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063B1 -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063B1
KR102303063B1 KR1020170051810A KR20170051810A KR102303063B1 KR 102303063 B1 KR102303063 B1 KR 102303063B1 KR 1020170051810 A KR1020170051810 A KR 1020170051810A KR 20170051810 A KR20170051810 A KR 20170051810A KR 102303063 B1 KR102303063 B1 KR 102303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eneral formula
compound
carbon atoms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127A (ko
Inventor
마사오 모리모토
노리유키 히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60Pleochroic dyes
    • C09K19/601Azo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08F222/1025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of aromatic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3Azo-compounds
    • C08K5/235Diazo and polyaz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31/00Disazo and polyazo dyes of the type A->B->C, A->B->C->D, or the like,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31/02Disazo dyes
    • C09B31/04Disazo dyes from a coupling component "C" containing a directive amino group
    • C09B31/043Amino-benz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31/00Disazo and polyazo dyes of the type A->B->C, A->B->C->D, or the like,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31/02Disazo dyes
    • C09B31/12Disazo dyes from other coupling components "C"
    • C09B31/14Heterocycl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33/00Disazo and polyazo dyes of the types A->K<-B, A->B->K<-C, or the like,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33/02Disazo dyes
    • C09B33/16Disazo dyes from other coupling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35/00Disazo and polyazo dyes of the type A<-D->B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35/02Disazo dyes
    • C09B35/039Disazo dyes characterised by the tetrazo component
    • C09B35/34Disazo dyes characterised by the tetrazo component the tetrazo component being hetero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3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non-aromatic rings, e.g. cyclohexane rings
    • C09K19/3001Cyclohexane rings
    • C09K19/3066Cyclohexane rings in which the rings are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e.g. esters or ethers
    • C09K19/3068Cyclohexane rings in which the rings are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e.g. esters or ethers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04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main chain
    • C09K19/3809Polyesters; Polyester derivatives, e.g.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33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side chain
    • C09K19/3842Polyvinyl derivatives
    • C09K19/3852Poly(meth)acrylate derivati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00/0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 C08F2800/2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as weight or mass percent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2019/044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 C09K2019/0448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the end chain group being a polymerizable end group, e.g. -Sp-P or 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과제] 파장 600 ∼ 680 ㎚ 의 범위에 극대 흡수를 갖고, 높은 이색비를 가지며, 또한 내광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화학식 1]

Description

광학 필름{OPTICAL FILM}
본 발명은,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2 에는, 배향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분산한, 이색성 (二色性) 의 광을 흡수하는 화합물 (이색성 색소) 을 포함하는 편광막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7-510946호 (2007년 4월 26일 공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01328호 (2013년 5월 23일 공개)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편광막에서는 이색비나 내광성이 불충분한 점에서, 상기 서술한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막 (광학 필름) 의 분야에 있어서, 종래의 광학 필름과 비교해 내광성이 보다 우수한 광학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7039534242-pat00001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39534242-pat00002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39534242-pat00003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1> 에 기재된 광학 필름.
[화학식 4]
Figure 112017039534242-pat00004
[일반식 (2) 중, R1, 및 R2 는 일반식 (1) 중의 R1, 및 R2 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3>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광학 필름.
<4>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각각 일반식 (1) 중의 R1 에 있어서만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3> 에 기재된 광학 필름.
<5>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화합물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6>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U1-V1-W1-X1-Y1-X2-Y2-X3-W2-V2-U2 (4)
(식 중, X1, X2 및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나타낸다.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이다.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구성하는 -CH2- 는, -O-, -S- 또는 -N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 은,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Y1 및 Y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CH2CH2-, -CH2O-, -COO-, -OCOO-, -N=N-, -CRa=CRb-, -C≡C-, 또는 -CRa=N- 를 나타낸다. Ra 및 R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U1 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U2 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W1 및 W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O-, -S-, -COO-, 또는 -OCOO- 를 나타낸다.
V1 및 V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20 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당해 알칸디일기를 구성하는 -CH2- 는, -O-, -S- 또는 -NH-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7>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112017039534242-pat00005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112017039534242-pat00006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7]
Figure 112017039534242-pat00007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8>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7> 에 기재된 조성물.
<9> <7> 또는 <8> 에 기재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광학 필름.
<10> <1> ∼ <6> 중 어느 하나, 또는 <9> 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원 편광판.
<11> <1> ∼ <6> 중 어느 하나, 또는 <9> 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12>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화학식 8]
Figure 112017039534242-pat00008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9]
Figure 112017039534242-pat00009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0]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0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13> 하기 일반식 (3), 하기 일반식 (5), 또는 하기 일반식 (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R1-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1]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1
[상기 일반식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2]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2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3]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3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14> 상기 일반식 (3), 상기 일반식 (5), 또는 상기 일반식 (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의 일반식 (R1-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13> 에 기재된 제조 방법.
<15> 하기 일반식 (5-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R2-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디메틸술폭사이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4]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4
[상기 일반식 중,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B- 는, 아니온을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5]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5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6]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6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종래의 광학 필름과 비교해, 내광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출원에 있어서 「A ∼ B」란, 「A 이상 B 이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1 : 광학 필름, 실시형태 2 :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광학 필름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1) 이라고도 칭한다) 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을 함유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조성물은, 화합물 (1) 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함유한다.
[화학식 17]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7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8]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8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9]
Figure 112017039534242-pat00019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광학 필름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조성물을 사용하여, 당해 조성물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 (경화) 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광학 필름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통상 기재 상, 또는 기재 상에 형성된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당해 조성물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한 상태에서 경화한, 액정 경화막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기재면에 대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향한 상태에서 경화한 액정 경화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이색성 색소로서 기능하는 화합물 (1) 을 함유하는 편광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각 성분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포함될 수 있는 각 성분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가 된 이외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과 동일하다. 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의 함유량은, 그 중합 전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양으로 환산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색성 색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합물 (1) 은, 이색성 색소로서 기능하고, 통상 파장 400 ∼ 800 ㎚ 의 범위 내에 흡수를 갖는다.
화합물 (1) 의 아조벤젠 부위의 위치 이성은, 트랜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R1,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n-노닐기, 및 n-데실기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직사슬형 또는 분지 사슬형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R12,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직사슬형 또는 분지 사슬형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P1 및 P2 는, -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Q1, Q2 는, Q1 이 =CH- 이고, 또한 Q2 가 =N- 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합물 (1) 은, 이하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2) 라고도 칭한다)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20]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0
[일반식 (2) 중, R1, 및 R2 는 일반식 (1) 중의 R1, 및 R2 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또, R7 ∼ R9 는, 화합물 (1) 중의 방향족 기의 어느 위치에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직사슬형 또는 분지 사슬형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불소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 등으로 치환되어 있는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노나플루오로부틸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할로알킬기 ; 하이드록시메틸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하이드록시알킬기 ; 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직사슬형 또는 분지 사슬형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불소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 등으로 치환되어 있는 알콕시기로는, 예를 들어 플루오로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펜타플루오로에톡시기, 노나플루오로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할로알콕시기 ; 하이드록시메톡시기, 2-하이드록시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하이드록시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다.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이고,
[화학식 21]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1
그 중에서도, -N(CH2-CH3)2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 (1)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1) ∼ 하기 식 (1-34) 로 각각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2]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2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3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4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5
본 발명의 광학 필름 또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합물 (1) 로서, 상기 화합물 (1) 의 구체예 중에서는, 식 (1-1), 식 (1-2), 식 (1-3), 식 (1-4), 식 (1-5), 식 (1-6) 및 식 (1-7)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식 (1-3) 및 식 (1-5)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또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합물 (1) 은, 1 종류라도 되고,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화합물 (1) 의 혼합물이라도 된다.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 (1) 을 2 종류 이상 함유하는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것은, 화합물 (1) 을 2 종류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있어서, 각각의 화합물 (1) 이 결정화하기 어려워지고, 따라서 각각의 화합물 (1) 의 상용성 (용해성) 이 향상되고,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화합물 (1) 로는, R1 이 서로 상이하고, R1 이외의 개소의 구조가 서로 동일한 화합물 (1) 의 혼합물인 것이, 상기 서술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화합물 (1) 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는 관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화합물 (1) 은, 종래 공지된 합성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1) 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으로 나타내고, 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형성할 때, 즉 당해 조성물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할 때, 그 배향을 교란하는 일이 없다는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및 조성물에 함유되는 화합물 (1) 이 2 종류 이상인 경우는, 그 합계량이 상기 범위이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화합물 (1) 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의 질량을, 중합 전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질량으로 환산한 후에, 그 질량을 100 질량부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함유량으로 나타내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중합성기를 갖고, 배향함으로써 액정상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단독으로 배향함으로써 액정상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이다.
중합성기란,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고, 광 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합성기란, 후술하는 중합 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중합성기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서모트로픽 액정형이어도 되고, 리오트로픽 액정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스멕틱 액정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차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고차 스멕틱 액정 화합물이다.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편광 성능이 보다 우수한 편광막 (광학 필름) 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2 종류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화합물 (1) 은,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조밀한 분자 사슬 사이에 분산한 상태라도, 높은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화합물 (1) 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색비가 높은 편광막 (광학 필름) 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다.
고차 스멕틱 액정상으로는, 스멕틱 B 상, 스멕틱 D 상, 스멕틱 E 상, 스멕틱 F 상, 스멕틱 G 상, 스멕틱 H 상, 스멕틱 I 상, 스멕틱 J 상, 스멕틱 K 상, 및 스멕틱 L 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멕틱 B 상, 스멕틱 F 상, 및 스멕틱 I 상이 바람직하고, 스멕틱 B 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나타내는 스멕틱 액정상이 이들 고차 스멕틱상이면, 배향 질서도가 보다 높은 편광막 (광학 필름) 이 얻어진다. 배향 질서도가 높은 고차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편광막 (광학 필름) 은, X 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헥사틱상 또는 크리스탈상과 같은 고차 구조 유래의 브래그 피크를 나타낸다. 브래그 피크란, 분자 배향의 면주기(面周期) 구조에서 유래하는 피크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편광막 (광학 필름) 이 갖는 주기 간격 (질서 주기) 은, 바람직하게는 0.30 ∼ 0.50 ㎚ 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나타내는 액정상의 종류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적절한 기재를 준비하고, 당해 기재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가열 처리 또는 감압 처리함으로써 당해 도포막에 함유되는 용매를 제거한다. 계속해서, 기재 상에 형성된 도포막을 등방상 온도까지 가열한 후, 서서히 냉각함으로써 발현하는 액정상을, 편광 현미경에 의한 텍스처 관찰, X 선 회절 측정 또는 시차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검사한다. 이 검사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 1 온도까지 냉각함으로써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고, 또한 제 2 온도까지 서서히 냉각함으로써,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라고도 칭한다) 이다.
U1-V1-W1-X1-Y1-X2-Y2-X3-W2-V2-U2 (4)
(식 중, X1, X2 및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나타낸다.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이다.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구성하는 -CH2- 는, -O-, -S- 또는 -N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 은,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Y1 및 Y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CH2CH2-, -CH2O-, -COO-, -OCOO-, -N=N-, -CRa=CRb-, -C≡C-, 또는 -CRa=N- 를 나타낸다. Ra 및 R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U1 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U2 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W1 및 W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O-, -S-, -COO-, 또는 -OCOO- 를 나타낸다.
V1 및 V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20 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당해 알칸디일기를 구성하는 -CH2- 는 -O-, -S- 또는 -NH-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화합물 (4) 에 있어서,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이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는,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1,4-페닐렌기이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헥산-1,4-디일기는,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트랜스-시클로헥산-1,4-디일기이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트랜스-시클로헥산-1,4-디일기는,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트랜스-시클로헥산-1,4-디일기이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헥산-1,4-디일기가 임의로 갖는 치환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부틸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Y1 은,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CH2CH2-, 또는 -COO- 이고, Y2 는, 바람직하게는 -CH2CH2- 또는 -CH2O- 이다.
U1 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중합성기이다. U2 는, 중합성기이다. U1 및 U2 는, 모두 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광 중합성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중합성기를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보다 저온 조건하에서 중합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U1 및 U2 로 나타내는 중합성기는, 서로 상이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중합성기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닐옥시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V1 및 V2 로 나타내는 알칸디일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1,4-디일기, 펜탄-1,5-디일기, 헥산-1,6-디일기, 헵탄-1,7-디일기, 옥탄-1,8-디일기, 데칸-1,10-디일기, 테트라데칸-1,14-디일기, 및 이코산-1,20-디일기를 들 수 있다. V1 및 V2 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12 의 알칸디일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 12 의 알칸디일기이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20 의 알칸디일기가 임의로 갖는 치환기로는,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당해 알칸디일기는,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알칸디일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고, 또한 직사슬형의 알칸디일기이다.
W1 및 W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O- 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4) 의 구체예로는, 하기 식 (4-1) ∼ 식 (4-4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합물 (4) 가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갖는 경우에는, 그 시클로헥산-1,4-디일기는, 트랜스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3]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6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7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8
Figure 112017039534242-pat00029
상기 서술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구체예 중에서도, 식 (4-5), 식 (4-6), 식 (4-7), 식 (4-8), 식 (4-9), 식 (4-10), 식 (4-11), 식 (4-12), 식 (4-13), 식 (4-14), 식 (4-15), 식 (4-22), 식 (4-24), 식 (4-25), 식 (4-26), 식 (4-27), 식 (4-28), 및 식 (4-29)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화합물 (4)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은, 2 종류 이상의 화합물 (4)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 종류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그 중 적어도 1 종류가 화합물 (4)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의 2 종류 이상이 화합물 (4)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종류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액정-결정 상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라도 액정상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2 종류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조합하는 경우의 혼합비로는, 통상 1 : 99 ∼ 50 : 50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95 ∼ 50 : 5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90 ∼ 50 : 50 이다.
화합물 (4) 는, 예를 들어 Lub et al. Recl. Trav. Chim. Pays-Bas, 115, 321-328 (1996), 일본 특허 제4719156호 등의 공지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성을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70 ∼ 99.5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99 질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94 질량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 90 질량부이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용제 이외의 성분의 합계량을 말한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질량으로 환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중합 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광 증감제, 중합 금지제 및 레벨링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 개시제>
중합 개시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중합 개시제로는, 광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알킬페논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요오드늄염, 및 술포늄염을 들 수 있다.
벤조인 화합물로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를 들 수 있다.
벤조페논 화합물로는,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및 2,4,6-트리메틸벤조페논을 들 수 있다.
알킬페논 화합물로는,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2-디페닐-2,2-디메톡시에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트리아진 화합물로는,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및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을 들 수 있다.
요오드늄염 및 술포늄염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4]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0
중합 개시제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되는 중합 개시제로는, 이르가큐어 (Irgacure)(등록상표) 907, 184, 651, 819, 250, 및 369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 세이쿠올 (등록상표) BZ, Z, 및 BEE (세코 화학 주식회사 제조) ; 카야큐어 (kayacure)(등록상표) BP100, 및 UVI-6992 (다우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 아데카 옵토머 SP-152, 및 SP-170 (주식회사 ADEKA 제조) ; TAZ-A, 및 TAZ-PP (닛폰 시베르헤그너 주식회사 제조) ; 그리고, TAZ-104 (주식회사 산와 케미컬 제조) ;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교란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0.1 ∼ 3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8 질량부이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질량으로 환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용매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화합물 (1) 을 완전히 용해할 수 있는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매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락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매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산온, 2-헵탄온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매 ;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 톨루엔 및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매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매 ; 클로로포름 및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함유 용매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조성물 100 질량부에서 차지하는 용매의 함유량은, 50 질량부 ∼ 98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성물 100 질량부에서 차지하는 고형분은, 2 질량부 ∼ 5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고형분이 50 질량부 이하이면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지므로, 얻어지는 광학 필름의 두께가 대략 균일해져, 광학 필름에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고형분은, 제조하고자 하는 광학 필름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은, 통상 건조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용매가 포함되지 않거나, 혹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소량 포함된다.
<증감제>
증감제를 사용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증감제로는,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에 광 중합 개시제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광 증감제가 바람직하다. 증감제로는, 예를 들어 크산톤 및 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 화합물 (2,4-디에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 ; 안트라센 및 알콕시기 함유 안트라센 (디부톡시안트라센 등) 등의 안트라센 화합물 ; 페노티아진 및 루브렌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물에 있어서의 증감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0.1 질량부 ∼ 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부 ∼ 1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 질량부 ∼ 8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증감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질량으로 환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증감제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금지제>
중합 금지제를 사용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의 진행 정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중합 금지제로는,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등의 페놀계 화합물,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황계 화합물, 트리옥틸포스파이트 등의 인계 화합물, 및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으로 대표되는 힌더드 아민 구조를 포함하는 아민계 화합물 등의 라디칼 포착제를 들 수 있다.
액정 경화막인 광학 필름의 착색이 적다는 점에서, 중합 금지제로는, 페놀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0.1 질량부 ∼ 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부 ∼ 1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 질량부 ∼ 8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교란하는 일 없이 중합시킬 수 있다. 중합 금지제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질량으로 환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링제>
레벨링제란, 조성물의 유동성을 조정하여, 조성물을 도포하여 얻어지는 막을 보다 평탄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첨가제이고,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레벨링제로는, "BYK-361N"(BYK Chemie 사 제조) 등의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 및 서플론 (등록상표)"S-381" (AGC 세이미 케미칼 주식회사 제조) 등의 불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조성물에 있어서의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1 질량부 ∼ 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부 ∼ 3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수평 배향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얻어지는 광학 필름이 보다 평활해지는 경향이 있다. 조성물은, 레벨링제를 2 종류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질량으로 환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레벨링제의 함유량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의 부재>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통상 기재 상, 또는 기재 상에 형성된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당해 조성물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부재,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재 및 배향막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기재>
기재로는, 유리 기재 및 플라스틱 기재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기재이다. 플라스틱 기재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등의 폴리올레핀 ;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 폴리비닐알코올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술폰 ; 폴리에테르술폰 ; 폴리에테르케톤 ;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 ; 등의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기재로는, "후지탁 필름"(후지 사진 필름 주식회사 제조) ; "KC8UX2M", "KC8UY" 및 "KC4UY"(이상, 코니카 미놀타 옵토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로는, "Topas"(등록상표)(Ticona 사 (독) 제조), "아톤"(등록상표)(JSR 주식회사 제조), "제오노어(ZEONOR)"(등록상표), "제오넥스 (ZEONEX)"(등록상표)(이상,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및 "아펠"(등록상표)(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용제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막하여, 기재로 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기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기재로는, "에스시나"(등록상표), "SCA40"(등록상표)(이상,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제오노어 필름"(등록상표)(오프테스 주식회사 제조) 및 "아톤 필름"(등록상표)(JSR 주식회사 제조) 을 들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실용적인 취급이 가능한 정도의 질량인 점에서는, 얇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하고, 가공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다. 기재의 두께는, 통상 5 ㎛∼ 3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200 ㎛ 이다.
<배향막>
배향막은, 두께가 500 ㎚ 이하의 막이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액정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 막이다. 배향막으로는, 배향성 폴리머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배향막, 광 배향막, 및 그루브 (groove) 배향막을 들 수 있다.
배향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액정 배향을 용이하게 한다. 수평 배향, 수직 배향, 하이브리드 배향, 경사 배향 등의 액정 배향의 상태는, 배향막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변화하고, 그 조합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배향막이 배향 규제력으로서 수평 배향을 발현시키는 재료이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수평 배향 또는 하이브리드 배향을 형성할 수 있고, 수직 배향을 발현시키는 재료이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수직 배향 또는 경사 배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수평」, 「수직」 등의 표현은, 광학 필름 (편광막) 평면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배향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의 방향을 나타낸다. 수직 배향이란, 광학 필름 (편광막)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장축을 갖는 배향이다. 여기서 말하는 「수직」이란, 광학 필름 (편광막) 평면에 대해 90°±20°의 각도를 의미한다.
배향 규제력은, 배향막이 배향성 폴리머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당해 폴리머의 표면 상태나 러빙 조건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광 배향성 폴리머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당해 폴리머에 대한 편광 조사 조건 등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표면장력이나 액정성 등의 물성을 선택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액정 배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기재와 광학 필름 (편광막) 사이에 형성되는 배향막으로는, 배향막 상에 광학 필름 (편광막) 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용매에 불용이고, 용매의 제거나 액정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갖는 막이 바람직하다. 배향막으로는, 배향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배향막, 광 배향막 및 그루브 배향막 등을 들 수 있다.
배향막의 두께는, 통상 10 ㎚ ∼ 5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 200 ㎚ 이다.
<배향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배향막>
배향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배향막은, 통상 배향성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한 조성물 (이하,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기재에 도포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것, 또는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고, 용매를 제거하고, 러빙하는 것 (러빙법) 으로 얻어진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 중의 배향성 폴리머의 농도는, 배향성 폴리머 재료가, 용매에 완용할 수 있는 범위 내이면 되지만, 용액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0.1 질량% ∼ 2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판되는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로는, 선에버 (등록상표)(닛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또는 옵트머 (등록상표)(JSR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광 배향막>
광 배향막은, 통상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 (광 배향성 재료) 와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하,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기재에 도포하고, 편광 (바람직하게는 편광 UV) 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진다. 광 배향막은, 조사하는 편광의 편광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배향 규제력의 방향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광 반응성기란, 광을 조사함으로써 액정 배향능을 생기게 하는 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광 반응성기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생기는 분자의 배향 야기 또는 이성화 반응, 이량화 반응, 광 가교 반응, 혹은 광 분해 반응과 같은, 액정 배향능의 기원이 되는 광 반응을 일으키는 기이다. 당해 광 반응성기 중에서도, 이량화 반응 또는 광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기가, 배향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광 반응성기로는, 불포화 결합, 특히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바람직하고, 탄소-탄소 이중 결합 (C=C 결합), 탄소-질소 이중 결합 (C=N 결합), 질소-질소 이중 결합 (N=N 결합), 및 탄소-산소 이중 결합 (C=O 결합)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함유량은, 0.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광 배향막의 특성이 현저하게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재료나 광 증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편광을 조사하려면, 기판 상에 도포된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 조성물에 직접 편광을 조사하는 형식이라도 되고, 기재측으로부터 편광을 조사하고, 편광을 투과시켜 조성물에 조사하는 형식이라도 된다. 당해 편광은, 실질적으로 평행광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조사하는 편광의 파장은,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광 반응성기가 광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파장 영역의 파장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파장 250 ㎚ ∼ 400 ㎚ 의 UV (자외선)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러빙 또는 편광 조사를 실시할 때에 마스킹을 실시하면, 액정 배향의 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 (패턴) 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루브 배향막>
그루브 (groove) 배향막은, 막 표면에 요철 패턴 또는 복수의 그루브 (홈) 를 갖는 막이다.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직선상의 그루브를 갖는 막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도포한 경우, 그 홈을 따른 방향으로 액정 분자가 배향한다.
그루브 배향막을 얻는 방법으로는, 감광성 폴리이미드막 표면에 패턴 형상의 슬릿을 갖는 노광용 마스크를 통하여 노광 후, 현상 및 린스 처리를 실시하여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표면에 홈을 갖는 판상의 원반에, 경화 전의 UV 경화 수지의 층을 형성하고, 수지층을 기재에 옮기고 나서 경화하는 방법, 및 기재 상에 형성한 경화 전의 UV 경화 수지의 막에, 복수의 홈을 갖는 롤상의 원반을 압박하여 요철을 형성하고, 그 후 경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4976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42743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예시한 상기 서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통상 형성된 도포막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다.
용매의 제거 방법으로는, 자연 건조법, 통풍 건조법, 가열 건조법 및 감압 건조법 등을 들 수 있다.
형성된 도포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통상 용액 상태로 전이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액정 배향하는 온도까지 냉각함으로써 배향하여, 액정상을 형성한다.
형성된 도포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하는 온도는, 미리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텍스처 관찰 등에 의해 구하면 된다. 또, 용매의 제거와 액정 배향을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이때의 온도로는, 제거하는 용매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50 ∼ 200 ℃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기재가 수지 기재인 경우에는, 80 ∼ 130 ℃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1/4 파장판인 기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광학 필름과 당해 1/4 파장판을 갖는 원 편광판을 얻는 경우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방향은, 얻어지는 광학 필름의 투과축과, 당해 기재의 지상축 (광축) 이 실질적으로 45°가 되도록 하면 된다.
배향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한다.
배향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함으로써, 배향한 상태에서 중합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함께 배향한 화합물 (1) 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스멕틱 액정상을 유지한 채로 중합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편광막) 은, 종래의 호스트 게스트형 편광막, 즉 네마틱 액정상을 유지한 채로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편광막과 비교해 편광 성능이 높고, 또 이색성 색소 또는 리오트로픽 액정형의 액정 화합물만을 도포한 편광막과 비교해 편광 성능 및 강도가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으로는, 자외선, 전자선, X 선 등을 발생하는 광원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의, 파장 400 ㎚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광원이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는, 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의 조사 강도가 10 ∼ 5000 mJ/㎠ 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 2000 mJ/㎠ 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사 에너지가 10 mJ/㎠ 보다 낮으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두께는, 0.5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5 ㎛ 이하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두께는, 간섭 막두께계나 레이저 현미경 혹은 촉침식 막두께계의 측정으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X 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브래그 피크가 얻어지는 광학 필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브래그 피크가 얻어지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헥사틱상 또는 크리스탈상에서 유래하는 회절 피크를 나타내는 편광막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극대 흡수 (λmax1) 는, 바람직하게는 350 ㎚ ∼ 550 ㎚ 의 범위에 존재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30 ㎚ ∼ 550 ㎚ 의 범위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포함되는 화합물 (1) 을 적절한 용매에 용해하여 측정한 극대 흡수 (λmax2) 에 비해, λmax1 은 장파장 시프트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파장 시프트는, 중합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 분자 사슬 사이에 화합물 (1) 이 분산했을 때에 발현하는 시프트이고, 화합물 (1) 이 당해 분자 사슬에 강하게 상호 작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장파장 시프트란, 흡수 극대의 차분 (λmax1 - λmax2) 이 정 (正) 의 값이 되는 것을 의미하고, 그 차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나타내는 이색비는, 3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사용한 기재가 1/4 파장판이 아닌 경우에는, 얻어진 본 발명의 광학 필름 (편광막) 과, 1/4 파장판을 적층함으로써 원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투과축과, 1/4 파장판의 지상축 (광축) 이 실질적으로 45°가 되도록 하여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 (편광막) 의 투과축과, 1/4 파장판 등의 위상차 필름의 광축을 일치, 또는 직교시킴으로써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 기능하는 원 편광판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과 1/4 파장판의 적층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형성된 기재, 또는 배향막이 형성된 기재와 함께 실시해도 되고, 기재, 또는 기재 및 배향막을 제거하고 실시해도 된다. 기재, 또는 배향막이 형성된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본 발명의 광학 필름과, 1/4 파장판의 적층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편광막이 형성된 면과, 1/4 파장판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첩합 (貼合) 한 후, 당해 기재, 또는 광학 필름이 형성된 기재를 제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접착제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도포되어도 되고, 1/4 파장판에 도포되어도 된다.
<광학 필름의 용도>
광학 필름 (편광막) 및 원 편광판은, 다양한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란, 표시 소자를 갖는 장치이고, 발광원으로서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발광 (EL) 표시 장치, 터치 패널 표시 장치, 전자 방출 표시 장치 (전기장 방출 표시 장치 (FED 등), 표면 전계 방출 표시 장치 (SED)), 전자 페이퍼 (전자 잉크나 전기 영동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 (GLV)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 (DMD) 를 갖는 표시 장치 등) 및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직시형 액정 표시 장치 및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 등 어느 것도 포함한다. 이들 표시 장치는, 이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여도 되고, 삼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표시 장치여도 된다. 특히 원 편광판은 유기 EL 표시 장치 및 무기 EL 표시 장치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광학 보상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 표시 장치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 화합물 (1), 실시형태 4 : 화합물 (1) 의 제조 방법, 실시형태 5 : 화합물 (3) 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즉 상기 서술한 화합물 (1) 이다. 화합물 (1) 을 구성하는 기는, 상기 서술한 기와 동일하다.
[화학식 25]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1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6]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2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7]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3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화합물 (1)) 의 제조 방법은, 하기 일반식 (3), 하기 일반식 (5), 또는 하기 일반식 (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각각, 화합물 (3), 화합물 (5), 화합물 (6) 이라고도 칭한다) 과, 하기 일반식 (R1-2)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R1-2) 라고도 칭한다) 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화학식 28]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4
[상기 일반식에 있어서, R1, R2, R12, R7 ∼ R9, P1, P2, Q1, Q2, Ar 은, 일반식 (1) 에 있어서 나타낸 기와 동일하다. 또, m, p, q, r 은, 일반식 (1) 에 있어서 나타낸 범위와 동일한 범위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화합물 (3)) 의 제조 방법은, 하기 일반식 (5-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R2-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디메틸술폭사이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화학식 29]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5
[상기 일반식에 있어서, R1, R2, R12, R7 ∼ R9, P1, P2, Q1, Q2, Ar 은, 일반식 (1) 에 있어서 나타낸 기와 동일하다. m, p, q, r 은, 일반식 (1) 에 있어서 나타낸 범위와 동일한 범위의 정수이다. B- 는 아니온을 나타낸다.]
B- 는, 통상 HB 로 나타내는 프로톤산의 아니온을 나타내고, B- 로 나타내는 아니온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물 이온, 황산수소 이온 및 인산 2 수소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1)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화합물 (1) 을 얻는 경우에는, 상기 일반식 (3), 상기 일반식 (5), 또는 상기 일반식 (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화합물 (3), 화합물 (5) 또는 화합물 (6)) 과,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의 상기 일반식 (R1-2) 로 나타내는 화합물 (화합물 (R1-2)) 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의 화합물 (R1-2) 를, 화합물 (3), 화합물 (5) 또는 화합물 (6) 과 반응시킴으로써, 각각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화합물 (1) 을 한 번의 반응으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화합물 (1) 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당해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의 화합물 (R1-2) 를 사용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제조에 보다 바람직한,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화합물 (1) 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합물 (1) 의 제조 방법으로는, 후술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같이, 화합물 (3) 과 화합물 (R1-2) 를 반응시켜 화합물 (1) 을 얻는 공정을 마지막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는, 화합물 (3) 의 말단의 카르보닐기를 에스테르화시켜 화합물 (1) 을 제조한다. 그때에,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의 화합물 (R1-2) 를 사용함으로써, R1 만이 서로 상이한 이외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의 화합물 (1) 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의 일례를, 화합물 (1) 중 하나인 화합물 (1-3) 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스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스킴 1 ∼ 3 에 있어서, 화합물 (X)(X = 1, 3, 5, 6, 5-1, R1-2 또는 R2-1) 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화합물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각각 화합물 (X-1A) 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화학식 30]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6
스킴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발 물질로서 상기 일반식 (2-1A)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2-1A) 라고 칭한다) 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 (2-1A) 로는, 예를 들어 UORSY Building Blocks Library 사제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처음에, 화합물 (2-1A) 를 염기로 처리함으로써, 화합물 (6-1A) 를 조제한다. 상기 염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는, 1 종류라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계속해서, 화합물 (6-1A) 로부터 화합물 (5-1A) 를 조제한다. 화합물 (5-1) 의 조제 방법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15442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스킴 2 에 따라, 화합물 (5-1A) 로부터 화합물 (3-1A) 를 합성한다. 그 상세한 반응 조건 등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31]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7
먼저, 화합물 (5-1A) 를 황산, 인산, 또는 염산 등의 프로톤산의 존재하에서, 아질산나트륨, 니트로실황산 등의 디아조화제를 사용하여 디아조화하여, 화합물 (5-1-1A) 를 조제한다. 또한, 상기 프로톤산은, 1 종류라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디아조화제는, 1 종류라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이 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서 실시되어도 되고, 비존재하에서 실시되어도 된다. 또, 상기 프로톤산을 과잉으로 사용함으로써, 이 프로톤산을 용매의 일부로서 이용해도 된다. 이때의 반응 온도는 사용하는 화합물 (5-1A) 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0 ∼ 100 ℃ 의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도중의 반응 혼합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고, 화합물 (5-1A) 의 소비의 정도 및/또는 화합물 (5-1-1A) 의 생성의 정도를 정량·확인함으로써 정할 수 있다. 아질산나트륨 대신에 아질산칼륨 및/또는 니트로실황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은, 얻어진 화합물 (5-1) 은, 반응 종료 후에 혼합물인 채 다음의 반응에 사용되지만, 단리나 정제를 실시해도 된다.
다음으로, 얻어진 화합물 (5-1-1A) 를, 화합물 (R2-1-1A) 와 디아조 커플링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 (3-1A) 를 조제한다. 이때, 화합물 (R2-1-1A) 이외의 방향족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치환기가 상이한 비스아조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또, 이때의 반응 온도는, 화합물 (5-1-1A) 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0 ∼ 100 ℃ 의 범위이다. 또, 반응 용매는, 화합물 (5-1-1A) 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술폭사이드, 바람직하게는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술폭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반응 도중의 반응 혼합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고, 화합물 (5-1-1A) 의 소비의 정도 및/또는 화합물 (3-1A) 의 생성의 정도를 정량·확인함으로써 정할 수 있다.
화합물 (3-1A) 를 포함하는 반응 종료 후의 혼합물에 대해, 여과 및 적절한 용매에 의한 세정을 실시함으로써, 화합물 (3-1A) 의 고체를 얻을 수 있다. 통상, 세정 용매는, 반응 용매와 동일한 화합물을 사용하지만, 반응 용매와 상이한 화합물이어도 된다. 얻어진 고체는, 감압 건조 후에 다음의 반응에 사용되지만,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리펄프, 재결정, 또는 재침전 중, 하나 이상의 수법을 조합함으로써 정제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이하에 나타내는 스킴 3 에 따라, 화합물 (3-1A) 로부터 화합물 (1-3) 을 합성한다. 그 상세한 반응 조건 등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32]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8
먼저, 화합물 (3-1A) 에 화합물 (R1-2-1A) 를 첨가한다. 화합물 (R1-2-1A) 의 첨가량은, 화합물 (3-1A) 의 용해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면 되지만, 예를 들어 화합물 (3-1A) 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화합물 (R1-2-1A)/화합물 (3-1A) = 1 ∼ 500 의 범위이다. 또, 용매로서 톨루엔이나 벤젠을 첨가해도 된다. 계속해서, 황산을 첨가하고, 가열·교반한다. 황산의 첨가량은 적절히 변경하면 되고, 예를 들어 화합물 (3-1A) 의 몰수를 기준으로 하여 황산/화합물 (3-1A) = 0.01 ∼ 10 이다. 이때의 반응 온도는 사용하는 화합물 (3-1A) 및/또는 화합물 (R1-2-1A) 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0 ∼ 150 ℃ 의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도중의 반응 혼합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고, 화합물 (3-1A) 의 소비의 정도 및/또는 화합물 (1-3) 의 생성의 정도를 정량·확인함으로써 정할 수 있다.
상기 황산은, 각종 탈수 축합 시약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PC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MAP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혼합계의 탈수 축합 시약으로 바꾸어도 된다.
화합물 (1-3) 을 포함하는 반응 종료 후의 혼합물에 대해, 분액 조작에 의한 물 세정 및 유기층의 농축 건고나, 빈용매를 사용한 정석을 실시함으로써, 화합물 (1-3) 의 고체를 얻을 수 있다. 분액 조작에 있어서의 유기층에는 각종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정석에 있어서의 빈용매로는, 예를 들어 헥산이나 헵탄을 사용할 수 있다. 얻어지는 고체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리펄프, 재결정, 또는 재침전 중, 하나 이상의 수법을 조합하고, 정제를 반복함으로써, LC 순도 (area%/254 ㎚) 를 9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방법에 준거해,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 (1) 에 따라, 출발 물질, 화합물 (3), 화합물 (5), 화합물 (6), 화합물 (R1-2), 화합물 (R2-1) 및 그 밖의 사용 약품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 화합물 (1) 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기재된 「%」 및 「부」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이색성 색소의 조제]
이하의 제조예 1 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예에 사용하는 이색성 색소를 조제하였다.
[제조예 1]
[화학식 33]
Figure 112017039534242-pat00039
화합물 (5-1A) 0.50 g, 85 % 인산 17.5 g 을 80 ℃ 에서 5 분간 교반·혼합하여, 혼합물 (a) 를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 (a) 를, 0 ℃ 까지 냉각한 후, 40 % 니트로실황산 4.7 g 을 적하하고 30 분간 교반하여, 혼합물 (b) 를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 (b) 를, 화합물 (R2-1-1A) 인 N,N-디에틸아닐린 2.9 g, 아세트산나트륨 6.7 g, N-메틸피롤리돈 58.8 g, 메탄올 44.1 g 및 물 14.7 g 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c) 중에, 0 ℃ 에서 적하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승온 후, 1 시간 교반하여, 혼합물 (d) 를 얻었다. 그리고, 혼합물 (d) 로부터 석출된, 화합물 (3-1A) 를 포함하는 석출물을 여과하여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고체를 물-메탄올 혼합 용매 (= 1 : 1) 로 세정 후,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화합물 (3-A) 0.51 g 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 (3-A) 의 특성 등을 이하에 나타낸다.
수율 : (화합물 (5-1A) 기준) : 67 %
Mw : 464 (LC-MS)
극대 흡수 파장 (λmax2) = 554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계속해, 얻어진 화합물 (3-A) 를 사용하여, 화합물 (1-3) 을 조제하였다.
[화학식 34]
Figure 112017039534242-pat00040
화합물 (3-1A) 0.13 g, 화합물 (R1-2-1A) 인 1-부탄올 15.0 g, 및 98 % 황산 0.025 g 을 실온에서 5 분간 혼합한 후에, 100 ℃ 로 승온시켜 4 시간 교반하여, 혼합물 (e) 를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 (e) 를 실온으로 되돌리고, 아세트산에틸 10 g 및 물 10 g 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혼합물 (f) 를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 (f) 의 유기층을 분리하고, 당해 유기층을 물로 세정한 후, 감압 건조를 함으로써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고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출액 : 클로로포름/헵탄 = 5/1 ∼ 20/1)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물-메탄올 혼합 용매 (= 1 : 2) 로 세정 후, 건조시킴으로써, 청색 고체인 화합물 (1-3) 0.04 g 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 (1-3) 의 특성 등을 이하에 나타낸다.
수율 : (화합물 3-1A 기준) : 24 %
Mw : 520 (LC-MS)
극대 흡수 파장 (λmax2) = 572 ㎚ (클로로포름 용액).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조제]
이하의 제조예 2 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예에 사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조제하였다.
[제조예 2]
선행 문헌 : Lub et al. Recl. Trav. Chim. Pays-Bas, 115, 321-328 (1996) 에 기재된 방법으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인, 이하의 화학식 (4-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6) 이라고 칭한다) 을 조제하였다. 또, 상기 선행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한 방법으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인, 이하의 화학식 (4-8)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8) 이라고 칭한다) 을 조제하였다.
[화학식 35]
Figure 112017039534242-pat00041
[상전위 온도의 측정]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4-6), 화합물 (4-8) 의 상전위 온도를 측정하였다.
배향막을 형성한 유리 기판 상에, 화합물 (4-6) 또는 화합물 (4-8) 로 이루어지는 막을 형성하고, 가열하면서, 편광 현미경 (BX-51, 올림푸스 주식회사 제조) 에 의한 텍스처 관찰에 의해 상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4-6) 은, 120 ℃ 까지 승온 후, 강온 시에 있어서 112 ℃ 에서 네마틱상으로 상전이하고, 110 ℃ 에서 스멕틱 A 상으로 상전이하고, 94 ℃ 에서 스멕틱 B 상으로 상전이하였다. 또, 화합물 (4-8) 은, 140 ℃ 까지 승온 후, 강온 시에 있어서 131 ℃ 에서 네마틱상으로 상전이하고, 80 ℃ 에서 스멕틱 A 상으로 상전이하고, 68 ℃ 에서 스멕틱 B 상으로 상전이하였다.
[실시예 1]
[조성물의 조제]
이하에 나타내는 화합물 및 약제를 혼합하고, 80 ℃ 에서 1 시간 교반하여 조성물 (1) 을 얻었다 ;
중합성 액정 화합물 ; 화합물 (4-6) 75 부
화합물 (4-8) 25 부
화합물 (1) ; 화합물 (1-3) 2.9 부
중합 개시제 ;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이르가큐어 369 ;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6 부
레벨링제 ;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BYK-361N ; BYK-Chemie 사 제조) 1.5 부
용매 ; 자일렌-이소포론 혼합 용매 (= 95 : 5) 250 부.
[광학 필름의 제작 및 평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광학 필름인 편광막 (1) 을 제작하고, 그 물성 등을 평가하였다.
<1. 배향막의 형성>
유리 기판 상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알코올 1000 완전 비누화형, 와코 준야쿠 공업 주식회사 제조) 의 2 질량% 수용액을 스핀 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 후, 두께 100 ㎚ 의 막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얻어진 막의 표면에 러빙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러빙 처리는, 반자동 러빙 장치 (상품명 : LQ-008 형, 죠요 공학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고, 천 (상품명 : YA-20-RW, 요시카와 화공 주식회사 제조) 에 의해, 압입량 0.15 ㎜, 회전수 500 rpm, 16.7 ㎜/s 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러빙 처리에 의해, 유리 기판 상에 배향막이 형성된 적층체 1 을 얻었다.
<2. 편광막의 형성>
적층체 1 의 배향막 상에, 상기 조성물 (1) 을 스핀 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120 ℃ 의 핫 플레이트 상에서 1 분간, 가열 건조시킨 후, 신속하게 실온까지 냉각하여, 상기 배향막 상에 배향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건조 피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UV 조사 장치 (SPOT CURE SP-7 ; 우시오 전기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고, 자외선을 노광량 1500 mJ/㎠ (365 ㎚ 기준) 로 건조 피막에 조사함으로써, 당해 건조 피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 상태를 유지한 채로 중합시켜, 건조 피막으로부터 편광막 (1) 을 형성하여 적층체 2 를 얻었다. 상기 편광막 (1) 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 (올림푸스 주식회사 제조 OLS3000) 에 의해 측정한 바, 1.7 ㎛ 였다.
<3. 이색비의 측정>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축 방향의 흡광도 (A1) 및 흡수축 방향의 흡광도 (A2) 를,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 주식회사 제조 UV-3150) 에, 적층체 2 를 구비한 폴더를 세트한 장치를 사용하여, 더블 빔법으로 측정하였다. 당해 폴더의 레퍼런스측에는, 광량을 50 % 컷하는 메시를 설치하였다. 측정된 투과축 방향의 흡광도 (A1) 및 흡수축 방향의 흡광도 (A2) 의 값으로부터 상기 흡광도의 비 (A2/A1) 를 산출하고, 이색비로 하였다.
극대 흡수 파장 (λmax) : 656 ㎚
이색비 (극대 흡수 파장) : 45.
<4. 내광성의 평가>
형성된 편광막 (1) 의 표면에 보호 필름 (40 ㎛ TAC (코니카 미놀타 주식회사 제조 「KC4UY」)) 을 배치하고, 그 위로부터 하기 조건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내광성을 평가하였다. 편광막 (1) 의 극대 흡수 파장 656 ㎚ 에 있어서의, 내광성 시험 후의 편광막 (1) 의 흡광도는, 시험 전의 95 % 가 되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01328호에 기재된 (실시예 4) 에서 나타내는 이색성 색소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막을 형성하고 내광성 시험을 실시한 바, 그 편광막의 극대 흡수 파장 610 ㎚ 에 있어서의, 내광성 시험 후의 그 편광막의 흡광도는, 시험 전의 87 % 가 되었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내광성 시험에 있어서의 광의 조사 조건은 이하와 같다.
사용 기기 : ATLAS 사 제조 선테스트 XLS+
사용 광원 : 크세논 아크 램프
노광 조건 : 250 ㎽/㎡
시험 시간 : 120 시간
폭로량 : 108000 KJ/㎡
온도 : 60 ℃.
Figure 112017039534242-pat00042
[결론]
이색비의 측정 결과로부터, 화합물 (1-3) 의 클로로포름 중에서의 극대 흡수 파장 (λmax2) 은 572 ㎚ 인 것으로부터, 장파장 시프트하여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장파장 시프트의 존재에 의해,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중에 있어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조밀한 분자 사슬 사이에, 화합물 (1-3) 이 분산되어 있을 때, 그 화합물 (1-3) 이 그 분자 사슬과 강하게 상호 작용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파장 600 ∼ 680 ㎚ 의 범위에 극대 흡수를 갖고, 또한 높은 이색비를 갖는 것이 밝혀졌다.
또, 내광성의 평가, 특히 표 1 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내광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광학 필름, 또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종래의 광학 필름보다 내광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 (편광막) 은, 당해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액정 셀, 원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Figure 112020011768874-pat00043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1768874-pat00044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1768874-pat00045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광학 필름.
    Figure 112020011768874-pat00046

    [일반식 (2) 중, R1, 및 R2 는 일반식 (1) 중의 R1, 및 R2 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각각 일반식 (1) 중의 R1 에 있어서만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광학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화합물인, 광학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광학 필름.
    U1-V1-W1-X1-Y1-X2-Y2-X3-W2-V2-U2 (4)
    (식 중, X1, X2 및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나타낸다.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이다.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구성하는 -CH2- 는, -O-, -S- 또는 -N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 은,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Y1 및 Y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CH2CH2-, -CH2O-, -COO-, -OCOO-, -N=N-, -CRa=CRb-, -C≡C-, 또는 -CRa=N- 를 나타낸다. Ra 및 R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U1 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U2 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W1 및 W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O-, -S-, -COO-, 또는 -OCOO- 를 나타낸다.
    V1 및 V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20 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당해 알칸디일기를 구성하는 -CH2- 는, -O-, -S- 또는 -NH-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7.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igure 112020011768874-pat00047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1768874-pat00048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1768874-pat00049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2 종류 이상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제 7 항에 기재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광학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9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원 편광판.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9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12.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112020011768874-pat00050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1768874-pat00051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11768874-pat00052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13. 하기 일반식 (3), 하기 일반식 (5), 또는 하기 일반식 (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R1-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112021011420229-pat00053

    [상기 일반식 중, R1 은, 탄소수 1 ∼ 11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1011420229-pat00054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1011420229-pat00055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3), 상기 일반식 (5), 또는 상기 일반식 (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2 종류의 상기 일반식 (R1-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5. 하기 일반식 (5-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R2-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디메틸술폭사이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112021011420229-pat00056

    [상기 일반식 중, P1 및 P2 는, 각각 독립적으로 -S-, -O- 또는 -N(R12)- 를 나타내고, R1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1 및 Q2 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를 나타낸다.
    Ar 은, 하기 일반식 (Ar-1) 또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B- 는, 아니온을 나타낸다.
    Figure 112021011420229-pat00057

    (상기 일반식 중, * 는 N 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R2 는, 하기에 나타내는 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21011420229-pat00058

    여기서, R7 ∼ R9 는, 수소 원자 이외의 치환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기 및 상기 알콕시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m 은, 0 ∼ 10 의 정수이고, 동일한 기 중에 m 이 두 개 있는 경우, 이 두 개의 m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p, q,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KR1020170051810A 2016-04-26 2017-04-21 광학 필름 KR102303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8396A JP6718735B2 (ja) 2016-04-26 2016-04-26 光学フィルム
JPJP-P-2016-088396 2016-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127A KR20170122127A (ko) 2017-11-03
KR102303063B1 true KR102303063B1 (ko) 2021-09-15

Family

ID=6008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10A KR102303063B1 (ko) 2016-04-26 2017-04-21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01480B2 (ko)
JP (1) JP6718735B2 (ko)
KR (1) KR102303063B1 (ko)
CN (1) CN107446594A (ko)
TW (1) TWI726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1005B2 (ja) * 2018-02-05 2024-02-2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膜形成用組成物、偏光膜、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88325A (ja) * 2020-12-02 2022-06-14 住友化学株式会社 アゾ化合物、組成物、膜、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311A (ja) 2009-08-28 2011-03-10 Fujifilm Corp 二色性色素、光吸収異方性膜、偏光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JP2013109090A (ja) 2011-11-18 2013-06-0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膜、円偏光板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el画像表示装置
KR101521689B1 (ko) 2010-03-31 2015-05-1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 필름,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97630A (ja) 2016-04-26 2017-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組成物、および当該組成物を含む光学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2930B1 (en) 2003-11-06 2011-01-1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Dichroic guest-host polarizer comprising an oriented polymer film
KR101641385B1 (ko) * 2009-03-16 2016-07-2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화합물,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6171276B2 (ja) * 2011-07-12 2017-08-0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子及びその製造方法
TWI564598B (zh) * 2011-10-12 2017-01-01 Sumitomo Chemical Co A polarizing film,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the like
KR102129135B1 (ko) * 2012-02-28 2020-07-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막, 원편광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TWI577744B (zh) * 2012-03-26 2017-04-11 Sumitomo Chemical Co Composition and polarizing film
WO2016060174A1 (ja) * 2014-10-17 2016-04-21 住友化学株式会社 化合物および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311A (ja) 2009-08-28 2011-03-10 Fujifilm Corp 二色性色素、光吸収異方性膜、偏光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KR101521689B1 (ko) 2010-03-31 2015-05-1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 필름,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3109090A (ja) 2011-11-18 2013-06-0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膜、円偏光板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el画像表示装置
JP2017197630A (ja) 2016-04-26 2017-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組成物、および当該組成物を含む光学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41443A (zh) 2017-12-01
CN107446594A (zh) 2017-12-08
US10501480B2 (en) 2019-12-10
US20170305930A1 (en) 2017-10-26
KR20170122127A (ko) 2017-11-03
JP2017198804A (ja) 2017-11-02
TWI726092B (zh) 2021-05-01
JP6718735B2 (ja)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148B1 (ko) 조성물 및 편광막
KR102580093B1 (ko) 패턴 편광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09810B1 (ko) 조성물, 및 당해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JP6737180B2 (ja) 化合物および組成物
JP7362404B2 (ja) 組成物、膜、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KR102303063B1 (ko) 광학 필름
KR102259448B1 (ko)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13227531A (ja) 混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48436B1 (ko) 화합물 및 조성물
KR102300710B1 (ko)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23184545A (ja) 組成物、膜、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JP2022073665A (ja) 化合物、組成物、膜、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WO2022153667A1 (ja) 組成物、膜、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KR20230136734A (ko) 중합성 액정 조성물, 편광막, 편광 필름, 원 편광판 그리고 표시 장치
JP2022073664A (ja) 化合物、組成物、膜、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WO2023276667A1 (ja) 化合物、組成物、膜、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WO2023276668A1 (ja) 化合物、組成物、膜、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KR20230113538A (ko) 아조 화합물, 조성물, 막, 적층체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