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451B1 -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451B1
KR102301451B1 KR1020170059068A KR20170059068A KR102301451B1 KR 102301451 B1 KR102301451 B1 KR 102301451B1 KR 1020170059068 A KR1020170059068 A KR 1020170059068A KR 20170059068 A KR20170059068 A KR 20170059068A KR 102301451 B1 KR102301451 B1 KR 102301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motor
event
moto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057A (ko
Inventor
아키히로 이이노
마사오 가스가
준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과제) 소비 전력이 과대해지지 않고, 다양한 상황에 따른 다양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는, 각각의 무게가 상이한 편심추를 갖는 2 개의 진동 모터를 구비하고, 큰 진동에 의한 알림이 필요 혹은 효과적이라고 여겨지는 제 1 이벤트를 알리는 경우에는, 무거운 편의 편심추를 갖는 제 1 진동 모터를 구동한다. 한편, 즉응성이나 응답 성능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제 2 이벤트를 알리는 경우에는, 가벼운 편의 편심추를 갖는 제 2 진동 모터를 구동한다. 제 1 이벤트에는, 착신, 알람 시각의 도래, 게임에서의 큰 또는 중요한 액션이나 움직임 등이 포함된다. 제 2 이벤트에는, 전자 기기의 화면을 접촉이나 압압하여 실시하는 입력 동작의 확인, 게임 중에서 발생하는 작은 액션·움직임 등이 포함된다. 또, 각 진동 모터와 각 이벤트의 대응은 선택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VIBRATION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련되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휴대 전화, 자동차 내 등에 있어서의 스위치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 등의 정보 전자 기기에 있어서 진동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 태블릿, 자동차 내 등에 있어서의 스위치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과 같은 정보 전자 기기에 있어서, 진동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부여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어, 전화나 메일의 착신을 진동으로 알리거나, 설정한 시각의 도래를 진동으로 알리거나 하는 것 외에, 정보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된 각종 버튼에 사용자가 접촉했을 때에, 그 동작 확인으로서 진동이 이용되고 있다.
또, 게임기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게임을 한창 이용할 때에 발생하는 액션이나 이벤트 사항에 연동하는 다양한 촉각을 당해 게임기의 사용자에게 부여하기 위해서, 당해 액션이나 이벤트에 연동한 다양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술로서, 회전형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추가 고정된 진동 모터를 사용하는 기술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자석에 고정된 추를 코일의 자력에 의해 왕복 운동 (진동) 시키는 리니어형 진동 모터를 사용하는 기술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71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12013호
진동 모터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상황을 알리기 위한 진동 중, 예를 들어, 진동원인 전자 기기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지 않은 상황하에서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 은,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아차리게 하기 위해서 비교적 큰 진동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큰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진동 모터에 큰 편심추를 배치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편심추를 크게 하면 그만큼 진동 모터의 응답 성능은 저하된다.
한편, 진동원인 전자 기기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상태하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입력 동작이나 게임 중의 촉각을 알리기 위한 「동작 확인을 위한 진동」 은, 사용자와 전자 기기가 접촉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전술한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 정도의 큰 진동일 필요가 없는 경우가 많다.
만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큰 편심추를 구비하는 진동 모터에 의해 「동작 확인을 위한 진동」 을 발생시키고자 하면, 입력 동작의 일례인 디스플레이를 만진 손가락의 순식간의 움직임에 즉각 응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응답성이 불충분하거나, 혹은 게임 중의 다양한 미세한 촉감을 순식간에 진동으로 전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큰 편심추를 구비하는 진동 모터의 응답성을 높이고자 하면, 방대한 소비 전력이 필요해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이 과대해지지 않고, 다양한 상황에 따른 다양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1 추를 구비하고, 당해 제 1 추를 회전 혹은 왕복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는 제 1 진동 모터와, 제 2 추를 구비하고, 당해 제 2 추를 회전 혹은 왕복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제 1 진동 모터보다 시정수 (時定數) 가 작은 제 2 진동 모터와, 제 1 이벤트에 대응시켜 상기 제 1 진동 모터를 구동하고, 당해 제 1 이벤트와는 상이한 제 2 이벤트에 대응시켜 상기 제 2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진동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2)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추는 상기 제 1 추보다 중량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3)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진동 모터는 회전형 모터이고, 상기 제 2 진동 모터는 리니어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4)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진동 모터와, 상기 제 2 진동 모터는, 상기 제 1 진동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방향과, 상기 제 2 진동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방향이, 비평행 상태가 되도록 배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5)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진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진동 모터를 상기 제 2 진동 모터에 우선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모터의 구동 중에는 상기 제 2 진동 모터를 구동하지 않는 제 1 제어, 또는, 상기 제 1 진동 모터의 구동 중에 상기 제 2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제 2 제어 중 어느 하나의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6)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진동 발생 장치와, 자단말 (自端末) 에 대한 착신을 검지하는 착신 검지 수단, 또는, 접수한 설정 시각의 도래를 검지하는 설정 시각 도래 검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이나 압압 (押壓) 에 의해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제 1 이벤트는, 상기 착신 검지 수단이 검지한 자단말에 대한 착신, 또는, 상기 설정 시각 도래 검지 수단이 검지한 설정 시각의 도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이벤트는, 상기 입력 접수 수단이 접수한 접촉이나 압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7)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진동 모터와 상기 제 2 진동 모터에 각각 대응시키는 상기 제 1 이벤트 및 상기 제 2 이벤트의, 설정이나 변경을 접수하는 대응 이벤트 설정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에 기재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8)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 접수 수단은 터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 에 기재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 상이한 복수의 진동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따른 적절한 진동을, 소비 전력이 과대해지는 일 없이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전자 기기 (스마트 폰) 의 외관 구성 개략도이다.
도 2 는, 전자 기기 (스마트 폰) 의 구성도이다.
도 3 은, 진동 모터의 외관 구성 개략도이다.
도 4 는, 진동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진동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련된 진동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련된 진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련된 진동 상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진동 발생 장치에 관련된 진동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 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련된 진동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 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련된 진동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기기는, 각각의 무게가 상이한 편심추를 갖는 2 개의 진동 모터를 구비하고, 큰 진동에 의한 알림이 필요 혹은 효과적이라고 여겨지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 및/또는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리는 경우에는, 무거운 편의 편심추를 갖는 제 1 진동 모터를 구동한다.
한편, 즉응성 (卽應性) 이나 응답 성능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 및/또는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리는 경우에는, 가벼운 편의 편심추를 갖는 제 2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무거운 편의 편심추를 이용하여 알리는 이벤트를 제 1 이벤트로 한다.
이 제 1 이벤트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상황이 포함된다.
(i) 착신
(ii) 알람이 설정된 시각의 도래
(iii) 게임 중에서 발생하는 큰 또는 중요한 액션·움직임
또, 가벼운 편의 편심추를 이용하여 알리는 이벤트를 제 2 이벤트로 한다.
이 제 2 이벤트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상황이 포함된다.
(iv) 전자 기기의 화면을 접촉이나 압압하여 실시하는 입력 동작의 확인
(v) 게임 중에서 발생하는 작은 액션·움직임
또, 제 1 진동 모터와 제 2 진동 모터는, 어느 쪽의 진동 모터를 어떤 이벤트에 대응시킬지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큰 진동」, 및, 「기동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면서 높은 응답 성능을 갖는 작은 진동」 이라는 종류가 상이한 진동을, 다양한 상황에 따라 발생시킬 수 있다.
(2) 실시형태의 상세
도 1 은, 본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스마트 폰 (1) 의 외관 구성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도 1(a) 에 나타낸 스마트 폰 (1)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케이싱 (2) 은, 스마트 폰 (1) 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싱이며, 도시하지 않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스코프, 배터리, 각종 전자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또, 케이싱 (2) 의 어느 측면 등에는, 도시하지 않는 전원 스위치가 배치 형성된다. 전원 스위치는, 전원으로부터 스마트 폰 (1) 의 각 부에 대한 모든 전원 공급을 절단하는 스위치이며, 전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원 온 상태와 전원 오프 상태가 전환된다.
터치 패널 (8) 은, 사용자가 전용 봉상 (棒狀) 부재나 자신의 손가락 끝을 이용하여 실시한 접촉 혹은 압압을 검지하거나, 접촉이나 압압에 의해 실시된 입력 작업을 접수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사용자」 에 관해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폰 (1) 을 조작하는 사용자를 가리키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도 1(b) 에 나타낸 휴대 전화 (1a) 나, 도 1(c) 에 나타낸 게임 기기 (1b), 혹은, 도시하지 않지만, 체온계나 시계, 태블릿 단말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터치 패널 (8) 은 그 외에도 다양한 입력 버튼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휴대 전화 (1a) 이면, 숫자 키 (8a) 가 외부로부터의 접촉에 의한 입력 작업을 접수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혹은, 게임 기기 (1b) 이면, 컨트롤러의 조작 버튼 (8b) 이 외부로부터의 접촉에 의한 입력 작업을 접수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 기울기를 검지하는 경사 센서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게임 중에 있어서의 게임 기기 (1b) 의 경사 변화를 검지하여, 현장감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스마트 폰 (1) 의 구성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마트 폰 (1) 은, CPU (Central Processing Unit) (10), RAM (Random Access Memory) (20), ROM (Read Only Memory) (30), 기억부 (40), 통신 제어부 (50), 알람 (60), 제 1 진동 모터 (71), 제 2 진동 모터 (72), 그리고 입출력부 (80) 등에 의해 구성되고, 버스 (90) 로 각각 접속된다.
CPU (10) 는, 스마트 폰 (1) 의 중앙 처리 장치이며, ROM (30) 이나 기억부 (40) 에 보존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RAM (20) 상에서 다양한 수치 계산이나 정보 처리, 기기 제어 등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부 (40) 내의 진동 제어 프로그램 (41) 에 의해 제 1 진동 모터 (71) 및 제 2 진동 모터 (72) 의 제어에 관련된 각종 연산을 실시한다.
또, CPU (10) 는, 후술하는 통신 제어부 (50) 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타단말로부터의 착신을 검지하는 착신 검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CPU (10) 는, 후술하는 시계 (61) 로부터 취득하는 일시 (日時)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등으로부터 접수한 알람 시각의 도래를 검지하는 설정 시각 도래 검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혹은, 스마트 폰 (1) 에, 기록이나 취소 등의 등록이 가능한 캘린더 기능을 갖게 하면, 캘린더 기능과 제휴한 설정 시각 도래의 검지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CPU (10) 를, 등록된 정보와 시계 (61) 로부터 취득하는 일시 정보를 바탕으로, 등록한 날이나 이벤트가 도래한 것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도래한 시기의 검지에 한정되지 않고, 도래 1 일 전, 수 일 전, 1 주일 전과 같은, 앞으로 도래할 것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기억부 (40) 는, 스마트 폰 (1) 의 CPU (10) 에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CPU (10) 의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부 (40) 에는, 진동 제어 프로그램 (41), 소리 제어 프로그램 (42), 그리고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등이 보존된다.
진동 제어 프로그램 (41) 은, 제 1 진동 모터 (71) 나 제 2 진동 모터 (72) 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이다. 또한, 이 진동 제어 프로그램 (41) 에 따른 동작은 후술한다.
소리 제어 프로그램 (42) 은, 예를 들어 착신의 시기나 알람 시각이 도래한 시기 등에, 알림을 위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이다.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는, 진동에 의한 알림의 온·오프 설정이나, 후술하는 진동 패턴에 관련된 설정, 또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알람 시각 등의 정보를 기억·보존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통신 제어부 (50) 는, 스마트 폰 (1) 이 다른 기기와 통화를 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제어부 (50) 는, 타단말로부터 착신을 받으면, CPU (10) 로 착신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 (50) 를, 통상적인 음성 통화로서 구성할지, 혹은, 인터넷을 이용한 IP 전화로서 구성할지는 적절히 설계 가능하다.
또한, 통신 제어부 (50) 는, 메일을 착신 및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당해 착신 및 송신에 관련된 정보에 대해서도 CPU (10) 로 출력한다.
알람 (60) 은, 설정 시각 도래 검지 수단으로서 기능한 CPU (10) 로부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알람 시각에 스피커 (도시하지 않음) 로부터 소리를 출력하여 알람 시각의 도래를 알리는 장치이다.
시계 (61) 는, 일시 정보로서 현재 일시를 연월일 시분초의 단위로 계측하는 장치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일시 정보는 시계 (61) 로부터 CPU (10) 로 소정 타이밍마다 공급된다.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또는 후술하는 제 2 진동 모터 (73)) 는, 진동 온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스마트 폰 (1) 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각 진동 모터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출력부 (80) 는, 정보 입력을 위한 터치 패널 (8) 과, 표시를 실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 (82) 로 구성되고, 입력 접수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터치 패널 (8) 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용의 봉상 부재나 자신의 손가락 끝을 이용한 접촉 혹은 압압을 검지함으로써, 스마트 폰 (1) 에 대한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한다.
액정 표시부 (82) 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의 확인 화면이다. 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CPU (10) 가 연산 처리한 결과인 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버스 (90) 는, 상기 서술한 각 구성을 접속하고, 스마트 폰 (1) 내에서 각각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공통의 경로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스마트 폰 (1) 에 배치 형성되는 제 1 진동 모터 (71), 제 2 진동 모터 (72 (73)) 의 외관 구성 개략도이다.
도 3(a) 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외관 구성 개략도이다.
도 3(b) 는, 제 2 진동 모터 (72) 의 외관 구성 개략도이다.
도 3(c) 는, 제 2 진동 모터의 변형예인 제 2 진동 모터 (73) 의 외관 구성 개략도이다.
먼저, 도 3(a) 를 이용하여 제 1 진동 모터 (71) 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진동 모터 (71) 는, 적어도 모터 (710) 와, 제 1 편심추 (711) 로 구성 되는 진동 모터이다.
모터 (710) 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고정되어 있고, 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그리고, 모터 (710) 의 회전축에 제 1 편심추 (711) 가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착신이나 알람 시각의 도래를 알리기 위해서, 이 제 1 진동 모터 (71) 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3(b) 를 이용하여 제 2 진동 모터 (72) 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진동 모터 (72) 는, 적어도 제 1 진동 모터 (71) 와 동일한 규격의 모터 (710) 와, 제 1 편심추 (711) 보다 반경이 작은 제 2 편심추 (712) 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진동 모터 (72) 의 제 2 편심추 (712) 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제 1 편심추 (711) 보다 무게가 가벼워진다. 이 때문에,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는 시정수가 상이한 구성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 (1) 의 터치 패널 (8) (입출력부 (80)) 을 손가락으로 만지고, 당해 접촉에 의한 입력 등을 스마트 폰 (1) 이 검지한 것을 사용자 자신에게 전하기 위한 알림용으로서, 이 제 2 진동 모터 (72) 를 사용한다.
이 제 2 편심추 (712) 의 중량을 가볍게 하는 구성에 의해, 제 2 진동 모터 (72) 의 시정수가 작아진다. 그러면, 동일한 전압으로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한 경우, 제 2 진동 모터 (72) 쪽이 응답성이 좋아짐과 함께, 특히 진동 기동시의 소비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c) 를 이용하여 제 2 진동 모터의 변형예인 제 2 진동 모터 (73) 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진동 모터 (73) 는, 적어도 제 1 진동 모터 (71) 와 동일한 규격의 모터 (710) 와, 제 1 편심추 (711) 의 축방향의 길이가 제 1 편심추 (711) 보다 짧은 제 2 편심추 (713) 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진동 모터 (73) 의 제 2 편심추 (713) 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제 1 편심추 (711) 보다 가벼워진다. 이 때문에,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3) 는 시정수가 상이한 구성이 된다.
또한, 이하, 제 2 진동 모터 (72) 만을 사용하여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모든 기재 내용에 있어서 제 2 진동 모터 (72) 대신에 제 2 진동 모터 (73) 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진동 모터 (72) 의 기재는 제 2 진동 모터 (73) 에 대해서도 아울러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도면에 대해서는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서술한 예에서는, 제 2 진동 모터 (72) 에 구비되는 제 2 편심추 (712) 의 체적을 작게 함으로써, 제 1 편심추 (711) 의 중량보다 제 2 편심추 (712) 의 중량이 작아지도록 무게를 조정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편심추 (711) 를 제조하는 재료와, 제 2 편심추 (712) 를 제조하는 재료를 달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제 1 편심추 (711) 와 제 2 편심추 (712) 가 동일한 체적이더라도, 제 2 편심추 (712) 의 중량을 제 1 편심추 (711) 의 중량보다 가볍게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제 2 편심추 (712) 뿐만 아니라, 제 2 진동 모터 (72) 전체의 크기를 제 1 진동 모터 (71) 의 전체의 크기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 1 진동 모터 (71) 의 중량보다 제 2 진동 모터 (72) 의 중량을 작게 하고, 제 2 진동 모터 (72) 의 시정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제 2 진동 모터 (72) 의 토크가 작아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보다 제 2 진동 모터 (72) 의 토크를 억제하고,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를 이용하여 큰 진동에 의한 알림을 실시한다. 한편, 제 1 진동 모터 (71) 의 편심추 (711) 보다 시정수가 작은 제 2 진동 모터 (72) 를 이용하여, 제 1 진동 모터 (71) 를 이용한 알림과는 상이한 알림을 실시한다.
이 구성에 의해, 큰 진동에 의한 알림을 가능하게 하면서, 이벤트의 간격이 짧고, 이벤트의 발생과 동시에 진동시켜 알릴 필요가 있는 다른 이벤트에 대해서는 즉응성·응답성이 높은 진동에 의한 알림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를 이용하여 알림을 실시하는 제 1 이벤트로서, 착신 (상기 서술한 「(i)」) 및 알람 시각의 도래 (상기 서술한 「(ii)」) 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착신이 제 1 이벤트이면, CPU (10) 가 스마트 폰 (1) 에 대한 착신을 검지했을 때를 제 1 이벤트 발생시로 하고, 당해 제 1 이벤트 발생시로부터 착신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을 제 1 이벤트 알림 기간으로 한다.
또, 알람 시각의 도래가 제 1 이벤트이면, CPU (10) 가 알람 시각의 도래를 검지했을 때를 제 1 이벤트 발생시로 하고, 당해 제 1 이벤트 발생시로부터 소정의 기간을 제 1 이벤트 알림 기간으로 한다. 또한, 이 소정의 기간은, 이벤트 발생으로부터 1 분간, 3 분간, 5 분간 등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혹은, 알람 시각의 설정을 접수할 때 등에,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의 설정도 접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진동 모터 (72 (73)) 를 이용하여 알림을 실시하는 제 2 이벤트로서, 접촉이나 압압 (상기 서술한 「(iv)」) 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터치 패널 (8) 이 접촉이나 압압을 검지했을 때를 제 2 이벤트 발생시로 하고, 접촉이나 압압이 실시되고 있는 기간을 제 2 이벤트 알림 기간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마트 폰 (1) 에서는, 「착신시에는 스마트 폰 (1) 을 진동시켜 알린다」 라는 진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이 설정은, 스마트 폰 (1) 이 사용자로부터 「착신시:진동 온」 등의 설정을 입출력부 (80) 를 통해서 접수하고, 당해 설정 정보를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에 기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착신에 대한 진동 설정이 온으로 기억되어 있는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착신을 검지하면, 제 1 진동 모터 (71) 를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후, 스마트 폰 (1) 이 실시하는 동작에 대해, 특별히 구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폰 (1) 의 CPU (10) 가 실시하는 동작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마트 폰 (1) 에서는, 「알람 시각의 도래시에는 스마트 폰 (1) 을 진동시켜 알린다」 라는 진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이 설정도, 스마트 폰 (1) 이 사용자로부터 「알람:진동 온」 등의 설정을 입출력부 (80) 를 통해서 접수하고, 당해 설정 정보를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에 기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알람에 대한 진동 설정이 온으로 기억되어 있는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알람 시각의 도래를 검지하면, 제 1 진동 모터 (71) 를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마트 폰 (1) 에서는, 「터치 패널 (8) 이 접촉이나 압압을 검지한 경우에는 스마트 폰 (1) 을 진동시켜 알린다」 라는 진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이 설정도, 스마트 폰 (1) 이 사용자로부터 「화면 터치:진동 온」 등의 설정을 입출력부 (80) 를 통해서 접수하고, 당해 설정 정보를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에 기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화면 터치에 대한 진동 설정이 온으로 기억되어 있는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화면 상의 터치를 검지하면,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킨다. 터치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압이나 접촉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진동 온 설정과 진동 오프 설정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이벤트와 제 2 이벤트를 상기 서술한 내용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소망하는, 진동과 이벤트의 대응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스마트 폰 (1) 의 기억부 (40) 의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에, 일반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진동을 이용하여 알리는 것이 가능한 이벤트의 일람·테이블을 미리 기억해 두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마트 폰 (1) 의 각종 설정시에, 각 진동 모터와 각 이벤트의 대응 관계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혹은, 기억부 (40) 에 기억하고 있는 이벤트 이외에, 사용자 독자적인 이벤트의 등록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당해 이벤트와 각 진동 모터를 조합하는 설정을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에 기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스마트 폰 (1) 의 이용 신을 감안하면, 터치 패널 (8) 의 터치 (접촉) 나 압압과 같은 제 2 이벤트는, 착신이나 알람 시각의 도래시와 같은 제 1 이벤트보다도, 보다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즉, 제 2 진동 모터 (72) 는 제 1 진동 모터 (71) 보다도, 보다 빈번하게 구동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사용 빈도가 높은 제 2 진동 모터 (72) 에 대해, 제 2 편심추 (712) 의 중량 그리고 관성 모멘트를 작게 하거나, 혹은 제 2 편심추 (712) 의 중량 그리고 관성 모멘트를 작게 함과 함께 제 2 진동 모터 (72) 의 토크를 사용상 문제없는 범위에서 작게 함으로써,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폰 (1) 전체적으로의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착신시나 알람 시각의 도래시에는 진동이 큰 제 1 진동 모터 (71) 를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스마트 폰 (1) 을, 포켓에 넣어 직접적으로는 몸에 지니고 있지 않은 경우나, 책상 위에 두고 있는 경우나, 혹은, 손에 들고 조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 폰 (1) 의 큰 진동은 필요하다고 여겨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책상 위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발생한 스마트 폰 (1) 의 큰 진동은, 책상과 스마트 폰 (1) 의 접촉으로 사용자에게 있어 불쾌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손에 든 상태에 있어서의 스마트 폰 (1) 의 큰 진동은, 조작 중인 사용자에게 있어 필요 이상의 진동이 되어, 사용자에게 놀람이나 불쾌감을 주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상정하여, 스마트 폰 (1) 은, 착신시나 알람 시각의 도래시에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시킨다는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을 접수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나 주위 사람이 불쾌한 생각이 드는 것을 해소함과 함께 소비 전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대신에, 스마트 폰 (1) 이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는 센서가 스마트 폰 (1) 의 자세를 검지하고, 당해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포켓에 넣고 있는지 (수직으로 놓은 상태), 책상 위에 두고 있는지, 혹은 손에 들고 있는지 (수평하게 놓은 상태) 를 스마트 폰 (1) 이 판단하고, 착신시나 알람 시각의 도래시에 제 2 진동 모터 (72) 의 구동을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각 진동 모터의 배치)
상기 서술한 제 1 진동 모터 (71) 및 제 2 진동 모터 (72) 는, 이하와 같이 스마트 폰 (1) 에 내장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스마트 폰 (1) 이 구비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점선 (m) 은 제 1 진동 모터 (71) 의 회전축 축선을, 그리고 점선 (n) 은 제 2 진동 모터 (72) 의 회전축 축선을, 각각 가상 축선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는, 일례로서 전자 회로 등의 기판 (700) 에 재치 (載置) 되고, 예를 들어 크림 땜납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기판 (700) 의 표면에 실장된다.
그 때, 제 1 진동 모터 (71) 는, 회전축 축선 (점선 m) 이 기판 (700) 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도록 기판 (700) 에 고정된다. 또한, 제 2 진동 모터 (72) 는, 회전축 축선 (점선 n) 이 기판 (700) 에 있어서의 고정면과 평행이 되도록, 기판 (700) 에 고정된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회전축 축선 (점선 m) 과 제 2 진동 모터 (72) 의 회전축 축선 (점선 n) 이 이루는 각이 직각이지만, 반드시 직각을 형성하도록 배치 형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 2 진동 모터 (72) 는, 이와 같이 액정 표시부 (82) 의 패널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축 축선 (점선 n) 을 취한 상태에서 액정 표시부 (82) 의 뒤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치, 즉 제 2 진동 모터 (72) 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방향이 액정 표시부 (82) 의 면에 대하여 수직인 (즉, 액정 표시부 (82) (패널) 를 휘게 하는) 방향으로 함으로써, 제 2 진동 모터 (72) 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작아도 액정 표시부 (82) 를 효율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기판 (700) 상의 배치는, 도 4 에 나타낸 위치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판 (700) 이 사각형이면, 대각선 상에 배치해도 되고, 혹은 짧은쪽 방향이나 긴쪽 방향으로 병렬해서 배치해도 된다. 기판 (700) 이 대략 원형이더라도, 다양한 위치 관계로 배치할 수 있다.
혹은, 상기와는 반대로, 제 2 진동 모터 (72) 의 회전축 축선 (점선 n) 이 기판 (700) 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고, 또한, 제 1 진동 모터 (71) 의 회전축 축선 (점선 m) 이 기판 (700) 에 있어서의 고정면과 평행이 되도록, 양 진동 모터가 기판 (700) 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기판 (700) 은, 기판 (700) 의 두께 방향과 스마트 폰 (1) 의 두께 방향이 일치하도록 스마트 폰 (1) 에 배치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치 형성함으로써, 기판 (700) 에 있어서의 제 1 진동 모터 (71) 및 제 2 진동 모터 (72) 가 배치 형성되는 배치면과, 액정 표시부 (82) 의 표시면이 대략 평행이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진동 모터 (71) 및 제 2 진동 모터 (72) 에 의한 진동이 기판 (700) 을 통해서 액정 표시부 (82) 로 전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의 회전축이 스마트 폰 (1) 의 액정 표시부 (82) 의 표시면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 형성된다. 한편, 제 2 진동 모터 (72) 의 회전축이 스마트 폰 (1) 의 액정 표시부 (82) 의 표시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 형성된다.
또, 제 1 편심추 (711) 와 제 2 편심추 (712) 는, 기판 (700) 에 대한 배치 형성 방향이 각각 상이하도록 배치 형성된다. 그러면, 각각의 편심추의 진동이 기판 (700) 으로 전해져 발생하는 기판 (700) (액정 표시부 (82) 의 표시면) 의 진동 방향도 각각 상이하다. 그 결과, 스마트 폰 (1) 이 제 1 진동 모터 (71) 를 진동시켜 발생시키는 진동의 방향과, 제 2 진동 모터 (72) 를 진동시켜 발생시키는 진동의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스마트 폰 (1) 에 있어서의 진동의 방향·진동의 전달 방법을, 제 1 이벤트 알림시와 제 2 이벤트 알림시로 달리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진동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를 보다 구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만일, 제 1 이벤트와 제 2 이벤트가 대략 동시에 발생하여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를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그 경우, 각 진동 모터에 의한 스마트 폰 (1) 의 진동 방향의 차이로부터, 그들의 조합에 의해, 전달 방법이 상이한 다양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 (1) 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바리에이션이 증가하므로, 사용자에 대하여 진동을 이용하여 전할 수 있는 정보를 다양화 할 수 있다.
(변형예)
도 5 는,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진동 모터 (71) 및 제 2 진동 모터 (72) 의 회전축의 축선은, 함께, 기판 (700) 에 있어서의 고정면과 평행이 되도록, 또한, 제 1 진동 모터 (71) 의 회전축 축선 (점선 m) 과 제 2 진동 모터 (72) 의 회전축 축선 (점선 n) 이 각도를 가지도록, 기판 (700) 에 고정된다.
또한,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진동 모터 (71, 72) 는, 양 축선 (점선 m, 점선 n) 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대략 직각이 되도록 배치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및 제 2 진동 모터 (72) 의 회전축이, 함께, 스마트 폰 (1) 의 액정 표시부 (82) 의 표시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 형성된다.
이 때문에, 스마트 폰 (1) 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혹은, 도 5(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진동 모터 (71) 및 제 2 진동 모터 (72) 의 회전축의 축선 방향이, 함께, 기판 (700) 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도록 고정되어 배치 형성해도 된다.
그런데, 이상에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를 회전축에 대하여 무게 중심을 편심시킨 편심추를 회전시키는 회전형 모터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의 모터를, 추를 수평 방향 (1 축 방향) 으로 왕복 동작시키는 리니어형 모터로 해도 상관없다. 이 리니어형 모터에는 전자력으로 구동되는 전자형 리니어 모터나, 압전 소자의 변형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타입도 포함된다.
어느 일방의 모터를 리니어형 모터로 하는 경우에는 제 2 진동 모터 (72) 를 리니어형 모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제 1 진동 모터 (71) 의 시정수보다 제 2 진동 모터 (72) 의 시정수 쪽이 작고, 응답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이 진동을 효율적으로 느낀다고 여겨지는 주파수의 상한은 150 ㎐ 정도이지만, 추와 스프링으로 등가적으로 구성되는 리니어형 모터의 경우, 이 150 ㎐ 로 진동 (공진) 시키고자 하면, 큰 진동력을 얻으려면 회전형 모터에 비해 대형화되어 버린다. 한편, 비교적 작은 진동력으로 해결되는 경우에는, 리니어형 모터는 소형이고 응답성이 우수한 특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진동 모터 (72) 를 리니어형 모터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 때의 리니어형 모터에 의한 진동 방향은 터치 패널의 면내 방향 (수평 방향), 즉 사용자의 터치 패널에 대한 지압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래터럴 포스 필드 현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진동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다양한 감각을 주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손가락으로 만지고, 당해 접촉에 의한 입력을 사용자용으로 전할 때에는, 다양한 감각을 전할 수 있다.
동일한 생각에서, 도 4 에 있어서의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의 역할을 반대로 하는 것도 유효하다. 즉 도 4 에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는 회전축 축선 (점선 m) 이 기판 (700) 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진동 모터 (72) 는 회전축 축선 (점선 n) 이 기판 (700) 에 있어서의 고정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었지만, 제 1 진동 모터 (71) 를 회전축 축선 (점선 n) 이 기판 (700) 에 있어서의 고정면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하고, 제 2 진동 모터 (72) 는 회전축 축선 (점선 m) 이 기판 (700) 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단, 여기서 제 2 진동 모터 (72) 는 회전축 축선 방향의 길이가 외경의 길이보다 짧은 편평형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편평형 모터에서는 전자 기기의 두께를 억제하여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두께에 대해서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의 면내, 즉 기판 (700) 의 면내 방향으로는 비교적 스페이스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진동 모터 (72) 의 외경이 다소 커져도 문제는 없다. 제 2 진동 모터 (72) 의 외경을 (제 1 진동 모터 (71) 보다) 크게 함으로써 토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진동 모터 (71) 보다) 응답성을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손가락으로 만지고, 당해 접촉에 의한 입력을 사용자용으로 전할 때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따라 순식간에 응답할 수 있다. 물론, 제 2 진동 모터의 추의 중량을 가볍게 하는 것도 유효하다. (진동 패턴)
도 6 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련된 진동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에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대표적인 진동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이벤트에는, 착신이나 알람과 같은, 이벤트 발생으로부터의 알림 계속 기간이 비교적 긴 이벤트를 대응시키고 있다.
그래서, 스마트 폰 (1) 은, 제 1 이벤트를 알리고 있는 동안 (이후, 제 1 이벤트 알림 기간), 제 1 진동 모터 (71) 의 전원을 일정 기간 온으로 제어하여 온 구간을 형성하고, 그 후, 일정 기간 오프로 제어하여 오프 구간을 형성한다. 이 온 구간/오프 구간의 조합을 조합 P1 로 하면, 스마트 폰 (1) 은, 제 1 이벤트 알림 기간에, 당해 조합 P1 이 반복되도록 제 1 진동 모터 (71) 를 제어한다.
도 6(b) 에는, 제 2 진동 모터 (72) 의 대표적인 진동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이벤트에는, 접촉이나 압압과 같은 계속 알리는 기간이 비교적 짧은 이벤트를 대응시키고 있다.
그래서, 스마트 폰 (1) 은, 패턴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이벤트를 알리고 있는 동안 (이후, 제 2 이벤트 알림 기간), 제 2 진동 모터 (72) 의 전원을 일정 기간 온으로 제어하여 온 구간을 형성하고, 그 후, 당해 전원 온으로 제어한 기간보다 긴 기간, 전원 오프로 제어하여 오프 구간을 형성한다. 이 온 구간/오프 구간의 조합을 조합 P2 로 하면, 스마트 폰 (1) 은, 제 2 이벤트 알림 기간에, 당해 조합 P2 가 반복되도록 제 2 진동 모터 (72) 를 제어한다.
또, 패턴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폰 (1) 은, 제 2 이벤트 알림 기간에, 제 2 진동 모터 (72) 의 전원을 일정 기간 빈번하게 온/오프를 전환하는 (예를 들어, 0.5 초의 온 구간 중에, 약 3 내지 5 회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짧은 온/오프 주기를 갖는 온 구간을 형성하고, 그 후, 당해 온 구간보다 긴 일정한 기간을 오프로 제어하여 오프 구간을 형성하는 조합 P3 으로 해도 된다. 또한, 통상적인 온/오프의 전환은, 온 구간이 0.5 초 내지 1 초, 오프 구간이 0.5 초 내지 1 초를, 번갈아 반복한다.
혹은, 패턴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이벤트 알림 기간에, 제 2 진동 모터 (72) 의 전원의 온/오프를 빈번하게 전환하는 제어를 계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6 의 어느 경우도, 전원의 온 (진동 중) 을 나타내는 산 (山) 과 오프를 나타내는 골 (谷) 의 수는 일례로서,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혹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온/오프의 조합에 의한 진동 패턴을 갖는 구성이 아니라, 제 1 진동 모터 (71) 이더라도 제 2 진동 모터 (72) 이더라도, 각 이벤트의 발생과 함께 각 진동 모터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그 후 이벤트를 알리고 있는 동안 항상 계속 구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시하지 않음).
또, 상기 서술한 진동 패턴은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도 2) 에 기억되어 있고, 동일하게 기억되어 있는 각 이벤트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그 경우에는, 각 이벤트와 각 진동 패턴의 대응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여 기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혹은, 각 진동 패턴과 각 이벤트의 대응짓기가, 미리 스마트 폰 (1) 에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스마트 폰 (1) 이 제 1 이벤트와 제 2 이벤트를 검지하여 알리는 데 있어서, 양 이벤트의 발생 시기나 알림 기간이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진동 패턴 중 어느 진동 패턴에 의한 진동으로, 각 이벤트의 알림을 각 진동 모터가 실시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제 1 이벤트와 제 2 이벤트를 중복해서 검지한 경우, 각 이벤트를 각각 알리는 각 진동 모터를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즉, 일방의 이벤트에 기초하는 알림 중에 타방의 이벤트를 검지한 경우, 스마트 폰 (1) 은, 검지한 타방의 이벤트의 알림에 관해서 다음의 2 가지 조정 중 어느 하나를 실시한다.
또한, 제 1 이벤트와 제 2 이벤트가 중복해서 발생하는 경우란, 예를 들어, 「착신의 검지 (제 1 이벤트) 와 동 타이밍에서, 터치 패널 (8) 위가 터치되었다 (제 2 이벤트)」 라고 하는 상황이 생각된다.
제 1 조정은,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의 온 구간의 중복을 피하는 조정이다. 이 조정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후에 검지한 타방의 이벤트에 관련된 온 구간의 개시가, 먼저 검지한 일방의 이벤트에 관련된 오프 구간이 되도록, 후에 검지한 타방의 이벤트를 알리는 진동 모터를 제어한다.
제 2 조정은,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의, 일방의 오프 구간과 타방의 온 구간의 중복을 피하는 조정이다. 이 조정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후에 검지한 타방의 이벤트에 관련된 온 구간의 개시가, 먼저 검지한 일방의 이벤트에 관련된 온 구간이 되도록, 후에 검지한 타방의 이벤트를 알리는 진동 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제 1 이벤트와 제 2 이벤트를 중복해서 검지해도, 스마트 폰 (1) 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제 1 조정이나 제 2 조정을 실시하지 않고, 먼저 발생한 일방의 이벤트에 관련된 온 구간·오프 구간에 관계없이, 타방의 이벤트에 관련된 온 구간을 개시하는 (무조정)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7 은, 상기 서술한 제 1 조정, 제 2 조정, 및 무조정에 관한 각 진동 모터의 진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 1 조정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에는, 스마트 폰 (1) 이, 제 1 진동 모터 (71) 가 오프 제어시에 제 2 진동 모터 (72) 를 온 제어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폰 (1) 은, 제 1 이벤트에 기초하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 (온 구간) 중에 있어서, 제 2 이벤트가 발생해도 곧바로는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하지 않는다. 즉,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의 온 구간이 겹치지 않도록 제 2 진동 모터 (72) 를 제어한다.
또,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의 오프 제어 후 즉각 제 2 진동 모터 (72) 를 온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타임 래그 (ta) 후에 제 2 진동 모터 (72) 를 온 제어한다. 또한, 스마트 폰 (1) 은, 타임 래그 (ta) 를 형성해도, 제 1 진동 모터 (71) 의 온 구간과 제 2 진동 모터 (72) 의 온 구간이 겹치지 않도록, 제 2 진동 모터 (72) 의 오프 제어로부터 다음의 온 제어까지의 클리어런스 (tb) 를 제어한다.
이 타임 래그 (ta) 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진동 모터 (71) 에 기초하는 진동과 제 2 진동 모터 (72) 에 기초하는 진동이 연속하지 않고, 진동이 없는 구간이 생기므로, 제 1 이벤트의 발생 중에 제 2 이벤트가 발생한 것/발생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 정확하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타임 래그 (ta) 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진동 모터 (71) 를 오프 제어한 후에 바로 제 2 진동 모터 (72) 를 온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도 7(a) 에 나타낸 예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가 병행하여 구동하고 있는 구간을 형성하지 않는 제어를 실시하므로, 병행하여 (동시에) 구동했을 경우에 걸리는 최대 소비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 (1) 의 전지에 대한 데미지를 저감하여 전지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조정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b) 및 (c) 에는, 스마트 폰 (1) 이, 제 1 진동 모터 (71) 가 온 제어시에 제 2 진동 모터 (72) 를 온 제어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이벤트를 검지한 시기 (제 2 이벤트 발생) 가, 제 1 이벤트에 기초하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 중 (온 구간) 인 (온 구간) 경우, 스마트 폰 (1) 은 제 2 이벤트의 검지와 동시에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한다. 이 구성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의 온 구간과 제 2 진동 모터 (72) 의 온 구간이 겹치도록, 클리어런스 (tb) 를 제어한다.
또, 도 7(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이벤트를 검지한 시기가, 제 1 이벤트에 기초하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 중이 아닌 (오프 구간인) 경우, 스마트 폰 (1) 은, 제 2 이벤트를 검지해도 곧바로는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하지 않고, 제 1 진동 모터 (71) 의 온 구간과 진동이 겹치기 위한 타임 래그 (ta) 를 형성한다. 그리고 타임 래그 (ta) 후에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한다.
또한, 도 7(b) 및 (c) 에서는, 제 2 진동 모터 (72) 의 진동 패턴이 패턴 A (도 6(b)) 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진동 모터 (72) 의 진동 패턴으로는, 패턴 B (도 6(b)) 이더라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b) 및 (c) 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제 2 진동 모터 (72) 의 제 2 편심추 (712) 가 제 1 모터 (71) 의 제 1 편심추 (711) 보다 경량이기 때문에, 제 2 진동 모터 (72) 의 쪽이 제 1 진동 모터 (71) 보다 응답성을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소비 전류를 대폭 소비하는 일 없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및 제 2 진동 모터 (72) 를 병행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양자의 진동 패턴을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이벤트에 기초하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 중에 제 2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 2 진동 모터 (72) 를 진동시켜도, 진동의 종류 (패턴) 나 구동 타이밍의 차이에 의해, 상이한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무조정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 중에 제 2 이벤트를 검지한 경우에도, 제 1 진동 모터 (71) 의 온 구간·오프 구간에 관계없이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그 후에는,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에 관계없이, 제 2 진동 모터 (72) 에 대해서는 제 2 이벤트에 기초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도 7 에서는, 스마트 폰 (1) 이 제 1 이벤트 (제 1 진동 모터 (71)) 를 먼저 검지한 상태에서 제 2 이벤트를 검지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 2 이벤트를 먼저 검지한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단, 제 1 이벤트에 관련된 온 구간은 제 2 이벤트에 관련된 온 구간보다 길기 때문에, 스마트 폰 (1) 은, 또한 다음과 같은 제어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즉, 스마트 폰 (1) 은, 후에 검지한 제 1 이벤트에 관련된 진동에 관해서는, 먼저 검지한 제 2 이벤트의 온 구간이 종료해도, 제 1 이벤트에 대응지어진 진동 패턴의 온 구간의 분만큼 제 1 진동 모터 (71) 의 진동을 계속한다. 혹은, 후에 검지한 제 1 이벤트에 관련된 진동에 관해서도, 제 2 이벤트의 온 구간의 종료와 함께, 제 1 진동 모터 (71) 의 진동을 강제 종료한다.
마찬가지로, 도 7(a) 에서 설명한 제 1 조정에 있어서, 먼저 검지한 제 1 이벤트에 관련된 오프 구간에 있어서 제 2 이벤트가 검지된 경우에는, 스마트 폰 (1) 은, 제 2 진동 모터 (72) 를 즉각 구동하지만, 제 2 이벤트의 온 구간에 있어서 제 1 이벤트의 오프 구간이 종료한 경우에도, 제 2 이벤트의 온 구간을 계속하는 경우와, 강제 종료시키는 경우 어느 쪽도 채용할 수 있다.
도 8 은, 상기 서술한 진동 상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설명하는 변형예는, 제 1 진동 모터 (71) 또는 제 2 진동 모터 (72) 중 어느 일방을 우선적으로 구동하고, 또한, 우선되어 있지 않은 타방을 정지시키는 경우의 예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제 2 진동 모터 (72) 에 대하여, 각 진동 모터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항상 감시한다. 그리고, 우선적으로 진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진동 모터를, 구동 중인 타방의 진동 모터를 정지시킴으로써, 우선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이 설정은, 스마트 폰 (1) 이 입출력부 (80) 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고,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에 기억한다. 또는, 스마트 폰 (1) 에, 구동을 우선하는 (즉, 이벤트의 발생이 겹쳐도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는) 진동 모터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미리 설정되어 있고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변경 설정을 접수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8 은, 일례로서, 제 2 진동 모터 (72) 가 제 1 진동 모터 (71) 보다 우선하여 구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구동의 타이밍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 에는, 1 개의 제 1 이벤트 알림 기간에 있어서, 3 개의 상이한 제 2 이벤트가 발생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이 「1 회째의 제 2 이벤트 알림 기간」, 「2 회째의 제 2 이벤트 알림 기간」, 및 「3 회째의 제 2 이벤트 알림 기간」 은, 각각, 도 6(b) 에서 설명한 제 2 진동 모터 (72) 의 진동 패턴 A, 패턴 B, 또는 패턴 C 중 어느 것의 진동 패턴으로, 스마트 폰 (1) 이 제 2 진동 모터 (72) 를 진동시키는 기간에 상당한다.
스마트 폰 (1) 은, 1 회째의 제 2 이벤트를 검지했을 때 (tA) 에, 제 1 진동 모터 (71) 가 오프 (제 1 이벤트는 발생하고 있지만, 제 1 진동 모터 (71) 의 진동 패턴에 있어서의 오프 구간) 이면,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한다.
한편, 스마트 폰 (1) 은, 2 회째의 제 2 이벤트를 검지했을 때 (tB) 에, 제 1 진동 모터 (71) 가 구동 중 (제 1 진동 모터 (71) 의 진동 패턴에 있어서의 온 구간) 이면,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나서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한다.
또한,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 정지와 제 2 진동 모터 (72) 의 구동 사이에, 도 7 에서 설명한 소정의 타임 래그 (ta)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스마트 폰 (1) 은, 2 회째의 제 2 이벤트가 종료한 타이밍 (tC) 에서 제 1 이벤트가 아직 계속되고 있었던 경우, 제 1 진동 모터 (71) 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이벤트를, 진동에 의해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스마트 폰 (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마트 폰 (1) 의 진동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스마트 폰 (1) 의 CPU (10) 는, 스마트 폰 (1) 의 전원이 들어가 있는 상태하에서는, 항상, 소정의 이벤트의 발생을 감시하고 있다 (스텝 5).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정의 이벤트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타단말로부터의 착신 (제 1 이벤트), 알람 시각의 도달 (제 1 이벤트), 터치 패널 (8) 상의 접촉이나 압압 (제 2 이벤트) 이다.
CPU (10) 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5;N), 발생 유무의 감시를 계속한다.
한편,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 5;Y), CPU (10) 는, 진동 설정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10). 이 진동 설정이란,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 스마트 폰 (1) 을 진동시키는 알림을 실시할지 여부의 설정이다. CPU (10) 는, 사전에 입출력부 (80) 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정보 (진동 설정 온·진동 설정 오프 중 어느 쪽) 를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를 확인함으로써 판단한다. 이 진동 설정은, 스마트 폰 (1) 을 이용하는 장소나 시간 등의 TPO 에 맞추어,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변경에 의해 설정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진동 설정 온」 은 진동을 이용한 알림을 실시한다는 설정이며, 「진동 설정 오프」 는 진동을 이용한 알림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설정이다.
CPU (10) 는, 진동 설정이 오프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 (스텝 10;N) 에는 소리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알림인 통상 알림 처리를 실시하고 (스텝 20), 알림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CPU (10) 는, 진동 설정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10;Y),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제 1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30). 제 1 이벤트인지 여부의 판단은, 예를 들어,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43) 에 이벤트에 관한 리스트나, 어느 이벤트가 제 1 이벤트 (또는 제 2 이벤트) 에 대응하는지를 알 수 있는 대응표를 기억해 두고, 확인함으로써 실시된다.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제 1 이벤트라고 판단하면 (스텝 30;Y), CPU (10) 는, 제 1 진동 모터 (71) 를 구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스텝 40).
그리고, CPU (10) 는, 제 1 이벤트가 종료했는지 여부의 감시를 계속하고 (스텝 50), 제 1 이벤트가 종료하지 않는 동안 (스텝 50;N) 에는, 스텝 40 으로 되돌아가 제 1 진동 모터 (71) 를 계속 구동한다.
한편, CPU (10) 는, 제 1 이벤트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50;Y) 에는, 진동에 의한 알림 처리를 종료한다.
CPU (10) 는,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제 2 이벤트라고 판단하면 (스텝 30;N),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한다 (스텝 60). 이에 따라, 스마트 폰 (1) 은, 제 2 이벤트 발생시에는 제 1 진동 모터 (71) 에 의한 진동보다 작은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CPU (10) 는, 제 2 이벤트가 종료했는지 여부의 감시를 계속하고 (스텝 70), 제 2 이벤트가 종료하지 않는 동안 (스텝 70;N) 에는, 스텝 60 으로 되돌아가 제 2 진동 모터 (72) 를 계속 구동한다.
한편, CPU (10) 는, 제 2 이벤트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70;Y) 에는 진동에 의한 알림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9 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발생한 1 개의 이벤트에 주목하여 그 동작을 설명했지만,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의 감시 (스텝 5) 는 항상 실시된다. 그러므로, 연속해서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이벤트가, 차례 차례로, 혹은 일정한 사이를 두고 발생한 경우에는, 각각의 이벤트에 대하여 이 처리가 실시된다.
즉, 제 1 이벤트가 한창 발생하고 있을 때에 제 2 이벤트가 발생 (또는, 제 2 이벤트가 한창 발생하고 있을 때에 제 1 이벤트가 발생) 하고, 그 결과,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를 대략 동시에 구동하는 상태도 있을 수 있다.
도 10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마트 폰 (1) 의 진동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 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히, 도 7(a) 에서 설명한 진동의 조합 동작에 상당하고,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가 동시에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1 진동 모터 (71) 에 대응지어진 제 1 이벤트 쪽이, 제 2 진동 모터 (72) 에 대응지어진 제 2 이벤트보다, 중요 또는 긴급한 경우에 채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도 10 에 있어서 도 9 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제 1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 30;N), CPU (10) 는, 제 1 진동 모터 (71) 가 구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80).
또한, 이 스텝 80 에 있어서의 「제 1 진동 모터 (71) 가 구동 중」 이란, 본 이벤트보다 전에 발생한 제 1 이벤트를 알리기 위해서 이미 구동 (전원 온) 하고 있던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 상태를 말한다.
CPU (10) 는, 제 1 진동 모터 (71) 가 이미 구동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80;Y),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 상태의 감시를 계속한다.
한편, 제 1 진동 모터 (71) 가 구동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스텝 80;N), CPU (10) 에는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한다 (스텝 60).
또한, 이 때, 당해 판단 후 즉각 CPU (10) 가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혹은, 도 7 에서 설명한 소정의 타임 래그 (ta) 분만큼 타이밍을 늦추어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소정의 타임 래그 (ta) 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진동 모터 (71) 에 의한 진동과 제 2 진동 모터 (72) 에 의한 진동이 연속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진동 패턴을 각각 설정해 두면 된다.
또한, 도 10 에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제 1 이벤트) 가, 제 2 진동 모터 (72) (제 2 이벤트) 보다 우선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반대로, 제 2 진동 모터 (72) 를 우선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제 1 진동 모터 (71) 를 구동하기 (스텝 40) 전에, 제 2 진동 모터 (72) 가 구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을 첨가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도 10 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가 구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설령 제 2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진동 모터 (71) 에 대응지어진 제 1 이벤트를 보다 정확하게 진동을 이용하여 알릴 수 있다.
또, 2 개의 진동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진동 패턴 (전원 온/오프의 주기) 을 다르게 해 둠으로써, 만일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에 의한 진동이 연속해도, 사용자는, 진동의 변화에 의해 상이한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는·발생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마트 폰 (1) 의 진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특히, 도 8 에서 설명한 진동의 조합의 변형예의 동작에 상당한다.
도 11 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 9 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마트 폰 (1) 은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를 동시에는 구동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도 11 에서는, 제 2 진동 모터 (72) 를 제 1 진동 모터 (71) 보다 우선시켜 구동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즉, 제 2 진동 모터 (72) 에 대응지어진 제 2 이벤트 쪽이, 제 1 진동 모터 (71) 에 대응지어진 제 1 이벤트보다, 중요 또는 긴급한 경우에 채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도 9 또는 도 10 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가 이미 구동 중이라고 판단하면 (스텝 80;Y), CPU (10) 는, 설령 그 시점에서 이전에 발생하고 있던 제 1 이벤트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제 1 진동 모터 (71) 를 정지시킨다 (스텝 90). 이 정지는, 소위 끼어들기 정지이다. 계속해서, CPU (10) 는,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한다 (스텝 60).
또한, 이 스텝 80 에 있어서의 「제 1 진동 모터 (71) 가 구동 중」 이란, 도 10 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본 이벤트보다 전에 발생한 제 1 이벤트를 알리기 위해서 이미 구동 (전원 온) 하고 있던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CPU (10) 는, 제 2 이벤트가 종료했는지 여부의 감시를 계속하고 (스텝 70), 제 2 이벤트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 70;Y),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으로 제 1 이벤트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50).
또한, 도 11 에서는, 제 2 진동 모터 (72) (제 2 이벤트) 가, 제 1 진동 모터 (71) (제 1 이벤트) 보다 우선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반대로, 제 1 진동 모터 (71) 를 우선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제 1 진동 모터 (71) 를 구동하기 (스텝 40) 전에, 「제 2 진동 모터 (72) 가 이미 구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을 첨가하면 된다. 그리고, 「제 2 진동 모터 (72) 가 구동 중인 경우에 제 2 진동 모터 (72) 를 정지시켜 제 1 진동 모터 (71) 를 구동시키는 구성을 더 첨가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도 11 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 (1) 은, 어느 우선 순위가 높은 제 2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만일, 당해 제 2 이벤트보다 전에 발생한, 제 2 이벤트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제 1 이벤트를 받아 제 1 진동 모터 (71) 를 한창 구동하고 있을 때이면, 그 제 1 진동 모터 (71) 의 구동을 정지시켜 최근 발생한 제 2 이벤트를 알리기 위해서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한다.
이 때문에, 제 2 진동 모터 (72) 에 대응지어진 우선 순위가 높은 제 2 이벤트를 알릴 때에, 양 진동 모터가 중복해서 구동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진동을 이용한 보다 정확한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또, 2 개의 진동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청구항에 기재한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이벤트 또는 제 2 이벤트에 대응시켜 구동하는 진동 모터를, 제 1 진동 모터 (71), 제 2 진동 모터 (72) 중 어느 것으로 할지 설정 가능하게 했지만, 그 밖에도 이하와 같이 조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긴급 지진 속보 등의 긴급 속보의 검지를 알리기 위해서나, 입력을 위한 접촉이더라도 금지되어 있는 동작이나 입력을 실시하고자 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경고를 알리기 위해서 이용하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제 1 진동 모터 (71) 와 제 2 진동 모터 (72) 를 세트로 하여 양방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혹은, 스마트 폰 (1) 에, 스마트 폰 (1) 이 책상 위에 놓여 있는 것이나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접촉 센서나 압력 검지 센서, 온감 센서 등의 구성을 첨가하고, 당해 검지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비록 제 1 진동 모터 (71) 를 구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이벤트가 발생해도, 제 2 진동 모터 (72) 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스마트 폰 (1) 과 사용자가 비접촉 상태인 것을 제 1 이벤트로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스마트 폰 (1) 과 사용자가 접촉 상태시인 것을 제 2 이벤트로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소리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통상 알림 처리와 진동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진동 알림 처리의 양방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 스마트 폰
1a : 휴대 전화
1b : 게임 기기
2 : 케이싱
8 : 터치 패널
8a : 숫자 키
8b : 조작 버튼
10 : CPU
20 : RAM
30 : ROM
40 : 기억부
41 : 진동 제어 프로그램
42 : 소리 제어 프로그램
43 :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50 : 통신 제어부
60 : 알람
61 : 시계
71 : 제 1 진동 모터
72 : 제 2 진동 모터
73 : 제 2 진동 모터
80 : 입출력부
82 : 액정 표시부
90 : 버스
700 : 기판
710 : 모터
711 : 제 1 편심추
712 : 제 2 편심추
713 : 제 2 편심추

Claims (8)

  1. 제 1 추를 구비하고, 당해 제 1 추를 회전 혹은 왕복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는 제 1 진동 모터와,
    제 2 추를 구비하고, 당해 제 2 추를 회전 혹은 왕복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제 1 진동 모터보다 시정수 (時定數) 가 작은 제 2 진동 모터와,
    제 1 이벤트에 대응시켜 온 구간/오프 구간의 조합을 반복한 제 1 구동 펄스로 상기 제 1 진동 모터를 구동하고, 당해 제 1 이벤트와는 상이한 제 2 이벤트에 대응시켜 온 구간/오프 구간의 조합을 반복한 제 2 구동 펄스로 상기 제 2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진동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구동 펄스의 온 구간은 상기 제 2 구동 펄스의 온 구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2. 제 1 추를 구비하고, 당해 제 1 추를 회전 혹은 왕복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는 제 1 진동 모터와,
    제 2 추를 구비하고, 당해 제 2 추를 회전 혹은 왕복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제 1 진동 모터보다 시정수 (時定數) 가 작은 제 2 진동 모터와,
    제 1 이벤트에 대응시켜 상기 제 1 진동 모터를 구동하고, 당해 제 1 이벤트와는 상이한 제 2 이벤트에 대응시켜 상기 제 2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진동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진동 모터는 회전형 모터이고, 상기 제 2 진동 모터는 리니어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추는 상기 제 1 추보다 중량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모터와, 상기 제 2 진동 모터는, 상기 제 1 진동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방향과, 상기 제 2 진동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방향이, 비평행 상태가 되도록 배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진동 모터를 상기 제 2 진동 모터에 우선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모터의 구동 중에는 상기 제 2 진동 모터를 구동하지 않는 제 1 제어, 또는, 상기 제 1 진동 모터의 구동 중에 상기 제 2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제 2 제어 중 어느 하나의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진동 발생 장치와,
    자단말 (自端末) 에 대한 착신을 검지하는 착신 검지 수단, 또는, 접수한 설정 시각의 도래를 검지하는 설정 시각 도래 검지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이나 압압 (押壓) 에 의해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접수 수단
    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제 1 이벤트는, 상기 착신 검지 수단이 검지한 자단말에 대한 착신, 또는, 상기 설정 시각 도래 검지 수단이 검지한 설정 시각의 도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이벤트는, 상기 입력 접수 수단이 접수한 접촉이나 압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모터와 상기 제 2 진동 모터에 각각 대응시키는 상기 제 1 이벤트 및 상기 제 2 이벤트의, 설정이나 변경을 접수하는 대응 이벤트 설정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접수 수단은 터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70059068A 2016-05-16 2017-05-12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301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8104 2016-05-16
JPJP-P-2016-098104 2016-05-16
JPJP-P-2017-006755 2017-01-18
JP2017006755A JP6815874B2 (ja) 2016-05-16 2017-01-18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057A KR20170129057A (ko) 2017-11-24
KR102301451B1 true KR102301451B1 (ko) 2021-09-10

Family

ID=6041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068A KR102301451B1 (ko) 2016-05-16 2017-05-12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15874B2 (ko)
KR (1) KR102301451B1 (ko)
CN (1) CN107422846B (ko)
TW (1) TWI7319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3419B (zh) * 2017-12-25 2021-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控制方法
CN109981864B (zh) * 2017-12-28 2020-07-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离心电机、电子装置以及调整电子装置角度的方法
JP7146425B2 (ja) 2018-03-19 2022-10-0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CN108427505A (zh) * 2018-03-29 2018-08-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触感控制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835518A (zh) * 2020-06-23 2021-12-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振动控制方法及装置、振动器件、终端、存储介质
JP7484803B2 (ja) 2021-04-29 2024-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453A (ja) 1999-09-28 2003-08-15 Immersion Corp 振動体感フィードバック装置の体感刺激の制御方法
JP2005334697A (ja) 2004-05-24 2005-12-08 Sumida Corporation 振動モータ
JP2009015791A (ja) 2007-07-09 2009-01-22 Sony Corp 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00245061A1 (en) * 2007-04-18 2010-09-30 University Of Sunderl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visually and/or hearing impaired opera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7533B1 (en) * 1998-11-18 2001-04-17 Wahl Clipper Corporation Portable vibrating units having different speeds
JP3949912B2 (ja) *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KR100543625B1 (ko) * 2003-12-03 200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모터 구동장치 및 그 방법
JP4983440B2 (ja) * 2007-07-02 2012-07-2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これに用いられる着信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05473B1 (ko) * 2010-10-22 2017-12-08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단말기의 진동 모듈
JP2015207242A (ja) * 2014-04-23 2015-11-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6452996B2 (ja) 2014-05-29 2019-01-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表面実装用モータ
JP2015112013A (ja) 2015-02-20 2015-06-1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携帯情報端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453A (ja) 1999-09-28 2003-08-15 Immersion Corp 振動体感フィードバック装置の体感刺激の制御方法
JP2005334697A (ja) 2004-05-24 2005-12-08 Sumida Corporation 振動モータ
US20100245061A1 (en) * 2007-04-18 2010-09-30 University Of Sunderl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visually and/or hearing impaired operator
JP2009015791A (ja) 2007-07-09 2009-01-22 Sony Corp 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2846B (zh) 2021-08-06
KR20170129057A (ko) 2017-11-24
TW201813260A (zh) 2018-04-01
JP6815874B2 (ja) 2021-01-20
CN107422846A (zh) 2017-12-01
TWI731966B (zh) 2021-07-01
JP2017208067A (ja)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451B1 (ko)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21015741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n Input Device Having a Haptic Engine
US20190220094A1 (en) Orientation adjustable multi-channel haptic device
JP5596348B2 (ja) 多重モード触覚フィードバックシステム
JP4925767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端末機及び端末機の制御方法
US201101570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s in portable terminal
US10827080B2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150731B2 (en) Multi-modal haptic feedback for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single haptic actuator
US10445995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EP1748350A2 (en) Touch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EP3195088A2 (en) Haptic notifications
CN103181090A (zh) 用于便携式终端的振动模块
JP2006278165A (ja) 入力装置
EP2957989B1 (en) Mobile device with motion controlling haptics
KR20140113392A (ko) 햅틱 피드백 콜을 싱크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090163B2 (ja) 報知装置、報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017032A1 (ja) 電子機器
JP2015116508A (ja) 筐体の振動装置及び振動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9122011A (ja) 触知式バイブレーション時計
KR101056134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2013156682A (ja) 不可聴振動によって事象発動を通知す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事象発動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073032A1 (en) Linear haptic actuator including field members and biasing members and related methods
KR20130025759A (ko) 파형 생성기를 이용한 햅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044599B2 (ja) 針位置制御装置、時計、および針位置制御方法
JPH10260271A (ja) 振動で時刻を知らせる腕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