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471B1 -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471B1
KR101739471B1 KR1020150149507A KR20150149507A KR101739471B1 KR 101739471 B1 KR101739471 B1 KR 101739471B1 KR 1020150149507 A KR1020150149507 A KR 1020150149507A KR 20150149507 A KR20150149507 A KR 20150149507A KR 101739471 B1 KR101739471 B1 KR 10173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jet
jet loom
storage device
coupling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872A (ko
Inventor
김상태
Original Assignee
(주)세진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세진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15014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4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장저류장치를 워터제트직기와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한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는 측장저류장치의 탈부착이 가능케 한 브라켓(100)과, 워터제트직기의 일측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지지대(200)와, 상기 브라켓(100)과 지지대(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장저류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는 진동감쇄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터제트직기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측장저류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진동감쇄수단을 구비하여 측장저류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체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진동 발생에 의한 측장저류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장률을 낮추어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위사의 원활한 공급을 통해서 워터제트직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Water jet loom measuring and storage device for a stand}
본 발명은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장저류장치를 워터제트직기와 이격시켜 워터제트직기의 진동 전달을 방지하고, 측장저류장치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진동감쇄수단을 통해 감쇄시킴으로써 측장저류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고장률을 낮추어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워터제트직기(Water Jet Loom)는 직물을 제직하는 직기의 일종으로서 경사의 직각 방향으로 위사(씨실)를 공급할 때, 북(shuttle)을 이용하지 않고 노즐에서 고압으로 분출되는 물의 분사수로 씨실을 운반하여 개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직물을 짜는 셔틀리스 직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워터제트직기에서 위사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주로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의 플랫트 및 가공사나 강연사 외에 폴리에스테르와 아세테이트와의 합섬사, 각종 스판사 등 그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실의 조합에 의한 사용에 따라서 그 종류는 더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워터제트직기를 이용한 제직시에 사용되는 위사의 종류가 늘어남에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위사의 종류에 따라서 위사의 이송속도, 위사의 속도 추적 기능 등에 있어서 다양한 정보를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그에 대응하기 위하여 워터제트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에 측장저류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워터제트직기(A)에 위사(B)를 공급할 때, 위사는 원사 패키지에서부터 측장저류(測長貯留)장치(C)로 공급되어 안정된 상태로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때, 감긴 위사의 길이는 제직되는 직물의 직폭만큼 길이로 측장되어 위입 준비를 한다.
측장드럼에 감긴 위사는 얀 가이드(Yarn guide)와 그리퍼(Gripper)를 통과하여 제트노즐(Jet nozzle)로 공급된다. 급수배관을 통하여 물통에 들어온 물은 펌프캠(Pump cam)에 의해서 작동되는 워터펌프(Water pump)의 간헐(間欲)적인 운동으로 일정량의 수량(水量)이 노즐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위사와 물이 함께 노즐에 공급되었을 때 위사를 파지(把持)하고 있던 그리퍼가 위사를 놓아주면, 노즐의 분사구(嗚射口)에서 물과 위사가 함께 분사되어 개구속으로 비주(飛走)하게 되어 위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측장저류장치에 관한 기술은 종래에도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는데, 측장저류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7350호에는 정지상태의 저류드럼의 주위를 연속 회전하는 회전얀가이드에 의해 씨실을 저류드럼에 감아 이 씨실의 계지 및 푸는 것을 상기 저류드럼의 주위에 대해 진퇴구동되는 계지핀에 의해 행하는 저류장치와, 실공급체로부터의 씨실을 상기 회전얀가이드로 이 회전얀가이드의 감는 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연속적으로 내보내는 측장장치를 구비하고, 씨실넣음 개시 전에 상기 저류드럼에 감겨진 씨실이 풀려 씨실넣음이 개시되며 그 후 상기 측장장치로부터 내보내지는 씨실이 상기 회전얀가이드를 통해 직접 씨실넣음이 되는 구속비주에 의한 씨실넣음이 행해지는 형식이며, 상기 계지판은 그 상기 저류드럼과의 결합위치가 상기 저류드럼 중심의 연직 위쪽 위치보다도 상기 회전얀가이드의 회전방향 상류 측이며 또한 상기 저류드럼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저류드럼의 주면이 교차하는 위치까지의 범위내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이 없는 직기에서의 씨실 측장저류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7350호(2004. 12. 20.) 등록특허공보 제10-0454607호(2004. 10. 19.)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장저류장치는 일반적으로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워터제트직기의 보디 일측에 설치된 노즐에 위사를 바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보디의 일측 상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측장저류장치를 보디 일측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워터제트직기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측장저류장치에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측장저류장치 내부의 주요 부품이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마모되어 손상되고, 그로 인해 측장저류장치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장저류장치는 저류드럼의 주위를 연속 회전하는 회전얀가이드에 의해 위사를 저류드럼에 감아 이 위사의 계지 및 푸는 것을 상기 저류드럼의 주위에 대해 진퇴구동되는 계지핀에 의해 행하는 저류장치와, 실공급체로부터의 위사를 상기 회전얀가이드로 이 회전얀가이드의 감는 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연속적으로 내보내는 측장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측장저류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얀가이드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회전얀가이드의 회전이 시작하는 시점과 완료되는 시점에서 미세한 진동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미세한 진동 충격은 원사 패키지에서부터 측장저류장치로 위사가 공급된 후, 회전얀가이드에 의해 저류드럼에 위사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위사의 정렬이 흐트러지게 되고 그로 인해 위사를 풀어서 내보낼 때, 외사 외표면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위사 공급 속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진동 충격이 누적됨에 따라서 측장저류장치 내부 고장률이 증가하여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워터제트직기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측장저류장치 자체의 작동에 의한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측장저류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고장률을 낮추어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측장저류장치가 결합되는 결합봉(101)이 끼워지는 결합홈(102a)을 구비한 수직편(102)을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한 지지판(103)의 저면에는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암나사부(104a)를 형성한 제1결합부를 하방으로 돌출 형성하여 측장저류장치의 탈부착이 가능케 한 브라켓(100)과;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암나사부(104a)를 형성한 제2결합부(201)를 상면에 형성한 수평판(202)의 양측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판(203)을 일체로 형성하고, 각 수직판(203)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203)과 일체로 되고, 중앙부에는 앙카볼트가 끼워지는 앙카삽입홈(204a)을 형성한 고정판(204)을 구비하여 워터제트직기의 일측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지지대(200)와;
상단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하고, 하단부는 상기 제2결합부(201)에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100)과 지지대(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장저류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는 진동감쇄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측장저류장치를 워터제트직기와 이격시켜 워터제트직기의 진동 전달을 방지함과 동시에, 측장저류장치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진동감쇄수단을 통해 감쇄시켜 측장저류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고장률을 낮추어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는 원사 패키지에서 위사를 공급받아 워터제트직기로 공급하는 측장저류장치를 워터제트직기의 보디와 분리된 지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워터제트직기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측장저류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진동감쇄수단을 구비하여 측장저류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체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진동 발생에 의한 측장저류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장률을 낮추어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사의 원활한 공급을 통해서 워터제트직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측장저류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는 측장저류장치의 탈부착이 가능케 한 브라켓(100)과, 워터제트직기의 일측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지지대(200)와, 상기 브라켓(100)과 지지대(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장저류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는 진동감쇄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브라켓(100)은 측장저류장치가 결합되는 결합봉(101)이 끼워지는 결합홈(102a)을 구비한 수직편(102)을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한 지지판(103)의 저면에는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암나사부(104a)를 형성한 제1결합부를 하방으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102a)은 상기 수직편(102)의 상단부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결합홈(102a) 내부에 끼워진 결합봉(101)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봉(101)은 상기 한 쌍의 수직편(102) 사이로 투입되어 수직편(102)의 외측에서 상기 결합홈(102a)을 통과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볼트의 몸통부에 끼워진 후 볼트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서 수직편(102) 사이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돌부(104)는 지지판(103)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하되, 제1결합돌부(104)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하여 제1결합돌부(104)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암나사부(104a)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암나사부(104a)의 위치는 동일한 높이 상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배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00)는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암나사부(201a)를 형성한 제2결합돌부(201)를 상면에 형성한 수평판(202)의 양측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판(203)을 일체로 형성하고, 각 수직판(203)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203)과 일체로 되고, 중앙부에는 앙카볼트가 끼워지는 앙카삽입홈(204a)을 형성한 고정판(204)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2결합돌부는 수평판(202) 사면에서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하되, 제2결합돌부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제1결합돌부(104)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2결합돌부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암나사부(201a)를 형성하되, 상기 제1결합돌부(104)와 마찬가지로 암나사부(201a)의 위치는 동일한 높이 상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배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감쇄수단(300)은, 코일스프링(301)과, 상기 코일스프링(301)의 선경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가압밀착면(302a)을 내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코일스프링(301)의 피치 간격으로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부 또는 제2결합돌부(2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04a,201a)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볼트(303)가 끼워지는 통공(302b)을 구비하여 코일스프링(301)의 외경부에 설치되는 고정구(30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코일스프링(301)의 내경은 상기 제1결합돌부와 제2결합돌부(201)의 횡단면와 소정 간격의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코일스프링(301)의 상단부는 상기 제1결합돌부에 결합하고, 하단부는 상기 제2결합돌부(201)에 결합한다.
상기 고정구(302)는 상기 코일스프링(301)의 선경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가압밀착면(302a)을 내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코일스프링(301)의 피치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브라켓(100)의 제1결합돌부와, 지지대(200)의 제2결합돌부(201)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끼워지는 코일스프링(301)의 상단부 외경과 하단부 외경에서 각각 상기 제1결합돌부와 제2결합돌부(201)에 형성된 암나사부(104a,201a)에 체결볼트(303)로 나사 결합하면 고정구(302)의 흔들림이 방지됨과 동시에, 제1결합돌부와 제2결합돌부(201)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고정구(302)가 브라켓(100)과 코일스프링(301) 및 지지대(20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에서 상기 진동감쇄수단(300)으로서 코일스프링(301)과 고정구(302)를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스프링(301)과 같이 진동감쇄 특성을 가지는 고무스프링, 에어댐퍼, 유압댐퍼 등 다양한 진동감쇄수단(300)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는 워터제트직기에서 노즐이 설치되는 보디의 일측 지면에 지지대(200)를 앙카볼트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지지대(200) 상부에 진동감쇄수단(300)은 코일스프링(301)의 하단부를 고정구(302)로 고정 설치하고, 코일스프링(301)의 상단부에는 고정구(302)를 이용하여 브라켓(100)을 고정 설치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의 설치가 완료되면, 브라켓(100)에 설치된 결합봉(101)에 측장저류장치의 하단부를 클램프로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원사패키지에서 공급되는 위사는 지면에 고정 설치된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상부에 설치된 측장저류장치로 공급되어 측장드럼에 제직되는 직물의 직폭만큼 길이로 측장되어 위입 준비를 한다.
그리하여 측장드럼에 감겨진 위사는 얀 가이드와 그리퍼를 통과하여 제트노즐로 공급된 후, 위사와 물이 함께 노즐에 공급되었을 때 위사를 파지하고 있던 그리퍼가 위사를 놓아주면, 노즐의 분사구에서 물과 위사가 함께 분사되어 개구속으로 비주(飛走)하면서 위사의 위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위사의 위입을 위해서 종광에서 경사를 상하로 나누어서 위사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운동(Shedding Motion)이 이루어진 워터제트직기는 상기 개구운동으로 형성된 개구로 위사를 송출하여 통과시키는 위입운동(Picking Motion), 상기 개구를 통과한 위사를 보디(Reed)로서 클로스펠(Clothfell)까지 밀어주어 경사와 위사가 하나의 조직을 이루도록 하는 보디침운동(Beating Motion)에 의하여 제직이 이루어진다.
이때, 워터제트직기에서는 상기 제직 과정의 수행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위사를 워터제트직기로 공급하는 측장저류장치가 워터제트직기와 이격되어 지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워터제트직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측장저류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측장저류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진동은 측장저류장치를 고정한 브라켓(100)과, 지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200) 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301)과 같은 진동감쇄수단(300)에 의해 수평방향 진동과 수직방향 진동이 모두 감쇄됨으로써 진동 발생에 따른 측장저류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사의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워터제트직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브라켓 101: 결합봉
102: 수직편 102a: 결합홈
103: 지지판 104: 제1결합돌부
104a: 암나사부 200: 지지대
201: 제2결합돌부 201a: 암나사부
202: 수평판 203: 수직판
204: 고정판 204a: 앙카삽입홈
300: 진동감쇄수단 301: 코일스프링
302: 고정구 302a: 가압밀착면
302b: 통공 303: 체결볼트

Claims (2)

  1. 측장저류장치가 결합되는 결합봉(101)이 끼워지는 결합홈(102a)을 구비한 수직편(102)을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한 지지판(103)의 저면에는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암나사부(104a)를 형성한 제1결합돌부를 하방으로 돌출 형성하여 측장저류장치의 탈부착이 가능케 한 브라켓(100)과;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암나사부(201a)를 형성한 제2결합돌부(201)를 상면에 형성한 수평판(202)의 양측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판(203)을 일체로 형성하고, 각 수직판(203)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203)과 일체로 되고, 중앙부에는 앙카볼트가 끼워지는 앙카삽입홈(204a)을 형성한 고정판(204)을 구비하여 워터제트직기의 일측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지지대(200)와;
    상단부는 상기 제1결합돌부에 결합하고, 하단부는 상기 제2결합돌부(201)에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100)과 지지대(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장저류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는 진동감쇄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쇄수단(300)은, 코일스프링(301)과;
    상기 코일스프링(301)의 선경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가압밀착면(302a)을 내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코일스프링(301)의 피치 간격으로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부 또는 제2결합돌부(201)의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04a,201a)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볼트(303)가 끼워지는 통공(302b)을 구비하여 코일스프링(301)의 외경부에 설치되는 고정구(302)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구(302)를 이용해 상기 코일스프링(30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상기 브라켓(100)과 지지대(200)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KR1020150149507A 2015-10-27 2015-10-27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KR10173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07A KR101739471B1 (ko) 2015-10-27 2015-10-27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07A KR101739471B1 (ko) 2015-10-27 2015-10-27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72A KR20170048872A (ko) 2017-05-10
KR101739471B1 true KR101739471B1 (ko) 2017-06-08

Family

ID=5874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507A KR101739471B1 (ko) 2015-10-27 2015-10-27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26A (ko) * 2021-11-26 2023-06-02 신진텍스(주) 신축위사가 적용된 세폭직물의 제직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866Y1 (ko) 2002-06-04 2002-09-11 한국도로공사 유동형 가드레일 지주
JP2005126838A (ja) 2003-10-22 2005-05-19 Toyota Industries Corp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測長貯留装置の支持機構
JP3161962U (ja) 2010-02-04 2010-08-19 株式会社ネクスコ・エンジニアリング北海道 雪圧緩衝用支柱連結具
JP2014201863A (ja) 2013-04-10 2014-10-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貯留装置の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866Y1 (ko) 2002-06-04 2002-09-11 한국도로공사 유동형 가드레일 지주
JP2005126838A (ja) 2003-10-22 2005-05-19 Toyota Industries Corp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測長貯留装置の支持機構
JP3161962U (ja) 2010-02-04 2010-08-19 株式会社ネクスコ・エンジニアリング北海道 雪圧緩衝用支柱連結具
JP2014201863A (ja) 2013-04-10 2014-10-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貯留装置の支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26A (ko) * 2021-11-26 2023-06-02 신진텍스(주) 신축위사가 적용된 세폭직물의 제직장치 및 방법
KR102600848B1 (ko) * 2021-11-26 2023-11-10 신진텍스(주) 신축위사가 적용된 세폭직물의 제직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72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471B1 (ko) 워터제트직기의 측장저류장치용 스탠드
US3307805A (en) Yarn tensioning device
CZ187396A3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hread onto an inlet of weaving machine thread feeder
JP3227078U (ja) 横糸寄れ防止可能なシャトルレス織機の横糸ボビン
CN110775713A (zh) 一种新型纱线筒固定结构
US3198215A (en) Tape motion for shuttleless looms
US4290461A (en) Yarn feed controlling device
CN211522493U (zh) 一种大圆机的输纱装置
KR20020081475A (ko) 엘라스토머 실의 투입방법 및 실 처리 시스템
KR200292890Y1 (ko) 세폭직기의 경사안내용 가이드봉
CN206545084U (zh) 一种纺织设备
US3201956A (en) Textile machine
CN221662236U (zh) 一种用于纺织机的上料线筒架
CN210394729U (zh) 一种纺织用具有纱线涨紧功能的经编机
CN214612948U (zh) 一种碳纤维织布机经纱架
US799130A (en) Filling-replenishing loom.
CN210368107U (zh) 一种可自动检测制停的喷气织机
KR101697639B1 (ko) 원사콘의 연결구
CN210163595U (zh) 一种富余综丝保护装置
CN215328591U (zh) 一种织机用多纱并线的储纬装置
TW202344731A (zh) 用於製造圓形織物之圓形織機
KR101266973B1 (ko) 랏셀낙하판용 가이드바
KR102600848B1 (ko) 신축위사가 적용된 세폭직물의 제직장치 및 방법
CN211620770U (zh) 一种大圆机的张紧装置
CN209685996U (zh) 一种纱筒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