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654B1 -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 Google Patents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654B1
KR102305654B1 KR1020190050013A KR20190050013A KR102305654B1 KR 102305654 B1 KR102305654 B1 KR 102305654B1 KR 1020190050013 A KR1020190050013 A KR 1020190050013A KR 20190050013 A KR20190050013 A KR 20190050013A KR 102305654 B1 KR102305654 B1 KR 102305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noise
fine dust
harmful substance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251A (ko
Inventor
정춘숙
노상선
Original Assignee
(주)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셈텍 filed Critical (주)셈텍
Priority to KR102019005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65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4Passiv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통신 기술이 적용된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다수의 소음간섭홀과 가이드본체를 통과하면서 반사, 회절, 간섭 현상에 의해 소멸되어 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기중에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면서 대기중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함으로써, 대기중에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 대기상태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ICT AMALGAMATE SOUNDPROOF WALL FOR PRODUCING FINE DUST}
본 발명은 정보통신 기술이 적용된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공해 중에서도 차량의 소음공해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편을 겪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로나 철도 등의 차량의 이동통로의 가장자리에는 방음벽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방음벽은 차량의 이동통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차량에 의한 소음이 주변의 주택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방음벽은 지면에 세워지는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방음판을 적층 결합하여 도로 또는 철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역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방음판은 흡음형, 차음형, 투명형 등이 있으며, 통상 흡음형 방음판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음판은 패널 형태의 판상으로 구비되어 그 전면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이 방음판의 표면에 부딪혀 반사되는 구조로, 소음이 흡수되지 못하고 반사되는 경우 오히려 주변 소음을 더욱 크게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산업단지 배출가스 등 다양한 원인 중에서도, 특히 차량의 배기 가스로 인해 미세먼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의 연간 10μm 이하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6만톤에 달하며, 이 중 초미세먼지는 2만톤이며, 초미세먼지의 하루 배출량은 약 27톤이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지름 2.5 μm 이하의 초미세먼지, 지름 10 μm 이하의 미세먼지 및 지름 50 ~ 70 μm의 머리카락 정도 굵기의 먼지로 나눌 수 있다.
미세먼지의 성분은 황사, 자동차 가스, 산업단지 배출가스 등 발생 원인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Ti, V, Ni, Cu와 같은 전이금속인 중금속류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류를 포함하고 있어 기관지염, 후두염, 피부염 등 피부 질환의 원인이 되며, 안구 염증을 가져올 뿐 아니라, 특히 인체로 유입된 미세먼지는 인체 외부로 배출되지 않다는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뚜렷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3310호(2009. 10. 16 등록)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258호(2019. 01. 30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다수의 소음간섭홀과 가이드본체를 통과하면서 반사, 회절, 간섭 현상에 의해 소멸되어 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대기중에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면서 대기중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함으로써, 대기중에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 대기상태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흡음필터모듈; 상기 흡음필터모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소음을 반사 및 굴절시키면서 상승되는 상기 대기 유해물질을 상부로 가이드하는 방음모듈; 및 상기 방음모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유도벽과, 상기 유도벽에 이격설치되어 상승되는 상기 대기 유해물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유도벽과 가이드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상단필터를 포함하는 상단필터모듈;을 포함하는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다수의 소음간섭홀과 가이드본체를 통과하면서 반사, 회절, 간섭 현상에 의해 소멸되어 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기중에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면서 대기중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함으로써, 대기중에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 대기상태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측면 및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측면 및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10)은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가이드부(120)와, 가이드부(120)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필터부(130) 및 가이드부(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을 센싱하는 센서부(140)를 포함하는 흡음필터모듈(100); 흡음필터모듈(10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소음을 반사 및 굴절시키면서 상승되는 대기 유해물질을 상부로 가이드하는 방음모듈(200); 및 방음모듈(20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유도벽(310)과, 유도벽(310)에 이격설치되어 상승되는 대기 유해물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20) 및, 유도벽(310)과 가이드부재(320)의 사이에 구비되어 대기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상단필터(330)를 포함하는 상단필터모듈(300);을 포함한다.
흡음필터모듈(100)은 베이스판부재(110), 가이드부(120), 필터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판부재(110)는 다수의 소음간섭홀(111)을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판부재(110)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일예로 정사각형의 평 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부재(110)는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의 유입측인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내경 이 점차 축소되는 경사면으로 호형각을 가지면서 중앙에 관통공(112)이 형성된 구조로 제공된다.
즉, 베이스판부재(110)는 일예로 중앙에 관통공(112)이 형성된 나팔 형상부를 갖는데, 이처럼 베이스판부재(110)가 나팔 형상부가 구비됨으로써, 유입되는 소음이 호형각을 갖는 경사면에 부딪히면서 반사, 회절, 상호 간섭되어 저감될 뿐아니라, 대기 유해물질이 경사면에 안내되어 중앙에 관통공(112)을 거쳐 가이드부(120) 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이어서, 가이드부(120)는 베이스판부재(110)와 결합되어 베이스판부재(11)를 통해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이 유입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부(120)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부(120)는 베이스판부재(105)의 후방에서 관통공(112)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입구부(121)와, 광통공(112)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 및 대기 오염물질을 후방으로 가이드하도록 후방을 향해 내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가이드본체(122)를 포함한다.
입구부(121)는 베이스판부재(110)의 후방에서 관통공(112)과 연통되게 결합되는데, 일예로 베이스판부재(110)의 관통공(112)과 끼움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122)는 관통공(103)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을 후방으로 가이드하도록 후방을 향해 내경이 점차 커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예로 가이드본체(122)는 나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본체(122)는 소음을 복수의 경로로 분산하여 후방으로 가이드하도록, 입구부(121)와 연통되되 서로 나란하지 않으면서 구획된 복수의 가이드홀(123)을 포함한다.
이처럼, 가이드본체(122)가 나란하지 않으면서 구획된 복수의 가이드홀(123)을 포함함으로써, 관통공(112)을 통과한 소음이 가이드본체(122)의 내벽에 부딪히면서 상호 간섭되면서 저감될 뿐 아니라, 관통공(112)을 통해 유입된 대기 유해물질이 필터부(130)로 전달된다.
이어서, 필터부(130)는 가이드부(12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본체(122)를 통해 유입된 소음을 흡음하면서, 가이드본체(122)를 통해 유입된 대기 유해물질을 필터링한다.
즉, 필터부(130)는 가이드본체(122)를 통해 유입된 소음을 흡수하여 저감시키면서, 가이드본체(122)를 통해 유입된 분진이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필터부(130)는 일예로 전방에 배치되어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헤파필터부(131) 및 헤파필터부(131)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활성탄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센서부(140)는 가이드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센서부(140)는 가이드본체(122)의 가이드홀(123) 내측에 구비되어 가이드홀(123)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을 감지하여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센서부(140)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생성된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정보를 디스플레이모듈(400)로 전송한다.
계속해서, 방음모듈(200)은 흡음필터모듈(100)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소음원(ex : 차량)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반사 및 굴절시키면서 상승되는 대기 유해물질을 상부로 가이드한다.
이러한 방음모듈(200)은 가로 및 세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주프레임(210) 및 지주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복수개의 반사판(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반사판(220)은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투명 및 반투명 재질로 이뤄질 수 있으며, 복수개가 지주프레임(210)에 지지되어 소음을 반사 및 굴절시키면서 소음원(ex : 차량)에 의해 형성된 상승기류 및 이러한 상승기류에 포함된 대기 유해물질을 상부로 가이드한다.
계속해서, 상단필터모듈(300)은 방음모듈(200)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데, 이러한 상단필터모듈(300)은 유도벽(310)과, 가이드부재(320) 및 상단필터(330)를 포함한다.
유도벽(310)은 방음모듈(200)의 상단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가이드부재(320)는 유도벽(310)와 복수개의 연결부재(340)를 통해 이격설치되어 유도벽(310)과 집진필터공간(315)을 형성하며, 집진필터공간(315)으로 유입되는 대기 유해물질을 상단필터(330)로 유도한다.
상단필터(330)는 유도벽(310)과 가이드부재(320)의 사이에 구비되는데, 좀더 상세하게는 전술한 집진필터공간(315)에 구비되어 유도벽(310)과 가이드부재(320)에 의해 집진필터공간(315)으로 유입되는 대기 유해물질을 필터링하여 상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단필터(330)는 전술한 필터부(130)와 동일하게 헤파필터부(131)와 활성탄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10)은 유/무선통신을 통해 센서부(140)로부터 측정된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정보(D)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모듈(400)은 연결부재를 통해 방음모듈(200) 또는 상단필터모듈(30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일예로 연결부재를 통해 방음모듈(2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단필터모듈(3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크기의 차량을 이용하는 탑승자가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정보(D)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다수의 소음간섭홀과 가이드본체를 통과하면서 반사, 회절, 간섭 현상에 의해 소멸되어 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기중에 미세먼지를 정화시키면서 대기중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함으로써, 대기중에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 대기상태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100 : 흡음필터모듈
110 : 베이스판부재
111 : 소음간섭홀
112 : 관통공
120 : 가이드부
121 : 입구부
122 : 가이드본체
123 : 가이드홀
130 : 필터부
131 : 헤파필터부
132 : 활성탄보드부
140 : 센서부
200 : 방음모듈
210 : 지주프레임
220 : 반사판
300 : 상단필터모듈
310 : 유도벽
315 : 집진필터공간
320 : 가이드부재
330 : 상단필터
340 : 연결부재
400 : 디스플레이모듈

Claims (2)

  1.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흡음필터모듈;
    상기 흡음필터모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소음을 반사 및 굴절시키면서 상승되는 상기 대기 유해물질을 상부로 가이드하는 방음모듈; 및
    상기 방음모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유도벽과, 상기 유도벽에 이격설치되어 상기 유도벽과의 사이에 집진필터공간을 형성하며, 상승되는 상기 대기 유해물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유도벽과 가이드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상단필터를 포함하는 상단필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집진필터공간이 상기 상단필터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면적을 갖도록 만곡 형성되어, 상기 집진필터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대기 유해물질을 유입속도를 증가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소음 및 대기 유해물질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KR1020190050013A 2019-04-29 2019-04-29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KR102305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013A KR102305654B1 (ko) 2019-04-29 2019-04-29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013A KR102305654B1 (ko) 2019-04-29 2019-04-29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51A KR20200126251A (ko) 2020-11-06
KR102305654B1 true KR102305654B1 (ko) 2021-09-28

Family

ID=7357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013A KR102305654B1 (ko) 2019-04-29 2019-04-29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6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827A (ja) * 2002-04-25 2003-11-06 Sekisui Jushi Co Ltd 浮遊粒子状物質捕集方法及び装置
KR101679363B1 (ko) * 2016-03-14 2016-11-25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모듈 및 이를 구비한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판
KR101706504B1 (ko) * 2016-06-23 2017-02-27 주식회사 와캔 터널형 졸음쉼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10B1 (ko) 2009-02-02 2009-11-12 최은철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판
KR20150069208A (ko) * 2013-12-13 2015-06-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공기 질 개선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방음벽
KR20190000258U (ko) 2017-07-21 2019-01-30 장홍석 미세먼지 차단 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827A (ja) * 2002-04-25 2003-11-06 Sekisui Jushi Co Ltd 浮遊粒子状物質捕集方法及び装置
KR101679363B1 (ko) * 2016-03-14 2016-11-25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모듈 및 이를 구비한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판
KR101706504B1 (ko) * 2016-06-23 2017-02-27 주식회사 와캔 터널형 졸음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51A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769B1 (ko) 투명 방음판에서의 소음 흡수 및 소멸 가능한 투명 방음판 프레임
KR20100120109A (ko) 대기오염물질제거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도로시설물 및 이에 사용되는 대기오염물질제거보드
KR101360398B1 (ko) 누음 방지와 회절 및 대기오염원 저감이 가능한 방음벽
KR102305654B1 (ko)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CN110485336A (zh) 可防撞击的环保型市政公路隔离栏
CN205529888U (zh) 一种多功能市政桥梁护栏
CN201125501Y (zh) 吸音瓷砖
KR102461352B1 (ko) 유지 보수형 투명방음판
KR101367968B1 (ko) 방음벽 상단장치
CN206667112U (zh) 一种多功能交通护栏
KR20150069208A (ko) 공기 질 개선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방음벽
CN101654083A (zh) 具备吸音结构的轨道车辆
JP2002173920A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を有する道路付帯設備
JP5927675B2 (ja) 路側設置用パネル
CN208009317U (zh) 一种市政公路吸声隔离带
KR200208140Y1 (ko) 방음벽 구조
CN105019380A (zh) 一种多功能道路防护栏
JP3131624U (ja) 透光型遮音壁
CN216107894U (zh) 一种市政工程道路侧石
KR200496181Y1 (ko) 자연 친화적 공기정화 벤치
CN208745950U (zh) 吸能饰板装置
CN2816121Y (zh) 多功能交通护栏
KR101367970B1 (ko) 방음벽 상단장치
CN205688358U (zh) 一种市政道路降噪隔离带
CN208701562U (zh) 一种地铁用防护隔离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