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329B1 - 도료 분진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도료 분진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329B1
KR102307329B1 KR1020210050339A KR20210050339A KR102307329B1 KR 102307329 B1 KR102307329 B1 KR 102307329B1 KR 1020210050339 A KR1020210050339 A KR 1020210050339A KR 20210050339 A KR20210050339 A KR 20210050339A KR 102307329 B1 KR102307329 B1 KR 102307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activated carbon
dust
pain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프라
Priority to KR102021005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8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01D46/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료 분진이 전달되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집진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도료 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제1필터유닛과, 상기 제1필터유닛의 상부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집진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도료 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제2필터유닛 및, 상기 제2필터유닛의 상부영역에 구비되어 필터링된 상기 집진공간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유닛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료 분진 집진장치{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PAINT DUST}
본 발명은 도료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다단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점액 성분과 미세먼지 및 유해 성분이 제거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도료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장작업은 차량을 도장부스 내부로 진입시킨 후 도장부스의 내부에서 도장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도장부스의 내부에는 차량에 도장된 도료를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기기(적외선 히터 등) 등이 설치된다.
또한, 차량을 도장하는 과정에서 도장부스의 내부에는 미세한 도료 분말이 부유하게 되는데, 도자부스의 내부에 부유하는 도료 분진은 도장부스의 바닥면에 형성시킨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된 후 집진필터 등에 의해 여과되는 과정을 거치며, 집진필터에 의해 여과 처리가 완료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료 분진에 다량으로 함유된 점액 성분으로 인해 집진필터가 빈번하게 막히므로 집진필터의 교체 비용이 증가하였고, 집진필터의 교체 주기가 짧아 작업자의 능률 저하를 초래하고 있으며, 집진필터의 교체 과정에 많은 시간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유해 성분(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등)이 충분히 여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중으로 방출되므로 환경오염의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0381호(2014년 07월 1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자동차 부분도장용 집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장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다단으로 필터링함으로써, 점액 성분과 미세먼지 및 유해 성분이 제거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도료 분진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는 도료 분진이 전달되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집진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도료 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제1필터유닛과, 상기 제1필터유닛의 상부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집진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도료 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제2필터유닛 및, 상기 제2필터유닛의 상부영역에 구비되어 필터링된 상기 집진공간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필터유닛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도료 분진의 점액 성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1차 필터부와, 상기 1차 필터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1차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2차 필터부 및, 상기 2차 필터부의 상부에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2차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유해 성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3차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폐부와, 상기 집진공간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필터유닛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제1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1차 필터부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제2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2차 필터부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제3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유닛은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제1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양측이 상기 제1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통과홀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도료 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유리섬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필터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제2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양측이 상기 제2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통과홀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내부에 하부로 개방된 포집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점액 성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포켓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 필터는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폭방향을 따라 다수가 연결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필터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제3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양측이 상기 제3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3프레임 및, 상기 제3통과홀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상기 1차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카트리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 필터부는 활성탄이 함유되고, 상기 2차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유해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1활성탄과, 활성탄이 함유되고, 상기 제1활성탄의 상부에 제1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1활성탄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유해 성분을 필터링 하는 제2활성탄 및, 활성탄이 함유되고, 상기 제2활성탄의 상부에 제2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2활성탄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유해 성분을 필터링 하는 제3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면이 상기 제1활성탄과 상기 제2활성탄의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타측면이 상기 집진공간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상방이 상기 제1간격과 연통된 제1수직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1격벽 및, 일측면이 상기 제1격벽과 반대되는 상기 제2활성탄과 상기 제3활성탄의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타측면이 상기 집진공간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상방과 하방이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2간격에 각각 연통된 제2수직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액 성분과 미세먼지 및 유해 성분이 제거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여과 성능이 저하된 필터부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필터부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해 필터부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본체와 제2필터유닛 및 송풍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1차 필터부와 2차 필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3차 필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본체와 제2필터유닛 및 송풍부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3차 필터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본체와 제2필터유닛 및 송풍부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본체에 개폐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에서 1차 필터부의 제1프레임에 제1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에서 2차 필터부의 제2프레임에 제2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본체와 제2필터유닛 및 송풍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1차 필터부와 2차 필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3차 필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본체와 제2필터유닛 및 송풍부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3차 필터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본체와 제2필터유닛 및 송풍부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본체에 개폐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에서 1차 필터부의 제1프레임에 제1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에서 2차 필터부의 제2프레임에 제2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는 도장부(10)와, 본체(100)와, 제1필터유닛(200)과, 제2필터유닛(300)을 포함한다.
도장부(10)는 차량 등의 도장 대상물에 도료(페인트 등)를 분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도장부(10)의 내부에는 차량 등이 위치될 수 있도록 일정 넓이의 도장공간(11)이 형성되고, 도장공간(11)의 하부에는 도료 분진(P)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통로(12)가 형성되며, 배출통로(12)는 도장공간(11)의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된 후, 측방으로 연장되어 도장부(10)의 측부에 위치된 설치면의 상부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장부(10)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공기(A)가 유입되도록 유입통로가 구비되고, 유입통로에는 외부로부터 도장공간(11)으로 공기(A)를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 수단의 송풍 압력에 의해 외부로 공기(A)가 유입통로를 통해 도장공간(11)으로 유입된 후, 도장공간(11)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통로(12)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도장공간(11)에서 발생된 도료 분진(P)이 공기(A)와 함께 배출통로(12)로 유입되고, 배출통로(12)로 유입된 도료 분진(P)은 배출통로(12)를 따라 수평하게 이동된 후 후술될 본체(100)의 유입구(110)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배출통로(12)의 상부에는 제1필터유닛(200)의 상부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작업 발판(미도시)이 안착될 수 있고, 작업 발판에는 다수의 중공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본체(100)는 도장부(10)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면에 하단이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본체(100)의 하단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설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설치면의 하부에 배출통로(12)가 수직하게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내부에는 일정 넓이의 집진공간(101)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하부에는 배출통로(12)로부터 도료 분진(P)이 전달되도록 유입구(110)가 상하로 관통되어 집진공간(101)으로 연통되며, 본체(100)의 상부에는 필터링된 공기(A)가 배출되도록 배출구(120)가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집진공간(101)의 내부에는 후술될 제1필터유닛(200)과 제2필터유닛(300)의 1차 필터부(310), 2차 필터부(320), 3차 필터부(330)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거치 프레임(102)이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고, 거치 프레임(102)에는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도료 분진(P)과 공기(A)가 배출구(120)로 상승 이동될 수 있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측면에는 도 8에서처럼 포집공간(101)을 개폐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폐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130)는 일측이 본체(100)의 측면에 연결된 힌지부(131)와 연결되고, 타측이 힌지부(131)가 형성하는 수직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개폐될 수 있으며, 개폐부(130)가 개방시 집진공간(101)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130)의 외면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고, 개폐부(130)의 일측과 본체(100)에는 상호 대응되는 잠금부(140)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잠금부(14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부(140)는 개폐부(13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잠금부(140)를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시킨 후 개폐부(13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부(130)는 본체(100)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데, 개폐부(130)를 상하 방향에 다수로 적용하여 집진공간(101)의 일측을 개별적으로 개폐시키거나 하나의 개폐부(130)를 적용하여 집진공간(101)의 일측을 일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물론 개폐부(130)의 개수, 위치, 개폐 방식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10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사다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사다리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발판이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사다리의 전방에는 발판을 밟고 이동하는 작업자의 외부를 감싸기 위한 난간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필터유닛(200)은 입자가 큰 도료 분진(P)과, 도료 분진(P)에 함유된 점액 성분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공간(101)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유입구(110)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도료 분진(P)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필터유닛(200)은 유리섬유(glass-fibre filte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집진공간(101)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제1필터유닛(200)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제1슬라이드홈(14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14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141)은 집진공간(101)의 양측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고, 제1슬라이드홈(142)은 제1가이드레일(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슬라이드홈(142)의 길이방향 일측은 후술될 제1프레임(210)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의 측부로 수평하게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1필터유닛(200)의 양측을 제1슬라이드홈(142)으로 슬라이드 삽입시킬 수 있으며, 제1필터유닛(200)을 제1슬라이드홈(14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개폐부(13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필터유닛(200)이 유입구(110)의 상부영역을 차단하는 상태로 위치되므로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도료 분진(P)이 제1필터유닛(200)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상부로 통과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필터유닛(200)은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제1통과홀(210a)이 상하로 관통되며, 양측이 제1슬라이드홈(142)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프레임(210) 및, 제1통과홀(210a)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유입구(110)로 유입된 도료 분진(P)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유리섬유 필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제1프레임(210)의 양측을 제1슬라이드홈(142)의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수평하게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으며, 제1프레임(210)의 양측은 제1슬라이드홈(142)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유리섬유 필터(220)는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도료 분진(P)을 1차로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섬유 필터(220)는 유리섬유(glass-fibre filte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141)을 집진공간(101)의 양측을 따라 다수로 배열하는 경우, 다수의 제1필터유닛(200)을 동일 높이에 수평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1필터유닛(200)이 유입구(110)의 상부영역을 수평하게 차단할 수 있고, 제1필터유닛(200)을 개별 또는 일괄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필터유닛(200)은 제1프레임(210)과 유리섬유 필터(220)가 수평한 패널 형태를 가지므로, 집진공간(101)에 결합시 상하 폭을 축소시킬 수 있고, 제1필터유닛(200)의 상하 폭이 좁으므로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2필터유닛(300)은 본체(100)의 제1필터유닛(200)의 상부에서 도료 분진(P)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집진공간(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집진공간(10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되어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도료 분진(P)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유닛(300)은 제1필터유닛(200)을 통과한 도료 분진(P)의 점액 성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1차 필터부(310)와, 1차 필터부(310)의 상부에 구비되고, 1차 필터부(310)를 통과한 도료 분진(P)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2차 필터부(320) 및, 2차 필터부(320)의 상부에 다단으로 설치되고, 2차 필터부(320)를 통과한 도료 분진의 유해 성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3차 필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진공간(101)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1차 필터부(310)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제2슬라이드홈(15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150) 및, 제2가이드레일(150)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2차 필터부(320)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제3슬라이드홈(16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150)은 집진공간(101)의 양측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고, 제2슬라이드홈(151)은 제2가이드레일(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슬라이드홈(151)의 길이방향 일측은 후술될 제3프레임(321)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의 측부로 수평하게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1차 필터부(310)의 양측을 제2슬라이드홈(151)으로 슬라이드 삽입시킬 수 있으며, 1차 필터부(310)를 제2슬라이드홈(15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개폐부(13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1차 필터부(310)가 제1필토유닛(200)의 상부영역을 차단하는 상태로 위치되므로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도료 분진(P)이 1차 필터부(310)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상부로 통과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160)은 집진공간(101)의 양측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고, 제3슬라이드홈(161)은 제3가이드레일(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슬라이드홈(161)의 길이방향 일측은 후술될 제3프레임(321)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의 측부로 수평하게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2차 필터부(320)의 양측을 제3슬라이드홈(161)으로 슬라이드 삽입시킬 수 있으며, 2차 필터부(320)를 제3슬라이드홈(16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개폐부(13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2차 필터부(320)가 1차 필터부(310)의 상부영역을 차단하는 상태로 위치되므로 1차 필터부(310)를 통해 유입되는 도료 분진(P)이 2차 필터부(320)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상부로 통과될 수 있다.
1차 필터부(310)는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제2통과홀(311a)이 상하로 관통되며, 양측이 제2슬라이드홈(151)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2프레임(311) 및, 제2통과홀(311a)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내부에 하부로 개방된 포집공간이 형성되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도료 분진(P)의 점액 성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포켓 필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311)은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제2프레임(311)의 양측을 제2슬라이드홈(151)의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수평하게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으며, 제2프레임(311)의 양측은 제2슬라이드홈(151)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311)의 양측에는 제1축부가 각각 돌출될 수 있고, 제1축부에는 제1롤러(3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축부는 도 9에서처럼 제2프레임(311)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좌우 방향으로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제1롤러(313)는 제1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프레임(311)의 결합 및 결합 해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제1축부와 제1롤러(313)는 제2프레임(311)의 결합 및 결합 해지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프레임(311)의 양측을 제2슬라이드홈(151)의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제1롤러(313)의 하단이 제2슬라이드홈(151)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프레임(311)을 결합 및 결합 해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제1롤러(313)가 수평 회전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슬라이드홈(151)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프레임(311)의 양측을 제2슬라이드홈(15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삽입시키거나 빼내는 경우, 제1롤러(313)가 회전되면서 제2슬라이드홈(151)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므로 제2프레임(311)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마찰력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제2프레임(311)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포켓 필터(312)는 제1필터유닛(200)에 의해 1차로 필터링된 도료 분진(P)을 2차로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폭방향을 따라 다수가 연결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포켓 필터(312)는 포집공간의 폭방향 양측은 상부로 갈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폴리에스터(polyester), 부직포(non-woven fabric)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켓 필터(312)는 내부의 포집공간이 하부로 넓게 개방되므로, 제1필터유닛(200)을 통과한 도료 분진(P)을 넓은 면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포집공간의 하부로 유입된 도료 분진(P)은 점진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포집공간의 상부에 집중되면서 포켓 필터(312)의 상부로 통과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150)을 집진공간(101)의 양측을 따라 다수로 배열하는 경우, 다수의 1차 필터부(310)를 동일 높이에 수평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다수의 1차 필터부(310)가 제1필터유닛(200)의 상부영역을 수평하게 차단할 수 있고, 1차 필터부(310)를 개별 또는 일괄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2차 필터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제3통과홀(321a)이 상하로 관통되며, 양측이 제3슬라이드홈(161)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3프레임(321) 및, 제3통과홀(321a)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1차 필터부(310)의 포켓 필터(312)를 통과한 도료 분진(P)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카트리지 필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프레임(321)은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제3프레임(321)의 양측을 제2슬라이드홈(161)의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수평하게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으며, 제3프레임(321)의 양측은 제3슬라이드홈(161)에 삽입되어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3프레임(321)의 양측에는 제2축부가 각각 돌출될 수 있고, 제2축부에는 제2롤러(32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축부는 도 10에서처럼 제3프레임(321)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좌우 방향으로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제2롤러(323)는 제2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프레임(321)의 결합 및 결합 해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제2축부와 제2롤러(323)는 제3프레임(321)의 결합 및 결합 해지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프레임(321)의 양측을 제2슬라이드홈(161)의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제2롤러(323)의 하단이 제3슬라이드홈(161)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프레임(321)을 결합 및 결합 해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제2롤러(323)가 수평 회전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3슬라이드홈(161)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3프레임(321)의 양측을 제3슬라이드홈(16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삽입시키거나 빼내는 경우, 제2롤러(323)가 회전되면서 제3슬라이드홈(161)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므로 제3프레임(321)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마찰력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제3프레임(321)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프레임(210)의 양측에는 제3축부(미도시)가 각각 돌출될 수 있고, 제3축부에는 제3롤러(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축부는 제1프레임(210)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좌우 방향으로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제3롤러는 제3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210)의 결합 및 결합 해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제3축부와 제3롤러는 제1프레임(210)의 결합 및 결합 해지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210)의 양측을 제1슬라이드홈(142)의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제3롤러의 하단이 제1슬라이드홈(142)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프레임(210)을 결합 및 결합 해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 제3롤러가 수평 회전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슬라이드홈(142)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210)의 양측을 제1슬라이드홈(142)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삽입시키거나 빼내는 경우, 제3롤러가 회전되면서 제1슬라이드홈(142)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므로 제1프레임(21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마찰력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제1프레임(210)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 필터(322)는 포켓 필터(312)에 의해 2차로 필터링된 도료 분진(P)을 3차로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카트리지 필터(322)에는 다수의 절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절첩부는 양측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 필터(322)는 폴리에스터(polyester), 부직포(non-woven fabric), 스펀 본드 부직포(spun-bonded fabric)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160)을 집진공간(101)의 양측을 따라 다수로 배열하는 경우, 다수의 2차 필터부(320)를 동일 높이에 수평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다수의 2차 필터부(320)가 1차 필터부(310)의 상부영역을 수평하게 차단할 수 있고, 2차 필터부(320)를 개별 또는 일괄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차 필터부(320)는 제3프레임(321)와 카트리지 필터(322)가 수평한 패널 형태를 가지므로, 집진공간(101)에 결합시 상하 폭을 축소시킬 수 있고, 2차 필터부(320)의 상하 폭이 좁으므로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3차 필터부(330)는 활성탄(active carbon)이 함유되고, 2차 필터부(320)의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한 도료 분진(P)의 유해 성분(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등)을 필터링하는 제1활성탄(331)과, 활성탄(active carbon)이 함유되고, 제1활성탄(331)의 상부에 제1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며, 제1활성탄(331)을 통과한 도료 분진(P)의 유해 성분(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등)을 필터링 하는 제2활성탄(332) 및, 활성탄(active carbon)이 함유되고, 제2활성탄(332)의 상부에 제2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며, 제2활성탄(332)을 통과한 도료 분진(P)의 유해 성분(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등)을 필터링 하는 제3활성탄(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활성탄(331)은 카트리지 필터(322)에 의해 3차로 필터링된 도료 분진(P)을 4차로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육면체 등의 블록 형상으로 집진공간(101)의 내부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고, 제1활성탄(331)의 하면은 집진공간(101)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거치 프레임(102)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활성탄(331)의 외부에는 육면체 등의 블록 형상을 갖는 케이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케이지의 내부에 제1활성탄(331)이 다양한 형태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집진공간(10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지에는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1활성탄(331)을 집진공간(101)의 거치 프레임(102)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제1활성탄(331)을 거치 프레임(102)의 상단에 설치한 상태에서 개폐부(13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활성탄(331)이 카트리지 필터(322)의 상부영역에 위치되므로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한 도료 분진(P)이 제1활성탄(331)에 의해 필터링되면서 상부로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집진공간(101)에는 제1활성탄(331)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1메쉬망(340)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메쉬망(340)은 가장자리가 집진공간(101)의 내주면에 결합되거나, 거치 프레임(102)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도료 분진(P)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메쉬홀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제1활성탄(331)의 일측은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과 밀착되고, 반대되는 일측은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활성탄(331)의 일측과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 사이에는 제1수직 유로(171)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직 유로(171)는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한 도료 분진(P)이 상부로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제1수직 유로(171)의 상단은 제1활성탄(331)의 상부와 후술될 제2활성탄(331)의 사이에 형성된 제1간격과 연통된다.
제2활성탄(332)은 제1활성탄(331)의 상부로 이동된 도료 분진(P)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육면체 등의 블록 형상으로 집진공간(101)의 내부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고, 제2활성탄(332)의 하면은 집진공간(101)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거치 프레임(102)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활성탄(332)의 외부에는 육면체 등의 블록 형상을 갖는 케이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케이지의 내부에 제2활성탄(332)이 다양한 형태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집진공간(10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지에는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2활성탄(332)을 집진공간(101)의 거치 프레임(102)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제2활성탄(332)을 거치 프레임(102)의 상단에 설치한 상태에서 개폐부(13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활성탄(332)이 제1활성탄(331)의 상부영역에 위치되므로 제1활성탄(331)을 통과한 도료 분진(P)이 제2활성탄(332)에 의해 추가적으로 필터링되면서 상부로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집진공간(101)에는 제2활성탄(332)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2메쉬망(350)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메쉬망(350)은 제1메쉬망(340)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고, 가장자리가 집진공간(101)의 내주면에 결합되거나, 거치 프레임(102)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료 분진(P)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메쉬홀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제2활성탄(332)의 양측은 집진공간(101)의 양측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2활성탄(332)의 일측과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 사이에는 전술한 제1수직 유로(171)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수직 유로(171)와 반대되는 제2활성탄(332)의 일측과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 사이에는 제2수직 유로(172)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직 유로(172)는 제1활성탄(331)을 통과한 도료 분진(P)이 상부로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제1수직 유로(171)와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고, 제2수직 유로(172)의 하단은 제1활성탄(331)의 상부와 제2활성탄(332)의 사이에 형성된 제1간격과 수직하게 연통되며, 제2수직 유로(172)의 상단은 배출구(120)와 수직하게 연통될 수 있다.
제3활성탄(333)은 제2활성탄(332)의 상부로 이동된 도료 분진(P)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육면체 등의 블록 형상으로 집진공간(101)의 내부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고, 제3활성탄(333)의 하면은 집진공간(101)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거치 프레임(102)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활성탄(333)의 외부에는 육면체 등의 블록 형상을 갖는 케이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케이지의 내부에 제3활성탄(333)이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집진공간(10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지에는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3활성탄(333)을 집진공간(101)의 거치 프레임(102)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제3활성탄(333)을 거치 프레임(102)의 상단에 설치한 상태에서 개폐부(13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제3활성탄(333)이 제2활성탄(332)의 상부영역에 위치되므로 제1활성탄(331)과 제2활성탄(332)을 통과한 도료 분진(P)이 제3활성탄(333)에 의해 추가적으로 필터링되면서 상부로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집진공간(101)에는 제3활성탄(333)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3메쉬망(360)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메쉬망(360)은 제2메쉬망(350)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고, 가장자리가 집진공간(101)의 내주면에 결합되거나, 거치 프레임(102)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료 분진(P)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메쉬홀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제1수직 유로(171) 방향에 위치된 제3활성탄(333)의 일측은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에 밀착되고, 반대되는 일측은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수직 유로(171)와 반대되는 제3활성탄(333)의 일측과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 사이에는 제2수직 유로(172)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수직 유로(172)의 하단은 제1활성탄(331)의 상부와 제2활성탄(332)의 사이에 형성된 제1간격과 수직하게 연통되고, 제2수직 유로(172)의 상단은 배출구(120)와 수직하게 연통되므로, 제1활성탄(331)을 통과한 공기(A)는 제2수직 유로(172)를 통해 배출구(120)로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수직 유로(171)와 제2수직 유로(172)는 2차 필터부(320)의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한 도료 분진(P) 및 공기(A)의 이동 경로를 분산시켜 배출구(120)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고, 2차 필터부(320)의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한 도료 분진(P) 및 공기(A)가 제1활성탄(331)에만 집중적으로 필터링되지 않도록 여러 이동 경로를 형성시킨다. 즉 도료 분진(P)이 제1활성탄(331)에 집중되지 않으므로 제1활성탄(331)의 여과 성능이 빠르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는 일측면이 제1활성탄(331)과 제2활성탄(332)의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타측면이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상방이 제1간격과 연통된 제1수직 유로(171)를 형성시키는 제1격벽(510) 및, 일측면이 제1격벽(510)과 반대되는 제2활성탄(332)과 제3활성탄(333)의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타측면이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상방이 배출구(120)와 연통된 제2수직 유로(172)를 형성시키는 제2격벽(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격벽(510)은 일측면이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활성탄(331)과 제2활성탄(332)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으로, 제1수직 유로(171)와 제1활성탄(331) 및 제2활성탄(332)의 일측을 양측으로 구획하고, 제1격벽(510)의 상단은 제2활성탄(331)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격벽(520)은 제1격벽(510)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이 집진공간(101)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활성탄(332)과 제3활성탄(333)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수직하게 위치되고, 제2수직 유로(172)와 제2활성탄(332) 및 제3활성탄(333)의 일측을 양측으로 구획하며, 제2격벽(520)의 상단은 제3활성탄(333)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400)은 제2필터유닛(300)의 상부영역에 구비되어 필터링된 집진공간(101)의 공기를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송풍유닛(400)은 제3활성탄(333)의 상부영역에 설치될 수 있고, 집진공간(101)의 공기(A)를 배출구(120)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3활성탄(333)의 상부영역에 거치 프레임(102)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고, 거치 프레임(102)의 상부에 송풍유닛(40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400)은 제3활성탄(333)의 상부에서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410)과, 집진공간(101)에 설치되고, 구동축이 송풍팬(410)의 회전중심과 동력전달부재(벨트 등, 430)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420) 및, 송풍팬(410)의 상부와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덕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410)은 하부의 유입측으로 공기(A)가 유입되고 상부의 배출측으로 공기(A)가 배출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이 동력전달부재(430)에 의해 구동모터(420)의 구동축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회전날개로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의 배출측이 배출덕트(440)의 하단과 연통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는 송풍유닛(4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600)은 송풍유닛(400)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거나, 송풍팬(410)의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고, 송풍유닛(400)의 구동모터(4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10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구성과 동일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먼저, 도장부(10)의 도장공간(11)에서 차량 등의 외부에 도료를 분사하는 경우, 도 1에서처럼 도장공간(11)의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도료 분진(P)이 송풍유닛(400)의 흡입력에 의해 배출통로(12)를 따라 이동된 후 유입구(110)를 통해 수직하게 유입된다. 이때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도료 분진(P)이 제1필터유닛(200)을 통화하면서 1차로 필터링되고, 입자가 큰 도료 분진(P)과 도료 분진(P)에 함유된 점액 성분이 제1필터유닛(200)에 의해 포집된다.
다음으로, 제1필터유닛(200)을 통과한 도료 분진(P)과 공기(A)는 도 1에서처럼 배출통로(12)를 따라 이동하면서 본체(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집진공간(101)의 하부로 수직하게 유입되고,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도료 분진(P)은 도 5에서처럼 상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1차 필터부(310)의 포켓 필터(312)를 통과하면서 2차로 필터링되고, 도료 분진(P)에 함유된 점액 성분이 포켓 필터(312)에 의해 포집된다.
다음으로, 1차 필터부(310)의 포켓 필터(312)를 통과한 도료 분진(P)과 공기(A)는 도 5에서처럼 상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2차 필터부(320)의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하면서 3차로 필터링되고, 도료 분진(P)에 함유된 미세먼지가 카트리지 필터(322)에 의해 포집된다.
다음으로, 2차 필터부(320)의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한 도료 분진(P)과 공기(A)는 3차 필터부(330)의 제1활성탄(331)와 제2활성탄(332) 및 제3활성탄(33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4차로 필터링될 수 있다. 이때 도료 분진(P)에 함유된 유해 성분(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등)이 제1활성탄(331)과 제2활성탄(332) 및 제3활성탄(333)에 의해 순차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2차 필터부(320)의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한 도료 분진(P)과 공기(A) 중 일부는 도 5에서처럼 제1수직 유로(171)를 통해 수직하게 이동된 후, 제3활성탄(333)을 통해 송풍팬(4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2차 필터부(320)의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한 도료 분진(P)과 공기(A) 중 일부는 도 5에서처럼 제1수직 유로(171)를 통해 수직하게 이동되면서 제2간격으로 수평하게 이동된 후 제2활성탄(332)의 하부로 통과될 수 있다. 이때 제2활성탄(332)의 하부로 통과된 도료 분진(P)과 공기(A)는 제1간격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된 후 제2수직 유로(172)를 통해 수직하게 이동되어 송풍팬(4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2차 필터부(320)의 카트리지 필터(322)를 통과한 도료 분진(P)과 공기(A) 중 일부는 도 5에서처럼 제1활성탄(331)을 통과한 후 제2수직 유로(172)를 통해 수직하게 이동되어 송풍팬(4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송풍팬(410)으로 유입된 도료 분진(P)과 공기(A)는 배출덕트(440)를 따라 이동된 후 배출구(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입자가 큰 도료 분진(P)과 도료 분진(P)에 함유된 점액 성분과 미세먼지 및 유해 성분이 제거된 공기(A)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점액 성분과 미세먼지 및 유해 성분이 제거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제1차 필터부(310)와 2차 필터부(320) 및 3차 필터부(330) 중 여과 성능이 저하된 필터부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필터부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해 1차 필터부(310)와 2차 필터부(320)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제1수직 유로(171)와 제2수직 유로(172)를 통해 도료 분진(P)을 우회시킬 수 있어 3차 필터부(330)의 유입측이 쉽게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장부 11: 도장공간
12: 배출통로 100: 본체
101: 집진공간 102: 거치 프레임
110: 유입구 120: 배출구
130: 개폐부 131: 힌지부
140: 잠금부 141: 제1가이드레일
142: 제1슬라이드홈 150: 제2가이드레일
151: 제2슬라이드홈 160: 제3가이드레일
161: 제3슬라이드홈 171: 제1수직 유로
172: 제2수직 유로 200: 제1필터유닛
210: 제1프레임 210a: 제1통과홀
220: 유리섬유 필터 300: 제2필터유닛
310: 1차 필터부 311: 제2프레임
311a: 제2통과홀 312: 포켓 필터
313: 제1롤러 320: 2차 필터부
321: 제3프레임 321a: 제3통과홀
322: 카트리지 필터 323: 제2롤러
330: 3차 필터부 331: 제1활성탄
332: 제2활성탄 333: 제3활성탄
340: 제1메쉬망 350: 제2메쉬망
360: 제3메쉬망 400: 숭풍유닛
410: 송풍팬 420: 구동모터
430: 동력전달부재 440: 배출덕트
510: 제1격벽 520: 제2격벽
600: 제어유닛 A: 공기
P: 도료 분진

Claims (7)

  1. 도료 분진이 전달되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집진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도료 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제1필터유닛;
    상기 제1필터유닛의 상부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집진공간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도료 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제2필터유닛; 및
    상기 제2필터유닛의 상부영역에 구비되어 필터링된 상기 집진공간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필터유닛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도료 분진의 점액 성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1차 필터부와, 상기 1차 필터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1차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2차 필터부 및, 상기 2차 필터부의 상부에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2차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유해 성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3차 필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3차 필터부는 활성탄이 함유되고, 상기 2차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유해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1활성탄과,
    활성탄이 함유되고, 상기 제1활성탄의 상부에 제1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1활성탄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유해 성분을 필터링 하는 제2활성탄 및,
    활성탄이 함유되고, 상기 제2활성탄의 상부에 제2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2활성탄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유해 성분을 필터링 하는 제3활성탄을 포함하며,
    일측면이 상기 제1활성탄과 상기 제2활성탄의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타측면이 상기 집진공간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상방이 상기 제1간격과 연통된 제1수직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1격벽 및,
    일측면이 상기 제1격벽과 반대되는 상기 제2활성탄과 상기 제3활성탄의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타측면이 상기 집진공간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어 상방과 하방이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2간격에 각각 연통된 제2수직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은 상기 제1수직 유로와 상기 제1활성탄 및 상기 제2활성탄의 일측을 양측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격벽의 상단은 상기 제2활성탄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제2수직 유로와 상기 제2활성탄 및 상기 제3활성탄의 일측을 양측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2격벽의 상단은 상기 제3활성탄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며,
    상기 집진공간에는 상기 제1활성탄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1메쉬망이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 분진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메쉬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집진공간에는 상기 제2활성탄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2메쉬망이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메쉬망은 상기 제1메쉬망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도료 분진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메쉬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집진공간에는 상기 제3활성탄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3메쉬망이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메쉬망은 상기 제2메쉬망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도료 분진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메쉬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진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폐부와,
    상기 집진공간의 내부에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필터유닛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제1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1차 필터부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제2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2차 필터부의 양측을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제3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진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유닛은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제1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양측이 상기 제1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통과홀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도료 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유리섬유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진 집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제2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양측이 상기 제2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통과홀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내부에 하부로 개방된 포집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점액 성분을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포켓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 필터는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폭방향을 따라 다수가 연결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진 집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제3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며, 양측이 상기 제3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3프레임 및,
    상기 제3통과홀의 내주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상기 1차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도료 분진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면서 상부로 통과시키는 카트리지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진 집진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10050339A 2021-04-19 2021-04-19 도료 분진 집진장치 KR10230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39A KR102307329B1 (ko) 2021-04-19 2021-04-19 도료 분진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39A KR102307329B1 (ko) 2021-04-19 2021-04-19 도료 분진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329B1 true KR102307329B1 (ko) 2021-10-01

Family

ID=7860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339A KR102307329B1 (ko) 2021-04-19 2021-04-19 도료 분진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692B1 (ko) 2023-02-09 2023-10-11 한철윤 규조토 분말 살포 유닛을 장착한 집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005Y1 (ko) * 2002-03-29 2002-07-02 김장현 도장부스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100603810B1 (ko) * 2005-07-23 2006-07-24 (주)티알이엔씨 도장설비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101179791B1 (ko) * 2012-06-28 2012-09-04 고상옥 Uv도료분진의 집진장치
KR102125307B1 (ko) * 2020-03-23 2020-06-22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도장부스용 집진 및 탈취장치
KR102129529B1 (ko) * 2018-12-14 2020-07-02 주식회사 썬프라 도료 분진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005Y1 (ko) * 2002-03-29 2002-07-02 김장현 도장부스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100603810B1 (ko) * 2005-07-23 2006-07-24 (주)티알이엔씨 도장설비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101179791B1 (ko) * 2012-06-28 2012-09-04 고상옥 Uv도료분진의 집진장치
KR102129529B1 (ko) * 2018-12-14 2020-07-02 주식회사 썬프라 도료 분진 집진장치
KR102125307B1 (ko) * 2020-03-23 2020-06-22 (주)케이에스지기술환경 도장부스용 집진 및 탈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692B1 (ko) 2023-02-09 2023-10-11 한철윤 규조토 분말 살포 유닛을 장착한 집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7452C2 (ru) Фильт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окрасоч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фильтрующей установки
EP2390607B1 (en) Method for supplying air into a spray booth (embodiments) and a ventilation uni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embodiments)
RU25020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тяжки испарений и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таковое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ля одного блок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102125307B1 (ko) 도장부스용 집진 및 탈취장치
KR102307329B1 (ko) 도료 분진 집진장치
KR101951569B1 (ko) 무덕트형 공기청정 환기장치
JP2523214B2 (ja) 塗料除去処理用洗浄設備
JP4656608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CA1157783A (en) Self-cleaning pulsed air cleaner
JP6542850B2 (ja) 自動扉除塵装置及び自動扉
JP3345405B1 (ja) 自動車用の循環式塗装ブース装置
JPH0450100A (ja) 航空機用作業設備
JP7336093B2 (ja) 微少粉塵・ヒューム捕集装置および汚染空気回収機構
KR101972219B1 (ko) 환기용 공기청정장치
AU637499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use in aeroplane hanger
JP6364510B2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KR200479561Y1 (ko) 이중에어커튼이 구비된 클린부스
KR101656495B1 (ko) 비산먼지 저감형 친환경 샌딩부스
KR102223389B1 (ko) 2차 필터장치가 구비된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1174712B1 (ko)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KR102243489B1 (ko) 하이브리드 오일미스트 집진장치
KR20190113516A (ko)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101064919B1 (ko) 일방향 공기 흐름을 제공하는 도장부스용 도어
CA1126566A (en) Biological safety cabinet having jet air inflow barrier
KR20030050816A (ko) 스트립 그라인더 미스트오일집진기의 오일흄 포집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