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735B1 -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735B1
KR102298735B1 KR1020200141223A KR20200141223A KR102298735B1 KR 102298735 B1 KR102298735 B1 KR 102298735B1 KR 1020200141223 A KR1020200141223 A KR 1020200141223A KR 20200141223 A KR20200141223 A KR 20200141223A KR 102298735 B1 KR102298735 B1 KR 10229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age
panel
chamber
lowe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준
Original Assignee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챔버 내에서 단일 얼라인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각각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simultaneously laminating cover glass on a plurality of panels using a single chamber and the laminat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챔버 내에서 단일 얼라인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각각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기나 자동차의 전장 등에 사용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통상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패널'로 약칭함) 위에 커버가 라미네이팅된다. 상기 커버는 강화유리로 구성된 커버글라스일 수도 있으며 투명한 플라스틱 계열 사출물로 구성된 커버렌즈 또는 패널일 수 있다. 종래 통상적인 패널 라미네이팅 방법은 하부챔버에 패널을 로딩하고 상부챔버에 커버를 로딩한 상태에서 카메라로 패널과 커버의 배향 이미지를 획득한 후, 패널과 커버의 배향이 일치되도록 UVW 얼라인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패널을 X, Y 및 θ 방향으로 이동시켜 얼라인한 후,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를 상호 형합시키고 내부 진공 상태에서 켜 커버를 패널 위에 라미네티이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에는 통상적으로 1개의 챔버(상부챔버 및 하부챔버 세트를 1개의 챔버로 정의) 내에서 1개의 패널만 커버 라미네이팅이 수행되었는바, 생산성 증대를 위해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복수개의 챔버에 각각 UVW 얼라인스테이지를 구비하여 각 챔버별로 얼라인 후 커버를 각각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챔버와 얼라인스테이지가 복수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비비가 증가하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31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820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2019호
본 발명은 단일 챔버와 단일 얼라인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할 수 있어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 공간에 대한 제한이 적으며, 한번에 복수개의 패널 라미네이팅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하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측에 제1패널과 제2패널을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는 제1하부스테이지 및 제2하부스테이지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와 제2하부스테이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를 각각 개별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제1승강실린더(114) 및 제2승강실린더(124)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를 동시에 승강시키기 위한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과; 상기 하부챔버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부가 개구된 상부챔버와; 상기 상부챔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하측에 제1커버와 제2커버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는 제1상부스테이지 및 제2상부스테이지와; 상기 상부챔버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 시키기 위한 상부챔버승강부와; 상기 제1패널과 제1커버 및 제2패널과 제2커버의 배향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하부챔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배향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하부챔버를 X, Y, θ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패널과 제1커버 및 제2패널과 제1커버의 배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얼라인스테이지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 및 제2하부스테이지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제1하부스테이지 및 제2하부스테이지에 안착된 제1패널및 제2패널과 각각 일치하는 배향으로 얼라인된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상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제1받침실린더 및 제2받침실린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승강실린더와 제2승강실린더는 벨로우즈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부챔버와 하부챔버 사이에서 전후 및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상하 시야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와 제2하부스테이지에 제1패널과 제2패널이 각각 로딩되고,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와 제2상부스테이지에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각각 로딩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제1패널 및 제1커버와 제2패널 및 제2커버의 배향 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제1패널과 제1커버의 배향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얼라인스테이지에 의해 상기 하부챔버를 이동시켜 제1하부스테이지에 지지된 제1패널의 배향을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에 지지된 제1커버의 배향과 일치되도록 얼라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의 외측에 배치된 제1받침실린더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챔버승강부에 의해 상부챔버를 하강시켜 제1상부스테이지에 지지된 제1커버가 제1받침실린더에 안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챔버가 상부챔버승강부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제2패널과 제2커버의 배향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얼라인스테이지에 의해 상기 하부챔버를 이동시켜 제2하부스테이지에 지지된 제2패널의 배향을 상기 제2상부스테이지에 지지된 제2커버의 배향과 일치되도록 얼라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2하부스테이지의 외측에 배치된 제2받침실린더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1승강실린더에 의해 제1하부스테이지를 개별적으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상부챔버가 상부챔버승강부에 의해 하강되어 제2상부스테이지에 지지된 제2커버가 제2받침실린더 상에 안착되는 단계와; 상기 제1승강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가 다시 개별적으로 상승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승하여 제1하부스테이지와 제2하부스테이지가 동시 상승되고, 상기 제1받침실린더 및 제2받침실린더가 하강되어,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와 제2하부스테이지에 지지된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제1상부스테이지 및 제2상부스테이지에 지지된 제1커버 및 제2커버에 합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챔버와 단일 얼라인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할 수 있어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설치 공간에 대한 제한이 적으며, 한번에 복수개의 패널 라미네이팅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상부챔버를 제외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타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제1하부스테이지 및 제2하부스테이지의 동시 상승 작동 관계도,
도 4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이용하여 단일 챔버에서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는 하부챔버(100), 제1하부스테이지(110), 제2하부스테이지(120),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 상부챔버(200), 제1상부스테이지(210), 제2상부스테이지(220), 상부챔버승강부(230), 카메라(300) 및 얼라인스테이지(400)를 포함한다.
하부챔버(100)는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로 구성된 함체로서, 후술하는 상부챔버(200)와 형합됨에 따라 1개의 완성된 챔버를 형성한다. 도 1 에서는 상기 하부챔버(100)가 내부 구성이 현시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챔버(100)의 내측 좌우 양측에는 각각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가 인접하게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 및 제2하부스테이지(120)는 상측에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을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 진공 흡착에 의해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을 각각 흡착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는 하부챔버(100) 내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130)에 의해 지지되며 각각 개별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 및 제2하부스테이지(120)는 각각 단일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기타 부가적인 장치의 설치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플레이트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 및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개별적 승강을 위해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의 하측과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하측에는 각각 제1승강실린더(114)와 제2승강실린더(124)가 구비된다.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와 제2승강실린더(124)는 벨로우즈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로우즈실린더는 타원구 형상으로 구성되고 표면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팽팽하게 팽창되었다가 에어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수축되도록 구성된 공압 실린더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와 제2승강실린더(124)는 상단이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3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지지판(115)와 제2실린더지지판(125)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1실린더지지판(115) 그리고 상기 제2하부스테이지(120)와 제2실린더지지판(125) 사이에는 각각 제1가이드샤프트(116)과 제2가이드샤프트(126)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샤프트(116)와 제2가이드샤프트(126)는 리니어부싱과 리니어샤프트로 구성되어리니어부싱 내부에서 리니어샤프트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부싱의 하부는 상기 제1실린더지지판(115) 및 제2실린더지지판(125)에 결합되고, 리니어샤프트의 상부는 제1하부스테이지(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와 제2승강실린더(124)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가 제1가이드샤프트(116) 및 제2가이드샤프트(126)의 안내하에 안정적으로 개별 승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와 제2승강실린더(124)의 하단이 제1실린더지지판(115)과 제2실린더지지판(125)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실린더지지판(115)과 제2실린더지지판(125) 없이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와 제2승강실린더(124)의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30) 상면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지지판(115)와 제2실린더지지판(125)은 하측에서 베이스플레이트(130)와 LM가이드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 위치 조정을 위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 및 제2하부스테이지(120)에는 제1받침실린더(112)와 제2받침실린더(122)가 각각 구비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받침실린더(112)는 제1하부스테이지(110)의 좌우 양측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하부스테이지(110)에 안착된 제1패널(P1)과 상응하는 배향으로 얼라인된 제1커버(CG1)를 상기 제1패널(P1)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받침실린더(112)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함께 이동 및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받침실린더(122)는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좌우 양측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안착된 제2패널(P2)과 상응하는 배향으로 얼라인된 제2커버(CG2)를 상기 제2패널(P2)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받침실린더(122) 또한 에어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하부스테이지(120)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제2하부스테이지(120)와 함께 이동 및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 및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동시 승강을 위해,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챔버(100)의 하측에는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은 상기 하부챔버(100)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하부지지판(150) 위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판(150)의 상측에는 서보모터(162) 및 이와 결합된 볼스크류(163)가 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와 수직방향으로 교차되고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캠지지판(167)이 구비된다. 상기 캠지지판(167)은 볼스크류(163)의 너트블럭과 결합되어 서보모터(162)와 볼스크류(163)의 작동에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캠지지판(167)과 하부지지판(150) 사이에는 LM가이드(168)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캠지지판(167)의 상부에는 원동캠(164)과 종동캠(165)이 배치된다. 상기 원동캠(164)은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캠으로 구성되어 하부가 상기 캠지지판(167) 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종동캠(165)은 상기 원동캠(164)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롤러로 구성되어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그 상측에 구비된 승강플레이트(14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원동캠(164)과 종동캠(165)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지지판(16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종동캠(165)이 결합된 승강플레이트(140)의 상측에는 다수의 승강샤프트(142)가 결합되며, 상기 승강샤프트(142)는 상단이 상기 하부챔버(100)의 하부를 관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30)의 하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판(150)은 별도의 브라켓(B)에 의해 상기 하부챔버(100)와 결합된다.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의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 에서 일부 브라켓(B) 등 기타 구성요소들은 일부 생략하였다.
도 3 에는 이러한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의 작동 관계도가 도시된다. 도 3 의 (a)는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가 하강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때, 상기 서보모터(162)는 정지상태에 있으며, 종동캠(165)는 원동캠(164)의 경사면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 있다. 도 3 의 (b)는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가 상승된 상태의 도면으로, 서보모터(162)의 작동에 따라 볼스크류(163)가 회전되면 캠지지판(167)이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원동캠(164) 또한 전방측으로 이동되고, 종동캠(165)은 상기 원동캠(164)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캠(165)이 결합된 승강플레이트(140)가 상승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140) 상부에 결합된 승걍샤프트(142)가 상승하면서 베이스플레이트(130)를 밀어 올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플레이트(140)는 브라켓(B) 또는 기타 다른 가이드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전후 수평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0) 상에 배치된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가 전체적으로 동시에 상승된다.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하강 작동은 상기 서보모터(162)의 역회전에 의해 수행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의 (b)에서는 하부챔버(100)와 기타 일부 구성을 생략하였다.
상부챔버(200)는 하부가 개구된 육면체로 구성된 함체로서, 상기 하부챔버(100)와 형합됨에 따라 1개의 완성된 챔버를 형성한다. 도 1 에서 상기 하부챔버(100)는 내부 구성이 현시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챔버(200)의 내측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제1상부스테이지(210)와 제2상부스테이지(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는 하측에 제1커버(CG1)와 제2커버(CG2)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 진공 흡착에 의해 제1커버(CG1)와 제2커버(CG2)를 각각 흡착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챔버(200)의 내부 상면에 고정 결합되거나 LM가이드 등에 의해 좌우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는 각각 단일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기타 부가적인 장치의 설치를 위해 다수개의 플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는 상부챔버승강부(230)에 의해 상부챔버(200)와 함께 승강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챔버(200)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상부챔버승강부(230)가 구비되는바, 상기 상부챔버승강부(230)는 서버모터와 볼스크류(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챔버(200)의 좌우 양측에는 별도의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 볼스크류(234)의 너트블럭이 결합되어 서보모터(232)의 구동에 따라 볼스크류(234)에 의해 상부챔버(200)가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챔버(200)의 좌우 양측에는 회동축(236)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236)에는 회전모터(237)가 결합되어, 회전모터(237)의 구동에 따라 상부챔버(200)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와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커버들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터(237)는 모터브라켓(238)에 장착된며, 상기 모터브라켓(238)은 상기 볼스크류(234)의 너트블럭과 결합되어, 상기 서보모터(232)의 구동에 따라 모터브라켓(238)과 여기에 결합된 회전모터(237), 회동축(236) 및 상부챔버(200)가 함께 승강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서보모터(232)는 수직브라켓(235)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브라켓(235)에 형성된 LM가이드를 따라 상기 모터브라켓(238)의 상하 승강 이동이 안내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상부챔버(200)의 안정적인 승강 이동이 가능하다.
카메라(300)는 상부챔버(200) 내에 지지되는 커버들과 하부챔버(100) 내에 지지되는 패널들을 촬영하여 각 배향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챔버(200)와 하부챔버(100) 사이에서 전후 및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상하 시야 카메라(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300)는 커버들과 패널들의 네 모서리를 인식하여 각각의 배향을 파악한다.
얼라인스테이지(400)는 상기 하부챔버(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 획득된 배향 이미지를 기초로 하부챔버(100)를 이동시켜 패널들의 배향을 커버들의 배향과 일치시킨다. 상기 얼라인스테이지(400)는 하부챔버(100)를 X, Y, θ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커버와 패널의 배향을 일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라인스테이지(4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판(15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지지판(150)의 배향을 변경시킴에 따라 그 상측에 지지된 하부챔버(100)를 얼라인한다. 이러한 얼라인스테이지(400)는 통상 UVW 스테이지라고 부르며, 각종 패널의 합착시 얼라인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그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얼라인스테이지(400)가 하부챔버(100)의 하측에 단지 1개만 구비된다. 이러한 단일 얼라인스테이지(400)로 하부챔버(100)내 지지된 복수개의 패널을 얼라인할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 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에 의해 단일 챔버와 단일 얼라인스테이지(400)로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하부챔버(100)내 제1하부스테이지(110)에는 제1패널(P1)이 로딩되어 지지되고, 제2하부스테이지(120)에는 제2패널(P2)이 로딩되어 지지된다. 이때, 제1승강실린더(114)와 제2승강실린더(124)는 모두 공기가 공급되어 팽창되어 제1하부스테이지(110) 및 제2하부스테이지(120) 모두 상승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와 제2상부스테이지(220)에는 각각 제1커버(CG1)와 제2커버(CG2)가 로딩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부챔버(200)는 상부챔버승강부(230)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된 상태에 있어서 상부챔버(200)와 하부챔버(10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커버(CG1)와 제1패널(P1), 그리고 제2커버(CG2)와 제2패널(P2)도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메라(300)가 상부챔버(200)와 하부챔버(100)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패널(P1)과 제1커버(CG1) 사이로 전진하여 진입하여 제1패널(P1)과 제1커버(CG1)의 네 모서리를 촬영하여 배향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 다음, 상기 카메라(300)는 우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제2패널(P2)과 제2커버(CG2) 사이로 이동한 후 제2패널(P2)과 제2커버(CG2)의 네 모서리를 촬영하여 배향 이미지를 획득하고 다시 후진하여 상부챔버(200)와 하부챔버(100)의 형합시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 획득된 배향 이미지는 제어부(미도시)에 저장되고 이후 얼라인 단계에서 활용된다.
그 다음,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챔버(200)와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를 고정한 상태로 제어부에서 미리 저장된 제1패널(P1)과 제1커버(CG1)의 배향 이미지를 비교한 후 상기 얼라인스테이지(400)를 구동시켜 상기 하부챔버(100)내 제1하부스테이지(110)에 지지된 제1패널(P1)의 배향을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에 지지된 제1커버(CG1)의 배향과 일치되도록 얼라인한다.
그 다음, 상기 제1커버(CG1)가 상기 제1패널(P1)과 배향이 일치되도록 얼라인 된 상태로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제1패널(P1)의 상측에 일시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스테이지(110)의 외측에 배치된 제1받침실린더(112)를 상승시키고,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챔버승강부(230)에 의해 상기 상부챔버(200)를 하강시키고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의 진공 흡착력을 제거하여 제1상부스테이지(210)에 지지된 제1커버(CG1)가 제1받침실린더(112)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패널(P1)과 제1커버(CG1)는 얼라인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패널(P1)은 제1하부스테이지(110)에, 제1커버(CG1)는 제1받침실린더(112)에 안착되어 제1패널(P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지지된 제2패널(P2)과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2커버(CG2)도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 다음,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부챔버(200)가 상부챔버승강부(230)에 의해 상승되고, 상부챔버(200)와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를 고정한 상태로 제어부에서 미리 저장된 제2패널(P2)과 제2커버(CG2)의 배향 이미지를 비교한 후 상기 얼라인스테이지(400)를 구동시켜 상기 하부챔버(100)내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지지된 제2패널(P2)의 배향을 상기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2커버(CG2)의 배향과 일치되도록 얼라인한다. 이러한 얼라인 작업에 의해 하부챔버(100)가 X, Y, θ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상기 제1커버(CG1)는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결합된 제1받침실린더(112)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챔버(100) 이동시 함께 이동되어 제1패널(P1)과 제1커버(CG1)는 얼라인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그 다음,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외측에 배치된 제2받침실린더(122)를 상승시키고,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스테이지(110)를 개별적으로 하강시킨다.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를 하강시키는 이유는, 다음 단계에서 하부챔버(100)가 하강하여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2커버(CG2)를 제2받침실린더(122)에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1하부스테이지(110)가 함께 하강하므로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가 제1받침실린더(112)에 지지된 제1커버(CG1)와 충돌 또는 접촉이 발생하여 파손 또는 얼라인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하부스테이지(110)의 하강은 제1승강실린더(114)에 의해 수행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는 벨로우즈실린더로 구성되고 공기가 공급되어 팽창된 상태에 있다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의 하강 이동을 위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수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 상측에 위치된 제1하부스테이지(110)가 하강된다.
이와 같이 제1하부스테이지(110)가 하강된 상태에서,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챔버(200)가 다시 하강되어 하부챔버(100)와 형합되고 상기 제2커버(CG2)가 상기 제2패널(P2)과 배향이 일치되도록 얼라인된 상태로 상기 제1패널(P1)의 상측에 일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커버(CG2)는 상기 제2상부스테이지(220)의 진공 흡착력이 제거되어 상승된 제2받침실린더(122) 상에 안착된다.
그 다음,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에 공기가 공급되어 팽창됨에 따라 제1하부스테이지(110)가 다시 개별적으로 상승된다. 현 상태에서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챔버(200)와 하부챔버(100)가 형합되어 하나의 완성된 챔버를 형성하며 챔버 내부는 진공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CG1)와 제2커버(CG2)는 제1받침실린더(112)와 제2받침실린더(1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커버(CG1)와 제2커버(CG2)의 상부면은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와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 다음, 도 11 에 도시되고 도 3 을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의 서보모터(162)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140)가 상승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140) 상부에 결합된 승강샤프트(142)가 베이스플레이트(130)를 밀어 올려 상승시킴에 따라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가 동시에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제1받침실린더(112) 및 제2받침실린더(122)가 수축되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지지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이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1커버(CG1) 및 제2커버(CG2)에 합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챔버 내에서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가 라미네이팅 가능하다. 이후, 상부챔버(200)가 다시 상승하여 상부챔버(200)와 하부챔버(100)가 분리된후 합착 패널이 외부로 반출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하부챔버 110 : 제1하부스테이지
P1 : 제1패널 112 : 제1받침실린더
114 : 제1승강실린더 120 : 제2하부스테이지
P2 : 제2패널 122 : 제2받침실린더
124 : 제2승강실린더 130 : 베이스플레이트
140 : 승강플레이트 142 : 승강샤프트
160 :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 200 : 상부챔버
210 : 제1상부스테이지 CG1 : 제1커버
220 : 제2상부스테이지 CG2 : 제2커버
230 : 상부챔버승강부 232 : 서보모터
234 : 볼스크류 235 : 수직브라켓
236 : 회동축 237 : 회전모터
238 : 모터브라켓 300 : 카메라
400 : 얼라인스테이지

Claims (8)

  1. 상부가 개구된 하부챔버(100)와;
    상기 하부챔버(10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측에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을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는 제1하부스테이지(110) 및 제2하부스테이지(120)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130)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를 각각 개별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제1승강실린더(114) 및 제2승강실린더(124)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를 동시에 승강시키기 위한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과;
    상기 하부챔버(100)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부가 개구된 상부챔버(200)와;
    상기 상부챔버(200)의 내측에 구비되고, 하측에 제1커버(CG1)와 제2커버(CG2)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는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와;
    상기 상부챔버(200)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 시키기 위한 상부챔버승강부(230)와;
    상기 제1패널(P1)과 제1커버(CG1) 및 제2패널(P2)과 제2커버(CG2)의 배향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300)와;
    상기 하부챔버(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 획득된 배향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하부챔버(100)를 X, Y, θ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패널(P1)과 제1커버(CG1) 및 제2패널(P2)과 제1커버(CG1)의 배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얼라인스테이지(400)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 및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제1하부스테이지(110) 및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안착된 제1패널(P1)및 제2패널(P2)과 각각 일치하는 배향으로 얼라인된 제1커버(CG1) 및 제2커버(CG2)를 상기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의 상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제1받침실린더(112) 및 제2받침실린더(122)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와 제2승강실린더(124)는 벨로우즈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300)는 상부챔버(200)와 하부챔버(100) 사이에서 전후 및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상하 시야 카메라(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은,
    서보모터(162)와;
    상기 서보모터(162)에 의해 회전되는 볼스크류(163)와;
    상기 볼스크류(163)의 회전에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며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원동캠(164)과;
    상기 원동캠(164)의 이동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승강되는 종동캠(165)과;
    상기 종동캠(165)과 결합되어 종동캠(165)과 함께 승강되는 승강플레이트(140)와;
    상기 승강플레이트(14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하부챔버(100)의 하면을 관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30)의 하부에 결합된 승강샤프트(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를 이용한 복수 패널 동시 라미네이팅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각각 로딩되고,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와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제1커버(CG1)와 제2커버(CG2)가 각각 로딩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 상기 제1패널(P1) 및 제1커버(CG1)와 제2패널(P2) 및 제2커버(CG2)의 배향 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제1패널(P1)과 제1커버(CG1)의 배향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얼라인스테이지(400)에 의해 상기 하부챔버(100)를 이동시켜 제1하부스테이지(110)에 지지된 제1패널(P1)의 배향을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에 지지된 제1커버(CG1)의 배향과 일치되도록 얼라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의 외측에 배치된 제1받침실린더(112)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챔버승강부(230)에 의해 상부챔버(200)를 하강시켜 제1상부스테이지(210)에 지지된 제1커버(CG1)가 제1받침실린더(112)에 안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챔버(200)가 상부챔버승강부(230)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제2패널(P2)과 제2커버(CG2)의 배향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얼라인스테이지(400)에 의해 상기 하부챔버(100)를 이동시켜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지지된 제2패널(P2)의 배향을 상기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2커버(CG2)의 배향과 일치되도록 얼라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2하부스테이지(120)의 외측에 배치된 제2받침실린더(122)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에 의해 제1하부스테이지(110)를 개별적으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상부챔버(200)가 상부챔버승강부(230)에 의해 하강되어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2커버(CG2)가 제2받침실린더(122) 상에 안착되는 단계와;
    상기 제1승강실린더(114)에 의해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가 다시 개별적으로 상승되는 단계와;
    상기 하부스테이지승강수단(16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0)가 상승하여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가 동시 상승되고, 상기 제1받침실린더(112) 및 제2받침실린더(122)가 하강되어,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지지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이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1커버(CG1) 및 제2커버(CG2)에 합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
  6.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하부챔버(100) 내에 구비된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각각 로딩되고, 하부가 개구된 상부챔버(200) 내에 구비된 제1상부스테이지(210)와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제1커버(CG1)와 제2커버(CG2)가 각각 로딩되는 제1단계와;
    카메라(300)에 의해 상기 제1패널(P1) 및 제1커버(CG1)와 제2패널(P2) 및 제2커버(CG2)의 배향 이미지가 획득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패널(P1)과 제1커버(CG1)의 배향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하부챔버(100)를 이동시켜 제1하부스테이지(110)에 지지된 제1패널(P1)의 배향을 상기 제1상부스테이지(210)에 지지된 제1커버(CG1)의 배향과 일치되도록 얼라인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커버(CG1)가 상기 제1패널(P1)과 배향이 일치되도록 얼라인 된 상태로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제1패널(P1)의 상측에 일시 고정되는 제4단계와;
    상기 상부챔버(200)가 상승되고, 상기 제2패널(P2)과 제2커버(CG2)의 배향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하부챔버(100)를 이동시켜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지지된 제2패널(P2)의 배향을 상기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2커버(CG2)의 배향과 일치되도록 얼라인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를 개별적으로 하강시키는 제6단계와;
    상기 상부챔버(200)가 하강되어 하부챔버(100)와 형합되고, 상기 제2커버(CG2)가 상기 제2패널(P2)과 배향이 일치되도록 얼라인된 상태로 상기 제1패널(P1)의 상측에 일시 고정되는 제7단계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가 다시 개별적으로 상승되는 제8단계와;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가 동시 상승되고,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와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지지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이 제1상부스테이지(210) 및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1커버(CG1) 및 제2커버(CG2)에 합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4단계는 상기 제1하부스테이지(110)에 배치된 제1받침실린더(112)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챔버(200)를 하강시켜 제1상부스테이지(210)에 지지된 제1커버(CG1)가 제1받침실린더(112)에 안착되도록 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제7단계는 제2하부스테이지(120)에 배치된 제2받침실린더(122)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챔버(200)가 하강되어 제2상부스테이지(220)에 지지된 제2커버(CG2)가 제2받침실린더(122) 상에 안착되도록 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방법.
KR1020200141223A 2020-10-28 2020-10-28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223A KR102298735B1 (ko) 2020-10-28 2020-10-28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223A KR102298735B1 (ko) 2020-10-28 2020-10-28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735B1 true KR102298735B1 (ko) 2021-09-06

Family

ID=7778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223A KR102298735B1 (ko) 2020-10-28 2020-10-28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7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160A (ja) * 2001-11-30 2003-06-10 Mck:Kk ラミネータ
KR101075440B1 (ko) * 2008-09-11 2011-10-24 (주)리드 태양 전지 모듈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트 시스템
KR20120098129A (ko) * 2011-02-28 2012-09-05 김선수 최소 두 개 이상의 작업플레이트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KR20130003182A (ko) 2011-06-30 2013-01-09 윤병호 얼라인 스테이지 챔버가 외부에 위치한 진공 라미네이팅장치
KR20180077682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진공 라미네이터
KR102092019B1 (ko) 2018-06-05 2020-03-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진공 라미네이터
KR20200082025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진공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160A (ja) * 2001-11-30 2003-06-10 Mck:Kk ラミネータ
KR101075440B1 (ko) * 2008-09-11 2011-10-24 (주)리드 태양 전지 모듈 제조를 위한 라미네이트 시스템
KR20120098129A (ko) * 2011-02-28 2012-09-05 김선수 최소 두 개 이상의 작업플레이트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KR20130003182A (ko) 2011-06-30 2013-01-09 윤병호 얼라인 스테이지 챔버가 외부에 위치한 진공 라미네이팅장치
KR20180077682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진공 라미네이터
KR102092019B1 (ko) 2018-06-05 2020-03-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진공 라미네이터
KR20200082025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진공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101B2 (e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trates of flat display panel
KR101311855B1 (ko) 기판합착장치 및 기판합착방법
KR101631028B1 (ko) 디스플레이용 합착 장치
CN109532187A (zh) 一种贴合设备及其贴合方法
CN112008250B (zh) 一种生陶瓷切割装置及切割方法
JP4070994B2 (ja) ワーク搬送用ロボット及びこのロボットを備えたワーク加工装置
US74146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urning device
CN216154882U (zh) 带自动翻板功能的植板机
KR102298735B1 (ko) 단일 챔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패널에 커버를 동시에 라미네이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04037594A (ja) 基板組立て装置
US10603843B2 (en) Curved display bonding apparatus
KR100819496B1 (ko) 평판 표시소자의 배기, 봉착장치 및 방법
WO2020098117A1 (zh) 贴合治具、贴合方法及裸眼3d手机套
JP4034978B2 (ja) 基板貼り合わせ装置
WO2021220504A1 (ja) 貼合装置、および貼合方法
CN114530102A (zh) 一种全自动oled屏幕贴合设备
JP4031650B2 (ja) 基板貼り合わせ方法及び装置
CN114077075A (zh) 一种对位装置及其全贴合对位方法
KR101468981B1 (ko)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KR102020236B1 (ko) 패널 합착 장치
JP4038035B2 (ja) 水晶振動子組立装置
JP2021005700A (ja) ウエハー試験装置
JP3344060B2 (ja) 板状部材の位置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とそれを用いた液晶画面の製造方法
TWI549215B (zh)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CN218450202U (zh) 一种用于手机摄像头功能的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