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737B1 -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737B1
KR102308737B1 KR1020210060482A KR20210060482A KR102308737B1 KR 102308737 B1 KR102308737 B1 KR 102308737B1 KR 1020210060482 A KR1020210060482 A KR 1020210060482A KR 20210060482 A KR20210060482 A KR 20210060482A KR 102308737 B1 KR102308737 B1 KR 10230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material separator
dry film
upper plate
intaglio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귀경
Original Assignee
장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귀경 filed Critical 장귀경
Priority to KR102021006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분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의 음각홈을 에칭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음각홈에 의해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를 높여줌으로써, 엘리베이터에 진입하거나 진출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음각홈의 내측에 도료층을 형성하여 문양부의 내구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실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있어서, 상면에 설치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설치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materials separato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분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의 음각홈을 에칭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음각홈에 의해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를 높여줌으로써, 엘리베이터에 진입하거나 진출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음각홈의 내측에 도료층을 형성하여 문양부의 내구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고층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하단에 도어슈(SHOE)가 결합되고, 도어의 하부에는 도어슈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도어 실(SILL)이 설치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도어슈가 도어 실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엘리베이터에 결합된 도어 실은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는 홀(Hall)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는데, 보통 도어 실과 홀의 바닥 사이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탑승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재료 분리대가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재료 분리대의 일 예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736113호가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고층빌딩이나 아파트의 각 층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 프레임 일측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돌출된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10)의 타측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0)의 타측 수평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된 상면(20)과, 상기 상면(20)의 타측에 요홈(100)으로 형성되며, 그 단면상 넓이는 적어도 20mm이상 30mm이하로 넓게 형성된 방파판 삽입홈(30)과, 상기 상면(30)과 대향하는 하면에 형성된 몰탈 지지부(40)를 갖추고, 상기 방파판 삽입홈(30)의 타측은 각 층 홀 바닥의 대리석 마감부위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재료분리대(1)에 있어서, 상기 재료분리대(1)는 상기 상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 길이방향 대칭형으로 결속홈이 형성된 요홈(100)과; 상기 요홈(10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요홈(100)의 너비와 길이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 양측으로 상기 결속홈(110)에 끼워지도록 결속돌기(210)가 형성되고, 외부로 배치되는 일측에는 문양부(50)가 형성된 상판(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736113호에 기재된 기술은 보통 도어 실과 홀의 바닥 사이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은 있는데, 재료분리대(1)의 상면(30)에 형성되는 요홈(100)에 삽입된 상판(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문양부(50)는 사용자의 발에 밟히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결속홈(110)과 결속돌기(210)에 의해 상판(200)을 요홈(100)에서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판(200)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양부(50)를 음각으로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상판(20)의 대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가 낮기 때문에 출입시 사용자가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6113호(2007.06.29.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실과 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재료분리대의 상면에 상판을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상판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가 음각홈으로 이루어져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를 높여줌으로써, 엘리베이터에 진입하거나 진출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판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를 에칭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하되, 에칭액으로 사용되는 FeCl3에 물(H20)과 염산(HCl)을 혼합하여 비중을 조절함으로써,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음각홈의 깊이를 0.7mm로 형성하도록 하여 미끄럼 저항지수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음각홈의 내측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료층이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문양부의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실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는 음각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각홈은 에칭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칭 방법은, 상기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원자재의 표면에 DRY FILM을 코팅하는 라미네이팅 단계와, 상기 DRY FILM에 MASK를 밀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감광시키는 노광 단계와, 감광된 상기 DRY FILM을 현상 및 BAKING 하는 현상 단계와, 상기 현상 단계를 거친 상기 원자재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음각홈을 형성하는 에칭 단계와, 상기 원재재를 가성소다 용액에 침적시켜 상기 DRY FILM을 제거하는 박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칭액은 FeCl3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칭 단계에서 형성되는 음각홈의 깊이가 0.7mm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라미네이팅 단계는 100 ~ 120℃에서 상기 DRY FILM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박리 단계에서는 물 94 ~ 96 중량부에 가성소다(NaOH) 4 ~ 6 중량부를 혼합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를 형성하는 음각홈의 간격은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가 73 ~ 78을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실과 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재료분리대의 상면에 상판을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상판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가 음각홈으로 이루어져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를 높여줌으로써, 엘리베이터에 진입하거나 진출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판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를 에칭 방법으로 형성하되,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하되, 에칭액으로 사용되는 FeCl3에 물(H20)과 염산(HCl)을 혼합하여 비중을 조절함으로써,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음각홈의 깊이를 0.7mm로 형성하도록 하여 미끄럼 저항지수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음각홈의 내측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료층이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문양부의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따른 엘리베이터용 분리대를 엘리베이터 도어 실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의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실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도어 실(미도시)에 설치되는 몸체(300)와 상기 몸체(300)의 상면(320)에 형성되는 설치홈(330)과 상기 설치홈(3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4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300)의 일측 단부에는 결합부(310)가 형성되어 도어 실(미도시)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300)의 상면(320)은 단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320)의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홀을 형성할 때,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파판(미도시)의 하부가 삽입되는 방파판 설치홈(3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400)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410)와 문양부(420)가 형성되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부(410)는 사용자의 발이 접촉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문양부(420)는 층수 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부(410)와 문양부(420)는 음각홈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부(410)는 상판(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문양부(420)는 층수, 특정문자 또는 특정 문양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문양부(420) 또는 미끄럼방지부(410)를 형성하는 음각홈의 내측에는 도료층(440)이 형성되어 문양부(420)의 시인성을 좋게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부(410)와 문양부(420)를 형성하는 상기 음각홈은 에칭 방법으로 형성됨으로써, 금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기존의 공법보다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각홈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 방법은 상기 상판(400)을 형성하기 위한 원자재의 표면에 DRY FILM을 코팅하는 라미네이팅 단계(S200)와, 상기 DRY FILM에 MASK를 밀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감광시키는 노광 단계(S300)와, 감광된 상기 DRY FILM을 현상 및 BAKING 하는 현상 단계(S400)와, 상기 현상 단계(S400)를 거친 상기 원자재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음각홈을 형성하는 에칭 단계(S500)와, 상기 원재재를 가성소다 용액에 침적시켜 상기 DRY FILM을 제거하는 박리 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팅 단계(S200) 이전에는 상판(400)을 형서하기 위한 원자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탈지 단계(S100)가 더 수행되어 라미테이팅 단계(S200)에서 보다 견고하게 DRY FILM을 코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박리 단계(S600) 이후에는 제조된 상판(300)이 설계된 데로 제작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검사 단계(S700)가 수행되는데, 검사 단계(S700)에서는 전수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지만, 각 로트(Lot)별로 샘플링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미네이팅 단계(S200)는 100 ~ 120℃에서 상기 DRY FILM을 코팅하게 되는데, 100℃ 보다 낮은 온도에서 코팅할 경우 DRY FILM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못하고, 120℃ 보다 높은 온도에서 코팅할 경우 DRY FILM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에칭 단계(S500)에서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광 단계(S300)는 DRY FILM의 표면에 MASK를 밀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스킹되지 않은 부분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도록 하며, 상기 현상 단계(S400)는 상기 노광 단계(S300)에서 경화되지 않은 DRY FILM의 부분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칭 단계(S500)에서는 상기 현상 단계(S400)를 거친 원재료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DRY FILM의 제거된 부분을 통하여 원재료의 표면을 식각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칭 단계(S500)에서 사용하는 에칭액은 FeCl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에칭액에 물(H20)과 염산(HCl)을 혼합하여 FeCl3 비중을 조절하게 된다.
즉, FeCl3은 물과 반응하면 하기의 [화학식 1]과 같이 수산화철과 염산으로 분해되는데, 이러한 반응은 PH가 4 이하로 떨어지면 역반응이 일어나게 되므로 물(H20)과 염산(HCl)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FeCl3 비중을 조절하게 된다.
[화학식 1]
FeCl3 + 3H2O <=> Fe(OH)3 + 3HCl
그리고, 에칭액인 FeCl3 비중이 커질수록 원재료의 표면을 더 깊이 빠르게 식각하게 되는데, 물(H20)과 염산(HCl)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식각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음각홈의 깊이가 0.7mm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음각홈의 깊이가 0.7mm보다 얕게 형성되면 내부에 형성되는 도료층(422)이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손상되게 되며, 0.7mm보다 깊게 형성할 경우 상판(400)의 강도가 약해지고, 가공시간이 길어지며, 비용이 대폭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 음각홈의 깊이를 0.7mm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판(400)의 내구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내부에 형성되는 도료층(440)이 음각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발바닥 등과 접하지 않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도료층(4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400)의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는 상기 음각홈의 깊이와 음각홈의 간격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음각홈의 깊이는 0.7mm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상판(400)의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가 73 ~ 78을 유지하도록 상기 음각홈의 간격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는 KS F 2375:2016 시험방법을 통하여 시험한 것이다.
그래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진입하거나 진출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박리 단계(S600)에서는 가성소다(NaOH) 용액을 사용하여 원재료의 표면에 부착된 DRY FILM을 제거하게 되는데, 가성소다(NaOH) 용액은 물 94 ~ 96 중량부에 가성소다(NaOH) 4 ~ 6 중량부를 혼합한 수용액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성소다를 4 중량부보다 적게 혼합할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DRY FILM을 제거할 수 없으며 6 중량부보다 많이 사용할 경우 세척시 가성소다를 깨끗하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 박리 단계(S600)에서는 가성소다를 4 ~ 6 중량부를 혼합한 수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최소한의 가성소다를 사용하여 DRY FILM을 깨끗하게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에칭 방법을 통하여 형성된 상판(400)은 상기 몸체(300)의 상면(320)에 형성된 설치홈(330)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단순히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500)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400)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관통공(43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330)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430)에 대응되도록 설치공(33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500)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430)의 가장자리는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고정볼트(500)의 헤드가 삽입되어 관통공(43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분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의 음각홈을 에칭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음각홈에 의해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를 높여줌으로써, 엘리베이터에 진입하거나 진출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음각홈의 내측에 도료층을 형성하여 문양부의 내구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300 : 몸체 310 : 결합부
320 : 상면 330 : 설치홈
400 : 상판 410 : 미끄럼방지부
420 : 문양부 430 : 관통공
440 : 도료층 500 : 고정볼트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도어실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가 형성되되,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는 음각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각홈의 내측에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사용자가 재료분리대를 밟을 때 발바닥과 접하지 않도록 도료층이 형성되고,
    상기 음각홈은 에칭 방법으로 형성되되, 상기 에칭 방법은, 상기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원자재의 표면에 DRY FILM을 코팅하는 라미네이팅 단계와, 상기 DRY FILM에 MASK를 밀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감광시키는 노광 단계와, 감광된 상기 DRY FILM을 현상 및 BAKING 하는 현상 단계와, 상기 현상 단계를 거친 상기 원자재의 표면에 에칭액을 분사하여 음각홈을 형성하는 에칭 단계와, 상기 원자재를 가성소다 용액에 침적시켜 상기 DRY FILM을 제거하는 박리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칭액은 FeCl3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칭액에 물(H20)과 염산(HCl)을 혼합하여 FeCl3 비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에칭 단계에서 형성되는 음각홈이 식각되는 깊이가 0.7mm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 단계는 100 ~ 120℃에서 상기 DRY FILM을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단계에서는 물 94 ~ 96 중량부에 가성소다(NaOH) 4 ~ 6 중량부를 혼합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문양부를 형성하는 음각홈의 간격은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가 73 ~ 78을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KR1020210060482A 2021-05-11 2021-05-11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KR10230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482A KR102308737B1 (ko) 2021-05-11 2021-05-11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482A KR102308737B1 (ko) 2021-05-11 2021-05-11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737B1 true KR102308737B1 (ko) 2021-10-05

Family

ID=7807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482A KR102308737B1 (ko) 2021-05-11 2021-05-11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7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599A (ja) * 2005-12-08 2007-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床板
KR100736113B1 (ko) 2005-10-04 2007-07-06 장귀경 엘리베이터 홀 재료분리대의 착탈식 상판구조
KR101289806B1 (ko) * 2012-07-06 2013-07-26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티 메탈 스티커 제조방법
KR200482094Y1 (ko) * 2015-07-22 2016-12-14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절곡타입의 엘리베이터 홀 재료분리대
KR20180102192A (ko) * 2016-02-29 2018-09-14 아그파-게바에르트 엔.브이. 에칭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13B1 (ko) 2005-10-04 2007-07-06 장귀경 엘리베이터 홀 재료분리대의 착탈식 상판구조
JP2007153599A (ja) * 2005-12-08 2007-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床板
KR101289806B1 (ko) * 2012-07-06 2013-07-26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티 메탈 스티커 제조방법
KR200482094Y1 (ko) * 2015-07-22 2016-12-14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절곡타입의 엘리베이터 홀 재료분리대
KR20180102192A (ko) * 2016-02-29 2018-09-14 아그파-게바에르트 엔.브이. 에칭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0344B2 (en) Metal photoetching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8377390B1 (en) Anisotropic wetting behavior on one-dimensional patterned surfaces for applications to microfluidic devices
KR102308737B1 (ko) 엘리베이터용 재료분리대
KR101438384B1 (ko) 규소 함유 미세 패턴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CA1306660C (en) Stabilized choline base solutions
WO2003087935A2 (de) Nanoimprint-resist
DE60126736T2 (de) Strahlungsempfindliche polysilazan-zusammensetzung, daraus erzeugte muster sowie ein verfahren zur veraschung eines entsprechenden beschichtungsfilms
KR100848333B1 (ko) 금형가공된 난슬립평판의 제조방법
DE60114091D1 (de) Herstellungsverfahren zu einer lithographischen Druckplatte
CN1299166C (zh) 使用双波长形成自动对准图案的方法
KR20100041044A (ko) 계단용 논슬립
US7223527B2 (en) Immersion lithography process, and structure used for the same and patterning process
KR101716676B1 (ko)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446084A (zh) 一种光刻方法
EP0186798A2 (en) Top imaged plasma developable resists
KR100598378B1 (ko)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이에 의해 제작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제품
KR920010129B1 (ko) 콘택홀의 패턴형성방법
CN101452206B (zh) 形成掩模图案的方法
KR20200013516A (ko)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0417B1 (ko) 라이프라인이 형성된 대리석 제조방법
KR200299572Y1 (ko) 미끄럼 방지용 바닥타일
KR102383150B1 (ko)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KR101859126B1 (ko) Uv 조사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방법
US6350559B1 (en) Method for creating thinner resist coating that also has fewer pinholes
KR100215875B1 (ko) 포토레지스트 패터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