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753B1 -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753B1
KR102444753B1 KR1020220092395A KR20220092395A KR102444753B1 KR 102444753 B1 KR102444753 B1 KR 102444753B1 KR 1020220092395 A KR1020220092395 A KR 1020220092395A KR 20220092395 A KR20220092395 A KR 20220092395A KR 102444753 B1 KR102444753 B1 KR 102444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elevator
post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춘
이성삼
이승호
Original Assignee
기산건철 주식회사
이경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건철 주식회사, 이경춘 filed Critical 기산건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 없이 건축된 건축물에 기존 건축물의 훼손과 변경을 최소화하며 신규 승강기를 안전하게 시공 설치하도록, 절단단계, 피트설치단계, 내입단계, 상부결합단계, 창호마감단계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과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 메인프레임, 상부프레임 및 기초 프레임이 포함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 ELEVATOR FRAM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 없이 건축된 건축물에 기존 건축물의 훼손과 변경을 최소화하며 신규 승강기를 안전하게 시공 설치하도록, 절단단계, 피트설치단계, 내입단계, 상부결합단계, 창호마감단계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과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 메인프레임, 상부프레임 및 기초 프레임이 포함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6층 이상의 거의 모든 건물에 설치되어 있고, 건물의 이용자 및 방문자가 매일 이용하는 공간으로서, 이러한 승강기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기계적 피로 현상과 전기 관련 부품의 특성 변화, 기후 환경에 의한 습기 및 마모 등으로 인해 사고 위험이 증가하게 되므로 최초 설치시 좌우 및 상하 진동에 견디는 구조를 견고하게하고, 정기적으로 안전과 관련하여 승강기 유지보수 및 교체가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상술한 안전상의 유지보수뿐만 아니라 건물의 방문자가 처음 마주하는 건물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인테리어 공간으로 인식되어 승강기의 유지보수 및 교체와 더불어 이러한 승강기 내벽의 미적인 인테리어 부분이 점점 더 강조되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 노령 인구를 수용하는 용양 시설이 6층 이하 건물에 입주되는 경우에는, 기존에 없던 승강기를 별도 설치하는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는 기존 건물 외측에 승강기 프레임을 부착하는 형식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나, 건물 외측을 활용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에는 승강기를 설치할 수 없어 건물 소유자나 사용자 입장에서 승강기 설치에 대한 기술적인 대안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서는 승강기 설치에 대한 요구 외에도, 승강기 내벽과 외벽의 미적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이렇게 승강기가 미 설치된 건물에 승강기를 추가 설치하는 것은 종래에 승강기 내벽의 패널 위에 단순히 금속 또는 나무 강판을 덧대는 방식으로 승강기를 설치하는 방식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가의 비용이 수반되는 재건축 또는 건축물 리모델링없이 건물의 훼손과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노인 요양 시설, 병원 등을 유치하기 위한 승강기 추가 설치 공법과 이러한 공법에 적합한 승강기 프레임 모듈 개발이 절실한 실정인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77390호 (2019.05.03. 등록), 발명의 명칭 : 승강기 내부 구조물의 리모델링 구조 및 리모델링 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기 없이 건축된 건축물에 기존 건축물의 훼손과 변경을 최소화하며 신규 승강기를 안전하게 시공 설치하도록, 절단단계, 피트설치단계, 내입단계, 상부결합단계, 창호마감단계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과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 메인프레임, 상부프레임 및 기초 프레임이 포함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바닥에 사각 형상으로 제 1 좌우길이(X1)와 제 1 전후길이(Y1)로 구비되는 판상의 기초 슬라브(110)와 4 모서리에 배치되는 기초 기둥재(120)로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100)과 상기 기초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기초 프레임(100)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좌우길이(X1) 및 상기 제 1 전후길이(Y1) 보다 각각 작은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4 모서리에 하부 기둥재(210)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지면과 나란하게 하부 수평재(220)로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200)이 절개된 건축물에 내입 고정되어 승강기 설치를 위한 건물 측 작업과 승강기 구조물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200)에 고정되되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는 메인 기둥재(310)와 상기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메인 수평재(320)로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300)과 상기 메인 기둥재(310)에 고정되는 상부 기둥재(410)와 상기 상부 기둥재(4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수평재(420)로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400)으로 건물에 별도 공정으로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S)에 간단하게 내입 후, 고정할 수 있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일체로 고정되어 건물의 옥상과 각층 및 바닥면의 절개면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는 수용 공간(S)에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내입되어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상기 하부 기둥재(210)가 고정되도록, 상기 기초 기둥재(120)의 상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며 점차 오목해지도록 기초 가이더 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재(210)의 하단은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에 치합되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점차 돌출되는 하부 가이더 돌출(211)로 내입된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의 배치가 간단하고 정교하게 이루어지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부 마감재(430)가 결합 고정되며, 상기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 모서리 위치에는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마감재(430)의 모서리 위치에 상기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에 대응되는 상부 결합 가이드 홈(431)이 구비되어 내입 작업의 편리함과 시공 안전성을 높이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1 가로바(230)가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로바(2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1 가로바(2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2 가로바(330)가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로바(3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2 가로바(3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 외부 패널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하고 패널을 포함한 일체의 승강기 프레임이 내입되어, 내 외부 패널 작업이 최소화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패널 지지바(510)는 디귿자(ㄷ) 형상의 가로바 수용 공간(511)을 통해 상기 제 1,2 가로바(230,330)가 내입 고정되도록 상하 양단 위치에 가로바 고정 돌출(51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 수용 공간(511)의 외향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디귿자(ㄷ) 형상의 패널 수용 공간(513)이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 지지하도록 상하 위치에 패널 지지부(514)와 상기 패널 지지부(514)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된 제 1,2 패널 고정 날개부(515,516)가 구비되어 금속 내외장 패널 설치가 간편하고 고정력이 유지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차 진행하며 중심 위치의 깊이가 테두리 위치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단면이 가이더 경사(121a)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은 상기 가이더 경사(121a)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의 표면에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마찰돌기(121b)와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복수의 이루는 제 2 마찰돌기(211b)가 구비되어 결합 고정력이 증대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초 프레임(100)은 프리 캐스트된 복수의 슬라브 모듈(111)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기초 슬라브(110)를 형성하도록, 상기 슬라브 모듈(111)의 측면에는 슬라브 결합돌출(111a)와 슬라브 결합홈(111b)가 서로 교차 형성되되, 상기 슬라브 결합돌출(111a)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며 확장되는 돌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결합홈(111b)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향하며 협소해지는 결합홈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결합 작업이 용이한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기 미 설치 건물의 옥상, 층별 슬라브 및 바닥에 하나의 모듈로 결합 고정된 상기 기초 프레임(100), 상기 하부 프레임(200), 상기 메인 프레임(300)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절단 단계(S100)와 상기 수용 공간(S)의 바닥에 상기 기초 프레임(100)을 설치하는 피트 설치 단계(S200)와 일체로 고정된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을 옥상 방향에서 지면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S)에 내입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상기 하부 기둥재(210)를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안착하고 고정하는 내입 단계(S300)와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인 커버재(340)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상부 마감재(430)를 안착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합단계(S400)로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후 구조가 안정적인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는 먼저, 건물 바닥에 사각 형상으로 제 1 좌우길이(X1)와 제 1 전후길이(Y1)로 구비되는 판상의 기초 슬라브(110)와 4 모서리에 배치되는 기초 기둥재(120)로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기초 프레임(100)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좌우길이(X1) 및 상기 제 1 전후길이(Y1) 보다 각각 작은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4 모서리에 하부 기둥재(210)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지면과 나란하게 하부 수평재(220)로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200)에 고정되되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는 메인 기둥재(310)와 상기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메인 수평재(320)로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메인 기둥재(310)에 고정되는 상부 기둥재(410)와 상기 상부 기둥재(4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수평재(420)로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일체로 고정되어 건물의 옥상과 각층 및 바닥면의 절개면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는 수용 공간(S)에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내입되어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상기 하부 기둥재(210)가 고정되도록 상기 기초 기둥재(120)의 상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며 점차 오목해지도록 기초 가이더 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재(210)의 하단은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에 치합되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점차 돌출되는 하부 가이더 돌출(211)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부 마감재(430)가 결합 고정되며, 상기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 모서리 위치에는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마감재(430)의 모서리 위치에 상기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에 대응되는 상부 결합 가이드 홈(43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1 가로바(230)가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로바(2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1 가로바(2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2 가로바(330)가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로바(3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2 가로바(3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 지지바(510)는 디귿자(ㄷ) 형상의 가로바 수용 공간(511)을 통해 상기 제 1,2 가로바(230,330)가 내입 고정되도록 상하 양단 위치에 가로바 고정 돌출(51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 수용 공간(511)의 외향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디귿자(ㄷ) 형상의 패널 수용 공간(513)이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 지지하도록 상하 위치에 패널 지지부(514)와 상기 패널 지지부(514)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된 제 1,2 패널 고정 날개부(515,5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차 진행하며 중심 위치의 깊이가 테두리 위치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단면이 가이더 경사(121a)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은 상기 가이더 경사(121a)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의 표면에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마찰돌기(121b)와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복수의 이루는 제 2 마찰돌기(211b)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기초 프레임(100)은 프리 캐스트된 복수의 슬라브 모듈(111)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기초 슬라브(110)를 형성하도록, 상기 슬라브 모듈(111)의 측면에는 슬라브 결합돌출(111a)와 슬라브 결합홈(111b)가 서로 교차 형성되되, 상기 슬라브 결합돌출(111a)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며 확장되는 돌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결합홈(111b)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향하며 협소해지는 결합홈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은, 승강기 미 설치 건물의 옥상, 층별 슬라브 및 바닥에 하나의 모듈로 결합 고정된 상기 기초 프레임(100), 상기 하부 프레임(200), 상기 메인 프레임(300)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절단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수용 공간(S)의 바닥에 상기 기초 프레임(100)을 설치하는 피트 설치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체로 고정된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을 옥상 방향에서 지면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S)에 내입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상기 하부 기둥재(210)를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안착하고 고정하는 내입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인 커버재(340)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상부 마감재(430)를 안착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합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승강기 미설치 건물을 절단하여 내입 설치할 수 있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여,
첫째, 승강기 없이 건축된 건축물에 기존 건축물의 훼손과 변경을 최소화하며 신규 승강기를 안전하게 시공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건물 바닥에 사각 형상으로 제 1 좌우길이(X1)와 제 1 전후길이(Y1)로 구비되는 판상의 기초 슬라브(110)와 4 모서리에 배치되는 기초 기둥재(120)로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100)과 상기 기초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기초 프레임(100)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좌우길이(X1) 및 상기 제 1 전후길이(Y1) 보다 각각 작은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4 모서리에 하부 기둥재(210)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지면과 나란하게 하부 수평재(220)로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200)이 절개된 건축물에 내입 고정되어 승강기 설치를 위한 건물 측 작업과 승강기 구조물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200)에 고정되되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는 메인 기둥재(310)와 상기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메인 수평재(320)로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300)과 상기 메인 기둥재(310)에 고정되는 상부 기둥재(410)와 상기 상부 기둥재(4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수평재(420)로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400)으로 건물에 별도 공정으로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S)에 간단하게 내입 후, 고정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일체로 고정되어 건물의 옥상과 각층 및 바닥면의 절개면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는 수용 공간(S)에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내입되어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상기 하부 기둥재(210)가 고정되도록, 상기 기초 기둥재(120)의 상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며 점차 오목해지도록 기초 가이더 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재(210)의 하단은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에 치합되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점차 돌출되는 하부 가이더 돌출(211)로 내입된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의 배치가 간단하고 정교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부 마감재(430)가 결합 고정되며, 상기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 모서리 위치에는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마감재(430)의 모서리 위치에 상기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에 대응되는 상부 결합 가이드 홈(431)이 구비되어 내입 작업의 편리함과 시공 안전성이 높다.
여섯째,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1 가로바(230)가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로바(2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1 가로바(2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2 가로바(330)가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로바(3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2 가로바(3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 외부 패널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하고 패널을 포함한 일체의 승강기 프레임이 내입되어, 내 외부 패널 작업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패널 지지바(510)는 디귿자(ㄷ) 형상의 가로바 수용 공간(511)을 통해 상기 제 1,2 가로바(230,330)가 내입 고정되도록 상하 양단 위치에 가로바 고정 돌출(51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 수용 공간(511)의 외향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디귿자(ㄷ) 형상의 패널 수용 공간(513)이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 지지하도록 상하 위치에 패널 지지부(514)와 상기 패널 지지부(514)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된 제 1,2 패널 고정 날개부(515,516)가 구비되어 금속 내외장 패널 설치가 간편하고 고정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차 진행하며 중심 위치의 깊이가 테두리 위치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단면이 가이더 경사(121a)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은 상기 가이더 경사(121a)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의 표면에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마찰돌기(121b)와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복수의 이루는 제 2 마찰돌기(211b)가 구비되어 결합 고정력이 증대된다.
아홉째, 승강기 미 설치 건물의 옥상, 층별 슬라브 및 바닥에 하나의 모듈로 결합 고정된 상기 기초 프레임(100), 상기 하부 프레임(200), 상기 메인 프레임(300)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절단 단계(S100)와 상기 수용 공간(S)의 바닥에 상기 기초 프레임(100)을 설치하는 피트 설치 단계(S200)와 일체로 고정된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을 옥상 방향에서 지면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S)에 내입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상기 하부 기둥재(210)를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안착하고 고정하는 내입 단계(S300)와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인 커버재(340)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상부 마감재(430)를 안착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합단계(S400)로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후 구조가 안정적인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슬라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8 내지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기초 기둥재 및 하부 기둥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2 및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출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4 내지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패널 지지바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7 내지 2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시공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시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슬라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8 내지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기초 기둥재 및 하부 기둥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2 및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출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4 내지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패널 지지바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7 내지 2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시공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2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의 시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는 승강기가 미 설치된 건물에 승강기를 간편하게 설치하도록 먼저, 건물 바닥에 사각 형상으로 제 1 좌우길이(X1)와 제 1 전후길이(Y1)로 구비되는 판상의 기초 슬라브(110)와 4 모서리에 배치되는 기초 기둥재(120)로 기초 프레임(100)이 구비되며, 상기 기초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기초 프레임(100)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좌우길이(X1) 및 상기 제 1 전후길이(Y1) 보다 각각 작은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4 모서리에 하부 기둥재(210)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지면과 나란하게 하부 수평재(220)로 하부 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즉, 내부에 승강기 레인을 형성하고 승강기를 지지 구동하기 위한 승강기 프레임이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을 이루어 승강기 프레임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입되도록 하는 것이며, 승강기 피트를 이루는 하부 구조는 제 1 좌우길이(X1) 및 제 1 전후길이(Y1)로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200)에 고정되되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는 메인 기둥재(310)와 상기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메인 수평재(320)로 메인 프레임(300)이 구성되며, 상기 메인 기둥재(310)에 고정되는 상부 기둥재(410)와 상기 상부 기둥재(4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수평재(420)로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40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건물 층 높이와 유사한 높이를 이루며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일체로 고정되어 건물의 옥상과 각층 및 바닥면의 절개면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는 수용 공간(S)에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내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상기 하부 기둥재(210)가 고정되도록 상기 기초 기둥재(120)의 상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며 점차 오목해지도록 기초 가이더 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재(210)의 하단은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에 치합되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점차 돌출되는 하부 가이더 돌출(211)로 구비되어 기중기 등으로 고중량의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이 내입되는 경우에 중심을 유지하며, 정확한 경합 고정 위치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부 마감재(430)가 결합 고정되며, 상기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 모서리 위치에는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마감재(430)의 모서리 위치에 상기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에 대응되는 상부 결합 가이드 홈(431)이 구비되어 결합이 편리하고, 정확한 위치 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1 가로바(230)가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로바(2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1 가로바(2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호 패널(500)은 사전에 공기 밀폐로 구성되어 승강기 내부 공기 오염을 방지하고, 승강기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로 승강기 내부 공기 상태를 소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2 가로바(330)가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로바(3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2 가로바(3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널 지지바(510)는 디귿자(ㄷ) 형상의 가로바 수용 공간(511)을 통해 상기 제 1,2 가로바(230,330)가 내입 고정되도록 상하 양단 위치에 가로바 고정 돌출(51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 수용 공간(511)의 외향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디귿자(ㄷ) 형상의 패널 수용 공간(513)이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 지지하도록 상하 위치에 패널 지지부(514)와 상기 패널 지지부(514)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된 제 1,2 패널 고정 날개부(515,5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차 진행하며 중심 위치의 깊이가 테두리 위치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단면이 가이더 경사(121a)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은 상기 가이더 경사(121a)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의 표면에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마찰돌기(121b)와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복수의 이루는 제 2 마찰돌기(211b)가 구비되어 결합 위치 선정을 용이하게하고 결합 후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초 프레임(100)은 프리 캐스트된 복수의 슬라브 모듈(111)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기초 슬라브(110)를 형성하도록, 상기 슬라브 모듈(111)의 측면에는 슬라브 결합돌출(111a)와 슬라브 결합홈(111b)가 서로 교차 형성되되, 상기 슬라브 결합돌출(111a)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며 확장되는 돌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결합홈(111b)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향하며 협소해지는 결합홈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승강기 피트 작업시 콘크리트 양생 시간을 단축하여 1 일만에 승강기 설치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된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은 먼저, 승강기 미 설치 건물의 옥상, 층별 슬라브 및 바닥에 하나의 모듈로 결합 고정된 상기 기초 프레임(100), 상기 하부 프레임(200), 상기 메인 프레임(300)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절단 단계(S100)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S)의 바닥에 상기 기초 프레임(100)을 설치하는 피트 설치 단계(S200)가 구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모듈 슬라브를 이용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일체로 고정된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을 옥상 방향에서 지면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S)에 내입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상기 하부 기둥재(210)를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안착하고 고정하는 내입 단계(S300)와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인 커버재(340)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상부 마감재(430)를 안착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합단계(S400)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단계(S400)에서는 외부로 돌출되는 측면부와 지붕부를 금속창호와 태양광 패널로 마감 처리하여 인테리어적인 요소와 에너지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하면, 승강기 없이 건축된 건축물에 기존 건축물의 훼손과 변경을 최소화하며 신규 승강기를 안전하게 시공 설치하며, 건물 바닥에 사각 형상으로 제 1 좌우길이(X1)와 제 1 전후길이(Y1)로 구비되는 판상의 기초 슬라브(110)와 4 모서리에 배치되는 기초 기둥재(120)로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100)과 상기 기초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기초 프레임(100)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좌우길이(X1) 및 상기 제 1 전후길이(Y1) 보다 각각 작은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4 모서리에 하부 기둥재(210)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지면과 나란하게 하부 수평재(220)로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200)이 절개된 건축물에 내입 고정되어 승강기 설치를 위한 건물 측 작업과 승강기 구조물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200)에 고정되되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는 메인 기둥재(310)와 상기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메인 수평재(320)로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300)과 상기 메인 기둥재(310)에 고정되는 상부 기둥재(410)와 상기 상부 기둥재(4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수평재(420)로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400)으로 건물에 별도 공정으로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S)에 간단하게 내입 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일체로 고정되어 건물의 옥상과 각층 및 바닥면의 절개면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는 수용 공간(S)에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내입되어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상기 하부 기둥재(210)가 고정되도록, 상기 기초 기둥재(120)의 상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며 점차 오목해지도록 기초 가이더 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재(210)의 하단은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에 치합되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점차 돌출되는 하부 가이더 돌출(211)로 내입된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의 배치가 간단하고 정교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부 마감재(430)가 결합 고정되며, 상기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 모서리 위치에는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마감재(430)의 모서리 위치에 상기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에 대응되는 상부 결합 가이드 홈(431)이 구비되어 내입 작업의 편리함과 시공 안전성이 높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1 가로바(230)가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로바(2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1 가로바(2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2 가로바(330)가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로바(3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2 가로바(3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 외부 패널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하고 패널을 포함한 일체의 승강기 프레임이 내입되어, 내 외부 패널 작업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패널 지지바(510)는 디귿자(ㄷ) 형상의 가로바 수용 공간(511)을 통해 상기 제 1,2 가로바(230,330)가 내입 고정되도록 상하 양단 위치에 가로바 고정 돌출(51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 수용 공간(511)의 외향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디귿자(ㄷ) 형상의 패널 수용 공간(513)이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 지지하도록 상하 위치에 패널 지지부(514)와 상기 패널 지지부(514)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된 제 1,2 패널 고정 날개부(515,516)가 구비되어 금속 내외장 패널 설치가 간편하고 고정력이 유지되며,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차 진행하며 중심 위치의 깊이가 테두리 위치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단면이 가이더 경사(121a)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은 상기 가이더 경사(121a)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의 표면에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마찰돌기(121b)와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복수의 이루는 제 2 마찰돌기(211b)가 구비되어 결합 고정력이 증대되며, 승강기 미 설치 건물의 옥상, 층별 슬라브 및 바닥에 하나의 모듈로 결합 고정된 상기 기초 프레임(100), 상기 하부 프레임(200), 상기 메인 프레임(300)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절단 단계(S100)와 상기 수용 공간(S)의 바닥에 상기 기초 프레임(100)을 설치하는 피트 설치 단계(S200)와 일체로 고정된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을 옥상 방향에서 지면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S)에 내입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상기 하부 기둥재(210)를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안착하고 고정하는 내입 단계(S300)와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인 커버재(340)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상부 마감재(430)를 안착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합단계(S400)로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후 구조가 안정적인 보장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100 ... 기초 프레임
110 ... 기초 슬라브
111 ... 슬라브 모듈
111a ... 슬라브 결합돌출
111b ... 슬라브 결합홈
120 ... 기초 기둥재
121 ... 기초 가이더 홈
121a ... 가이더 경사
121b ... 제 1 마찰돌기
200 ... 하부 프레임
210 ... 하부 기둥재
211 ... 하부 가이더 돌출
211b ... 제 2 마찰돌기
220 ... 하부 수평재
230 ... 제 1 가로바
300 ... 메인 프레임
310 ... 메인 기둥재
320 ... 메인 수평재
330 ... 제 2 가로바
340 ... 메인 커버재
341 ...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
400 ... 상부 프레임
410 ... 상부 수평재
420 ... 상부 기둥재
430 ... 상부 마감재
431 ... 상부 결합 가이드 홈
500 ... 보호 패널
510 ... 패널 지지바
511 ... 가로바 수용 공간
512 ... 고정 돌출
513 ... 패널 수용 공간
514 ... 패널 지지부
515 ... 제 1 패널 고정 날개부
516 ... 제 2 패널 고정 날개부
S ... 수용 공간
S100 ... 절단 단계
S200 ... 피트 설치 단계
S300 ... 내입 단계
S400 ... 상부 결합단계
S500 ... 창호 마감 단계

Claims (6)

  1. 건물 바닥에 사각 형상으로 제 1 좌우길이(X1)와 제 1 전후길이(Y1)로 구비되는 판상의 기초 슬라브(110)와 4 모서리에 배치되는 기초 기둥재(120)로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100);
    상기 기초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기초 프레임(100)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좌우길이(X1) 및 상기 제 1 전후길이(Y1) 보다 각각 작은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4 모서리에 하부 기둥재(210)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지면과 나란하게 하부 수평재(220)로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200);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직상 위치에서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200)에 고정되되 제 2 좌우길이(X2) 및 제 2 전후길이(Y2)를 이루도록, 상기 하부 기둥재(210)에 결합되는 메인 기둥재(310)와 상기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메인 수평재(320)로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300); 및
    상기 메인 기둥재(310)에 고정되는 상부 기둥재(410)와 상기 상부 기둥재(4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수평재(420)로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40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일체로 고정되어 건물의 옥상과 각층 및 바닥면의 절개면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는 수용 공간(S)에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내입되어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상기 하부 기둥재(210)가 고정되도록,
    상기 기초 기둥재(120)의 상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며 점차 오목해지도록 기초 가이더 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재(210)의 하단은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에 치합되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점차 돌출되는 하부 가이더 돌출(211)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부 마감재(430)가 결합 고정되며, 상기 메인 커버재(340)의 상부 모서리 위치에는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마감재(430)의 모서리 위치에 상기 메인 결합 가이드 돌출(341)에 대응되는 상부 결합 가이드 홈(431)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1 가로바(230)가 상기 하부 기둥재(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로바(2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1 가로바(2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지면과 나란하게 복수의 제 2 가로바(330)가 메인 기둥재(3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로바(330)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하도록 패널 지지바(510)가 상기 제 2 가로바(330) 사이에 상기 보호 패널(500)의 폭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바(510)는,
    디귿자(ㄷ) 형상의 가로바 수용 공간(511)을 통해 상기 제 1,2 가로바(230,330)가 내입 고정되도록 상하 양단 위치에 가로바 고정 돌출(512)이 서로 마주 보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 수용 공간(511)의 외향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디귿자(ㄷ) 형상의 패널 수용 공간(513)이 상기 보호 패널(500)을 고정 지지하도록 상하 위치에 패널 지지부(514)와 상기 패널 지지부(514)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된 제 1,2 패널 고정 날개부(515,5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차 진행하며 중심 위치의 깊이가 테두리 위치의 깊이 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단면이 가이더 경사(121a)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은 상기 가이더 경사(121a)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초 가이더 홈(121)의 표면에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제 1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마찰돌기(121b)와 상기 하부 가이더 돌출(211)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복수의 이루는 제 2 마찰돌기(211b)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프레임(100)은,
    프리 캐스트된 복수의 슬라브 모듈(111)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기초 슬라브(110)를 형성하도록,
    상기 슬라브 모듈(111)의 측면에는 슬라브 결합돌출(111a)와 슬라브 결합홈(111b)가 서로 교차 형성되되, 상기 슬라브 결합돌출(111a)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며 확장되는 돌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결합홈(111b)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향하며 협소해지는 결합홈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6. 제 1,3,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하여,
    승강기 미 설치 건물의 옥상, 층별 슬라브 및 바닥에 하나의 모듈로 결합 고정된 상기 기초 프레임(100), 상기 하부 프레임(200), 상기 메인 프레임(300)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절단 단계(S100);
    상기 수용 공간(S)의 바닥에 상기 기초 프레임(100)을 설치하는 피트 설치 단계(S200);
    일체로 고정된 상기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0)을 옥상 방향에서 지면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S)에 내입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상기 하부 기둥재(210)를 상기 기초 기둥재(120)에 안착하고 고정하는 내입 단계(S300); 및
    상기 메인 프레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인 커버재(340)에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상부 마감재(430)를 안착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합단계(S400);를 포함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KR1020220092395A 2022-07-26 2022-07-26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KR102444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395A KR102444753B1 (ko) 2022-07-26 2022-07-26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395A KR102444753B1 (ko) 2022-07-26 2022-07-26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753B1 true KR102444753B1 (ko) 2022-09-19

Family

ID=8346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395A KR102444753B1 (ko) 2022-07-26 2022-07-26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7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390B1 (ko) 2018-10-15 2019-05-10 주식회사 인테리어이엘공간 엘리베이터 내부 구조물의 리모델링 구조 및 리모델링 방법
KR102301562B1 (ko) * 2021-04-30 2021-09-13 성지환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390B1 (ko) 2018-10-15 2019-05-10 주식회사 인테리어이엘공간 엘리베이터 내부 구조물의 리모델링 구조 및 리모델링 방법
KR102301562B1 (ko) * 2021-04-30 2021-09-13 성지환 현장 조립식 엘리베이터 결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7613A1 (en) Slab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story buildings using pre-manufactured structures
US2053873A (en) Building structure
KR100995646B1 (ko)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
EP0415910B1 (en) Method for arranging lines in a floor level to be divided up into smaller rooms and elements suitable for this method
US3736709A (en) Building system
US3566558A (en) Apartment buildings and the like
JP4295903B2 (ja) 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手摺構造
KR102444753B1 (ko) 승강기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 내입형 승강기 프레임 시공 방법
RU2467134C2 (ru) Система панель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KR20130083100A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JP5637357B2 (ja) 既存鉄筋コンクリート集合住宅の耐震補強構造
CA2264415A1 (en) Multispace 2000 h.ch.g.
KR20210033787A (ko) 기둥 지지식 pc 계단실
JP5722083B2 (ja) 住宅
EP3404155A1 (en) A balcony or an attached terrace
JP2537257B2 (ja) プレファブ式トイレの組立方法
JPH0212943Y2 (ko)
JPH0752246Y2 (ja) プレファブルームの側壁構造
JPH0635724B2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2683878B2 (ja) プレキャスト階段構造
US3121976A (en) Building construction
JPH0640760Y2 (ja) 壁パネル
JPH01226958A (ja) 壁パネルの水平出し方法
JPH11324352A (ja) 共同住宅
WO2024057004A1 (en) Modular build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