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808B1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808B1
KR102298808B1 KR1020207011158A KR20207011158A KR102298808B1 KR 102298808 B1 KR102298808 B1 KR 102298808B1 KR 1020207011158 A KR1020207011158 A KR 1020207011158A KR 20207011158 A KR20207011158 A KR 20207011158A KR 102298808 B1 KR102298808 B1 KR 10229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extension
main surface
supporting substrate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960A (ko
Inventor
히데토 사사가와
다카시 아사카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05K1/0281Reinforcement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81Tongue or tail integrated in planar structure, e.g. obtained by cutting from the planar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36Parallel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27Varying width along a single conductor; Conductors or pads having different width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09Reinforced areas, e.g. for a specific part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지지 기재와, 지지 기재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전극부를 갖는 센서부와, 지지 기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제 1 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전극부와 도통하는 인출 배선과, 연장부의 제 1 주면을 따라 인출 배선과 나열되어 형성된 접지용 배선과, 연장부의 제 1 주면과 대향하는 제 2 주면에 있어서의 선단으로부터 지지 기재측의 일부에 형성된 보강판을 구비하고, 연장부의 제 2 주면의 법선 방향으로 본 경우, 접지용 배선의 선폭은, 인출 배선의 선폭보다 굵고, 보강판의 지지 기재측 단부가 만드는 단부 투영선은 비직선이고, 단부 투영선에 있어서의 가장 지지 기재측이 되는 최돌출 위치는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는 입력 장치는, 보강판이 형성된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에도 연장부에 형성된 인출 배선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본 발명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가락 등이 접근한 위치를 검지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 장치로서 많이 이용되는 터치 패널은, 검지 영역에 손가락 등이 접근 (이하, 접근에는 접촉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한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구동측의 전극과 출력측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측의 전극에 드라이브 펄스를 부여하고, 손가락 등의 접근에 의한 용량 변화를 출력측의 전극에서 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에 있어서, 검출용의 전극과의 도통을 얻기 위해 패널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는 지지 기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된다. 연장부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으로 되어 있고, 검지 영역의 전극과 도통하는 인출 배선이나, 접지 전위가 되는 접지용 배선이 형성된다. 또, 연장부의 선단에는 외부의 커넥터와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가 형성된다. 터치 패널을 세팅하는 제품에 따라서는, 터치 패널로부터 연장부를 만곡시키면서 처리하여 커넥터와 접속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연장부는 비교적 얇기 때문에, 커넥터와의 접속을 실시하는 선단 부분에는 보강판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 연장부와 함께 구부러지는 인출 배선에 크랙이나 단선 등의 문제의 발생이 우려된다.
특허문헌 1 에는, 보강판을 장착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있어서, 보강판의 단부 (端部) 의 형상을, 폭 방향 중앙 부분을 패이게 하도록 한 구성이 개시된다. 특허문헌 2 에는, 양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부를 굴곡시킬 때에 굴곡 개시선 근방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개시된다. 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있어서는, 커버 필름으로부터 설상 (舌狀) 연장편을 형성함으로써 굴곡 개시선의 근방에 있어서의 굽힘 합성을 높이고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단선의 발생을 억제하는 플렉시블 기판이 개시된다. 이 플렉시블 기판에서는, 단자의 선단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굽힘 응력을 분산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에는, 플렉시블 배선판의 커버 필름과 금속층의 경계부의 굽힘이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킨 플렉시블 배선 기판이 개시된다. 이 플렉시블 배선 기판에서는, 금속층에 있어서의 커버 필름으로부터 노출되는 경계부 근방에 있어서 폭이 넓게 형성되고, 그 넓게 형성된 부분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플렉시블 배선판의 중앙 부분에서는 길고, 좌우 양 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1-1575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01817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575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93447호
터치 패널을 세팅하는 제품은 다종 다양에 이르고 있다. 제품의 케이스체 형상에 대응하여 터치 패널에서 커넥터까지 접속되는 연장부의 처리 조건은 엄격해져 왔으며, 연장부를 작게 구부릴 필요도 발생하고 있다. 연장부가 작게 구부러질수록 만곡에 의한 응력이 인출 배선에 가해져, 데미지가 주어진다. 인출 배선에 대한 데미지는 검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연장부에 보강판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보강판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점에서, 인출 배선에 대한 크랙 발생이나 단선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중요해진다.
본 발명은, 보강판이 형성된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에도 연장부에 형성된 인출 배선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지지 기재와, 지지 기재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전극부를 갖는 센서부와, 지지 기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제 1 주면 (主面) 을 따라 형성되고, 전극부와 도통하는 인출 배선과, 연장부의 제 1 주면을 따라 인출 배선과 나열되어 형성된 접지용 배선과, 연장부의 제 1 주면과 대향하는 제 2 주면에 있어서의 선단으로부터 지지 기재측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보강판을 구비하고, 연장부의 제 2 주면의 법선 방향으로 본 경우, 접지용 배선의 선폭은, 인출 배선의 선폭보다 굵고, 보강판의 지지 기재측의 단부가 만드는 단부 투영선은 비직선이고, 단부 투영선에 있어서의 가장 지지 기재측이 되는 최돌출 위치는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는 입력 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지 기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 보강판에 있어서의 기재측의 단부 (기재측 단부) 에 있어서의 가장 지지 기재측이 되는 최돌출 위치의 근방에 응력이 집중된다. 기재측 단부가 만드는 단부 투영선은 비직선이고, 최돌출 위치가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의 응력의 집중 지점을 접지용 배선 상으로 할 수 있어, 인출 배선에 대한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접지용 배선의 선폭은 인출 배선의 선폭보다 굵기 때문에, 접지용 배선에 응력이 집중되어도 데미지는 적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단부 투영선은, 적어도 인출 배선과 중첩되는 제 1 부분과,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고 최돌출 위치를 갖는 제 2 부분과,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는 부분을 갖고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된 제 3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 최돌출 위치를 갖는 제 2 부분에 응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제 3 부분은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인출 배선에 대한 응력 집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회피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이어도 된다. 이로써,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에 최돌출 위치의 근방에 응력을 집중시키는 보강판의 구성에 있어서, 직선을 갖는 형상에 의해 제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 3 부분은, 단부 투영선이 지지 기재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후퇴하는 부분으로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굴곡부 없이 접속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부 투영선에 굴곡부가 있으면,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에 응력이 이 부분에서 국소적으로 높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굴곡부를 갖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에 제 2 부분의 최돌출 위치에 응력을 집중시키고, 최돌출 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응력을 서서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 및 제 2 부분과 제 3 부분 사이는 곡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의 접속 부분이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되어, 접속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 1 부분은, 단부 투영선이 직선 또는 지지 기재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후퇴하는 부분이고, 제 2 부분은, 단부 투영선이 직선 또는 선단측으로부터 지지 기재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이어도 된다. 이로써,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에 최돌출 위치의 근방에 응력을 집중시키는 보강판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부분과 중첩되는 인출 배선에 대한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 제 2 부분과 중첩되는 연장부의 폭 방향 단부에 대한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인출 배선 및 접지용 배선은 은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은을 함유하는 배선 패턴은 만곡에 의한 데미지를 받기 쉽다. 상기와 같은 보강판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은을 사용한 인출 배선 및 접지용 배선이어도 만곡에 의한 데미지를 받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판이 형성된 연장부를 만곡시킨 경우에도 연장부에 형성된 인출 배선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3 은, 연장부의 확대 모식 평면도이다.
도 4 는, 연장부의 만곡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5(a) ∼ 도 5(c) 는, 단부 투영선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6 은, 단부 투영선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7 은, 입력 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한 번 설명한 부재에 대해서는 적절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입력 장치의 구성)
도 1(a) 및 도 1(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a) 에는 연장부를 만곡시키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고, 도 1(b) 에는 연장부를 만곡시킨 후의 상태가 도시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3 은, 연장부의 확대 모식 평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3 에 있어서, 보강판 (30) 을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시켜 나타내고 있다.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 (1) 는, 지지 기재 (15) 와, 지지 기재 (15) 에 형성된 센서부 (10) 와, 지지 기재 (15) 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20) 와, 연장부 (20) 의 제 1 주면 (S1) 을 따라 형성되는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과, 연장부 (20) 의 제 1 주면 (S1) 과 대향하는 제 2 주면 (S2) 에 형성되는 보강판 (30) 을 구비한다.
입력 장치 (1) 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이다. 입력 장치 (1) 는, 액정 등의 표시 장치 (도시 생략) 상에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 가식부 (도시 생략) 상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센서부 (10) 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이며, 검지 영역 (SA) 에 손가락 등이 접근한 경우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위치 검출을 실시한다. 센서부 (10) 는, 성형 수지 등의 지지 기재 (15) 상에 배치되고, 지지 기재 (15) 는,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COC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 등의 투광성을 갖는 가요성 필름,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경질의 투광성 판재 등으로 형성된다. 지지 기재 (15) 에 있어서의 검지 영역 (SA) 에는, 투광성 전극부인 제 1 전극 (11) 및 제 2 전극 (12) 을 구비한다.
제 1 전극 (11) 은 지지 기재 (15) 의 표면을 따른 일 방향 (예를 들어, X 방향) 으로 연장되고, 제 2 전극 (12) 은 지지 기재 (15) 의 표면을 따라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어, Y 방향) 으로 연장된다. 제 1 전극 (11) 및 제 2 전극 (12) 은 서로 절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Y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제 1 전극 (11) 이 배치되고, X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제 2 전극 (12) 이 배치된다.
제 1 전극 (11) 및 제 2 전극 (12) 을 구성하는 전극의 패턴은 각종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 (11) 및 제 2 전극 (12) 의 각각은 복수의 도상 (島狀) 전극부를 갖는다. 각 도상 전극부는 예를 들어 능형에 가까운 형상을 갖고 있다. 제 1 전극 (11) 및 제 2 전극 (12) 에는 투광성 도전 재료 (ITO (Indium Tin Oxide), SnO2, ZnO, 도전성 나노 재료, 망목상으로 형성된 금속 재료 등) 가 사용된다.
지지 기재 (15) 의 검지 영역 (SA) 의 외측인 주변 에어리어에는, 제 1 전극 (11) 및 제 2 전극 (12) 과 도통하는 처리 패턴 (150) 이 연장되어 있다. 처리 패턴 (150) 은 인출 배선 (41) 과 도통함으로써, 제 1 전극 (11) 및 제 2 전극 (12) 에 대한 도통선을 주변 에어리어로부터 연장부 (20) 의 선단부까지 연장시키고 있다.
연장부 (20) 는, 지지 기재 (15) 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며, 지지 기재 (15) 와 일체여도 되고, 별체로서 지지 기재 (15) 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연장부 (20) 에는, PET, COP, COC 등의 가요성을 갖는 필름 재료가 사용된다.
연장부 (20) 에는, 제 1 전극 (11) 및 제 2 전극 (12) 과 도통하는 복수의 인출 배선 (41) 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인출 배선 (41) 은 연장부 (20) 의 제 1 주면 (S1) 을 따라 지지 기재 (15) 측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 연장부 (20) 에는, 복수의 인출 배선 (41) 과 이웃하도록 접지용 배선 (45) 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접지용 배선 (45) 은, 연장부 (2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접지 전위가 되는 접지용 배선 (45) 의 선폭은, 인출 배선 (41) 의 선폭보다 굵게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은 은 (Ag) 을 함유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으로서 은을 함유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ITO 등에 비하여 저저항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보강판 (30) 은, 연장부 (20) 의 제 2 주면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이 형성된 제 1 주면 (S1) 과는 반대측의 대향면) (S2) 에 있어서의 선단으로부터 지지 기재 (15) 측 (이하, 간단히「기재측」이라고도 한다) 의 일부에 형성된다. 보강판 (30) 은, 지지 기재 (15) 의 강도를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서, PET, COP, COC 등의 가요성 필름,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경질의 판재 등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장부 (20) 의 두께는 약 50 ㎛, 보강판 (30) 의 두께는 약 300 ㎛ 이다. 연장부 (20) 의 선단 부분에 보강판 (30)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 (20) 를 커넥터 (50) 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장부 (20) 의 제 2 주면 (S2) 의 법선 방향을 제 1 방향 (D1) 이라고 하기로 한다. 입력 장치 (1) 에 있어서, 보강판 (30) 을 제 1 방향 (D1) 으로 본 경우, 보강판 (30) 의 지지 기재 (15) 측의 단부 (기재측 단부) 가 만드는 단부 투영선 (310) 은 비직선으로 되어 있다. 즉, 단부 투영선 (310) 은, 인출 배선 (41) 과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직선적이지만, 그 이외의 부분에 비직선 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체 형상으로서 비직선이다. 그 결과로서, 인출 배선 (41) 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 (20) 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선단측에 위치하고, 접지용 배선 (45) 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 (20) 의 폭 방향 단부에서는 상대적으로 기재측에 위치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투영선 (310) 에 있어서의 가장 기재측이 되는 최돌출 위치 (310P) 는, 제 1 방향 (D1) 으로 봤을 때에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장부 (2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접지용 배선 (45) 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되도록 최돌출 위치 (310P) 가 형성된다.
단부 투영선 (310) 은, 적어도 인출 배선 (41) 과 중첩되는 제 1 부분 (311) 과,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되고 최돌출 위치 (310P) 를 갖는 제 2 부분 (312) 과,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되고 제 1 부분 (311) 과 제 2 부분 (312) 사이에 형성된 제 3 부분 (313) 을 갖는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부분 (311), 제 2 부분 (312) 및 제 3 부분 (313) 의 각각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부분 (311) 은 제 2 부분 (312) 보다 선단측 (기재측과는 반대측) 에 위치하고, 제 3 부분 (313) 은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또한, 각 부분에 있어서의「직선상」이란, 그 부분에 있어서의 단부 투영선에 대해, 굴곡이 있더라도 그 굴곡의 길이가 인출 배선 (41) 의 폭보다 충분히 넓고, 조도에 상당하는 미세한 요철이 있더라도 이웃하는 볼록부의 간격이 인출 배선 (41) 의 폭보다 충분히 좁은 것을 말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투영선 (310) 은 전체적으로 기재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후퇴하며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으로부터 가장 기재측을 향한 최돌출 위치 (310P) 가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부 투영선 (310) 을 갖는 보강판 (30) 을 형성함으로써, 연장부 (20) 를 만곡시킨 경우, 만곡에 의한 응력을 최돌출 위치 (310P) 의 근방에 집중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 투영선 (310) 의 최돌출 위치 (310P) 가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 (20) 를 만곡시킨 경우의 응력의 집중 지점을 접지용 배선 (45) 상으로 할 수 있다. 요컨대, 연장부 (20) 를 만곡시킨 경우의 응력을 접지용 배선 (45) 상에 집중시킴으로써, 인출 배선 (41) 상에는 집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지용 배선 (45) 의 선폭은 인출 배선 (41) 의 선폭보다 굵기 때문에, 접지용 배선 (45) 에 응력이 집중되어도 전기적 특성에 대한 데미지는 적다.
도 4 는, 연장부의 만곡 상태를 예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보강판 (30) 이 형성된 연장부 (20) 의 선단측을 만곡시킨 경우, 지지 기재 (15) 에 있어서의 보강판 (30) 의 가장자리의 연장 상을 지지점 (A) 으로 하여 지지 기재 (15),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에 응력이 가해진다. 이 때,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이 만곡의 외측으로 되어 있으면 인장 응력에 의해 크랙 (C) 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 투영선 (310) 의 최돌출 위치 (310P) 를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연장부 (20) 를 만곡시킨 경우의 응력을 최돌출 위치 (310P) 의 근방에 집중시킬 수 있다. 최돌출 위치 (310P) 의 근방에 응력이 집중되어 접지용 배선 (45) 에 설령 크랙 (C) 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접지용 배선 (45) 의 선폭은 인출 배선 (41) 의 선폭에 비해 굵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다소의 크랙 (C) 이 발생하더라도 전기적 특성에 대한 데미지는 적다. 따라서, 연장부 (20) 를 만곡시켰을 때의 응력의 영향이 선폭이 좁은 인출 배선 (41) 에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5(a) ∼ 도 5(c) 는, 단부 투영선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5 에서는, 단부 투영선 (310) 의 일부와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a) 에 나타내는 단부 투영선 (310) 은, 단부 투영선 (310) 을 구성하는 제 1 부분 (311), 제 2 부분 (312) 및 제 3 부분 (313) 중, 제 3 부분 (313) 의 단부 투영선 (310) 이 기재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후퇴한 부분으로 되어 있고, 제 1 부분 (311) 과 제 2 부분 (312) 을 굴곡부 없이 접속시키고 있는 예이다.
이와 같은 단부 투영선 (310) 을 구성함으로써, 연장부 (20) 를 만곡시킨 경우에 최돌출 위치 (310P) 의 근방에 응력을 집중시킬 수 있음과 함께, 최돌출 위치 (310P)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응력을 서서히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최돌출 위치 (310P) 보다 선단측에 제 1 부분 (311) 이 위치하기 때문에, 제 1 부분 (311) 과 중첩되는 인출 배선 (41) 에 대한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3 부분 (313) 에 굴곡부가 있으면, 이 부분에 있어서 응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제 3 부분 (313) 이 굴곡부를 갖지 않음으로써, 최돌출 위치 (310P) 의 근방에 응력을 집중시키는 것이 보다 안정적으로 실현된다.
도 5(b) 에 나타내는 단부 투영선 (310) 에서는, 제 1 부분 (311) 과 제 2 부분 (312) 사이, 및 제 2 부분 (312) 과 제 3 부분 (313) 사이가 곡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 1 부분 (311), 제 2 부분 (312) 및 제 3 부분 (313) 의 대부분은 직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각 부분의 접속 부분이 매끄러운 곡선에 의해 구성된다.
단부 투영선 (310) 에 있어서 직선이 많을수록 보강판 (30) 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 제 1 부분 (311), 제 2 부분 (312) 및 제 3 부분 (313) 의 접속 부분을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접속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각 부분 간의 곡률이 높을수록 (곡률 반경이 작을수록) 접속 부분에서 국소적으로 응력이 집중되기 쉽기 때문에, 이와 같이 매끄러운 곡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응력을 분산시켜,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에 대한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직선상의 제 1 부분 (311) 이 접지용 배선 (45) 과도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기재측을 향하는 오목형의 제 3 부분 (313) 은 그 전체가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되어 있다. 즉, 단부 투영선 (310) 이 비직선상으로 되는 부분을 전부 접지용 배선 (45) 에 집중시켜, 단부 투영선 (310) 이 비직선상으로 되는 부분과 인출 배선 (41) 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연장부 (20) 를 만곡시킨 경우에 인출 배선 (41) 에 있어서 응력 집중이 발생할 가능성을 특히 낮출 수 있다.
도 5(c) 에 나타내는 단부 투영선 (310) 에서는, 제 2 부분 (312) 이 최돌출 위치 (310P) 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선단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부분 (312) 이 이와 같이 경사져 있음으로써, 연장부 (20) 를 만곡시킨 경우, 제 2 부분 (312) 의 최외단부 (312P) (연장부 (20) 의 폭 방향의 외단에 중첩되는 부분) 에 응력이 집중될 가능성이 안정적으로 저감된다. 최외단부 (312P) 에 있어서 응력이 과도하게 집중되면, 보강판 (30) 의 연장부 (20) 로부터의 박리 등 배선의 파단과는 상이한 타입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단부 투영선 (310) 이 도 5(c) 에 나타내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문제의 발생이 생길 가능성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 은, 단부 투영선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6 에 있어서, 보강판 (30) 을 인출 배선 (41) 및 접지용 배선 (45) 과 중첩시켜 나타내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단부 투영선 (310) 에서는, 제 1 부분 (311) 이 기재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 후퇴시킨 부분이고, 제 2 부분 (312) 이 직선 또는 선단측으로부터 기재측을 향하여 돌출된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부 투영선 (310) 의 형상에 의해, 연장부 (20) 를 만곡시킨 경우에 최돌출 위치 (310P) 의 근방에 응력을 집중시킴과 함께, 제 1 부분 (311) 이 직선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제 1 부분 (311) 과 중첩되는 인출 배선 (41) 에 대한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적용예)
도 7 은, 입력 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에는, 자동차 등의 이동체 (V) 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P) 및 플로어 콘솔 (F) 에 본 실시형태의 입력 장치 (1) 를 적용한 예가 도시된다.
입력 장치 (1) 의 검지 영역 (SA) 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P) 로부터 플로어 콘솔 (F) 에 걸쳐서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 (P) 의 부분과 플로어 콘솔 (F) 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P) 에는 가식 필름 (200) 의 가식층 (22)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비형성 영역 (22b)) 이 있고, 여기에 표시 장치 (100) 가 배치된다. 표시 장치 (100) 상에는 검지 영역 (SA) 이 형성되고, 터치 패널로서 기능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 (P) 이나 플로어 콘솔 (F) 에는, 가식층 (22) 에 의한 버튼 표시부 (221)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가식층 (22) 의 버튼 표시부 (221) 를 터치함으로써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강판 (30) 이 형성된 연장부 (20) 를 만곡시킨 경우에도 연장부 (20) 에 형성된 인출 배선 (41) 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는 입력 장치 (1)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장부 (20) 의 폭은 지지 기재 (15) 의 폭보다 좁은 예를 나타냈지만, 지지 기재 (15) 와 동등한 폭이어도 된다. 또, 연장부 (20) 에 형성되는 접지용 배선 (45) 은, 연장부 (2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 2 부분 (312) 은 연장부 (20) 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다. 또,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대해,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설계 변경을 실시한 것이나, 각 실시형태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 입력 장치
10 : 센서부
11 : 제 1 전극
12 : 제 2 전극
15 : 지지 기재
20 : 연장부
22 : 가식층
22b : 비형성 영역
30 : 보강판
41 : 인출 배선
45 : 접지용 배선
50 : 커넥터
100 : 표시 장치
150 : 처리 패턴
200 : 가식 필름
221 : 버튼 표시부
310 : 단부 투영선
310P : 최돌출 위치
311 : 제 1 부분
312 : 제 2 부분
312P : 최외단부
313 : 제 3 부분
A : 지지점
C : 크랙
D1 : 제 1 방향
F : 플로어 콘솔
P : 인스트루먼트 패널
S1 : 제 1 주면
S2 : 제 2 주면
SA : 검지 영역
V : 이동체

Claims (8)

  1. 지지 기재와,
    상기 지지 기재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전극부를 갖는 센서부와,
    상기 지지 기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제 1 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전극부와 도통하는 인출 배선과,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 1 주면을 따라 상기 인출 배선과 나열되어 형성된 접지용 배선과,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 1 주면에 대향하는 제 2 주면에 있어서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기재측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보강판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 2 주면의 법선 방향으로 본 경우,
    상기 접지용 배선의 선폭은, 상기 인출 배선의 선폭보다 굵고,
    상기 보강판의 상기 지지 기재측의 단부가 만드는 단부 투영선은 비직선이고,
    상기 단부 투영선에 있어서의 가장 상기 지지 기재측이 되는 최돌출 위치는 상기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고,
    상기 단부 투영선은
    적어도 상기 인출 배선과 중첩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고 상기 최돌출 위치를 갖는 제 2 부분과,
    상기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된 제 3 부분을 갖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단부 투영선이 직선 또는 상기 지지 기재측으로부터 상기 선단측을 향하여 후퇴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보다 상기 지지 기재측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단부 투영선이 상기 지지 기재측으로부터 상기 선단측을 향하여 후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굴곡부 없이 접속시키고,
    상기 제 3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접속 부분은 상기 인출 배선보다 상기 접지용 배선측에 형성되는, 입력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접지용 배선과 중첩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인, 입력 장치.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 및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 사이는 곡선에 의해 접속되는, 입력 장치.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배선 및 상기 접지용 배선은 은을 함유하는, 입력 장치.
KR1020207011158A 2017-11-22 2018-11-05 입력 장치 KR102298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4591 2017-11-22
JPJP-P-2017-224591 2017-11-22
PCT/JP2018/041021 WO2019102833A1 (ja) 2017-11-22 2018-11-05 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960A KR20200052960A (ko) 2020-05-15
KR102298808B1 true KR102298808B1 (ko) 2021-09-06

Family

ID=6663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158A KR102298808B1 (ko) 2017-11-22 2018-11-05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82212B2 (ko)
JP (1) JP6961716B2 (ko)
KR (1) KR102298808B1 (ko)
CN (1) CN211742067U (ko)
DE (1) DE212018000358U1 (ko)
TW (1) TWI670999B (ko)
WO (1) WO20191028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25405A (ja) * 2020-02-06 2021-08-30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0112A (ja) * 2006-10-04 2008-04-17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15141701A (ja) * 2014-01-30 2015-08-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7588A (ja) 1987-12-15 1989-06-20 Fuji Photo Film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H02116761U (ko) * 1989-03-07 1990-09-19
JPH02116731U (ko) 1989-03-08 1990-09-19
JPH0818174A (ja) 1994-07-04 1996-01-19 Canon Inc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05093447A (ja) 2001-09-18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板
JP2005191162A (ja) * 2003-12-25 2005-07-14 Hitachi Ltd リジット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
JP2007165490A (ja) 2005-12-13 2007-06-28 Nitto Denko Corp 補強板付き配線回路基板
KR20110058895A (ko) * 2006-06-09 2011-06-01 애플 인크. 터치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
KR20090055360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면 인쇄 회로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5138529B2 (ja) * 2008-10-03 2013-02-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タッチパネル
TWI471642B (zh) * 2010-09-24 2015-02-01 Wintek Corp Touch panel structure and its touch display panel
JP2014132299A (ja) * 2013-01-07 2014-07-17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JP2014219963A (ja) * 2013-04-12 2014-11-2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センサーシート作製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ッド用センサー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6692B2 (ja) 2014-09-12 2018-12-12 日本オクラロ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光送受信モジュール、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0112A (ja) * 2006-10-04 2008-04-17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15141701A (ja) * 2014-01-30 2015-08-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1716B2 (ja) 2021-11-05
TWI670999B (zh) 2019-09-01
KR20200052960A (ko) 2020-05-15
WO2019102833A1 (ja) 2019-05-31
US11382212B2 (en) 2022-07-05
CN211742067U (zh) 2020-10-23
JPWO2019102833A1 (ja) 2020-11-19
TW201927089A (zh) 2019-07-01
DE212018000358U1 (de) 2020-07-07
US20200245454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693B1 (ko)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CN107479752B (zh) 触控显示装置
JP5498811B2 (ja) 静電容量式の入力装置
US10521048B2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44774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619092B2 (en) Touch panel
JP6029842B2 (ja) 静電容量式入力装置
US9323092B2 (en) Touch panel
KR20150009420A (ko) 터치 윈도우
US8780067B1 (en) Bridging structure for signal transmission of touch panel
KR102119827B1 (ko) 터치 패널
KR102298808B1 (ko) 입력 장치
WO2014045562A1 (ja) 静電容量式センサ
CN212484325U (zh) 输入装置
KR20140003310A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85417A (ja) タッチパネル
KR102446999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US9342171B2 (en) Touch panel with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but on opposite surfaces of a substrate
CN212460527U (zh) 输入装置
KR102313967B1 (ko) 터치 윈도우
KR102212918B1 (ko) 터치 패널
TWI416394B (zh) Touch panel structure
WO2022244355A1 (ja) タッチセンサ
KR102237838B1 (ko) 터치 패널
CN113614682A (zh) 触摸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