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176B1 - 원단 권출 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권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176B1
KR102306176B1 KR1020210066592A KR20210066592A KR102306176B1 KR 102306176 B1 KR102306176 B1 KR 102306176B1 KR 1020210066592 A KR1020210066592 A KR 1020210066592A KR 20210066592 A KR20210066592 A KR 20210066592A KR 102306176 B1 KR102306176 B1 KR 10230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housing
shaft
sens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문
Original Assignee
임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문 filed Critical 임병문
Priority to KR102021006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65H26/0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determined lengths of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3Housings with openings for delivering material, e.g. for dispens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7/00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220/00 – B65H2406/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65H2407/10Safety means, e.g. for preventing injuries or illegal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을 권출하는 회전축, 권출된 원단을 거치하는 거치대,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 원단을 권출하기 위한 구성들이 설치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원단의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교체 알람 모듈 및 회전축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이 구비된 원단 권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원단 권출 장치{Fabric un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원단 권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권출하는 회전축, 권출된 원단을 거치하는 거치대,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 원단을 권출하기 위한 구성들이 설치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원단의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교체 알람 모듈 및 회전축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이 구비된 원단 권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원단을 제조하는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원단을 형성하기 위한 원단지를 공급하는 다수의 공급 롤러 및 이를 이송하는 이송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원단을 원단지에 형성하도록 액체 상의 원단을 도포하는 도포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도포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건조 수단도 구비할 수 있다. 플라스틱 원단을 제조한 후 합지 또는 코팅을 하기 위한 코팅 수단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건조된 원단을 회수하여 권취시키는 권취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가 동작하면서 종래의 기술은 권취롤러의 회전속도에 따른 마찰력 증가로 인해 플라스틱 원단이 꼬여버리거나, 원단이 권취롤러에서 풀려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권취롤러가 권출을 마친 경우 원단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항시 작업자가 권취롤러 근처에서 권출량을 확인해야 하는 인력낭비가 되었다.
또한 권출량에 관계없이 권취롤러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권출량에 따른 권취롤러의 마찰력 증가하여 파손될 우려를 대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이 장착된 회전축, 권출되어 펼쳐진 원단을 거치하는 거치대 및 회전축을 장착하여 회전하도록 하고 측방향으로 원단을 인출하는 본체가 구비된 원단 권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취부, 보조권취부 및 제어부가 포함된 하우징이 구비된 원단 권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단의 권출량이 일정량 초과하게 되면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교체 알람 모듈이 구비된 원단 권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축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이 구비된 원단 권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는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원단이 장착된 회전축, 권출되어 펼쳐진 상기 원단을 거치하는 거치대 및 상기 회전축을 장착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원단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단 권출 장치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결합하면서, 상기 회전축의 폭 너비만큼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된 제2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권취축을 포함하는 권취부, 상기 권취축에 설치되어 원단의 말단 부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원단을 감는 보조권취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단의 권출량이 기설정된 입력범위에 못 미칠 경우 원단 교체를 알려주는 교체 알람 모듈, 상기 회전축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롤 형상의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 및 상기 권취부 및 보조권취부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센서, 회전축, 권취축 등을 제어하고, 상기 교체 알람 모듈과 연동되어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면에 원단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보조단 및 상기 보조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단을 회전 동작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단은, 회전하면서 원단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조하거나, 회전을 정지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측면에 밀착된 상기 원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회전축에서 풀려 하단으로 이동된 원단을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권취축의 회전에 의해 설정된 횟수만큼 회전하여 원단을 감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권취부는, 상기 권취축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원단을 잡아 회전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롤러, 하단으로 이동된 원단의 좌, 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상기 권취축에서 폭 방향으로 두 갈래를 이루며 서로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신호를 보조하는 한 쌍의 센서연장축, 한 쌍의 가이드축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가이드축의 일정 이격 거리를 통과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단의 단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권취축은, 성가 위치센서가 원단의 말단을 감지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자석에 자기장 공급과 중단을 반복하여 상기 원단을 잡아 상기 가이드롤러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체 알람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원단과 접촉하는 감지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재의 타단과 상기 원단과의 접촉 시에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고정축에 의해 상기 감지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원단과 접촉하는 원단 접촉단, 상기 중심축의 타측에 연장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접촉하는 센서 접촉단, 상기 고정축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접촉단이 상기 감지센서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LED 빛을 발광하는 램프 및 상기 감지센서, 상기 램프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은, 일정 두께의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폭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부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조절 모듈,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또 다른 상면부와 상기 회전축의 타일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조절 모듈, 상기 제1 조절 모듈과 제2 조절 모듈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가진 각각의 조절나사, 상기 조절나사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 및 상기 제1 조절 모듈과 제2 조절 모듈의 조절나사에 체결된 힌지가 상기 회전축의 하면부에 설치된 힌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하우징의 체결핀 삽입홈에 삽입되어 슬립되면서 유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각도가 조절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단을 권출하는 회전축, 권출된 원단을 거치하는 거치대,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 원단을 권출하기 위한 구성들이 설치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원단의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교체 알람 모듈 및 회전축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모듈이 구비된 원단 권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회전축, 거치대, 본체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제외한 세부적인 구성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교체 알람 모듈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교체 알람 모듈의 연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교체 알람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조절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세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회전축, 거치대, 본체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0)는 회전축(121), 거치대(20) 및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21)은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원단(A)가 장착될 수 있어서 일정하게 회전하면서 원단(A)을 권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거치대(20)는 회전축(121)에서 권출되는 원단(A)를, 제단을 위한 이송이 용이하도록 풀어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0)는 회전축(121)을 장착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원단(A)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거치대(20)를 통과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제외한 세부적인 구성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원단 권출 장치(0)는 하우징(110), 권취부(130), 보조권취부(140), 교체 알람 모듈(200), 높이 조절 모듈(30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본체(10)와 일체로 결합하면서, 회전축(121)의 폭 너비만큼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보조단(112) 및 제1 모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단(112)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원단(A)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원단을 감아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보조단(112)은 회전하면서 상기 원단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조하거나,
회전을 정지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측면에 밀착된 상기 원단을 고정시키고,
회전축(121)에서 풀려 하단으로 이동된 상기 원단을 위치센서(150)가 감지하면 권취축(132)의 회전에 의해 설정된 횟수만큼 회전하여 원단을 감는다.
제1 모터(113)는 상기 보조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단을 회전 동작을 시킨다.
권취부(130)는 하우징(110)의 하측에 설치된 제2 모터(131)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권취축(132)을 포함할 수 있다.
권취축(132)은 위치센서(150)가 원단의 말단을 감지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회전하도록 하고,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전자석에 자기장 공급과 중단을 반복하여 상기 원단을 잡아 가이드롤러(141)에 밀착되도록 한다.
보조권취부(140)는 권취축(132)에 설치되어 원단(A)의 말단 부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50)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원단을 감는 동작을 수행한다.
보조권취부(140)는 가이드롤러(141), 센서연장축(151) 및 위치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롤러(141)는 권취축(132)에 설치되어 위치센서(1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원단(A)을 잡아 회전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연장축(151)은 하단으로 이동된 상기 원단의 좌, 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권취축(132)에서 폭 방향으로 두 갈래를 이루며 서로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위치센서(150)는 한 쌍의 가이드축(142)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가이드축의 일정 이격 거리를 통과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원단의 단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권취부(130) 및 보조권취부(140)와 연결되어 위치센서(150), 회전축(121), 권취축(132) 등을 제어하고, 교체 알람 모듈(200)과 연동되어 감지센서(2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통신부(161)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구성들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원단이 회전축에 거치되어 권출이 시작되면 회전축이 회전을 한다.
이때 제1 모터가 동작하면서 보조단이 하우징과 원단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감아 하우징의 하단부로 팽팽하게 권출하게 된다.
만약 원단 권출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정지할 시, 보조단은 회전을 정지하여 원단을 하우징의 내부에 밀착 고정시킨다.
원단이 권출되면서, 위치센서가 원단을 감지하여 보조단이 권취축과 똑같은 회전 횟수를 수행하게 된다.
가이드롤러는 위치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원단을 잡아 제어부에 의해 전자석에 자기장의 공급과 중단을 반복하며 회전한다.
동시에 센서연장축이 권출되는 원단을 감지하여 위치센서의 감지신호를 보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렇게 권출된 원단은 거치대에 풀린 상태로 걸쳐져 있어 다음 공정으로 원단을 이송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교체 알람 모듈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교체 알람 모듈의 연결도를 나타낸 것이다.
교체 알람 모듈(20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단(A)의 권출량이 기설정된 입력범위에 못 미칠 경우 원단 교체 시기를 알려준다.
교체 알람 모듈(200)은 감지부재(220), 감지센서(230), 중심축(222), 원단 접촉단(223), 센서 접촉단(224), 탄성부재(226) 램프(170) 및 전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재(2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원단(A)과 접촉할 수 있다.
감지센서(2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재의 타단과 원단이 접촉 시에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중심축(222)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고정축(210)에 의해 감지부재(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원단 접촉단(223)은 중심축(222)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원단과 접촉한다.
센서 접촉단(224)는 상기 중심축의 타측에 연장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접촉한다.
탄성부재(226)는 고정축(210)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접촉단이 상기 감지센서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램프(170)는 하우징(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LED 빛을 발광하여 교체 시기를 알려줄 수 있다.
전원부(180)는 상기 감지센서, 상기 램프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교체 알람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교체 알람 모듈의 구성들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원단이 권출되면서 중심축이 회전하여 원단 접촉단이 원단에 맞닿아 원단을 감지하게 된다.
원단의 권출량이 아직 충분치 않다면, 센서 접촉단의 말단에 구비된 접촉면이 감지센서에 닿지 않아 교체 알람 모듈이 동작하지 않는다.
만약 원단의 권출량이 충분하게 되어, 센서 접촉단이 감지센서에 닿게 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램프에 LED 빛을 발광하도록 하고,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에 교체 시기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높이 조절 모듈(300)은 베이스플레이트(310), 제1 조절 모듈(320), 제2 조절 모듈(330), 조절나사(B)(B'), 조절부(335) 및 힌지하우징(34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310)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을 가지며, 본체(10)의 폭과 회전축(121)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조절 모듈(320)은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면부와 회전축(121)의 일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절 모듈(330)은 베이스플레이트(310)의 또 다른 상면부와 회전축(121)의 타일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상기 제1 조절 모듈과 마찬가지로 조절할 수 있다.
조절나사(B)(B')는 상기 제1 조절 모듈과 제2 조절 모듈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가질 수 있어 조절부(335)와 체결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335)는 상기 조절나사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조절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힌지하우징(342)는 상기 제1 조절 모듈 및 제2 조절 모듈의 조절나사에 체결된 힌지(341)가 상기 회전축의 하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세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높이 조절 모듈은, 상기 힌지하우징의 체결핀 삽입홈(343)에 삽입되어 슬립되면서 유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권출 장치의 높이 조절 모듈의 구성들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조절 모듈 및 제2 조절 모듈은 조절나사의 풀림과 조임의 동작에 의해 조절부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회전축의 높이가 상, 하로 조절된다.
이때, 제1 조절 모듈 및 제2 조절 모듈의 회전축 높이 조절을 하는 시기는, 각각의 회전축에 걸린 원단의 권출량에 따라 권출에 방해받지 않도록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높이 조절 모듈의 동작은 상기한 교체 알람 모듈 및 원단 권출 장치의 전체적인 권출 동작과 대응하여 수행하며, 이를 따로 독립적으로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0 : 원단 권출 장치
10 : 본체
20 : 거치대
110 : 하우징
120 : 공급부
130 : 권취부
140 : 보조권취부
150 : 위치센서
160 : 제어부
200 : 교체 알람 모듈
210 : 고정축
220 : 감지부재
230 : 감지센서
300 : 높이 조절 모듈
310 : 베이스플레이트
320 : 제1 조절 모듈
330 : 제2 조절 모듈
340 : 체결핀

Claims (4)

  1.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원단이 장착된 회전축;
    권출되어 펼쳐진 상기 원단을 거치하는 거치대; 및
    상기 회전축을 장착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원단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를 포함하는 원단 권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 권출 장치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결합하면서, 상기 회전축의 폭 너비만큼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된 제2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권취축을 포함하는 권취부;
    상기 권취축에 설치되어 원단의 말단 부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원단을 감는 보조권취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단의 권출량이 기설정된 입력범위에 못 미칠 경우 원단 교체를 알려주는 교체 알람 모듈; 및
    상기 권취부 및 보조권취부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센서, 회전축, 권취축 등을 제어하고, 상기 교체 알람 모듈과 연동되어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면에 원단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보조단; 및
    상기 보조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단을 회전 동작시키는 제1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단은,
    회전하면서 원단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조하거나,
    회전을 정지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방 내측면에 밀착된 상기 원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회전축에서 풀려 하단으로 이동된 원단을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권취축의 회전에 의해 설정된 횟수만큼 회전하여 원단을 감되,
    상기 보조권취부는,
    상기 권취축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원단을 잡아 회전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롤러;
    하단으로 이동된 원단의 좌, 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상기 권취축에서 폭 방향으로 두 갈래를 이루며 서로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신호를 보조하는 한 쌍의 센서연장축;
    한 쌍의 가이드축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가이드축의 일정 이격 거리를 통과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단의 단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축은,
    성가 위치센서가 원단의 말단을 감지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자석에 자기장 공급과 중단을 반복하여 상기 원단을 잡아 상기 가이드롤러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교체 알람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원단과 접촉하는 감지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재의 타단과 상기 원단과의 접촉 시에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고정축에 의해 상기 감지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원단과 접촉하는 원단 접촉단;
    상기 중심축의 타측에 연장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접촉하는 센서 접촉단;
    상기 고정축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접촉단이 상기 감지센서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LED 빛을 발광하는 램프; 및
    상기 감지센서, 상기 램프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원단 권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66592A 2021-05-25 2021-05-25 원단 권출 장치 KR10230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92A KR102306176B1 (ko) 2021-05-25 2021-05-25 원단 권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92A KR102306176B1 (ko) 2021-05-25 2021-05-25 원단 권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176B1 true KR102306176B1 (ko) 2021-09-27

Family

ID=7792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592A KR102306176B1 (ko) 2021-05-25 2021-05-25 원단 권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1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633Y1 (ko) * 1997-09-05 2000-10-02 김종철 연단기
JP2011046476A (ja) * 2009-08-26 2011-03-10 Seiko Instruments Inc 巻弛み防止装置、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KR101871793B1 (ko) * 2017-01-13 2018-06-27 (주)부전 원단 포장장치
KR101918560B1 (ko) * 2018-06-07 2019-02-08 박현섭 원단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633Y1 (ko) * 1997-09-05 2000-10-02 김종철 연단기
JP2011046476A (ja) * 2009-08-26 2011-03-10 Seiko Instruments Inc 巻弛み防止装置、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KR101871793B1 (ko) * 2017-01-13 2018-06-27 (주)부전 원단 포장장치
KR101918560B1 (ko) * 2018-06-07 2019-02-08 박현섭 원단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35120A1 (en) Label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14135106A1 (zh) 自动伸缩贴标头装置、滚动贴标机及滚动贴标方法
EP2441718A2 (en) Yarn winding apparatus
KR102306176B1 (ko) 원단 권출 장치
JP6675133B2 (ja) ラベル貼付け装置
JP5269229B2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KR101577268B1 (ko)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US7122092B2 (en) Label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370377B1 (ko) 벽지 길이센서가 구비된 풀바름기
JP2007112594A (ja) テープの引き出し装置
JP2008029907A (ja) 面状製品の両面クリーニング方法と両面クリーニング装置
EP1619129A1 (en) A device for feeding labels to labelling machines
JP2011116461A (ja) ラベル貼付装置
KR101403475B1 (ko) 원단의 사행방지장치
KR200163996Y1 (ko) 섬유코팅기의코팅날점프장치
JP3697799B2 (ja) ロールシートの巻出し装置
BR112018008724B1 (pt) Dispositivo para o transporte de fita de fibras e disposição que pode ser formada com isso
JP2023085055A (ja) 孔塞ぎシール貼着装置及び孔塞ぎシールの貼着方法
JP7096005B2 (ja) テープ巻き取り装置
KR200371622Y1 (ko) 와인딩기
JPH07330197A (ja) 送り装置
JP2541269Y2 (ja) 長尺状紙の巻き取り装置
KR200288264Y1 (ko) 원사분리용 분사 정경시스템의 텐션유지장치의 토크모터제어장치
KR200342953Y1 (ko) 플로터용 롤인쇄지의 자동 급지장치
KR20230063383A (ko) 물 테이프 테이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