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771B1 -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771B1
KR101106771B1 KR1020090022730A KR20090022730A KR101106771B1 KR 101106771 B1 KR101106771 B1 KR 101106771B1 KR 1020090022730 A KR1020090022730 A KR 1020090022730A KR 20090022730 A KR20090022730 A KR 20090022730A KR 101106771 B1 KR101106771 B1 KR 10110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ub
manufacturing apparatus
rubbish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359A (ko
Inventor
박범진
Original Assignee
나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정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7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38Driving-gear; Starting or stopp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48Auxiliar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와 그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자인 정보인 다수의 인식공이 형성된 환형의 문지로부터 상기 디자인 정보를 인식하는 문지인식부와, 상기 문지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디자인 정보에 의해 원사를 기계적으로 꼬아 상기 디자인의 직물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직조부를 구비하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지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여 받쳐주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문지의 다른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여 받쳐주는 상부받침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하부받침대에 받쳐진 부분의 문지를 끌어올려 상기 상부받침대로 공급하는 상향이송수단; 상기 상부받침대에 받쳐진 부분의 문지를 상기 문지인식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받침대로 공급하는 하향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와, 이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문지, 이송, 디자인

Description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Torchon lace machine that is able to use a large amount of punch cards, method for weaving fabrics by the machine.}
본 발명은, 문지의 둘레 길이가 길어져 문지의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작업장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점유하고 문지의 파손 없이 원활하게 직물을 직조할 수 있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와 그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이스(lace)는 구멍이 뚫린 모양의 성글게 짠 편물을 의미하며 그 제조방법과 재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고 있다. 제조방법에 따른 레이스의 구분에서, 토션 레이스(torchon lace)라 하면 여러 가닥의 원사(原絲)를 꼬아서 제조되어 마치 손으로 직접 뜨개질한 것 같은 느낌을 주는 레이스를 의미한다.
도 1에는 상기 토션 레이스를 제조하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는 환형의 문지(2)로부터 디자인 정보를 인식하는 문지인식부(3)와, 상기 문지인식부(3)에 의해 인식된 디자인 정보에 의해 원사(S)를 기계적으로 꼬아 상기 디자인의 직물(9)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직조부(4)를 구비한다.
상기 문지(2)는 환형의 띠로서, 디자인 정보인 다수의 인식공(5)과 둘레방향을 따라 전둘레에 걸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이송공(6)을 구비하고 있으며, 환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문지인식부(3)를 경유하여 무한궤도 형식으로 계속 회전하게 된다.
상기 문지인식부(3)는, 상기 문지(2)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로드(7)와, 상기 문지(2)의 이송공(6)에 결합되는 이송돌기(8a)에 의하여 상기 문지(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견인롤러(8)를 구비하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 10-0483572)에 개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문지(2)의 인식공(5)에 상기 로드(7)의 단부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문지(2)를 상기 견인롤러(8)에 의해 회전시키면 문지(2) 표면의 천공 유무에 따라 상기 로드(7)의 단부가 인식공(5)에서 전후진하면서 상기 디자인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문지인식부(3)의 로드(7)가 전후진하면, 상기 로드(7)에 연결된 다수의 링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로드(7)의 움직임이 상기 직조부(4)의 스핀들 구동기구(미도시)에 전달되어 상기 원사(S)가 감겨진 보빈(B)이 장착된 스핀들(미도시)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직조부(4)에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 10-0355717)에 개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원사(S)를 안내하는 대·소의 나이프(미도시)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일정한 각도로 다수의 나이프안내홈(미도시)을 형성하여서 된 나이프가이드(미도시)의 나이프안내홈을 통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작용을 적 절히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보빈(B)을 스핀들에 장착하고, 상기 스핀들의 회전과 상기 대·소나이프, 그리고 상기 나이프가이드의 작용에 의해 직물(9)을 직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문지(2)의 둘레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단순한 디자인의 직물(9)을 반복해서 생산할 수 밖에 없고, 상기 문지(2)의 둘레 길이가 길어지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둘레를 가지는 문지(2)보다 다양한 디자인이 포함된 직물(9)을 반복해서 직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문지(2)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경우, 상술한 종래의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에서는, 상기 문지(2)가 작업장의 지면에 수북하게 쌓이게 되고, 이렇게 쌓인 문지(2)는 자체적인 무게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상기 견인롤러(8)에 의하여 끌어올려지기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문지(2)는 보통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막대를 실로 엮어서 만들어지는데, 상기 문지(2) 무게의 증가로 인하여 상기 견인롤러(8)에 의하여 당겨지는 문지(2)의 장력이 증가할 경우에는 상기 문지(2)를 구성하는 실이 끊어지거나 상기 종이 재질의 막대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문지(2)가 작업장의 지면에 수북하게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장에 넓게 펼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상기 문지(2)가 차지하는 작업장 지면의 넓이가 과도하게 넓어져서 작업자의 동선이 제한되고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의 전체적인 설치공간이 과도하게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종래의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에서는 비교적 짧은 길이의 둘레를 가지는 문지(2)만을 사용하여 단순한 디자인이 반복되는 직물(9) 예컨대 의류에 부착되는 레이스와 같은 부자재에 한정하여 생산하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비교적 긴 길이의 둘레를 가지는 문지(2)가 요구되는 복잡한 디자인의 직물(9) 예컨대 사람의 목에 두르는 목도리와 같은 완제품 생산에는 사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문지의 둘레 길이가 길어져 문지의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작업장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점유하고 문지의 파손 없이 원활하게 직물을 직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된 바와 같은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는, 디자인 정보인 다수의 인식공이 형성된 환형의 문지로부터 상기 디자인 정보를 인식하는 문지인식부와, 상기 문지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디자인 정보에 의해 원사를 기계적으로 꼬아 상기 디자인의 직물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직조부를 구비하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지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여 받쳐주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문지의 다른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여 받쳐주는 상부받침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하부받침대에 받쳐진 부분의 문지를 끌어올려 상기 상부받침대로 공급하는 상향이송수단; 상기 상부받침대에 받쳐진 부분의 문지를 상기 문지인식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받침대로 공급하 는 하향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 방법은 상기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문지를 하부받침대와 상부받침대에 나누어서 수납함으로써, 문지의 둘레 길이가 길어져 문지의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작업장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점유하고 문지의 파손 없이 원활하게 직물을 직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의 상부받침대가 상향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의 상부받침대가 하향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00)는, 환형의 문지(2)로부터 인식된 디자인 정보에 의하여 원사(原 絲)(S)를 기계적으로 꼬아 직물(9)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장치로서, 문지인식부(3)와, 직조부(4)와, 프레임(10)과, 상향이송수단과, 하향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문지(2)와, 문지인식부(3)와, 직조부(4)는 상기 종래의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문지(2)를 수납하여 지지하기 위한 틀 형상의 구조물로서, 하부받침대(11)와, 상부받침대(12)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받침대(11)는, 상기 문지(2)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여 받쳐주는 판상 부재로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받침대(11)는, 상기 문지인식부(3)에서 하방으로 배출되는 문지(2)를 부드럽게 수납할 수 있도록 곡선형태로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부받침대(12)는, 상기 하부받침대(11)의 상방에 위치하는 판상 부재로서, 힌지(16)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문지(2)의 다른 일부, 즉 상기 하부받침대(11)에 수납된 문지(2)를 제외한 나머지의 문지(2)를 일시적으로 수납하여 받쳐준다.
상기 상부받침대(12)는, 이에 수납된 문지(2)가 상기 문지인식부(3)에 부드럽게 공급될 수 있도록 곡선형태로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부받침대(12)는, 미리 설정된 상향위치(도 5에 도시된 위치)와 하향위치(도 6에 도시된 위치)의 범위내에서 상기 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대(12)의 하부와 상기 프레임(10) 사이에는, 상기 상부받침대(12)를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며, 상기 상부받침대에 의해 받쳐진 문지의 무게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1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받침대(12)에 상기 문지(2)가 일정량 이하로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13)에 의하여 상기 상부받침대(12)가 상기 상향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상부받침대(12)에 상기 문지(2)가 일정량 이상으로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납된 문지(2)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상부받침대(12)가 상기 하향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향위치감지센서(14)는, 상기 상부받침대(12)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상기 상부받침대(12)가 상기 상향위치에 위치할 때, 후술하는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향위치감지센서(14)로서는, 상기 상부받침대(12)가 접촉함으로써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하향위치감지센서(15)는, 상기 상부받침대의 위치(12)를 감지하며, 상기 상부받침대(12)가 상기 하향위치에 위치할 때, 후술하는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의 정지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향위치감지센서(15)로서는, 상기 상부받침대(12)가 접촉함으로써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상향이송수단은, 상기 하부받침대(11)에 받쳐진 부분의 문지(2)를 끌어올려 상기 상부받침대(12)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이송롤러(21)와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롤러(21)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단면의 롤러로서, 8개의 이송돌기(22)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돌기(22)는, 상기 이송롤러(21)의 양단부의 둘레 각면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는 돌기로서, 상기 이송롤러(21)의 회전시에 상기 문지(2)에 형성된 이송공(6)들에 순차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21)의 일단에는 피동스프라켓(2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는, 상기 이송롤러(21)에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서, 상기 상향위치감지센서(14)및 상기 하향위치감지센서(15)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상향위치감지센서(14)가 작동하면 상기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는 작동을 개시하고, 상기 하향위치감지센서(15)가 작동하면 상기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는 정지하게 된다.
상기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의 동력은, 상기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에 연결된 구동스프라켓(25)과, 상기 구동스프라켓(25)에 연결된 체인(24)과 상기 체인(24)에 연결된 피동스프라켓(26)에 의하여, 상기 이송롤러(21)에 전달된다.
상기 하향이송수단은, 상기 상부받침대(12)에 받쳐진 부분의 문지(2)를 상기 문지인식부(3)의 로드(7) 부분을 경유하여 상기 하부받침대(13)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종래의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에서 이미 설명한 문지인식부(3)의 견인롤러(8)와 이송돌기(8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직물(9) 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받침대(12)가 하향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향위치감지센서(15)가 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00)에 전원을 가하면, 상기 직조부(4)와, 상기 문지인식부(3)가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 견인롤러(8)는 상기 상부받침대(12)에 일시적으로 수납되어 있는 상기 문지(2)를 끌어당겨서 상기 문지인식부(3)의 로드(7)에 공급하게 된다. (문지공급단계)
상기 문지인식부(3)의 로드(7)가 상기 문지(2)의 인식공(5)을 인식하게 되며, 이렇게 인식된 디자인 정보는 상기 로드(7)에 연결된 다수의 링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직조부(4)로 전달된다. (문지인식단계)
상기 문지인식단계에서 인식된 디자인 정보에 의해 상기 직조부(4)는 원사(S)를 기계적으로 꼬아 직물을 직조하게 된다.(직조단계)
상기 견인롤러(8)는 상기 문지인식부(3)의 로드(7)에 공급된 문지(2)를 상기 하부받침대(11)로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배출된 문지(2)는 상기 하부받침대(11)에 일시적으로 수납된다. (하향이송단계)
상기 견인롤러(8)가 상기 상부받침대(12)에 일시적으로 수납되어 있던 문지(2)를 상기 하부받침대(11)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상부받침대(12)에 수납되어 있던 문지(2)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면, 상기 상부받침대(12)는 상기 스프링(13)에 의하여 상기 상향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향위치감지센서(14)가 작동하게 됨으 로써 상기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가 작동을 개시하여 상기 이송롤러(2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송롤러(21)의 회전으로 상기 하부받침대(11)에 수납된 문지(2)가 끌어 올려져 상기 상부받침대(12)로 공급된다. 이렇게 상부받침대(12)로 공급된 문지(2)의 무게가 증가하여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상부받침대(12)는 상기 하향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향위치감지센서(15)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23)는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부받침대(12)의 반복되는 상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받침대(12)에 수납되는 문지(2)의 무게는 적절한 양을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상향이송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들이 서로 연계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동일한 디자인의 직물(9)이 반복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00)는, 문지(2)를 상기 하부받침대(11)와 상부받침대(12)에 나누어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문지(2)의 둘레 길이가 길어져 문지(2)의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작업장 바닥에 문지(2)를 늘어놓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장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점유하고, 작업자의 동선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지(2)가 긴 경우에도, 종래의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와 달리, 문지(2)를 작업장의 지면에 수북하게 쌓아 놓지 않고 상기 하부받침대(11)와 상부받침대(12)에 나누어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견인롤러(8)에 의하여 당겨지는 문지(2)의 장력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므로, 상기 문지(2)를 구성하는 실이 끊어지거나 상기 종이 재질의 문지(2)가 파손되지 않고, 상기 견인롤러(8)에 의하여 문 지(2)가 용이하게 끌어 올려질 수 있으므로 원활하게 직물(9)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장점들로 인하여, 상기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00)는 둘레의 길이가 긴 문지(2)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렇게 둘레의 길이가 긴 문지(2)를 사용하게 되면, 단순한 디자인의 반복이 아닌 복잡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직물 예컨대 사람의 목에 두르는 목도리와 같은 완제품 생산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목에 둘러지는 본체(9a)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수술(9b)을 구비하는 목도리(9m)를 생산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100)와 충분히 길이가 긴 문지(2)를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목도리(9m)가 연결된 직물(9)을 용이하게 제조한 후, 상기 직물(9)을 절취선(C)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상기 목도리(9m)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지(2)에는 상기 목도리(9m) 전체의 디자인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9a)에는 단순한 디자인이 반복되는 경우 뿐 아니라 복잡하고 정교한 단일 디자인도 삽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의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의 문지가 길어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의 상부받침대가 상향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의 상부받침대가 하향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목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2 : 문지
5 : 인식공 6 : 이송공
8 : 견인롤러 10 : 프레임
11 : 하부받침대 12 : 상부받침대
13 : 스프링 14 : 상향위치감지센서
15 : 하향위치감지센서 21 : 이송롤러
22 : 이송돌기 23 :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
24 : 체인 25 : 구동스프라켓
26 : 피동스프라켓 9 : 직물
9m : 목도리 9a : 본체
9b : 수술 S : 원사
B : 보빈

Claims (6)

  1. 디자인 정보인 다수의 인식공이 형성된 환형의 문지로부터 상기 디자인 정보를 인식하는 문지인식부와, 상기 문지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디자인 정보에 의해 원사를 기계적으로 꼬아 상기 디자인의 직물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직조부를 구비하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지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여 받쳐주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문지의 다른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여 받쳐주는 상부받침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하부받침대에 받쳐진 부분의 문지를 끌어올려 상기 상부받침대로 공급하는 상향이송수단;
    상기 상부받침대에 받쳐진 부분의 문지를 상기 문지인식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받침대로 공급하는 하향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지에는, 그 문지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둘레에 걸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이송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향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시에 상기 문지에 형성된 이송공들에 순차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이송돌기를 가지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롤러에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롤러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대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받침대를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며, 상기 상부받침대에 의해 받쳐진 문지의 무게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수단;
    상기 상부받침대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상부받침대가 미리 설정된 상향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상향이송수단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향위치감지센서;
    상기 상부받침대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상부받침대가 미리 설정된 하향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상향이송수단의 정지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하향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하향이송수단이 상기 상부받침대에 수납된 문지를 상기 문지인식부로 공급하는 문지공급단계;
    상기 문지인식부가 상기 하향이송수단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문지로부터 상 기 디자인 정보를 인식하는 문지인식단계;
    상기 직조부가 상기 인식된 디자인 정보에 의해 원사를 기계적으로 꼬아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단계;
    상기 하향이송수단이 상기 문지인식부에 공급된 문지를 상기 하부받침대로 공급하는 하향이송단계;
    상기 상향이송수단이 상기 하부받침대에 수납된 문지를 끌어올려 상기 상부받침대로 공급하는 상향이송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동일한 디자인의 직물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90022730A 2009-03-17 2009-03-17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KR10110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730A KR101106771B1 (ko) 2009-03-17 2009-03-17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730A KR101106771B1 (ko) 2009-03-17 2009-03-17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59A KR20100104359A (ko) 2010-09-29
KR101106771B1 true KR101106771B1 (ko) 2012-01-18

Family

ID=4300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730A KR101106771B1 (ko) 2009-03-17 2009-03-17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147B1 (ko) * 2021-05-31 2021-09-09 (주)덕신텍스타일 원사 거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964B1 (ko) * 2014-04-09 2015-06-11 오찬혁 주름패턴을 갖는 직물의 제직방법과 제직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051A (ja) * 1995-04-13 1996-10-29 Nippon Mayer Kk トーションレース機におけるスピンドルプレートの駆動装置と該装置による編組方法
KR200255852Y1 (ko) 2001-08-25 2001-12-20 김영길 복합사 직조 수세미 편직기
KR20020055852A (ko) * 2000-12-29 2002-07-10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된 통신 회로기판
JP2006009175A (ja) 2004-06-23 2006-01-12 Wadanobutex:Kk トーションレース機用付属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051A (ja) * 1995-04-13 1996-10-29 Nippon Mayer Kk トーションレース機におけるスピンドルプレートの駆動装置と該装置による編組方法
KR20020055852A (ko) * 2000-12-29 2002-07-10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된 통신 회로기판
KR200255852Y1 (ko) 2001-08-25 2001-12-20 김영길 복합사 직조 수세미 편직기
JP2006009175A (ja) 2004-06-23 2006-01-12 Wadanobutex:Kk トーションレース機用付属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147B1 (ko) * 2021-05-31 2021-09-09 (주)덕신텍스타일 원사 거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59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9220T3 (es) Método de fabricación y dispositivo de fabricación de un haz de fibras de fibras divididas parcialmente y haz de fibras de fibras divididas parcialmente
JP4209899B2 (ja) 繊維帯を編機に供給するための繊維帯供給装置
EP2909120B1 (en) Dragging element for dragging web materials.
CN105937075B (zh) 络交装置
TW201012994A (en) Loom for producing a woven article with a profiled cross section, in particular a rope
KR101900468B1 (ko) 매트직조기와 이에 의해 제조된 매트
EP1939340A1 (en) A yarn-feeding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106771B1 (ko)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EP3901343A1 (en) An insertion device of yarn-like articles for a flat knitting machine
CN101827964B (zh) 用于制造花色线的装置
ITFI990118A1 (it) Orditoio per campioni a controllo elettronico
JPH08503266A (ja) テクスタイル帯をクロシェット編みによって製造するための経編み機と、この経編み機によって製造されるゴム状弾性帯
CN101310055B (zh) 横机的经纱切断及保持方法以及装置
CN101173415B (zh) 通过编织-拆线来处理线的方法以及线处理作业线
US7117897B2 (en) Method and face-to-face weaving machine for face-to-face weaving of an upper and lower fabric
JP2005240251A (ja) 経編機における編地巻き取り装置、及びその巻き取り方法
ES2209818T3 (es) Metodo y equipo para parear o intercalar dos o mas hilos al ser introducidos en maquinas textiles utilizadas para articulos de punto, tejidos de punto y similares.
US4870839A (en) Apparatus for deknitting elastic yarns
US2023515A (en) Thread feeding mechanism
ES2718243T3 (es) Dispositivo de estirado para armazón de hilado
KR100959360B1 (ko) 동선직입 테이프 제조장치
CN103030031A (zh) 制造交叉卷绕筒子的纺织机工位的吸嘴的针排
JP2006348420A (ja) 繊維コードの結節方法及び結節装置
CN101294332B (zh) 具有弹力纱的喂纱功能的针织机
CN210085713U (zh) 一种经编机的放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