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395B1 -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395B1
KR102303395B1 KR1020190105261A KR20190105261A KR102303395B1 KR 102303395 B1 KR102303395 B1 KR 102303395B1 KR 1020190105261 A KR1020190105261 A KR 1020190105261A KR 20190105261 A KR20190105261 A KR 20190105261A KR 102303395 B1 KR102303395 B1 KR 102303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breathable
elastic block
air flow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342A (ko
Inventor
김영덕
전문범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20190105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3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개시된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은, 송풍 모듈 탑재부가 마련된 좌판을 준비하는 좌판 준비 단계,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흡기공과 상측면에 복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공기 유동 박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승압되어 상기 복수의 배기공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 유동 박스 내부에 설치된 팬을 구비한 송풍 모듈을 준비하는 송풍 모듈 준비 단계,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에 상기 송풍 모듈을 고정 설치하는 송풍 모듈 설치 단계, 착좌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며 탄성 복원 가능하게 수축되는 블록으로서, 자신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탄성 블록을 상기 좌판에 올려 놓아 상기 좌판으로 지지하는 탄성 블록 설치 단계, 가로, 세로, 및 두께 방향으로 기체가 통과 가능한 통기성 시트, 상기 통기성 시트에 고정된 전열선, 및 상기 전열선을 상기 통기성 시트에 고정하는 고정사를 구비한 통기성 발열 패드를 준비하는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 및 상기 탄성 블록의 상측면에 상기 통기성 발열 패드를 접촉 지지시키는 통기성 발열 패드 설치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office chair}
본 발명은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근무 근로자, 학생 등 많은 사람들이 오랜 동안 사무용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한다. 이처럼 오랜 시간 동안 사무용 의자에 앉아 있어야 하므로, 착좌자는 사무용 의자에 직접 접촉되는 신체 부위, 즉 엉덩이나 등에 땀이 배어서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겨울에는 착좌자가 사무용 의자에 앉을 때 냉기가 전달되어 추위를 느낄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엉덩이나 등을 접촉 지지하는 부분에 열을 발산하는 발열 패드(heating pad)를 올려 놓기도 한다. 이렇게 하면 사무용 의자에 앉는 순간에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지만, 장시간 동안 계속 앉아 있게 되면 엉덩이나 등에 땀이 배게 되어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150호
본 발명은, 착좌 부위에 상온(常溫)의 바람 또는 따뜻한 바람을 불어 넣어서 앉아 있는 동안에 쾌적함이 유지되는 사무용 의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송풍 모듈 탑재부가 마련된 좌판을 준비하는 좌판 준비 단계,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흡기공과 상측면에 복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공기 유동 박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승압되어 상기 복수의 배기공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 유동 박스 내부에 설치된 팬(fan)을 구비한 송풍 모듈을 준비하는 송풍 모듈 준비 단계,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에 상기 송풍 모듈을 고정 설치하는 송풍 모듈 설치 단계, 착좌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며 탄성 복원 가능하게 수축되는 블록으로서, 자신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탄성 블록을 상기 좌판에 올려 놓아 상기 좌판으로 지지하는 탄성 블록 설치 단계, 가로, 세로, 및 두께 방향으로 기체가 통과 가능한 통기성 시트, 상기 통기성 시트에 고정된 전열선, 및 상기 전열선을 상기 통기성 시트에 고정하는 고정사(fixing yarn)를 구비한 통기성 발열 패드(pad)를 준비하는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 및 상기 탄성 블록의 상측면에 상기 통기성 발열 패드를 접촉 지지시키는 통기성 발열 패드 설치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는, 미리 정해진 폭(width)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통기성 시트의 원단이 작업대 위에 펼쳐지게 공급하는 원단 공급 단계, 상기 원단의 폭 방향 양 단부를 상기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로 눌러 상기 원단을 자신의 폭 방향으로 당겨주는 폭 방향 장력 유지 단계, 상기 원단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로 상기 원단을 눌러 상기 원단을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당겨주는 길이 방향 장력 유지 단계,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와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에 의해 한정되는 원단의 내부 영역 상측면에 상기 전열선을 배선하는 전열선 배선 단계, 및 상기 고정사로 상기 원단에 상기 전열선을 재봉(裁縫)하여 고정하는 전열선 고정 단계를 구비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 및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는 각각, 액추에이터(actuator)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로드(rod)와, 상기 회전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하면 상기 원단을 누르는 가압 블레이드(blad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압 실린더(air cylinder)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로드는 상기 공압 실린더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공압 실린더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원단의 내부 영역 위에 설치된 재봉 헤드(head)에 의해 상기 전열선 배선 단계와 상기 전열선 고정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시트는, 다수의 통공이 균일하게 분포된 시트(sheet)로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하부 및 상부 네트 시트(net sheet), 및 하단이 상기 하부 네트 시트에 고정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 네트 시트에 고정 지지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의 탄성사(elastic yarn)를 구비한 스페이서 패브릭(spacer fabrics)일 수 있다.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는 상기 좌판을 관통하는 통공이고,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는, 상기 공기 유동 박스를 상기 통공에 끼우고 상기 좌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 박스는, 자신의 하단 모서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결합 플랜지(flange)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에서, 상기 공기 유동 박스가 상기 좌판의 아래에서 상기 통공에 올려 끼워지고, 상기 결합 플랜지가 상기 좌판의 하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은, 상기 좌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공기 유동 박스의 하측면에 연결 유닛(unit)을 고정 결합하는 연결 유닛 설치 단계, 및 상기 연결 유닛에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의자 다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의자 다리 연결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은, 상기 연결 유닛에 등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등판 연결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좌판에 대한 등판의 경사 각도 및 상기 좌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 메커니즘(adjusting mechanism)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듈은, 고무 소재로 형성된 튜브(tube)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배기공과 일대일로 정렬되어 상향 돌출되도록 상기 공기 유동 박스에 고정 결합되며, 각각의 외주벽에 탄성 복원 가능하게 접혀 포개지는 복수의 주름(wrinkle)을 구비하여서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수축되더라도 공기 흐름이 막히지 않는 복수의 가이드 튜브(guide tube)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블록 설치 단계가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탄성 블록 설치 단계는, 상기 탄성 블록의 복수의 통풍공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튜브가 일대일로 정렬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탄성 블록을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에 설치된 송풍 모듈에 접근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듈은, 고무 소재로 형성된 튜브(tube)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배기공과 일대일로 정렬되어 상향 돌출되도록 상기 공기 유동 박스에 고정 결합되며, 각각의 외주벽에 탄성 복원 가능하게 접혀 포개지는 복수의 주름(wrinkle)을 구비하여서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수축되더라도 공기 흐름이 막히지 않는 복수의 가이드 튜브(guide tube)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가 상기 탄성 블록 설치 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는, 상기 탄성 블록의 복수의 통풍공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튜브가 일대일로 정렬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송풍 모듈을 상기 좌판에 올려진 탄성 블록에 접근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무용 의자는, 착좌자가 앉았을 때 착좌 부위, 즉 엉덩이와 허벅지에 상온(常溫)의 바람 또는 따뜻한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어서, 착좌자가 오랜 시간 앉아있더라도 쾌적함이 유지된다. 특히, 겨울철에 착좌자에게 따뜻한 바람이 불어져서 보온 기능이 향상되고, 땀(sweat)이나 습기가 배어들지 않아서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어 위생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에 의하면, 통기성 시트가 뒤틀리거나 울퉁불퉁하게 주름지지 않는 통기성 발열 패드가 탄성 블록의 상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착좌자가 사무용 의자에 앉았을 때 불편함이 없고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성 발열 패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열선을 통기성 시트에 재봉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재봉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하면서도 작업 불량이 감소하여 양품 수율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사시도로서, 도 1은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무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로서, 좌판, 팔걸이, 송풍 모듈, 탄성 블록, 및 통기성 발열 패드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IV-IV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로서,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송풍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통기성 발열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통기성 발열 패드의 다른 일 예를 촬상한 실물 사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 부분을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도 9의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재봉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XI-XI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을 XII-XII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의 사시도로서, 도 1은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아래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사무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로서, 좌판, 팔걸이, 송풍 모듈, 탄성 블록, 및 통기성 발열 패드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을 IV-IV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로서,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송풍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통기성 발열 패드의 단면도이다.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사무용 의자(1)는, 좌판(10), 팔걸이(13), 탄성 블록(50), 송풍 모듈(30), 통기성 발열 패드(20A), 연결 유닛(60), 의자 다리(2), 등판(15), 및 콘트롤 박스(control box)(70)를 구비한다.
좌판(10)은 예컨대, 목재,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좌판(10)의 중앙 부분에는 송풍 모듈(30)이 탑재되는 송풍 모듈 탑재부(11)가 마련된다.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11)는 좌판(10)을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이다. 한 쌍의 팔걸이(13)는 좌판(10)의 좌우 하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탄성 블록(50)은 탄성 복원 가능하게 수축되는 블록으로서, 예컨대, 스펀지(sponge) 소재로 형성된다. 탄성 블록(50)에는 탄성 블록(5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Z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통풍공(51)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통풍공(51)에는 후술할 송풍 모듈(30)의 복수의 가이드 튜브(45)가 일대일로 대응되게 끼워진다. 복수의 가이드 튜브(45)가 길이 및 직경이 수축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통풍공(51)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통풍공(51)의 내경(inner diameter) 크기는 대응되는 가이드 튜브(45)의 직경 크기보다 약간 크다.
탄성 블록(50)은 좌판(10)에 올려진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탄성 블록(50)의 하부에 좌판(10)이 끼워지도록 파여진 좌판 끼움 홈(groove)(55)이 형성된다. 탄성 블록(50)이 좌판(10)을 덮으면서 씌워져서 좌판(10)이 상기 좌판 끼움 홈(55)에 기워진다. 좌판(10)이 상기 좌판 끼움 홈(55)에 끼워지면, 탄성 블록(50)이 좌판(10)에 올려지게 되며, 좌판 끼움 홈(55)의 바닥면(56), 즉 탄성 블록(50)의 하측면이 좌판(10)의 상측면과 마주보게 된다.
송풍 모듈(30)은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기하여 상측으로 승압된 공기, 즉 바람을 불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풍 모듈(30)은 한 쌍의 팬(fan)(38), 공기 유동 박스(31), 송풍 유도 부재(40), 및 복수의 가이드 튜브(guide tube)(45)를 구비한다. 한 쌍의 팬(38)은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승압시킨 후 배출하며, 공기 유동 박스(31)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참조번호 '39'은 승압된 공기가 팬(38) 외부로 배출되는 아웃렛(outlet) 개구이다. 공기 유동 박스(31)의 내부에는 상기 팬(38)의 아웃렛 개구(39)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공기 유동 박스(31)는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드 케이스(hard case)이다. 공기 유동 박스(31)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base)(36)와, 상기 베이스(36)에 체결되는 커버(cover)(33)를 구비한다. 커버(33)에는 복수의 가이드 튜브(45)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배기공(35)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튜브(45)는 상기 배기공(35)과 정렬되게 상기 커버(33)의 배기공(35) 주변에 고정 결합된다. 베이스(36)에는 외부의 공기가 한 쌍의 팬(38)으로 유입되도록 한 쌍의 흡기공(37)이 형성된다. 한 쌍의 흡기공(37)은 한 쌍의 팬(38)과 일대일로 대응된다. 한 쌍의 흡기공(37)을 통해 공기 유동 박스(31) 하측에서 공기 유동 박스(3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한 쌍의 팬(38)에 의해 승압되어 복수의 배기공(35)을 통해 공기 유동 박스(31) 상측으로 배출된다.
공기 유동 박스(31)는 하단 모서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결합 플랜지(flange)(32)를 구비한다. 송풍 모듈(30)이 통공 형태의 송풍 모듈 탑재부(11)에 탑재되어 좌판(10)에 고정될 때, 공기 유동 박스(31)가 좌판(10)의 아래에서 위로 올려지거나 좌판(10)이 공기 유동 박스(31)를 덮어서, 송풍 모듈(30)이 송풍 모듈 탑재부(11)에 끼워진다. 상기 결합 플랜지(32)는 좌판(10)의 하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복수의 가이드 튜브(45)는, 한 쌍의 팬(38)의 아웃렛 개구(39)에서 배출되어 공기 유동 박스(31)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공기 유동 박스(31) 상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커버(33)에서 서로 이격되게 상향 돌출된다. 복수의 가이드 튜브(45)는 예컨대,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와 같은 고무 소재로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 튜브(45)에는 각각 공기가 Z축과 평행하게 유동하도록 중공(中孔)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을 한정하는 가이드 튜브(45)의 외주벽에는 탄성 복원 가능하게 접혀 포개지는 복수의 주름(wrinkle)(46)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튜브(45)는 소위 '주름관(corrugated tube)'과 유사한 형태이다. 가이드 튜브(45)는 하단에 직경이 커지게 방사 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flange)(48)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48)는 커버(33)의 배기공(35) 주변에 밀착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접착제 도포,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48)가 상기 배기공(35)을 관통하여 공기 유동 박스(31)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48)의 상측면이 상기 배기공(35) 주변 커버(33)의 내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가이드 튜브(45)가 공기 유동 박스(31)에서 이격되는 방향, 즉 위로 당겨지더라도 가이드 튜브(45)가 공기 유동 박스(3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 튜브(45)의 상단이 공기 유동 박스(31)와 가까워지는 방향, 즉 아래로 가압되면 상기 복수의 주름(46)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포개지면서 가이드 튜브(45)는 그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수축된다. 그러나, 이처럼 가이드 튜브(45)의 길이가 짧아짐에도 불구하고, 주름관 형태의 특성상 가이드 튜브(45)의 중공의 내경은 거의 변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중공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막히거나 꺽이지 않는다.
즉, 복수의 가이드 튜브(45)가 수축하여 가이드 튜브(45)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에도 팬(38)에서 승압되어 배출된 공기는, 가이드 튜브(45)가 수축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기 유동 박스(31) 내부를 통과하여 복수의 가이드 튜브(45)를 통해 송풍 모듈(30)의 상측으로 방출된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가이드 튜브(45)의 길이가 짧아진 경우에나 짧아지지 않은 경우에나 송풍 모듈(30)의 송풍 압력 차이는 거의 없다. 상기 가이드 튜브(45) 상단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 튜브(45)는 짧아지기 전 원래의 길이로 탄성 복원된다.
송풍 유도 부재(40)는 한 쌍의 팬(38)의 아웃렛 개구(39)에서 배출된 공기를 되도록 압력 손실 없이 복수의 가이드 튜브(45)로 안내하고 상기 송풍 모듈(30)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하는 부재로서, 공기 유동 박스(3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송풍 유도 부재(40)는 예컨대, 스펀지, 우레탄과 같은 발포 수지로 형성된다. 송풍 유도 부재(40)의 상측면과 하측면은 커버(33)의 하측면과 베이스(36)의 상측면에 접촉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송풍 유도 부재(40)는 한 쌍의 팬(38)의 아웃렛 개구(39)를 막지 않으면서 팬(38)을 밀착 지지하여 상기 아웃렛 개구(39)에서 배출된 공기가 X축 음(-)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송풍 모듈(30)에 구비된 송풍 유도 부재의 형상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송풍 유도 부재(40)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기성 발열 패드(20A)는 탄성 블록(50)의 상측면(53)에 접촉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통기성 발열 패드(20A)는 접착제에 의해 탄성 블록(50)의 상측면(53)에 접착될 수 있다. 도 7은 통기성 발열 패드의 다른 일 예를 촬상한 실물 사진이고, 도 8은 도 7의 VIII 부분을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통기성 발열 패드(20A)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통기성 발열 패드(20B)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통기성 발열 패드(20A, 20B)는 통기성 시트(21), 전열선(electric heating wire)(25), 및 고정사(fixing yarn)(27)를 구비한다. 통기성 시트(21)는 평면 방향, 즉 가로 및 세로 방향과 두께 방향으로 기체가 통과 가능한 시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통기성 시트(21)는 접거나 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한 스페이서 패브릭(spacer fabrics)이다.
스페이서 패브릭(21)은 다수의 통공이 균일하게 분포된 시트(sheet)로서 위아래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하부 네트 시트(net sheet)(22) 및 상부 네트 시트(23)와, 다수의 탄성사(elastic yarn)(24)를 구비한다. 하부 네트 시트(22) 및 상부 네트 시트(23)는 불연성 시트(nonflammable sheet)로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다수의 탄성사(24)는 탄성 복원 가능하게 휘어지는 실(yarn)로서, 하단은 하부 네트 시트(22)에 고정 지지되고 상단은 상부 네트 시트(23)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다수의 탄성사(24)는 서로 이격되어 고르게 분포되고, 두 개 이상이 서로 겹쳐지거나 꼬이지 않는다.
전열선(25)은 전기 에너지의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로서, 스페이서 패브릭(21)의 상측면, 즉 상부 네트 시트(23)의 표면에 접촉 고정된다. 전열선(25)은 상부 네트 시트(23)의 표면에서 지그재그(zigzag)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고정사(27)는 하부 네트 시트(22)와 상부 네트 시트(23)를 함께 감아 전열선(25)을 상부 네트 시트(23)에 밀착 고정시킨다. 즉, 상부 네트 시트(23)에 전열선(25)이 접촉 유지되도록 고정사(27)로 전열선(25)과 스페이서 패브릭(21)을 함께 감는다.
스페이서 패브릭(21)의 두께는 2 내지 10mm 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2mm 보다 얇으면, 스페이서 패브릭(21)이 너무 얇아서 통기성 발열 패드(20A, 20B)가 뒤틀리거나 쉽게 주름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통기성 발열 패드(20A, 20B) 위에 앉았을 때 스페이서 패브릭(21)의 탄력이 부족하여 착좌감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께가 10mm 보다 두꺼우면, 스페이서 패브릭(21)의 원가가 높아지고, 고정사(27)를 이용하여 전열선(25)을 스페이서 패브릭(21)에 고정하는 작업의 속도가 저하되고 불량율도 높아질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의자 다리(2)는 착좌자의 앉은 키에 맞춰 좌판(10)과 등판(15)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앙 기둥(5)과, 상기 중앙 기둥(5)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바퀴 지지대의 말단에 설치된 복수의 바퀴(3)를 구비한다. 복수의 바퀴(3)에 의해 사무용 의자(1)를 밀어 이동시키기 용이해진다. 등판(15)은 착좌자가 등을 기댈 수 있게 등을 지지한다. 상기 등판(15)은 창틀처럼 중앙이 뚫린 프레임(frame) 형상으로서, 메시(mesh) 형태의 탄성 시트(sheet)가 상기 등판(15)에 팽팽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연결 유닛(60)은 의자 다리(2)와 등판(15)이 연결되는 기구로서, 좌판(10)의 하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 유닛(60)은, 좌판(10)의 하측면에 복수의 볼트(미도시)에 의해 체결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브라켓(bracket)(61)과, 의자 다리(2)의 중앙 기둥(5)의 상단부(6)가 끼워져 결합되는 다리 결합 브라켓(63)과, 상기 등판(15)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등판 결합 브라켓(65)과, 조정 메커니즘(adjusting mechanism)(62)을 구비한다. 상기 조정 메커니즘(62)은 양 측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레버(lever)(67, 68)를 구비한다. 사무용 의자(1)에 앉은 착좌자가 제1 및 제2 레버(67, 68) 중 하나를 누르거나 당겨서, 좌판(10)에 대한 등판(15)의 경사 각도, 좌판(10)의 높이, 좌판(10) 전방 또는 후방 이동 등을 자신에게 맞춰 조정하고, 그 자세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 유닛(60)이 좌판(10)의 하측면에 결합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연결 유닛이 송풍 모듈(30)의 공기 유동 박스(31)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콘트롤 박스(70)는 팬(38)과 전열선(25)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이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콘트롤 박스(70)는 좌판(10)의 하측면에 부착 지지된다. 상기 콘트롤 박스(70)에 구비된 회로기판(미도시)은 상기 전열선(25)과 상기 팬(38)에 각각 전선(미도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박스(70)는 전력 공급용 전원 소켓(electric socket)에 전선으로 연결된 AC 어댑터(AC adapter)(미도시)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DC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배터리팩(battery pack)(미도시)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DC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사무용 의자(1)는 팬(38)과 전열선(25)을 작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유닛(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유닛과 콘트롤 박스(70)는 전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10은 도 9의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재봉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을 XI-XI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을 XII-XII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은, 좌판 준비 단계(S10), 송풍 모듈 준비 단계(S20), 송풍 모듈 설치 단계(S30), 탄성 블록 설치 단계(S40),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S50), 통기성 발열 패드 설치 단계(S60), 연결 유닛 설치 단계(S70), 의자 다리 연결 단계(S80), 및 등판 연결 단계(S90)를 구비한다.
좌판 준비 단계(S1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좌판(1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송풍 모듈 준비 단계(S2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송풍 모듈(3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송풍 모듈 설치 단계(S30)는 좌판(10)의 송풍 모듈 탑재부(11)에 송풍 모듈(3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11)는 상기 좌판(10)을 관통하는 통공이므로,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S30)는 송풍 모듈(30)의 공기 유동 박스(31)를 상기 통공(11)에 끼우고, 상기 좌판(10)에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유동 박스(31)가 상기 좌판(10)의 아래에서 상기 통공(13)에 올려 끼워지고, 공기 유동 박스(31)의 결합 플랜지(32)가 상기 좌판(10)의 하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좌판(10)이 상기 송풍 모듈(30)을 향해 내려져 상기 좌판(10)의 통공(11)에 상기 공기 유동 박스(31)가 끼워지고, 공기 유동 박스(31)의 결합 플랜지(32)가 상기 좌판(10)의 하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블록 설치 단계(S4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탄성 블록(50)을 상기 좌판(10)에 올려 놓아 상기 좌판(10)으로 지지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블록(50)의 좌판 끼움 홈(55)에 좌판(10)이 끼워지도록 탄성 블록(50)을 좌판(10)에 덮어 씌우는 단계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 모듈 설치 단계(S40) 이후에 탄성 블록 설치 단계(S50)가 진행되므로, 상기 탄성 블록 설치 단계(S50)는 탄성 블록(50)의 복수의 통풍공(51)에 송풍 모듈(30)의 복수의 가이드 튜브(45)가 일대일로 정렬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탄성 블록(50)을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11)에 설치된 송풍 모듈(30)에 접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은, 송풍 모듈 설치 단계를 탄성 블록 설치 단계 이전에 진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송풍 모듈 설치 단계를 탄성 블록 설치 단계 이후에 진행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는 탄성 블록(50)의 복수의 통풍공(51)에 복수의 가이드 튜브(45)가 일대일로 정렬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송풍 모듈(30)을 상기 좌판(10)에 올려진 탄성 블록(50)에 접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송풍 모듈의 공기 유동 박스(31)는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11), 즉 통공에 끼워지도록 좌판(10)의 아래에서 좌판(10)을 향해 올려지게 된다.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S50)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기성 발열 패드(20A, 20B)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원단 공급 단계(S51), 폭 방향 장력(tension) 유지 단계(S52), 길이 방향 장력 유지 단계(S53), 전열선 배선 단계(S54), 전열선 고정 단계(S55), 및 원단 재단 단계(S56)를 구비한다.
도 6 내지 도 12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S50)는 통기성 발열 패드 제조용 재봉 장치(16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된다. 상기 원단 공급 단계(S51)는 미리 정해진 폭(width)을 가지며 일 방향, 구체적으로 도 10을 기준으로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통기성 시트(21)의 원단(21m), 즉 스페이서 패브릭의 원단(21m)이 작업대(161) 위에 펼쳐지게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폭 방향 장력 유지 단계(S52)는 상기 원단(21m)의 폭 방향, 구체적으로 도 10을 기준으로 X축과 평행한 방향의 양 단부를 상기 원단(21m)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165)로 눌러 상기 원단(21m)을 자신의 폭 방향으로 당겨주는 단계이다. 상기 길이 방향 장력 유지 단계(S53)는 상기 원단(21m)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16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175)로 상기 원단(21m)을 눌러 상기 원단(21m)을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당겨주는 단계이다.
상기 전열선 배선 단계(S54)는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165)와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175)에 의해 한정되는 원단(21m)의 내부 영역(IN) 상측면에 전열선(25)을 배선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열선 고정 단계(S55)는 고정사(27)로 상기 원단(21m)에 상기 전열선(25)을 재봉(裁縫)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단 재단 단계(S56)는 상기 전열선(25)이 고정된 원단(21m)을 미리 정해진 크기와 형태로 재단하는 단계이다. S52 단계와 S53 단계를 통하여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165)와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175)에 의해 둘러싸인 원단(21m)의 내부 영역(IN)은, 원단(21m)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즉 X축에 평행한 방향 및 Y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팽팽하게 장력(tension)이 유지된다.
상기 재봉 장치(160)는 작업대(161)와, 작업대(161) 위에 배치된 사각형 보더 프레임(border frame)(162)과, 보더 프레임(162)에서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부분 내측에 지지되며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X 빔(beam)(164)과, 상기 한 쌍의 X 빔(164)에 지지되며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175)와, 상기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175)에 지지되며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165)와, 재봉 헤드(head)(185)를 구비한다.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175)는 각각, 길이 방향 가압부 액추에이터(actuator)와,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rod)(179)와, 회전 로드 커버(cover)(176)와,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를 구비한다. 상기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는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로드로서, 상기 길이 방향 가압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길이 방향 가압부 액추에이터는 공압 실린더(air cylinder)(177)를 구비한다. 상기 공압 실린더(177)는 실린더 보디(178b)와, 공기압의 작용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보디(178b)에서 돌출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 즉 상기 실린더 보디(178b)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실린더 로드(178r)를 구비한다. 상기 공압 실린더(177)의 힘이 작용하면, 즉 실린더 로드(178r)가 실린더 보디(178b)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가 상기 실린더 로드(178r)에 밀려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한다. 상기 공압 실린더(177)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즉 실린더 로드(178r)가 실린더 보디(178b)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는 바이어스(bias)되어 있다.
회전 로드 커버(176)는 상기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를 가려주는 것으로, 브라켓(184)에 의해 상기 X 빔(164)에 고정 지지된다.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는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에 연결되며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는 이격되어 있으며, 말단에 예컨대, 고무(rubber)와 같이 마찰과 탄성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말단 접촉 부재가 설치된다.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의 일 측 말단에는 트리거(trigger)(180)가 고정 설치된다. 공압 실린더(177)의 실린더 로드(178r)가 실린더 보디(178b)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트리거(180)가 상기 실린더 로드(178r)에 밀려서 상기 트리거(180)와 이에 고정된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가 상기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의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165)는 각각, 폭 방향 가압부 액추에이터와, Y 방향 연장 회전 로드(rod)(167)와,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와, 상기 Y 방향 연장 회전 로드(167)와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를 연결하는 연결구(168)를 구비한다. 상기 Y 방향 연장 회전 로드(167)는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로드로서, 상기 폭 방향 가압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폭 방향 가압부 액추에이터는 공압 실린더(air cylinder)(166)를 구비한다. 폭 방향 가압부(165)에 구비된 공압 실린더(166)는 길이 방향 가압부(175)에 구비된 공압 실린더(177)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Y 방향 연장 회전 로드(167)는, 상기 공압 실린더(166)의 힘이 작용하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공압 실린더(166)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원위치로 복귀한다.
Y 방향 연장 회전 로드(167)의 양 단은 회전 로드 브라켓(170)에 의해 한 쌍의 회전 로드 커버(17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는 연결구(168)에 의해 상기 Y 방향 연장 회전 로드(167)에 연결되며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는 말단에 예컨대, 고무(rubber)와 같이 마찰과 탄성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말단 접촉 부재가 설치된다.
스페이서 패브릭(21)의 원단(21m)은 하나의 X 바(164)와 이에 지지된 회전 로드 커버(176) 사이의 슬롯(slot)을 통해 작업대(161) 위로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X 바(164)와 이에 지지된 회전 로드 커버(176) 사이의 슬롯을 통해 작업대(161)를 벗어난다. 상기 원단(21m)의 길이는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보더 프레임(162)의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 상기 원단(21m)의 폭은 보더 프레임(162)의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한 쌍의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의 말단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단(21m)이 작업대(161) 위에서 펼쳐지게 공급된 상태에서, 공압 실린더(177)의 실린더 로드(cylinder rod)(178r)가 실린더 보디(body)(178b)에서 돌출되어 상기 트리거(180)를 밀면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의 말단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X 방향 연장 회전 로드(179)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단(21m)에서 X축과 평행한 직선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 길이 방향의 두 지점이 한 쌍의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 말단에 의해 가압되면서 당겨지고, 원단(21m)은 길이 방향으로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된다.
또한, 공압 실린더(166)의 실린더 로드가 실린더 보디에서 돌출되면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의 말단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Y 방향 연장 회전 로드(167)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단(21m)에서 Y축과 평행한 직선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 폭 방향의 두 지점이 한 쌍의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의 말단에 의해 가압되면서 당겨지고, 원단(21m)은 폭 방향으로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와 한 쌍의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에 의해 한정되는 원단(21m)의 내부 영역(IN)에서 전열선(25)을 배선하고 전열선(25)을 고정사(27)로 고정하는 작업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가 원단(21m)을 가압하는 작업과, 상기 한 쌍의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가 원단(21m)을 가압하는 작업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S52 단계와 S53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재봉 헤드(185)는 상기 내부 영역(IN) 위에 설치된다. 상기 전열선 배선 단계(S64)과 전열선 고정 단계(S65)가 재봉 헤드(185)에 의해 거의 동시에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와 한 쌍의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에 의해 원단(21m)의 내부 영역(IN)에서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전열선 고정 단계(S55)에서 고정사(27)가 원단(21m)을 당기는 힘에 불구하고 상기 원단(21m)이 뒤틀리거나 울퉁불퉁하게 주름지지 않는다.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175)와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165)가 정지되고 재봉 헤드(185)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열선 배선 단계(S54)와 전열선 고정 단계(S55)가 수행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재봉 헤드(185)는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상기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175)와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165)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열선 배선 단계(S54)와 전열선 고정 단계(S55)가 수행될 수도 있다.
S54 단계 및 S55 단계가 완료되면, 공압 실린더(166, 177)의 실린더 로드가 실린더 보디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한 쌍의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와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가 원단(21m)에서 이격되도록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 11 및 도 12에서 원위치로 복귀한 Y 방향 가압 블레이드(169)와 제1 및 제2 X 방향 가압 블레이드(181, 182)의 모습이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전열선(25)이 일정한 패턴(pattern)을 따라 배선되고 고정된 원단(21m)이 작업대(161)에서 빼내어 지고, 원단 재단 작업(S66)이 수행된다. 상기 S56 단계는 자동 재단 장치에 의해 또는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9을 함께 참조하면, 통기성 발열 패드 설치 단계(S60)는 상기 탄성 블록(50)의 상측면(53)에 통기성 발열 패드(20A)를 접촉 지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통기성 발열 패드 설치 단계(S60)는 상기 통기성 시트(21)의 모서리에만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통기성 시트(21)의 모서리를 상기 탄성 블록(50)의 상측면(53)에 접착하고 상기 통기성 시트(21)의 중심부는 상기 탄성 블록(50)의 상측면(53)에 접착하지 않는 통기성 시트 접착 단계를 포함한다.
부연하면, 상기 탄성 블록(50)의 중심부는 착좌자가 사무용 의자(1)에 앉는 행위에 의해 크게 압축되고 복원 팽창되는 부분이어서, 통기성 시트(21)의 중심부와 탄성 블록(50)의 중심부가 접착되어 서로 연계되어 있으면, 오히려 상기 통기성 발열 패드(20A) 또는 탄성 블록(50)이 손상되기 쉬워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통기성 발열 패드(20A)의 통기성 시트(21)가 반드시 탄성 블록(50)의 상측면(15)에 접착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기성 시트(21)가 탄성 블록(50)의 상측면(53)에 접촉된 상태에서 외피(미도시)를 씌워서 통기성 발열 패드(20A)를 탄성 블록(5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연결 유닛 설치 단계(S7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연결 유닛(60)을 좌판(10)의 하측면에 고정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 브라켓(61)을 복수의 볼트(bolt)를 이용하여 좌판(10)의 하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유닛은 송풍 모듈의 공기 유동 박스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의자 다리 연결 단계(S8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의자 다리(2)의 중앙 기둥(5)의 상단부(6)를 연결 유닛(60)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연결 유닛(60)의 다리 결합 브라켓(63)에 상기 중앙 기둥(5)의 상단부(6)를 끼워서 의자 다리(2)가 좌판(10)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등판 연결 단계(S9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등판(15)의 하단부를 연결 유닛(60)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등판(15)의 하단부에서 아래로 연장된 연결 암(arm)을 연결 유닛(60)의 등판 결합 브라켓(65)에 복수의 체결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사무용 의자 2: 의자 다리
10: 좌판 15: 등판
20A, 20B: 통기성 발열 패드 30: 송풍 모듈
50: 탄성 블록 60: 연결 유닛
160: 재봉 장치 165: 폭 방향 가압부
175: 길이 방향 가압부 185: 재봉 헤드

Claims (11)

  1. 송풍 모듈 탑재부가 마련된 좌판을 준비하는 좌판 준비 단계;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흡기공과 상측면에 복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공기 유동 박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승압되어 상기 복수의 배기공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 유동 박스 내부에 설치된 팬(fan)을 구비한 송풍 모듈을 준비하는 송풍 모듈 준비 단계;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에 상기 송풍 모듈을 고정 설치하는 송풍 모듈 설치 단계; 착좌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며 탄성 복원 가능하게 수축되는 블록으로서, 자신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탄성 블록을 상기 좌판에 올려 놓아 상기 좌판으로 지지하는 탄성 블록 설치 단계; 가로, 세로, 및 두께 방향으로 기체가 통과 가능한 통기성 시트, 상기 통기성 시트에 고정된 전열선, 및 상기 전열선을 상기 통기성 시트에 고정하는 고정사(fixing yarn)를 구비한 통기성 발열 패드(pad)를 준비하는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 및, 상기 탄성 블록의 상측면에 상기 통기성 발열 패드를 접촉 지지시키는 통기성 발열 패드 설치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성 발열 패드 준비 단계는,
    미리 정해진 폭(width)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통기성 시트의 원단이 작업대 위에 펼쳐지게 공급하는 원단 공급 단계; 상기 원단의 폭 방향 양 단부를 상기 원단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로 눌러 상기 원단을 자신의 폭 방향으로 당겨주는 폭 방향 장력 유지 단계; 상기 원단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로 상기 원단을 눌러 상기 원단을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당겨주는 길이 방향 장력 유지 단계;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와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에 의해 한정되는 원단의 내부 영역 상측면에 상기 전열선을 배선하는 전열선 배선 단계; 및, 상기 고정사로 상기 원단에 상기 전열선을 재봉(裁縫)하여 고정하는 전열선 고정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폭 방향 가압부 및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압부는 각각, 액추에이터(actuator)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로드(rod)와, 상기 회전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로드가 회전하면 상기 원단을 누르는 가압 블레이드(blad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압 실린더(air cylinder)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로드는 상기 공압 실린더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공압 실린더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내부 영역 위에 설치된 재봉 헤드(head)에 의해 상기 전열선 배선 단계와 상기 전열선 고정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시트는, 다수의 통공이 균일하게 분포된 시트(sheet)로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하부 및 상부 네트 시트(net sheet), 및 하단이 상기 하부 네트 시트에 고정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 네트 시트에 고정 지지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의 탄성사(elastic yarn)를 구비한 스페이서 패브릭(spacer fabric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는 상기 좌판을 관통하는 통공이고,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는, 상기 공기 유동 박스를 상기 통공에 끼우고 상기 좌판에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 박스는, 자신의 하단 모서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결합 플랜지(flange)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에서, 상기 공기 유동 박스가 상기 좌판의 아래에서 상기 통공에 올려 끼워지고, 상기 결합 플랜지가 상기 좌판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하측면 또는 상기 공기 유동 박스의 하측면에 연결 유닛(unit)을 고정 결합하는 연결 유닛 설치 단계; 및, 상기 연결 유닛에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의자 다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의자 다리 연결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에 등판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등판 연결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좌판에 대한 등판의 경사 각도 및 상기 좌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 메커니즘(adjusting mechanis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은, 고무 소재로 형성된 튜브(tube)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배기공과 일대일로 정렬되어 상향 돌출되도록 상기 공기 유동 박스에 고정 결합되며, 각각의 외주벽에 탄성 복원 가능하게 접혀 포개지는 복수의 주름(wrinkle)을 구비하여서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수축되더라도 공기 흐름이 막히지 않는 복수의 가이드 튜브(guide tube)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블록 설치 단계가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탄성 블록 설치 단계는, 상기 탄성 블록의 복수의 통풍공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튜브가 일대일로 정렬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탄성 블록을 상기 송풍 모듈 탑재부에 설치된 송풍 모듈에 접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은, 고무 소재로 형성된 튜브(tube)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배기공과 일대일로 정렬되어 상향 돌출되도록 상기 공기 유동 박스에 고정 결합되며, 각각의 외주벽에 탄성 복원 가능하게 접혀 포개지는 복수의 주름(wrinkle)을 구비하여서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수축되더라도 공기 흐름이 막히지 않는 복수의 가이드 튜브(guide tube)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가 상기 탄성 블록 설치 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송풍 모듈 설치 단계는, 상기 탄성 블록의 복수의 통풍공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튜브가 일대일로 정렬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송풍 모듈을 상기 좌판에 올려진 탄성 블록에 접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KR1020190105261A 2019-08-27 2019-08-27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KR102303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61A KR102303395B1 (ko) 2019-08-27 2019-08-27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61A KR102303395B1 (ko) 2019-08-27 2019-08-27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42A KR20210025342A (ko) 2021-03-09
KR102303395B1 true KR102303395B1 (ko) 2021-09-17

Family

ID=7517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261A KR102303395B1 (ko) 2019-08-27 2019-08-27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223B1 (ko) * 2021-04-07 2022-09-15 (주)퍼맥스 의자용 좌판
KR102317797B1 (ko) * 2021-06-18 2021-10-26 장진수 송풍 기능을 갖는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4500A (ja) * 2012-09-11 2014-03-27 Iris Chitose Kk 空調機能付き座体
KR101451339B1 (ko) * 2013-06-26 2014-10-22 동일산자 주식회사 면상발열체 및 그에 적용되는 광섬유 및 열선 재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635B1 (ko) * 2010-01-28 2012-07-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냉난방용 시트
KR101235150B1 (ko) 2011-04-12 2013-02-20 (주)광일체어 사무용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4500A (ja) * 2012-09-11 2014-03-27 Iris Chitose Kk 空調機能付き座体
KR101451339B1 (ko) * 2013-06-26 2014-10-22 동일산자 주식회사 면상발열체 및 그에 적용되는 광섬유 및 열선 재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42A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585B1 (ko) 통기성 발열 쿠션 제조 방법
KR102303395B1 (ko) 사무용 의자 제조 방법
US7270378B2 (en) Chair having a suspension seat assembly
JP3338958B2 (ja) 車両座席の座部分又は背もたれ用のクツシヨン
US5129705A (en) Head support
US5711575A (en) Office chair and adjustable lumbar support therefor
JP4125721B2 (ja) 車両シート用インサート
KR101156994B1 (ko)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ITRM970429A1 (it) Sedile per veicolo
US20100295339A1 (en) Air-conditioned seat cushion
BR102014004338A2 (pt) Dispositivo de resistência térmica variável para assentos veiculares
KR102061866B1 (ko) 소파의 제조 방법
WO2012075922A1 (en) Adjustable contour mattress system
DE3903303A1 (de)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KR102303396B1 (ko) 미용 의자 제조 방법
JP2000189288A (ja) エアーマットレス装置
KR101159153B1 (ko)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JP5476296B2 (ja) 寝具張り伸ばし機構
JP6541788B2 (ja) エアポケット式のマッサージ装置
KR200333968Y1 (ko) 의자 좌판부의 통기 구조
KR102096584B1 (ko) 통기성 발열 패드 제조 방법
JP4318960B2 (ja) マッサージ機
JP6424683B2 (ja) 乗物用シート
JP4173710B2 (ja) エアマッサージ装置
JP2635296B2 (ja) いすおよび遠赤外線輻射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