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292B1 -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292B1
KR102308292B1 KR1020167008287A KR20167008287A KR102308292B1 KR 102308292 B1 KR102308292 B1 KR 102308292B1 KR 1020167008287 A KR1020167008287 A KR 1020167008287A KR 20167008287 A KR20167008287 A KR 20167008287A KR 102308292 B1 KR102308292 B1 KR 102308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formation
user
article
con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547A (ko
Inventor
다츠야 니시오
마사아키 가모
가즈유키 아다치
다케시 스도
노리카즈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와이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와이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66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투고자 단말과, 이용자 단말과, 광고 정보 공유 서버를 구비한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투고자와의 사이에 사용자끼리의 연결을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가지는 이용자에 대해서 공개되고, 상기 이용자가 열람한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정보 및 상기 광고 정보 부대 기사에 부대한 광고를 특정하는 광고 특정 정보를 가지는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있고, 상기 투고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기사 정보에 광고 정보를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기록하는 출고 수단과, 광고 특정 정보를 이용해 상기 열람 이력 정보와의 대조를 행하는 이력 대조 수단과, 상기 이력 대조 수단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이용자 및 상기 열람 이력 정보에 기재된 투고자의 특전 정보에 광고 이용 특전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가지고, 상기 광고 특정 정보는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상기 이용자 단말 또는 점포 단말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져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ADVERTISEMENT INFORMATIN SHARING SYSTEM}
본 발명은 광고가 부대(附帶)된 기사의 투고와 열람, 광고 이용을 행하기 위한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과 관련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에 의해, 지금까지는 신문이나 잡지, 실제 점포의 매장 등, 집객력(集客力)이 있는 매체에 있어서만 행해지고 있던 광고의 표시를 누구든지 자유롭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의 게재 방법으로서 자신의 홈페이지에 다른 사람의 상품에 관한 광고 화상을 게재하고 보수를 얻을 수 있는 아필리에이트 마케팅(affiliate marketing)으로 불리는 광고 형태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아필리에이트 마케팅이란, 광고의 열람자가, 그 홈페이지에 게재된 링크를 경유하여 광고에 기재의 상품을 구입하거나 계약을 행하였을 때에, 홈 페이지의 관리자가 성과 보수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 광고의 게재 방법이다.
그런데, 통상 이러한 광고의 게재를 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홈 페이지나,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에 자신의 홈 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컨텐츠에 집객력이 없으면, 거기에 출고된 광고 정보를 많은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전파시킬 수가 없다.
또, 광고를 게재하려면 광고주와 개별적으로 계약을 행하거나 링크의 게재를 행하는 방법 등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새롭게 광고의 표시를 행하고 싶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그러한 게재의 전제가 되는 작업이 큰 장벽이 되고 있다.
선행 문헌 1에는, 홈 페이지의 관리자가 자신의 홈 페이지에 광고를 게재하는 아필리에이타(affiliator)를 모집하고 아필리에이타에 광고를 게재시키는 광고 관리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9-116629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발명에 의해, 지금까지는 광고의 게재를 행할 수가 없었던 사용자(user)도 용이하게 광고의 게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보다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의 게재가 보다 보급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의 게재 시스템에 있어서, 게재된 광고가 충분히 이용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많은 열람자에게 있어서 인터넷 상에 게재된 광고는 웹페이지를 열람할 때의 장해에 지나지 않고 열람자 자신이 적극적으로 열람을 행하는 대상은 아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인터넷 전체에서의 광고의 게재량을 증대시키고, 거기에 따르는 광고의 이용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광고에의 열람자의 관심을 특별히 높여 링크를 하는 등을 하여 광고를 이용시킬 수 있는 효과까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광고의 부대한 기사의 투고를 누구든지 용이하게 행하고, 기사의 열람자의 관심을 끄는 광고 제시를 행함으로써, 투고자에 의한 광고 기사의 출고(出稿)와 열람자에 의한 광고의 열람·이용을 보다 촉진하는 것 같은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으로서, 투고자로부터 기사를 출력하기 위한 투고자 단말, 사용자 정보 출력을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투고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광고를 기사에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광고 정보 공유 서버,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다음 기능을 수행하는 처리수단(프로세서)으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투고자 단말에서 입력된 광고대상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기사정보에 광고대상과 관련된 광고 정보를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결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고, 상기 광고 부대 기사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 부대 기사를 출력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열람 이력 정보는,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정보와 광고 부대 기사에 부대된 광고를 특정하기 위한 광고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부대 기사가 상기 투고자와 상호 관련 인자를 가지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게재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열람되고, 상기 관련 인자는, 연령, 지리적 영역, 취미 또는 생활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및 투고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처리수단은, 사용자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광고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열람 이력 정보와 대조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대조 프로세스에 의해 인증이 확인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용자의 권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열람 이력 정보에 서술된 투고자의 권한 정보에 미리 설정된 광고 이용 권한을 추가하고, 상기 광고 특정 정보가 상기 광고 부대 기사의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시되는 실시 점포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실시 점포에 설치된 점포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져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수단은, 각 사용자의 광고 이용성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광고 이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기 위한 기사 내의 광고의 표시방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고 이용성은 광고 접속 횟수와 광고 부대 기사의 열람 세션 수를 기반으로 계산하고, 상기 광고 표시 방법은, 이용 권한과 관련된, 표시할 광고의 위치 변경 및 표시할 광고의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단은 원하는 시점에 이용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추가 권한을 전달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 정보에 점포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지도상 원하는 지점에 주변에 위치한 점포에 관한 광고 정보 또는 광고 부대 기사를 선출하고,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 또는 그 열람을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광고대상에 관한 광고 정보를 기사정보에 추가할 때 투고자의 권한 정보에 투고 권한을 추가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단은, 광고 부대 기사를 열람한 독자의 권한 정보에 열람 권한을 추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단은, 사용자가 작성한 광고를 사용자가 게재할 수 있도록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투고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기사정보를 해석하여 기사에 서술된 광고 대상을 나타내는 대상 특정 정보를 취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단은, 입력된 기사 정보가 투고 비추천 주제를 포함할 때, 투고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단은, 대상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된 기사에 광고를 추가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광고 부대 기사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단은, 대상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투고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기사정보에 부대할 광고 정보를 선출하고, 그 결과 정보를 투고자에게 선택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대상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기사 정보와 입력된 기사 정보에 부대된 광고 정보의 사이의 관계에 대한 대조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고 정보 공유 서버로서, 투고자로부터의 기사를 출력하기 위해 투고자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광고 부대 기사를 생성하기 위해 기사에 광고를 추가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실행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처리수단을 포함하고, 명령 실행 시 상기 처리수단은, 다음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처리수단은, 투고자 단말에서 입력된 광고 대상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기사 정보에, 광고 대상과 관련된 광고 정보를 추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결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광고 부대 기사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고, 광고 부대 기사 출력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열람 이력 정보는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정보와, 상기 광고 부대 기사에 추가되는 광고를 특정하기 위한 광고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투고자와 상호 관련 인자를 가지는 사용자의 것이고, 상기 관련 인자는 연령, 지리적 영역, 취미 또는 생활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자 및 투고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처리수단은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를 특정하는 광고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내 사용자의 열람 이력 정보와 대조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대조 프로세스에 의해 인증이 확인될 때, 미리 결정된 양의 광고 이용 권한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용자의 권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열람 이력 정보에 서술된 투고자의 권한 정보에 추가하고, 상기 광고 특정 정보는, 광고 부대 기사의 광고 정보에 근거해 제시된 실시 점포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실시 점포에 설치된 점포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광고 정보 공유방법으로서, 광고 정보 공유 서버가 투고자 단말에서 입력한 광고대상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기사정보에 광고대상과 관련된 광고 정보를 추가하여 결과정보를 광고 부대 기사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에 상기 광고 부대 기사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부대 기사를 출력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열람 이력 정보는 기사 정보의 투고자의 투고자 정보 및 기사에 부대할 광고를 특정하기 위한 광고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투고자와 상호 관련 인자를 가지는 사용자의 것이고, 상기 관련 인자는 연령, 지리적 영역, 취미 또는 생활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와 투고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를 특정하는 광고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에서 사용자의 열람 이력 정보와 대조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대조 프로세스에 의해 인증이 확인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용자의 권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의 열람 이력 정보에 서술된 투고자의 권한 정보에 미리 설정된 광고 이용 권한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특정 정보는 상기 광고 부대 기사의 광고 정보에 근거해 제시한 실시 점포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실시 점포에 설치된 점포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져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고가 부대된 기사의 출력을 행하는 투고자 단말과, 이용자 정보의 출력을 행하는 이용자 단말과, 이들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광고 정보 공유 서버를 구비한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투고자와의 사이에 사용자끼리의 연결을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가지는 이용자에 대해서 공개되고, 상기 이용자가 열람한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정보 및 상기 광고 정보 부대 기사에 부대한 광고를 특정하는 광고 특정 정보를 가지는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있고, 상기 투고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광고 대상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기사 정보에, 상기 광고 대상에 관한 광고 정보를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기록하는 출고 수단과,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입력된 광고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이 이용자의 상기 열람 이력 정보와의 대조를 행하는 이력 대조 수단과, 상기 이력 대조 수단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이용자 및, 상기 열람 이력 정보에 기재된 투고자의 특전 정보에 광고 이용 특전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가지고, 상기 광고 특정 정보는, 대상이 되는 광고 부대 기사의 광고 정보를 기본으로 제시된 실시 점포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상기 이용자 단말 또는 실시 점포에 설치된 점포 단말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져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상기 출고 수단, 상기 이력 대조 수단, 상기 가산 수단은 이들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처리수단(프로세서)으로 구현된다.
투고자가 기사를 게재할 때에, 광고를 부대하여 투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지금까지 필요하였던 광고업자와의 개별의 계약, 홈 페이지의 개설 방법이나 광고의 게재 방법의 학습이라고 하는 번잡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누구나가 용이하게 광고의 게재를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자신과 관련을 가지는 사용자의 투고를 표시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신이 속하는 커뮤니티나, 닮은 상품 기호를 가지는 사용자의 기사를 열람 가능하게 되어, 게재되는 광고 상품도, 자신의 기호에 따른 것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광고의 이용을 보다 재촉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사용자가 열람한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정보와, 그 광고를 특정하는 광고 특정 정보를 가지는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있고, 입력된 대조 이용자 정보 및 광고 특정 정보와, 대조 이용자의 열람 이력 정보를 대조하는 이력 대조 수단과, 상기 이력 대조 수단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대조 이용자 및, 상기 열람 이력 정보에 기재된 투고자의 특전 정보에 광고 이용 특전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람자의 광고 이용에 의해,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및, 그 열람자의 쌍방에 이익이 있는 광고를 게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지금까지 많은 열람자가 흥미를 나타내지 않았던 게재 광고에 대해서, 보다 내용을 주시시키고, 광고의 이용을 재촉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광고 부대 기사의 열람자는, 광고의 이용에 의해 자신에게 특전이 가산되기 때문에, 광고에 기재된 상품의 구입이나 계약이라고 하는 광고의 이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행하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열람자의 광고의 이용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기사의 투고를 행하는 사람도 적극적으로 본 시스템을 활용하여 광고를 게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각 사용자의 광고 이용성을 기록하고, 그 광고 이용성에 기초하여 기사 중에 있어서의 광고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마다 광고에의 관심도나 이용 정도는 다르기 때문에,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의 표시를 행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광고 이용이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에의 관심이 높은 사용자에게는 관련된 광고나, 광고 부대 기사를 추가로 제시하고, 관심이 낮은 사용자에게는 특전 부분을 강조하여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광고의 이용을 보다 재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상기 가산 수단에 의해 가산된 특전을 임의의 타이밍에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하게 주고받는 특전 배포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산된 특전을 임의의 타이밍에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고주는, 보다 전략적으로 광고 및 그 특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정보는 점포의 위치 정보를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지도 상의 임의의 지점에 있어서, 그 주변의 점포에 관한 광고 정보 또는 광고 부대 기사를 선출하고,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 또는 열람의 추천을 행하는 추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나 열람을 재촉함으로써, 점포의 근처까지 발길을 옮긴 사용자에 대해서, 기사의 투고나 열람, 광고 이용을 재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식사를 하고 싶은 사용자에게 근린 점포의 광고 부대 기사를 제시함으로써, 기사의 열람과 광고 이용의 쌍방을 재촉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식사 후에는, 그 점포에 관한 리뷰(review)를 포함하여,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를 행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위치 정보에 더하여 프로필 등의 사용자 정보나, 시간, 시기에 의한 투고·열람 추천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가산 수단은, 상기 출고(出稿) 기능을 이용한 투고자의 특전 정보에 투고 특전을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고의 부대한 기사의 투고를 행함으로써, 그 투고자에게 특전이 가산되게 되어, 보다 광고를 부대한 기사의 투고가 적극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가산 수단은, 상기 광고 부대 기사를 열람한 열람자의 특전 정보에 열람 특전을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고의 부대한 기사의 열람을 행한 열람자에게 특전이 가산되게 되어, 보다 광고의 열람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적극적으로 광고를 열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사용자가 자신의 광고를 작성하고, 출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자신이 광고를 작성하고, 출고 가능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에 의한 상품의 판매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기사 정보를 해석하고, 그 기사에 기재된 광고 대상을 나타내는 대상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기사 정보 해석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사 정보를 해석하고, 광고 대상을 특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등에 의해 기사를 표시할 때에,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기사 정보 해석 수단은, 입력된 기사 정보 내에 개인 정보 등의 투고 비추천물이 포함되는 경우에, 투고자에게로의 경고를 행하는 경고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해석에 의해 기계적으로 경고를 냄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의도하지 않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광고 점포에의 악의가 있는 투고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질 높은 기사의 제공을 사용자에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상기 대상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된 기사에 광고를 자동으로 부대하고, 광고 부대 기사로서 기록하는 자동 부대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기사의 투고시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았던 스폰서 기업의 광고를 자동으로 부대시킴으로써, 광고와 관련되는 상품뿐만이 아니라, 광고가 없는 많은 것에 관한 기사도 투고되게 되어, 정보 공유 시스템 전체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광고 투고나 열람, 광고 이용이 높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상기 대상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기사 정보에 부대하는 광고 정보를 선출하고, 투고자에게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는 광고 제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기사에 적절한 광고를 용이하게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보다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가 활성화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입력된 기사 정보와, 그 기사 정보에 부대된 광고 정보와의 관련성을 상기 대상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대조하는 광고 대조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된 기사 내용과 거기에 부대된 광고의 관련성을 검열함으로써, 광고 내용에 준거한 기사의 투고를 재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품에 관한 리뷰나 설명을 포함하는 보다 질 높은 내용의 광고 부대 기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광고 정보 공유 서버로서, 투고자와의 사이에 사용자끼리의 연결을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가지는 이용자에 대해서 공개되고, 상기 이용자가 열람한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정보 및 상기 광고 정보 부대 기사에 부대한 광고를 특정하는 광고 특정 정보를 가지는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있고, 상기 투고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광고 대상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기사 정보에, 상기 광고 대상에 관한 광고 정보를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기록하는 출고 수단과,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입력된 광고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이 이용자의 상기 열람 이력 정보와의 대조를 행하는 이력 대조 수단과, 상기 이력 대조 수단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이용자 및, 상기 열람 이력 정보에 기재된 투고자의 특전 정보에 광고 이용 특전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가지고, 상기 광고 특정 정보는, 대상이 되는 광고 부대 기사의 광고 정보를 기본으로 제시된 실시 점포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이용자 단말 또는 실시 점포에 설치된 점포 단말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져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를, 투고자와의 사이에 사용자끼리의 연결을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가지는 이용자에 대해서 공개되고, 상기 이용자가 열람한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정보 및 상기 광고 정보 부대 기사에 부대한 광고를 특정하는 광고 특정 정보를 가지는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시키는 스텝과, 상기 투고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광고 대상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기사 정보에, 상기 광고 대상에 관한 광고 정보를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기록하는 스텝과,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입력된 광고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이 이용자의 상기 열람 이력 정보와의 대조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이력 대조 수단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이용자 및, 상기 열람 이력 정보에 기재된 투고자의 특전 정보에 광고 이용 특전을 가산하는 스텝으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광고 특정 정보는, 대상이 되는 광고 부대 기사의 광고 정보를 기본으로 제시된 실시 점포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이용자 단말 또는 실시 점포에 설치된 점포 단말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져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정보 공유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의 부대한 기사의 투고를 누구든지 용이하게 행하고, 기사의 열람자의 관심을 끄는 광고 제시를 행함으로써, 투고자에 의한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와 열람자에 의한 광고의 열람·이용을 보다 촉진하는 것 같은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정보 공유 시스템의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정보 공유 시스템의 하나의 구성예에 관한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정보 공유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사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열람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기사 투고의 흐름도(flow chart)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투고 특전 가산의 흐름도(flow chart)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과 관련되는 광고 이용 특전 가산의 흐름도(flow chart)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와 관련되는 광고의 표시 방법에 관한 흐름도(flow chart)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은 기사를 투고하는 기능과 투고된 기사를 열람하는 기능을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기서 열람 가능한 기사는, 그 사용자와의 사이에 관련성 인자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의 기사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기사이다. 관련성 인자란,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의 링크이며, 현실 세계에서의 연결이나, 소속이라고 하는 커뮤니티 등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 가능한 사용자끼리의 연결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거기에 투고되는 기사에 광고를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투고하는 것이 가능한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개요를 설명한다.
우선, 모든 실시 형태에 대응한 전체의 구성을 도 1~7을 이용하여 나타내고 그 후에 상세한 실시 형태의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을 나타낸다. 부호 1은 광고 정보 공유 서버를 나타내고, 부호 2는 기억부를 나타내고, 부호 3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고, 부호 4는 점포 단말을 나타낸다. 기억부(2)는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광고 정보 공유 서버(1)는, 도 2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3)로부터 인터넷을 통해서 접속 가능하고, 광고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이며, 도 2에 나타내듯이, 사용자 인증부(10), 열람부(11), 대조부(12), 투고부(13), 광고 부대부(14), 해석부(15), 특전 제어부(16), 출력부(17)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10), 열람부(11), 대조부(12), 투고부(13), 광고 부대부(14), 해석부(15), 특전 제어부(16), 출력부(17)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처리수단(프로세서)을 구성한다.
사용자 단말(3)로부터는, 열람부(11), 대조부(12), 투고부(13), 광고 부대부(14)로부터 제공되는 기능을 이용 가능하고, 이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증부(10)에서 로그인 처리를 행한다. 이 사용자 인증부(10)에 의한 인증 작업을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기사의 투고나, 쿠폰 매체의 특전 이외 수취를 행할 수 없는 등의 제한을 부과하여 이용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점포 단말(4)로부터도 사용자 단말(3)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가능하게 해도 좋다.
도 3은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정보 공유 서버(1)는 CPU(100), 메모리(101),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102), 서버의 조작이나 결과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103), 기억 장치(104)를 가진다. 기억 장치(104)에는 광고 정보 공유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이에 따라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의 주요한 기능이 제공된다.
사용자 인증부(10)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20a)에 기록되고, 사용자에만 알려진 문자열인 로그인 ID/로그인 패스워드나, 단말 고유의 번호 등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로그인을 행하게 하고, 미리 결정된 사용자 권한 내에서의 조작 가능한 서비스, 및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사용자 인증부(10)에 의한 인증 작업을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기사의 투고나, 쿠폰 매체의 특전 이외 수취를 행할 수 없는 등의 제한을 부과하여 이용 가능하게 해도 좋다.
열람부(11)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입력된 열람 요구에 대해서, 기사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된 기사/광고 부대 기사를 입력원인 사용자 단말(3)에 열람 가능하게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3)에서는 출력된 기사/광고 부대 기사를 웹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열람 요구를 행한 사용자가 열람 권한을 구비하는지 아닌지를 검증하고, 열람 권한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만 출력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대조부(12)는 사용자가 광고 이용을 행하고, 그 특전을 얻을 때의 인증을 행하는 부문이다. 사용자 단말(3)이나 점포 단말(4) 등에서 대조부(12)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광고 특정 정보를 열람 데이터베이스(23)에 기록된 열람 이력 정보와 대조하고, 입력된 조합에서의, 특전 이용의 인증의 가부를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고 특정 정보는, 후술과 같이 대상 광고를 일의로 특정 가능한 광고 ID를 이용하고 있다. 광고 ID는 많은 다른 정보와 관련지어져 있고 변경은 어렵기 때문에, 광고 특정 정보를 광고 ID와 별개로 설치해도 좋다. 광고 특정 정보를 별개로 설치하고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정한 광고 이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아져 바람직하다.
광고 특정 정보는, 실제 점포를 사용자가 방문했을 때나, 실제 점포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했을 때,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 상에서 상품을 예약한 타이밍 등, 광고주가 미리 결정한 타이밍에 사용자에게 발행된다. 그 타이밍은 미리 사용자에게 공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발행의 방법으로서는, 점포의 사람이 수동으로 사용자 단말(3)에 입력하거나 바코드를 사용자 단말(3)에 읽어들임 가능하게 제시하거나, 비접촉 IC나,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수취하는 방법 등이 생각될 수 있다. 물론 이 이외의 방법이라도 상관없다.
사용자 정보 및 광고 특정 정보를 받은 대조부(12)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그 사용자의 열람 이력 정보를 취득하고, 거기에 상기 광고 특정 정보와 대응하는 기록이 기록되어 있으면 대조는 인증된다.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에 의한 광고 게재 비용을 거래총액제로서, 대조나 광고 이용, 후술의 특전의 배포시 등에 있어서 광고 게재 비용을 청구·가산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에게 게재의 효과 및 비용을 명시적으로 제시할 수가 있어 바람직하다.
투고부(13)는 입력된 기사 정보에 기사 ID나 투고 시간 등의 투고에 관한 정보를 추기하여, 기사/광고 부대 기사로서 기사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한다. 기사 정보란 기사의 타이틀, 본문이라고 하는 문자 정보와 화상이나 동영상, 음원이라고 하는 첨부물을 나타낸다. 임의의 사용자가 기사/광고 부대 기사를 열람할 수 없게 공개 제한, 열람 권한을 설치해도 좋다.
광고 부대부(14)는 상기 투고부(13)에 투고된 기사 정보, 또는 기사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된 기사에 광고의 부대를 행한다. 투고자는 임의로 광고 정보를 기사에 부대하고, 광고 부대 기사로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3)의 위치 정보나, 사용자의 출신지, 경력이라고 하는 프로필 정보 등을 기본으로, 사용자가 이용했을 것이라는 시설이나, 상품에 관한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를 재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입력된 기사 정보로부터 기사 정보에 맞는 광고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사용자 단말(3)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그 사용자 단말 주변의 점포, 시설에 관한 광고 부대 기사의 열람·투고를 추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주변 점포의 이용과, 광고의 열람·투고를 사용자에게 재촉할 수가 있다. 거기에 제시되는 광고 점포는, 사용자의 기호나 프로필 등의 사용자 정보, 시간이나 기간을 기본으로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대상 사용자에게 있어서 불필요한 광고의 제시를 회피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를 행하는 사용자가, 점포 단말(4)로부터 로그인 가능한 점포 사용자인 경우, 그 투고에 부대된 광고의 특전(이용 특전이나 열람 특전)에 자신의 점포의 쿠폰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에 수반하여 사용자 사이뿐만이 아니라, 점포에 의한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도 행해지게 되어, 보다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를 재촉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해석부(15)는 기사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한 결과를 기본으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한 기사 정보에 맞는 상품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기사 정보에 대응한 광고를 찾는 작업을 경감하거나, 투고시에는 스폰서가 붙지 않고, 광고를 부대할 수 없었던 어떤 상품에 관한 기사에, 상기 스폰서와 제휴를 시작한 후, 광고를 자동으로 부대하도록 해도 좋다. 또, 기사 정보를 해석하고, 부적절한 기사 정보에 대한 경고나 배제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특전 제어부(16)는 사용자 정보에의 특전의 가산이나, 가산한 특전을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하게 배포하는 배포의 실행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특전이란, 구체적으로는 포인트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인트나, 쿠폰 등을 나타낸다. 특전 가산에 관한 행동이란, 특전 이용이나 광고 부대 기사의 열람, 투고시이며, 그 타이밍은 시스템 운영자나 광고주에 의해 임의로 결정되는 것이다. 광고 이용에 의한 특전 가산의 타이밍이란, 점포에 내점했을 때나, 대상 상품을 구입했을 때이고, 대조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광고 특정 정보의 배포 타이밍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에게 특전이 가산되었을 때에, 그것을 곧바로 사용자에게 배포하고, 이용 가능하게 해도 좋고, 가산 후, 임의의 타이밍에 사용자에게 배포하고, 이용 가능하게 해도 상관없다. 또, 그 이용 가능 시기를 광고주에게 결정 가능하게 해도 좋아 보다 전략적인 광고 게재가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에의 동일 특전의 가산은 1번만이나, 1일 1회라고 하는 제한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출력부(17)는 열람부(11)에 이루어진 열람 요구에 대한 출력이나, 대조부(12)에의 대조 결과, 해석부(15)에 의한 기사 정보에 부대하는 광고의 제시, 특전 제어부(16)에 의한 특전의 가산, 배포의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3)이나 점포 단말(4)에 출력한다. 점포 단말(4)에는 광고의 열람 이력이나 통계 정보 등을 제공 가능하게 해도 좋다.
기억부(2)는 사용자 정보(20a) 및 점포 정보(20b)를 가지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 기사 데이터베이스(21), 광고 데이터베이스(22), 열람 데이터베이스(23)를 가진다. 기억부(2)에 기록된 데이터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례이며, 데이터 내용이나 그 기록 장소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데이터는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에 기록되어 있어도 별개로 기록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는, 도 4에 나타내듯이, 각 사용자의 사용자 ID, 사용자명 등의 프로필 정보, 로그인 ID/로그인 패스워드라고 하는 로그인 정보, 특전 정보, 다른 사용자와의 관련성 정보 등을 기록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20a)와, 광고를 게재하고 있는 점포의 사용자 ID인 점포 ID, 점포명이나 점포의 주소 등에 관한 프로필 정보, 로그인 정보 등을 기록하고 있는 점포 정보(20b)를 가진다. 이들 정보는 사용자 인증부(10)에 의해 서비스에 로그인할 때나, 투고나 열람 이력 등의 관리 등에 이용되고, 각 사용자에의 개별의 웹페이지, 및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게 한다.
기사 데이터베이스(21)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사용자에 의해 투고된 기사, 광고 부대 기사를 일의로 결정 가능한 기사 ID, 그 투고자 ID, 투고 일시, 광고 부대 기사에 부대된 광고 ID 등을 관련지어 기록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3)로부터 열람부(11)에의 열람 요구가 이루어졌을 때에, 기사 정보를 출력부(17)로부터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3)로 열람 가능하게 한다.
광고 데이터베이스(22)는, 도 6(a)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고 특정 정보인 광고 ID나, 광고를 게재하고 있는 광고주의 사용자 ID, 광고 화상의 정보, 검색에 의해 광고를 도출하기 위한 상품 특정 정보 등이 기재된 광고에 관한 테이블과, 도 6(b)에 나타내듯이, 특전 ID 및 대응하는 광고 ID, 특전의 배포 기간, 광고의 이용 조건 등이 기재된 특전에 관한 테이블로 이루어지는 광고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광고 부대부(14)에 의해 부대하는 광고 정보를 사용자 단말(3)에 제시할 때나, 광고의 부대한 기사에 관한 열람 요구가 열람부(11)에 되었을 때는, 출력부(17)로부터 광고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3)로 열람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고 특정 정보로서 광고 ID를 이용하고 있지만, 별개로 광고 특정 정보를 설치해도 좋다. 별개로 광고 특정 정보를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광고 특정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부정한 광고 이용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열람 데이터베이스(23)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사용자마다, 그 사용자가 열람한 기사의 기사 ID나, 그 투고자의 사용자 ID, 거기에 부대된 광고의 광고 특정 정보인 광고 ID, 특전의 수취 이력에 관한 정보 등을 가진 열람 이력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 열람 이력 정보는 대조부(12)에 의해 대조 수단을 이용할 때에 참조된다. 각 사용자에게 열람 이력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도록 이력의 내용을 출력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들 데이터베이스에 기재의 정보, 테이블의 구성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례이며, 별개 테이블에 관련지어 관리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사용자 단말(3)은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한 열람 요구나 투고 요구, 대조 요구 등이 입력되고,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에 의해 처리된 결과가 출력된다. 사용자 단말(3)은 휴대단말이나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점포 단말(4)은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고 있다. 대조부(12)에 의한 대조를 실제 점포 등에 구비된 점포 단말로부터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 사용자 단말(3)과 마찬가지로 자신 어카운트(account)에 의한 기사의 투고나 열람을 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 점포 사용자가 광고 부대 기사를 투고하는 경우, 자신의 광고를 함께 부대하거나 자신의 광고 이용 특전(쿠폰 등)을 동시에 가산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의 기사의 투고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우선 사용자 단말(3)을 이용하여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에 로그인 하고, 자신의 권한에 기초하여 조작 가능한 홈 페이지(이하 마이 페이지라고 한다)의 출력을 얻는다(S1). 이 마이 페이지에서는 일반적인 정보 공유 서비스에 있어서의 작업, 적어도 사용자가 열람 가능한 권한을 가지는 기사의 열람 및, 기사의 투고, 다른 사용자와의 관련성 정보의 관리 등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마이 페이지 상의 투고 폼(form)에서, 투고하고 싶은 기사의 타이틀이나 기사 본문이라고 하는 기사 정보의 입력을 행한다(S2). 여기서 사진이나 동영상, 음원이라고 하는 첨부물도 기사 정보로서 입력 가능하다. 또, 과거의 기사에 관한 수정이나 첨부물의 추가는 마이 페이지 상으로부터 언제라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고 정보 공유 서버(1)는, 투고자인 사용자에 대해서, 광고를 기사에 삽입하는지 아닌지를 결정시킨다(S3). 광고를 삽입하지 않는 경우(S3에서 아니오(NO)), 입력된 기사 정보는, 기사 데이터베이스에 광고를 갖지 않는 기사로서 기록된다(S7).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S3에서 예(YES)), S4로 진행된다.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 광고 부대부(14), 해석부(15)가 제공하는 광고 제시 수단에 의해, 광고 데이터베이스(22)에 기록된 광고 정보 중에서, 그 기사 정보에 부대하는 것에 적절한 광고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시된다(S4). 여기서 제시되는 광고 정보는 입력된 기사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키워드인 상품 특정 정보나, 과거의 광고 부대 기사 중의 기사 정보 및 그 광고의 조합 데이터 등을 기본으로 선출된다. 여기서 몇 개의 후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그 중에서 합치한 광고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마찬가지의 대상에 관한 광고라도 다른 특전 내용 및 획득 조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상기 광고 제시 수단에 의해, 기사의 내용과 합치한 광고 정보가 도출·제시되었다면(S4에서 예(YES)), 그것을 선택하고 기사 정보에 부대한다(S6). 기사 내용과 합치한 내용의 광고가 도출되지 않은 경우, 투고자의 입력한 상품 특정 정보에 의해 부대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S5). 광고 정보가 도출되었다면(S5에서 예(YES)), 그 광고 정보를 기사 정보에 부대한다(S6). 그런데도 기사 내용에 합치하는 광고 정보가 도출되지 않은/광고 부대를 취소한 경우는(S5에서 아니오(NO)), 광고를 부대하지 않고 통상의 기사로서 기사 데이터베이스에 기사를 기록하고(S7), 기사의 투고 작업을 종료한다.
S6에서 기사 정보에 광고 정보의 부대를 행하였다면, 광고 부대 기사로서 기사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을 행한다(S7).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광고를 부대한 기사의 투고를 자유롭게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지금까지 필요하였던 독자적인 홈 페이지의 개설이나, 아필리에이트 광고의 설치 방법에 관한 학습, 광고회사와의 개별의 계약 등을 행하는 것 없이, 자유롭고 용이하게 광고 게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개인에 의한 광고 게재가 보다 일반적인 것이 되어, 광고의 게재를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개인의 투고와 광고를 동시에 볼 수가 있기 때문에, 광고 상품에 관한 리뷰이거나 정보 교환을 주체로 한 정보 공유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기사에 적절한 광고를 자동으로 선출하는 광고 제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광고를 선택하는 부담을 경감하여 용이하게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고 제시 수단은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광고 제시 수단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무수히 많은 광고 중에서 대상이 되는 광고를 선택하는 작업을 투고자에게 행하게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고의 투고 특전의 획득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전술의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략화한다.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의 기사의 투고 후에 있어서의, 광고 정보 공유 서버(1) 상의 작업과 관련된다. S11에서는 기사에 광고가 부대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기사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된 기사로서, 광고가 부대되어 있는 경우(S11에서 예(YES)), 특전 제어부(16)에 의해 투고를 행한 사용자(투고자)의 특전 정보에 특전이 가산된다(S12). 여기서 특전이란, 포인트 서비스에 있어서의 포인트나, 그 광고주가 제공하는 상품에 관한 쿠폰 등이다.
기사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된 기사로서, 광고가 부대되어 있지 않은 경우(S8에서 아니오(NO)), 기사에 적절한 광고 정보를 해석부(15)에서 도출하여 부대한다(S13). 이에 의해 기사의 투고시에 기사 정보에 대응한 광고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 기사 정보에 대응한 광고가 등록되었을 때에, 그 광고와 대응한 기사에 부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해석부(15)에 의한 광고의 도출은 그 기사의 기사 정보와, 광고에 관한 상품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기사에 적절한 광고가 새롭게 추가된 경우(S13에서 예(YES)), 그 기사에 광고를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S14). 기사에 적절한 광고가 추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S13에서 아니오(NO)), 광고를 부대하지 않고 종료한다.
S14에서 새롭게 광고를 부대하여 기록된 기사의 투고자에게는, 광고의 투고 특전이 가산된다(S12). 특전이 가산된 사용자는 광고주가 결정하는 이용 가능 기간에 있어서, 특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S15).
특전의 이용 가능 기간은, 특전의 가산 후에 바로 개시되어도 좋고, 일정 기간의 뒤에 이용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이들은 미리 결정되어 있고, 광고를 부대할 때에 투고자에 의해 확인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투고한 기사에 광고가 부대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특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투고에 의해 특전이 얻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적극적으로 광고 부대 기사의 공개를 행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보다 높은 광고 내용의 전반성(傳搬性)을 기대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광고에 관한 투고 특전의 가산에는 횟수 제한을 설치해 두어도 좋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고의 이용 특전의 획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 1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략화한다.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3)을 이용하여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에 로그인 하고, 마이 페이지의 출력을 얻는다(S21). 이 로그인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로그인을 행하지 않고 대조를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대조를 행하기 위한 광고 특정 정보를 대조 폼에 입력한다(S22). 이 폼은 대조를 행하는 사용자(이하 대조 이용자)의 사용자 정보(이하 대조 이용자 정보)를 광고 특정 정보와 조합하여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입력되는 광고 특정 정보란, 광고 부대 기사에 기재의 광고를 열람한 사용자가 소정의 타이밍에 얻는 것이 가능한 대상 광고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광고 정보에 기재된 실제 점포에서 상품을 구입한 후에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광고 정보에 게재된 상품을 웹 사이트에서 예약했을 때에 발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3)로부터 대조에 이용하는 정보의 입력을 행하고 있지만, 실제 점포 등에 구비된 점포 단말(4)로부터, 대조 이용자 정보 및 광고 특정 정보의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상관없다. 광고 특정 정보의 입력 방법으로서는 대조 이용자인 사용자 자신, 또는 광고 점포의 점원에 의한 단말에의 코드 입력 외에, 사용자 단말(3)의 촬영부를 이용한 바코드의 읽어들임이나, 비접촉 IC를 이용하는 방법, 집음부를 이용한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대조 이용자 정보 및 광고 특정 정보를 수취한 광고 정보 공유 서버(1)는, 그 대조 이용자의 열람 이력 정보를 열람 데이터베이스(23)로부터 도출하여 취득한다(S33). 열람 이력 정보에는 적어도 사용자가 열람을 행한 광고 부대 기사에 관한 투고자 정보와 광고 특정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대조부(12)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에 입력된 광고 특정 정보와 S13에서 취득한 열람 이력 정보에 기재의 광고 특정 정보를 대조한다. 이러한 광고 특정 정보가 같은 것인 경우, 인증을 얻을 수 있다(S24에서 예(YES)). 인증을 얻을 수 없었던 경우(S24에서 아니오(NO)), S22에서 광고 특정 정보의 재입력을 행한다. 이들 대조의 결과는 출력부(17)에 의해 대조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3)에 출력된다.
인증이 얻어진 경우, 특전 제어부(16)에 의해 상기 대조 이용자 및, 광고 이용이 이루어진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의 특전 정보에 광고 이용 특전이 가산된다(S25).
특전 제어부(16)는 사용자의 특전 정보를 기록, 제어하고 있고, 사용자에게 가산된 특전을 미리 결정한 기간 내에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하게 배포하도록 하고 있다(S26). 예를 들면, 캠페인 기간 중에 특전 이용에 의해 포인트를 가산하고, 캠페인 기간 종료 후에 캠페인 기간 중에 사용자가 얻은 특전을 사용 가능하게 배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인트의 이용 가능 시기 등은 광고주가 자유롭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특전의 가산 후에 바로 이용 가능하게 해도 좋고, 일정 기간 중에만 이용 가능하게 하거나 일정한 기간 종료 후에 이용 가능하게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금까지 광고 이용에 의한 특전을 받는 것이 없었던 광고의 이용자도 특전을 얻을 수가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는 소극적이었던 기사의 열람자에 의한 광고 이용을 보다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열람자의 광고 이용이 활성화함으로써, 투고자에게로의 혜택도 높아지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으로 광고 부대 기사를 투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광고의 이용자, 투고자, 광고주의 3자 전원에게 혜택을 가져오는 광고의 투고·이용 사이클이 형성된다.
또, 정보 공유 서비스에 있어서, 관련성 인자를 가지는 사용자끼리는 실생활이나 그 기호에 있어서도 취미나 연령, 지역, 생활 환경 등의 어떠한 관련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그룹마다의 사용자 특성의 편향에 의해 광고를 열람하는 사용자의 기호를 가미한 보다 직접적인 광고의 제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광고의 이용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고 이용성에 의한 기사 표시 방법의 변경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략화한다.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에 로그인한 사용자는 선택한 기사의 출력 요구를 광고 정보 공유 서버(1)에 행한다(S31). 광고 정보 공유 서버(1)는 사용자 정보(20a)로부터 그 열람 요구를 낸 사용자의 광고 이용성 정보를 얻는다(S32).
사용자의 광고 이용성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광고의 열람·이용에 관한 정보를 구비하고, 각 사용자를 광고 이용도에 의해 분류하기 위한 정보이다. 그리고, 그 분류를 기본으로 하여 각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광고 부대 기사 중의 광고의 표시 방법을 변경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고 이용성 정보로서 광고에의 접속율을 이용한다. 광고에의 접속율은 광고에의 접속수를 광고 부대 기사의 열람수로 나눈 것으로 한다. 여기서 이용하는 접속율은 광고 이용성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일례이며 이외의 방법으로 분류를 행하여도 물론 상관없다.
광고에의 접속율이 50% 이상인 경우(S33에서 예(YES)), 그 사용자가 광고에의 관심은 어느 정도 있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광고를 기사의 상방에 설치하여(S34), 바로 열람자의 눈에 띄도록 표시한다. 그 후, S36로 진행된다.
광고를 여는 확률이 50%를 밑도는 경우(S33에서 아니오(NO)), 광고에의 관심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기사 중에 표시되는 광고 이용 특전에 관한 부분의 면적을 크게 표시하여(S35), 특전 내용이 사용자의 눈에 띄기 쉽게 되도록 한다. 그 후, S38로 진행되어, 출력 요구를 행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에 광고 부대 기사의 출력을 행한다.
광고에의 접속율이 80% 이상인 경우(S36에서 예(YES)), 광고에의 관심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관련된 다른 광고를 출력 요구가 있던 광고 부대 기사에 더하여 표시시킨다(S37). 그 후, S38로 진행되고, 출력 요구를 행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에 추가 광고를 포함하는 광고 부대 기사의 출력을 행한다.
광고에의 접속율이 50% 이상, 80% 미만인 경우(S36에서 아니오(NO)), 광고를 기사의 상방에 설치한 광고 부대 기사를 출력 요구를 행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에 출력한다(S28).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금까지 모든 사용자에게 한결같은 형태로 제시되고 있던 광고를 사용자마다 변경하여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광고 이용을 보다 재촉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광고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특전을 강조함으로써 광고에의 관심을 높이고, 광고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에게는 관련된 다른 광고를 추가로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광고의 이용을 보다 재촉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상품 기호를 기록해, 광고의 표시 방법으로 이용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광고 정보의 투고·열람이 적극적으로 행해져 광고의 이용성이 높은 정보 공유 시스템을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 광고 정보 공유 서버 10 사용자 인증부
11 열람부(browsing unit)
12 대조부(collation unit)
13 투고부(contribution unit) 14 광고 부대부
15 해석부 16 특전 제어부
17 출력부 2 데이터베이스
2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20a 사용자 정보 테이블 20b 점포 정보 테이블
21 기사 데이터베이스 22 광고 데이터베이스
23 열람 데이터베이스
3 사용자 단말 4 점포 단말
100 CPU 101 메모리(memory)
102 통신 장치 103 입출력 장치
104 기억 장치

Claims (14)

  1.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으로서,
    투고자로부터 기사를 출력하기 위한 투고자 단말,
    사용자 정보 출력을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투고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광고를 기사에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광고 정보 공유 서버,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다음 기능을 수행하는 처리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투고자 단말에서 입력된 광고대상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기사정보에 광고대상과 관련된 광고 정보를 부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결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고, 상기 광고 부대 기사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광고 부대 기사를 출력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열람 이력 정보는,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정보와 광고 부대 기사에 부대된 광고를 특정하기 위한 광고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부대 기사가 상기 투고자와 상호 관련 인자를 가지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게재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열람되고,
    상기 관련 인자는, 연령, 지리적 영역, 취미 또는 생활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및 투고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처리수단은, 사용자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광고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열람 이력 정보와 대조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대조 프로세스에 의해 인증이 확인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용자의 권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열람 이력 정보에 서술된 투고자의 권한 정보에 미리 설정된 광고 이용 권한을 추가하고,
    상기 광고 특정 정보가 상기 광고 부대 기사의 광고 정보를 기반으로 제시되는 실시 점포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실시 점포에 설치된 점포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져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각 사용자의 광고 이용성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광고 이용성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기 위한 기사 내의 광고의 표시방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고 이용성은 광고 접속 횟수와 광고 부대 기사의 열람 세션 수를 기반으로 계산하고, 상기 광고 표시 방법은, 이용 권한과 관련된, 표시할 광고의 위치 변경 및 표시할 광고의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원하는 시점에 이용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추가 권한을 전달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광고 정보에 점포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정된 지도상 원하는 지점에 주변에 위치한 점포에 관한 광고 정보 또는 광고 부대 기사를 선출하고,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 또는 그 열람을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광고대상에 관한 광고 정보를 기사정보에 추가할 때 투고자의 권한 정보에 투고 권한을 추가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광고 부대 기사를 열람한 독자의 권한 정보에 열람 권한을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사용자가 작성한 광고를 사용자가 게재할 수 있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투고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기사정보를 해석하여 기사에 서술된 광고 대상을 나타내는 대상 특정 정보를 취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입력된 기사 정보가 투고 비추천 주제를 포함할 때, 투고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대상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된 기사에 광고를 추가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광고 부대 기사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대상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투고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기사정보에 부대할 광고 정보를 선출하고, 그 결과 정보를 투고자에게 선택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대상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기사 정보와 입력된 기사 정보에 부대된 광고 정보의 사이의 관계에 대한 대조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13. 광고 정보 공유 서버로서,
    투고자로부터의 기사를 출력하기 위해 투고자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광고 부대 기사를 생성하기 위해 기사에 광고를 추가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고 정보 공유 서버는 실행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처리수단을 포함하고,
    명령 실행 시 상기 처리수단은, 다음의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처리수단은, 투고자 단말에서 입력된 광고 대상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기사 정보에, 광고 대상과 관련된 광고 정보를 추가하여 광고 부대 기사로서 결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광고 부대 기사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고, 광고 부대 기사 출력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열람 이력 정보는 광고 부대 기사의 투고자 정보와, 상기 광고 부대 기사에 추가되는 광고를 특정하기 위한 광고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투고자와 상호 관련 인자를 가지는 사용자의 것이고, 상기 관련 인자는 연령, 지리적 영역, 취미 또는 생활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자 및 투고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처리수단은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를 특정하는 광고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내 사용자의 열람 이력 정보와 대조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대조 프로세스에 의해 인증이 확인될 때, 미리 결정된 양의 광고 이용 권한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용자의 권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열람 이력 정보에 서술된 투고자의 권한 정보에 추가하고,
    상기 광고 특정 정보는, 광고 부대 기사의 광고 정보에 근거해 제시된 실시 점포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실시 점포에 설치된 점포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정보 공유 서버.
  14.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광고 정보 공유방법으로서,
    광고 정보 공유 서버가 투고자 단말에서 입력한 광고대상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기사정보에 광고대상과 관련된 광고 정보를 추가하여 결과정보를 광고 부대 기사로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에 상기 광고 부대 기사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부대 기사를 출력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열람 이력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열람 이력 정보는 기사 정보의 투고자의 투고자 정보 및 기사에 부대할 광고를 특정하기 위한 광고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투고자와 상호 관련 인자를 가지는 사용자의 것이고, 상기 관련 인자는 연령, 지리적 영역, 취미 또는 생활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와 투고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를 특정하는 광고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에서 사용자의 열람 이력 정보와 대조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대조 프로세스에 의해 인증이 확인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용자의 권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의 열람 이력 정보에 서술된 투고자의 권한 정보에 미리 설정된 광고 이용 권한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특정 정보는 상기 광고 부대 기사의 광고 정보에 근거해 제시한 실시 점포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실시 점포에 설치된 점포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져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광고 정보 공유 방법.
KR1020167008287A 2013-10-08 2014-10-08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KR102308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11244A JP5636082B1 (ja) 2013-10-08 2013-10-08 広告情報共有システム
JPJP-P-2013-211244 2013-10-08
PCT/JP2014/076933 WO2015053310A1 (ja) 2013-10-08 2014-10-08 広告情報共有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547A KR20160066547A (ko) 2016-06-10
KR102308292B1 true KR102308292B1 (ko) 2021-10-01

Family

ID=5213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287A KR102308292B1 (ko) 2013-10-08 2014-10-08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01332B2 (ko)
EP (1) EP3057055A4 (ko)
JP (1) JP5636082B1 (ko)
KR (1) KR102308292B1 (ko)
CN (1) CN105593888B (ko)
CA (1) CA2925073A1 (ko)
PH (1) PH12016500559B1 (ko)
SG (1) SG11201601944UA (ko)
WO (1) WO2015053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9895B (zh) * 2015-07-06 2018-05-08 无锡天脉聚源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广告投放策略的推荐方法及装置
CN110325986B (zh) * 2017-12-15 2022-02-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文章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JP7073796B2 (ja) * 2018-03-12 2022-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位置情報付与装置及び位置情報付与方法
CN109064280A (zh) * 2018-07-27 2018-12-21 北京优酷科技有限公司 用户权益的展示方法及装置
US20220164827A1 (en) * 2019-03-19 2022-05-26 Sony Group Corporation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1461778B (zh) * 2020-03-31 2023-07-14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广告推送的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900B1 (ko) * 2012-05-11 2012-10-09 (주)버즈빌 리뷰 정보를 통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168186A (ja) * 2005-09-30 2013-08-29 Google Inc レビュー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4147A (ja) * 2000-08-24 200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メール広告添付方法、広告付き電子メール配信システム
JP2003044731A (ja) * 2001-07-26 2003-02-14 Canon Inc 電子広告に関する情報の管理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8745226B2 (en) * 2006-05-02 2014-06-03 Google Inc. Customization of content and advertisements in publications
JP4097682B2 (ja) * 2006-06-16 2008-06-11 ヤフー株式会社 ペイパービジット広告システム
US8140384B2 (en) * 2007-02-21 2012-03-20 Unoweb, Inc. Advertising revenue sharing
US20080208682A1 (en) * 2007-02-22 2008-08-28 Microsoft Corporation Revenue Generation and Sharing for Content Sharing Services
JP2008281726A (ja) * 2007-05-10 2008-11-20 Nec Corp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用プログラム
JP4960835B2 (ja) * 2007-11-06 2012-06-27 ソネット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アフィリエイト広告管理装置及びアフィリエイト広告管理方法
JP4879941B2 (ja) * 2008-07-04 2012-02-22 ヤフー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広告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59893B2 (ja) * 2008-08-12 2012-01-25 ヤフー株式会社 広告配信装置、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制御プログラム
JP2011215964A (ja) * 2010-03-31 2011-10-27 Sony Corp 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コンテンツ推薦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15791B2 (ja) * 2010-10-06 2015-05-13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22526B2 (ja) * 2010-10-29 2014-11-12 楽天株式会社 アフィリエイト広告の引用システム
KR101296600B1 (ko) 2011-07-20 2013-08-1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이용 후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서버
JP5735403B2 (ja) * 2011-11-22 2015-06-17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文書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8186A (ja) * 2005-09-30 2013-08-29 Google Inc レビュー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188900B1 (ko) * 2012-05-11 2012-10-09 (주)버즈빌 리뷰 정보를 통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36082B1 (ja) 2014-12-03
SG11201601944UA (en) 2016-04-28
CN105593888A (zh) 2016-05-18
EP3057055A1 (en) 2016-08-17
EP3057055A4 (en) 2017-05-31
CN105593888B (zh) 2020-03-17
KR20160066547A (ko) 2016-06-10
JP2015075887A (ja) 2015-04-20
US11501332B2 (en) 2022-11-15
WO2015053310A1 (ja) 2015-04-16
CA2925073A1 (en) 2015-04-16
US20160012477A1 (en) 2016-01-14
PH12016500559A1 (en) 2016-05-23
PH12016500559B1 (en) 201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292B1 (ko) 광고 정보 공유 시스템
Zuiderveen Borgesius et al. Online price discrimination and EU data privacy law
Voorveld Brand communication in social media: A research agenda
CN102597996B (zh) 社交浏览
US9760547B1 (en) Monetization of online content
KR101242380B1 (ko) 정보를 전자 문서와 연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U2008335085B2 (en) User-created content aggregation and sharing
US84429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erified information card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10055747B1 (en) Consumer Portal
US85217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missions-based profile repository service
US20060242574A1 (en) Associating information with an electronic document
US20100235256A1 (en) System for online contents marketplace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00179875A1 (en) Advertisement matching system based on viewing history, program, server, and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US20180005276A1 (en) User controlled profiles
King et al. Profiling the mobile customer–Is industry self-regulation adequate to protect consumer privacy when behavioural advertisers target mobile phones?–Part II
CN104463685A (zh) 社交媒体系统
WO2014075110A2 (en) Consumer and brand owner data management tools
Adrian How much privacy do clouds provide? An Australian perspective
Geronimo Online browsing: Can, should, and may companies combine online and offline data to learn about you
Antonialli Watch your virtual steps: an empirical study of the use of online tracking technologies in different regulatory regimes
US20100223116A1 (en) Community Based Search and Revenu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JP6957275B2 (ja) ユーザ施策システム
AU2022201734A1 (e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MacDonnell Exporting trust: Does e-commerce need a Canadian privacy seal of approval
AU2024203315A1 (en) Advertise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