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624B1 -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624B1
KR102303624B1 KR1020200008420A KR20200008420A KR102303624B1 KR 102303624 B1 KR102303624 B1 KR 102303624B1 KR 1020200008420 A KR1020200008420 A KR 1020200008420A KR 20200008420 A KR20200008420 A KR 20200008420A KR 102303624 B1 KR102303624 B1 KR 102303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food composition
composition
extract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770A (ko
Inventor
안지윤
하태열
장영진
정창화
이현정
김영인
파리다
서효덕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0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6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조성물 또는 운동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머위잎 추출물이 근육세포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운동 수행능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부작용 없이 근육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f muscular disease containing Petasites japonicus extract}
본 발명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조성물 또는 운동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육(Muscle)은 인체에서 가장 구성량이 많은 조직으로서 인체의 기능적 능력(functional capacity)을 유지하고,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정 근육량의 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근육 크기(muscle size)는 근육 내에서 일어나는 동화작용(anabolism)이나 이화작용(catabolism)을 유도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signalling pathways)에 의해 조절된다. 근육 단백질의 분해보다 합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 반응이 많이 일어날 경우 근육 단백질 합성이 증가되며, 결과적으로 근육의 크기가 증가하는 근 비대(hypertrophy)나 근섬유 수의 증가(hyperplasia)가 발생한다(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3): 1551-1561, 2011).
근육은 칼슘 유입을 촉진시켜 골 밀도를 높여 주기도 한다. 그러나 신체는 노화하면서 구성성분의 변화로써 체지방과 체단백질의 재분포가 일어나며, 약 50세가 되면 근세포 내 단백질의 합성속도가 분해속도보다 느려져 근육이 급격하게 퇴화를 시작하게 되며, 근육 감소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근육 감소 질환의 하나인 근육 감소증은 평소 자기 체질량의 약 13~24%가 감소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단백질 함량, 섬유 직경, 근력 생산 및 피로 저항(fatigueresistance)의 감소를 나타낸다. 근육 감소증은 패혈증, 암, 신부전증,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과다, 신경제거, 근육의 미사용 그리고 노화과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주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일어나는 골격근의 양과 질의 점진적 감소 및 부적절한 식이에너지 섭취에 따른 지방과 체지방성분을 포함하는 체중감소 등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으며, 흔히 노화에 따른 것으로 연령과의 상관관계가 깊다.
근육 감소증은 단백질 합성 및 분해 사이의 불평형으로부터 발생한다. 근육 감소증이 있으면 행동량이 현격하게 줄어 정신건강을 해칠뿐만 아니라 생활의 만족도도 떨어지며, 용이한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부상을 입고 심각한 중상에 이러기도 한다.
또한, 과도한 운동은 근육의 피로와 손상을 가져오고 운동 능력을 떨어뜨린다. 근육 손상에는 타박상(멍), 열상, 국소 빈혈, 좌상(strain) 및 골격근에 대한 심각한 손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손상은 굉장한 통증을 유발할 뿐 아니라, 손상을 입은 사람은 운동 및 작업을 지속할 수 없으며 정상적인 일상 활동조차 할 수 없도록 하여, 그를 무능력하게 만들 수 있다. 골격근에 심각한 손상이 있는 경우, 좌상이 가장 흔한데, 근육 좌상 손상은 근육-건 유닛의 파괴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근육-건 유닛의 파괴는 근육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좌상은 직업적으로 또는 스포츠 의학 전문가에 의해 처치되는 모든 손상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근육 손상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근육 조직 회복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처치는 운동 후 근력 발생 회복을 빠르게 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또한 질병 후 근육 회복을 도울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 외모와 다이어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연령에 상관없이 급격한 체중감소로 근육 감소증이 유발될 수도 있고, 격한 운동으로 근육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일반적인 근육 감소 질환으로 인한 근육 감소를 치료하거나 근육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여전히 근육 감소 질환의 치료와 근육강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근 기능 강화 및 근육 감소 억제 활성을 가지며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천연물질을 탐색한 결과, 머위잎 추출물이 근감소증 예방 및 치료, 근육량 증가, 근육 감소 억제 또는 근 지구력 증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머위잎(Petasite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위잎(Petasite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머위잎(Petasite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머위잎(Petasites japonicus)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식물로서, 전국 어디에서나 자생하는데 주로 산야의 습지 등 수분이 많은 곳에서 자라고 있다. 속명인 Petasites는 그리스어로서 ‘챙이 넓은 모자’라는 뜻으로, 머위가 큰 잎을 갖는 데서 유래되었다. 꽃이 진 다음에 굵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끝에서 널찍한 콩팥 모양의 둥근 잎이 돋아난다. 머위잎은 잎자루가 길고 폭이 15~30cm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가 없어지고,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원산지는 유럽과 우리나라·일본 등 아시아, 그리고 북아메리카로 알려져 있는데, 15~20종이 자생하고 있다고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머위잎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초임계 유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근육 질환은 점진적인 근력감소로 인한 보행능력의 상실과 호흡 근력의 약화, 심장 기능의 약화 등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질환으로, 결국에는 신체의 장애를 가져와서 모든 일상생활을 남에게 의지하게 되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또한 근육 질환은 선천성 질환과 후천성 질환으로 나눌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긴장감퇴증(atony),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경직증, 근디스트로피,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또는 근육감소증(sarcopenia)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근육강화는 근육의 근력 및/또는 크기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의미하며, 근육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근육 감소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육량의 증가는 근육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육체적 운동 및 지구력 향상을 통해 근육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근육 증가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체내에 투여하는 방식으로 근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육 감소는 근육량의 점진적 손실, 근육, 특히 골격근 또는 수의근 및 심장근육의 약화 및 퇴행을 특징으로 하며, 유전적 요인, 후천적 요인. 노화 등이 원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머위잎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펩티드 제제에 대한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199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10,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운동능력은 일상생활이나 스포츠에서 볼 수 있는 신체동작을 외형적으로 달리기, 뛰기, 던지기, 헤엄치기 등으로 구분할 때, 상기 동작을 빠르게, 강하게, 정확하게, 오래, 능숙하게 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운동수행능력은 근력, 민첩성 및 지구력 등의 인자로 규정된다.
용어 '운동능력 증진'은 운동능력을 개선하거나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품 조성물은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근 지구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퇴행성 질환, 미토콘드리아 이상 질환, 지구력 저하증, 순발력 저하증, 무기력증, 근육 폐기 또는 우울증 등의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위잎 추출물을 이용한 식품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모발 성장 촉진 및 항염증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를 들어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를 들어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를 들어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를 들어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를 들어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총 중량 중 0.01 내지 5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머위잎 추출물을 PPAR delta, ERR3 over cell에 처리하여 luciferase activity를 측정한 경구 머위잎 추출물을 처리 시, 두 개의 transcription의 activity를 증가 시켜 근육 내에서 이용률을 증가시켜 근육세포 형성 및 분화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머위잎 추출물을 예쁜꼬마선충(C.elegans)에 식이로 처리하여 수명(life span)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인 N2에 비해 수명이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2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머위잎 추출물을 근육세포에 처리한 뒤 RNA를 추출하여, 근육 단백질을 파괴함으로써 근 위축(atrophy) 유도하는 atrogin-1, MurF-1, 근육 분화를 억제하는 Myostatin 그리고 근육 분화를 조절하는 MyoG, MyoD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머위잎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가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을 처리한 그룹에 비해 위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적으로 조절하여 근육 세포의 형성 및 분화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3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머위잎 추출물을 근육세포에 처리한 뒤 단백질을 추출하여, T-MHC, MHCⅠ, MHCⅡa, MHCⅡb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을 처리 시 감소된 근육세포 구성 단백질 발현이 머위잎 추출물을 처리 시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근육세포 형성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4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머위잎 추출물을 근육세포에 처리한 뒤 세포호흡률 즉 산소 소비 속도 (OCR)을 측정하였는데,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을 처리 시 감소된 세포호흡률이 머위잎 추출물을 처리 시 유의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머위잎 추출물의 근육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으로, 상기 머위잎 추출물은 섭취시 근육량, 근지구력 또는 운동능 향상 효과를 보였므로, 근육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운동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근육강화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U-2 OS(HTB-96TM) 사람 유래 골세포를 이용한 PPAR delta, ERR3 over cell에 머위잎 추출물을 처리 후 Luciferase activity를 측정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머위잎 추출물을 예쁜꼬마선충(C.elegans)에 식이로 처리하여 수명(life span)을 분석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3는 분화된 근육아세포에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을 처리한 후, 머위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근 세포 분화 및 근수축 관련 mRNA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분화된 근육아세포에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을 처리한 후, 머위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근육 타입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근육아세포에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을 처리한 후, 머위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세포 호흡률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모든 연구결과는 GraphPad Prism 7 (GraphPad Software Inc., SanDiego, CA, USA)을 이용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Boneferroni multiple comparison post test로 검증하였으며, *p<0.05, **p<0.01, ***p<0.001로 표기하였다.
1. 머위잎 추출물 시료의 제조
머위잎을 구입하여 열풍건조한 뒤 분쇄하여 파우더로 만들었다. 파우더 중량의 10배 볼륨의 50%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2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농축 후 -80도에서 동결 후 동결 건조하여 얻은 최종 산물을 곱게 분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머위잎 추출물의 PPAR delta, ERR3 transcription의 luciferase activity 조절 측정
실험에 사용한 U-2 OS(HTB-96TM) 사람 유래 골세포는 American type Cell Collection(ATCC,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10% FBS를 포함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로 배양하였다.
pBABE-puro(addgene, Plasmide #1764), pBABE puro PPAR delta(addgene, Plasmide #8891), pSG5-HA-ERR3(addgene, Plasmide #37850)의 plasmid DNA를 X-tremeGENE 9 DNA Transfection Reagent(06 365 787 001, Roche, Switzerland )을 사용하여 타겟 over cell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PPAR delta, ERR3 over cell에 머위잎 추출물을 처리 후 PPRE X3-TK-lus(addgene, Plasmide #1015), pRL-SV40P(addgene, Plasmide #27163) plasmid DNA와 Dual-Luciferase®Reporter Assay System(Promega, E1910)를 사용하여 lucifer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1에 나타내었다.
3. 머위잎 추출물의 예쁜꼬마선충(C.elegans)의 수명 분석
예쁜꼬마선충(C.elegans)을 이용하여 머위잎 추출물의 수명(life span)을 분석하였다. NGM(Nematode Growth Medium)에 머위잎 추출물 100mg/mL을 추가하여 배양 플레이트를 만든 뒤 OP50 culture를 200μl씩 분주하여 기본 배양 조건을 만들었다. 여기에 N2 L4 stage worm을 한 플레이트에서 2마리를 분리해서 일주일 동안 15°C incubator에서 키운 일주일 후, synchronized L4에서 나온 young adult를 200μl M9 buffer에서 모아서, 20°C에서 overnight incubation을 하였다. Overnight incubation 후 L1 stage를 준비했던 NGM에서 분주하고 이틀간 incubation 시킨다.이틀 incubation 후, L1 stage가 L4로 자라면 새로운 NGM에 한 플레이트 당 한 마리의 worm을 옮긴다 (n=30). 20°C incubator에서 worm을 키운 뒤 각 한 마리당 죽은 날짜를 기록하여 모든 worm이 죽으면, 죽은 기록을 분석하여 수명(life span)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2에 나타내었다.
4. 머위잎 추출물이 근육세포 분화 시 근 수축 및 분화 조절인자 mRNA 발현 변화 확인
마우스 유래 근아세포인 C2C12(CRL1772 ATCC, USA) 세포를 10% FBS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 배양하였고, 2% HS를 포함하는 DMEM 분화 배지를 4일간 처리하였다. 분화 유도가 끝난 뒤 머위잎 추출물 1, 2.5 μg/mL 과 dexamethasone 5 μM을 처리하였다.
24시간 뒤 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세척한 뒤, 세포를 수득하였고,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NucleoSpin RNA kit (Nacherey-Nagel,Duren, Germany)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그 다음, Synthesize cDNA for real-time PCR kit(ReverTra Ace qPCR RT Master Mix, FSQ-201, TOYOBO)을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뒤, SYBR Green MasterMix(TOYOBO Co. Ltd., Osaka, Japan)로 PCR을 실시하여 atrogin-1, MurF-1, Myostatin, MyoD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3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염기서열
염기서열 서열번호
Atrogin Sense GACTGGACTTCTCGACTGCC 1
Anti-sense TCAGGGATGTGAGCTGTGAC 2
MurF-1 Sense GCTGGTGGAAAACATCATTGACAT 3
Anti-sense CATCGGGTGGCTGCCTTT 4
Myostatin Sense ACGCTACCACGGAAACAATC 5
Anti-sense GGAGTCTTGACGGGTCTGAG 6
MyoD Sense CGGGACATAGACTTGACAGGC 7
Anti-sense TCGAAACACGGGTCATCATAGA 8
18s RNA Sense GTAACCCGTTGAACCCCATT 9
Anti-sense CCATCCAATCGGTAGTAGCG 10
5. 머위잎 추출물이 근육타입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마우스 유래 근아세포인 C2C12(CRL1772 ATCC, USA) 세포를 10% FBS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 배양하였고, 2% HS를 포함하는 DMEM 분화 배지를 4일간 처리하였다. 분화 유도가 끝난 뒤 머위잎 추출물 1, 2.5 μg/mL 과 Dexamethasone 5 μM을 처리하였다.
24시간 뒤 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세척한 뒤, 세포를 수득하였고, RIPA 완충액(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으로 용해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후, SDS - PAGE 겔(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이후 단백질이 옮겨진 멤브레인(membrane)을 5(v/v)% 스킴 밀크(skim milk)로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하였고, 1차 항체를 4℃ 에서 오버나잇(overnight), 2차 항체를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부착한 후 증강 화학발광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수행된 웨스턴 블로팅에 사용된 1차 항체는 β-액틴(β-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MHC(myosin heavy chain), MHC의 아형인 MHC1(oxidative, slow type), MHC2A(oxidative, fast type) 및 MHC2B(glycolytic, fast type)(Developmental Studies Hybridoma Bank, Iowa City, Iowa, USA)이다. 그 결과를 도4에 나타내었다.
6. 머위잎 추출물이 호흡률에 미치는 영향 확인
XF analyzer (Seahorse Bioscience, USA)을 이용하여 머위잎 추출물의 호흡률 즉 산소 소비 속도(Oxygen Consumption Rate, OCR)을 측정하였다.
마우스 유래 근아세포인 C2C12(CRL1772 ATCC, USA) 세포를 10% FBS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 배양하였다. XF-24 FluxPak (Seahorse, Agilent, USA)의 지침에 따라 세포를 시딩하여 준비하였다. 덱사메타존 (dexamethasone)과 머위잎 추출물 1, 2.5 μg/mL을 처리 24시간 뒤 중탄산염 제외 배지(bicarbonate-free medium)로 교체한 뒤 CO2 없이 세포 배양기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Seahorse XF Cell Mito Stress Test Kit (Agilent, USA)를 사용하여 1.5 μM 올리고마이신(oligomycin), 2μM 카보닐 시아나이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하이드라존(carbonyl cyanide-4-(trifluoromethoxy)phenylhydrazone (FCCP)), 1μM 로테논(rotenone) 의 호흡사슬 억제제를 순서대로 처리하면서 OCR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머위잎 추출물의 PPAR delta, ERR3 transcription의 luciferase activity 조절 측정
도1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머위잎 추출물이 ERR3, PPAR delta의 activity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근육세포에서 중요한 transcription의 역할을 하는 ERR3, PPAR delta 활성을 머위잎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머위잎 추출물의 예쁜꼬마선충(C.elegans)의 수명 분석
도2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N2 worm control군에 비하여 100 μg/mL로 머위잎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lifespan이 4일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Day 10부터 individual lifespan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머위잎 추출물은 N2 worm lifespan과 healthspan을 모두 증가 시키는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3> 머위잎 추출물이 근육세포 분화 시 근 수축 및 분화 조절인자 mRNA 발현 변화 확인
도3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근육 단백질을 파괴함으로써 근 위축(atrophy)을 야기하는 Atrogin-1, MurF-1(Muscle RING-finger protein-1)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을 처리한 군에서 대조군인 DMS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머위잎 추출물을 1, 2.5 μg/mL로 처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에 의한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머위잎 추출물의 근 위축 조절 유전자를 조절하는 효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근육분화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는 MyoD와 근육분화 억제인자인 myostatin의 유전자 발현 분석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인 DMSO에 비해 덱사메타존(dexamethasone) 처리 군에서 MyoD의 발현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myostatin의 경우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덱사메타존(dexamethasone) 처리 시의 근육분화 조절 유전자인 MyoD, myostatin의 유전자 발현을 머위잎 추출물 1, 2.5 μg/mL 처리 시 유의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머위잎 추출물이 근육분화를 조절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머위잎 추출물이 근육타입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도4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덱사메타존(dexamethasone) 처리에 의해 근섬유 T-MHC, MHCⅠ, MHCⅡa, MHCⅡb의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었으나, 머위잎 추출물 1, 2.5 μg/mL 처리에 따라 단밸질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결과적으로 덱사메타존(dexamethasone) 에 의해 유도된 근섬유의 위축이 머위잎 추출물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머위잎 추출물이 호흡률에 미치는 영향 확인
도5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덱사메타존(dexamethasone) 처리에 의해 감소한 세포호흡률을 머위잎 추출믈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머위잎 추출물이 근육세포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운동 수행능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부작용 없이 근육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f muscular disease containing Petasites japonicus extract <130> NP19-0135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rogin_sense <400> 1 gactggactt ctcgactgc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rogin_anti sense <400> 2 tcagggatgt gagctgtgac 20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rF-1_sense <400> 3 gctggtggaa aacatcattg acat 24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rF-1_anti sense <400> 4 catcgggtgg ctgccttt 18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yostatin_sense <400> 5 acgctaccac ggaaacaat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yostatin_anti sense <400> 6 ggagtcttga cgggtctgag 20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yoG_sense <400> 7 gcaggctcaa gaaagtgaat ga 22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yoG_anti sense <400> 8 taggcgctca atgtactgga t 21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 RNA_sense <400> 9 gtaacccgtt gaaccccatt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 RNA_anti sense <400> 10 ccatccaatc ggtagtagcg 20

Claims (11)

  1. 머위잎(Petasite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감퇴증(aton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머위잎(Petasite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감퇴증(aton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 퇴화,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식품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식품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근육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식품 조성물.
  7. 삭제
  8.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식품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근 지구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식품 조성물.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능력 증진은 지구력 저하증, 순발력 저하증, 무기력증 및 우울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는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200008420A 2020-01-22 2020-01-22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3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20A KR102303624B1 (ko) 2020-01-22 2020-01-22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20A KR102303624B1 (ko) 2020-01-22 2020-01-22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70A KR20210094770A (ko) 2021-07-30
KR102303624B1 true KR102303624B1 (ko) 2021-09-16

Family

ID=7714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420A KR102303624B1 (ko) 2020-01-22 2020-01-22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62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3464A (ja) 1998-08-26 2002-07-30 ヴェーバー・ウント・ヴェーバ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 ピロリジジンアルカロイドを含まないペタサイトを含有する組成物
WO2004080473A1 (en) 2003-03-14 2004-09-23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Extract of petasites japonicus having neuroprotective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RU2236840C2 (ru) 2002-02-08 2004-09-27 Коновалов 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варианты)
GB2436524A (en) 2006-03-31 2007-10-03 Mitsuko Bennett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the butterbur plant
KR100820343B1 (ko) 2006-11-14 2008-04-07 주식회사 바이오플러스 염증성 피부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689656B1 (ko) 2016-06-08 2016-12-26 주식회사 네이처바이오 머위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2025322B1 (ko) 2019-06-26 2019-09-25 주식회사 네이처바이오 머위 추출물로부터의 분리된 항염증 활성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22B1 (ko) * 2001-11-14 2004-07-0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머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1942B1 (ko) * 2010-12-30 2018-01-24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다목적 화장품 조성물
EA201692060A1 (ru) * 2014-04-14 2017-02-28 Флекс Фарма, Инк. Активаторы ионного канала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3464A (ja) 1998-08-26 2002-07-30 ヴェーバー・ウント・ヴェーバ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 ピロリジジンアルカロイドを含まないペタサイトを含有する組成物
RU2236840C2 (ru) 2002-02-08 2004-09-27 Коновалов 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варианты)
WO2004080473A1 (en) 2003-03-14 2004-09-23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Extract of petasites japonicus having neuroprotective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GB2436524A (en) 2006-03-31 2007-10-03 Mitsuko Bennett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the butterbur plant
KR100820343B1 (ko) 2006-11-14 2008-04-07 주식회사 바이오플러스 염증성 피부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689656B1 (ko) 2016-06-08 2016-12-26 주식회사 네이처바이오 머위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2025322B1 (ko) 2019-06-26 2019-09-25 주식회사 네이처바이오 머위 추출물로부터의 분리된 항염증 활성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J. Pharmacogn. 45(2): 147~153(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70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21118A (ja) モルシン、クワノンジ又は桑白皮を含有する筋肉疾患予防及び治療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KR102050099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0412B1 (ko) 피마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0221B1 (ko) 쥐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507224B2 (en) Composition including kirenol or siegesbeckia herba extract for muscle function improvement or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KR102303624B1 (ko) 머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0100B1 (ko) 상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4313B1 (ko) 판람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7438B1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63328B1 (ko) 로즈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04206156B2 (en) Blood pressure-lowering agent, vascular flexibility-improving agent and foods having these functions imparted thereto
KR102538751B1 (ko) 포도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217264B1 (ko) 코디움 속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91881B1 (ko)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210111160A (ko) 갯기름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KR20220099917A (ko) 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54977B1 (ko) 키레놀 또는 시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618160B1 (ko) 람부탄 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를 세노모르픽 제제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의 노화 관련 증상 억제 및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
KR20230028710A (ko) 구릿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28711A (ko) 독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4965B1 (ko) 발효숙성노니, 코코넛 슈가 또는 모스코바도 슈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및 피로회복 증진용 조성물
KR102034314B1 (ko) 적색 파프리카 추출물 또는 캡산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