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111B1 -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111B1
KR102301111B1 KR1020210076732A KR20210076732A KR102301111B1 KR 102301111 B1 KR102301111 B1 KR 102301111B1 KR 1020210076732 A KR1020210076732 A KR 1020210076732A KR 20210076732 A KR20210076732 A KR 20210076732A KR 102301111 B1 KR102301111 B1 KR 10230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ating member
flow guide
rib
waste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준
Original Assignee
(주)청솔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솔씨앤티 filed Critical (주)청솔씨앤티
Priority to KR102021007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5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 B01J8/006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1Centrifugating,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density difference
    • B29B2017/0241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density difference in gas, e.g.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8Separation of metals
    • B29B2017/0272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계 폐비닐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물질 제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서 판상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 기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날개; 상기 날개의 일면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날개를 지지하는 리브; 및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나선형 기류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코너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코너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나선형 기류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떼어 내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REMOVAL APPARATUS AND WASTE VINYL RECYCL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생활계 폐비닐의 재활용을 위하여 생활계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배출되는 생활계 폐기물 중 폐비닐의 경우, 매립 시에는 토양을 오염시키고, 임의로 소각할 경우에는 대기 오염과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활계 폐비닐을 재활용하는 다양한 공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활계 폐비닐을 제활용하는 과정에는 먼지 또는 오염물과 같은 여러 가지 이물질을 포함하는 폐비닐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5279호(2018.11.05.)(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에는 폐비닐에 붙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이루어지는 털이개에 대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에 개시된 털이개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털이 구조체를 포함한다. 털이 구조체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그 외주면에는 스크류 패턴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날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또한, 특허문헌에 개시된 털이개에는, 인접하는 날개들에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연결체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체는 폐비닐이 털이개를 통과하면서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불필요하게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특허문헌에 개시된 연결체를 구비하는 털이개의 경우, 연결체에 폐비닐이 감기거나 걸려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다른 폐비닐의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함께, 특허문헌에 개시된 털이개의 경우, 털이개를 통과하면서 폐비닐과 폐비닐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에는 나선형 기류에 의해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이러한 원심력을 작용받는 폐비닐과 이물질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달라붙어 폐비닐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원심력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에 달라붙는 폐비닐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해 이물질 이외에 재활용 가능한 폐비닐이 함께 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생활계 폐비닐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물질 제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서 판상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 기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날개; 상기 날개의 일면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날개를 지지하는 리브; 및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나선형 기류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코너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코너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나선형 기류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떼어 내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기 가이드면은, 상기 코너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면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모서리, 제2 모서리 및 제3 모서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모서리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모서리는 상기 날개의 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모서리는 상기 리브의 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면과 연속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모서리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또는 상기 리브의 일면에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대향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유동 가이드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 자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면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모서리, 제2 모서리 및 제3 모서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모서리 중 두 모서리가 만나서 이루는 꼭짓점은 상기 코너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이물질을 하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제1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필터링 커버는, 상기 제1 토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제1 토출구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출구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 커버는, 상기 커버부재가 하우징의 하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상에 배치되는 필터링 커버 자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은, 생활계 폐비닐을 분쇄하는 분쇄 장치; 상기 분쇄 장치에 의해 분쇄된 상기 생활계 폐비닐에서 분진을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집진 장치; 상기 집진 장치에서 이송된 상기 생활계 폐비닐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및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이송된 상기 생활계 폐비닐을 압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압축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이물질 제거 장치는, 하우징의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외주면에서 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회전부재의 외주면, 날개의 일면 및 날개를 지지하는 리브의 일면에 의해 한정되고 나선형 기류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코너에는 유동 가이드가 설치된다. 유동 가이드는, 상기 코너를 덮도록 배치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발생하는 나선형 기류의 일부를 하우징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하는 나선형 기류의 일부가, 유동 가이드의 가이드면에 의해 하우징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가이드되어 하우징의 내주면에 지속적으로 부딪힘에 따라, 하우징 내주면에 달라붙어 있는 폐비닐 및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하우징 내주면에 폐비닐 및 이물질이 달라붙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필터링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필터링 커버는, 하우징의 입구에서 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토출구를 통해 재활용 가능한 폐비닐이 토출되는 경우에도, 폐비닐이 제2 토출구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되어 재활용 가능한 폐비닐이 이물질과 함께 폐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날개를 중심으로 이물질 제거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동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동 가이드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하부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의 하부에 필터링 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하우징 및 필터링 커버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물질 제거 장치(100)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1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10)은 분쇄 장치(11), 집진 장치(12), 이물질 제거 장치(100), 컨베이어(13) 및 압축기(14)를 포함한다.
분쇄 장치(11)는, 수거되는 폐비닐(V)을 분쇄하여 폐비닐(V)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M)을 1차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분쇄 장치(11)와 후술하는 집진 장치(12) 사이에는 분쇄 장치(11)에서 분쇄된 폐비닐(V)을 집진 장치(12)로 이송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11a)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10)은, 상기 분쇄 장치(11)의 전단에 마련되는 파봉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봉 장치는, 폐비닐(V)의 배출 시에 폐비닐(V)을 담아 놓은 봉지를 찢어 파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봉 장치는 상기 분쇄 장치(11)를 대신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집진 장치(12)는 분쇄 장치(11)에 의해 분쇄된 상기 생활계 폐비닐(V)에서 분진을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집진 장치(12)는 예를 들어, 사이클론(cyclo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은, 유체의 선회류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하는 분리장치를 의미한다.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집진 장치(12)에서 이송된 생활계 폐비닐(V)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111) 내에 배치되며 하우징(110)이 형성되는 일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부재(120)를 포함한다. 또한,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회전부재(120)의 회전 시에 나선형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하우징(110)의 수용부(111)로 들어오는 생활계 폐비닐(V)은 상기 나선형 기류를 타고 흐르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물질 제거 장치(1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컨베이어(13)는 이물질 제거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물질 제거 장치(100)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M)을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컨베이어(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베이어(13)의 밀폐형 구조에 의해 컨베이어(13)로 투입되는 이물질(M)이 컨베이어(13)의 외부로 흩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컨베이어(13)는 밀폐형 구조가 아닌 개방형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컨베이어(13)에는 이물질(M)이 유입되고 토출되는 컨베이어 입구(13a)와 컨베이어 출구(13b)가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14)는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100)에서 이송된 상기 생활계 폐비닐(V)을 압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물질 제거 장치(100)와 압축기(14) 사이에는 생활계 폐비닐(V)을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이송부(15)가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14)를 통해 이물질(M)이 제거된 폐비닐(V)은 일정 형태로 압축되어 폐비닐(V)의 재활용을 위한 다음 처리 단계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10)은 압축기(14)로부터 압축된 폐비닐(V)을 전달받아 용융 및 압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압출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를 통하여 펠릿(pellet) 형태의 폐비닐(V)을 원료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날개(130)를 중심으로 이물질 제거 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동 가이드(150)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3의 (a)는 후술하는 유동 가이드(150)가 설치되기 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의 (b)는 후술하는 유동 가이드(150)가 설치된 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도 4의 (a)는 유동 가이드(150)를 개념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유동 가이드(150)를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하우징(110), 회전 부재(120), 복수의 날개(130), 리브(140) 및 유동 가이드(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입구(110a)와 출구(110b)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의 입구(110a)와 출구(11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우징(110)의 입구(110a)와 출구(110b)는 하우징(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수용부(111)를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하우징(110)의 수용부(111)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115)가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도어(11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우징(110)의 수용부(111)가 개방되게 열린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물질 제거 장치(100)의 동작 중에는 하우징(110)의 수용부(111)를 덮어 가리도록 닫힌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115)를 통해 하우징(110)의 수용부(111)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재(1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상기 수용부(111) 내에 배치된다. 회전부재(120)는 수용부(111)의 상기 일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날개(130)는 회전부재(1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부재(120)의 회전 시에 나선형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날개(130)는 회전부재(120)의 외주면에서 판상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날개(1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30)는 상기 회전부재(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다만 날개(130)는 회전부재(120)의 외주면상에서 하나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회전부재(120)의 회전 시에 날개(130)에 의해 발생하는 나선형 기류와 별개로, 하우징(110)의 입구(110a)에서 출구(110b)로 흐르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로어(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수용부(111)로 공급되는 폐비닐(V)은 상기 나선형 기류와, 상기 블로어(15)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에 통해 하우징(110)의 입구(110a)에서 출구(110b)로 이동할 수 있다.
리브(140)는 날개(130)의 일면과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날개(1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리브(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130)의 일면의 중간 부분에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150)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나선형 기류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코너(C)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날개(130)의 일면 및 리브(140)의 일면에 의해 한정되는 부분은, 상기 리브(14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두 군데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코너(C)는, 상기 리브(14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두 군데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에 의해 한정되는 두 부분 중, 상기 나선형 기류와 마주보는 부분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유동 가이드(150)는 가이드면(150a)을 구비한다.
가이드면(150a)은 상기 코너(C)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나선형 기류의 일부를 하우징(110)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M)을 떼어 내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가이드면(150a)은 상기 코너(C)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면(150a)은 평면이 아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나선형 기류에 가해지는 저항이 줄어들어 상기 나선형 기류가 갖는 에너지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달라붙어 있는 폐비닐(V) 및 이물질(M)의 제거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폐비닐(V) 및 이물질(M)이 달라붙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면(150a)은,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 중 어느 하나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가이드면(150a)으로 연속되는 유동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폐비닐(V) 및/또는 이물질(M)이 유동 가이드(150)의 구조에 감기거나 끼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 가이드(150)는, 상기 가이드면(150a)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모서리(151a), 제2 모서리(151b) 및 제3 모서리(151c)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유동 가이드(150)는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유동 가이드(15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모서리(151a,151b,151c)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1 내지 제3 모서리(151a,151b,151c) 이외에 또 다른 모서리를 더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유동 가이드(150)는 삼각형이 아닌 다른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모서리(151a)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서리(151b)는 상기 날개(130)의 일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서리(151c)는 상기 리브(140)의 일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면(150a)과 연속되도록, 제1 내지 제3 모서리(151a,151b,151c)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또는 상기 리브(140)의 일면에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동 가이드(150)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 가이드(150)는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150)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 가이드(15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을 갖는 삼각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 가이드(15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동 가이드 자석(15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 자석(153)은 상기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유동 가이드 자석(153a), 제2 유동 가이드 자석(153b), 제3 유동 가이드 자석(153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 가이드(150)는, 유동 가이드(150)의 상기 가이드면(150a)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모서리(151a), 제2 모서리(151b) 및 제3 모서리(151c) 중 두 모서리가 만나서 이루는 꼭짓점이 상기 코너(C)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꼭짓점은 예를 들어, 제1 모서리(151a)와 제2 모서리(151b)가 만나는 제1 꼭짓점(151a'), 제2 모서리(151b)와 제3 모서리(151c)가 만나는 제2 꼭짓점(151b'), 제3 모서리(151c)와 제1 모서리(151a)가 만나는 제3 꼭짓점(151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 가이드(150)에서 상기 코너(C)의 외측으로 벗어나는 부분에 폐비닐(V)이 걸려 상기 나선형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폐비닐(V)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동 가이드(150)의 코너(C)의 외측으로 벗어나는 부분에 폐비닐(V)이 지속적으로 부딪힘에 따라 유동 가이드(150)가 상기 코너(C)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유동 가이드(150)의 다른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동 가이드(150)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동 가이드(150)는, 도 4에 도시된 삼각뿔 형상의 유동 가이드(150)와 달리, 판상의 삼각형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다.
유동 가이드(150)는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은 가이드면(150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은, 상기 가이드면(150a)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모서리(151a), 제2 모서리(151b) 및 제3 모서리(151c)를 기준으로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을 각각 마주보게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동 가이드(150)의 구조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삼각뿔 형상의 유동 가이드(150)와 비교하여, 유동 가이드(150)의 체적이 작게 형성되므로 유동 가이드(150)의 제작 시에 소재에 소요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유동 가이드(150)의 경우, 상기 코너(C)마다 그 형상이 조금씩 달라지는 경우에도,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을 벤딩시켜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을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날개(130)의 일면 및 리브(140)의 일면에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유동 가이드(150)는,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회전부재(120)의 외주면, 상기 날개(130)의 일면 및 상기 리브(14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동 가이드 자석(15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자석(153)은 상기 제1 내지 제3 대향면(152a,152b,152c)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유동 가이드 자석(153a), 제2 유동 가이드 자석(153b), 제3 유동 가이드 자석(153c)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필터링 커버(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110)의 하부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110)의 하부에 필터링 커버(160)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하우징 및 필터링 커버(160)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에는, 이물질(M)을 하우징(110)의 하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하우징(110)의 하부에 하우징(110)의 수용부(111)가 연장 형성되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제1 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이물질(M)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커버(160)가 결합된다.
상기 필터링 커버(160)는, 커버부재(161) 및 제2 토출구(162)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61)는 하우징(110)의 상기 제1 토출구(112)를 덮도록 배치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입구(110a)에서 하우징(110)의 출구(110b)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161)를 통과하지 못한 폐비닐(V)과 같은 물질들이 경사 구조에 의해 하우징(110)의 출구(110b) 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부재(161)의 측방향에는 커버부재(161)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물질(M)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161)의 일면에서 일정 높이 벽을 형성하는 사이드 월(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161)는 하우징(110)의 입구(110a) 측에 형성되는 제1 부분(161a)과, 제1 부분(161a)으로부터 연장되며 하우징(110)의 출구(110b)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부분(161b)과, 제2 부분(161b)에서 연장되며 하우징(110)의 출구(110b)에 형성되는 제3 부분(161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재(161)의 제1 부분(161a)과 제3 부분(161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저면과 수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162)는 커버부재(161)에 상기 제1 토출구(112)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출구(112)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제2 토출구(16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161)의 하부에는 제2 토출구(162)를 통과한 이물질(M)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3, 도 1 및 2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3)는 밀폐형 구조 또는 개방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출구(110b)에 인접한 상기 커버부재(161)의 단부에는 상기 제1 토출구(112)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토출구(162)를 통과하지 못한 폐비닐(V)과 같은 물질들을 수집하는 수집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집부(170)로 수거되는 물질들에서 폐비닐(V)을 재선별하여 재활용 원료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필터링 커버(160)는 필터링 커버 고정부(16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필터링 커버 고정부(163)는 하우징(110)에 커버부재(161)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링 커버 고정부(163)는 하우징(110)의 입구(110a)와 출구(110b) 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 고정부(163a)와 제2 고정부(16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163a)는 제1 고정 자석(163a1)과 제1 높이 조절 부재(163a2)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고정부(163b)는 제2 고정 자석(163b1)과 제2 높이 조절 부재(163b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 자석(163a1)과 제2 고정 자석(163b1)은 각각 자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하우징(110)의 입구(110a) 측과 출구(110b) 측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 자석(163a1)과 제2 고정 자석(163b1)은 각각 커버부재(161)의 상기 제1 부분(161a)과 제3 부분(161c)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부재(163a2)와 제2 높이 조절 부재(163b2)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자석(163a1,163b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부재(163a2)와 제2 높이 조절 부재(163b2)는 각각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부재(163a2)의 양단부는 제1 고정 자석(163a1)과 커버 부재(161)의 제1 부분(161a)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높이 조절 부재(163b2)의 양단부도 제2 고정 자석(163b1)과 커버 부재(161)의 제3 부분(161c)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커버 부재(161)와 하우징(110)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제1 고정부(163a)와 제2 고정부(163b)에 의해 일정 크기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161)와 하우징(11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된 공간을 통해 하우징(110)의 하부를 통해 토출되는 이물질(M)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커버 부재(161)의 제1 내지 제3 부분(161a,161b,161c)을 따라 이동하는 이물질(M)의 유동은 하우징(110)의 입구(110a)에서 출구(110b)를 향해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부재(161)의 경사진 부분을 형성하는 제2 부분(161b)의 경사각은, 제1 높이 조절 부재(163a2)와 제2 높이 조절 부재(163b2)의 길이를 각각 조절하는 것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161)의 제2 부분(161b)의 경사각을 다르게 조정하여, 수집부(170)로 수거되는 물질들의 수거 속도를 일부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11 : 분쇄 장치
12 : 집진 장치
13 : 컨베이어
14 : 압축기
15 : 블로어
100 : 이물질 제거 장치
110 : 하우징
111 : 수용부
112 : 제1 토출구
115 : 커버
120 : 회전부재
130 : 날개
140 : 리브
150 : 유동 가이드
150a : 가이드면
151a : 제1 모서리
151a' : 제1 꼭짓점
151b : 제2 모서리
151b' : 제2 꼭짓점
151c : 제3 모서리
151c' : 제3 꼭짓점
152a : 제1 대향면
152b : 제2 대향면
152c : 제3 대향면
153 : 유동 가이드 자석
153a : 제1 유동 가이드 자석
153b : 제2 유동 가이드 자석
153c : 제3 유동 가이드 자석
160 : 필터링 커버
161 : 커버부재
162 : 제2 토출구
163 : 필터링 커버 고정부
163a : 제1 고정부
163a1 : 제1 고정 자석
163a2 : 제1 높이 조절 부재
163b : 제2 고정부
163b1 : 제2 고정 자석
163b2 : 제2 높이 조절 부재
170 : 수집부
C : 코너
M : 이물질
V : 폐비닐

Claims (10)

  1. 생활계 폐비닐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물질 제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서 판상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 기류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날개;
    상기 날개의 일면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날개를 지지하는 리브; 및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나선형 기류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코너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코너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나선형 기류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떼어 내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코너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면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모서리, 제2 모서리 및 제3 모서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모서리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모서리는 상기 날개의 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모서리는 상기 리브의 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면과 연속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모서리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또는 상기 리브의 일면에 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대향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유동 가이드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 상기 날개의 일면 및 상기 리브의 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면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1 모서리, 제2 모서리 및 제3 모서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모서리 중 두 모서리가 만나서 이루는 꼭짓점은 상기 코너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이물질을 하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제1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필터링 커버는,
    상기 제1 토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제1 토출구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출구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커버는,
    상기 커버부재가 하우징의 하부에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상에 배치되는 필터링 커버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10. 생활계 폐비닐을 분쇄하는 분쇄 장치;
    상기 분쇄 장치에 의해 분쇄된 상기 생활계 폐비닐에서 분진을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집진 장치;
    상기 집진 장치에서 이송된 상기 생활계 폐비닐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이물질 제거 장치;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및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에서 이송된 상기 생활계 폐비닐을 압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KR1020210076732A 2021-06-14 2021-06-14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KR10230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32A KR102301111B1 (ko) 2021-06-14 2021-06-14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32A KR102301111B1 (ko) 2021-06-14 2021-06-14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111B1 true KR102301111B1 (ko) 2021-09-13

Family

ID=7779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32A KR102301111B1 (ko) 2021-06-14 2021-06-14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1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647A (ko) * 2008-03-18 2009-09-23 김용환 재활용품 분쇄물 탈수기
KR101274465B1 (ko) * 2013-03-20 2013-06-17 (주)장형기업 골재 버켓 타격 박리 장치
KR101590960B1 (ko) * 2015-07-21 2016-02-02 신화환경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파쇄 및 분리 선별장치
JP2016510266A (ja) * 2012-11-27 2016-04-07 アムト エセ.ピ.ア.Amut S.P.A. プラスチック材料からなる容器からラベルを連続的に除去する機械及び方法
KR101915279B1 (ko) * 2018-06-25 2018-11-05 주식회사 푸를청 건식 처리 기술을 통한 폐비닐의 재활용 공법
KR20190115331A (ko) * 2018-04-02 2019-10-11 김요환 폐비닐의 세척,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2251029B1 (ko) * 2020-10-30 2021-05-13 주식회사 성원리사이클 파쇄된 폐비닐의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647A (ko) * 2008-03-18 2009-09-23 김용환 재활용품 분쇄물 탈수기
JP2016510266A (ja) * 2012-11-27 2016-04-07 アムト エセ.ピ.ア.Amut S.P.A. プラスチック材料からなる容器からラベルを連続的に除去する機械及び方法
KR101274465B1 (ko) * 2013-03-20 2013-06-17 (주)장형기업 골재 버켓 타격 박리 장치
KR101590960B1 (ko) * 2015-07-21 2016-02-02 신화환경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파쇄 및 분리 선별장치
KR20190115331A (ko) * 2018-04-02 2019-10-11 김요환 폐비닐의 세척,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1915279B1 (ko) * 2018-06-25 2018-11-05 주식회사 푸를청 건식 처리 기술을 통한 폐비닐의 재활용 공법
KR102251029B1 (ko) * 2020-10-30 2021-05-13 주식회사 성원리사이클 파쇄된 폐비닐의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1087B2 (en) Comminution mill with cable impact arms
WO2000027535A1 (fr) Dispositif de triboelectrification
KR102301111B1 (ko)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JP2014136166A (ja) 残渣分別装置
JP2004154624A (ja) 防臭型異物分別機
KR101742442B1 (ko) 합성수지 원료의 분진제거장치
JPH06304491A (ja) 解砕・整粒機
CN102950052B (zh) 具有用来移动与出口相邻的被切碎材料的可转动装置的切碎机
JP2002095990A (ja) 粉砕分別機
KR102451577B1 (ko) 재생플라스틱 펠렛의 분진 제거장치
KR101886859B1 (ko) 세척수단을 구비한 폐전선의 재생 시스템
CN110861239A (zh) 一种高效塑料颗粒除尘分级装置
KR101294029B1 (ko) 폐전선의 분쇄 선별장치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KR102001630B1 (ko) 로터리 필터링 장치
JP3573633B2 (ja) 摩擦帯電装置
CN208697747U (zh) 一种废弃塑料粉碎装置
JP4579466B2 (ja) 樹脂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20080075242A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101493975B1 (ko) 퇴비 불순물 선별장치
KR102014900B1 (ko) 회전롤러를 이용한 정전선별장치
JP3540189B2 (ja) 回転式乾燥機
JPH1099785A (ja) 廃プラスチックの選別機及びその選別設備
CN109387071A (zh) 一种闪蒸干燥机
KR100734620B1 (ko) 분급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분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