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858B1 - 차량 사고 발생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차량 사고 발생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858B1
KR102298858B1 KR1020190150287A KR20190150287A KR102298858B1 KR 102298858 B1 KR102298858 B1 KR 102298858B1 KR 1020190150287 A KR1020190150287 A KR 1020190150287A KR 20190150287 A KR20190150287 A KR 20190150287A KR 102298858 B1 KR102298858 B1 KR 102298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preset
occurred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271A (ko
Inventor
서정국
Original Assignee
서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국 filed Critical 서정국
Priority to KR102019015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8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차량과 통신을 연결하는 기능; 상기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기능; 상기 차량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 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사고 발생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 METHOD FOR DECISION OF A CAR ACCIDENT AND AN APPLICATION THEREOF}
본 명세서는 차량의 사고 발생을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최근 들어 차량에는 텔레매틱스 장치를 장착하여 차량위치정보 서비스, 차량도난 및 사고 감지, 원격 차량 진단, 긴급 구난, 교통정보 서비스와 더불어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모바일 오피스 구현, 전자 메일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과학(inforMATICS)을 합친 용어로 자동차와 컴퓨터·이통통신 기술의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현재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자동 항법 기술(Navigation System)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시스템이다.
또한, 텔레매틱스 장치의 또 다른 기능은 운행 중인 차량의 고장을 멀리 자동차 서비스 센터에서 원격 진단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하며, 무선 인터넷, 차량 원격 진단과 긴급 구난 지원, 교통정보·생활정보 등의 각종 컨텐츠 등의 기능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오피스를 구현하거나 전자 메일 서비스 등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고를 감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센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은 사고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데, 사고가 발생한 차량의 경우 이러한 센서에도 충격이 함께 가해져 사고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할 확률이 매우 높다. 따라서, 사고 감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내구성이 튼튼한 다량의 센서들을 차량에 구비해야 해서 가격이 그만큼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양질 및 다수의 센서를 요구하지 않고도, 높은 정확도로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발생이 감지된 경우,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고 후속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차량과 통신을 연결하는 기능; 상기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기능; 상기 차량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 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기능;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위치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인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번호로의 통화 연결 시도 이벤트, 및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부터의 통화 수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번호는 보험사, 경찰서, 응급실, 병원, 자동차 수리 센터 및/또는 소방서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동작은,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 통화 연결하는 동작, 녹음 및/또는 녹화를 시작하는 동작, 및/또는 상기 차량의 블랙박스로부터 차량 사고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질 및 다수의 센서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단가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높은 정확도로 차량의 사고를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고 발생 판단 시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고 발생의 책임 소재에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후속 처리를 해준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사고가 발생했음이 감지된 경우 단말이 수행하는 기설정된 동작에 관한 실시예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에서 차량(102)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주체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저장되어 있는 단말 장치(101)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단말 장치(101)를 '단말'로 약칭하며,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전에 설치/저장되어 있는 단말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의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의 기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단말(101)은 차량(102)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S101). 여기서 단말(101)은 차량(102)과 기설정된 거리 이내(또는 통신 연결이 가능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101)을 의미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차량(102)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101)에 해당할 수 있다. 단말(101)은 다양한 통신 방식(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블루투스, 와이파이), LTE(Long-Term Evolution)/5G(Generation) 통신)을 사용하여 차량(102)과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차량(102)과 주고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차량(102)은 구비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102)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고, 사고의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S102). 이 경우, 차량(102)은 현재 충격이 가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연결된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S103).
다음으로, 단말(101)은 차량(102)의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거리 이상으로)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4).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101)은 차량(102)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차량(102)이 기설정된 범위/거리 이상으로 변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차량(102)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듯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특히, 큰 사고)에는 충격이 감지된 이후에 주행을 반드시 멈출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차량(102)의 위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는, 단말(101)이 차량(102)으로부터 차량(102)의 위치/GPS(Global position system) 정보를 수신하거나, 단말(101) 자체의 위치/GPS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차량(102)의 위치가 변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101)은 차량(102)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07).
반대로, 차량(102)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101)은 차량(102)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105), 그에 따른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6). 여기서 기설정된 동작은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고 후속 조치를 취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단말(101) 동작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고 난 후 차량(102)의 주행이 반드시 정지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차량(102)의 사고를 감지하므로,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정확도가 향상된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특히, 도 2는 도 1을 기초로 한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S101 내지 S107 단계에 관한 설명은 도 1에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102)의 충격은 감지되었으나 위치 변동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단말(101)은 추가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함으로써 차량(102)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1).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사고 후속 처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번호로의 통화 연결 시도 이벤트, 및 기설정된 번호로부터의 통화 수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기설정된 번호는 보험사, 경찰서, 응급실, 병원, 자동차 수리 센터 및/또는 소방서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단말(101)은 차량(102)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07).
반대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말(101)은 차량(102)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105),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기설정된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따라, 단말(101)은 사고의 경중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 통화 연결 시도가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다른 통화 연결이 없는 경우, 단말(101)은 차량(102)의 사고가 가벼운 상태, 예를 들어 사고 등급 1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보험사, 수리센터의 통화 연결시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있는 경우, 단말(101)은 차량(102)의 사고가 상기 사고 등급 1 보다 심각한 사고 등급 2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101)이, 보험사, 수리센터 및 응급실의 통화 연결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이뤄지는 경우, 사고가 중한 사고 등급 3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 및 차량(102)의 위치정보 변동을 함께 고려하여, 단말(101)이 사고 등급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사고로 인해, 운전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는, 단말(101)을 통해 기설정된 번호로 통화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번호로부터 통화 수신 이벤트가 수행될 수 있다. 단말(101)은 기설정된 번호로부터 통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에도, 운전자가 연락에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사고 등급을 최고 등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2)의 충격이 감지 후, 위치 정보가 정지상태로 유지되고, 통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나, 운전자가 전화를 받거나, 메시지 확인 및/또는 응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101)은 운전자가 의식을 잃은 것으로 판단하고, 긴급 출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험사, 119, 응급실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사고가 발생했음이 감지된 경우 단말이 수행하는 기설정된 동작에 관한 실시예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은 차량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 기설정된 동작으로서, 기설정된 연락처로 (긴급)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시도할지 여부를 묻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동작의 통화 연결의 시도 전에, 단말(101)은 통화 연결 또는 메시지 송신 여부를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101)은 사고 발생 여부 문의, 사고 발생에 따른 메시지 송신 여부 및/또는 통화 연결 여부를 운전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문의에 대한 운전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단말(101)은 자동으로 기설정된 연락처에 메시징 또는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101)은 연락처, 메시지 또는 통화 연결 중 우선순위, 연락처 사이의 통화 또는 메시지 우선순위 등을 미리 설정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은 차량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 기설정된 동작으로서, 녹음 및/또는 녹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녹음 및/또는 녹화된 파일은 추후 사고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고 사고 정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또는,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량의 블랙박스로부터 차량 사고 영상을 수신/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된 동작들을 통해 운전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사고에 관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어 분쟁의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동작은, 사고 발생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차량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및 차량은 프로세서(410), 메모리 유닛(420), 디스플레이 유닛(430), 통신 유닛(440) 및/또는 센서 유닛(4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단말 및 차량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유닛과 통신을 수행하여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410)는 단말 및 차량과 동일시되어 설명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제안된 실시예들을 적어도 하나의 구성/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420)은 다양한 정보/데이터/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420)은 저장한 정보/데이터를 프로세서(410)로 전송하거나 프로세서(4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유닛(420)에 저장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430)은 이미지/영상/화면/UI을 출력/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43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통신 유닛(440)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LTE/5G 등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내부/외부 기기/서버(예를 들어, 차량 또는 단말)와 통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센서 유닛(45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외부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450)은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은 외부 음성을 센싱하는 마이크 (센서), 이미지/영상을 센싱하는 카메라 (센서), 및/또는 외부 충격을 센싱하는 충격/충돌/압력/터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410: 프로세서
420: 메모리 유닛
430: 디스플레이 유닛
440: 통신 유닛
450: 센서 유닛

Claims (9)

  1. 차량과 통신을 연결하는 기능;
    상기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기능;
    상기 차량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 을 포함하되,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 을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번호로의 통화 연결 시도 이벤트, 및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부터의 통화 수신 이벤트를 포함하되,
    상기 기설정된 번호는 보험사, 경찰서, 응급실, 병원, 자동차 수리 센터 및 소방서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고의 경중은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비례하게 결정되되,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 중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부터의 통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에도 통화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고의 경중이 가장 중한 등급으로 판단되는,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위치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인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하는 기능인,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동작은,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 통화 연결하는 동작,
    녹음 및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시작하는 동작, 및
    상기 차량의 블랙박스로부터 차량 사고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9. 단말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번호로의 통화 연결 시도 이벤트, 및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부터의 통화 수신 이벤트를 포함하되,
    상기 기설정된 번호는 보험사, 경찰서, 응급실, 병원, 자동차 수리 센터 및 소방서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고의 경중은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비례하게 결정되되,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 중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부터의 통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에도 통화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고의 경중이 가장 중한 등급으로 판단되는 차량 사고 발생 여부 판단 방법.
KR1020190150287A 2019-11-21 2019-11-21 차량 사고 발생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KR102298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287A KR102298858B1 (ko) 2019-11-21 2019-11-21 차량 사고 발생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287A KR102298858B1 (ko) 2019-11-21 2019-11-21 차량 사고 발생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271A KR20210062271A (ko) 2021-05-31
KR102298858B1 true KR102298858B1 (ko) 2021-09-06

Family

ID=7615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287A KR102298858B1 (ko) 2019-11-21 2019-11-21 차량 사고 발생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8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273B1 (ko) * 2015-12-11 2017-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헤드 유닛,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의 비상상황 알림 방법
KR101916199B1 (ko) * 2017-03-29 2018-11-07 이호준 교통사고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227A (ko) * 2014-01-09 2015-07-17 유동배 교통사고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273B1 (ko) * 2015-12-11 2017-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헤드 유닛,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의 비상상황 알림 방법
KR101916199B1 (ko) * 2017-03-29 2018-11-07 이호준 교통사고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271A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104B1 (en) Crash detection and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implementing emergency assistance
JP5817812B2 (ja) 歩行者衝突検知システム及び歩行者衝突通報システム
US201503714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motely Assessing Vehicle Incidents and Dispatching Assistance
JP6363211B2 (ja) 乗物制御システム
JP5163689B2 (ja) 緊急通報用車載端末
CN102667886A (zh) 用于车辆意外情况检测的驾驶员辅助装置和系统以及用于检测车辆意外情况的方法
US9730041B2 (en) Emergency call sen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1911140A (zh) 用于发射补充或修改数据的车辆紧急呼叫系统
US20130196612A1 (en) Telematics unit and mobile device pairing with missing device notifications
WO2018230324A1 (ja) 車載通信装置、車両異常検出システム、車両異常通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70171733A1 (en) Vehicle head unit,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emergency state of vehicle
US106855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inspection
JP2007036935A (ja) 自動車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携帯電話端末
KR20120129053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JP2006270564A (ja) 通知システム、通信端末、携帯電話機、通知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682896B1 (ko) Obd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사고시 연락 방법
KR102201646B1 (ko)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13409B1 (ko)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8858B1 (ko) 차량 사고 발생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CN112583885A (zh) 用于车辆的紧急系统以及为车辆用户提供救援构件的方法
EP2698288A1 (en) Mobi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KR20130006910A (ko) 차량용 블랙 박스를 이용한 사고 대응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사고 대응 방법
KR20040092090A (ko) 차량 원격 관리 시스템
EP3606018B1 (en) Mobile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obile device program
US11922794B2 (en) System for detecting accidental damage and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