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150B1 -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150B1
KR102383150B1 KR1020210083175A KR20210083175A KR102383150B1 KR 102383150 B1 KR102383150 B1 KR 102383150B1 KR 1020210083175 A KR1020210083175 A KR 1020210083175A KR 20210083175 A KR20210083175 A KR 20210083175A KR 102383150 B1 KR102383150 B1 KR 10238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tiles
edge
bathroom floo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록
Original Assignee
박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록 filed Critical 박영록
Priority to KR102021008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4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142Dividing strips or boundary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견고하면서도 쉽게 인테리어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욕실 바닥에 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테두리 부재와 타일을 배치하는 단계 및 표면 필름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홈-돌기 끼움 결합을 통해 테두리부터 중앙부로 타일을 배치함으로써 고도의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타일들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고 또한 표면 필름 등에 디자인을 부여함으로써 우수한 심미감을 가질 수 있는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METHOD OF CONSTRUCTING INTERIOR BATHROOM FLOOR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AESTHETICS}
본 발명은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고하면서도 쉽게 인테리어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등과 같은 주택에 대한 리모델링용 인테리어 시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테리어 시공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은 욕실 바닥에 대한 인테리어 시공이다.
오래된 욕실 바닥은 군데군데 손상되거나 마모되거나 곰팡이로 오염된 부분들이 존재하여, 표면의 미관이 좋지 못하다. 또한, 욕실 바닥을 형성하는 정사각형 모양의 세라믹 타일은 충격에 취약하다.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일반적으로 시멘트, 모래 및 물을 이용하여 평평한 모르타르를 형성하고, 그 위에 타일을 부착한 후, 타일 사이에 실리콘 줄눈을 형성하는 순으로 이루어진다.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은 시공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자의 능력에 의해 시공 품질이 크게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욕실 바닥을 형성하는 정사각형 모양의 세라믹 타일은 충격에 취약하므로, 욕실 바닥 시공시 타일이 종종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바닥 깔개를 이용한 타일 부착 시공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타일 부착 시공 방법에 의하면,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바닥 형틀(깔개)를 만든 후, 상기 형틀 위에 타일을 부착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폐타이어의 고무 성분에 기인하여 바닥 깔개의 쿠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며, 방음에 유리하고 물흡수력이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습도가 높은 욕실 환경의 특성상 고무 재질의 바닥 형틀에 곰팡이가 생길 가능성이 높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고무 재질의 바닥 형틀이 조금씩 삭을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3993호 (2004.10.06.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견고하면서도 쉽게 인테리어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욕실 바닥에 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지층의 제1 테두리, 상기 제1 테두리와 교차하는 제2 테두리, 상기 제2 테두리와 교차하며 상기 제1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3 테두리, 그리고 상기 제3 테두리와 교차하며 상기 제2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4 테두리에 테두리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제1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측에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제1 타일을 상기 하지층의 제1 테두리 및 제3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지층 상에 배치하되, 상기 제2 측면측의 상기 단차부가 상기 테두리 부재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테두리 부재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는 단계; 제1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타일을 상기 하지층의 중앙측으로 채워나가도록 상기 하지층 상에 배치하되, 상기 제2 타일의 제2 측면의 돌기가 상기 제1 타일의 제1 측면의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타일의 제2 측면의 돌기가 상기 제2 타일의 제1 측면의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중앙측 마지막 2개의 열에 대하여, 제1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3 타일을 상기 하지층 상에 배치하되, 상기 제3 타일의 제1 측면의 돌기가 상기 제2 타일의 제1 측면의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복수의 제1 타일, 복수의 제2 타일 및 복수의 제3 타일의 표면 상에 표면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 부재 형성 후, 상기 하기층 상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을 도포한 후, 복수의 제1 타일, 복수의 제2 타일 및 복수의 제3 타일을 배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테두리 부재, 복수의 제1 타일, 복수의 제2 타일 및 복수의 제3 타일을 배치한 후, 타일들 사이의 틈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을 충진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및 제3 테두리에 배치되는 테두리 부재는 E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 테두리 및 제4 테두리에 배치되는 테두리 부재는 ㄷ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1 타일은 상부면 및 하부면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가 상기 테두리 부재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타일은 금속 재질의 타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일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타일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타일은 표면에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표면 필름은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하부의 점착제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부의 모스아이 구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스아이 구조층은 임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필름의 베이스층에는 안료 입자가 포함되어, 상기 표면 필름이 유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면 필름의 베이스층과 모스아이 구조층 사이에는 유색 디자인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지층을 셀룰로오스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로 형성하되,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 상부면 및 하부면에 폴리염화비닐 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전술한 욕실 바닥에 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테두리 부재와 타일을 배치하는 단계 및 표면 필름 부착 단계를 통해, 고도의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인테리어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테두리 부재와 타일 간의 홈-돌기 끼움 결합, 그리고 타일과 타일 간의 홈-돌기 끼움 결합을 통해 욕실의 테두리부터 중앙부로 견고하게 타일을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타일들의 표면에 또는 표면 필름에 디자인층을 형성할 수 있어, 우수한 심미감을 갖는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금속 타일을 배치함으로써 시공시 혹은 욕실 사용시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타일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타일의 바닥 및/또는 측면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이 배치될 수 있어, 항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악취 발생을 방지하거나 발생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임프린트 방법에 의해 모스아이 구조층을 포함하는 표면 필름을 타일 상에 부착함으로써, 발수 효과과 더불어, 반사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하지층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테두리 부재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1 타일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1 타일이 테두리 부재에 결합된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2 타일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제2 타일이 다른 제2 타일에 결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3 타일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3 타일이 제2 타일에 결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표면 필름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표면 필름이 배치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 또는 "상"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 "하부", "위", "상부"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테리어 욕실 바닥은 하지층(101), 테두리 부재(110), 제1 타일(120), 제2 타일(130), 제3 타일(140) 및 표면 필름(150)을 포함한다.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배수구(102)만 도시되어 있을 뿐, 변기나 세면대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들에 배치된다면 해당 부분에는 테두리 부재(110)나 타일(120, 130, 140)이 생략 또는 제거될 수 있다.
하지층(101)은 욕실 바닥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층이다. 하지층(101)의 표면은 평평하며, 바람직하게는 욕실 바닥의 물이 배수구(102) 쪽으로 자연적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배수구(102)를 향할수록 약간씩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테두리 부재(110)는 욕실 바닥의 테두리를 구성하며, 하지층(101) 상에 배치된다. 테두리 부재(110)와 욕실벽 사이의 틈으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 부재(110)와 욕실벽 사이의 틈에는 실리콘 등으로 실링 처리될 수 있다.
제1 타일(120), 제2 타일(130) 및 제3 타일(140)은 하지층(101) 상에 그리고 테두리 부재(110) 내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타일(120)이 테두리 부재(110)에 끼움 결합되고, 제2 타일(130)이 제1 타일(120)에, 그리고 제2 타일(130)에 끼움 결합되고, 제3 타일(140)이 제2 타일(130)에 끼움 결합된다. 테두리측부터 제1 타일이 배치되며, 최종 중앙측 2열에는 제3 타일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타일(120), 제2 타일(130) 및 제3 타일(140)은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타일(120), 제2 타일(130) 및 제3 타일(140)에 구비된 홈이나 돌기는 상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1 타일(120), 제2 타일(130) 및 제3 타일(140)이 단순히 퍼즐 조각과 같이 서로 끼워져있는 것에 비해 보다 높은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평면에서 볼 때 타일의 테두리가 덜 복잡하게 보일 수 있어, 타일 상부에 디자인층이 형성되었을 때 타일의 복잡한 테두리가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것에 의한 디자인층의 심미감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타일(120), 제2 타일(130) 및 제3 타일(140)의 개수와 크기는 욕실 바닥의 면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동종의 제2 타일(130)이라고 하더라도 사이즈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타일(120), 제2 타일(130) 및 제3 타일(140)은 금속 재질의 타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타일(120), 제2 타일(130) 및 제3 타일(14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타일일 수 있으며, 내식성, 강도 등을 고려할 때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 타일(120), 제2 타일(130) 및 제3 타일(140)은 표면에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타일 표면에 Ag, Cu, Zn 등의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항균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타일 표면에서의 곰팡이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타일 표면에 금속 나노 입자를 코팅하는 방법은 타일 표면에 실버 아세테이트, 구리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금속 전구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표면 필름(150)은 타일 배치 방향으로 테두리 부재(110)와 제1 타일(120) 간, 제1 타일(120)과 제2 타일(130) 간, 제2 타일(130)과 제2 타일(130)간, 제2 타일(130)과 제3 타일(140) 간 결합을 상부에서 추가적으로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타일 배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타일(120)과 제1 타일(120) 간, 제2 타일(130)과 제2 타일(130) 간, 그리고 제3 타일(140)과 제3 타일(140) 간에도 상부에서 결합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면 필름(150)은 욕실 바닥의 물이 타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면 필름에 디자인층이 형성될 경우, 표면 필름은 심미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하지층 형성 단계, 테두리 부재 부착 단계, 제1 타일 배치 단계, 제2 타일 배치 단계, 제3 타일 배치 단계 및 표면 필름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하지층 형성 단계에서는 욕실 바닥에 하지층(도 2의 101)을 형성한다. 하지층(101)의 표면은 평평하며, 바람직하게는 욕실 바닥의 물이 배수구(102) 쪽으로 자연적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배수구(102)를 향할수록 약간씩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도 3은 하지층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하지층(101)은 셀룰로오스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310)로 형성될 수 있는데, 셀룰로오스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310)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층(320, 330)이 형성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를 통해 높은 강도와 함께 화염 전파가 억제될 수 있고, 폴리염화비닐 필름층을 통하여 하지층(101)으로 침투된 물에 대한 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테두리 부재 부착 단계에서는 하지층의 각각의 테두리에 테두리 부재를 부착한다.
4각형 구조의 욕실 바닥으로 가정하면, 하지층에는 4개의 테두리, 즉 제1 테두리(도 1의 상부의 횡방향 테두리), 제1 테두리와 교차하는 제2 테두리(도 1의 왼쪽 종방향 테두리), 제2 테두리와 교차하며 상기 제1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3 테두리(도 1의 하부의 횡방향 테두리), 그리고, 제3 테두리와 교차하며 제2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4 테두리(도 1의 오른쪽 종방향 테두리)가 있다. 테두리 부재(110)는 이들 하지층의 제1 내지 제4 테두리에 부착된다. 각 테두리마다 테두리 부재(11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테두리 부재(110)와 욕실벽 사이의 틈으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 부재(110)와 욕실벽 사이의 틈에는 실리콘 등으로 실링 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테두리 부재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테두리 부재(110)는 "ㄷ"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테두리 부재(110)는 "E"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타일과의 결합 강도 측면에서, 테두리 부재(110)는 "E"자형 단면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공 측면에서는 단순 끼움이 가능하도록 "ㄷ"자형 단면을 갖는 테두리 부재(110)가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테두리 및 제3 테두리에 배치되는 테두리 부재는 타일들의 순차적인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점에서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E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 테두리 및 제4 테두리에 배치되는 테두리 부재는 타일들의 쉬운 끼움을 위해 ㄷ자형 단면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타일 배치 단계에서는 복수의 제1 타일을 상기 하지층의 제1 테두리 및 제3 테두리를 채우도록 상기 하지층 상에 배치한다. 이때, 제1 테두리 및 제3 테두리에 배치된 테두리 부재들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1 타일들을 제1 테두리 및 제3 테두리를 따라 배치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이 8개의 열에 타일들이 배치된다고 하면, 제1 타일 배치 단계에서 복수의 제1 타일(120)이 테두리 부재(110)들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제1 테두리측 및 제3 테두리측 첫번째 열을 형성한다. 이후에는 복수의 제2 타일(130)을 앞선 제1 타일(120)에 끼움 결합되도록 배치하여 2번째 열들을 형성한다. 이후에는 복수의 제2 타일(130)을 앞선 제2 타일(130)에 끼움 결합되도록 배치하여 3번째 열을 형성한다(열의 수가 더 많아진다면 본 과정이 추가로 수행된다). 이후, 복수의 제3 타일(140)을 앞선 제2 타일(130)에 배치하여 중앙측 마지막 2개 열을 형성한다.
도 5는 제1 타일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1 타일이 테두리 부재에 결합된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타일(120)은 제1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121) 측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테두리 부재(110)에 삽입될 수 있으면서 또한 테두리 부재(110)와 복수의 타일(120, 130, 14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단차부(12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타일(120)에서 단차부가 형성된 부분이 테두리 부재(110)에 삽입되어, 제1 타일(120)이 제1 테두리의 테두리 부재에 끼움 결합되고, 또한 제3 테두리의 테두리 부재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도 1을 기준으로 가장 왼쪽에 있는 제1 타일은 제1 테두리의 테두리 부재 뿐만 아니라 제2 테두리의 테두리 부재에도 끼움 결합되고, 가장 오른쪽에 있는 제1 타일은 제3 테두리의 테두리 부재 뿐만 아니라 제4 테두리의 테두리 부재에도 끼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제1 타일(120)에 단차부(125)를 형성함으로써 테두리 부재(110)에 제1 타일(120)을 끼움 결합할 수 있으며, 특히 테두리 부재(110)와 제1 타일(120)의 높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후속하는 표면 필름 부착 단계에서 표면 필름(150)이 미접착에 의해 들뜨는 가능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으며, 그 결과 테두리 부재(110)와 제1 타일(120) 간에, 그리고 타일과 타일들 간에 물이 침투함으로써 발생하는 곰팡이 및 악취를 최대한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타일 배치 단계에서는 복수의 제2 타일을 제1 타일에 끼움 결합하고, 이어서 제2 타일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지층에 배치한다.
도 7은 제2 타일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제2 타일이 다른 제2 타일에 결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2 타일(130)은 제1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홈(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는 돌기(13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타일(130)은 하지층의 중앙측으로 채워나가도록 하지층 상에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제2 타일(130)은 제2 측면의 돌기(131)가 제1 타일의 제1 측면의 홈(122)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 후,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2 타일의 제2 측면의 돌기(131)가 제2 타일의 제1 측면의 홈(132)에 끼움 결합된다.
다음으로, 제3 타일 배치 단계에서는 중앙측 마지막 2개의 열에 대하여, 제3 타일을 부착한다.
도 9는 제3 타일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3 타일이 제2 타일에 결합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3 타일(140)은 제1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돌기(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3 타일 배치 단계는 테두리측으로부터 시작된 타일 배치가 마무리되는 단계이고, 제3 타일의 제2 측면은 인접한 제3 타일과 결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3 타일(140)은 불필요한 강도 편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타일(130)과 다르게, 제2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3 타일(140)을 하지층 상에 배치하되, 제3 타일(140)의 제1 측면의 돌기(141)가 제2 타일(130)의 제1 측면의 홈(132)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테두리 부재 형성 후, 상기 하기층 상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을 도포한 후, 복수의 제1 타일, 복수의 제2 타일 및 복수의 제3 타일을 배치할 수 있다.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은 500㎛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500㎛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탄 분말과 규조토 분말은 중량비로 30:70 ~ 70:30의 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에 의해 악취가 제거될 수 있도록, 표면 필름(150)을 관통하는 약 10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300㎛ 직경을 갖는 복수의 마이크로 홀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면 필름(150)을 관통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홀은 기체는 통과할 수 있으나 물방울은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악취를 형성하는 기체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에 노출되도록 한다.
활성탄 분말은 다공성 구조에 기인하여 악취물질이나 수분의 흡착제거에 뛰어난 성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규조토는 암모니아 등의 물질을 분해하고 액체 흡수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지층 상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을 미리 도포한 후에 복수의 타일들을 배치하기 때문에, 복수의 타일들에 유입된 악취물질이나 수분에 기인한 악취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욕실 바닥의 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제1 타일, 제2 타일 및 제3 타일이 하지층에 접착되지 않고 테두리 부재에 또는 다른 타일에 끼움 결합되어 타일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일의 접착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복수의 테두리 부재(110), 복수의 제1 타일(120), 복수의 제2 타일(130) 및 복수의 제3 타일(140)을 배치한 후, 타일들 사이의 틈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을 충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끼움 결합의 특성 상, 타일들 사이의 틈이 존재하고, 이 타일들 간의 틈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을 충진함으로써 전술한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 배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표면 필름 부착 단계에서는 복수의 테두리 부재, 복수의 제1 타일, 복수의 제2 타일 및 복수의 제3 타일의 표면 상에 표면 필름(150)을 부착한다.
표면 필름(150)은 타일 배치 방향으로 테두리 부재(110)와 제1 타일(120) 간, 제1 타일(120)과 제2 타일(130) 간, 제2 타일(130)과 제2 타일(130)간, 제2 타일(130)과 제3 타일(140) 간 결합을 상부에서 추가적으로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타일 배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타일들 간에 결합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표면 필름(150)은 욕실 바닥의 물이 타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면 필름에 디자인층이 형성될 경우, 표면 필름은 심미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경우, 하지층 상에 복수의 타일을 배치하고, 복수의 타일 상에 표면 필름(150)을 배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후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복수의 타일을 철거할 필요없이 표면 필름(150)의 교체만으로도 욕실 바닥에 대한 인테리어 재시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표면 필름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면 필름은 베이스층(1110), 점착제층(1120) 및 모스아이 구조층(11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0)은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 각종 고분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잠착제층(1120)은 베이스층(1110) 하부에 배치된다. 베이스층(1110) 상부에는 모스아이 구조층(1130)이 배치된다. 모스아이 구조층(1130)의 표면에는 모스아이 패턴(1135)이 형성되어 있다. 모스아이 패턴(1135)은 패턴 크기가 약 100∼500㎚이고, 패턴 높이가 약 100㎚∼1㎛일 수 있다. 상기 모스아이 구조층(1130)의 모스아이 패턴(1135)은 용융 상태의 고분자를 임프린트하여 패턴을 전사하는 임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의 모스아이 패턴(1135)은 예시일 뿐이며, 모스아이 패턴은 라운드형의 끝부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스아이 구조층(1130)을 통하여, 별도의 미끄럼 방지 필름을 부착하지 않고도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스아이 구조층(1130)을 통하여 발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 반사를 저감하여 욕실 바닥의 디자인이 그대로 사용자의 눈에 시인될 수 있다.
또한, 표면 필름의 베이스층(1110)에는 안료 입자가 포함되어, 상기 표면 필름이 유색을 나타낼 수 있다. 물론, 베이스층(1110)은 투명하게 형성되어, 하부의 타일의 색이 바탕색이 될 수 있다.
한편, 표면 필름의 베이스층(1110)과 모스아이 구조층(1130) 사이에는 유색 디자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유색 디자인층은 실크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색 디자인층이 표면 필름의 표면으로 노출되지는 않으며, 이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심미감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타일을 그대로 배치한 상태에서 표면 필름만 제거한 후 새로운 디자인층을 포함하는 표면 필름을 다시 부착하면, 인테리어 재시공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표면 필름(150)은 1매로 욕실 전체를 커버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2에 도시된 예와 같이 몇몇의 타일들을 커버하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욕실 바닥의 물이 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표면 필름(150)들의 끝단은 서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전술한 욕실 바닥에 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테두리 부재와 타일을 배치하는 단계 및 표면 필름 부착 단계를 통해, 고도의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인테리어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테두리 부재와 타일 간의 홈-돌기 끼움 결합, 그리고 타일과 타일 간의 홈-돌기 끼움 결합을 통해 욕실의 테두리부터 중앙부로 견고하게 타일을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은, 타일들의 표면에 또는 표면 필름에 디자인층을 형성할 수 있어, 우수한 심미감을 갖는 욕실 바닥을 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하지층
102 : 배수구
110 : 테두리 부재
120 : 제1 타일
125 : 단차부
130 : 제2 타일
140 : 제3 타일
150 : 표면 필름

Claims (10)

  1. 욕실 바닥에 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지층의 제1 테두리, 상기 제1 테두리와 교차하는 제2 테두리, 상기 제2 테두리와 교차하며 상기 제1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3 테두리, 그리고 상기 제3 테두리와 교차하며 상기 제2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4 테두리에 복수의 테두리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제1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측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제1 타일을 상기 하지층의 제1 테두리 및 제3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지층 상에 배치하되, 상기 단차부가 상기 테두리 부재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테두리 부재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는 단계;
    제1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타일을 상기 하지층의 중앙측으로 채워나가도록 상기 하지층 상에 배치하되, 상기 제2 타일의 제2 측면의 돌기가 상기 제1 타일의 제1 측면의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타일의 제2 측면의 돌기가 앞서 배치된 제2 타일의 제1 측면의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중앙측 마지막 2개의 열에 대하여, 제1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3 타일을 상기 하지층 상에 배치하되, 상기 제3 타일의 제1 측면의 돌기가 상기 제2 타일의 제1 측면의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복수의 테두리 부재, 복수의 제1 타일, 복수의 제2 타일 및 복수의 제3 타일의 표면 상에 표면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 및 제3 테두리에 배치되는 테두리 부재는 E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 테두리 및 제4 테두리에 배치되는 테두리 부재는 ㄷ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타일은 상부면 및 하부면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가 상기 테두리 부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재 형성 후, 상기 하지층 상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을 도포한 후, 복수의 제1 타일, 복수의 제2 타일 및 복수의 제3 타일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재, 복수의 제1 타일, 복수의 제2 타일 및 복수의 제3 타일을 배치한 후, 타일들 사이의 틈에 활성탄 분말 및 규조토 분말을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일, 제2 타일 및 제3 타일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일, 제2 타일 및 제3 타일은 표면에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필름은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하부의 점착제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부의 모스아이 구조층을 포함하고, 상기 모스아이 구조층은 임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모스아이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필름의 베이스층과 모스아이 구조층 사이에는 유색 디자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층을 셀룰로오스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로 형성하되,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 상부면 및 하부면에 폴리염화비닐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KR1020210083175A 2021-06-25 2021-06-25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KR10238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175A KR102383150B1 (ko) 2021-06-25 2021-06-25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175A KR102383150B1 (ko) 2021-06-25 2021-06-25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150B1 true KR102383150B1 (ko) 2022-04-04

Family

ID=8118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75A KR102383150B1 (ko) 2021-06-25 2021-06-25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15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993A (ko) 2003-03-26 2004-10-0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타일 부착 시공 방법
KR100653380B1 (ko) * 2006-08-21 2006-12-04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복도용 조립식 바닥패널
KR20090005896A (ko) * 2007-07-10 2009-01-14 손호윤 장식용 타일 및 그 조립체
KR20100002876U (ko) * 2008-09-03 2010-03-11 이현배쓰(주) 타일 마감 프레임 및 그 설치 구조
KR101505094B1 (ko) * 2014-12-04 2015-03-25 이서영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의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99210B1 (ko) * 2016-10-17 2017-01-23 (주)오래건설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KR20180044156A (ko) * 2016-10-21 2018-05-02 김정현 건축용 기능성 마감패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993A (ko) 2003-03-26 2004-10-0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타일 부착 시공 방법
KR100653380B1 (ko) * 2006-08-21 2006-12-04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복도용 조립식 바닥패널
KR20090005896A (ko) * 2007-07-10 2009-01-14 손호윤 장식용 타일 및 그 조립체
KR20100002876U (ko) * 2008-09-03 2010-03-11 이현배쓰(주) 타일 마감 프레임 및 그 설치 구조
KR101505094B1 (ko) * 2014-12-04 2015-03-25 이서영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의 차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99210B1 (ko) * 2016-10-17 2017-01-23 (주)오래건설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KR20180044156A (ko) * 2016-10-21 2018-05-02 김정현 건축용 기능성 마감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8609A1 (en) Vision control panel assembly with a contrasting colored liner
KR102383150B1 (ko) 내구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욕실 바닥 시공 방법
CA2607249A1 (en) Halogen and plasticizer free permeable laminate
JP2017110468A (ja) 浴室用構造体
KR20130100405A (ko)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를 갖는 바닥재
JP5628944B2 (ja) 窓装置
JP2006175685A (ja) 光触媒機能を有する成形品
US20160158739A1 (en) Vehicle Photocatalytic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5352105A5 (ko)
CN201761426U (zh) 平面式的车辆发光踏板
US11325359B2 (en) Partially perforated assembly
JP2004075844A (ja) 粘着シート
KR20230137878A (ko) 패널, 특히 바닥, 천장 또는 벽 패널, 이러한 다수의패널에 의해 건설된 덮개, 및 이러한 패널의 재활용 방법
CN211572366U (zh) 一种可凸显立体视觉效果的印刷地板
ES2256806T3 (es) Cartel asi como procedimiento y materiales para su fabricacion.
KR101658143B1 (ko) 인쇄판의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한 박막 패턴의 제조 방법
CN206070926U (zh) 一种竹木材料3d立体画面装饰板
CN213566152U (zh) 一种叶子板内盖板
JP4334882B2 (ja) 粘着シート
JP2014196632A (ja) 建築用内装材、建築用内装材を用いた浴室用洗い場床及び浴室用壁パネル
CN220246008U (zh) 一种新型耐候吸墨喷绘膜
CN211143609U (zh) 一种新型耐腐蚀pvc地板
KR200427272Y1 (ko) 바닥용 스크린
JPS5835812Y2 (ja) 画線入墓碑
JP2005349738A (ja) 光触媒活性機能を有する化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