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147B1 - 원사 거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사 거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147B1
KR102300147B1 KR1020210070284A KR20210070284A KR102300147B1 KR 102300147 B1 KR102300147 B1 KR 102300147B1 KR 1020210070284 A KR1020210070284 A KR 1020210070284A KR 20210070284 A KR20210070284 A KR 20210070284A KR 102300147 B1 KR102300147 B1 KR 102300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upport
frame
couple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대
김세아
김도예
Original Assignee
(주)덕신텍스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신텍스타일 filed Critical (주)덕신텍스타일
Priority to KR102021007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2Stand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6Annular guiding surfaces; Eyes, e.g. pig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36Floating elements compensating for irregularities in supply or take-up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60Damping means,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 거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과 천장 프레임과 맞닿게 결합되되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프레임을 포함하는 기둥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사 거치 시스템{Yarn mount system}
본 발명은 원사 거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인류 생활이 보다 윤택해지면서 다양한 소재의 섬유가 개발되어 생활에 편리함을 향상기켜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개성을 중요시해 독특한 섬유소재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다양하고 독특한 소재의 섬유원단을 재직하기 위해서 원사들을 합사 또는 연사하여 원단을 직조하기 위한 실을 제조해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사기 또는 합사기 장치들은 본 작업 공정에 진입하기 전에 외부로부터 원사를 공급받는 과정이 필요하다. 원사 거치 장치는 연사기 또는 합사기로 원사를 공급하기 위해 거치 또는 보관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원사 거치 장치의 경우 단순히 원사가 권취되어 있는 롤을 파이프형의 거치대에 끼워 놓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원사 거치 장치는 단순히 원사가 방출만 되므로 이동되는 장력이 느슨해져 원사가 쳐지는 경우 원사의 이동간에 원사가 절단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원사 거치 장치가 2종 이상의 원사를 방출하는 경우 연사기 또는 합사기로의 이동간에 서로 꼬이거나 얽히는 문제점도 있어 원단의 품질과 생산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배출수단과 실처짐방지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사의 긴장력이 떨어지더라도 이동되는 원사가 꼬이거나 뭉치지 않는 합사실을 제조할 수 있어 원단의 품질과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원사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충격흡수부를 도입하여 원사 거치 시스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있더라도 이동되는 원사가 손상 또는 절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원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사 거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프레임과 천장 프레임에 맞닿게 결합되되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프레임을 포함하는 기둥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전면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전면에 바닥과 천장프레임과 맞닿게 결합되되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원사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단에 결합되어 원사의 이동을 안내하는 실처짐방지장치; 및 상기 본체프레임부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처짐방지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단에 고정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일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안내홈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브라켓의 전방에 결합되어 원사의 이동간 이탈을 방지하며 지지간과 탄지간을 구비하는 안내간;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이들을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결합부재의 일측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부는, 복수개의 기둥프레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수직 결합되되 전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기둥프레임 우측으로 10~15도를 이루게 형성되며 제1원사가 배치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제 1원사배치막대; 및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수직 결합되되 전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기둥프레임 좌측으로 20~25도를 이루게 형성되며 제2원사가 배치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제 2원사배치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고정 결합되는 배출프레임; 상기 배출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원사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된 제1원사의 실을 배출하는 제 1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프레임의 전면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원사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된 제2원사의 실을 배출하는 제 2배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수단은, 평면상으로 장력조절넛을 갖춘 한 쌍의 이송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의 양측에는 각각 수직상의 배출구와 안내구를 갖춘 원반형의 안내판을 설치하여, 상기 실처짐방지장치를 통과하여 수직상으로 이송되는 원사가 수평상으로 굽이돌아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하면에 원형으로 제 1삽입홈이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상부받침; 상면에 원형으로 제 2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받침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기 상부받침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하부받침; 상기 제 1삽입홈 또는 제 2삽입홈에 상부 또는 하부가 각각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 내부가 빈 탄성 재질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내측 공간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지지체; 나사산 형태의 상부가 상기 상부받침과 나사 결합되면서 상측 말단이 상기 상부받침의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가 빈 사각형 형태의 제 1연결링이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체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 1볼트; 및 나사산 형태의 하부가 상기 하부받침과 나사 결합되면서 하측 말단이 상기 하부받침의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가 빈 사각형 형태의 제 2연결링이형성되는 상부가 상기 제 1연결링과 체결되어 상기 지지체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 2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연결링 또는 제 2연결링은, 서로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직각 배치되도록 체결되며, 서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서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시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부하를 걸어줄 수 있도록 다른 연결링과 체결되는 상측 또는 하측 공간에 서브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배출수단과 실처짐방지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사의 긴장력이 떨어지더라도 이동되는 원사가 꼬이거나 뭉치지 않는 합사실을 제조할 수 있어 원단의 품질과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를 도입하여 원사 거침 시스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있더라도 이동되는 원사가 손상 또는 절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원사를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의 실처짐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의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의 연결링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의 서브탄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A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의 실처짐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의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의 연결링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의 서브탄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사 거치 시스템(10)은, 본체프레임부(100), 기둥부(200) 및 배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프레임부(10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갖을 수 있다.
기둥부(200)는, 본체프레임부(100)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바닥프레임과 천장프레이미에 맞닿게 결합되되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배출부(300)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전면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프레임부(100)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 실처짐방지장치(120) 및 충격흡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은, 본체프레임부(100)의 전면에 바닥프레임과 천장프레임에 맞닿게 결합되되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실처짐방지장치(120)는, 원사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의 중단에 결합되어 원사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원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실처짐방지장치(120)는, 브라켓(121), 지지부(123), 안내간(126) 및 결합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21)은, 결합부재(127)에 의해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의 중단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21)은 지지부(123)를 갖도록 절곡될 수 있다.
지지부(123)는, 브라켓(121)의 일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안내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간(126)은, 브라켓(121)의 전방에 결합되어 원사의 이송간 이탈을 방지하며 지지간(124)과 탄지간(12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127)는, 브라켓(121)과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결합시키며, 결합부재(127)의 일측 상부에는 경사면(1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처짐방지장치(120)는, 원사를 브라켓(121)의 지지부(123)의 안내홈(122)과 결합부재(127)에 삽입함과 아울러 안내간(126)의 지지간(124)과 탄지간(125) 사이에 삽입한 후, 하기 설명하는 배출수단(340)으로 항상 한가닥만 이동되므로 실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27)는 합성수지소재로 성형되고 표면이 오렌지 표면의 형상과 같이 미세한 볼록면의 연속으로 형성되어 이송되는 원사에 작용되는 마찰을 줄어들게 한다. 따라서, 마찰력으로 인한 원사 이송속도 감소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여 실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200)는, 복수개의 기둥프레임(210), 제 1원사배치막대(220) 및 제 2원사배치막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원사배치막대(220)는, 복수개의 기둥프레임(210)의 우측 방향으로 10~15도를 이루게 설치되며 제 1원사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원사배치막대(230)는, 복수개의 기둥프레임(210)의 좌측 방향으로 20~25도를 이루게 설치되며 제 2원사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원사배치막대(230)와 복수개의 기둥프레임(210)이 이루는 각도가 제 1원사배치막대(220)와 복수개의 기둥프레임(210)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므로, 제 2원사배치막대(230)에는 제 1원사배치막대(220)에 배치되는 원사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원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이 다른 각도를 갖으므로써 합사되는 제 1원사와 제 2원사간의 위치가 최대로 가까워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원사의 이송속도의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300)는, 배출프레임(310), 제 1배출수단(320) 및 제 2배출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프레임(310)은, 본체프레임부(100)의 전면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1배출수단(320)은, 배출프레임(310)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고 실처짐방지장치(120)를 통해 이동된 제 1원사의 실을 배출할 수 있다.
제 2배출수단(330)은, 배출프레임(310)의 전면 타측에 결합되고 실처짐방지장치(120)를 통해 이동된 제 2원사의 실을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340)은, 장력조절넛(341), 한 쌍의 이송롤러(343) 및 안내판(349)을 포함할 수 있다.
장력조절넛(341)은, 한 쌍의 이송롤러(343)의 상부에 위치하며 롤러축에 이송롤러(343)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안내판(349)은, 원반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이송롤러(343)의 양측에 각각 수직상의 배출구(345)와 안내구(347)를 구비하며 설치되고, 실처짐방지장치(120)를 통과하여 수직상으로 이송되는 원사(S)가 수평상으로 굽이돌아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장력조절넛(341)이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이송롤러(343)는 도면상 미도시 되었은아 단면상 “V”자 홈을 이루고 있어 한 쌍의 이송롤러(343)를 굽이돌아 이송되는 원사(S)는 “V”자 홈에 끼워져 일정한 장력으로 이송됨으로 그 표면이 압착되어 매끈하게 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이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 처짐, 손상 또는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장력조절넛(341)은, 이를 조이거나 풀어서 이송롤러(343)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송되는 원사(S)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400)는, 상부받침(410), 하부받침(420), 탄성체(430), 지지체(440), 제 1볼트(450) 및 제 2볼트(460)를 포함한다.
상부받침(410)은, 하면에 원형으로 제 1삽입홈(412)이 형성되며,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받침(420)과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430) 및 지지체(440)에 의하여 하부받침(42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된다.
이때, 상부받침(410)은, 제 1볼트(45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삽입되어 상측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 1볼트(45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태의 나선공을 적어도 하나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부받침(410)의 상측면만이 도시 되었으나, 상부받침(410)의 하측면에 제 2삽입홈(422)과 동일한 형태의 제 1삽입홈(412)이 제 2삽입홈(422)과 대향하고 형성될 것이다.
하부받침(420)은, 상면에 원형으로 제 2삽입홈(422)이 형성되며, 탄성체(430) 및 지지체(440)에 의해 상부받침(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부받침(410)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받침(410) 또는 하부받침(420)은, 함체 또는 벽체에 체결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공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체(430)는, 제 1삽입홈(412) 또는 제 2삽입홈(422)에 상부 또는 하부가 각각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며, 내측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체(440)가 밀착되게 삽입된다.
탄성체(430)는, 제 1삽입홈(412)과 제 2삽입홈(422)의 내측에 하단과 상단이 끼워지는 것으로, 지면과 본체프레임부(100)의 하부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탄성체(430)는 그 탄성력이 제 2볼트(460)와 제 1볼트(450)의 하부받침(420)과 상부받침(410)에 대한 나사 결합 간격에 의해 조절되고, 그에 따라 탄성체(430)의 가압 탄성력에 의해 본 충격흡수부(400)의 충격 또는 진동흡수 능력, 즉 충격을 견디는 힘이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프레임부(100)의 소재, 중량, 원사의 종류 및 무게 등에 따라 제 2볼트(460)와 제 1볼트(450)에 의한 하부받침(420)과 상부받침(410)의 배치 간격을 조절하여 충격 흡수 성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체(440)는, 우레탄 고무 재질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체(430)의 내측 공간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내측 공간에 제 1볼트(450) 및 제 2볼트(46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지지체(440)는, 특히 상하로 탄성체(430)의 내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탄성체(430)의 탄성 거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부받침(410)과 하부받침(420)의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탄성체(430)와 함께 충격 또는 진동 흡수 능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 1볼트(450)는, 나사산 형태의 상부가 상부받침(410)의 나선공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측 말단이 상부받침(4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내부가 빈 사각형 형태의 제 1연결링(452)이 형성되는 하부가 지지체(44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제 2볼트(460)는, 나사산 형태의 하부가 하부받침(420)과 나사 결합되면서 하측 말단이 하부받침(420)의 외부로 노출되어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내부가 빈 사각형 형태의 제 2연결링(462)이 형성되는 상부가 제 1연결링(452)과 체결되어 지지체(44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연결링(452) 또는 제 2연결링(462)은, 서로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직각되도록 교차 배치되어 체결되며, 상측 또는 하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서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축 또는 신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연결링(452) 또는 제 2연결링(462)은, 서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시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부하를 걸어줄 수 있도록 다른 연결링과 체결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상측 또는 하측 공간에 서브탄성체(470)를 구비한다.
즉, 서브탄성체(470)는, 제 1연결링(452) 또는 제 2연결링(462)의 상하 길이가 수축하게 되는 경우, 제 1연결링(452)이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제 2연결링(462)이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연결링 간의 이동을 저지하여 충격 흡수하는 탄성체(430)와 지지체(440)가 함께 추가적으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흡수부(400)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해지고, 진동 및 충격 흡수 능력이 보다 향상되어 작동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연결링 사이의 간격 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져 설치 및 조립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원사 거치 시스템(10)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원사(S)의 손상 또는 절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여러 구조체를 이용하여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충격 또는 진동 흡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원사 거치 시스템
100. 본체프레임부
200. 기둥부
300. 배출부
400. 충격흡수부

Claims (4)

  1.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프레임과 천장 프레임에 맞닿게 결합되되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프레임을 포함하는 기둥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전면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전면에 바닥프레임과 천장프레임에 맞닿게 결합되되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원사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단에 결합되어 원사의 이동을 안내하는 실처짐방지장치; 및
    상기 본체프레임부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처짐방지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단에 고정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일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안내홈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브라켓의 전방에 결합되어 원사의 이동간 이탈을 방지하며 지지간과 탄지간을 구비하는 안내간;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서 이들을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둥부는,
    복수개의 기둥프레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수직 결합되되 전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기둥프레임 우측으로 10~15도를 이루게 형성되며 제 1원사가 배치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제 1원사배치막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수직 결합되되 전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기둥프레임 좌측으로 20~25도를 이루게 형성되며 제 2원사가 배치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제 2원사배치막대;를 포함하는, 원사 거치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전면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고정 결합되는 배출프레임;
    상기 배출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실처짐방지장치를 통해 이동된 제 1원사의 실을 배출하는 제 1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프레임의 전면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실처짐방지장치를 통해 이동된 제 2원사의 실을 배출하는 제 2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단은,
    평면상으로 장력조절넛을 갖춘 한 쌍의 이송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의 양측에는 각각 수직상의 배출구와 안내구를 갖춘 원반형의 안내판을 설치하여,
    상기 실처짐방지장치를 통과하여 수직상으로 이송되는 원사가 수평상으로 굽이돌아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거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하면에 원형으로 제 1삽입홈이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상부받침;
    상면에 원형으로 제 2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받침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기 상부받침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하부받침;
    상기 제 1삽입홈 또는 제 2삽입홈에 상부 또는 하부가 각각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
    내부가 빈 탄성 재질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내측 공간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지지체;
    나사산 형태의 상부가 상기 상부받침과 나사 결합되면서 상측 말단이 상기 상부받침의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가 빈 사각형 형태의 제 1연결링이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체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 1볼트; 및
    나사산 형태의 하부가 상기 하부받침과 나사 결합되면서 하측 말단이 상기 하부받침의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가 빈 사각형 형태의 제 2연결링이형성되는 상부가 상기 제 1연결링과 체결되어 상기 지지체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 2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연결링 또는 제 2연결링은,
    서로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직각 배치되도록 체결되며, 서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서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시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부하를 걸어줄 수 있도록 다른 연결링과 체결되는 상측 또는 하측 공간에 서브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거치 시스템
KR1020210070284A 2021-05-31 2021-05-31 원사 거치 시스템 KR102300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84A KR102300147B1 (ko) 2021-05-31 2021-05-31 원사 거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84A KR102300147B1 (ko) 2021-05-31 2021-05-31 원사 거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147B1 true KR102300147B1 (ko) 2021-09-09

Family

ID=7777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284A KR102300147B1 (ko) 2021-05-31 2021-05-31 원사 거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1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71B1 (ko) * 2009-03-17 2012-01-18 나정통상 주식회사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KR101497727B1 (ko) * 2007-06-14 2015-03-03 레인하르드 쾨니그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 재료를 이용하여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
KR102096950B1 (ko) * 2018-10-30 2020-05-27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토목섬유 원사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27B1 (ko) * 2007-06-14 2015-03-03 레인하르드 쾨니그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 재료를 이용하여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
KR101106771B1 (ko) * 2009-03-17 2012-01-18 나정통상 주식회사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KR102096950B1 (ko) * 2018-10-30 2020-05-27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토목섬유 원사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147B1 (ko) 원사 거치 시스템
CN109399382A (zh) 一种安装于多股并线机的导料架
CN110950176A (zh) 一种化纤丝生产用张力调节控制机构
KR0154892B1 (ko) 실 브레이크
CN111020851B (zh) 一种大圆机的纱线张紧装置
CN114921984A (zh) 一种抗摩擦多股绳缆编织机
US6564538B2 (en) Spinning apparatus and method and hollow guide shaft member for spinning
CN216181043U (zh) 一种打孔机用进料装置
US5927629A (en) Anti-static tension device
KR101739471B1 (ko)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CN211620770U (zh) 一种大圆机的张紧装置
CN212024386U (zh) 一种纺织机导纱结构
US4179957A (en) Apparatus for damping noise in bar-feeding devices of screw-cutting machines
US4290565A (en) Yarn tension device
US3003523A (en) Picker stick check strap
CN107010479B (zh) 一种新型络筒机
CN219731261U (zh) 一种扁平纱轴放置发射架
CN212316337U (zh) 一种整经机用的断线报警装置
CN218932491U (zh) 一种导纱机构
CN217077897U (zh) 防止纤维缠绕装置、喂棉辊、气压棉箱以及梳棉机
KR100251374B1 (ko) 텐션장치 및 텐션장치를 설치한 섬유기계
CN116536845B (zh) 自适应张力调整机构及超细纤维弹性针织布生产用经编机
CN220906846U (zh) 软管导向架及排管器
DE4400005C1 (de) Vorrichtung zum Spannen der Kettfäden vor dem Webfach einer Rundwebmaschine
CN213652766U (zh) 一种导丝轮安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