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633Y1 - 연단기 - Google Patents

연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633Y1
KR200183633Y1 KR2019970025326U KR19970025326U KR200183633Y1 KR 200183633 Y1 KR200183633 Y1 KR 200183633Y1 KR 2019970025326 U KR2019970025326 U KR 2019970025326U KR 19970025326 U KR19970025326 U KR 19970025326U KR 200183633 Y1 KR200183633 Y1 KR 200183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
supplied
rolls
p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259U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2019970025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633Y1/ko
Publication of KR9700622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2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단기(Cloth Spreader)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2롤(Roll) 또는 2절, 또는 1롤과 1절의 원단 롤/절로부터 연속하여 동시에 적어도 2줄 이상의 원단을 연단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연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단기는 1롤의 원단으로부터 1장의 연단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단 속도의 저하와, 대칭을 요하는 재단을 위해서 필요한 연단기의 회전/왕복 작동공간의 확보문제, 연단작업의 능률저하,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연단기 설치공간의 제약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한다.
본 고안의 연단기는; 원단 테이블위에서 왕복 진행하면서, 원단 롤/또는 절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원단 테이블위에 펼쳐서 연단처리하는 연단기에 있어서, 적어도 2롤/또는 절 형태의 원단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원단 테이블위에 펼치기 위하여, 원단을 동시에 공급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원단공급수단과,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원단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적어도 2장 이상 동시에 층층이 턴테이블위에 펼치는 연단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연단기로서, 적어도 2롤/또는 절 이상의 연단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연단 속도의 향상과 작업능률 및 생산성 향상, 기기 설치공간의 제약 해소를 기하였다.

Description

연단기
본 고안은 연단기(Cloth Spreader)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직물 연단기(Woven Cloth Spreader)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2롤(Roll) 또는 2절, 또는 1롤과 1절의 원단 롤/절로부터 연속하여 동시에 적어도 2줄 이상의 원단을 연단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직물 연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직물 연단기의 개략적인 구성과 그 동력 전달 계통을 도1과 도2에 각각 나타내었다.
먼저, 종래의 직물 연단기의 구성부터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연단 테이블(101)위에 탑재되어 전후진 하기 위한 바퀴(102)가 설치된 연단기 하측몸체(103)가 구비되고, 이 연단기 하측몸체(103)의 상부에 탑재되는 연단기 상부몸체(104)의 후방에는 지지대(105)의 상측에 봉(106)이 중앙을 관통하는 롤 상태의 원단(107)이 얹혀져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있고, 여기서 풀려나온 원단을 연단 테이블위로 공급하는 공급롤러(108)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급 롤러(108)의 회전력에 의해서 원단 테이블위로 공급되는 원단의 원활한 공급 안내와 적절한 탄력을 주기위한 각종 축들(109,110)이 설치되며, 원단 공급용 롤러(108)로 진입하는 원단의 자세를 바로잡고(롤러에 원단이 감겨있는 상태 유지기능) 적절한 탄력을 주기위한 원단 누름대(111)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다.
그리고, 지지대(105)의 상부에 봉(106)으로 탑재하기 어려운 원단 롤을 올려놓고 원단을 풀어주기 위한 한쌍의 롤러(112)가 연단기 상부몸체(104)에 설치되어 있다.
도2는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단기에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계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2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구성요소는 도1을 기준으로 볼때 연단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이고, 점선으로 나타낸 구성요소는 후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연단기 하부몸체(103)내에는 동력원인 전동기(201), 전동기(201)로부터 체인(202)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프리기어(203), 프리기어와 연결되는 축(204)을 통해서 변속을 담당할 변속기(205), 변속기(205)를 통과하면서 적절한 속도로 조절된 동력을 축(206)을 통해서 전달받는 기어(207), 기어(207)의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클러치(208) 등의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연단기 상부몸체(104)에는 상기 클러치(208)에 의해서 단속되는 동력을 기어를 통해서 전달받기 위한 구동기어(209)가 설치되고, 구동기어(209)로부터 축(210)과 기어(213) 및 체인(211)을 통해서 원단 공급롤러(108)의 회전구동용 기어(212)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도1 및 도2의 종래 연단기의 동작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단 롤(107)이 봉(106)에 끼워져서 지지대(105)위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거나, 또는 봉없이 롤러(112)위에 얹혀져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다.
원단 롤(107)의 선단에서 인출되는 원단(107a)은 원단 누름대(111)로 눌려지면서 원단공급롤러(108)위를 지나 축(109,110)들의 안내를 받아 원단 테이블(101)상에 초기 연단 위치로 놓이게 한다.
전동기(201)가 구동되면 도2의 동력전달계통(202∼213)을 통해서 전동기의 구동력이 원단공급롤러(108)로 공급된다.
원단공급롤러(108)가 구동되면 봉(106)에 기워져 있는 원단롤(107)로부터 원단이 풀려나오면서 원단 테이블(101)위로 연속하여 공급되는데, 이때 도시 생략된 통상의 동력전달계통에 의해서 바퀴(102)가 구름운동하게 된다.
바퀴(102)의 구름운동에 의해서 연단기(103,104)는 원단 테이블(101)상부를 진행하게 되고, 그 진행에 대응하여 원단(107a)이 연속하여 공급되면서 원단 테이블(101)위에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연단기(103,104)가 원단 테이블(101)위를 왕복하여 작동하는데 따라 층층이 원단(107a)이 테이블위에 펼쳐져서 쌓이게 한다.
연단 방법은 직물의 섬유 모의 방향성, 재단할 제품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편도 1회의 반복적인 연단, 또는 왕복하면서 연속적인 연단, 연단 1사이클의 종료시마다 절단처리 또는 연속하여 지그재그로 층층이 연단하는 등의 방법이 적절하게 구사된다.
종래의 연단기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1롤의 원단으로부터 1장의 연단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1롤만 연단할 수 있기 때문에 연단속도가 떨어진다.
그리고, 대칭을 요하는 재단을 위해서 종래에는 연단 롤러부분(상부몸체)가 180도 회전(턴테이블 방식의 기기의 경우)하는 제어와 작동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연단 속도는 더욱 떨어지고, 연단 테이블의 종단까지 원단을 펼친다음에는 나머지 원단을 되감고 180도 회전한 다음에 다시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는데 필요한 작업 공간이 요구된다.
이 것은 연단작업의 능률저하,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연단기 설치공간의 제약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2장 이상의 연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연단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적어도 2롤/또는 절 이상의 원단롤로부터 동시에 원단을 공급받아 적어도 2장 이상의 원단을 원단 테이블위에 연속하여 연단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연단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직물 연단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직물 연단기의 동력전달 계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직물 연단기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직물 연단기의 동력전달 계통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의 연단기는; 원단 테이블위에서 왕복 진행하면서, 원단 롤/또는 절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원단 테이블위에 펼쳐서 연단처리하는 연단기에 있어서, 적어도 2롤/또는 절 형태의 원단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원단 테이블위에 펼치기 위하여, 원단을 동시에 공급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원단공급수단과,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원단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적어도 2장 이상 동시에 층층이 턴테이블위에 펼치는 연단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2롤의 동시 연단을 가능하게 하는 연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4는 도3의 동력전달 계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3 및 도4에서 상기 종래의 도1 및 도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고, 그에 따른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의 직물 연단기의 일실시예에서 2롤의 동시 연단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 2 의 원단 공급을 위한 롤지지대(113)위에 봉(114)에 끼운 제 2 의 롤(115)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제 2 의 롤(115)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원단 테이블위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의 원단공급롤러(116)가 설치되며, 이 제 2 의 원단공급롤러(116)에 진입하는 원단을 롤러에 감겨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회동 가능한 제 2 의 원단 누름대(117)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의 원단롤(107)에 의한 원단(107a)과 동시에 제 2 의 원단롤(115)에 의한 원단(115a)이 복수로 2장씩 동시에 원단 테이블(101)위에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제 2 의 원단을 봉에 끼울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한쌍의 롤러(112)와 같은 제 2 의 한쌍의 롤러를 원단 공급수단으로서 1조 더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4는 상기 도3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동력전달계통으로서 체인(214)을 통해서 제 2 의 원단공급롤러(116)가 회전 구동되도록 롤러(116)회전 구동용 기어(215)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단기에 의한 연단 동작은 다음과 같다.
원단 롤(107)(115)이 봉(106)(114)에 끼워져서 지지대(105)(113)위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거나, 또는 봉없이 롤러(112) 및 한쌍의 제 2 조 롤러위에 얹혀져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다.
원단 롤(107)(115)의 선단에서 인출되는 원단(107a)(115a)은 원단 누름대(111)(117)로 눌려지면서 원단공급롤러(108)(116)위를 지나 축(109,110)들의 안내를 받아 원단 테이블(101)상에 초기 연단 위치로 놓이게 한다.
전동기(201)가 구동되면 도2의 동력전달계통(202∼213)(202∼215)을 통해서 전동기의 구동력이 원단공급롤러(108)(116)로 공급된다.
원단공급롤러(108)(116)가 구동되면 봉(106)(114)에 기워져 있는 원단롤(107)(115)로부터 원단이 풀려나오면서 원단 테이블(101)위로 연속하여 공급되는데, 이때 도시 생략된 통상의 동력전달계통에 의해서 바퀴(102)가 구름운동하게 된다.
바퀴(102)의 구름운동에 의해서 연단기(103,104)는 원단 테이블(101)상부를 진행하게 되고, 그 진행에 대응하여 원단(107a)(115a)이 연속하여 공급되면서 원단 테이블(101)위에 한번에 2장씩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연단기(103,104)가 원단 테이블(101)위를 왕복하여 작동하는데 따라 층층이 원단(107a)(115a)이 테이블위에 펼쳐져서 쌓이게 한다.
연단 방법은 직물의 섬유 모의 방향성, 재단할 제품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편도 1회의 반복적인 연단, 또는 왕복하면서 연속적인 연단, 연단 1사이클의 종료시마다 절단처리 또는 연속하여 지그재그로 층층이 연단하는 등의 방법이 적절하게 구사된다.
예를 들어, 제 1 의 원단롤(107)과 제 2 의 원단롤(115)이 서로 다른 섬유 모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상호 대칭적인 상태로 한번에 2장씩 연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 연단기는 직물용을 예로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니트용 연단기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절형태로 구성된 원단을 연단하는 경우에는 절형태의 원단을 재치하기 위한 절받침대(절형태의 원단 수납부), 그리고 이 절받침대의 원단을 상기 원단공급롤러 까지 원활하게 이송한내하기 위한 롤러등을 2조 설치하면 간단하게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서 설계/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연단기는, 2롤 또는 2롤 이상의 롤원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한번에 2장 또는 2장 이상의 연단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연단속도의 향상,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이 확보된다.
또한, 본 고안의 연단기는, 감김 형태가 서로다른 원단 예를 들면, 1롤과 1절 형태의 원단으로부터 복수장의 연단을 한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단기는, 절형태의 원단을 적어도 2장 이상 연속하여 한번에 연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단기는, 적어도 2롤/또는 2절 이상의 원단을 한번에 적어도 2장 이상 연단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직물의 섬유 모의 방향성 등에 따른 연단기의 회전구동 설계나 제작, 또한 그에 따른 작업과 설치 공간의 확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Claims (3)

  1. 전동기의 동력으로 기어와 체인의 동력전달계통을 가지고 원단 테이블위에서 왕복 진행하면서, 원단 롤/또는 절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원단 테이블위에 펼쳐서 연단처리하는 연단기에 있어서,
    2롤이나 절 형태의 원단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원단 테이블 위에 동시에 2겹씩 펼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원단롤이나 절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2겹으로 동시에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원단 공급수단과; 상기 2개의 원단 공급수단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원단을 2겹씩 동시에 층층이 원단 테이블 위에 펼치는 연단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연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공급수단은 롤형태의 제 1 원단롤과, 롤형태의 제 2 원단롤과, 상기 원단롤들을 봉에 끼워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단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원단롤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회전력에 의해서 소정 속도로 이송시키는 제 1 원단공급롤러와, 상기 제 2 원단롤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회전력에 의해서 소정 속도로 이송시키는 제 2 원단공급롤러로 구성된 연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원단롤은 회전하는 한쌍의 롤러 2조 위에 각각 얹혀진 상태로 원단을 공급하는 연단기.
KR2019970025326U 1997-09-05 1997-09-05 연단기 KR200183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326U KR200183633Y1 (ko) 1997-09-05 1997-09-05 연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326U KR200183633Y1 (ko) 1997-09-05 1997-09-05 연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259U KR970062259U (ko) 1997-12-10
KR200183633Y1 true KR200183633Y1 (ko) 2000-10-02

Family

ID=1950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326U KR200183633Y1 (ko) 1997-09-05 1997-09-05 연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63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32B1 (ko) * 2008-04-21 2010-10-04 이용인 원단 펼침 캐리어
KR101661294B1 (ko) 2015-07-30 2016-09-29 주식회사 비엠오 주름 및 에어포켓 방지형 연단기 및 그 연단방법
KR20200073779A (ko) 2018-12-14 2020-06-24 (주)스템코 라인이미지스캐너를 포함하는 연단기
KR102306176B1 (ko) * 2021-05-25 2021-09-27 임병문 원단 권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32B1 (ko) * 2008-04-21 2010-10-04 이용인 원단 펼침 캐리어
KR101661294B1 (ko) 2015-07-30 2016-09-29 주식회사 비엠오 주름 및 에어포켓 방지형 연단기 및 그 연단방법
KR20200073779A (ko) 2018-12-14 2020-06-24 (주)스템코 라인이미지스캐너를 포함하는 연단기
KR102306176B1 (ko) * 2021-05-25 2021-09-27 임병문 원단 권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259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9927B1 (en) Teaseling and/or fluffing machine for fabric and knit-work with tension control
US4825622A (en) Apparatus for selecting and feeding web material
KR200183633Y1 (ko) 연단기
JP2657155B2 (ja) 短尺経糸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NZ201963A (en) Mill roll stand
JPS6143271B2 (ko)
DE383506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beidseitig beschichteten wellpappenbahn
CN114960095B (zh) 一种基于窗帘布生产的熨烫设备
US5167054A (en) Fabric softening apparatus and method
DE2025976A1 (ko)
JPS6236275A (ja) 延反機
KR200434506Y1 (ko)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US3676270A (en) Machine for processing of web stock particularly of thermoplastic synthetic plastic material
US3082715A (en) Cloth folding and stitching device
JPH0571386B2 (ko)
US3604078A (en) Web feed advance and retard control means
US5163969A (en) Fabric softening method
CN210796837U (zh) 一种新型的送纬装置
KR0136949B1 (ko) 직물 원단 표면 가공장치
CN214495136U (zh) 一种分切收卷装置
KR200183634Y1 (ko) 원단펼침장치
EP0463312B1 (en) Device for the selective insertion of different types of cardboard
JP2002138337A (ja) 直巻きサンプル整経機
KR960001094Y1 (ko) 환편물용 확폭형틀
KR100213700B1 (ko) 제품용 캐비넷의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