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055B1 - 전해액 필터링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해액 필터링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055B1
KR102304055B1 KR1020170007072A KR20170007072A KR102304055B1 KR 102304055 B1 KR102304055 B1 KR 102304055B1 KR 1020170007072 A KR1020170007072 A KR 1020170007072A KR 20170007072 A KR20170007072 A KR 20170007072A KR 102304055 B1 KR102304055 B1 KR 10230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valve
storage tank
injector
metal impu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254A (ko
Inventor
원상연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0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0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셀의 제조 공정에서 전극조립체가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해 전해액 주액기가 연결되는 전해액 보관 탱크로서, 전해액의 주입 전에 전해액을 보관하는 보관 챔버; 상기 보관 챔버로부터 전해액이 유출되는 전해액 유출구; 및 상기 전해액 유출구에 장착되며, 전해액 주액기가 연결되는 개폐형 밸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개폐형 밸브는 전해액 주액기로 공급되는 전해액에서 금속 불순물을 자력에 의해 필터링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해액 필터링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 {Electrolyte Storage Tank Comprising Electrolyte-Filtering Valve and Method for Preparation Battery Cell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해액 필터링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충방전 특성과 수명특성을 나타내고 친환경적인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집전체 상에 각각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의 분리막이 개재된 전극조립체에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양극 활물질은 주로 리튬 코발트계 산화물, 리튬 망간계 산화물, 리튬 니켈계 산화물, 리튬 복합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음극 활물질은 주로 탄소계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충전 시에는 양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음극의 탄소층으로 삽입되고, 방전시에는 반대로 음극 탄소층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양극 활물질로 삽입되며, 이때 전해액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질 역할을 한다.
상기 전해액은 리튬 이차전지 제조의 마지막 단계에서 전지 내로 투입되는데, 일반적으로 전해액은 전해질 염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고 해리시킬 수 있는 극성을 가진 극성 용매임과 동시에, 활성수소를 갖고 있지 않은 비양자성 용매이다. 상기 전해질 염은 양이온 염으로 금속 양이온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전해액의 보관 과정에서 금속 양이온이 석출되어 금속 불순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불순물을 포함한 전해액이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전지케이스에 주입되는 경우, 전지의 전압을 강하시키며 전지의 수명특성이 저하되는 등 전지의 제반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바, 전해액 내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액 보관 탱크에서 전해액 주액기로 전해액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해액 보관 탱크의 개폐형 밸브에 의해 전해액 내의 금속 불순물을 필터링 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전해액 보관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는,
전지셀의 제조 공정에서 전극조립체가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해 전해액 주액기가 연결되는 전해액 보관 탱크로서,
전해액의 주입 전에 전해액을 보관하는 보관 챔버;
상기 보관 챔버로부터 전해액이 유출되는 전해액 유출구; 및
상기 전해액 유출구에 장착되며, 전해액 주액기가 연결되는 개폐형 밸브;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폐형 밸브는 전해액 주액기로 공급되는 전해액에서 금속 불순물을 자력에 의해 필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는 별도의 불순물 제거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전해액 보관 탱크에서 전해액이 유출됨에 따라 전해액 내의 금속 불순물을 필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전해액 보관 탱크와 마찬가지로, 보관 챔버(100), 전해액 유출구(200) 및 개폐형 밸브(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관 챔버는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도록 부식에 강한 피막을 씌운 철재 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전해액 유출구는 보관 챔버 내에 채워진 전해액이 개폐형 밸브를 개방함에 따라 전해액이 보관 챔버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전해액 유출구로 유출된 전해액은 개폐형 밸브를 통해 개폐형 밸브와 연결된 전해액 주액기로 이동한 뒤, 전해액 주액기에 의해 전지케이스로 주입된다.
일반적으로, 전해액 내의 금속 불순물은 불순물 필터링 공정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불순물 필터링 공정을 거치는 경우에는 불순물 필터링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고,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전지셀의 제조시 전해액 보관 탱크에 보관된 전해액은 전해액 보관 탱크에 연결된 전해액 주액기를 통해 전지케이스로 주입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는 전해액 보관 탱크에서 전해액이 전해액 주액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통과하게 되는 개폐형 밸브가 자력에 의해 금속 불순물을 필터링하므로 별도로 전해액을 필터링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전해액을 전지케이스에 주입함과 동시에 전해액을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형 밸브의 적어도 일부는 전해액 중의 금속 불순물을 자력에 의해 흡착하는 자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성 소재의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자성 소재는 전자석일 수 있다. 특히, 개폐형 밸브가 전자석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자력을 조절할 수 있어, 금속 불순물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효과적으로 금속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형 밸브에는 전해액 중의 금속 불순물을 자력에 의해 개폐형 밸브의 내면으로 흡착하는 자성 부재가 장착될 수 있고,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자성 부재는 개폐형 밸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자성 부재는 전자석 부재로 구성되어 자력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금속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형 밸브의 내면에는 전해액 중의 금속 불순물을 포집하는 만입형 포집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에는 개폐형 밸브로부터 포집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설계되어, 포집된 금속 불순물을 제거하기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을 사용하여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개폐형 밸브가 전해액 유출구와 연결된 단부의 대향 단부에 전해액 주액기를 연결하는 과정;
b) 상기 개폐형 밸브를 개방하여 전해액을 전해액 주액기로 배출시키면서 전해액 중의 금속 불순물을 자력에 의해 필터링 하는 과정; 및
c) 상기 전해액 주액기를 통해 전지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전지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과정의 개폐형 밸브는 적어도 일부가 전해액 중의 금속 불순물을 자력에 의해 흡착하는 자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b) 과정의 개폐형 밸브에는 전해액 중의 금속 불순물을 자력에 의해 개폐형 밸브의 내면으로 흡착하는 자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는 전해액 보관 탱크에서 전해액 주액기로 전해액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해액 보관 탱크의 개폐형 밸브에 의해 전해액 내의 금속 불순물을 필터링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 보관 탱크를 사용하여 전지셀을 제조하는 경우, 전지셀의 전압이 강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의 제반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금속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링 공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이해지고, 제조 공정 상 시간,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액기를 연결한 상태의 전해액 보관 탱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해액 보관 탱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를 구성하는 만입형 포집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형 밸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를 구성하는 개폐형 밸브에 자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액기를 연결한 상태의 전해액 보관 탱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해액 보관 탱크는 일반적인 전해액 보관 탱크와 마찬가지로, 보관 챔버(100), 전해액 유출구(200) 및 개폐형 밸브(300)로 구성되어 있다. 전해액을 전지케이스로 주입하기 전에 전해액은 보관 챔버(100) 내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보관 챔버(100)의 내면은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으며, 부식에 강한 소재로 구성되어야 한다. 보관 챔버(100)의 일측 벽면에는 전해액 유출구(200)가 형성되어 있고, 보관 챔버(100)의 외면에 위치하며, 전해액 유출구(200)에 장착되는 개폐형 밸브(30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보관 챔버(100)는 전해액을 보관하기 위한 전해액 유입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해액 보관 탱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관 챔버(100)의 외벽의 일부분에 형성된 전해액 유출구(200)는 전해액이 보관 챔버(100)로부터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출구 역할을 하며, 전해액 유출구(200)를 통해 유출된 전해액은 개폐형 밸브(300)를 통해 전해액 주액기(10)로 이동된다.
전해액이 보관 챔버(100)에서 유출구를 통해 개폐형 밸브(300)를 통과할 때, 개폐형 밸브(300)는 자력에 의해 금속 불순물을 흡착하게 된다. 개폐형 밸브(300) 내면에 금속 불순물이 흡착되나, 전해액을 주입하고 나면, 주로 개폐형 밸브(300) 내면의 하부에 금속 불순물이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를 구성하는 만입형 포집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형 밸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 불순물은 주로 개폐형 밸브(300) 내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 3을 참조하면, 금속 불순물의 필터링 후 개폐형 밸브(300)로부터 포집된 금속 불순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하고, 전해액의 유속에 휩쓸려 금속 불순물이 전해액 주액기(10)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만입형 포집부(310)를 개폐형 밸브(300)의 내면에 형성할 수 있다.
전해액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로부터 유출되어 개폐형 밸브에 의해 금속 불순물이 필터링된 후, 전해액 주액기로 이동되어 최종 전지셀의 전지케이스에 주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를 구성하는 개폐형 밸브에 자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형 밸브의 소재가 자성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뿐만 아니라, 개폐형 밸브(300)의 외면에 자성 부재(320)가 장착되어 금속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개폐형 밸브(300)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성 부재(320)에 의해 개폐형 밸브(300)를 통과하는 전해액 내의 금속 불순물이 개폐형 밸브의 내면으로 흡착되게 된다. 상기 자성 부재(320)는 자성을 가지는 것이면 소재는 무관하나,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전자석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전지셀의 제조 공정에서 전극조립체가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해 전해액 주액기가 연결되는 전해액 보관 탱크로서,
    전해액의 주입 전에 전해액을 보관하는 보관 챔버;
    상기 보관 챔버로부터 전해액이 유출되는 전해액 유출구; 및
    상기 전해액 유출구에 장착되며, 전해액 주액기가 연결되는 개폐형 밸브를 포함하고 있고,
    자성 부재가, 상기 개폐형 밸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자성 부재는, 자력에 의해 전해액 중의 금속 불순물을 상기 개폐형 밸브의 내면으로 흡착하여, 전해액 주액기로 공급되는 전해액에서 금속 불순물을 필터링하고,
    상기 개폐형 밸브의 내면에는 전해액 중의 금속 불순물을 포집하는 만입형 포집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형 밸브는 필터링된 금속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전해액 유출구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는 전자석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따른 전해액 보관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전해액을 사용하여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개폐형 밸브가 전해액 유출구와 연결된 단부의 대향 단부에 전해액 주액기를 연결하는 과정;
    b) 상기 개폐형 밸브를 개방하여 전해액을 전해액 주액기로 배출시키면서 전해액 중의 금속 불순물을 자력에 의해 필터링 하는 과정; 및
    c) 상기 전해액 주액기를 통해 전지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07072A 2017-01-16 2017-01-16 전해액 필터링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 KR102304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072A KR102304055B1 (ko) 2017-01-16 2017-01-16 전해액 필터링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072A KR102304055B1 (ko) 2017-01-16 2017-01-16 전해액 필터링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254A KR20180084254A (ko) 2018-07-25
KR102304055B1 true KR102304055B1 (ko) 2021-09-23

Family

ID=6305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072A KR102304055B1 (ko) 2017-01-16 2017-01-16 전해액 필터링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572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내 이물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시스템
KR20210133571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내 이물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시스템
KR20210152728A (ko)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 내 이물 제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947A (ja) * 2000-02-29 2001-09-07 Sony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13118758A1 (ja) * 2012-02-07 2013-08-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電極用複合粒子の製造装置及び電気化学素子電極用複合粒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773A (ko) * 2013-07-30 2015-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전해액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947A (ja) * 2000-02-29 2001-09-07 Sony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13118758A1 (ja) * 2012-02-07 2013-08-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電極用複合粒子の製造装置及び電気化学素子電極用複合粒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254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055B1 (ko) 전해액 필터링 밸브를 포함하는 전해액 보관 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
US905713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module for recovery of metal ions, electrode module for recovery of metal ions,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metal ions including the same
JP4928824B2 (ja) リチウムイオン蓄電素子の製造方法
WO2007118358A1 (fr) Batterie au lithium-ion
JP5832915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JP2010528412A (ja) 電気化学的エネルギーアキュムレーター
JP2016110838A (ja)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764001A (zh) 铅蓄电池
KR101671414B1 (ko) 특정한 형태의 노즐을 포함하는 전해액 주액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지셀
KR101739853B1 (ko) 전해액 함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CN206992215U (zh) 方形锂电池顶盖补液结构
KR101877300B1 (ko) 리튬 공기전지 시스템
CN116454341A (zh) 一种铁铬液流电池电堆系统
JP7265711B2 (ja) 電池の製造方法
CN203644883U (zh) 一种钒电池用新型储液罐
CN110215778B (zh) 废旧铅酸蓄电池处理用的废气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JP2011020078A (ja) 磁性不純物分離装置
CN107732094A (zh) 电池过充安全保护装置和锂离子电池
JP3642342B2 (ja) 湿式二次電池
CN106848415A (zh) 不对称混合电极有孔集流盘双膜安全阀卷绕式蓄电池
JP2018106981A (ja) 二次電池
CN214439968U (zh) 一种锂电池正极材料磁性吸附过滤装置
CN206907878U (zh) 一种新型电动汽车蓄电池
CN110289464A (zh) 一种水系空气电池及利用其分离回收钴酸锂中锂钴元素的方法、应用
CN219815361U (zh) 用于钒电池电解液有机相脱除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