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119B1 -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 - Google Patents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119B1
KR102299119B1 KR1020190036742A KR20190036742A KR102299119B1 KR 102299119 B1 KR102299119 B1 KR 102299119B1 KR 1020190036742 A KR1020190036742 A KR 1020190036742A KR 20190036742 A KR20190036742 A KR 20190036742A KR 102299119 B1 KR102299119 B1 KR 10229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cap
heat
shap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891A (ko
Inventor
권승
Original Assignee
권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 filed Critical 권승
Publication of KR20190114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2Making hat-bats; Bat-forming machines; Conical bat machines; Bat-form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4Blocking; Pressing; Steaming;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6Manipulation of hat-bri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07Headwear
    • B29L2031/4814H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원단을 부분캡인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을 전개도형상으로 재단 가공하여 형태유지부재를 제작하고, 이면에 열융착층이 형성된 겉감 및 속감 원단을 형태유지부재 상하부에 포갠후, 140도 내지 160도 온도로 열접착하며, 형태유지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3mm 이상으로 겉감 및 속감 원단을 커팅하고, 열융착몰드에 140℃ 내지 200℃로 1분 내지 3분동안 가압 성형하고,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챙과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을 재봉하거나 접착하거나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완성하여, 모자를 제조하여서, 부분 열융착몰드를 이용하여 모자 챙 또는 모자 캡의 일부구성의 자동화 생산을 구현하고, 추가 재봉공정을 최소화하여서, 가볍고 세련된 다양한 디자인의 모자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Method of Manufacturing Hat in Part-Mold type by using Heat Plate Bonding Mold and Hat of the Same}
본 발명은 모자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분 열융착몰드를 이용하여 모자 챙 또는 부분캡인 모자 캡의 일부구성의 자동화 생산을 구현하고, 추가 재봉공정을 최소화하여서, 가볍고 세련된 다양한 디자인의 모자를 연속적으로 대량 제조할 수 있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를 제조하기 위하여서는, 원단을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재단하고 커팅한 후, 자수를 원단에 형성하고 봉제하여 제조한다.
한편, 수작업에 의한 봉제시, 모자의 결과물 외부에 노출되는 봉제선으로 인해 미관이 좋지 않아 모자의 장식효과가 저하되기도 한다.
또한, 각 디자인 스타일에 맞게 모자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몰드형상에 따라 펴주어 마감하는데, 대부분 수작업 공정을 수행하여서 공정수가 복잡하고 균일한 품질의 모자를 양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수작업에 의한 재봉작업을 최소화하고 자동화하여 균일한 품질의 모자를 양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3159호(모자의 제조방법. 2002.04.08)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6189호(모자 및 그 제조방법. 2011.01.20)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부분 열융착몰드를 이용하여 모자 챙 또는 부분캡인 모자 캡의 일부구성의 자동화 생산을 구현하고, 추가 재봉공정을 최소화하여서, 가볍고 세련된 다양한 디자인의 모자를 연속적으로 대량 제조할 수 있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열융착층을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의 내부공간이 제거된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1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단면조직의 겉감용 편물원단에 상기 제1 모자가공물을 열접착하여 제2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모자가공물의 겉감용 편물원단에 열전사용 투명점착지를 합지하여 제3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모자가공물의 열융착층으로부터 이형지를 제거하여 제4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 모자가공물 상단에, 제3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열가소성원단을 상기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형태유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 모자가공물의 열융착층과 겉감용 편물원단을 상기 제1 모자전개도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5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5 모자가공물로부터 상기 제2 모자전개도형상 외부의 겉감용 편물원단을 제거하여 제6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4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양면 조직의 속감용 원단을 상기 제6 모자가공물과 열접착하여 제7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7 모자가공물을 상기 제2 모자전개도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8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8 모자가공물로부터 상기 열전사용 투명점착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8 모자가공물의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을 열융착몰드에 의해 몰딩하여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의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챙과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을 재봉하거나 접착하거나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완성하거나, 상기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의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을 재봉하거나 접착하거나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자형태를 모자성형틀에 안착하여 형태를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몰딩시, 상기 제8 모자가공물을 중형몰드와 하형몰드 사이에 안착시켜 상기 중형몰드에 의해 상기 제8 모자가공물의 테두리를 압착하여 고정시킨 후 상형몰드와 형합하고, 140℃ 내지 200℃로 1분 내지 3분동안 가압 성형하여 상기 제9 모자가공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9 모자가공물을 상기 열융착몰드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열융착몰드와 동일한 형상의 냉각틀에 안착시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유지부재 형성시, 상기 모자캡 전면영역과 상기 모자챙영역의 경계에 와이어 또는 띠형상의 심재를 삽입하거나, 상기 모자챙영역에 상응하는 평판형상의 심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융착몰드의 하형 내측면에는 상기 모자챙영역 또는 상기 모자캡 전면영역에 음각 또는 양각형태의 특정 장식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유지부재는 열가소성 스폰지, 우레탄폼, 메모리폼 또는 샌드위치 메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감용 편물원단 및 상기 속감용 원단을 140℃ 내지 160℃로 8초 내지 12초 동안 사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9 모자가공물에 상표 또는 특정문양의 장식을 스티커형태로 부착하거나 봉제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감용 편물원단 및 상기 속감용 원단은 프리컷원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유지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속감용 원단 내측에 상기 제2 전개도형상에 상응하는 열융착층을 커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자성형틀은 스팀분사가능하거나 히팅가능한 형태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열융착층을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의 내부공간이 제거된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1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단면조직의 겉감용 편물원단에 상기 제1 모자가공물을 열접착하여 제2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모자가공물의 겉감용 편물원단에 열전사용 투명점착지를 합지하여 제3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모자가공물의 열융착층으로부터 이형지를 제거하여 제4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 모자가공물 상단에, 제3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열가소성원단을 상기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형태유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 모자가공물의 열융착층과 겉감용 편물원단을 상기 제1 모자전개도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5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5 모자가공물로부터 상기 제2 모자전개도형상 외부의 겉감용 편물원단을 제거하여 제6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4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양면 조직의 속감용 원단을 상기 제6 모자가공물과 열접착하여 제7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7 모자가공물을 상기 제2 모자전개도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8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8 모자가공물로부터 상기 열전사용 투명점착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8 모자가공물의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을 열융착몰드에 의해 몰딩하여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의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챙과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을 재봉하거나 접착하거나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완성하거나, 상기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의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을 재봉하거나 접착하거나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자형태를 모자성형틀에 안착하여 형태를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분 열융착몰드를 이용하여 모자 챙 또는 부분캡인 모자 캡의 일부구성의 자동화 생산을 구현하며, 수작업에 의한 추가 재봉작업공정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고, 가볍고 세련된 다양한 디자인의 모자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공정없이, 모자챙 또는 모자캡의 전면영역에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다양한 장식패턴을 쉽게 구현하여 차별화된 심미감을 주는 모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열융착몰드의 단면구조 및 이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자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으로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열융착몰드의 단면구조 및 이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자를 예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으로서, 모자캡 전면만 부분몰드하거나 모자챙과 모자캡 전면을 부분몰드하여 수행하고, 이후, 모자챙과 모자캡 전면의 부분몰드 방법을 적용한 제조방법으로 예시하고자 한다.
우선, 제1 금형부(110)에 의해, 제1 원단롤(111)로부터 제공되는 열융착층(112)을 부분캡인 모자캡 전면영역(113a), 또는 모자챙영역(113b)과 부분캡인 모자캡 전면영역(113a)의 내부공간이 제거된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1 모자가공물(113)을 형성한다(S110).
여기서, 열융착층(112)은 연질 접착제로서 열에 의해 용융되는 우레탄계열 또는 아마이드계열의 핫멜트 재질로서 20㎛ 내지 100㎛로 형성된다.
한편, 모자의 형상에 따라, 캡만 형성된 모자 또는 창과 캡이 같이 형성된 모자로 구분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열융착층(112)을 해당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할 수도 있다.
후속하여, 제1 열프레스부(120)에 의해, 제2 원단롤(121)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단면조직의 겉감용 편물원단(122)에 제1 모자가공물(113)을 열접착하여 제2 모자가공물(123)을 형성한다(S120).
여기서, 겉감용 편물원단(122)은 신축성이 있는 경편 및 환편으로 조직된 단면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속하여, 롤러부(130)에 의해, 제2 모자가공물(123)의 겉감용 편물원단(122) 저면에 열전사용 투명점착지(131)를 합지하여 제3 모자가공물(132)을 형성한다(S130).
여기서, 열전사용 투명점착지(131)는 겉감용 편물원단(122)의 저면에 합지되어 겉감용 편물원단(122)의 컨베이어상의 경로이탈 및 자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후속하여, 이형지 제거부(미도시)에 의해, 제3 모자가공물(132)의 열융착층으로부터 이형지(133)를 제거하여 제4 모자가공물(141)을 형성한다(S140).
후속하여, 제2 금형부(150)에 의해, 제4 모자가공물(141) 상단에, 제3 원단롤(151)로부터 제공되는 열가소성원단을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형태유지부재(152)를 형성한다(S150).
여기서, 형태유지부재(152)는 열가소성 스폰지, 우레탄폼, 메모리폼 또는 샌드위치 메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형태유지부재(152) 형성시, 모자캡 전면영역과 모자챙영역의 경계에 와이어 또는 띠형상의 심재(153)를 삽입하거나, 모자챙영역에 상응하는 평판형상의 심재를 삽입하는 공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151).
후속하여, 제3 금형부(160)에 의해, 제4 모자가공물(141)의 열융착층과 겉감용 편물원단을 제1 모자전개도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외부영역을 제거하여 제5 모자가공물(161)을 형성한다(S160).
여기서, 제2 모자전개도 형상은 제1 모자전개 형상보다 테두리 기준으로 3mm 이상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속하여, 원단 제거부(미도시)에 의해, 제5 모자가공물(161)로부터 제2 모자전개도형상 외부의 겉감용 편물원단을 제거하여 제6 모자가공물을 형성한다(S170).
후속하여, 제2 열프레스부(180)에 의해, 제4 원단롤(181)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양면 조직의 속감용 원단(182)을 제6 모자가공물과 열접착하여 제7 모자가공물(183)을 형성한다(S180).
여기서, 속감용 원단(182)은 유연제처리가 되지 않고, 울이 풀리지 않은 양면조직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형태유지부재(152)에 대향하여 속감용 원단(182) 내측에 제2 전개도형상에 상응하는 열융착층(미도시)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S82).
후속하여, 제4 금형부(190)에 의해, 제7 모자가공물(183)을 제2 모자전개도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8 모자가공물(191)을 형성한다(S190).
후속하여, 점착지 제거부(미도시)에 의해, 제8 모자가공물(191)로부터 열전사용 투명점착지(131)를 제거한다(S200).
후속하여, 열융착몰드(210)에 의해, 제8 모자가공물(191)의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을 부분몰딩하여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211)을 형성한다(S210).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시, 제8 모자가공물(191)을 중형몰드(210c)와 하형몰드(210b) 사이에 안착시켜 중형몰드(210c)에 의해 제8 모자가공물(191)의 테두리를 압착하여 고정시킨 후 상형몰드(210a)와 형합하고, 140℃ 내지 200℃로 1분 내지 3분동안 가압 성형하여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21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열융착몰드(210)의 하형 내측면에는 모자챙영역 또는 모자캡 전면영역에 음각 또는 양각형태의 특정 장식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부가 형성되어서, 모자챙 또는 모자캡 전면에 장식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211)의 모자챙 또는 모자캡 전면에 상표 또는 특정문양의 장식을 스티커형태로 부착하거나 봉제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후속하여,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211)의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챙과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212)을 박음질에 의해 재봉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거나 열융착모듈에 의해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완성하거나,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211)의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212)을 박음질에 의해 재봉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거나 열융착모듈에 의해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완성한다(S220).
한편, 모자캡 후면(212) 일측에는 모자둘레조절을 위한 요홈부(미도시)와 둘레조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최종, 상호 연결된 모자형태를 모자성형틀(미도시)에 안착한 후, 형태고정모듈, 즉 스팀분사모듈에 의한 스팀분사 또는 히팅모듈에 의한 히팅에 의해 모자형태를 고정하여 최종적으로 모자를 완성한다(S230).
한편, 선행적으로, 열처리부(미도시)에 의해, 겉감용 편물원단(122) 및 속감용 원단(182)을 140℃ 내지 160℃로 8초 내지 12초 동안 전술한 모자가공물 형성 전에 사전적으로 열처리할 수 있다(S21,S81).
또한, 겉감용 편물원단(122) 및 속감용 원단(182)은 프리컷원단일 수 있다.
추가로,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211)을 열융착몰드(210)로부터 분리하여 열융착몰드와 동일한 형상의 냉각틀(미도시)에 안착시켜 서서히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의 구성에 의해서, 부분 열융착몰드를 이용하여 모자 챙 또는 부분캡인 모자 캡의 일부구성의 자동화 생산을 구현하며, 수작업에 의한 추가 재봉작업공정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고, 가볍고 세련된 다양한 디자인의 모자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고, 별도의 공정없이, 모자챙 또는 모자캡의 전면영역에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다양한 장식패턴을 쉽게 구현하여 차별화된 심미감을 주는 모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제1 금형부 111 : 제1 원단롤
112 : 열융착층 113 : 제1 모자가공물
113a : 모자캡 전면영역 113b : 모자챙영역
120 : 제1 열프레스부 121 : 제2 원단롤
122 : 겉감용 편물원단 123 : 제2 모자가공물
130 : 롤러부 131 : 투명점착지
132 : 제3 모자가공물 133 : 이형지
141 : 제4 모자가공물 151 : 제3 원단롤
152 : 형태유지부재 153 : 심재
160 : 제3 금형부 161 : 제5 모자가공물
180 : 제2 열프레스부 181 : 제4 원단롤
182 : 속감용 원단 183 : 제7 모자가공물
190 : 제4 금형부 191 : 제8 모자가공물
210 : 열융착몰드 210a : 상형몰드
210b : 하형몰드 210c : 중형몰드
211 : 제9 모자가공물 212 : 모자캡 측면 및 후면

Claims (12)

  1. 제1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열융착층을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의 내부공간이 제거된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1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단면조직의 겉감용 편물원단에 상기 제1 모자가공물을 열접착하여 제2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모자가공물의 겉감용 편물원단에 열전사용 투명점착지를 합지하여 제3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모자가공물의 열융착층으로부터 이형지를 제거하여 제4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 모자가공물 상단에, 제3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열가소성원단을 상기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형태유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 모자가공물의 열융착층과 겉감용 편물원단을 상기 제1 모자전개도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5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5 모자가공물로부터 상기 제2 모자전개도형상 외부의 겉감용 편물원단을 제거하여 제6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4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양면 조직의 속감용 원단을 상기 제6 모자가공물과 열접착하여 제7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7 모자가공물을 상기 제2 모자전개도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8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8 모자가공물로부터 상기 열전사용 투명점착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8 모자가공물의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을 열융착몰드에 의해 몰딩하여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의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챙과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을 재봉하거나 접착하거나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완성하거나, 상기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의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을 재봉하거나 접착하거나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자형태를 모자성형틀에 안착하여 형태를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시, 상기 제8 모자가공물을 중형몰드와 하형몰드 사이에 안착시켜 상기 중형몰드에 의해 상기 제8 모자가공물의 테두리를 압착하여 고정시킨 후 상형몰드와 형합하고, 140℃ 내지 200℃로 1분 내지 3분동안 가압 성형하여 상기 제9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모자가공물을 상기 열융착몰드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열융착몰드와 동일한 형상의 냉각틀에 안착시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부재 형성시, 상기 모자캡 전면영역과 상기 모자챙영역의 경계에 와이어 또는 띠형상의 심재를 삽입하거나, 상기 모자챙영역에 상응하는 평판형상의 심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몰드의 하형 내측면에는 상기 모자챙영역 또는 상기 모자캡 전면영역에 음각 또는 양각형태의 특정 장식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부재는 열가소성 스폰지, 우레탄폼, 메모리폼 또는 샌드위치 메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용 편물원단 및 상기 속감용 원단을 140℃ 내지 160℃로 8초 내지 12초 동안 사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모자가공물에 상표 또는 특정문양의 장식을 스티커형태로 부착하거나 봉제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용 편물원단 및 상기 속감용 원단은 프리컷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속감용 원단 내측에 상기 제2 모자전개도형상에 상응하는 열융착층을 커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성형틀은 스팀분사가능하거나 히팅가능한 형태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12. 제1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열융착층을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의 내부공간이 제거된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1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단면조직의 겉감용 편물원단에 상기 제1 모자가공물을 열접착하여 제2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모자가공물의 겉감용 편물원단에 열전사용 투명점착지를 합지하여 제3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모자가공물의 열융착층으로부터 이형지를 제거하여 제4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 모자가공물 상단에, 제3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열가소성원단을 상기 제1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형태유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 모자가공물의 열융착층과 겉감용 편물원단을 상기 제1 모자전개도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 모자전개도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5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5 모자가공물로부터 상기 제2 모자전개도형상 외부의 겉감용 편물원단을 제거하여 제6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4 원단롤로부터 제공되는 스판원사에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이 혼방된 양면 조직의 속감용 원단을 상기 제6 모자가공물과 열접착하여 제7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7 모자가공물을 상기 제2 모자전개도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8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8 모자가공물로부터 상기 열전사용 투명점착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8 모자가공물의 모자캡 전면영역, 또는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을 열융착몰드에 의해 몰딩하여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의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챙과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을 재봉하거나 접착하거나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완성하거나, 상기 3차원형태의 제9 모자가공물의 모자챙영역과 모자캡 전면영역에 모자캡 측면과 모자캡 후면을 재봉하거나 접착하거나 열융착하여 상호 연결하여 모자형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자형태를 모자성형틀에 안착하여 형태를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
KR1020190036742A 2018-03-29 2019-03-29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 KR102299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6300 2018-03-29
KR1020180036300 2018-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891A KR20190114891A (ko) 2019-10-10
KR102299119B1 true KR102299119B1 (ko) 2021-09-07

Family

ID=6820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42A KR102299119B1 (ko) 2018-03-29 2019-03-29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341B1 (ko) * 2023-07-03 2024-04-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니트컴퍼니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21B1 (ko) 2009-08-28 2011-06-09 배경호 색상이 가미된 돌출 이미지를 섬유에 형성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938Y1 (ko) * 1998-10-30 2001-02-01 배성호 만곡된 모자챙심 제조장치
KR100333159B1 (ko) 2001-08-22 2002-04-18 이성택 챙 일체형 모자의 제조방법
KR20030068864A (ko) * 2002-02-18 2003-08-25 홍진평 모자성형용 원단의 제조 방법
KR20060004146A (ko) * 2004-07-08 2006-01-12 김원중 롤러금형을 이용한 1회용 장갑 생산장치 및 그 생산방법
KR101104372B1 (ko) 2009-07-13 2012-01-16 주식회사유풍 모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21B1 (ko) 2009-08-28 2011-06-09 배경호 색상이 가미된 돌출 이미지를 섬유에 형성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891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718B1 (ko) 커버를 가지는 엘리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엘리먼트
WO2018196423A1 (zh) 具有无缝帽顶的帽子及其制作方法
US20150189952A1 (en) Shoe
US20120261934A1 (en) Trim panel of motor vehicles
JP2017518910A5 (ko)
KR102299119B1 (ko)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
US8888555B2 (en) Method for joining fabric panels and manufacturing brassieres
JP2950936B2 (ja) 成形半殻体接合型のサンバイザと、その製造法
KR20170122396A (ko) 자동차용 시트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532B1 (ko)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무봉제 일체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
JPS5829633A (ja) 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
WO2004109001A2 (en) Method of producing garment blanks having seamless trim
KR101497478B1 (ko) 의류원단의 음각 무늬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의류원단
JP6916897B2 (ja) シ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759892B1 (ko) 장식 밴드 제조 방법
JP2019214296A (ja) シート
JP6389111B2 (ja) 帽子の製造方法
KR101037837B1 (ko) 스팽글 부착 방법
KR101638291B1 (ko) 입체 수지라벨을 갖는 팬티용 허리밴드의 제조방법 및 그 허리밴드
KR101805356B1 (ko) 볼륨 시트 커버 부재의 제조 방법
KR20210004698A (ko) 돗트풀을 이용한 프리컷 브래지어 제조방법 및 브래지어
CN105533927A (zh) 一种鞋帮形成方法
WO2014202477A1 (en) Method for providing a pad for cycling shorts and pad provided with such method
JP6261350B2 (ja) 布容器の製造方法
JP3245232U (ja) 継ぎ合わせ式カ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