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153B1 -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153B1
KR101159153B1 KR1020107008972A KR20107008972A KR101159153B1 KR 101159153 B1 KR101159153 B1 KR 101159153B1 KR 1020107008972 A KR1020107008972 A KR 1020107008972A KR 20107008972 A KR20107008972 A KR 20107008972A KR 101159153 B1 KR101159153 B1 KR 10115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lexible sheet
flexible
width direction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544A (ko
Inventor
히로유키 이노우에
게이스케 시미즈
다이스케 모리카와
신지 쓰쓰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7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54Infla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시트부, 등받이, 가요성 시트, 장력 부여 수단,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시트는 시트부의 상면에 시트부의 폭 전체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은 시트부에 설치되어 있고, 가요성 시트에 장력을 가하여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시트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장력 부여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은 시트부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설치되어, 시트부의 폭 방향을 따른 장력을 요성 시트에 가함으로써,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CHAIR TYPE STRE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부와 등받이를 구비하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스트레칭하도록 구성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19558호는 종래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시트부와 등받이를 구비한다. 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시트부 위에 앉아 등받이에 등을 기댄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등받이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어 있고, 시트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에어백(air-bag)을 포함한다. 에어백은 팽창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이 에이백에 의해 사용자에게 스트레칭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에어백은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한 가지 기능은 사용자를 지지하는 것이고, 다른 기능은 사용자의 신체를 누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body size)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없고 사용자의 신체를 누를 수 없다. 그 결과, 종래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에어백은 사용자의 원하는 신체 부위를 에게 원하는 스트레칭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와 무관하게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스트레칭을 행하도록 구성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시트부(seat)와 등받이(backrest), 가요성 시트(flexible seat), 장력 부여 수단(tension means), 및 컨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한다. 시트부의 깊이와 폭은 각각 사용자의 신체의 폭을 따른 각자의 폭을 가진다. 가요성 시트는 시트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는 사용자의 둔부(buttocks)를 지지하기 위해 시트부의 폭 전체에 연장된다. 가요성 시트는 정상 위치(normal position)과 돌출 위치(projected positon)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가 정상 위치에 위치될 때, 가요성 시트는 시트부의 상면(top surface)에 가까이 위치한다. 가요성 시트가 돌출 위치에 위치될 때, 가요성 시트는 시트부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장력 부여 수단(tension means)은 시트부에 설치되어 있다. 장력 부여 수단은 가요성 시트에 장력을 가하여,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center)을 시트부의 상방(upper direction)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vertical direction direction)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장력 부여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력 부여 수단은, 시트부의 폭 방향 중 적어도 일단에 설치되어, 시트부의 폭 방향을 따른 장력(tesional force)을 가요성 시트에 가한다. 그 결과, 장력 부여 수단은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둔부를 가요성 시트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무관하게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장력 부여 수단은 시트부의 상면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력 부여 수단을 구비하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비용 절감 및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은, 가압 수단(prssurizing means)으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수단은 시트부의 상방을 따른 압력을 가요성 시트에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 수단은 시트부와 가요성 시트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그 결과, 가압 수단은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시트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는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시트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가압 수단을 제어한다. 가압 수단은 시트부의 폭 방향의 양단(both width ends)에 설치되어, 시트부의 상방으로의 압력을 가요성 시트에 가한다. 그 결과, 가압 수단은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시트부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또한 사용자의 둔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상관 없이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가요성 시트는 전단(front end)과 후단(rear end)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시트의 전단은 시트부의 전단에 고정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의 후단은 시트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시트부의 후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가요성 시트는 사용자의 둔부에 맞대어지는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구성에 의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둔부에 대해 스트레칭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가요성 시트는 경질의 발포재(hard foamed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둔부에 대한 접촉력(contact force)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가요성 시트와 가압 수단은 시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시트부의 상면 상에서 가요성 시트와 가압 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의 원하는 부위에 스트레칭을 행할 수 있다.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스트레칭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트레칭 유닛은 시트부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스트레칭 유닛의 상면에는 가요성 시트를 구비한다. 스트레칭 유닛의 내부의 폭 방향의 양단에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다. 그 결과, 가요성 시트와 가압 수단은 시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시트부의 상면 상에서 가요성 시트와 가압 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의 원하는 부위에 스트레칭을 행할 수 있다.
가요성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은 시트부의 폭 방향의 양면(both width surfaces)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시트의 폭 방향 중 적어도 일단은 시트부의 폭 방향의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가요성 시트의 폭 방향으로의 느슨함 양(amount of the slack)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행하는 스트레칭의 강도로 변경시킬 수 있다.
가압 수단은 에어백과 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은 상하방향을 따라 팽창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펌프는 에어백에 공기를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 에어백은 수축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소형화할 수 있다.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벽은 시트부와 가요성 시트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 벽은 시트부의 상면의 폭 방향의 일단에 위치되어 있다. 장력 부여 수단은 가압 수단으로 정의된다. 이 가압 수단은 시트부의 상방을 따른 압력을 가요성 시트에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력 부여 수단은 시트부와 가요성 시트 사이에 위치되어,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이동시킨다. 컨트롤러는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가압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 수단은 시트부의 폭 방향의 일단에 위치되어, 벽에서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가압 수단은 시트부의 상방을 따른 압력을 가요성 시트의 일단에 가하여,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는 장력을 가요성 시트에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둔부를 가요성 시트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상관 없이 사용자의 신체에 스트레칭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벽은 시트부와 가요성 시트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 벽은 시트부의 상면의 폭 방향의 양단에 위치되어 있다. 장력 부여 수단은 롤러(roller)로 정의된다. 이 롤러는 가요성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을 각각 유지한다. 롤러는 가요성 시트를 롤러 주위에 권취(wrap)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시트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는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롤러를 제어한다. 롤러는 가요성 시트를 권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롤러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는 장력을 가요성 시트에 가한다.
이 경우에,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둔부를 가요성 시트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상관 없이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효과는 이하에 설명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기초하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b)는 가요성 시트, 가압 수단, 애플리케이터 커버 없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a)는 정상 상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b)는 등받이가 뒤로 젖힌 상태(reclining condition)인 제1 실시예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a)는 시트부의 에어백이 팽창되어 있는 때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b)는 등받이의 에어백이 팽창되어 있는 때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타나낸 측면도이다.
도 4 (a)는 제1 변경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등받이의 좌측 에어백 및 시트부의 좌측 에어백이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4 (b)는 제1 변경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등받이의 좌측 및 시트부의 우측의 에어백이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 (a)는 등받이의 전면의 좌우 양단에 배치된 에어백들이 수축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 (b)는 등받이의 전면의 좌우 양단에 배치된 에어백들이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 (c)는 등받이의 전면 좌측에 배치된 에어백이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면의 정면도이다.
도 7 (a)는 제2 변경예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7 (b)는 시트부의 상면 좌우 양단의 에어 백이 확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컨트롤러, 펌프, 전자 밸브(electromagnetic valve), 및 에어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상기 변경예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3 변경예에 따른 시트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 (a)는 제4 변경예에 따른 시트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 (b)는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에서의 제4 변경예에 따른 등받이의 상면 단면도이다.
도 12 (a)는 가요성 시트가 느슨해져 있는 상태에서의 제5 변경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상면 단면도이다.
도 12 (b)는 가요성 시트가 롤러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제5 변경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상면 단면도이다.
도 13 (a) 및 도 13 (b)는 제6 변경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에 서, X로 향한 화살표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전방(front direction)을 나타낸다. Y로 향한 화살표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좌측 방향(left direction)을 나타낸다. Z로 향한 화살표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상방(upper direction)을 나타낸다. 즉,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의 폭 방향은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의 좌우 방향에 해당한다.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의 깊이 방향은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전후 방향에 해당한다.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상하 방향은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높이 방향에 해당한다.
도 1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O)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는 베이스(200), 시트부(300). 등받이(400), 팔걸이(900), 및 발받침대(901)를 포함한다. 베이스(200)는 시트부(300), 등받이(400), 팔걸이(900), 및 발받침대(90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의 전면은 발받침대(901)를 지지한다. 베이스(200)의 상면(upper surface)은 시트부(300)를 지지한다. 베이스(200)의 배면은 상방으로 연장되는 등받이(400)를 지지한다. 베이스(200)의 좌우 양단은 각각 팔걸이(900)를 유지한다. 베이스(200)는 펌프(220)와 컨트롤러(240)를 포함한다. 펌프(220)와 컨트롤러(240)는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동작 디바이스(operation device)를 구비한다. 이 동작 디바이스는 펌프(220)의 동작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등받이(400)는 좌우 방향을 따른 폭을 가진다. 바꾸어 말하면, 등받이(400)는 사용자의 신체의 폭을 따른 폭을 가진다.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400)는 애플리케이터 커버(applicator cover)(410), 에어백(420, 430), 및 가요성 시트(421, 431)를 포함한다. 도 1 (b)는 애플리케이터 커버(410), 가요성 시트(421, 431), 및 에어백(420, 430) 없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400)의 전면에는 개구(4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440)는 등받이(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등받이(400)는 애플리케이터(441), 암(arm)(442), 및 마사지 기구(massaging device)(443)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터(441), 암(442), 및 마사지 기구(443)는 개구(44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암(442)의 전방 양단(front ends)은 애플리케이터(441)를 각각 유지한다. 마사지 기구(443)는 암(442)의 후단을 유지한다. 마사지 기구(443)은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또, 도 2 (a)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400)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444)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444)은 마사지 기구(443)를 가이드 레일(444)에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가이드 레일(444)은 등받이(400) 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 결과, 마사지 기구(443)는 개구(440) 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가요성 시트(421, 431) 각각은 느슨해져 있다. 가요성 시트(421, 431)는 개구(440)를 덮어서 마사지 기구(443), 암(442), 및 애플리케이터(441)를 은폐한다.
에어백(420)은 등받이(400)의 전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등받이(400)의 폭 방향의 양단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에어백(430)은 등받이(400)의 전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등받이(400)의 폭 방향의 양단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에어백(420, 430)은 등받이(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420, 430)은 각각 주름상자(bellows)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420, 430)의 하면은 스냅 핀(snap pin)에 의해 등받이(4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다. 에어백(420, 43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230)를 통해 펌프(220)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220)는 에어백(420, 430)에 공기를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420, 430)은 펌프(220)에서 공기를 보낼 때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420, 430)은 등받이(400)의 전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공기를 받아들일 때 등받이(400)의 전방으로 팽창한다. 한편, 에어백(420, 430)은 배기될 때 등받이(400) 쪽으로 수축된다.
가요성 시트(421, 431)는 각각, 직물(cloth)로 이루어진다. 가요성 시트(421, 431)는 등받이(400)의 전면에 가까이 위치하는 정상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421, 431)는 에어백(420, 430)의 전방에 위치한다. 가요성 시트(421, 431)는 등받이(400)의 폭 전체에 걸쳐 등받이(400)에 설치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421, 431)는 폭 방향의 양단을 각각 가진다. 가요성 시트(421, 431)의 폭 방향의 양단은 등받이(400)의 폭 방향의 측면에 재봉되어 있다. 에어백(420, 430)의 전면에는 루프 테이프(loop tape)를 구비한다. 한편, 가요성 시트(421, 431)의 배면에는 훅 테이프(hook tape)를 구비한다. 그 결과, 에어백(420)의 전면은 가요성 시트(421)의 배면에 훅-루프 패스너(hook-and-look fastener)로 고정되어 있다. 유사하게, 에어백(430)의 전면은 가요성 시트(431)의 배면에 훅-루프 패스너로 고정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421)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허리에 맞대어진다. 가요성 시트(431)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등에 맞대어진다.
시트부(300)는 전후 방향을 따른 깊이를, 그리고 시트부(300)에 앉는 사용자의 신체의 폭을 따른 폭을 가진다.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부(300)는 에어백(310)과 가요성 시트(311)를 구비한다.
에어백(310)은 시트부(300)의 상면의 폭 방향의 양단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310)은 도 8에 나타낸 주름상자를 가지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에어백(310)은 전자 밸브(210) 및 호스(230)를 통하여 펌프(220)에 접속되어 있다. 에어백(310)의 하면은, 스냅 핀에 의해 시트부(300)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에어백(310)은 펌프(220)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임으로써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부(300)의 상면에 배치된 에어백(310)은 공기가 에어백(310)에 보내짐에 따라 상방으로 팽창된다. 한편, 시트부(300)의 상면에 배치된 에어백(310)은 공기를 에어백(310)에서 내보낼 때 하방으로 수축된다.
가요성 시트(311)는 직물로 이루어진다. 가요성 시트(311)는 시트부(300) 및 에어백(3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311)는 시트부(300)의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또한 시트부(300)의 깊이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가요성 시트(311)는 사용자의 둔부에 맞대어지는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구비한다. 에어백(310)의 상면에는 루프 테이프를 구비한다. 한편, 가요성 시트(311)는 에어백(310)의 상면에 맞대어지는 배면이 설치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311)의 배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훅 테이프를 구비한다. 그 결과, 에어백(310)의 상면은 가요성 시트(311)의 배면과 후-루프 패스너로 고정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311)의 좌우 양단(both lateral ends)은 시트부(300)의 폭 방향의 양면에 각각 재봉되어 있다. 유의할 것은, 가요성 시트(311)는 경질의 발포재(hard foamed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도 8은 에어백(420, 430, 310), 전자 밸브(210), 및 펌프(2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240)를 나타낸다. 컨트롤러(240)는 펌프 제어 회로(241)와 밸브 제어 회로(242)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동작 디바이스의 설정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밸브 제어 회로(242)가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밸브 제어 회로(242)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 밸브(210)를 개폐한다. 또, 펌프 제어 회로(241)가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펌프 제어 회로(241)는 펌프(220)의 구동 및 정지를 제어한다. 그 결과 펌프(220)가 호스(230)를 통하여 에어백(420, 430, 310)에 공기를 보낸다. 또한, 컨트롤러(240)는 에어백(420, 430, 310)의 팽창 및 수축을 위해 밸브 제어 회로(242)와 펌프 제어 회로(241) 각각을 제어한다.
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O)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동작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이 입력된 때, 컨트롤러(240)는 펌프(220) 및 전자 밸브(210)를 제어하여, 에어백(420, 430)에 공기를 보낸다. 에어백(420, 430)은 등받이(4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등받이(400)의 전방으로 팽창한다. 그 결과, 에어백(420, 430)은 등받이(400)의 전방을 따른 힘을 가요성 시트(421, 431)의 폭 방향의 양단에 가한다. 즉, 에어백(420, 430)은 등받이(400)의 전방으로의 힘을 가요성 시트(421, 431)에 가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가요성 시트(421, 431)의 좌우 양단은 등받이(400)의 폭 방향의 양면에 재봉된다. 그러므로, 에어백(420, 430)의 팽창에 의해, 에어백(420, 430)은 가요성 시트(421, 431)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 장력을 발생시킨다. 즉, 에어백(420, 430)은 가요성 시트(421, 431)의 폭 방향을 따르고 가요성 시트(421, 431)에 가해지는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장력 부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에어백(420, 430)이 가요성 시트(421, 431)의 좌우 방향을 따른 장력을 가할 때, 에어백(420, 430)은 가요성 시트(421, 431)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동작 디바이스의 설정에 기초하여, 컨트롤러(240)는 펌프(220)와 전자 밸브(210)를 제어하고, 이로써 펌프(220)가 에어백(310)에 공기를 보낸다. 에어백(310)은 시트부(3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에어백(310)은 시트부(300)의 상방으로 팽창한다. 그 결과, 에어백(310)은 시트부(300)의 상방으로의 힘을 시트부(300) 상의 가요성 시트(311)의 폭 방향의 양단에 가한다. 즉, 에어백(310)은 상방으로의 힘을 가요성 시트(311)에 가하는 가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가요성 시트(311)의 폭 방향의 양단은 시트부(300)의 좌우 방향의 양면에 재봉되어 있다. 그러므로, 에어백(310)이 팽창되는 경우, 가요성 시트(311)의 폭 방향의 외측을 따른 장력이 발생한다. 즉, 에어백(310)은 가요성 시트(311)의 폭 방향에 따라 가요성 시트(311)에 가해지는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장력 부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에어백(310)은 가요성 시트(311)의 좌우 방향을 따른 장력을 가요성 시트(311)에 가함으로써, 가요성 시트(311)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구성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는 시트부(300)에 앉아 등받이(400)에 기댄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할 수 있다. 도 3 (b)는, 사용자의 허리에 맞대어지는 위치에 배치된 에어백(430)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이동시키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를 나타낸다. 또, 도 3 (a)는, 사용자의 둔부에 맞대어지는 위치에 배치된 에어백(310)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를 이동시키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제 1 변경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를 나타낸다. 이 변경예에서, 등받이(400)는 에어백(420)(420L과 420R) 및 가요성 시트(421)를 포함한다. 에어백(420L, 420R)은 사용자의 등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등받이(400)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421)는 사용자의 등에 맞대어지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등받이(40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부(300)는 에어백(310)(310L과 310R) 및 가요성 시트(311)를 포함한다.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420L, 310L)은 각각 등받이(400)의 좌측과 시트부(300)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펌프(220)는 에어백(420L, 310L)에 공기를 보낸다. 그 결과, 가요성 시트(421, 311)의 좌측 단부는 각각 등받이(400)와 시트부(300)에 대해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는 사용자의 높이 방향을 따른 축에 대해 사용자에게 오른쪽으로 회전 스트레칭을 행한다.
또, 도 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220)는 등받이(400)의 좌측에 배치된 에어백(421L)에 공기를 보낸다. 결과, 가요성 시트(421)의 좌측단(left end)이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한편, 펌프(220)는 등받이(400)의 우측에 배치된 에어백(310R)에 공기를 보낸다. 그 결과 가요성 시크(311)의 우측단(right end)이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가요성 시트(421, 311)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에 앉아있는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한다. 상세하게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높이 방향을 따른 축에 대해 사용자의 상체를 우측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높이 방향을 따른 축에 대해 사용자의 하체를 좌측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이 구성에 의해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상체를 하체에 대해 비트는 스트레칭을 행할 수 있다.
도 5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제1 실시예 및 제1 변경예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상체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의 폭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상체를 전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5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구성의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의 폭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신체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킨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제2 변경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나타낸다. 이 변경예에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스트레칭 유닛(350)을 포함한다. 스트레칭 유닛(350)의 상면에는 가요성 시트를 구비한다. 스트레칭 유닛(350)은 백형(sack)으로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310)은 스트레칭 유닛(35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변경예의 스트레칭 유닛(350)은 시트부(300)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칭 유닛(350)의 상단에는 패스너(35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스트레칭 유닛(350)은 패스너(351)에 의해 시트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트레칭 유닛(350)은 에어백(310)과 연통되는 호스(230)를 포함한다. 이 호스(230)는 스트레칭 유닛(350)의 폭 방향의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있다. 호스(230)의 일단(one end)에는 펌프(220)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포트(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펌프(220)는 호스(230)를 통하여 에어백(310)에 공기를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성 시트(311)를 구비하는 스트레칭 유닛(450)을 등받이(400)의 상면에 가까이 배치하는 경우, 에어백(350)은 팽창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른 장력을 가요성 시트(422)에 가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하도록 구성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유의할 것은, 스트레칭 유닛(350)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라인(line)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스너(451)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 경우, 패스너(451)의 라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트레칭 유닛(350)을 시트부(300)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스트레칭 유닛(350)의 상하 위치가 변경된다. 그리고,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가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 시트부(300)로부터 스트레칭 유닛(350)을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O)의 등받이(400)를 나타낸다. 본 변경예에서, 가요성 시트(311)는 배면의 좌우 양단에 훅 테이프(도시도지 않음)를 구비한다. 시트부(300)는 좌우 양면에 일정한 영역을 구비한다. 이 일정한 영역들은 루프 테이프(312)를 각각 유지한다. 그 결과, 가요성 시트(311)는 등받이(400)의 좌우 양면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100)는 가요성 시트(311)를 시트부(300)에 배치하고 에어백(310)을 팽창시키는 경우,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루프 테이프(312)는 시트부(300)의 좌우 양면의 일정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시트부(300)의 좌우 양면의 일정한 영역에 가요성 시트(311)의 좌우 양단을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시트(311)의 좌우 방향으로 느슨함을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행하는 스트레칭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가요성 시트(311)는 좌우 양단 중 일단만이 시트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면 된다는 것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의 제4 변경예에 따른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서, 시트부(300)는 상면의 좌측단에 에어백 대신에 벽(380)을 구비한다. 시트부(300)는 상면의 우측단에 에어백(310)을 구비한다. 가요성 시트(311)는 벽(380) 및 에어백(310)에 위치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311)의 좌측단은 벽(380)의 상단(top end)에 고정되어 있다. 가요성 시트(311)의 우측단은 시트부(300)의 우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백(310)이 팽창되는 경우, 에어백(310)의 상부 전단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된다. 그 결과, 에어백(310)의 상단은 벽(380)의 상단의 레벨과 같은 레벨에 위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도 1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10)이 팽창되는 경우, 에어백(310)은 가요성 시트(311)의 좌우 방향을 따른 장력을 가요성 시트(311)에 가한다. 가요성 시트(311)에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요성 시트(311)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가요성 시트(311)은, 가요성 시트(311)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이동시킨다. 즉, 가요성 시트(311)는 사용자의 둔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한다. 또, 도 1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10)이 수축되는 경우, 가요성 시트(311)는 느슨해진 상태이다. 그 결과, 가요성 시트(311)는 정상 위치로 이동되고, 이로써 사용자의 둔부는 시트부(300)를 따른 위치로 이동된다. 유의할 것은, 본 변경예에서 시트부(300)는 좌측단에 벽(380)을 구비하고, 우측단에 에어백(310)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측단에 벽을 구비하고 좌측단에 에어백을 구비하는 시트부(300)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은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제5 변경예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서, 시트부(300)는 에어백 대신에 벽(380)과 롤러(390)를 구비한다. 즉, 시트부(300)는 전면의 좌우 양단에 벽(380)을 구비한다. 이 두 벽(380)은 시트부(300)의 상방으로 연장된다. 롤러(390)는 시트부(300)의 좌우 양면에 배치되어 있다. 벽(380)은 가요성 시트(311)와 시트부(300)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롤러(390)는 가요성 시트(311)의 좌우 양단을 유지한다. 두 롤러(390)는 가요성 시트(311)를 권치하도록 구성되어, 가요성 시트(311)의 좌우 방향을 따른 장력을 발생시킨다. 즉, 롤러(390)는 장력 부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컨트롤러(240)는, 롤러(390)가 가요성 시트(311)를 권취하도록 롤러(39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롤러(390)는 가요성 시트(311)의 좌우 방향을 따른 장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롤러(390)는 가요성 시트(311)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가요성 시트(311)는 가요성 시트(311)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는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을 행한다.
다음에, 에어백을 사용하는 시트부(300)의 변경예를 설명한다.
도 13 (a)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의 제6 변경예를 나타낸다. 도 1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부(300)는 에어백(310) 및 판(plate)(500)을 구비한다. 판(500)의 전면은 가요성 시트(311)를 유지한다. 또한, 판(500)의 수평 방향의 양단(both horizontal ends)은 지지 부재(510, 520)의 일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시트부(300)는 지지 부재(520)의 전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시트부(300)는 상면에 슬라이드 부재(slide member)(540)를 구비한다. 이 슬라이드 부재(540)는 지지 부재(510)의 후단(rear end)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지지 부재(510)의 후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에어백(310)이 펌프로부터 공기를 받는 경우, 슬라이드 부재(510)는 지지 부재(510)의 후단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지지 부재(510)의 후단의 이동에 따라, 지지 부재(510)의 후단은 회전하여, 지지 부재(510)는 판(500)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 결과, 판(500)은 폭 방향을 따른 장력을 가요성 시트(311)에 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에어백(310)과 판(500)에 힘을 가한다. 지지 부재(510, 520)는 시트부(300)의 상면에 대하여 서서히 세워진다. 그 결과, 사용자로부터 에어백(310) 및 판(500)에 가해진, 힘의 많은 비율이 지지 부재(510, 520)에 의해 지지된다. 즉, 사용자로부터 에어백(310)에 가해진 힘의 비율은 줄어든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 작은 힘으로 사용자의 둔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 (b)의 제7 변경예에서, 지지 부재(530)의 일단은 시트부(300)의 상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 부재(530)의 타단은 가요성 시트(311)에 고정되어 있다. 시트부(300)의 상면은 주름상자를 구비한 에어백(420)의 하면을 유지한다. 에어백(310)의 상면은 지지 부재(530)의 일부와 가요성 시트(311)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백(310)이 펌프(220)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이는 경우, 에어백(310)은 팽창된다. 에어백(310)이 팽창함에 따라, 지지 부재(530)의 일단은 전방으로 이동되는 한편, 지지 부재(530)의 타단은 회전된다. 이 경우, 에어백(310)은 지렛대의 원리로 생성된 힘과 큰 스트로크(stroke)에 의해 가요성 시트(311)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에어백(310)은 가요성 시트(311)에 장력을 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 및 변경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와 변경예의 각각의 특징에 대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신체의 폭을 따른 각자의 폭을 각각 가지는 시트부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로서,
    상기 시트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의 폭 전체로 연장되고, 정상 위치(normal position)와 돌출 위치(projected positon)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상 위치에서는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 가까이 위치해 있고, 상기 돌출 위치에서는 상기 시트부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가요성 시트;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시트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기 시트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장력 부여 수단; 및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을 따른 장력을 상기 가요성 시트에 가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시트부의 상방을 따른 압력을 상기 가요성 시트에 가하도록 구성된 가압 수단(pressurizing means)으로 정의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부와 상기 가요성 시트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기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기 시트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가압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상방으로의 압력을 상기 가요성 시트에 가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기 시트부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요성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은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의 양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가요성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의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2. 삭제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의 전단은 상기 시트부의 전단에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시트의 후단은 상기 시트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부의 후단에 장착되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4.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는 경질의 발포재(hard foamed material)로 이루어지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5.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와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스트레칭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 유닛은, 상면에 상기 가요성 시트를 구비하고, 내부의 폭 방향의 양단에 상기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가요성 시트 및 상기 가압 수단이 상기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에어백과 펌프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시트부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에어백에 공기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9. 사용자의 신체의 폭을 따른 각자의 폭을 각각 가지는 시트부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로서,
    상기 시트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의 폭 전체로 연장되고, 정상 위치(normal position)과 돌출 위치(projected positon)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상 위치에서는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 가까이 위치해 있고, 상기 돌출 위치에서는 상기 시트부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가요성 시트;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시트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기 시트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장력 부여 수단;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가요성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면의 폭 방향의 일단에 위치되는 벽
    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을 따른 장력을 상기 가요성 시트에 가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시트부의 상방을 따른 압력을 상기 가요성 시트에 가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수단으로 정의되고, 상기 시트부와 상기 가요성 시트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이동시키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기 시트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가압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의 일단에 위치되고, 상기 벽에서 떨어져 위치되며, 상기 시트부의 상방을 따른 압력을 상기 가요성 시트의 일단에 가하여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는 장력을 상기가요성 시트에 가하도록 구성되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10. 사용자의 신체의 폭을 따른 각자의 폭을 각각 가지는 시트부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로서,
    상기 시트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의 폭 전체로 연장되고, 정상 위치(normal position)과 돌출 위치(projected positon)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상 위치에서는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 가까이 위치해 있고, 상기 돌출 위치에서는 상기 시트부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가요성 시트;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시트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기 시트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장력 부여 수단;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가요성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면의 폭 방향의 양단에 위치되는 벽
    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 부여 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을 따른 장력을 상기 가요성 시트에 가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롤러(roller)로 정의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가요성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을 각각 유지하고, 상기 가요성 시트를 롤러 주위에 권취(wrap)하여,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기 시트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시트부의 폭 방향의 양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시트를 권취하여,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장력을 상기 가요성 시트에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요성 시트의 중앙 부분을 상기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KR1020107008972A 2007-09-28 2008-09-25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KR101159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55861 2007-09-28
JP2007255861A JP4877182B2 (ja) 2007-09-28 2007-09-28 椅子型ストレッチ機
PCT/JP2008/067286 WO2009041489A1 (ja) 2007-09-28 2008-09-25 椅子型ストレッチ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544A KR20100075544A (ko) 2010-07-02
KR101159153B1 true KR101159153B1 (ko) 2012-06-22

Family

ID=4051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972A KR101159153B1 (ko) 2007-09-28 2008-09-25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44520A1 (ko)
JP (1) JP4877182B2 (ko)
KR (1) KR101159153B1 (ko)
CN (1) CN101878014B (ko)
WO (1) WO2009041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7297B2 (ja) * 2008-08-18 2013-07-24 ファミリー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2012170610A (ja) * 2011-02-21 2012-09-10 Panasonic Corp オットマン、および椅子型マッサージ機
WO2016056335A1 (ja) * 2014-10-07 2016-04-14 ファミリーイナダ株式会社 施療装置及び椅子
JP6663623B2 (ja) * 2014-10-07 2020-03-13 ファミリーイナダ株式会社 施療装置及び椅子
KR101712010B1 (ko) * 2015-03-02 2017-03-03 박장호 텐션스트립이 구비된 척추 교정 휠백장치
JP2017042282A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フジ医療器 エアマッサージ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6087A (ja) * 1995-08-31 1997-03-11 Tec Corp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H11113994A (ja) * 1997-10-13 1999-04-27 Advance Co Ltd 刺激装置
JP2001112829A (ja) * 1999-10-15 2001-04-24 Family Kk マッサージ機
JP2005066362A (ja) 2004-12-07 2005-03-17 Fuji Iryoki:Kk 空圧施療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2862U (ko) * 1980-09-11 1982-03-26
JPS58191850U (ja) * 1982-06-18 1983-12-20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等の座席
CN2410994Y (zh) * 2000-03-26 2000-12-20 甘灵玲 按摩椅
JP2002065783A (ja) * 2000-08-24 2002-03-05 Toshiba Tec Corp 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2002248144A (ja) * 2001-02-26 2002-09-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トレッチマット
JP2003093463A (ja) * 2001-09-20 2003-04-02 Marutaka Co Ltd 椅子型マッサージ機に付属する補助マッサージ具
JP2004135807A (ja) * 2002-10-16 2004-05-13 Marutaka Co Ltd 椅子
JP4318960B2 (ja) * 2003-05-23 2009-08-26 株式会社プロテックフジ マッサージ機
JP2005168954A (ja) * 2003-12-15 2005-06-30 Toshiba Tec Corp マッサージ装置
JP2006304907A (ja) * 2005-04-27 2006-11-09 Taihei Koki Kk 布座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6087A (ja) * 1995-08-31 1997-03-11 Tec Corp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H11113994A (ja) * 1997-10-13 1999-04-27 Advance Co Ltd 刺激装置
JP2001112829A (ja) * 1999-10-15 2001-04-24 Family Kk マッサージ機
JP2005066362A (ja) 2004-12-07 2005-03-17 Fuji Iryoki:Kk 空圧施療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77182B2 (ja) 2012-02-15
WO2009041489A1 (ja) 2009-04-02
US20100244520A1 (en) 2010-09-30
CN101878014A (zh) 2010-11-03
JP2009082426A (ja) 2009-04-23
CN101878014B (zh) 2013-05-01
KR20100075544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994B1 (ko)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KR101159153B1 (ko) 의자형 스트레칭 장치
JP3686130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04202207A (ja) マッサージ機
JP5405724B2 (ja) マッサージ機
JP3548052B2 (ja) マッサージ機
JP5032808B2 (ja) マッサージ機
JP4121921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WO2008053730A1 (fr) Machine de massage de type chaise
JP4015443B2 (ja) マッサージ機
JP3571227B2 (ja) 椅子式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H1147210A (ja) 椅子式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H0910269A (ja) 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5306164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3265571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CN219835831U (zh) 按摩机
JP4943165B2 (ja) マッサージ椅子
JP2012105780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3819647B2 (ja) 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3842960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3265564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H10118141A (ja) 椅子式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2000175978A (ja) ストレッチ機能を有する椅子
JP2024027296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00287779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