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562B1 -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Google Patents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1562B1 KR102301562B1 KR1020210056804A KR20210056804A KR102301562B1 KR 102301562 B1 KR102301562 B1 KR 102301562B1 KR 1020210056804 A KR1020210056804 A KR 1020210056804A KR 20210056804 A KR20210056804 A KR 20210056804A KR 102301562 B1 KR102301562 B1 KR 1023015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vertical
- support member
- elevator
- vertical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호스트웨이를 제공하는 철골 프레임을 상부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으로 각각 구성하되, 상부프레임을 공장에서 선조립하여, 건축물에 시공되는 하부프레임에 상부프레임을 현장 조립하여, 생산 공정을 간편하게하고, 현장 시공 위험을 감소하며, 설치후 견고성이 증진되도록 건축물의 일측 공간의 지면에서 건물 천정 높이까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입게이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10)의 주변에는 엘리베이터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장치를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 1 수직 지지재(120),제 2 수직 지지재(130),제 3 수직 지지재(120) 및 제 4 수직 지지재(150)가 사각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 사이에는 복수의 수평 지지재(160)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균형 추의 이동레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최상부에 안착 결합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에 대응되는 제 1 탑 수직재(210), 제 2 탑 수직재(220), 제 3 탑 수직재(230) 및 제 4 탑 수직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상기 균형 추의 이동레일이 측면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모터 거치용 빔(250)과 히치 빔(260)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탑 프레임(200); 을 포함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호스트웨이를 제공하는 철골 프레임을 상부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으로 각각 구성하되, 상부프레임을 공장에서 선조립하여, 건축물에 시공되는 하부프레임에 상부프레임을 현장 조립하여, 생산 공정을 간편하게하고, 현장 시공 위험을 감소하며, 설치후 견고성이 증진되도록 베이스 프레임 및 탑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Elevator)는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 되는 것으로, 승객이 탑승하는 케이지(Cage), 상기 케이지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제어하여 케이지의 승강을 조작하도록 하는 각종 도르레와 전자제어장비가 설치되는 권양기(Winch)로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그 특성상 일정 정도 높이 이상인 건축물에 설치되는데, 엘리베이터 시공과 설치는 건축물 시공시 엘리베이터가가 이동되는 호이스트웨일를 중심으로 철골 프레임을 건축물 시공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철골 프레임이 시공된 이후에 엘리베이터카, 구동 모터, 카운터 웨이트등을 철골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빔에 연결, 고정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고중령인 이러한 구성 설치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특히 작업자의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는 주로 저층보다는 고층건물에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 건물은 지진 등의 대규모 재해에 대해 취약한데, 실제로 우리나라는 중국, 러시아 등을 포함하는 유라시아판의 동족에 위치하고 있어, 환태평양 지진대에 위치하는 주변국보다는 지진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지역으로 인식되었으나, 2016년 경북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1978년 기상청이 계지지진을 관측한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규모의 지진으로, 이제 더 이상 한반도가 지진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는 1990년 건축법에서 내진관련 규종을 적용한 이래, 내진관련규정을 수정해왔으며, 2017년부터 적용되는 내진설계 기준안은 연면적 500㎡ 이상이거나 2층 이상으로 확대되었다.
엘리베이터 사용 중 지진 발생시 대처요령으로는 지진이 나면 멈추는 경우가 있으니 사용을 금지하라는 것과 진동을 느꼈을 때 비상버튼을 눌러 최대한 빠르게 하차하라는 정도로 아주 부실한 실정이며, 지진으로 인한 진동 발생시 가장 인접한 층으로 이동해 문을 개방하는 지진감지시스템을 적용시킬 수는 있으나 해당 기술 도입에 대한 의무 규정이 없어 50층 이상 초고층 건물에만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지진 발생시에도 엘리베이터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호스트웨이를 제공하는 철골 프레임을 상부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으로 각각 구성하되, 상부프레임을 공장에서 선조립하여, 건축물에 시공되는 하부프레임에 상부프레임을 현장 조립하여, 생산 공정을 간편하게하고, 현장 시공 위험을 감소하며, 설치후 견고성이 증진되도록 베이스 프레임 및 탑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일측 공간의 지면에서 건물 천정 높이까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입게이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10)의 주변에는 엘리베이터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장치를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 1 수직 지지재(120),제 2 수직 지지재(130),제 3 수직 지지재(120) 및 제 4 수직 지지재(150)가 사각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 사이에는 복수의 수평 지지재(160)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균형 추의 이동레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프레임(100)이 하부 조립 구조체로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견고성을 증대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최상부에 안착 결합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에 대응되는 제 1 탑 수직재(210), 제 2 탑 수직재(220), 제 3 탑 수직재(230) 및 제 4 탑 수직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상기 균형 추의 이동레일이 측면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모터 거치용 빔(250)과 히치 빔(260)이 배치되는 탑 프레임(200)과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의 최상부에는 베이스 결합부(170)가 구성되고 상기 탑 프레임(200)의 최 저부에는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 치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기 탑 프레임(200)에 입설 고정되도록 탑 결합부(270)가 구비되어 현장에서 직접 조립이 가능하여 엘리베이터 구동 시설물 설치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가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 바(171)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171)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에는 복수의 결합수용공(172)이 배치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에는 상기 제 1~4 탑 수직재(210~240)의 최하단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171)의 상부면에 대응되도록 탑 플레이트 바(271)가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 바(271)의 중간중간에는 상기 결합수용공(172)에 내입되도록 복수의 결합삽입돌출(272)이 구비되어 지상에서 상기 탑 프레임(200)을 포개는 공정만으로도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한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수용공(172)이 지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수용공경사(172a)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경사(172a)에 치합되도록 결합돌출경사(272a)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삽입돌출(2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측에 흡진지주재(272b)가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되어 내측 방향으로의 지지력이 높아지고 결합시 방향성이 유지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수용공(172)이 엘리베이터카가 상하로 이동되는 호이스트웨이 중심을 향한 방향은 결합수용공수직(172b)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의 외측 방향에는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과 상기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에 내입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조립 후 고정 능력이 증대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확장날개(173)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에는 상기 확장날개(173)를 상부에서 커버하며 상기 확장날개(173)의 외부 테두리인 외부날개테두리(173a)를 감싸도록 단면이 기역자(ㄱ) 형상의 결합날개(273)이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날개(173)의 상부면과 상기 결합날개(273)의 저면에는 엠보돌기(173b)가 다수 배치되어 결합 후의 미끄러짐이나 비틀림이 예방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는 먼저, 건축물의 일측 공간의 지면에서 건물 천정 높이까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입게이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10)의 주변에는 엘리베이터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장치를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 1 수직 지지재(120),제 2 수직 지지재(130),제 3 수직 지지재(120) 및 제 4 수직 지지재(150)가 사각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 사이에는 복수의 수평 지지재(160)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균형 추의 이동레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최상부에 안착 결합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에 대응되는 제 1 탑 수직재(210), 제 2 탑 수직재(220), 제 3 탑 수직재(230) 및 제 4 탑 수직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상기 균형 추의 이동레일이 측면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모터 거치용 빔(250)과 히치 빔(260)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탑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의 최상부에는 베이스 결합부(170)가 구성되고 상기 탑 프레임(200)의 최 저부에는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 치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기 탑 프레임(200)에 입설 고정되도록 탑 결합부(2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는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 바(171)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171)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에는 복수의 결합수용공(172)이 배치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는 상기 제 1~4 탑 수직재(210~240)의 최하단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171)의 상부면에 대응되도록 탑 플레이트 바(271)가 배치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 바(271)의 중간중간에는 상기 결합수용공(172)에 내입되도록 복수의 결합삽입돌출(27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수용공(172)은 지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수용공경사(172a)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경사(172a)에 치합되도록 결합돌출경사(272a)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 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결합삽입돌출(2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측에 흡진지주재(272b)가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흡진지주재(272b)는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에서 외측으로 내부지주재(272c), 내부탄성체(272d) 및 외부지주재(272e)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수용공(172)은 엘리베이터카가 상하로 이동되는 호이스트웨이 중심을 향한 방향은 결합수용공수직(172b)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의 외측 방향에는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과 상기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에 내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확장날개(173)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에는 상기 확장날개(173)를 상부에서 커버하며 상기 확장날개(173)의 외부 테두리인 외부날개테두리(173a)를 감싸도록 단면이 기역자(ㄱ) 형상의 결합날개(273)이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날개(173)의 상부면과 상기 결합날개(273)의 저면에는 엠보돌기(173b)가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의 상기 확장날개(173)의 상부면 높이는 건축물 옥상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구비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의 상기 결합날개(273)의 저면 높이는 건축물 옥상의 상부면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외부날개테두리(173a)의 하부와 상기 결합날개(273)의 내면이 면접촉하는 곳에는 결합탄성부재(173c)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여,
첫째, 엘리베이터 호스트웨이를 제공하는 철골 프레임을 상부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으로 각각 구성하되, 상부프레임을 공장에서 선조립하여, 건축물에 시공되는 하부프레임에 상부프레임을 현장 조립하여, 생산 공정을 간편하게하고, 현장 시공 위험을 감소하며, 설치후 견고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건축물의 일측 공간의 지면에서 건물 천정 높이까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입게이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10)의 주변에는 엘리베이터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장치를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 1 수직 지지재(120),제 2 수직 지지재(130),제 3 수직 지지재(120) 및 제 4 수직 지지재(150)가 사각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 사이에는 복수의 수평 지지재(160)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균형 추의 이동레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프레임(100)이 하부 조립 구조체로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견고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최상부에 안착 결합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에 대응되는 제 1 탑 수직재(210), 제 2 탑 수직재(220), 제 3 탑 수직재(230) 및 제 4 탑 수직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상기 균형 추의 이동레일이 측면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모터 거치용 빔(250)과 히치 빔(260)이 배치되는 탑 프레임(200)과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의 최상부에는 베이스 결합부(170)가 구성되고 상기 탑 프레임(200)의 최 저부에는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 치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기 탑 프레임(200)에 입설 고정되도록 탑 결합부(270)가 구비되어 현장에서 직접 조립이 가능하여 엘리베이터 구동 시설물 설치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인다.
넷째,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가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 바(171)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171)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에는 복수의 결합수용공(172)이 배치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에는 상기 제 1~4 탑 수직재(210~240)의 최하단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171)의 상부면에 대응되도록 탑 플레이트 바(271)가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 바(271)의 중간중간에는 상기 결합수용공(172)에 내입되도록 복수의 결합삽입돌출(272)이 구비되어 지상에서 상기 탑 프레임(200)을 포개는 공정만으로도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다섯째, 상기 결합수용공(172)이 지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수용공경사(172a)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경사(172a)에 치합되도록 결합돌출경사(272a)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삽입돌출(2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측에 흡진지주재(272b)가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되어 내측 방향으로의 지지력이 높아지고 결합시 방향성이 유지된다.
여섯째, 상기 결합수용공(172)이 엘리베이터카가 상하로 이동되는 호이스트웨이 중심을 향한 방향은 결합수용공수직(172b)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의 외측 방향에는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과 상기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에 내입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조립 후 고정 능력이 증대된다.
일곱째,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확장날개(173)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에는 상기 확장날개(173)를 상부에서 커버하며 상기 확장날개(173)의 외부 테두리인 외부날개테두리(173a)를 감싸도록 단면이 기역자(ㄱ) 형상의 결합날개(273)이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날개(173)의 상부면과 상기 결합날개(273)의 저면에는 엠보돌기(173b)가 다수 배치되어 결합 후의 미끄러짐이나 비틀림이 예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5 내지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베이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탑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0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베이스 결합부와 탑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6 및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엠보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8 및 1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흡진지주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 내지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5 내지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베이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탑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0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베이스 결합부와 탑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6 및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엠보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8 및 1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흡진지주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5 내지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베이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탑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0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베이스 결합부와 탑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6 및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엠보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8 및 1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의 흡진지주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는 먼저, 건축물의 일측 공간의 지면에서 건물 천정 높이까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입게이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10)의 주변에는 엘리베이터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장치를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 1 수직 지지재(120),제 2 수직 지지재(130),제 3 수직 지지재(120) 및 제 4 수직 지지재(150)가 사각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 사이에는 복수의 수평 지지재(160)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균형 추의 이동레일을 수용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이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건물 내부 또는 건물의 벽체를 따라 건축물 시공시에 건축물과 함께 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최상부에 안착 결합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에 대응되는 제 1 탑 수직재(210), 제 2 탑 수직재(220), 제 3 탑 수직재(230) 및 제 4 탑 수직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상기 균형 추의 이동레일이 측면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모터 거치용 빔(250)과 히치 빔(260)이 배치되도록 탑 프레임(200)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의 최상부에는 베이스 결합부(170)가 구성되고 상기 탑 프레임(200)의 최 저부에는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 치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기 탑 프레임(200)에 입설 고정되도록 탑 결합부(270)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 상기 탑 결합부(270)가 서로 착탈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사전에 공장에서 조립된 상기 탑 프레임(200)이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와 상기 탑 프레임(200)이 현장에서 간단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는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 바(171)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171)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에는 복수의 결합수용공(172)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탑 결합부(270)에는 상기 제 1~4 탑 수직재(210~240)의 최하단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171)의 상부면에 대응되도록 탑 플레이트 바(271)가 배치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 바(271)의 중간중간에는 상기 결합수용공(172)에 내입되도록 복수의 결합삽입돌출(272)이 구비되어 서로 치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수용공(172)은 지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수용공경사(172a)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경사(172a)에 치합되도록 결합돌출경사(272a)로 구비되어 서로 삽입 결합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되, 고정 후에는 결속 능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삽입돌출(2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측에 흡진지주재(272b)가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지진 또는 엘리베이터 및 카운터 승하강 웨이트 추의 승하강에 따르는 진동이 흡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흡진지주재(272b)는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에서 외측으로 내부지주재(272c), 내부탄성체(272d) 및 외부지주재(272e)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내부지주재(272c)와 상기 외부지주재(272e)는 수직 진동에 저항하고 상기 내부탄성체(272d)는 수평 진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수용공(172)은 엘리베이터카가 상하로 이동되는 호이스트웨이 중심을 향한 방향은 결합수용공수직(172b)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의 외측 방향에는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과 상기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에 내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 또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확장날개(173)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에는 상기 확장날개(173)를 상부에서 커버하며 상기 확장날개(173)의 외부 테두리인 외부날개테두리(173a)를 감싸도록 단면이 기역자(ㄱ) 형상의 결합날개(273)이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날개(173)의 상부면과 상기 결합날개(273)의 저면에는 엠보돌기(173b)가 다수 배치되어 상기 탑 프레임(200)의 미끄럼짐 또는 비틀림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의 상기 확장날개(173)의 상부면 높이는 건축물 옥상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구비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의 상기 결합날개(273)의 저면 높이는 건축물 옥상의 상부면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외부날개테두리(173a)의 하부와 상기 결합날개(273)의 내면이 면접촉하는 곳에는 결합탄성부재(173c)가 더 구비되어 결착 능력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를 이용하면,엘리베이터 호스트웨이를 제공하는 철골 프레임을 상부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으로 각각 구성하되, 상부프레임을 공장에서 선조립하여, 건축물에 시공되는 하부프레임에 상부프레임을 현장 조립하여, 생산 공정을 간편하게하고, 현장 시공 위험을 감소하며, 설치후 견고성이 증진되며, 건축물의 일측 공간의 지면에서 건물 천정 높이까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입게이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10)의 주변에는 엘리베이터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장치를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 1 수직 지지재(120),제 2 수직 지지재(130),제 3 수직 지지재(120) 및 제 4 수직 지지재(150)가 사각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 사이에는 복수의 수평 지지재(160)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균형 추의 이동레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프레임(100)이 하부 조립 구조체로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견고성을 증대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최상부에 안착 결합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에 대응되는 제 1 탑 수직재(210), 제 2 탑 수직재(220), 제 3 탑 수직재(230) 및 제 4 탑 수직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상기 균형 추의 이동레일이 측면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모터 거치용 빔(250)과 히치 빔(260)이 배치되는 탑 프레임(200)과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의 최상부에는 베이스 결합부(170)가 구성되고 상기 탑 프레임(200)의 최 저부에는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 치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기 탑 프레임(200)에 입설 고정되도록 탑 결합부(270)가 구비되어 현장에서 직접 조립이 가능하여 엘리베이터 구동 시설물 설치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며,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가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 바(171)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171)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에는 복수의 결합수용공(172)이 배치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에는 상기 제 1~4 탑 수직재(210~240)의 최하단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171)의 상부면에 대응되도록 탑 플레이트 바(271)가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 바(271)의 중간중간에는 상기 결합수용공(172)에 내입되도록 복수의 결합삽입돌출(272)이 구비되어 지상에서 상기 탑 프레임(200)을 포개는 공정만으로도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상기 결합수용공(172)이 지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수용공경사(172a)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경사(172a)에 치합되도록 결합돌출경사(272a)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삽입돌출(2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측에 흡진지주재(272b)가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되어 내측 방향으로의 지지력이 높아지고 결합시 방향성이 유지되며, 상기 결합수용공(172)이 엘리베이터카가 상하로 이동되는 호이스트웨이 중심을 향한 방향은 결합수용공수직(172b)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의 외측 방향에는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과 상기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에 내입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조립 후 고정 능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출입게이트
120 ... 제 1 수직 지지재
130 ... 제 2 수직 지지재
140 ... 제 3 수직 지지재
150 ... 제 4 수직 지지재
160 ... 수평 지지재
170 ... 베이스 결합부
171 ... 플레이트 바
172 ... 결합수용공
172a ... 결합수용공경사
172b ... 결합수용공수직
172c ... 결합수용공만곡경사
173 ... 확장날개
173a ... 외부날개테두리
173b ... 엠보돌기
173c ... 결합탄성부재
200 ... 탑 프레임
210 ... 제 1 탑 수직재
220 ... 제 1 탑 수직재
230 ... 제 1 탑 수직재
240 ... 제 1 탑 수직재
250 ... 모터 거치용 빔
260 ... 히치 빔
270 ... 탑 결합부
271 ... 탑 플레이트 바
272 ... 결합삽입돌출
272a ... 결합돌출경사
273 ... 결합날개
110 ... 출입게이트
120 ... 제 1 수직 지지재
130 ... 제 2 수직 지지재
140 ... 제 3 수직 지지재
150 ... 제 4 수직 지지재
160 ... 수평 지지재
170 ... 베이스 결합부
171 ... 플레이트 바
172 ... 결합수용공
172a ... 결합수용공경사
172b ... 결합수용공수직
172c ... 결합수용공만곡경사
173 ... 확장날개
173a ... 외부날개테두리
173b ... 엠보돌기
173c ... 결합탄성부재
200 ... 탑 프레임
210 ... 제 1 탑 수직재
220 ... 제 1 탑 수직재
230 ... 제 1 탑 수직재
240 ... 제 1 탑 수직재
250 ... 모터 거치용 빔
260 ... 히치 빔
270 ... 탑 결합부
271 ... 탑 플레이트 바
272 ... 결합삽입돌출
272a ... 결합돌출경사
273 ... 결합날개
Claims (7)
- 건축물의 일측 공간의 지면에서 건물 천정 높이까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출입게이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게이트(110)의 주변에는 엘리베이터카 및 엘리베이터카 구동장치를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제 1 수직 지지재(120),제 2 수직 지지재(130),제 3 수직 지지재(140) 및 제 4 수직 지지재(150)가 사각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 사이에는 복수의 수평 지지재(160)가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균형 추의 이동레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최상부에 안착 결합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에 대응되는 제 1 탑 수직재(210), 제 2 탑 수직재(220), 제 3 탑 수직재(230) 및 제 4 탑 수직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이동레일과 상기 균형 추의 이동레일이 측면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모터 거치용 빔(250)과 히치 빔(260)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탑 프레임(200); 을 포함하되,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의 최상부에는 베이스 결합부(170)가 구성되고 상기 탑 프레임(200)의 최 저부에는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 치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기 탑 프레임(200)에 입설 고정되도록 탑 결합부(27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는,
상기 제 1~4 수직 지지재(120~150)를 서로 연결하는 플레이트 바(171)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171)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에는 복수의 결합수용공(172)이 배치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는,
상기 제 1~4 탑 수직재(210~240)의 최하단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171)의 상부면에 대응되도록 탑 플레이트 바(271)가 배치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 바(271)의 중간중간에는 상기 결합수용공(172)에 내입되도록 복수의 결합삽입돌출(27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용공(172)은,
지면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수용공경사(172a)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경사(172a)에 치합되도록 결합돌출경사(272a)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삽입돌출(2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측에 흡진지주재(272b)가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흡진지주재(272b)는,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에서 외측으로 내부지주재(272c), 내부탄성체(272d) 및 외부지주재(272e)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용공(172)은,
엘리베이터카가 상하로 이동되는 호이스트웨이 중심을 향한 방향은 결합수용공수직(172b)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의 외측 방향에는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삽입돌출(272)은 상기 결합수용공수직(172b)과 상기 결합수용공만곡경사(172c)에 내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확장날개(173)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에는 상기 확장날개(173)를 상부에서 커버하며 상기 확장날개(173)의 외부 테두리인 외부날개테두리(173a)를 감싸도록 단면이 기역자(ㄱ) 형상의 결합날개(273)이 더 구비되되,
상기 확장날개(173)의 상부면과 상기 결합날개(273)의 저면에는 엠보돌기(173b)가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결합부(170)의 상기 확장날개(173)의 상부면 높이는 건축물 옥상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구비되며,
상기 탑 결합부(270)의 상기 결합날개(273)의 저면 높이는 건축물 옥상의 상부면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외부날개테두리(173a)의 하부와 상기 결합날개(273)의 내면이 면접촉하는 곳에는 결합탄성부재(173c)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6804A KR102301562B1 (ko) | 2021-04-30 | 2021-04-30 |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6804A KR102301562B1 (ko) | 2021-04-30 | 2021-04-30 |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1562B1 true KR102301562B1 (ko) | 2021-09-13 |
Family
ID=7779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6804A KR102301562B1 (ko) | 2021-04-30 | 2021-04-30 |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156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4753B1 (ko) * | 2022-07-26 | 2022-09-19 | 기산건철 주식회사 |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5903A (ko) | 1998-10-15 | 2000-05-06 | 이종수 | 지진에 의한 균형추의 가이드 레일 탈선 방지장치 및 방법 |
WO2020245373A1 (en) * | 2019-06-05 | 2020-12-10 | Kone Corporation |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and elevator |
-
2021
- 2021-04-30 KR KR1020210056804A patent/KR1023015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5903A (ko) | 1998-10-15 | 2000-05-06 | 이종수 | 지진에 의한 균형추의 가이드 레일 탈선 방지장치 및 방법 |
WO2020245373A1 (en) * | 2019-06-05 | 2020-12-10 | Kone Corporation |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and elevat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4753B1 (ko) * | 2022-07-26 | 2022-09-19 | 기산건철 주식회사 |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99785C (en) | Elevator car for reduced upper ends of elevator shafts | |
CA2177793C (en) | Attachment lift | |
CN102180394B (zh) | 带钢结构一体化积木式电梯 | |
KR101923924B1 (ko) |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 |
US20080099283A1 (en) | Lift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 |
EP1780162B1 (en) | Lift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 |
KR102301562B1 (ko) |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 |
EP1422185B1 (en) | Cage and elevator | |
KR102480892B1 (ko) |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 |
CN213418443U (zh) | 一种自爬式电梯井道作业平台 | |
JP6586490B2 (ja) |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 |
KR101923925B1 (ko) |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 |
CN209481015U (zh) | 一种微型电梯 | |
KR101826881B1 (ko) | 내진성능을 갖춘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선 방지 구조 | |
CN210655915U (zh) | 爬架与吊塔连通装置 | |
JPH06248820A (ja) | 多層垂直昇降形立体駐車装置 | |
KR102344978B1 (ko) |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 |
KR102443566B1 (ko) | 수직개폐형 도어패널의 추락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시간을 단축시킨 대형 및 초대형 엘리베이터 | |
JP2007204261A (ja) | エレベータピットタラップ用嵩上げ台装置 | |
KR101605311B1 (ko) | 승하강식 안전난간 | |
CN207275944U (zh) | 无机房电梯 | |
JP2852226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KR102629387B1 (ko) | 탑승카 출입문 방향과 기계실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경사형 엘리베이터 | |
CN214330022U (zh) | 一种老旧小区住宅楼改造加装电梯 | |
EP3957590A1 (en) | Elevator shaft element,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