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170B1 -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170B1
KR102299170B1 KR1020210004583A KR20210004583A KR102299170B1 KR 102299170 B1 KR102299170 B1 KR 102299170B1 KR 1020210004583 A KR1020210004583 A KR 1020210004583A KR 20210004583 A KR20210004583 A KR 20210004583A KR 102299170 B1 KR102299170 B1 KR 10229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imine
gene
gene delivery
acid
cho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경오
박재원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170B1/ko
Priority to US18/271,676 priority patent/US20240082426A1/en
Priority to PCT/KR2021/016986 priority patent/WO2022154239A1/ko
Priority to CN202180095399.4A priority patent/CN11696378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0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 A61K48/002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wherein the non-active part clearly interacts with the delivered nucleic acid
    • A61K48/004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wherein the non-active part clearly interacts with the delivered nucleic acid the non-active part being polyme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 steroid plant sterol, glycyrrhetic acid, enoxolone or bile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C07K14/435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coelenteratae, e.g. medus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전달을 위한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이민과 콜산이 이온결합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이의 유전자 전달방법, 및 유전자 전달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이민-콜산의 유도체는 독성이 적고 유전자 전달효율이 우수한바 유전자 전달 용도로 유용하여 유전자 치료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Polyethyleneimine-cholic acid ionic bonding compound with gene transfer ability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이민과 콜산이 이온결합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이의 유전자 전달방법, 및 유전자 전달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 치료(Gene therapy)란 pDNA, siRNA 등과 같은 유전물질을 환자의 세포 안으로 주입시켜 유전자 결함을 교정하거나, 세포의 유전적 변형에 의해 유발된 암, 감염성 질병, 자가 면역 질환 등과 같은 모든 유전적 결함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유전자 치료는 암 치료 혹은 유전자 변형에 의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전자 치료를 위해, 치료 효과를 지닌 유전물질을 세포 내부로 전달할 수 있는 바이러스, 리포좀, 폴리머 등의 유전자 전달체(gene delivery)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약물전달체의 구성물질로 화학적 약물, 조영제, 펩타이드, 단백질 및 유전물질 등 다양한 치료제를 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가운데 양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은 고농도의 양이온성 아민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어 음전하를 띄는 핵산물질을 압축하여 콜로이드 입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엔도시토시스(endocytosis) 과정을 통하여 세포 내 이입이 가능함이 보고되었다.
유전자 전달은 세포막 통과, 엔도좀 탈출, 핵막 통과와 같이 크게 세 부류로 나뉘는데, 폴리에틸렌이민을 이용한 복합체는 다른 유전자 전달체와 달리 pH 완충능력을 이용한 양성자 스폰지 효과(proton sponge effect)를 통해 효과적으로 엔도좀 탈출 과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분자의 폴리에틸렌이민은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이 가능하지만 세포독성이 강하고, 저분자 폴리에틸렌이민은 세포독성은 적지만 유전자 전달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콜산(cholic acid)은 콜레스테롤에 비해 높은 친수성 및 생체 적합성을 보여주며, 양친성으로 인해 세포막을 효율적으로 불안정하게 할 수 있어 유전자 전달체를 구성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핵막에 발현된 스테로이드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로써 유전자 전달 효율에 도움을 준다. 콜산을 이용해 폴리에틸렌이민 유도체를 합성한 이전 연구에 따르면 유전자 전달 효율은 증진이 되었지만 복잡한 화학적 수식을 통해 유도체를 합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콜산과 여러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을 이온 결합한 화합물을 간편하게 유도체로 형성하며, 이의 유전자 전달체의 효용성을 밝혔다.
1. Godbey, W. T., Kenneth K. Wu, and Antonios G. Mikos. "Poly (ethylenimine) and its role in gene delivery."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60.2-3 (1999): 149-160
Figure 112021004435711-pat00001
2. Lostal-Seijo, Irene, and Javier Montenegro. "Synthetic materials at the forefront of gene delivery." Nature Reviews Chemistry 2.10 (2018): 258-277 3. S.K. Tripathy, H.B. Black, E. Goldwasser, J.M. Leiden. "Immune responses to transgene-encoded proteins limit the stability of gene expression after injection of replication-defective adenovirus vectors." Nat. Med., 2 (1996), pp. 545-550 4. L Brito, S Little, R Langer, M Amiji. "Poly(beta-amino ester) and cationic phospholipid-based lipopolyplexes for gene delivery and transfection in human aortic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cells," Biomacromolecules, 9 (2008), pp. 1179-1187 5. J Rejman, A Bragonzi, M Conese. "Role of clathrin- and caveolae-mediated endocytosis in gene transfer mediated by lipo- and polyplexes," Mol Ther, 12 (2005), pp. 468-474 6. Rebuffat A, Bernasconi A, Ceppi M, Wehrli H, Verca SB, Ibrahim M, Frey BM, Frey FJ, Rusconi S. "Selective enhancement of gene transfer by steroid-mediated gene delivery". Nat Biotechnol. 2001; 19: 1155-1161. 7. Tu H, Okamoto AY, Shan B. FXR, "A bile acid receptor and biological sensor." Trends Cardiovasc Med. 2000; 10: 30-35. 8. Brahmanand D, Laura R, Krutika S, Hasan U, "Cholic acid modified 2kDa polyethylenimine as efficient transfection agent." Biotechnol Prog, 29 (2013), 5, pp, 1337-1341 9. J.P. Wang, F.F. Meng, B.K. Kim, X. Ke, Y. Yeo, In-vitro and in-vivo difference in gene delivery by lithocholic acid-polyethyleneimine conjugate. Biomaterials, 217 (2019), p. 119296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성이 적으면서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 효율을 갖는 유전자 전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내 유전자 전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이 이온결합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전자 전달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04435711-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m은 2 내지 930 의 정수이고, n은 58 내지 930 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 전달체 및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알코올 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용해하고 산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용액에 콜산을 혼합하고 반응 후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유전자 전달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 전달체를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의 전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이민-콜산의 유도체는 독성이 적고 유전자 전달효율이 우수한바 유전자 전달 용도로 유용하여 유전자 치료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3종의 폴리에틸렌이민과 3종의 콜산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이 이온결합된 화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리토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LPL)을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학(FT-IR)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중국 햄스터 난소세포(CHO)와 자궁경부암세포(HeLa)에서 공유결합을 이용한 PLC와 이온결합한 리토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LPL)의 유전자 전달효율 및 세포독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중국 햄스터 난소세포(CHO)에서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의 형질주입(transfection) 효율 및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중국 햄스터 난소세포(CHO)에서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의 폴리에틸렌이민과 DNA 사용량(무게비)에 따른 형질주입(transfection) 효율 및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pH 조절에 따른 형질주입 효율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최적의 DNA 및 화합물 비율(1:4)과 pH(6.9 내지 7.1)를 조절하여 제조한 유전자 전달체의 유전자 전달 효율 및 세포독성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이 이온결합된 화합물이 독성이 낮고 여러 세포주(중국 햄스터 난소세포(CHO), 자궁경부암세포(HeLa))에서 유전자 전달 효율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이 이온결합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전자 전달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04435711-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m은 2 내지 930 의 정수이고, n은 58 내지 930 의 정수이다. 도 1은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이 이온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은 선형 폴리에틸렌이민(Linear PEI) 또는 가지형 폴리에틸렌이민(Branched PEI)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은 분자량이 작을 경우에는 유전자 전달 효율이 낮아질 수 있으며, 클 경우에는 세포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가지형 폴리에틸렌이민의 가지사슬은 주사슬 질소 원자의 3 내지 3.5 개당 하나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폴리에틸렌이민은 물, 알코올,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스테르류 등에 용해되는 한편, 고분자량의 탄화수소류, 올릭산(oleic acid), 디에틸에테르에는 용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이민은 대부분의 염화용매(chlorinated solvent)와 서서히 반응하여 케톤과 가교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 내지 40,000 일 수 있다.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 미만인 경우 형질주입에 한계가 있고, 40,000 초과인 경우 세포독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콜산(cholic acid)은 리토콜산(lithocholic acid), 데옥시콜산(deoxycholic acid), 및 타우로콜산(taurocho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합물의 명명은 콜산의 종류와 폴리에틸렌이민의 종류에 따라 명명하였다. 한 예로 리토콜산(lithocholic acid)과 선형 폴리에틸렌이민(PEI Linear)을 이용한 화합물을 LPL(Lithocholic acid PEI Linear)이라 한다.
상기 유전자는 gDNA, cDNA, 플라스미드 DNA, mRNA, tRNA, rRNA,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미스센스 뉴클레오티드 및 단백질 생산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전자는 EGF(epidermal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GF(fibroblast growth factor), 혈소판유래 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종양성장인자-b(transforming growth factor-b, TGF-b), 혈관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또는 인슐린(insulin)을 발현하는 유전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 전달체; 및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유전자 전달체 및 유전자는 4 내지 6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독성이 낮으면서도 유전자 전달 효율이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알코올 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용해하고 산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용액에 콜산을 혼합하고 반응 후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전자 전달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이 이온결합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a) 단계는 알코올 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용해하고 산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킨다. 알코올 용액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및 헥살올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용액에 콜산을 혼합하고 반응 후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전자 전달체를 수득하는 단계로서, 콜산은 알코올 용액에 별도로 혼합하여 (a) 단계에서 수득한 용액에 넣을 수 있다.
(b) 단계에서 얻은 용액을 진공 감압농축을 통해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한 후 초음파 처리하여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이 이온결합된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이 포함된 용액의 pH를 6.9 내지 7.1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 이온결합 화합물을 가장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b) 단계에서 콜산을 혼합한 후 1 내지 3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수득율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나, 이는 반응 조건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전자 전달체를 인 비트로 또는 인 비보의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의 전달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시예 1> 이온결합한 유전자 전달체 합성
하기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단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1-1. 리토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LPL) 합성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중량평균분자량 2,500)을 메탄올에 용해시킨 뒤, 염산(HCl) 수용액을 첨가해주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메탄올에 용해시킨 리토콜산을 첨가해준 뒤 다시 2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회전증발농축기로 지질 필름 제형을 형성시킨다. 진공 감압농축을 통해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켜준다. 그 후 증류수(Distilled Water)를 넣어주고 초음파처리를 통해 유전자 전달체를 형성 하였다(도 1). 또한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학(FT-IR) 분석을 이용하여 합성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2).
1-2. 데옥시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DPL) 합성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리토콜산 대신 데옥시콜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1).
1-3. 타우로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TPL) 합성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리토콜산 대신 타우로콜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1).
1-4. 리토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LPH) 합성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대신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1).
1-5. 데옥시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DPH) 합성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대신 중량평균분자량이 4,5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고, 리토콜산 대신 데옥시콜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1).
1-6. 타우로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TPH) 합성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대신 분자량이 4,0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고, 리토콜산 대신 타우로콜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1).
1-7. 리토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LPM) 합성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대신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1).
1-8. 데옥시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DPM) 합성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대신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고, 리토콜산 대신 데옥시콜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1).
1-9. 타우로콜화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TPM) 합성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 대신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인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고, 리토콜산 대신 타우로콜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도 1).
<비교예 1> 공유결합한 유전자 전달체 (PLC) 합성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1,1′-carbonyldiimidazole, CDI) 촉매 하에서 공지된 아마이드화 반응 방법으로 공유결합한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였다(Biomaterials, 217 (2019), p. 119296 에 따라 제조함).
<실험예 1> 중국 햄스터 난소세포(CHO)와 자궁경부암세포(HeLa)에서 세포독성 평가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대하여 중국 햄스터 난소세포(CHO)와 자궁경부암세포(HeLa)에 형질주입(transfection)하고 세포독성 평가하였다. 상세하게, CHO 세포주 (KCLB, Republic of Korea)는 F-12K (Hyclone, USA), 10% 우혈청 (FBS, Hyclone),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Hyclone), 및 1% L-글루타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패시지(passage) 5-7번 세포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8,000개의 CHO 세포를 하루 동안 배양 후, 각 웰의 세포가 70% 이상 성장했을 때 형질주입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HeLa 세포주 (KCBL, Republic of Korea)는 MEM (Hyclone, USA), 10% 우혈청 (FBS, Hyclone),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Hyclone), 및1% L-글루타민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패시지(passage) 5-7번 세포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웰 당 10,000개의 HeLa 세포를 하루 동안 배양 후, 각 웰의 세포가 70% 이상 성장했을 때 형질 주입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웰을 150 μl의 우혈청 포함 배지로 교환 후 플라스미드 DNA-지질(실시예 1)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형질 주입을 확인하기 위하여 플라스미드 DNA는 녹색 형광(GFP) 삽입 플라스미드 DNA를 사용하였으며, 1 μg의 플라스미드 DNA를 우혈청 미포함 배지 10 μl와 섞어서 준비하였다. 공유결합을 이용하여 합성한 PLC와 이온결합을 이용하여 합성한 실시예 1-1(LPL) 화합물 4 μg씩을 각각 우혈청 미포함 배지 10 μl에 섞어서 준비하였다. 두 희석액을 잘 섞어준 뒤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혼합액을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37℃의 CO₂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발현된 녹색형광 단백질은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WS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도 3).
도 3-a는 두 세포주에서 형광의 발현량을 형광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결과로, 공유결합을 이용한 PLC의 경우에는 LFA2000과 비교해 발현이 유사한 반면, 이온결합을 이용한 LPL의 경우는 20% 이상 전달효율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온결합을 이용한 전달체가 공유결합을 이용한 전달체보다 핵산물질을 세포 내로 더 잘 전달함을 알 수 있었다.
도 3-b는 두 세포주에서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로, LFA2K는 무처리군에 비하여 아주 큰 세포 독성을 나타낸 반면, 합성된 두 가지 유전자 전달체들은 현저히 감소된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도 3-c 및 도 3-d는 세포의 생존능력 및 형광의 발현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로, 밝은 영역(bright field)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세포생존율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녹색 형광의 발현에서는 현저히 증가된 녹색 형광을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온결합을 이용한 유전자 전달체(LPL)는 시판품에 비해 세포독성은 줄이면서, 전달능력은 공유결합을 이용한 유전자 전달체(PLC)보다 증가된 유전자 전달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중국 햄스터 난소세포(CHO)에서 세포독성 평가
CHO 세포주 (KCLB, Republic of Korea)는 F-12K (Hyclone, USA) + 10% 우혈청 (FBS, Hyclone),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Hyclone), 및 1% L-글루타민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passage 5-7번 세포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8,000개의 CHO 세포를 하루 동안 배양 후, 각 웰의 세포가 70% 이상 성장했을 때 형질 주입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웰을 150 μl의 우혈청 포함 배지로 교환 후 플라스미드 DNA-지질 (실시예 1-1 내지 1~9)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형질 주입을 확인하기 위하여 플라스미드 DNA는 녹색 형광(GFP) 삽입 플라스미드 DNA를 사용하였으며, 1 μg의 플라스미드 DNA를 우혈청 미포함 배지 10 μl와 섞어서 준비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1-9 화합물 4 μg를 각각 우혈청 미포함 배지 10μl에 섞어서 준비하였다. 두 희석액을 잘 섞어준 뒤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혼합액을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37℃의 CO₂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발현된 녹색형광 단백질은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WS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도 4).
도 4-a는 형광의 발현량을 형광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결과로, 폴리에틸렌이민(2500, 40000)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LFA2000과 비교해 발현이 절반에 불과한 반면, 대부분의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실시예 1-1 내지 1-9)들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들은 좋은 효율로 핵산물질을 세포 내로 전달하는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4-b는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로, LFA2K은 무처리군에 비하여 아주 큰 세포 독성을 나타낸 반면,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들은 LFA2K보다 감소된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들은 세포독성이 적은 전달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4-c 및 도 4-d는 세포의 생존능력 및 형광의 발현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로, 밝은 영역(bright field)에서는 LFA2K에 비해 현저히 높은 세포생존율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녹색 형광의 발현에서는 현저히 증가된 녹색 형광을 관찰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들은 시판품에 비해 세포독성은 줄이면서, 핵산 전달능력은 증가된 발전된 유전자 전달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DNA와 합성 화합물의 비율에 따른 형질주입 효율 평가
DNA와 화합물 비율(중량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DNA와 실시예 1-1 내지 1-9 화합물을 1:4, 1:5, 1:6 비율로 하여 DNA와 화합물 비율에 따른 형질전환 효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도 5). 실험 방법은 상기 실험예 1 및 2와 동일하다.
도 5-a는 DNA:화합물 비율에 따른 유전자 전달효율을 형광의 발현량으로 측정한 결과로, 대부분의 결과에서 Lipofectamine 2000(LFA2K) 보다 좋은 전달능력을 보여주었고, 특정 비율에서는 실험예 2의 결과에서 보다 핵산 전달능력이 더욱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5-b는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로, 화합물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독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1:4 내지 1:5 비율에서 가장 좋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가장 최적 비율은 1:4 이다.
도 5-c, 도 5-d, 및 도 5-e는 세포의 생존능력 및 형광의 발현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로, 도 5-a, 및 도 5-b에 상응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pH 조절에 따른 형질주입 효율 평가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 화합물의 pH 조정에 따른 형질전환 효율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1 내지 1-9의 화합물 제조 시 pH를 7.00 ± 0.1로 조정한 것(pH+로 표기)을 제외하고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질전환 효율을 확인하였다(도 6).
도 6-a는 pH에 따른 유전자 전달효율을 형광의 발현량으로 측정한 결과로, 형광의 발현량은 pH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도 6-b는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로, pH 6.9 내지 7.1로 조정해 준 화합물이 그렇지 않은 것 보다 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도 6-c, 도 6-d, 도 6-e, 도 6-f, 도 6-g, 및 도 6-h는 세포의 생존능력 및 형광의 발현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로, 도 6-a, 및 도 6-b에 상응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자궁경부암세포(HeLa)에서 유전자 전달 효율 및 세포독성
HeLa 세포주 (KCBL, Republic of Korea)은 MEM 배지 (Cyclone, USA)를 사용하며, 96웰 플레이트의 웰 당 10,000개의 세포를 넣어주었다. 실시예 1-1 내지 1-9는 실험예 1, 2, 3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인 조건(DNA:화합물 비율 = 1:4, pH 6.9 내지 7.1)으로 조정하되 나머지 모든 과정은 실험예 3 및 4와 동일하게 진행하고 유전자 전달 효율 및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도 7).
도 7-a는 형광의 발현량을 형광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결과로,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 중 TPH를 제외한 합성된 전달체들은 Lipofectamine 2000(LFA2K)과 유사하거나 좋은 유전자 전달효율을 보여주었다.
도 7-b는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로, LFA2K은 무처리군에 비하여 아주 큰 세포 독성을 나타낸 반면, 합성된 유전자 전달체들은 감소된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도 7-c는 세포의 생존능력 및 형광의 발현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로, 도 7-a, 및 도 7-b에 상응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콜산과 여러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을 이온 결합한 화합물을 간편하게 유도체를 형성하며, 이의 유전자 전달체의 효용성을 밝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이민-콜산의 이온결합 화합물은 독성이 적고 유전자 전달효율이 우수한바 유전자 전달 용도로 유용하여 유전자 치료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폴리에틸렌이민 및 콜산이 이온결합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전자 전달체; 및 유전자를 포함하며, 유전자 전달체 및 유전자는 (4 내지 6)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68787317-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m은 2 내지 930 의 정수이고, n은 58 내지 930 의 정수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gDNA, cDNA, 플라스미드 DNA, mRNA, tRNA, rRNA,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미스센스 뉴클레오티드 및 단백질 생산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 내지 40,000인 선형 또는 가지형 폴리에틸렌이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산은 리토콜산(lithocholic acid), 데옥시콜산(deoxycholic acid) 및 타우로콜산(taurocho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전달체는 (a) 알코올 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용해하고 산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용액에 콜산을 혼합하고 반응시킨 후 pH를 6.9 내지 7.1로 조절하고 초음파 처리하여 유전자 전달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9. 삭제
  10. 제 1 항에 따른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을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외(in vitro) 유전자의 전달방법.
KR1020210004583A 2021-01-13 2021-01-13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29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583A KR102299170B1 (ko) 2021-01-13 2021-01-13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US18/271,676 US20240082426A1 (en) 2021-01-13 2021-11-18 Ionically bonded compound of polyethylenimine-cholic acid with gene transfer activity and use thereof
PCT/KR2021/016986 WO2022154239A1 (ko) 2021-01-13 2021-11-18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N202180095399.4A CN116963783A (zh) 2021-01-13 2021-11-18 具有基因转移活性的聚乙烯亚胺-胆酸的以离子键键合的化合物及其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583A KR102299170B1 (ko) 2021-01-13 2021-01-13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170B1 true KR102299170B1 (ko) 2021-09-07

Family

ID=7779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583A KR102299170B1 (ko) 2021-01-13 2021-01-13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82426A1 (ko)
KR (1) KR102299170B1 (ko)
CN (1) CN116963783A (ko)
WO (1) WO20221542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39A1 (ko) * 2021-01-13 2022-07-2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956A (ko) * 2007-06-05 2010-0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핵산 전달을 위한 peg-pei 공중합체
KR20110061881A (ko) * 2009-12-02 2011-06-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에틸렌이민 및 담즙산으로 구성되는 세포막융합활성을 지닌 양친성 고분자 회합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339005B2 (en) * 2014-10-31 2020-12-17 Hee Sook Hwa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bile acid particles
KR101767253B1 (ko) * 2015-09-23 2017-08-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자 전달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심근세포로의 유전자 전달용 복합체
KR20190115620A (ko) * 2018-04-03 2019-10-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온성 고분자와 이온성 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된 자가결집체 및 이를 포함하는 pH 민감성 큐빅상
KR102299170B1 (ko) * 2021-01-13 2021-09-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956A (ko) * 2007-06-05 2010-0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핵산 전달을 위한 peg-pei 공중합체
KR20110061881A (ko) * 2009-12-02 2011-06-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에틸렌이민 및 담즙산으로 구성되는 세포막융합활성을 지닌 양친성 고분자 회합체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Godbey, W. T., Kenneth K. Wu, and Antonios G. Mikos. "Poly (ethylenimine) and its role in gene delivery."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60.2-3 (1999): 149-160
2. Lostal-Seijo, Irene, and Javier Montenegro. "Synthetic materials at the forefront of gene delivery." Nature Reviews Chemistry 2.10 (2018): 258-277
3. S.K. Tripathy, H.B. Black, E. Goldwasser, J.M. Leiden. "Immune responses to transgene-encoded proteins limit the stability of gene expression after injection of replication-defective adenovirus vectors." Nat. Med., 2 (1996), pp. 545-550
4. L Brito, S Little, R Langer, M Amiji. "Poly(beta-amino ester) and cationic phospholipid-based lipopolyplexes for gene delivery and transfection in human aortic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cells," Biomacromolecules, 9 (2008), pp. 1179-1187
5. J Rejman, A Bragonzi, M Conese. "Role of clathrin- and caveolae-mediated endocytosis in gene transfer mediated by lipo- and polyplexes," Mol Ther, 12 (2005), pp. 468-474
6. Rebuffat A, Bernasconi A, Ceppi M, Wehrli H, Verca SB, Ibrahim M, Frey BM, Frey FJ, Rusconi S. "Selective enhancement of gene transfer by steroid-mediated gene delivery". Nat Biotechnol. 2001; 19: 1155-1161.
7. Tu H, Okamoto AY, Shan B. FXR, "A bile acid receptor and biological sensor." Trends Cardiovasc Med. 2000; 10: 30-35.
8. Brahmanand D, Laura R, Krutika S, Hasan U, "Cholic acid modified 2kDa polyethylenimine as efficient transfection agent." Biotechnol Prog, 29 (2013), 5, pp, 1337-1341
9. J.P. Wang, F.F. Meng, B.K. Kim, X. Ke, Y. Yeo, In-vitro and in-vivo difference in gene delivery by lithocholic acid-polyethyleneimine conjugate. Biomaterials, 217 (2019), p. 11929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39A1 (ko) * 2021-01-13 2022-07-2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63783A (zh) 2023-10-27
WO2022154239A1 (ko) 2022-07-21
US20240082426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1349B2 (ja) ポリカチオン荷電性ポリマー及び核酸のキャリヤーとしての使用
US7358223B2 (en) Biodegradable cationic polymers
Bahadur et al. Lipid substitution on low molecular weight (0.6–2.0 kDa) polyethylenimine leads to a higher zeta potential of plasmid DNA and enhances transgene expression
ES2265569T3 (es)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mejora la transferencia de genes in vivo.
CA2717778C (fr) Polymere derive de la polyethylenimine lineaire pour le transfert de gene
US10792362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fficient delivery of molecules to cells
US20090068743A1 (en) Cationic alpha-amino acid-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 gene transfer compositions
WO2014057432A9 (en) Multicomponent lipid nanoparticl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MX2008012692A (es) Polimeros cationicos biodegradables.
KR102299170B1 (ko) 유전자 전달능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콜산 이온결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1170034A1 (zh) 胺基脂质化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Zhang et al. Polycation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a novel nonviral vector constructed with triolein for efficient gene delivery
US20190307901A1 (en) Method for enhanced nucleic acid transfection using a peptide
US20140004196A1 (en) Polyamide-amine dendrimer or derivative thereof-math1 gene nano particle and use thereof in treatment of hearing loss
KR20140137739A (ko) 신규한 양이온 리피드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
KR20150129873A (ko) 유전체 약물 전달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3739B1 (ko) 암 특이적 핵산 분자 전달용 조성물 및 그 용도
US2023034891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 containing amphiregulin-specific double-stranded oligonucleotide structure
US20210230602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ctgf expression
KR100514092B1 (ko) 양이온성 고분자 물질과 음이온성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새로운 다중 유전자 전달 복합체
JP2024509906A (ja) Covid‐19を含む呼吸器系ウイルス感染症、ウイルス感染を原因とする肺線維症、又は呼吸器疾患の予防又は治療のために超音波ネブライザを使用して二本鎖オリゴヌクレオチド構造物を投与するための組成物
CN104356199A (zh) 一种硬脂酰修饰的多肽类可降解基因载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4127026A1 (fr) Copolymère linéaire pour la transfection de gènes
Li et al. Oligodeoxynucleotide acid loaded, NGR-peptide-conjugated polymeric liposomes: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