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981B1 -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981B1
KR101468981B1 KR1020130025420A KR20130025420A KR101468981B1 KR 101468981 B1 KR101468981 B1 KR 101468981B1 KR 1020130025420 A KR1020130025420 A KR 1020130025420A KR 20130025420 A KR20130025420 A KR 20130025420A KR 101468981 B1 KR101468981 B1 KR 10146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rame
alignment
mold
backlight unit
r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374A (ko
Inventor
손영곤
Original Assignee
(주)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닉스 filed Critical (주)소닉스
Priority to KR102013002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981B1/ko
Publication of KR2014011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의 수용홈에 몰드프레임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더 나아가 모터와 실린더를 조합 사용하여 몰드프레임을 정렬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장비의 가동률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BACK LIGHT UNIT ASSEMB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몰드프레임에 반사판, 도광판 및 회로기판을 조립하는 부분에 특징이 있다.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에는 빛을 밝게 확산시켜 조사하는 백라이트유닛(BACK LIGHT UNIT : BLU, 이하 'BLU'라 기재함)이 장착된다. 이러한 BLU와 관련하여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2214호(발명의 명칭 :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등의 기술들이 제안되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등에 널리 사용되는 에지방식의 BLU는 몰드프레임에 반사판, 도광판, 확산필름, 2장의 프리즘 및 보호필름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積層)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몰드프레임의 일 측 부분에는 LED 소자가 구비된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FPCB, 이하 'FPCB'라 함)이 구비된다.
대개의 경우 보호필름까지 적층된 완제품은 제1 공정 부분과 제2 공정 부분으로 나뉜 2개의 공정 부분을 통해 조립된다.
제1 공정 부분은 몰드프레임에 반사판 및 도광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FPCB를 부착하는 공정들로서 보조(SUB) BLU 조립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 공정 부분은 제1 공정 부분에서 조립된 중간 조립체에 확산필름, 2장의 프리즘 및 보호필름 등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공정들로서 주(MAIN) BLU 조립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보조 BLU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2개의 공정이 묶여 하나의 BLU 조립장치에서 이루어지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보조 BLU 조립장치와 주 BLU 조립장치를 구분하지 않고 BLU 조립장치라 통칭한다.
한편, 제1 공정 부분을 더욱 세분화 하면, FPCB 투입, 감지, 몰드프레임 투입, 세정, 반사판 적층, 도광판 적층, FPCB 조립, 가압, 반출 등의 공정들로 이루어진다.
FPCB 투입 공정은 작업자가 회전 가능한 작업판 상의 투입홈에 LED 소자들을 가지는 FPCB를 투입하는 공정이다.
감지 공정은 FPCB가 투입홈에 적절히 투입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공정이다.
몰드프레임 투입 공정은 작업자가 작업판 상의 수용홈에 몰드프레임을 위치시키는 공정이다. 이러한 몰드프레임 투입 공정은 작업자가 일정한 정렬 지그 상에 몰드프레임을 위치시키면, 정렬장치에 의해 몰드프레임을 정렬한 후, 픽킹로봇을 통해 작업판의 수용홈에 몰드프레임을 위치시키는 공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반사판 적층 공정은 몰드프레임에 반사판을 적층시키는 공정이다.
도광판 적층 공정은 몰드프레임에 도광판을 적층시키는 공정이다. 이 때 도광판은 반사판의 상측에 적층된다.
FPCB 조립 공정은 투입홈에 있는 FPCB를 몰드프레임의 일 측 부분에 부착시키는 공정이다. 여기서 FPCB는 도광판의 상측에 위치된다.
가압 공정은 FPCB를 단단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FPCB를 가압하는 공정이다.
반출 공정은 상기한 각 공정을 통해 생산된 중간 조립체를 외부로 인출하는 공정이다. 물론, 인출된 중간 조립체는 컨베이어 장치 등에 의해 운반되도록 구현된다.
그런데, 상기한 각 공정들 중 몰드프레임 투입 공정은 작업자의 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몰드프레임 투입 공정에서는 정렬 지그 상에 위치된 몰드프레임을 정렬하기 위해서 도1과 같은 정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정렬 장치는 4개의 실린더와 4개의 정렬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정렬 지그 상에 몰드프레임을 위치시키면, 4개의 실린더가 동작하여 4개의 정렬부재들이 사각 형상의 몰드프레임 각 변을 가압하여 몰드프레임을 정확한 상태로 정렬시킨다.
그러나 실린더는 정렬부재들을 고정된 2 지점에만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몰드프레임의 크기가 변하게 되면, 실린더의 위치를 바꿔주거나 실린더를 교체해야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점도 작업성 및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장비의 가동률도 하락시킨다. 게다가 정교한 정렬을 위해 4개의 실린더가 사용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고 설계가 까다롭다.
본 발명은 몰드프레임의 투입 공정을 자동화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몰드프레임을 정렬시킬 수 있는 기술과 다양한 규격의 몰드프레임의 투입 공정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가진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는, 몰드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작업테이블; 상기 수용홈에 몰드프레임을 자동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자동위치장치;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 있는 상기 수용홈의 이동 및 정지에 동기하여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몰드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대상물을 적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장치; 및 작업대상물이 적층된 몰드프레임에 회로기판을 부착시키는 부착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위치장치는, 몰드프레임을 정렬위치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정렬위치에 위치된 몰드프레임을 정렬하는 정렬유닛; 및 상기 정렬유닛에 의해 정렬된 몰드프레임을 상기 수용홈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유닛은, 몰드프레임을 파지하여 정렬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로봇; 및 적층된 몰드프레임들을 한 장씩 상기 이동로봇으로 공급하는 공급기; 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로봇이 몰드프레임을 파지하는 지점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로봇을 제어한다.
상기 공급기는, 적층된 몰드프레임들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봇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몰드프레임들 중 상측에 있는 몰드프레임을 정렬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급기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몰드프레임들을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부재; 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는, 상기 정렬부재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설치판; 및 상기 설치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렬유닛은, 정렬위치에 있는 몰드프레임을 정렬시키기 위한 제1 정렬부재 및 제2 정렬부재; 상기 제1 정렬부재를 진퇴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재2 정렬부재를 진퇴시키기 위한 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정렬부재의 진퇴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한다.
상기 제1 정렬부재는 몰드프레임의 제1 사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직각홈을 가지며, 상기 제2 정렬부재는 상기 제1 직각홈에 대향하며, 몰드프레임의 사각 모서리들 중 상기한 제1 사각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있는 제2 사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직각홈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몰드프레임을 수용홈에 위치시키는 공정이 모두 자동화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규격의 몰드프레임을 수용홈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둘째, 몰드프레임을 정렬시키기 위한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좋고 설계가 편리하다.
셋째,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규격의 몰드프레임에 대응하여 정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고, 더 나아가 장비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에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특징적인 부분을 발췌한 발췌도이다.
도3은 도2에서 공급유닛을 발췌한 세부 발췌도이다.
도4는 도3의 공급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5는 공급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6은 도2에서 정렬유닛을 발췌한 세부 발췌도이다.
도7은 정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8 내지 도12는 도2의 특징직인 부분들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간격함을 위해 이미 공지된 기술이나 중복 설명이 필요한 부분들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1000)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1000)는, 작업테이블(1100), 구동장치(1200), 자동위치장치(1300), 세정장치(1400), 제1 적층장치(1500), 제2 적층장치(1600), 부착장치(1700), 가압장치(1800), 반출장치(1900), 감지장치(2100) 및 제어장치(2200)를 포함한다.
작업테이블(1100)은 회전 가능한 원판형이다. 이러한 작업테이블(1100)의 상면에는 작업자(W)가 FPCB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홈(TS)과 몰드프레임(MF)을 수용할 수 있는 몰드프레임(ES)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투입홈(TS)과 몰드프레임(ES)은 인접하게 형성되며, 작업테이블(1100) 상에 대략 36도 등각도 간격으로 다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구동장치(1200)는 작업테이블(1100)을 회전시킨다.
자동위치장치(1300)는 수용홈(ES)에 몰드프레임(MF)을 자동으로 위치시킨다. 이러한 자동위치장치(1300)에 관련하여서는 차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세정장치(1400)는 일 측에서 수용홈(ES)에 수용된 몰드프레임(MF)의 상면에 강한 바람을 불고 타 측에서 바람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몰드프레임(MF)을 세정한다.
제1 적층장치(1500)는 몰드프레임(MF)에 작업대상물인 반사판을 적층시킨다.
제2 적층장치(1600)는 반사판 위로 작업대상물인 도광판을 적층시킨다.
부착장치(1700)는 FPCB를 몰드프레임(MF)의 일 측에 부착시킨다.
가압장치(1800)는 FPCB의 부착이 단단히 이루어지도록 FPCB를 가압한다.
반출장치(1900)는 가압장치(1800)의 동작에 의해 완성된 중간 조립체를 반출한다.
감지장치(2100)는 투입홈(TS)에 FPCB가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장치(2200)는 상기한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위와 같은 구성들을 가지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10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장치(1200)는 작업테이블(1100)을 일정 각도씩 회전(예를 들어 36도 각도씩 회전)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키면서 투입홈(TS)과 수용홈(ES)이 회전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각 구성들에 의해 수행되는 대부분의 작업은 작업테이블(1100)이 정지했을 때와 동기하여 이루어진다. 작업자(W)는 P1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에 인접한 투입홈(TS)에 FPCB를 투입한다. 그리고 감지장치(2100)는 P2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에 인접한 투입홈(TS)에 FPCB가 투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자동위치장치(1300)는 P3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에 몰드프레임(MF)을 투입한다. 세정장치(1400)는 P4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에 수용된 몰드프레임(MF)을 세정한다. 또한, 제1 적층장치(1500)와 제2 적층장치(1600)는 각각 P5 위치에 있는 수용홈과 P6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에 수용된 몰드프레임(MF)에 반사판과 도광판을 적층시킨다. 부착장치(1700)는 P7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에 수용된 몰드프레임(MF)에 FPCB를 부착시키고, 가압장치(1800)는 P8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에 수용된 몰드프레임(MF)에 부착된 FPCB를 가압한다. 가압장치(1800)의 동작에 따라 중간 조립체가 완성되고, 반출장치(1900)는 P9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에 수용된 중간 조립체를 외부로 반출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된 자동위치장치(1300)에 대하여 도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도1에서 자동위치장치(1300)만을 발췌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자동위치장치(1300)는 공급유닛(1310), 정렬유닛(1320) 및 이동유닛(1330)을 포함한다.
공급유닛(1310)은 몰드프레임(MF)을 정렬위치(P0)로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유닛(1310)은 도3의 세부 발췌도에서 더 자세히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동로봇(1311) 및 한 쌍의 공급기(1312, 1313)를 포함한다.
이동로봇(1311)은 공급기(1312, 1313)로부터 공급위치(D1, D2)로 공급되는 몰드프레임(MF)을 진공압에 의해 흡착 파지한 후 정렬위치(P0)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이동로봇(1311)은 픽커(1311a), 레일블록(1311b) 및 안내레일(1311c)을 가진다.
픽커(1311a)는 공급위치(D1, D2)에 있는 몰드프레임(MF)을 진공압에 의해 흡착 파지하여 정렬위치(P0)로 이동시킨다.
레일블록(1311b)은 픽커(1311a)를 안내레일(1311c)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여기서 레일블록(1311a)의 이동 구조는, 예를 들면, 레일블록(1311a)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봉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모터의 작동에 의해 나사봉이 회전하면서 이동되는 구조 등일 수 있다.
안내레일(1311c)은 픽커(1311a)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 쌍의 공급기(1312, 1313) 각각은 적층된 1 랏(LOT)의 몰드프레임(MF)들을 한 장씩 이동로봇(1311)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한 쌍의 공급기(1312, 1313) 각각은 도4의 개략적인 사시도에서 더 자세히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12a, 1313a), 승강기(1312b, 1313b), 한 쌍의 지지부재(1312c-1/1312c-2, 1313c-1/1313c-2), 한 쌍의 정렬부재(1312d-1/1312d-2, 1313d-1/1313d-2),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2e-1/1312e-2, 1313e-1/1313e-2), 설치판(1312f, 1313f) 및 가이더(1312g, 1313g)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312a, 1313a)은 1 랏의 물량으로 한꺼번에 공급되는 몰드프레임(MF)들을 지지한다.
승강기(1312b, 1313b)는 지지 프레임(1312a, 1313a)을 승강시킨다. 부연하자면, 이동로봇(1311)은 지지 프레임(1312a, 1313a)에 적층된 상태로 지지된 몰드프레임(MF)들 중 가장 상측에 있는 한 장의 몰드프레임(MF)을 정렬위치(P0)로 이동시키기 되며, 이에 따라 남은 몰드프레임(MF)들 중 가장 상측의 몰드프레임(MF)이 이동로봇(1311)이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승강기(1312b, 1313b)가 작업 경과에 따라 지지 프레임(1312a, 1313a)을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물론, 가장 밑에 있는 몰드프레임(MF)이 정렬위치(P0)로 이동하고 나면, 지지 프레임(1312a, 1313a)에 또 다른 물량을 적재할 수 있도록 승강기(1312b, 1313b)가 지지 프레임(1312a, 1313a)을 하강시키게 된다.
한 쌍의 지지부재(1312c-1/1312c-2, 1313c-1/1313c-2)는 지지 프레임(1312a, 1313a)에 의해 지지된 몰드프레임(MF)들의 인접하는 2개의 변을 지지한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부재(1312c-1/1312c-2, 1313c-1/1313c-2)는 설치판(1312f, 1313f) 고정 설치된다. 또는 승강기(1312b, 1313b) 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1312c-1, 1313c-1)의 경우에는 지지 프레임(1312a, 1313a)이 승강기(1312b, 1313b) 측에 연결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더불어 지지 프레임(1312b, 1313b)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홈(AD)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정렬부재(1312d-1/1312d-2, 1313d-1/1313d-2)는 지지 프레임(1312a, 1313a)에 의해 지지된 몰드프레임(MF)들의 인접하는 나머지 2개의 변을 지지한다. 이러한 한 쌍의 정렬부재(1312d-1/1312d-2, 1313d-1/1313d-2)는 그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판(1312f, 1313f) 상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긴 사각 봉 형상이다. 여기서 정렬부재(1312d-1/1312d-2, 1313d-1/1313d-2)의 이동 가능한 구조는 도5의 (a) 및 (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12a, 1313a)에 다양한 규격의 몰드프레임(MF1, MF2)이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역할도 담보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2e-1/1312e-2, 1313e-1/1313e-2)은 각각 한 쌍의 정렬부재(1312d-1/1312d-2, 1313d-1/1313d-2)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즉, 제1 가이드레일(1312e-12, 1313e-1)은 제1 정렬부재(1312d-1, 1313d-1)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2 가이드레일(1312e-2, 1313e-2)은 제2 정렬부재(1312d-2, 1313d-2)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정렬부재(1312d-1/1312d-2, 1313d-1/1313d-2) 각각은 가이드레일(1312e-1/1312e-2, 1313e-1/1313e-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레일블록(RB)을 가진다.
설치판(1312f, 1313f)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설치판(1312f, 1313f)에 상기한 한 쌍의 지지부재(1312c-1/1312c-2, 1313c-1/1313c-2), 한 쌍의 정렬부재(1312d-1/1312d-2, 1313d-1/1313d-2) 및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2e-1/1312e-2, 1313e-1/1313e-2)이 설치된다. 또한, 설치판(1312f, 1313f)은 지지 프레임(1312a, 1313a)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IP)을 가진다. 여기서 간섭방지홈(IP)의 형태는 지지 프레임(1312a, 1313a)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이다.
가이더(1312g, 1313g)는 레일 형태로서 설치판(1312f, 1313f)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물론, 설치판(1312f, 1313f)은 가이더(1312g, 1313g)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레일블록(RB)을 가진다.
정렬유닛(1320)은 도6의 세부 발췌도에서 더 자세히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정렬지그(1321), 제1 정렬부재(1322), 제2 정렬부재(1323), 실린더(1324) 및 모터(1325)를 포함한다.
정렬지그(1321)는 이동로봇(1311)에 의해 정렬위치(P0)로 이동되어 온 몰드프레임(MF)을 지지한다.
제1 정렬부재(1322)는 몰드프레임(MF)의 제1 사각 모서리(RC1)에 대응하는 제1 직각홈(RS1)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정렬부재(1322)의 직각홈(RS1) 부분에 몰드프레임(MF)의 제1 사각 모서리(RC1)가 교합할 수 있다.
제2 정렬부재(1323)는 제1 직각홈(RS1)에 대향하는 제2 직각홈(RS2)을 가진다. 여기서 제2 직각홈(RS2)은 몰드프레임(MF)의 사각 모서리들 중 제1 사각 모서리(RC1)와 대각 방향에 있는 제2 사각 모서리(RC2)에 대응한다.
실린더(1324)는 제1 정렬부재(1322)를 진퇴시킨다.
모터(1325)는 제2 정렬부재(1323)를 진퇴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모터(1325)는 제어장치(22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제2 정렬부재(1323)의 진퇴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7의 (a) 및 (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정렬위치(P0, P0')에 서로 다른 규격의 몰드프레임(MF1, MF2)이 위치하는 경우에도, 간단한 설정 조작에 의해 해당 몰드프레임(MF1, MF2)들을 적절히 정렬시킬 수 있다. 참고로 모터(1325)에 의해 제2 정렬부재(1323)를 진퇴시키는 구조는 안내레일(GR), 나사봉(SS) 및 나사봉(SS)에 나사 결합되는 레일블록(RB) 등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동유닛(1330)은 정렬유닛(1320)에 의해 정렬된 몰드프레임(MF)을 흡착 파지하여 P3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유닛(1330, 도2 참조)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이동로봇(1311)과 동일하고,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하여 상기한 자동위치장치(13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한 쌍의 공급기(1312, 131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 공급기(1312) 부분 위주로 설명하고, 제2 공급기(1313)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작업자(W)는 1 랏 물량의 몰드프레임(MF)들을 지지 프레임(1312a, 1313a)에 적재하는 작업을 수월히 하기 위해 도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설치판(1312f)을 승강기(131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설치판(1312f) 상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1312c-1, 1312c-2), 정렬부재(1312d-1, 1312d-2), 가이드레일(1312e-1, 1312e-2) 등도 함께 이동한다. 물론, 지지 프레임(1312a)은 완전히 하강하여 설치판(1312f)의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설치판(1312f)의 이동이 지지 프레임(1312a)에 의해 방해되지는 않는다. 또한, 한 쌍의 정렬부재(1312d-1, 1312d-2) 각각을 승강기(131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작업자(W)가 도9에서와 같이 1 랏 물량의 몰드프레임(MF)들을 설치판(1312f) 상에 위치시킨 후 도10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정렬부재(1312d-1, 1312d-2)를 승강기(1312b)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1 랏 물량의 적층된 몰드프레임(MF)들을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1 랏 물량의 몰드프레임(MF)들은 4개의 변이 한 쌍의 지지부재(1312c-1, 1312c-2)와 한 쌍의 정렬부재(1312d-1, 1312d-2)에 의해 지지되면서 정확히 정렬된다. 이 때 1 랏 물량의 몰드프레임(MF)은 설치판(1312f)에 의해 걸쳐지는 상태로 지지된다. 이어서 도11에서와 같이 설치판(1312f)을 승강기(1312b)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 프레임(1312a)에 의해 몰드프레임(MF)이 상승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그리고 작업자(W)가 장비를 작동시키면, 이동로봇(1311)은 먼저 제1 공급기(1312)에 의해 공급되는 몰드프레임(MF)을 한 장씩 정렬위치(P0)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승강기(1312b)는 지지 프레임(1312a)에 의해 지지되는 몰드프레임(MF)들 중 가장 상측의 몰드프레임(MF)이 적절한 파지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 프레임(1312a)을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제1 공급기(1312)에 의해 공급되는 1 랏의 물량이 모두 소진되면, 제어장치(220)는 이동로봇(1311)이 제2 공급기(1313)에 의해 공급되는 몰드프레임(MF)을 정렬위치(P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로봇(1311)의 몰드프레임(MF) 파지위치를 D1의 위치에서 D2의 위치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작업자(W)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1 공급기(1312)로 새로운 1 랏 물량의 몰드프레임(MF)을 적재시킨다.
한편, 도6에서와 같이 몰드프레임(MF)이 이동로봇(1311)에 의해 정렬위치(P0)로 이동하여 오면, 도12에서와 같이 실린더(1324)와 모터(1325)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 정렬부재(1322, 1323)들을 몰드프레임(MF)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렬위치(P0)에 위치된 몰드프레임(MF)을 정렬시킨다. 이에 따라 몰드프레임(MF)이 수용홈(ES)에 적절히 수용될 수 있는 자세로 정렬된다. 이어서 이동유닛(1330)이 몰드프레임(MF)을 흡착 파지한 후 P3 위치에 있는 수용홈(ES)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0: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1100 : 작업테이블
TS : 투입홈 ES : 수용홈
13000 : 자동위치장치
1310 : 공급유닛
1311 : 이동로봇
1312 : 제1 공급기 1313 : 제2 공급기
1312a, 1313a : 지지 프레임
1312b, 1313b : 승강기
1312d-1, 1312d-2 : 정렬부재
1313d-1, 1313d-2 : 정렬부재
1312e-1, 1312e-2 : 가이드레일
1313e-1, 1313e-2 : 가이드레일
1312f, 1313f : 설치판
1312g, 1313g : 가이더
1320 : 정렬유닛
1322 : 제1 정렬부재
RS1 : 제1 직각홈
1323 : 제2 정렬부재
RS2 : 제2 직각홈
1324 : 실린더
1325 : 모터
1330 : 이동유닛
1500 : 제1 적층장치
1600 : 제2 적층장치
1700 : 부착장치
2200 : 제어장치

Claims (9)

  1. 몰드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작업테이블;
    상기 수용홈에 몰드프레임을 자동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자동위치장치;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 있는 상기 수용홈의 이동 및 정지에 동기하여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몰드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대상물을 적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장치; 및
    작업대상물이 적층된 몰드프레임에 회로기판을 부착시키는 부착장치; 및
    상기 작업테이블, 자동위치장치, 적층장치, 및 부착장치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위치장치는,
    몰드프레임을 정렬위치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정렬위치에 위치된 몰드프레임을 정렬하는 정렬유닛; 및
    상기 정렬유닛에 의해 정렬된 몰드프레임을 상기 수용홈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몰드프레임을 파지하여 정렬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로봇; 및
    적층된 몰드프레임들을 한 장씩 상기 이동로봇으로 공급하는 공급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로봇이 몰드프레임을 파지하는 지점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로봇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적층된 몰드프레임들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봇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몰드프레임들 중 상측에 있는 몰드프레임을 정렬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몰드프레임들을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상기 정렬부재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설치판; 및
    상기 설치판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정렬위치에 있는 몰드프레임을 정렬시키기 위한 제1 정렬부재 및 제2 정렬부재;
    상기 제1 정렬부재를 진퇴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재2 정렬부재를 진퇴시키기 위한 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정렬부재의 진퇴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부재는 몰드프레임의 제1 사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직각홈을 가지며,
    상기 제2 정렬부재는 상기 제1 직각홈에 대향하며, 몰드프레임의 사각 모서리들 중 상기한 제1 사각 모서리와 대각 방향에 있는 제2 사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직각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KR1020130025420A 2013-03-11 2013-03-11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KR10146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420A KR101468981B1 (ko) 2013-03-11 2013-03-11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420A KR101468981B1 (ko) 2013-03-11 2013-03-11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374A KR20140111374A (ko) 2014-09-19
KR101468981B1 true KR101468981B1 (ko) 2014-12-04

Family

ID=5175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420A KR101468981B1 (ko) 2013-03-11 2013-03-11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360A (ko) 2017-02-09 2018-08-20 (주)소닉스 디스플레이모듈과 관련된 작업대상물 이송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341745B1 (ko) 2020-03-17 2021-12-27 (주)소닉스 디스플레이소자의 화면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모듈 및 검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285A (ko) * 2004-12-10 2006-06-14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니트 조립장치 및 방법
KR100662214B1 (ko) * 2005-09-26 2006-12-28 주식회사 이라이콤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KR20070034861A (ko) * 2005-09-26 2007-03-29 주식회사 이라이콤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보조 윈도우 조립체를 조립하기위한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285A (ko) * 2004-12-10 2006-06-14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니트 조립장치 및 방법
KR100662214B1 (ko) * 2005-09-26 2006-12-28 주식회사 이라이콤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KR20070034861A (ko) * 2005-09-26 2007-03-29 주식회사 이라이콤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보조 윈도우 조립체를 조립하기위한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374A (ko) 201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7768B2 (en) Board work device having support member conveyance section for conveying board support member
US10562712B2 (en) Tray supplier and tray supply method
US200501333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ying and holding plate-like member
CN105217340A (zh) 自动送料粘贴设备
KR101104808B1 (ko) 에프피씨 본딩장치
JP2011233736A (ja) バックアップピン装置並びにバックアップピン配置方法及び配置装置
CN106956163A (zh) 一种全自动上料设备
CN204436979U (zh) 一种高效全自动精密组装机
KR101468981B1 (ko)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CN205381077U (zh) 一种雕刻机的上下料装置
WO2015097865A1 (ja) 部品実装装置、部品実装方法
CN109807625B (zh) 手机铃铛键线圈自动组装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468978B1 (ko)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CN101939831A (zh) 电子部件的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208922000U (zh) 一种对位模组
EP3062339B1 (en) Substrate working apparatus
US20240074131A1 (en) Mounting work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tape feeder
CN112770620B (zh) 一种高清显示屏的显示模组组装工艺
CN114530102A (zh) 一种全自动oled屏幕贴合设备
KR101184164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 크리닝 및 공급장치
KR101261555B1 (ko) 인쇄회로기판 투입 및 수취 전환기용 수직 정렬장치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KR101468979B1 (ko)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CN109159239A (zh) 一种床板自动打爪钉机
JP4537943B2 (ja) 表示装置の組み立て装置及び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