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58U - 미세먼지 차단 필터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 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258U KR20190000258U KR2020170003815U KR20170003815U KR20190000258U KR 20190000258 U KR20190000258 U KR 20190000258U KR 2020170003815 U KR2020170003815 U KR 2020170003815U KR 20170003815 U KR20170003815 U KR 20170003815U KR 20190000258 U KR20190000258 U KR 2019000025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region
- layer
- fine dust
- lin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 상기 시트의 테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와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되고, 제1 면에 구비되는 제2 걸림부와 제2 면에 구비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중 하나는 걸림고리이고 다른 하나는 갈고리인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미세먼지 차단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창문이나 출입문에 사용자가 스스로 설치할 수 있는 DIY용 미세먼지 차단 필터에 관한 것이다.
주거시설 등의 건물의 창에는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설치한다. 방충망은 금속망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단순한 메쉬(mesh) 형상의 망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메쉬 형상의 방충망은 미세 먼지나 황사 등이 실내로 그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 주행이 잦은 환경에서의 차량매연, 최근 심해진 미세먼지, 황사 및 계절에 따른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유입은 방충망으로는 막을 수 없으며 이 경우 창문을 닫아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황사방지 방충망을 창문이나 출입문에 설치하려는 시도가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10-1192996호 '황사방지 방충망'은 창문이나 출입문에 설치되는 방충망이며, 파이버 글라스로 이루어진 메쉬의 일면에, 원사직경(D) 60㎛ 이하의 정전기가 많은 합섬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제직된 모노필라멘트 메쉬가 접합되어 일체화된 형태이다. 그리고, 모노필라멘트 메쉬는 개공의 크기가 150㎛ 이하가 되며, 개공율이 40~60% 범위가 되도록 제작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황사방지 방충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황사방지 방충망은 종래의 방충망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증가하는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의 경우 상술한 개공의 크기를 통과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시간이 증가하면 황사방지 방충망이 먼지나 황사 또는 미세먼지 등으로 인하여 오염될 수 있는데, 씻어내기 불편하고, 고가의 비용을 고려하면 교체하기도 쉽지 않다.
실시예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교체가 용이하며, 미세 먼지와 초미세 먼지까지 차단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 상기 시트의 테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와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되고, 제1 면에 구비되는 제2 걸림부와 제2 면에 구비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중 하나는 걸림고리이고 다른 하나는 갈고리인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제공한다.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레이어(layer)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들은 초음파처리로 결합될 수 있다.
초음파 처리는 복수 개의 결합점들이 메쉬(mesh)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점들은 제1 방향의 라인들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라인들을 이루고, 상기 제1 방향의 라인들은 서로 10 내지 15밀리미터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의 라인들은 서로 10 내지 15 밀리미터 이격될 수 있다.
시트는 셀룰로오스 계열의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폴리아믹산, 메타아라미트, 폴리에테르설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배치되고 소수성 처리된 제2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이어와 상기 제2 레이어는 동일한 방향을 따라 서로 평량이 상이할 수 있다.
시트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서로 인접한 테두리 영역에 각각 자성체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시트는, 테두리 영역 중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제1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영역과 마주보는 제3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시트는, 테두리 영역 중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제1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영역과 마주보는 제3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시트의 제3 영역과 상기 제2 시트의 제3 영역이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나노 섬유는 1제곱인치당 1×109개 이상의 개공을 가지고, 각각의 개공의 크기는 0.01 마이크로 미터 내지 0.3 마이크로 미터일 수 있다.
나노 섬유는, 지름이 10 나노미터 내지 100 나노미터일 수 있다.
시트는, 통기도가 125 Pa(파스칼)에서 초(sec)당 150~250 cc/cm2일 수 있다.
나노 섬유는, 개공율이 60% 내지 80%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필터는, 양면 테이트와 찍찍이(벨트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건물 내의 창틀이나 또는 미닫이 형상의 출입문의 문틀 등에 접착할 수 있는 DIY용 제품이고, 따라서 가격이 저렴하고 탈부착이 간편하여, 미세먼지 차단필터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또는 환기나 청소 등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제거가 필요할 때 쉽게 창틀이나 문틀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필터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차단필터는 특히 출입문에 사용될 때 문틀에 고정되어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출입문을 지날 때는 일시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들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필터는, 직경 10 마이크로 미터 이하의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직경 2.5 마이크로 미터 이하의 초미세먼지(PM 2.5)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미세먼지 차단 필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A'와 'B' 및 'C'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나노 섬유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창문에 부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미세먼지 차단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제1,2 시트를 출입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A'와 'B' 및 'C'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나노 섬유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창문에 부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미세먼지 차단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제1,2 시트를 출입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미세먼지 차단 필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 필터는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110)와 시트(110)의 테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1 걸림부(120)와,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 부재는 제1 내지 제4 고정 부재(200a~200d)로 이루어지는데, 제1 내지 제4 고정 부재(200a~200d)는 서로 분리되어 판매되나, 사용자가 창틀이나 문틀에 접착한 후에는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제1 고정 부재 내지 제4 고정 부재(200a~200d)는 각각, 제1 면(210)에 제2 걸림부(220)가 구비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면(210)의 반대면인 제2 면은 접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 부재 내지 제4 고정 부재(200a~200d)는 양면 테이프와 같이 구비되어, 제1 면(210)에는 제2 걸림부(220)가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제2 면에는 보호 필름이 구비된 형태로 판매된 후, 사용자가 제2 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을 제거한 후 창틀이나 문틀에 제1 고정 부재 내지 제4 고정 부재(200a~200d)를 접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210)의 폭이 제2 걸림부(220)의 폭보다 넓어서, 제2 걸림부(220)의 외곽으로 제1 면(210)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하여 제1 고정 부재 내지 제4 고정 부재(200a~200d)의 제2 면은 창틀이나 문틀에 고정되고, 제1 면은 실내의 공간을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110)의 테두리 영역에 구비된 제1 걸림부(120)과 제1 고정 부재 내지 제4 고정 부재(200a~200d)에 구비된 제2 걸림부(220)가 서로 결합되어, 시트(110)가 제1 고정 부재 내지 제4 고정 부재(200a~200d)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걸림부(120)와 제2 걸림부(220)는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b는 도 1의 'B'의 제1 걸림부(1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c는 도 1의 'C'의 제2 걸림부(22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걸림부(120)는 걸림고리의 형상이고, 제2 걸림부(220)는 갈고리의 형상인데, 서로 반대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1 걸림부(120)와 제2 걸림부(220)는 찍찍이 또는 벨트로로 작용할 수 있다. 걸림고리와 갈고리는 도 2b와 도 2c에 도시된 예외에, 다른 구조일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의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의 'A'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트(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11)와 기재 상에 배치된 제1,2 레이어(113, 1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111)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계열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레이어(113)은 예를 들면 폴리아믹산, 메타아라미트, 폴리에테르설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레이어(115)는 예를 들면 소수성 처리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레이어(113)와 제2 레이어(115)는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량이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평량이라 함은 일정 면적의 상기 제1,2 레이어(113, 115)의 중량을 의미한다. 제1,2 레이어(113, 115)의 평량이 다르게 구비되면, 복수 개의 레이어가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효과가 더욱 클 수 있다.
기재(111) 상의 제1 레이어(113)와, 제1 레이어(113) 상의 제2 레이어(115)는 초음파 처리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처리되어 결합된 부분들을 각각 제1,2 결합점(112, 114)이라 할 수 있다.
도 2a에서, 초음파 처리된 복수 개의 결합점들이 메쉬(mesh)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점들은 서로 분리되나, 복수 개의 결합점들을 연결하면 제1 방향의 라인들(L1)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라인들(L2)의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에 가깝게 교차하며 구비되나, 반드시 수학적으로 직각을 이루지는 않을 수 있다.
제1 방향의 라인들(L1) 사이의 간격(d1)은 10 내지 15 밀리미터일 수 있고, 제2 방향의 라인들(L2) 사이의 간격(d2)은 10 내지 15 밀리미터일 수 있다. 상술한 간격(d1, d2)이 15 밀리미터보다 크면 기재(111)와 제1,2 레이어(113, 115)가 들뜰 수 있고, 10 밀리미터보다 작으면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필터 내의 개공율이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나노 섬율 이루어진 시트(110)는, 통기도가 125 Pa(파스칼)에서 초(sec)당 150~250 cc/cm2일 수 있다. 여기서, 통기도는 일정 시간 동안 일정 면적을 통과하는 공기의 볼륨(volume)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시트(110)는 나노 섬유(nano fi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노 섬유는 지름 나노 스케일에 불과한 초극세(超極細) 실이다. 통상의 섬유는 좁은 구멍들 속으로 섬유원료를 밀어 넣고 높은 압력을 가해 긴 실을 만들어내나, 나노 섬유는 고압 대신 전기장을 가하는 전자방사(electrospinning)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나노 섬유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110)를 이루는 나노 섬유는, 지름 내지 두께(t)가 1,000 나노미터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10 나노미터 내지 100 나노미터일 수 있다. 상술한 지름 내지 두께(t)가 10 나노미터보다 작으면 제조가 어렵고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11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100 나노미터보다 크면 후술하는 개공율이 작아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시트(110)는 1제곱인치당 1×109개 이상의 개공을 가지고, 각각의 개공의 크기(R)는 0.01 마이크로 미터 내지 0.3 마이크로 미터일 수 있다. 그리고, 나노 섬유의 개공율은 60% 내지 80%일 수 있다.
개공은 나노 섬유 사이의 공간으로 에어(air) 등이 통과할 수 있으며, 개공의 형상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개공의 크기(R)는 예를 들면 각각의 개공의 단면에서 마주보는 영역 사이의 거리로 측정할 수 있다. 개공의 크기(R)가 0.3 마이크로 미터보다 크면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통과할 수 있고, 0.01 마이크로 미터보다 작으면 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개공율은 일정 면적의 나노 섬유에서 개공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뜻한다.
도 5는 도 1의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창문에 부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유리나 플라스티 등의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창(310)이 프레임(300)의 내부에 고정되고, 방충망(320)이 닫혀 있으며, 전체 창(310)과 프레임(300) 및 방충망(320)은 창틀(미도시)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창틀에 고정 부재(200)가 접착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200)는 상술한 제1 내지 제4 고정 부재(200a~200d)가 일체를 이룬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110)를 둘러싼 제1 걸림부(120)가 고정 부재(200)와 포개어지며, 제2 걸림부와 제1 걸림부(120)가 결합하며, 미세먼지 차단 필터가 창틀에 접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필터는, 양면 테이트와 찍찍이(벨트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건물 내의 창틀이나 또는 미닫이 형상의 출입문의 문틀 등에 접착할 수 있는 DIY용 제품일 수 있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하고 탈부착이 간편하여, 미세먼지 차단필터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또는 환기나 청소 등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제거가 필요할 때 쉽게 창틀이나 문틀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미세먼지 차단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제1,2 시트를 출입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 필터는 제1,2 필터(400, 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필터(400, 500)는 서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필터(400)는,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410)와 시트(410)의 테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1 걸림부(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410)의 둘레에 제1 내지 제4 변(a1, b1, c1, d1)이 구비되는데, 제1,2 변(a1, b1)에는 제1 걸림부(420)가 구비되고, 제3 변(c1)에는 자성체(430)가 구비될 수 있고, 제4 변(d1)은 매끄러운 재료로 마감질부(440)가 구비되어 출입구 등의 바닥과 밀착될 수 있다.
제2 필터(500)는,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510)와 시트(510)의 테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1 걸림부(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510)의 둘레에 제1 내지 제4 변(a2, b2, c2, d2)이 구비되는데, 제1,2 변(a2, b2)에는 제1 걸림부(520)가 구비되고, 제3 변(c2)에는 자성체(530)가 구비될 수 있고, 제4 변(d2)은 매끄러운 재료로 마감질(540)부가 구비되어 출입구 등의 바닥과 밀착될 수 있다.
도 6의 제1,2 필터(400, 500)는 서로 인접한 테두리(변)에 각각 자성체(430, 530)가 구비되어, 각각의 제3 변(c1, c2)이 서로 중첩되며 상기 자성체(430, 530)에 의하여 서로 일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의 미세먼지 차단필터는, 상술한 접착 부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도 7에서 제1,2 필터(400, 500)가 서로 결합될 때 상부의 변(b1, b2)과 좌우측의 변(a1, a2)에만 접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 부재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즉, 하부의 마감질부(440, 540) 부분은 중력에 의하여 바닥과 밀착될 뿐, 인공적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서 제1 필터(400)는 제1,2 변(a1, b1)이 벨크로 구조로 창틀 또는 문틀에 고정된 접착 부재와 결합되고, 제2 필터(500)는 제1,2 변(a2, b2)이 벨크로 구조로 창틀 또는 문틀에 고정된 접착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제1,2 필터(400, 500)가 자성체(430, 530)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이고, 도 8은 제1,2 필터(400, 500)가 일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 필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이점 외에 특히 출입문에 사용될 때 문틀에 고정되어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출입문을 지날 때는 일시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필터는, 직경 10 마이크로 미터 이하의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직경 2.5 마이크로 미터 이하의 초미세먼지(PM 2.5)를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410, 510: 시트 111: 기재
112, 114: 제1,2 결합점 113, 115: 제1,2 레이어
120, 420, 520:제1 걸림부 200: 고정 부재
200a~200d: 제1 내지 제4 고정 부재 210: 제1 면
220: 제2 걸림부 300: 프레임
310: 창 320: 방충망
400, 500: 제1,2 필터 430, 530: 자성체
440, 540: 마감질부
112, 114: 제1,2 결합점 113, 115: 제1,2 레이어
120, 420, 520:제1 걸림부 200: 고정 부재
200a~200d: 제1 내지 제4 고정 부재 210: 제1 면
220: 제2 걸림부 300: 프레임
310: 창 320: 방충망
400, 500: 제1,2 필터 430, 530: 자성체
440, 540: 마감질부
Claims (10)
-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
상기 시트의 테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와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되고, 제1 면에 구비되는 제2 걸림부와 제2 면에 구비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중 하나는 걸림고리이고 다른 하나는 갈고리인 미세먼지 차단 필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레이어(layer)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들은 초음파처리로 결합된 미세먼지 차단 필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복수 개의 결합점들이 메쉬(mesh)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점들은 제1 방향의 라인들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라인들을 이루고, 상기 제1 방향의 라인들은 서로 10 내지 15밀리미터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의 라인들은 서로 10 내지 15 밀리미터 이격되는 미세먼지 차단 필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셀룰로오스 계열의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폴리아믹산, 메타아라미트, 폴리에테르설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배치되고 소수성 처리된 제2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이어와 상기 제2 레이어는 동일한 방향을 따라 서로 평량이 상이한 미세먼지 차단 필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서로 인접한 테두리 영역에 각각 자성체가 구비되어 결합되는 미세먼지 차단 필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테두리 영역 중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상기 제1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영역과 마주보는 제3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시트는, 테두리 영역 중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상기 제1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영역과 마주보는 제3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시트의 제3 영역과 상기 제2 시트의 제3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미세먼지 차단 필터. -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는 1제곱인치당 1×109개 이상의 개공을 가지고, 각각의 개공의 크기는 0.01 마이크로 미터 내지 0.3 마이크로 미터인 미세먼지 차단 필터. -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는, 지름이 10 나노미터 내지 100 나노미터인 미세먼지 차단 필터. -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통기도가 125 Pa(파스칼)에서 초(sec)당 150~250 cc/cm2인 미세먼지 차단 필터. -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는, 개공율이 60% 내지 80%인 미세먼지 차단 필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815U KR20190000258U (ko) | 2017-07-21 | 2017-07-21 | 미세먼지 차단 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815U KR20190000258U (ko) | 2017-07-21 | 2017-07-21 | 미세먼지 차단 필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258U true KR20190000258U (ko) | 2019-01-30 |
Family
ID=6526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3815U KR20190000258U (ko) | 2017-07-21 | 2017-07-21 | 미세먼지 차단 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0258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2000B1 (ko) * | 2019-03-22 | 2020-08-21 | (주)코스 | 규격화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
KR20200126251A (ko) | 2019-04-29 | 2020-11-06 | (주)셈텍 |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
-
2017
- 2017-07-21 KR KR2020170003815U patent/KR2019000025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2000B1 (ko) * | 2019-03-22 | 2020-08-21 | (주)코스 | 규격화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
KR20200126251A (ko) | 2019-04-29 | 2020-11-06 | (주)셈텍 | Ict 융복합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12467A (en) | Air filter assembly | |
US20100101199A1 (en) | Layer for use in a hepa filter element | |
TW201700143A (zh) | 含橋接細絲的可適形起褶襉空氣過濾器 | |
KR20190000258U (ko) | 미세먼지 차단 필터 | |
KR20170084864A (ko) | 유해물질 차단용 필터 | |
KR102169723B1 (ko) | 나노섬유망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2704155B1 (ko) |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방충망 | |
JP6306347B2 (ja) | 飛散防止ネット | |
US20130032301A1 (en) | Curtain fabric material | |
KR20200029862A (ko) | 공조기용 다층 필터 부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39704B1 (ko) | 미세먼지 차단용 가시광선 투과성 다층구조의 평면 필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DE19856490B4 (de) | Einrichtung zur Reinigung der Luft von Staubpartikeln, insbesondere von Pollenstaub und dergleichen | |
KR102300184B1 (ko) | 방충망용 망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2022100716A (ja) | 面状フィルタ | |
US20130075050A1 (en) | Privacy Curtain | |
JP2012202197A (ja) | 吊り下げ型の吸音装置 | |
KR102112672B1 (ko) | 나노섬유층의 내구성이 강화된 방진망 | |
US20240349826A1 (en) | Disposable, Compostable Surgical/Medical Mask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for | |
EP1357994B1 (de) | Verwendung eines abstandstextils als pollenschutz für fenster und türen | |
EP1361332A1 (en) | Window blind for decoration and sun protection | |
JP2021520297A (ja) | エアフィルタ | |
CA3195532A1 (en) | Disposable, compostable surgical/medical mask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for | |
JP2023057253A (ja) | フィルター装置及びパーテーション装置 | |
WO2023081282A1 (en) | Electrospun polymeric nanofiber filter material and devices | |
KR200383801Y1 (ko) | 필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