커팅을 위한 회전축(10); 상기 회전축(10) 상에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내측 블레이드(20b); 상기 회전축(10) 상에서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간격을 유지한 채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외측 블레이드(20a);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10)에 끼워지는 간격재(26);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내측 고정부재(24); 및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시공방법으로써,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간격재(26)를 끼워서,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상기 커팅기(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R)에 줄눈홈(H)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커팅된 줄눈홈(H)에 매립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S3);
    상기 콘크리트가 제거된 상기 줄눈홈(H)에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여 상기 줄눈홈(H)의 간격을 유지하는 단계(S4); 및
    상기 줄눈홈(H)에 설치된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함과 동시에 팽창제를 시공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축완화장치(A)는,
    상기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ㄱ자형 받침대(100); 및
    상기 받침대(100)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1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7. 커팅을 위한 회전축(10); 상기 회전축(10) 상에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내측 블레이드(20b); 상기 회전축(10) 상에서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간격을 유지한 채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외측 블레이드(20a);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10)에 끼워지는 간격재(26);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내측 고정부재(24); 및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시공방법으로써,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간격재(26)를 끼워서,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상기 커팅기(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R)에 줄눈홈(H)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커팅된 줄눈홈(H)에 매립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S3);
    상기 콘크리트가 제거된 상기 줄눈홈(H)에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여 상기 줄눈홈(H)의 간격을 유지하는 단계(S4); 및
    상기 줄눈홈(H)에 설치된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함과 동시에 팽창제를 시공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축완화장치(A)는,
    상기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 사이에서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60); 및
    상기 유압실린더(16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팩(1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8. 커팅을 위한 회전축(10); 상기 회전축(10) 상에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내측 블레이드(20b); 상기 회전축(10) 상에서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간격을 유지한 채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외측 블레이드(20a);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10)에 끼워지는 간격재(26);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내측 고정부재(24); 및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시공방법으로써,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간격재(26)를 끼워서,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상기 커팅기(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R)에 줄눈홈(H)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커팅된 줄눈홈(H)에 매립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S3);
    상기 콘크리트가 제거된 상기 줄눈홈(H)에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여 상기 줄눈홈(H)의 간격을 유지하는 단계(S4); 및
    상기 줄눈홈(H)에 설치된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함과 동시에 팽창제를 시공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축완화장치(A)는,
    상기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 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180); 및
    상기 받침대(10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스토퍼(180)에 회전이 저기되는 반원판(19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9. 커팅을 위한 회전축(10); 상기 회전축(10) 상에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내측 블레이드(20b); 상기 회전축(10) 상에서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간격을 유지한 채 끼워지는 줄눈 절삭용 외측 블레이드(20a);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와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10)에 끼워지는 간격재(26);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내측 고정부재(24); 및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를 상기 간격재(26)에 밀착시키면서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2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C)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시공방법으로써,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에 복수개의 상기 간격재(26)를 끼워서,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
    상기 외측 블레이드(20a)와 상기 내측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상기 커팅기(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도로(R)에 줄눈홈(H)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커팅된 줄눈홈(H)에 매립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S3);
    상기 콘크리트가 제거된 상기 줄눈홈(H)에 수축완화장치(A)를 설치하여 상기 줄눈홈(H)의 간격을 유지하는 단계(S4); 및
    상기 줄눈홈(H)에 설치된 수축완화장치(A)를 제거함과 동시에 팽창제를 시공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축완화장치(A)는,
    상기 줄눈홈(H) 내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 사이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축에 대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200); 및
    상기 사각기둥(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KR1020200042851A 2020-04-08 2020-04-08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KR10230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851A KR102309271B1 (ko) 2020-04-08 2020-04-08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851A KR102309271B1 (ko) 2020-04-08 2020-04-08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271B1 true KR102309271B1 (ko) 2021-10-08

Family

ID=7811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851A KR102309271B1 (ko) 2020-04-08 2020-04-08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2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858B1 (ko) 2004-11-05 2006-10-26 주식회사 시그마하이텍 콘크리트 포장 도로용 커팅기
KR101119076B1 (ko) 2009-07-03 2012-03-15 나항도 줄눈 형성용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줄눈 시공방법
KR101527808B1 (ko) * 2014-09-23 2015-06-10 태광엔지니어링(주) 노면홈 간격 조절이 가능한 노면홈 절삭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노면홈 시공방법
KR101560189B1 (ko) * 2015-02-12 2015-10-14 (주)상봉이엔씨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858B1 (ko) 2004-11-05 2006-10-26 주식회사 시그마하이텍 콘크리트 포장 도로용 커팅기
KR101119076B1 (ko) 2009-07-03 2012-03-15 나항도 줄눈 형성용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줄눈 시공방법
KR101527808B1 (ko) * 2014-09-23 2015-06-10 태광엔지니어링(주) 노면홈 간격 조절이 가능한 노면홈 절삭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노면홈 시공방법
KR101560189B1 (ko) * 2015-02-12 2015-10-14 (주)상봉이엔씨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2309271B1 (ko)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US7066555B2 (en) Reinforced concrete milling/cutting mandrel
KR102229910B1 (ko)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균열부위 보수용 보수장치 및 그 보수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균열부위 보수방법
KR102211130B1 (ko)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교체를 위한 후타부 콘크리트 제거장치 및 방법
US3791696A (en) Expansion join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JP6177468B1 (ja) 供用中のトンネルのインバートの設置または打替え工法
CN208455441U (zh) 一种公路桥梁裂缝检修装置
JP2007177436A (ja) 継手の補修方法
CN210561619U (zh) 水稳基层横向施工缝接头固定模板
JP5517057B2 (ja) 側溝改修部材及び側溝改修部材を使用した側溝の修繕工法
CN201176558Y (zh) 井口维修用粉碎切割机
JP2017008619A (ja) 高速道路の山岳トンネルの盤ぶくれした走行路線の修復工法および修復工法用の吊り桟橋
KR100699022B1 (ko) 장지간 거더를 이용한 철도교 개량공법
US7021858B2 (en) Double joints pavement system
US11015307B1 (en) Road penetration and excavation system
CN110804916A (zh) 一种通车状态下新建道路下穿既有道路的施工方法
CN208701522U (zh) 一种增强桥梁横向联系结构
EP3101176A2 (d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strassenaufbaus und strassenbaugerät
JP2017082510A (ja) 円形水路の撤去工法
JPH0788645B2 (ja) 道路継目部の舗装方法
KR20030096204A (ko) 교량 교좌장치의 보수공법
WO2018055468A1 (en) Method for strengthening concrete road pavements
KR20180105283A (ko) 기존 교량 무조인트화 시공방법
CN216076423U (zh) 一种施工现场用简易人行马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