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194B1 - CMP polishing pad manufacturer device - Google Patents

CMP polishing pad manufactur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194B1
KR102298194B1 KR1020200159971A KR20200159971A KR102298194B1 KR 102298194 B1 KR102298194 B1 KR 102298194B1 KR 1020200159971 A KR1020200159971 A KR 1020200159971A KR 20200159971 A KR20200159971 A KR 20200159971A KR 102298194 B1 KR102298194 B1 KR 102298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pad
cmp polishing
conveyor
hot melt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용욱
장재혁
손세헌
최현민
하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톱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톱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톱텍
Priority to KR1020200159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1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4D18/0045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stacking sheets of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which can automatically perform each process and allows the minimum number of people to be involved, when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The apparatus comprises: a loading unit for picking up raw materials from a cart on which any one of a CMP pad, non-woven fabric, a first bonding material, a second bonding material, and a third bonding material are loaded, and placing the picked raw materials on a first conveyor; a shuttle disposed on the first conveyor, and for transporting the raw materials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a bonding unit for bonding a hot melt and an undersheet to the raw materials transported by the shuttle and transporting the same; a cutt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nding unit, and for cutting the bonded hot melt and undersheet, and transporting the same to a second conveyor; and an unloading unit for picking up the cut raw materials transported to the second conveyor and placing the same on the cart.

Description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CMP polishing pad manufacturer device}CMP polishing pad manufacturer device

본 발명은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MP 연마패드 제조시 각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최소 인원이 투입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in which a minimum number of personnel is input while automatically performing each process when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일반적으로 CMP(화학기계적 연마;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이 많은 산업 분야에서 특정 피가공물의 표면을 연마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소자, 마이크로 전자소자 또는 컴퓨터 제품 등의 제조 분야에서, 세라믹, 실리콘, 유리, 석영, 금속 및/또는 이들의 웨이퍼를 연마하기 위해 CMP 연마패드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is used to polish the surface of a specific workpiece in many industrial fields.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microelectronic devices, or computer products, CMP polishing pads are used to polish ceramics, silicon, glass, quartz, metals, and/or wafers thereof.

즉, CMP 연마패드는 CMP 패드와 반도체 기판 사이로 연마 입자 및 다양한 화학 성분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공급하면서, 반도체 기판과 CMP 패드를 접촉시키고 이들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연마 입자 등으로 기판 상의 연마 대상막을 기계적으로 연마하면서 상기 화학 성분 등의 작용으로 연마 대상막을 화학적으로 연마한다.That is, in the CMP polishing pad, while supplying a slurry composition including abrasive particles and various chemical components between the CMP pad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he CMP pa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MP pad and they are relatively moved, so that the polishing target film on the substrate is formed with abrasive particles, etc. While mechanically polishing, the polishing target film is chemically polished by the action of the above chemical components.

그러나, 종래의 CMP 연마패드의 합착은 4대의 합착장치를 이용한 1차~4차 공정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1차, 2차, 4차의 각 공정에서 원자재의 투입, 배출 및 핫멜트 컷팅을 위한 작업자가 3명으로 9명이 투입되고, 3차 공정에서는 원자재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2명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총 11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CMP 연마패드의 생산성 대비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onding of CMP polishing pads, since the 1st to 4th processes using four bonding devices are performed manually, input, discharge, and hot melt cutting of raw materials in each of the 1st, 2nd, and 4th processes A fatal problem in that the labor cost is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roductivity of the CMP polishing pad, because 9 workers are input for 3 workers, and 2 workers are input for the input and discharge of raw materials in the tertiary process, so a total of 11 workers are needed. there is

국내등록특허 제10-1509590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50959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최소의 인원을 투입하면서도 각 공정의 원자재의 투입, 배출, 핫멜트 공급 및 커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echnical biases, and provide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that automatically performs input, discharge, hot melt supply, and cutting of raw materials in each process while inputting a minimum number of personnel. It is intended t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는, CMP패드, 부직포, 제1합착재, 제2합착재 및 제3합착재 중 어느 하나의 원자재가 적재된 대차로부터 원자재를 픽업하여 제1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로딩부; 상기 제1컨베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에 안착된 상기 원자재를 이송시키는 셔틀; 상기 셔틀에 의해 이송된 원자재에 핫멜트와 언더시트를 합착시켜 이송시키는 합착유닛; 상기 합착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합착된 상기 핫멜트와 언더시트를 컷팅하고 제2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컷팅유닛; 및 상기 제2컨베이어로 이송된 컷팅된 원자재를 픽업하여 대차에 안착시키는 언로딩부;로 구성된다.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oading unit to be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a shuttle disposed on the first conveyor and transporting the raw material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a bonding unit for bonding the hot melt and the undersheet to the raw material conveyed by the shuttle and conveying the bonding unit; a cutt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nding unit, cutting the bonded hot melt and the undersheet, and transferring the bonding unit to a second conveyor; and an unloading unit that picks up the cut raw material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and places it on the bogie.

이때, 상기 로딩부 및 언로딩부는, X축로봇에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Z축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대가 설치된 Z축로봇; 및 상기 승강대에 고정되며, 상기 원자재를 픽업하는 픽업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oading unit and the unloading unit, a Z-axis robot installed movably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X-axis robot, and a lifting platform for lifting and lowering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pickup means fixed to the elevator platform and picking up the raw material.

또한, 상기 픽업수단은, 상기 승강대 하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복수개의 픽업바; 및 상기 픽업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원자재를 픽업하기 위한 복수개의 진공패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ick-up means, a plurality of pick-up bars that are disposed below the elevator and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vacuum pad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ckup bar and configured to pick up the raw material.

그리고, 상기 셔틀은 제1컨베이어에 안착된 상기 원자재를 상기 합착유닛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를 따라 배치된 로딩Y축로봇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uttle is preferably installed movably on the loading Y-axis robot disposed along the first conveyor so as to transfer the raw material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to the cementation unit.

한편, 상기 합착유닛은, 이송하는 상기 원자재를 가압하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하는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격판; 및 상기 상부롤러의 상측으로 배치되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로 공급되어 상기 원자재와 합착되는 핫멜트를 공급하는 핫멜트롤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bonding unit,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rotating in a stat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o pressurize the raw material to be transported; a pair of diaphragms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rollers; and a hot melt roller disposed above the upper roller and supplied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to supply hot melt to be bonded to the raw material.

이때, 상기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는 합착시 상기 핫멜트가 원자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핫멜트를 가열하는 히팅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are heating rollers for heating the hot melt so that the hot melt can adhere to the raw material during bonding.

그리고, 상기 상부롤러는 승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roller is raised and lowered.

또한, 레일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상기 격판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롤러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 및 상기 각 승강부재에 로드를 통해 연결된 상태로 직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승강모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air of elevating members installed on the diaphragm to enable elevating through the rail and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upper roller; and a pair of elevating motors disposed directly above each elevating member through a rod, and elevating the elevating member.

이때, 상기 승강모터의 로드와 승강부재 사이에는, 승강부재의 하강에 의한 상기 상,하부롤러의 밀착시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수직로드셀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vertical load cell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rod of the lifting motor and the lifting member to sense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pper and lower rollers are in close contact due to the lowering of the lifting member.

더하여, 상기 각 격판에는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인접될 때 상부롤러의 평행도에 대한 오토티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LVDT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LVDT sensor for auto-teaching the parallelism of the upper roller is provided in each of the diaphragms wh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are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상기 하부롤러의 하측에는 상기 원자재와 핫멜트 합착시 원자재 일면 커버를 위해 언더시트를 공급하는 언더시트롤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n undersheet roller for supplying an undersheet to cover one side of the raw material when hot-melt bonding with the raw material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oller.

그리고, 상기 상부롤러의 상측에는 상기 핫멜트의 보호필름을 리와인딩 하는 회수롤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a recovery roller for rewind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hot mel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roller.

또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제2컨베이어 양측으로 배치된 언로딩Y축로봇을 타고 이동하도록 X축방향으로 배치된 X축이송로봇; 상기 X축이송로봇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합착유닛을 거쳐 배출되는 상기 핫멜트와 언더시트를 컷팅하는 컷팅수단; 및 Y축방향으로 개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핫멜트와 언더시트 컷팅시 텐션을 유지시키고, 컷팅된 상기 핫멜트와 언더시트를 그립하여 상기 제2컨베이어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그립퍼 및 제2그립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utting unit may include: an X-axis transfer robot disposed in the X-axis direction to ride on an unloading Y-axis robo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veyor; a cutting means which is movably installed in the X-axis transfer robot and cuts the hot melt and the undersheet discharged through the bonding unit; and a pair of first grippers installed to be individually movable in the Y-axis direction, maintaining tension when cutting the hot melt and the undersheet, gripping the cut hot melt and the undersheet, and sequentially transferring the hot melt and the undersheet to the second conveyo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osed of a second gripper.

이때, 상기 컷팅수단은, X축이송로봇을 타고 이동하는 이동대; 상기 이동대에 설치된 척실린더; 및 상기 척실린더에 척킹된 나이프;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utting means, a moving table that moves on the X-axis transfer robot; a chuck cylinder installed on the moving table; and a knife chucked in the chuck cylinder.

더하여, 상기 제2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상기 척실린더의 나이프를 오토체인징 하기 위한 복수개의 나이프가 구비된 툴박스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toolbox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nives for auto-changing the knives of the chuck cylinder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그리고, 상기 제1그립퍼는 상기 X축이송로봇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그립퍼는 각 언로딩Y축로봇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gripper is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X-axis transfer robot, and the second gripper is movably installed on each unloading Y-axis robot.

이때, 상기 X축이송로봇에는 완성된 상기 CMP 연마패드의 표면에 바코드를 부착하기 위한 바코드부착기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X-axis transfer robot further includes a barcode attaching device for attaching a barcode to the surface of the completed CMP polishing pad.

또한, 상기 X축이송로봇의 하면에는 상기 핫멜트 또는 언더시트 교체를 위해 상기 제2컨베이어와 합착유닛이 분리될 때, 합착유닛을 관통한 핫멜트와 언더시트 일단부가 접착될 수 있도록 노출되는 다단의 인출슬라이더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X-axis transfer robot, when the second conveyor and the bonding unit are separated to replace the hot melt or undersheet, the hot melt passing through the bonding unit and one end of the undersheet are exposed so that one end can be drawn out. It is preferable that a slider is further provided.

이 경우, 상기 인출슬라이더는, 상기 X축이송로봇의 하면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제1실린더에 의해 상기 합착유닛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1슬라이더 내부에 배치되며, 제2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상기 합착유닛 방향으로 인출되고 상기 핫멜트와 언더시트의 일단부가 접착되는 제2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ull-out slider may include a housing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X-axis transfer robot; a first sli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drawn out toward the bonding unit by a first cylinder; and a second slider disposed inside the first slider, drawn out from the first slider in the direction of the bonding unit by a second cylinder, and to which one end of the hot melt and the undersheet are adhered.

그리고, 상기 제1컨베이어와 제2컨베이어는 상기 합착유닛의 양측으로 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veyor and the second conveyor ar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onding unit.

마지막으로, 상기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는, 1차 내지 4차로 구성되는 4대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가 한 조를 이루도록 조합되되, 1차 또는 2차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에서는, 제1합착재 또는 제2합착재의 합착이 이루어지고, 3차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에서는, 제1합착재와 제2합착재의 합착을 통해 제3합착재를 제조하며, 4차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에서는, 제3합착재에 양면테입을 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nally, in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the first to fourth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es are combined to form a set, and in the primary or secondary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or The second bonding material is cemented, and in the tertiary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the third bonding material is manufactured through the bonding of the first bonding material and the second bonding material, and in the quaternary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the third bonding material is manufactured. It is preferable to attach double-sided tape to the ash.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에 의하면, CMP 연마패드가 4차 공정을 통해 제조되도록 하면서 각 공정에서 원자재의 투입, 배출, 핫멜트 공급 및 커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3명의 인원을 통해 1차에서 4차까지의 공정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MP polishing pad is manufactured through the fourth process, and input, discharge, hot melt supply and cutting of raw materials are automatically performed in each process, 3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process control from the 1st to the 4th can be achieved through the number of people.

또한, 핫멜트롤러 또는 언더시트롤러의 교체시 인출슬라이더를 통해 가열된 핫멜트와 보호필름의 인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열된 핫멜트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이 예방되는 구조적 효과 또한 탁월하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effect of preventing the safety of workers due to the heated hot melt as the heated hot melt and the protective film are pulled out through the pull-out slider when the hot melt roller or under seat roller is replac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제1컨베이어와 셔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구성중 로딩부와 언로딩부를 부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합착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커팅유닛과 언로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컷팅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14는 컷팅수단에 의해 원자재가 컷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인출슬라이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가 4대로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 18은 도 17 상태에서 원자재가 합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s 1 and 2,
Figure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veyor and a shuttle in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n which a loading part and an unloading part are give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ond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8;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ting unit and an unload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utting means in the construction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cutting the raw material by the cutting means,
15 and 1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pull-out slid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four units;
18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raw materials are cemented in the state of FIG. 17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제1컨베이어와 셔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구성중 로딩부와 언로딩부를 부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합착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커팅유닛과 언로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컷팅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14는 컷팅수단에 의해 원자재가 컷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구성중 인출슬라이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가 4대로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 18은 도 17 상태에서 원자재가 합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FIGS. 1 and 2 , FIG. 4 is a main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veyor and a shuttl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FIG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providing a loading part and an unloading par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nd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FIG. 8,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ading part, and FIGS. 12 and 13 are major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cutting mea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raw materials are cut by the cutting means 15 and 1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pull-out slid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referenc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four units. FIG. 18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raw materials are cemented in the state of FIG. 17 .

도 1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는, CMP패드(A), 부직포(B), 제1합착재(C), 제2합착재(D) 및 제3합착재(E) 중 어느 하나의 원자재가 적재된 대차(K)로부터 원자재를 픽업하여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시키는 로딩부(100); 상기 제1컨베이어(140)에 배치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된 상기 원자재를 이송시키는 셔틀(200); 상기 셔틀(200)에 의해 이송된 원자재에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합착시켜 이송시키는 합착유닛(300); 상기 합착유닛(300)의 일측에 배치되며, 합착된 상기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컷팅하고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시키는 컷팅유닛(4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된 컷팅된 원자재를 픽업하여 대차(K)에 안착시키는 언로딩부(500);로 구성된다.1 to 18,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MP pad (A), a nonwoven fabric (B), a first bonding material (C), a second bonding material (D), and a second bonding material (D). Loading unit 100 for picking up raw materials from the cart (K) on which any one of the three cementing materials (E) is loaded and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a shuttle 200 disposed on the first conveyor 140 and transporting the raw materials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a bonding unit 300 for bonding and transferring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to the raw material transferred by the shuttle 200; a cutting unit 4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nding unit 300, cutting the bonded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nd transferring them to a second conveyor (450); and an unloading unit 500 that picks up the cut raw material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and places it on the bogie K.

설명에 앞서, 본 발명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의 가장 큰 특징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를 4대로 배열하여 CMP 연마패드를 제조하며, 특히 최소 2명의 작업자의 제어를 통해 공정 관리가 가능한 것에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greate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is to manufacture a CMP polishing pad by arranging four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control of at least two workers. It is possible to process control through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의 각 구성은 도시하지 않은 별도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는다.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ler (not shown).

또한, 본 발명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는, 도 17과 같이 1차 내지 4차로 구성되는 4대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가 한 조를 이루도록 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7 , four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consisting of primary to quaternary units may be combined to form a set.

위와 같이 조합되면, 1차 또는 2차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에서는, 핫멜트(I), CM패드 및 언더시트(H)가 합착되는 제1합착재(C) 또는 핫멜트(I), 부직포(B) 및 언더시트(H)가 합착되는 제2합착재(D)의 합착이 이루어지고, 3차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에서는 제1합착재(C)와 제2합착재(D)의 합착을 통해 제3합착재(E)를 합착하며, 4차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에서는 제3합착재(E)에 양면테입과 보호필름(G)을 합착함으로써 최종적인 CMP 연마패드를 제조한다.When combined as above, in the primary or secondary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the hot melt (I), the CM pad and the undersheet (H) are bonded to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C) or hot melt (I), nonwoven fabric (B) and the second cementing material (D) to which the undersheet (H) is bonded is made, and in the tertiary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 the first bonding material (C) and the second bonding material (D) ), the third bonding material (E) is bonded, and in the fourth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the double-sided tape and the protective film (G) are bonded to the third bonding material (E), thereby final CMP polishing. make the pad.

더하여, 각 공정에서 합착된 제품이 다음 공정으로 투입됨에 따라 대차(K)를 통해 공급되는 CMP패드(A), 부직포(B), 제1합착재(C), 제2합착재(D) 및 제3합착재(E)는 이하에서 '원자재'로 명칭한다.In addition, the CMP pad (A), nonwoven fabric (B),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second cementation material (D) and The third cementation material (E)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w material'.

또한,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는 4대가 모두 동일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원형의 CMP패드(A) 합착에 의해 제1합착재(C)가 제조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의 구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all four units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have the same structure, hereinafter,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in which the first bonding material C is manufactured by bonding the circular CMP pad A Only th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로딩부(100)는 후술하는 합착유닛(300)으로 원자재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CMP패드(A), 부직포(B), 제1합착재(C), 제2합착재(D) 및 제3합착재(E) 중 어느 하나의 원자재가 적재된 대차(K)로부터 원자재를 픽업하여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시킨다.The loading part 100 allows raw materials to be supplied to the cementa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s shown in FIGS. 1 to 4 , the CMP pad (A), the nonwoven fabric (B),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C), the first The raw materials are picked up from the cart (K) on which any one of the second and third cemented materials (D) and the third (E) are loaded, and are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

즉,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로딩부(100)가 대차(K)에 적재된 원자재인 CMP패드(A)를 낱장으로 픽업하여 제1컨베이어(140)와 연결된 합착유닛(3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loading unit 100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picks up the CMP pad (A), which is a raw material loaded on the bogie (K), as a sheet, and can be supplied to the bonding unit 300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or 140. It is to be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so that the

여기서, 대차(K)는 로딩부(100) 일측의 제1컨베이어(140)와 후술하는 언로딩부(500) 일측의 제2컨베이어(450)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로딩부(100)측의 대차(K)에는 공급을 위한 CMP패드(A)가 적재되고, 언로딩부(500)측의 대차(K)에는 CMP패드(A)에 핫멜트(I)와 언더시트(H)가 합착된 제1합착재(C)가 반출되어 적재된다.Here, the bogie K may be movably disposed on the first conveyor 140 on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100 and the second conveyor 450 on one side of the unload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and the loading unit ( The CMP pad (A) for supply is loaded on the bogie (K) on the 100) side, and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placed on the CMP pad (A) on the bogie (K) on the unloading part 500 side.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C) to which the was cemented is unloaded and loaded.

더하여, 대차(K)에 적재되는 원자재의 종류는 공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ype of raw material loaded on the bogie K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cess.

그리고, 제1컨베이어(140)와 후술하는 제2컨베이어(450)는 각각 제1베이스(150)와 제2베이스(460)에 고정된 상태로 합착유닛(300)의 양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롤 타입으로 공급되는 핫멜트(I) 또는 언더시트(H)의 교체가 이루어질 때 분리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first conveyor 140 and the second conveyor 450 to be described later are detacha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nding unit 300 while being fixed to the first base 150 and the second base 460, respectively. Preferably, this is to ensure that the worker's work space can be secured through separation when replacement of the hot melt (I) or undersheet (H) supplied in a roll type is made.

또한, 제1컨베이어(140)의 경우 도 5와 같이 두 쌍이 한 조를 이루면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1베이스(150)에 고정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셔틀(20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conveyor 140, as shown in FIG. 5, two pairs form a pair and are fixed to the first base 150 in a spaced apart state, which saves space so that the shuttle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move. in order to secure

또한, 제1컨베이어(140)와 제2컨베이어(450)는 복수개의 자전롤러(L)로 구성되는데, 이는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원자재(CMP패드)의 표면으로 데미지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점 접촉을 통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first conveyor 140 and the second conveyor 450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L), which is a point to prevent damage or scratches to the surface of the raw material (CMP pad) transferred in a seated state. It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hrough contact.

로딩부(100)는 도 6과 같은 구조로 대차(K)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Z축로봇(120) 및 픽업수단(130)을 포함한다.The loading unit 1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gie K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 and includes a Z-axis robot 120 and a pickup means 130 .

Z축로봇(120)은 제1컨베이어(140) 방향을 향하도록 제1베이스(150)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된 X축로봇(110)에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는 소정의 넓이와 면적을 가지며 Z축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대(123)가 설치되어 있다.The Z-axis robot 120 is installed movably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X-axis robot 110 installed on the first base 15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face the first conveyor 140 direction, and on one side A lifting platform 12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rea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Z-axis direction is installed.

즉, Z축로봇(120)은 X축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승강대(123)를 승강시킨다.That is, the Z-axis robot 120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and raises and lowers the lifting platform 123 at the same time.

픽업수단(130)은 Z축로봇(120)의 승강대(123)에 고정되며, 대차(K)에 적재된 원자재인 CMP패드(A)를 픽업하여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ickup means 130 is fixed to the lifting platform 123 of the Z-axis robot 120, picks up the CMP pad (A), which is a raw material loaded on the cart (K), and allows it to be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

픽업수단(130)은, 승강대(123) 하측에 배치되며 대차(K) 상부로 향하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복수개의 픽업바(133)와, 각 픽업바(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CMP패드(A)의 표면을 흡착하여 픽업하기 위한 복수개의 진공패드(135)로 구성된다.The pickup means 13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ft platform 123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ickup bars 133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art K, and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pickup bar 133 and is CMP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acuum pads 135 for sucking up the surface of the pad (A).

즉, 픽업수단(130)은 복수개 진공패드(135)의 흡착을 통해 CMP패드(A)를 안정적으로 픽업하는 것이다.That is, the pickup means 130 stably picks up the CMP pad A through the suction of the plurality of vacuum pads 135 .

여기서, 진공패드(135)의 배열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으며, 진공패드(13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진공배관이 연결됨은 물론이다.Here,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vacuum pads 135 are not limited, and although not shown, vacuum pipes are connected to the vacuum pads 135 as a matter of course.

따라서, 로딩부(100)는 픽업수단(130)을 통해 대차(K)에 적재된 CMP패드(A)를 진공으로 픽업하고, Z축로봇(120)의 X축방향 이동을통해 픽업수단(130)을 제1컨베이어(140)의 상부로 이동시켜 제1컨베이어(140)에 CMP패드(A)를 안착시킨다.Accordingly, the loading unit 100 picks up the CMP pad A loaded on the bogie K through the pickup means 130 in a vacuum, and the pickup means 130 through the X-axis movement of the Z-axis robot 120 . )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veyor 140 to seat the CMP pad (A) on the first conveyor (140).

본 실시예에서는 로딩부(100)의 진공패드(135)를 이용하여 CMP패드(A)를 픽업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양한 방식을 통해 CMP패드(A)의 픽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그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CMP pad (A) is picked up by using the vacuum pad (135) of the loading unit (100). does not limit

셔틀(200)은 로딩부(100)를 통해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된 CMP패드(A)를 합착유닛(300)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컨베이어(140)에 배치되어 있다.The shuttle 200 is for transferring the CMP pad A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through the loading unit 100 to the bonding unit 300 , and is disposed on the first conveyor 140 .

이때, 셔틀(200)은 도 5와 같이 이격되게 두 쌍으로 이루어진 제1컨베이어(140)의 사이로 배치되며, 안착된 CMP패드(A)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판 상의 형태를이루고 있다.At this time, the shuttle 200 is disposed between two pairs of first conveyors 140 to be spaced apart as shown in FIG. 5, and has a vertical plate shape so as to stably transport one side of the seated CMP pad (A). is accomplishing

이때, 셔틀(200)은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된 CMP패드(A)를 합착유닛(300)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1컨베이어(140)를 따라 합착유닛(300)을 향하여 배치된 로딩Y축로봇(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huttle 200 is disposed toward the cementation unit 300 along the first conveyor 140 so as to transfer the CMP pad A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to the bonding unit 300 . It is movably installed on the loading Y-axis robot 210 .

이와 같은 셔틀(200)은, 로딩부(100)를 통해 제1컨베이어(140)에 낱장으로 안착된 CMP패드(A)를 핫멜트(I) 및 언더시트(H)와의 합착을 위해 합착유닛(300)으로 계속적으로 이송시킨다.The shuttle 200 is a bonding unit 300 for bonding the CMP pad (A) seated as a sheet on the first conveyor 140 through the loading unit 100 with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 is continuously transferred.

합착유닛(3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제1컨베이어(140)와 인접되게 배치되며, 셔틀(200)에 의해 이송된 원자재 즉 CMP패드(A)의 상,하면으로 핫멜트(I)를 가열시켜 합착시킴과 동시에 언더시트(H)를 합착시켜 후술하는 컷팅유닛(400)으로 이송시킨다.The bonding unit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nveyor 140 as shown in FIGS. 1 to 4, and hot melt (I)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aw material transferred by the shuttle 200, that is, the CMP pad (A). At the same time as heating and bonding, the undersheet (H) is bonded and transferred to a cutt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합착유닛(300)은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상부롤러(310) 및 하부롤러(320)와, 한 쌍의 격판(330) 및 핫멜트롤러(340)를 포함한다.The bonding unit 300 includes an upper roller 310 and a lower roller 320 , a pair of diaphragms 330 and a hot melt roller 340 as shown in FIGS. 8 to 10 .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는 수직선상으로 서로 마주하게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인접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re rotatably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a vertical line an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여기서,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의 간격은 합착대상이 되는 원자재의 두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차, 2차 3차 및 4차에서 각각 합착되는 원자재의 두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Here,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is preferably set by the thickness of the raw material to be cemented, which is the thickness of the raw material to be cemented 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rders, respectively. because they are different

한편,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는 원자재와 후술하는 핫멜트롤러(340)와 언더시트롤러(350)를 통해 각각 공급되는 핫멜트(I)와 언더시트(H) 합착시 핫멜트(I)가 원자재의 일면과 밀착되는 합착을 이룰 수 있도록 핫멜트(I)를 가열하는 히팅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인덕션 타입의 히팅방식으로 롤러의 표면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re raw materials and hot melt (I) supplied through a hot melt roller 340 and an under sheet roller 350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and hot melt (I) when the under sheet (H) is cemented. ) is preferably a heating roller that heats the hot melt (I) to achieve adhesion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raw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that directly heats the surface of the roller by an induction-type heating method.

또한, 상부롤러(310)의 외주면에는 크롬도금이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롤러(320)의 외주면에는 실리콘 코팅이 구비될 수도 있기 때문에 공급되는 원자재의 안정적인 피딩과 함께 핫멜트(I) 및 언더시트(H)의 합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chrome plating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oller 310 and a silicone coating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oller 320,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I) and the undersheet ( H) to ensure stable cementation.

더하여,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의 히팅온도는 합착 대상의 원자재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온도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aw material to be bonded, the temperature range is not limited.

본 실시예의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는 인덕션 히팅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카트리지 히팅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을 통해 롤러의 히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Although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of this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as an induction heating method, the method is not limited because it is possible to heat the roller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a cartridge heating method.

격판(330)은 판상의 형태로 소정의 면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 쌍으로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The diaphragm 330 maintains a predetermined area in the form of a plate, and rotatably supports both sides of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s a pair.

격판(330)의 일면에는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의 회전을 위해 각각 연결되는 구동원(미부호)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구동원은 동일한 회전비로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를 회전시킨다.On one surface of the diaphragm 330, a driving source (unsigned) that is respectively connected for rotation of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is provided, and each driving source has an upper roller 310 and a lower roller at the same rotation ratio. 320) is rotated.

핫멜트롤러(340)는 외주면에 핫멜트(I)가 권선된 상태로 도 10과 같이 상부롤러(310)의 상측에서 도면상 우측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사이로 셔틀(200)에 의해 CMP패드(A)가 공급되면서 이송될 때 이송되는 CMP패드(A)의 상면으로 핫멜트(I)가 합착될 수 있도록 핫멜트(I)를 공급한다.The hot melt roller 34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roller 310 as shown in FIG. 10 in a state in which the hot melt (I)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 When the CMP pad (A) is supplied and transferred by the shuttle 200 , the hot melt (I) is supplied so that the hot melt (I) can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red CMP pad (A).

이때, 핫멜트롤러(340)의 마주하는 도면상 좌측에는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사이로 핫멜트(I) 공급시 핫멜트(I) 보호를 위해 양면에 접착된 보호필름(G) 중 일면의 보호필름(G)을 리와인딩하는 회수롤러(3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facing the hot melt roller 340, on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G) adhered to both sides to protect the hot melt (I) when the hot melt (I) is supplied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It is preferable that a recovery roller 380 for rewinding the protective film G is provided.

이렇게 되면, 회수롤러(380)에 의해 보호필름(G)이 벗겨진 핫멜트(I) 일면은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를 지나면서 CMP패드(A) 표면에 접착되고, 회수되지 않는 핫멜트(I) 타면의 보호필름(G)은 CMP패드(A)와 합착된 핫멜트(I)의 노출된 타면을 커버하게 된다(도 18의 1차 참조).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hot melt (I) from which the protective film (G) is peeled off by the recovery roller 380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CMP pad (A) while passing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nd is not recovered. The protective film (G)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t melt (I) covers the exposed other surface of the hot melt (I) bonded to the CMP pad (A) (see the first of FIG. 18 ).

한편, 하부롤러(320)의 하측에는 CMP패드(A)와 핫멜트(I) 합착시 함께 투입되어 CMP패드(A)의 일면인 하면을 커버하기 위한 언더시트(H)를 공급하는 언더시트롤러(3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oller 320, the CMP pad (A) and the hot melt (I) are put together at the time of bonding to supply an undersheet (H) for covering the lower surface, which is one side of the CMP pad (A). 350) is preferably provided.

언더시트롤러(350) 외주면에는 CMP패드(A)의 하면에 접착되는 언더시트(H)가 권취되어 있으며, 이 언더시트(H)는 핫멜트(I) 공급에 따라 박리되어 회수롤러(380)에 감겨지는 보호필름(G)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호필름(G)의 재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n undersheet (H) that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MP pad (A)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ndersheet roller (350), and the undersheet (H) is peeled off according to the supply of hot melt (I) to the recovery roller (380). The protective film (G) to be wound is applied, so that the reuse of the protective film (G) can be made.

한편, 각 구동원(미부호)에 의해 개별 회전하는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중 하부롤러(320)는 격판(33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며, 상부롤러(31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roller 320 of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which are individually rotated by each driving source (unsigned) rotates while being fixed to the diaphragm 330, and the upper roller 310 is the upper roller 310. ,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elevates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는, 공정에 따라 소진되는 핫멜트롤러(340) 또는 언더시트롤러(350)의 교체가 이루어질 때, 새로 공급되는 핫멜트(I)와 언더시트(H)가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사이로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means that when the hot melt roller 340 or the under seat roller 350 that is exhausted according to the process is replaced, the hot melt (I) and the under sheet (H) that are newly supplied are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This is to ensure that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can be easily passed therebetween.

이를 위해, 한 쌍의 격벽에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각각 승강부재(333)와, 승강모터(335)가 구비된다.To this end, each of the pair of bulkheads is provided with a lifting member 333 and a lifting motor 335 as shown in FIGS. 8 and 9 .

승강부재(333)는 격판(330)의 외측을 향하는 판면에 고정된 레일과 연결됨으로써 격판(33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롤러(310)의 양측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The elevating member 333 is installed so as to be elevating on the diaphragm 330 by being connected to a rail fixed to the plate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diaphragm 330, and rotatably supports both sides of the upper roller 310, respectively.

즉, 한 쌍의 승강부재(333)가 격벽의 양측에서 상부롤러(310)를 지지한 상태로 레일을 타고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air of lifting members 333 are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on the rail while supporting the upper roller 310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승강모터(335)는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승강부재(333)의 직 상부로 격벽에 배치되어 있으며, 승강모터(335)의 로드를 통해 승강부재(333)와 연결된 상태로 승강부재(333)를 승강시킨다.The elevating motor 335 is disposed on the bulkhead directly above the elevating member 333 through a separate bracket, and the elevating member 333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333 through the rod of the elevating motor 335. elevate

즉, 승강모터(335)의 구동을 통해 승강부재(333)의 승강이 격벽을 타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승강모터(335)는 서보모터 인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lifting motor 335 is driven so that the lifting member 333 can be lifted on the bulkhead, and the lifting motor 335 is preferably a servo motor.

이때, 승강모터(335)의 로드와 승강부재(333) 사이에는, 승강부재(333)의 하강에 의한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의 밀착시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수직로드셀(36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etween the rod of the elevating motor 335 and the elevating member 333, the vertical load cell for sensing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by the lowering of the elevating member 333 are in close contact. (360)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수직로드셀(360)은 상부롤러(310)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사이로 핫멜트(I)와 보호필름(G)이 관통한 후, 합착을 위해 초기의 위치로 하강할 때 핫멜트(I)로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콘트롤러(미도시)로 전송한다.In the vertical load cell 360, after the hot melt (I) and the protective film (G) penetrate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in a state where the upper roller 310 is raised, it is lowered to the initial position for cementation. It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ot melt (I)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not shown).

만약, 상부롤러(310)의 압력이 설정값 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콘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설정값으로 제어하게 된다.If the pressure of the upper roller 310 is higher or lower than the set value, the set value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더하여, 각 격판(330)에는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가 인접될 때 상부롤러(310)의 평행도에 대한 오토티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LVDT센서(3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LVDT센서(370)는 승강부재(333)의 저면과 접촉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each diaphragm 3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LVDT sensor 370 for auto-teaching for the parallelism of the upper roller 310 wh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LVDT sensor 37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333 .

즉, 각 격판(330)의 LVDT센서(370)는 상부롤러(310)가 하강하여 핫멜트(I)와 접촉되는 높이가 제로 지점이라고 가정할 때, 상부롤러(310)의 최종적인 하강에 따른 상부롤러(310)의 평행도 기울기를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 센싱하여 콘트롤러로 전송한다.That is, assuming that the LVDT sensor 370 of each diaphragm 330 descends and the height at which the upper roller 3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t melt I is a zero point, the upper roller 310 is lowered according to the final lowering of the upper roller 310 . The parallelism inclination of the roller 310 is sensed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이때, 상부롤러(310)의 기울기가 발생한 경우, 콘트롤러가 기 설정된 기울기값을 토대로 어느 일측의 상부롤러(310)를 승강시키고, 이를 통해 상부롤러(310)의 평행도 오토티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roller 310 occurs, the controller raises and lowers the upper roller 310 on one side based on a preset inclination value, and through this, auto-teaching of the parallelism of the upper roller 310 is performed.

정확하게는, 하강이 완료된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와의 간격이 예를 들어 3mm를 유지해야 하는데, 상부롤러(310)의 어느 일측이 3mm이고 타측이 2,9mm일 경우 타측을 1mm 승강시킴으로써 상부롤러(310)의 평행도를 일치시키는 것이다.To be precis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which has been descended, should be maintained at, for example, 3 mm. When one side of the upper roller 310 is 3 mm and the other side is 2,9 mm, the other side is 1 mm By lifting and lowering, the parallelism of the upper roller 310 is matched.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롤러(310)가 승강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제조장치의 구조에 따라 하부롤러(320)가 승강하는 구조를 이룰수도 있기 때문에 승강 롤러를 한정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roller 310 elevates is described, but the elevating roller is not limited because the lower roller 3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roller 320 elevat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컷팅유닛(400)은, 합착유닛(300)을 통과하면서 CMP패드(A)에 핫멜트(I)와 언더시트(H)가 합착된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컷팅하여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제2베이스(460)에 지지된 상태로 합착유닛(300)의 일측(배출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cutting unit 400 cuts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in which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cemented to the CMP pad (A) while passing through the bonding unit 300, and the second conveyor By transferring to 450 , it is disposed on one side (discharge side) of the bonding unit 30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econd base 460 .

즉, 커팅유닛(400)은 합착유닛(300)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합착이 완료된 원자재를 컷팅함으로써 제1합착재(C)(핫멜트(I), CM패드 및 언더시트(H))를 완성하여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cutting unit 400 cuts the cemented raw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cementing unit 300 to complete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C) (hot melt (I), CM pad and undersheet (H)). It is to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이때, 제2컨베이어(450)는 컷팅유닛(400)에 의해 컷팅된 제1합착재(C)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후술하는 언로딩부(500)를 통해 픽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도 11과 같이 제2베이스(460)에 지지된 상태로 컷팅유닛(400)의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 the second conveyor 450 enables pickup through an unload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allowing the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cut by the cutting unit 400 to be discharged. I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of the cutting unit 40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econd base 460 .

컷팅유닛(400)은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X축이송로봇(410)과, 컷팅수단(420)과 제1그립퍼(430) 및 제2그립퍼(440)를 포함한다.The cutting unit 400 includes an X-axis transfer robot 410 , a cutting means 420 , a first gripper 430 , and a second gripper 440 as shown in FIGS. 11 to 13 .

X축이송로봇(410)은 제2컨베이어(450) 양측에 제2컨베이어(450)를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언로딩Y축로봇(47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언로딩Y축로봇(47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Y축과 직교하는 X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X-axis transport robot 410 is an unloading Y-axis robot 470 to ride on a pair of unloading Y-axis robots 470 disposed along the second conveyor 450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veyor 450 . It is movably installed on the , and is arranged in the X-axi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Y-axis.

X축이송로봇(410)의 Y축방향 이동은 후술하는 제1그립퍼(430) 및 제2그립퍼(440)를 통한 컷팅이 완료된 제1합착재(C)의 배출을 위한 것이다.The movement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is for discharging the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which has been cut through the first gripper 430 and the second gripper 4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컷팅수단(420)은 합착유닛(300)을 거쳐 배출되는 CMP패드(A)에 합착된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셋팅된 위치에서 컷팅하여 제1합착재(C)를 완성하는 것으로, X축이송로봇(410)에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cutting means 420 cuts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bonded to the CMP pad (A) discharged through the bonding unit 300 at a set position to complete the first bonding material (C). As a result,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X-axis direction.

컷팅수단(420)은, X축이송로봇(410)을 타고 X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이동대(422)와, 도 12와 같이 합착유닛(300) 방향을 향하도록 이동대(422)의 단부에 설치된 척실린더(423) 및 척실린더(423)에 척킹된 나이프(424),를 포함한다.The cutting means 420 includes a moving table 422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at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X-axis transport robot 410, and a moving table to face the cementing unit 300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 It includes a chuck cylinder 423 installed at the end of the 422 and a knife 424 chucked to the chuck cylinder 423 .

척실린더(423)는 나이프(424)를 척킹하기 위해 가변하는 복수개의 척(423a)이 구비되어 있다.The chuck cylinder 42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riable chucks 423a for chucking the knife 424 .

척실린더(423)에 척킹된 나이프(424)는 합착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는 CMP패드(A)에 합착된 핫멜트(I)와 언더시트(H)가 컷팅라인에 위치하면 이동대(422)의 X축방향 이동에 따라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컷팅하게 된다(도 14 참조).The knife 424 chucked in the chuck cylinder 423 is a moving table 422 when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which are bonded to the CMP pad A discharged from the bonding unit 300, are located on the cutting line.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cut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see FIG. 14 ).

한편, 제2컨베이어(450)의 일측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척실린더(423)에 척킹된 나이프(424)를 오토체인징 하기 위한 복수개의 나이프(424)가 구비된 툴박스(425)가 더 구비되는데, 이는 나이프(424)의 사용 가능한 컷팅 횟수를 콘트롤러에 기 입력함으로서, 나이프(424)의 컷팅이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척실린더(423)를 통해 자동으로 새로운 나이프(424)로 교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450, a toolbox 425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nives 424 for auto-changing the knife 424 chucked in the chuck cylinder 423 as shown in FIGS. 1 and 3 is further provided. It is provided, which is provided by pre-inputting the usable number of cuttings of the knife 424 into the controller, and when the cutting of the knife 424 reaches the set number of times, automatically through the chuck cylinder 423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new knife 424 ) to be replaced with

제1그립퍼(430) 및 제2그립퍼(440)는 Y축방향으로 개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합착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어 컷팅된 제1합착재(C) 즉 CMP패드(A)에 합착된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그립하여 제2컨베이어(450)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각각 한 쌍의 집게구조를 이룸과 동시에 핫멜트(I)와 언더시트(H) 컷팅시 컷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핫멜트(I)와 언더시트(H) 양측을 동시에 그립하여 텐션을 유지시킨다.The first gripper 430 and the second gripper 440 are separately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re discharged from the bonding unit 300 and bonded to the cut first bonding material C, that is, the CMP pad A.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gripped to form a pair of tongs structure so that they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and at the same time,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cut when cutting The tension is maintained by gripping both sides of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t the same time so that this can be done stably.

이때, 제1그립퍼(430) 및 제2그립퍼(440)의 개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제1그립퍼(430)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X축이송로봇(410)의 길이방향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한 쌍의 제2그립퍼(440)는 각 언로딩Y축로봇(470)을 타고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enable individual movement of the first gripper 430 and the second gripper 440, a pair of first grippers 4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as shown in FIGS. 12 and 13 .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second grippers 440 be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Y-axis direction riding on each unloading Y-axis robot 470 .

더하여, 한 쌍의 제2그립퍼(440)는 언로딩Y축로봇(470)을 타고 이동시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air of second grippers 440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od so that they can be interlocked when moving on the unloading Y-axis robot 470 .

또한, 제1그립퍼(430) 및 제2그립퍼(440)의 집개구조는 제1합착재(C)의 그립과 해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상의 실린더(미부호)에 의해 구동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first gripper 430 and the second gripper 440 is driven by a common cylinder (unsigned) so that the grip and release of the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can be stably performed.

따라서, 제1그립퍼(430) 및 제2그립퍼(440)는 핫멜트(I)와 언더시트(H) 컷팅이 이루어질 때 컷팅라인 부위의 텐션을 유지시켜 컷팅의 안정성을 담보시키며, 컷팅된 제1합착재(C)가 언로딩부(500)를 통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제2컨베이어(450)로 신속하게 이송시킨다.Accordingly, the first gripper 430 and the second gripper 440 maintain the tension of the cutting line when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cut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cutting, and the cut first cementation The ash (C) is quickly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unloading unit (500).

한편,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X축이송로봇(410)에는 최종적으로 완성된 CMP 연마패드의 표면에 제품정보가 인쇄된 바코드를 부착하기 위한 바코드부착기(49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1 to 13 ,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may further include a barcode attaching device 490 for attaching a barcode on which product information is printed to the surface of the finally completed CMP polishing pad.

바코드부착기(490)는 X축이송로봇(410)에 설치된 컷팅수단(420)의 제2컨베이어(450)로 향하는 이동대(422) 단부에 설치되며, X축이송로봇(410)을 타고 X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11과 같이 제2베이스(460)의 일측에 구비된 바코드리더기(491)로부터 바코드를 픽업하여 완성된 CMP 연마패드의 표면에 붙인다.The barcode attaching machine 49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moving table 422 toward the second conveyor 450 of the cutting means 420 installed in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and rides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on the X-axis. 11, the barcode is picked up from the barcode reader 49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ase 460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mpleted CMP polishing pad as shown in FIG.

그리고, X축이송로봇(410)의 하면에는 합착유닛(300)으로 공급되는 핫멜트(I) 또는 언더시트(H)의 소진시 교체를 위해 제2컨베이어(450)와 합착유닛(300)이 분리될 때, 합착유닛(300)의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를 관통한 핫멜트(I)와 언더시트(H)의 일단부가 접착될 수 있도록 합착유닛(300) 방향으로 노출되는 다단의 인출슬라이더(48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the second conveyor 450 and the cementation unit 300 are separated for replacement when the hot melt (I) or the undersheet (H) supplied to the bonding unit 300 is exhausted. The multi-stage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bonding unit 300 so that one end of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passing through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of the bonding unit 300 can be adhered. A pull-out slider 480 of may be further provided.

인출슬라이더(480)는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16과 같이 하우징(481)과, 제1슬라이더(482) 및 제2슬라이더(484)로 구성된다.The pull-out slider 480 includes a housing 481 , a first slider 482 and a second slider 484 as shown in FIGS. 12 , 13 , 15 and 16 .

하우징(481)은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갖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X축이송로봇(410)의 하면에 고정된다. The housing 481 maintains a 'C' shape with an open lowe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a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

제1슬라이더(482)는 하우징(481)과 동일한 'ㄷ'자 형상으로 하우징(481)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제1실린더(483)의 구동에 의해 도 16과 같이 하우징(481) 내부에서 합착유닛(300) 방향으로 인출된다.The first slider 482 is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481 in the same 'C' shape as the housing 481, and is shown in FIG. 16 by driving the first cylinder 483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The same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481 in the direction of the bonding unit 300 .

제2슬라이더(484)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 상의 형태로 핫멜트(I)와 언더시트(H)의 일단부가 접착되며, 제1슬라이더(482)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제2실린더(485)의 구동에 의해 도 16과 같이 제1슬라이더(482) 내부에서 합착유닛(300) 방향으로 인출된다.The second slider 484 has one end of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ttached to it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slidably disposed inside the first slider 482 and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s shown in FIG. 16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cylinder 485, it is drawn out in the direction of the bonding unit 300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slider 482.

즉, 일차적으로 제1슬라이더(482)가 하우징(481)에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고, 이차적으로 핫멜트(I)와 언더시트(H)의 일단부가 접착된 제2슬라이더(484)가 제1슬라이더(482)에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slider 482 is primarily slid out of the housing 481 and secondarily, the second slider 484 to which one end of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is adhered is the first slider 482 . ) and is drawn out by sliding.

이때, 제1슬라이더(482)와 제2슬라이더(484)의 다단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우징(481)과 제1슬라이더(482) 및 제1슬라이더(482)와 제2슬라이더(484)는 각각 레일로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housing 481, the first slider 482, and the first slider 482 and the second slider 484 are respectively arranged so that the first slider 482 and the second slider 484 can slide in multiple stages. connected by rails.

따라서 인출슬라이더(480)는, 핫멜트(I) 또는 언더시트(H) 교체시 상,하부롤러(310,320)를 관통하여 가열된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연결시킴으로써, 제2컨베이어(450)의 분리에 따른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가열된 핫멜트(I)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이 담보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pull-out slider 480 pass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rollers 310 and 320 when replacing the hot melt (I) or the under sheet (H) and connects the heated hot melt (I) and the under sheet (H) to the second conveyor ( 450) to ensure a space for the worker to enter according to the separ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due to the heated hot melt (I).

언로딩부(500)는 도 1 내지 도 4, 도 7 및 도 11과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제2컨베이어(450) 일측에 배치되며, 제1그립퍼(430) 및 제2그립퍼(440)에 의해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된 컷팅된 원자재인 제1합착재(C)를 픽업하여 준비된 대차(K)에 안착시킨다. The unloading unit 5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450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S. 1 to 4 , 7 and 11 , and is formed by the first gripper 430 and the second gripper 440 .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C, which is the cut raw material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is picked up and seated on the prepared bogie K.

언로딩부(500)는 로딩부(100)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며, Z축로봇(520) 및 픽업수단(530)을 포함한다.The unloading unit 50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loading unit 100 , and includes a Z-axis robot 520 and a pickup means 530 .

Z축로봇(520)은 제2컨베이어(450) 방향을 향하도록 제2베이스(460)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된 X축로봇(510)에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는 소정의 넓이와 면적을 가지며 Z축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대(523)가 설치되어 있다.The Z-axis robot 520 is installed movably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X-axis robot 51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second base 460 so as to face the second conveyor 450 direction. A lifting platform 52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rea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Z-axis direction is installed.

즉, Z축로봇(520)은 X축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승강대(523)를 승강시킨다.That is, the Z-axis robot 520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and raises and lowers the elevator 523 at the same time.

픽업수단(530)은 Z축로봇(520)의 승강대(523)에 고정되며,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된 제1합착재(C)를 픽업하여 언로딩부(500) 대차(K)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ickup means 530 is fixed to the elevator 523 of the Z-axis robot 520, picks up the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and unloads the unloading unit 500, the bogie (K). to allow it to be mounted on

픽업수단(530)은, 승강대(523) 하측에 배치되며 대차(K) 상부로 향하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복수개의 픽업바(533)와, 각 픽업바(5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제1합착재(C)의 표면을 흡착하여 픽업하기 위한 복수개의 진공패드(535)로 구성된다.The pickup means 53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523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ickup bars 533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art K,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pickup bar 533 , 1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acuum pads 535 for adsorbing and picking up the surface of the bonding material (C).

따라서, 언로딩부(500)는 픽업수단(530)을 통해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된 제1합착재(C)를 진공으로 픽업하고, Z축로봇(520)의 X축방향 이동을 통해 대차(K)로 이동시켜 픽업된 제1합착재(C)를 안착시킨다.Therefore, the unloading unit 500 picks up the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through the pickup means 530 in a vacuum, and moves the Z-axis robot 520 in the X-axis direction. The picked-up first cementing material (C) is seated by moving it to the bogie (K).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를 이용하여 CMP 연마패드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using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단일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를 이용하여 제1합착재(C)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using a singl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will be described.

로딩부(100)측으로 CMP패드(A)가 적재된 대차(K)를 배치시킨다.A truck (K) on which the CMP pad (A) is loaded is disposed toward the loading unit (100).

대차(K)가 배치되면, 로딩부(100)의 픽업수단(130,530)은 대차(K)에 적재된 CMP패드(A)를 낱장으로 픽업하고, CMP패드(A)를 픽업한 상태로 X축로봇(110,510)을 타고 X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컨베이어(140)에 CMP패드(A)를 안착시킨다.When the bogie K is disposed, the pickup means 130 and 530 of the loading unit 100 pick up the CMP pad A loaded on the bogie K in a single sheet, and the X-axis in a state in which the CMP pad A is picked up. The CMP pad (A) is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by moving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robots (110, 510).

제1컨베이어(140)에 CMP패드(A)가 안착되면, 셔틀(200)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CMP패드(A)를 밀면서 이송시킨다.When the CMP pad A is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 the shuttle 200 moves the CMP pad A while pushing it in the arrow direction shown in FIG. 4 .

셔틀(200)에 의해 이송되는 CMP패드(A)는 도 10과 같이 합착유닛(300)에서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The CMP pad A transported by the shuttle 200 enters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which are rotated by a driving source in the bonding unit 300 as shown in FIG. 10 .

이때,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는 소정의 온도로 히팅된 상태이고, 도 10과 같이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로 핫멜트(I)와 언더시트(H)가 공급되는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r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heated to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s shown in FIG. is in supply.

더하여, 공급되는 핫멜트(I) 양면에는 보호필름(G)이 접착되어 있으며, 어느 일면의 보호필름(G)은 도 10과 같이 회수롤러(380)를 통해 회수된다.In addition, a protective film (G) is adhered to both surfaces of the supplied hot melt (I), and the protective film (G) on either side is recovered through a recovery roller 380 as shown in FIG. 10 .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사이로 CMP패드(A)의 진입이 이루어지면, 핫멜트(I)와 언더시트(H)가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에 의해 롤링되면서 도 18의 1차와 같이 각각 CMP패드(A)의 상면과 하면으로 합착되면서 컷팅 전의 제1합착재(C)를 형성하게 된다. When the CMP pad (A) enters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rolled by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18,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C before cutting is formed while b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MP pad A, respectively.

여기서, 제1합착재(C)의 도면상 최상측은 핫멜트(I)에 접착되어 회수되지 않은 보호필름(G)이다.Here, the uppermost side in the drawing of the first bonding material (C) is a protective film (G) that is not recovered after being adhered to the hot melt (I).

CMP패드(A), 핫멜트(I) 및 언더시트(H)의 합착은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사이를 지나는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bonding of the CMP pad (A),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is gradually made in the process of passing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

이때, 핫멜트(I)와 언더시트(H)가 합착된 CMP패드(A)가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를 통과하면, 도 14의 (a)와 같이 대기중인 제1그립퍼(430)와 제2그립퍼(440)가 합착된 CMP패드(A)와 CMP패드(A) 사이의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그립하여 텐션을 유지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CMP pad (A) to which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bonded passes through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the first gripper ( The tension is maintained by gripping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between the CMP pad (A) and the CMP pad (A) to which the second gripper 430 and the second gripper 440 are bonded.

위와 같은 상태에서 커팅수단이 X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나이프(424)를 이용하여 CMP패드(A)와 CMP패드(A) 사이의 점선으로 표기된 커팅라인을 컷팅하여 단일의 제1합착재(C)를 제조한다.In the above state, while the cutting means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the cutting lin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between the CMP pad (A) and the CMP pad (A) is cut using the knife 424 to form a single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to manufacture

이후, 컷팅된 제1합착재(C)는 제2그립퍼(440)의 이동을 통해 14의 (b)와 같이 화살표방을 따라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된다.Thereafter, the cut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along the arrow direction as shown in (b) of 14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econd gripper 440 .

이때, 제1그립퍼(430)는 컷팅이 이루어진 타측을 계속적으로 그립하고 있는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first gripper 430 is in a state of continuously gripping the other side on which the cut is made.

제1합착재(C)의 이송이 완료되면, 14의 (c)와 같이 제2그립퍼(440)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그립퍼(430)가 그립하는 부위를 인접한 상태로 그립하게 된다.When the transfer of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C is completed, the second gripper 44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shown in (c) of 14 to grip the portion gripped by the first gripper 430 in an adjacent state.

동시에,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된 제1합착재(C)(일점쇄선)는 언로딩부(500)의 픽업수단(130,530)에 의해 픽업되어 언로딩부(500)측의 대차(K)에 안착된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dotted and dashed line)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is picked up by the pickup means 130 and 530 of the unloading unit 500 and the unloading unit 500 side of the bogie K ) is mounted on

이후, 제2그립퍼(440)는 제1그립퍼(430)의 인접부위로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그립한 상태로 14의 (d)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after, the second gripper 44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shown in (d) of 14 while gripping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to the adjacent portion of the first gripper 430 .

이때, 제1그립퍼(430)는 제2그립퍼(440)에 의한 핫멜트(I)와 언더시트(H)의 이송이 이루어질 때 그립을 해제하며, 제2그립퍼(440)의 이동은 14의 (d)와 같이 CMP패드(A)와 CMP패드(A) 사이의 커팅라인이 나이프(424)가 지나가는 선상과 일치할 때까지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rst gripper 430 releases the grip when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transferred by the second gripper 440,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gripper 440 is ) until the cutting line between the CMP pad (A) and the CMP pad (A) coincides with the line through which the knife 424 passes.

커팅라인이 일치되면, 제1그립퍼(430)는 도 14의 (a)와 같이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그립하여 텐션을 유지시킨다.When the cutting lines coincide, the first gripper 430 grips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to maintain the tension as shown in FIG. 14A .

그리고, 앞서 서술된 일련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계속적인 제1합착재(C)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And, as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is repeatedly performed,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first cementation material (C) is made.

한편, 본 발명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가 도 17과 같이 1차 내지 4차로 구성되는 4대가 한 조를 이루도록 조합되어 CMP 연마패드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CMP polishing pad by combining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set of four primary to fourth units as shown in FIG. 17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1차에서는 CMP패드(A)와 핫멜트(I) 및 언더시트(H)를 공급하면서 앞서 서술된 합착공정을 통해 18의 1차와 같이 최종적인 제1합착재(C)를 제조한다.First, in the first step, the final first cementing material (C) is manufactured as in the first step of 18 through the above-described bonding process while supplying the CMP pad (A),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2차에서는 부직포(B)와 핫멜트(I) 및 언더시트(H)를 공급하면서 앞서 서술된 합착공정을 통해 18의 2차와 같이 최종적인 제2합착재(D)를 제조한다.In the second step, while supplying the nonwoven fabric (B),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the final second cementing material (D) is manufactured as in the second step of 18 through the above-described bonding process.

3차에서는 1차와 2차에서 각각 제조된 제1합착재(C)와 제2합착재(D)를 대차(K)로 공급받고, 제1합착재(C)와 제2합착재(D)에 접착된 보호필름(G)과 언더시트(H)를 박리하여 합착유닛(300)으로 공급한다.In the third car, the first and second cementing materials (C) and second cementing materials (D) prepared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are supplied to the cart (K), and the first and second cementing materials (C) and (D) are supplied. ), the protective film (G) and the undersheet (H) are peeled off and supplied to the bonding unit 300 .

이때, 제1합착재(C)와 제2합착재(D)의 핫멜트(I)는 서로 마주하도록 공급되며, 제1합착재(C)와 제2합착재(D) 중 어느 하나의 합착재는 제1컨베이어(140)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합착재는 소정의 경사를 이룬상태로 공급된다.At this time, the hot melt (I) of the first and second cementing materials (C) and (D) are supplied to face each other, and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ementing materials (C) and (D) is The first conveyor 140 is su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ther cementing material is suppli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공급되는 제1합착재(C)와 제2합착재(D)는 도 18의 3차와 같이 합착됨으로써 제3합착재(E)로 제조된다. The supplied first cementing material (C) and the second cementing material (D) are cemented as shown in the third step of FIG. 18 to prepare a third cementing material (E).

더하여, 3차에서는 제1합착재(C)와 제2합착재(D)의 합착에 의해 제3합착재(E)가 제조됨에 따라 1차, 2차에서와 같이 핫멜트(I)와 언더시트(H)의 공급이 필요치 않다.In addition, as in the first and second rounds,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as in the first and second rounds as the third cementing material (E) is manufactured by the cemen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ementing materials (C) and the second cementing material (D) in the third. No supply of (H) is required.

4차에서는 3차에서 제조된 제3합착재(E)의 부칙포로 양면테입과 보호필름(G)을 접척(423a)하기 위한 것으로, 제3합착재(E)가 적재된 대차(K)로부터 제3합착재(E)를 픽업하여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시킨다.In the 4th car, it is for bonding (423a) the double-sided tape and the protective film (G) with the supplementary cloth of the third cementing material (E) prepared in the third, from the cart (K) on which the third cementing material (E) is loaded. The third cementing material (E) is picked up and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이때, 제3합착재(E)는 부직포(B)에 양면테입과 보호필름(G)이 접착될 수 있도록 CMP패드(A)가 하측을 향하도록 안착된다. 이후, 제3합착재(E)를 합착유닛(300)으로 이동시키면서 양면테입과 보호필름(G)을 공급하여 앞서 서술된 합착공정을 통해 도 18의 4차와 같이 최종적인 CMP 연마패드를 제조한다.At this time, the third bonding material (E) is seated such that the CMP pad (A) faces downward so that the double-sided tape and the protective film (G) can be adhered to the nonwoven fabric (B). Thereafter, while moving the third bonding material (E) to the bonding unit (300), the double-sided tape and the protective film (G) are supplied to manufacture the final CMP polishing pad as shown in the fourth step of FIG. 18 through the above-described bonding process. do.

위와 같은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 4대가 한 조를 이루면서 원자재의 투입과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동화 공정(1차,2차,4차)에서는 원자재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2명의 작업 인원이 필요하고, 4차에서는 원자재 공급을 위한 1명의 작업 인원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인원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게 된다.By the above process, since the input and discharge of raw materials are automatically made while four units of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group, in the automated process (1st, 2nd, 4th), Two workers are required for supply and discharge, and one worker is required for supplying raw materials in the 4th roun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workers.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는, CMP 연마패드가 4차 공정을 통해 제조되도록 하면서 각 공정에서 원자재의 투입, 배출, 핫멜트 공급 및 커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3명의 인원을 통해 1차에서 4차까지의 공정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so far,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input, discharge, hot melt supply and cutting of raw materials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in each process while the CMP polishing pad is manufactured through the fourth process, and thre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process control from the 1st to the 4th can be achieved through personnel.

또한, 핫멜트롤러 또는 언더시트롤러의 교체시 인출슬라이더를 통해 가열된 핫멜트와 보호필름의 인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열된 핫멜트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이 예방되는 구조적 효과 또한 탁월하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effect of preventing the safety of workers due to the heated hot melt as the heated hot melt and the protective film are pulled out through the pull-out slider when the hot melt roller or under seat roller is replaced.

이상, 본 발명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is only inten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That i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within.

100 : 로딩부 100,100' : X축로봇
120, 120' : Z축로봇 123,123' : 승강대
130,130' : 픽업수단 133,133' : 픽업바
135,135' : 진공패드 140 : 제1컨베이어
150 : 제1베이스 200 : 셔툴
210 : 로딩Y축로봇 300 : 합착유닛
310 : 상부롤러 320 : 하부롤러
330 : 격판 333 : 승강부재
335 : 승강모터 340 : 핫멜트롤러
350 : 언더시트롤러 360 : 수직로드셀
370 : LVDT센서 380 : 회수롤러
400 : 커팅유닛 410 : X축이송로봇
420 : 컷팅수단 422 : 이동대
423 : 척실린더 424 : 나이프
425 : 툴박스 430 : 제1그립퍼
440 : 제2그립퍼 450 : 제2컨베이어
460 : 제2베이스 470 : 언로딩Y축로봇
480 : 인출슬라이더 481 : 하우징
482 : 제1슬라이더 483 : 제1실린더
484 : 제2슬라이더 485 : 제2실린더
490 : 바코드부착기 491 : 코드리더기
500 :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A : CMP패드
B : 부직포 C : 제1합착재
D : 제2합착재 E : 제3합착재
F : CMP 연마패드 G : 보호필름
H : 언더시트 I : 핫멜트
K : 대차 L : 자전롤러
M : 양면테입
100: loading part 100,100': X-axis robot
120, 120': Z-axis robot 123,123': Lifting platform
130,130': pickup means 133,133': pickup bar
135,135': vacuum pad 140: first conveyor
150: first base 200: shutter tool
210: loading Y-axis robot 300: cementation unit
310: upper roller 320: lower roller
330: diaphragm 333: elevating member
335: elevating motor 340: hot melt roller
350: under seat roller 360: vertical load cell
370: LVDT sensor 380: recovery roller
400: cutting unit 410: X-axis transport robot
420: cutting means 422: moving table
423: chuck cylinder 424: knife
425: toolbox 430: first gripper
440: second gripper 450: second conveyor
460: second base 470: unloading Y-axis robot
480: pull-out slider 481: housing
482: first slider 483: first cylinder
484: second slider 485: second cylinder
490: barcode attacher 491: code reader
500: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device A: CMP pad
B: Non-woven fabric C: First cementation material
D: Second clad material E: Third clad material
F : CMP polishing pad G : Protective film
H : Undersheet I : Hot melt
K : Bogie L : Rotating roller
M : double-sided tape

Claims (21)

CMP패드(A), 부직포(B), 제1합착재(C), 제2합착재(D) 및 제3합착재(E) 중 어느 하나의 원자재가 적재된 대차(K)로부터 원자재를 픽업하여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시키는 로딩부(100);
상기 제1컨베이어(140)에 배치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된 상기 원자재를 이송시키는 셔틀(200);
상기 셔틀(200)에 의해 이송된 원자재에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합착시켜 이송시키는 합착유닛(300);
상기 합착유닛(300)의 일측에 배치되며, 합착된 상기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컷팅하고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시키는 컷팅유닛(4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450)로 이송된 컷팅된 원자재를 픽업하여 대차(K)에 안착시키는 언로딩부(500);로 구성되며,
상기 셔틀(200)은 제1컨베이어(140)에 안착된 상기 원자재를 상기 합착유닛(300)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140)를 따라 배치된 로딩Y축로봇(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Picking up raw materials from the cart (K) loaded with any one of the CMP pad (A), nonwoven fabric (B), first cementing material (C), second cementing material (D), and third cementing material (E) The loading unit 100 to be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a shuttle 200 disposed on the first conveyor 140 and transporting the raw materials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a bonding unit 300 for bonding and transferring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to the raw material transferred by the shuttle 200;
a cutting unit 4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nding unit 300, cutting the bonded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nd transferring them to a second conveyor (450); and
and an unloading unit 500 that picks up the cut raw material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450 and places it on the bogie K.
The shuttle 200 moves to the loading Y-axis robot 210 disposed along the first conveyor 140 so as to transfer the raw material seated on the first conveyor 140 to the cementation unit 300 .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possi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100) 및 언로딩부(500)는,
로딩부(100)측과 언로딩부(500)측에 각각 설치된 X축로봇(110,510)에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Z축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대(123,523)가 설치된 Z축로봇(120,520); 및
상기 승강대(123,523)에 고정되며, 상기 원자재를 픽업하는 픽업수단(130,5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ing unit 100 and the unloading unit 500,
A Z-axis robot ( 120,520); and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lifting platform (123,523), and pickup means (130,530) for picking up the raw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수단(130,530)은,
상기 승강대(123,523) 하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복수개의 픽업바(133,533); 및
상기 픽업바(133,5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원자재를 픽업하기 위한 복수개의 진공패드(135,5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ckup means (130, 530) is,
a plurality of pickup bars (133, 533) disposed below the elevator (123, 523)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ckup bar (133,533), comprising a plurality of vacuum pads (135,535) for picking up the raw materi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유닛(300)은,
이송하는 상기 원자재를 가압하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하는 상부롤러(310) 및 하부롤러(320);
상기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격판(330); 및
상기 상부롤러(310)의 상측으로 배치되며,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 사이로 공급되어 상기 원자재와 합착되는 핫멜트(I)를 공급하는 핫멜트롤러(3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nding unit 300,
an upper roller 310 and a lower roller 320 rotating in a state of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to pressurize the raw material to be transported;
a pair of diaphragms 330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nd
A hot melt roller 340 disposed above the upper roller 310 and supplied betwe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to supply the hot melt (I) to be bonded to the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equip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310) 및 하부롤러(320)는 합착시 상기 핫멜트(I)가 원자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핫멜트(I)를 가열하는 히팅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re heating rollers for heating the hot melt (I) so that the hot melt (I) can adhere to the raw material during bon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310)는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roller 310 is a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levating.
제7항에 있어서,
레일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상기 격판(330)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롤러(310)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333); 및
상기 각 승강부재(333)에 로드를 통해 연결된 상태로 직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333)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승강모터(3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pair of elevating members 333 installed on the diaphragm 330 to enable elevating through the rail and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upper roller 310; and
A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lifting motors (335) disposed directly above each of the lifting members (333)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od, and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members (33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모터(335)의 로드와 승강부재(333) 사이에는, 승강부재(333)의 하강에 의한 상기 상,하부롤러(310,320)의 밀착시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수직로드셀(3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 패드 제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Between the rod of the elevating motor 335 and the elevating member 333, a vertical load cell 360 for sensing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pper and lower rollers 310 and 320 are in close contact due to the lowering of the elevating member 333.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격판(330)에는 상기 상부롤러(310)와 하부롤러(320)가 인접될 때 상부롤러(310)의 평행도에 대한 오토티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LVDT센서(3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 패드 제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Each diaphragm 330 is provided with an LVDT sensor 370 for auto-teaching the parallelism of the upper roller 310 when the upper roller 310 and the lower roller 3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equip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320)의 하측에는 상기 원자재와 핫멜트(I) 합착시 원자재 일면 커버를 위해 언더시트(H)를 공급하는 언더시트롤러(3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oller (320) is provided with an undersheet roller (350) for supplying an undersheet (H) to cover one side of the raw material when the raw material and the hot melt (I) are adher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310)의 상측에는 상기 핫멜트(I)의 보호필름(G)을 리와인딩 하는 회수롤러(3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of the upper roller (310) is provided with a recovery roller (380) for rewinding the protective film (G) of the hot melt (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400)은,
상기 제2컨베이어(450) 양측으로 배치된 언로딩Y축로봇(470)을 타고 이동하도록 X축방향으로 배치된 X축이송로봇(410);
상기 X축이송로봇(4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합착유닛(300)을 거쳐 배출되는 상기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컷팅하는 컷팅수단(420); 및
Y축방향으로 개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핫멜트(I)와 언더시트(H) 컷팅시 텐션을 유지시키고, 컷팅된 상기 핫멜트(I)와 언더시트(H)를 그립하여 상기 제2컨베이어(450)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그립퍼(430) 및 제2그립퍼(4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utting unit 400,
an X-axis transfer robot 410 disposed in the X-axis direction to ride on the unloading Y-axis robot 47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veyor 450;
a cutting means 420 that is movably installed in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and cuts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discharged through the bonding unit 300; and
The second conveyor ( A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first grippers 430 and second grippers 440 sequentially transferred to 45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수단(420)은,
X축이송로봇(410)을 타고 이동하는 이동대(422);
상기 이동대(422)에 설치된 척실린더(423); 및
상기 척실린더(423)에 척킹된 나이프(4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utting means 420,
A moving table 422 that moves on the X-axis transport robot 410;
a chuck cylinder 423 installed on the moving table 422; and
A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knife (424) chucked to the chuck cylinder (4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베이어(450)의 일측에는 상기 척실린더(423)의 나이프(424)를 오토체인징 하기 위한 복수개의 나이프(424)가 구비된 툴박스(425)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lbox 425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nives 424 for auto-changing the knife 424 of the chuck cylinder 423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450 .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퍼(430)는 상기 X축이송로봇(4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그립퍼(440)는 각 언로딩Y축로봇(47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gripper 430 is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and the second gripper 440 is movably installed on each unloading Y-axis robot 470.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equipme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X축이송로봇(410)에는 완성된 상기 CMP 연마패드의 표면에 바코드를 부착하기 위한 바코드부착기(4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X-axis transfer robot (4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rcode attaching machine (490) for attaching a barcode to the surface of the completed CMP polishing pa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X축이송로봇(410)의 하면에는 상기 핫멜트(I) 또는 언더시트(H) 교체를 위해 상기 제2컨베이어(450)와 합착유닛(300)이 분리될 때, 합착유닛(300)을 관통한 핫멜트(I)와 언더시트(H) 일단부가 접착될 수 있도록 노출되는 다단의 인출슬라이더(4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second conveyor 450 and the cementation unit 300 are separated for replacement of the hot melt (I) or the undersheet (H) on the lower surface of the X-axis transport robot 410, the cementation unit 300 is penetrated.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stage pull-out slider (480) exposed so that one end of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can be adher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슬라이더(480)는,
상기 X축이송로봇(410)의 하면에 고정된 하우징(481);
상기 하우징(481) 내부에 배치되며, 제1실린더(483)에 의해 상기 합착유닛(300) 방향으로 인출되는 제1슬라이더(482);
상기 제1슬라이더(482) 내부에 배치되며, 제2실린더(485)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더(482)에서 상기 합착유닛(300) 방향으로 인출되고 상기 핫멜트(I)와 언더시트(H)의 일단부가 접착되는 제2슬라이더(4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ull-out slider 480 is,
a housing 481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X-axis transport robot 410;
a first slider 482 disposed inside the housing 481 and drawn out toward the bonding unit 300 by a first cylinder 483;
It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slider 482, is drawn out from the first slider 482 in the direction of the bonding unit 300 by a second cylinder 485, and the hot melt (I) and the undersheet (H) are formed. A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slider (484) to which one end is adh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140)와 제2컨베이어(450)는 상기 합착유닛(300)의 양측으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veyor (140) and the second conveyor (450) ar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from both sides of the bonding unit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는, 1차 내지 4차로 구성되는 4대의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가 한 조를 이루도록 조합되되,
1차 또는 2차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에서는, 제1합착재(C) 또는 제2합착재(D)의 합착이 이루어지고,
3차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에서는, 제1합착재(C)와 제2합착재(D)의 합착을 통해 제3합착재(E)를 제조하며,
4차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600)에서는, 제3합착재(E)에 양면테입을 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 연마패드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is combined to form a set of four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consisting of primary to quaternary,
In the primary or secondary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C) or the second cementing material (D) is cemented,
In the tertiary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 the third cementation material (E) is manufactured by bonding the first cementing material (C) and the second cementing material (D),
In the fourth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600), a CMP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sided tape is bonded to the third bonding material (E).
KR1020200159971A 2020-11-25 2020-11-25 CMP polishing pad manufacturer device KR102298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971A KR102298194B1 (en) 2020-11-25 2020-11-25 CMP polishing pad manufactur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971A KR102298194B1 (en) 2020-11-25 2020-11-25 CMP polishing pad manufactur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194B1 true KR102298194B1 (en) 2021-09-06

Family

ID=7778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971A KR102298194B1 (en) 2020-11-25 2020-11-25 CMP polishing pad manufactur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19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3390A (en) * 2002-12-12 2004-07-08 Toyobo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ishing pad and the polishing pad
KR101360182B1 (en) * 2013-10-21 2014-02-11 맹성호 Laminating apparatus
KR101410432B1 (en) * 2014-01-23 2014-06-20 주식회사 삼양토탈비철금속 Metal plate taping Apparatuse
KR101509590B1 (en) 2011-01-12 2015-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ishing pad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apparatus for cmp
KR20170103407A (en)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탑앤씨 High-speed Lamin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3390A (en) * 2002-12-12 2004-07-08 Toyobo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ishing pad and the polishing pad
KR101509590B1 (en) 2011-01-12 2015-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ishing pad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apparatus for cmp
KR101360182B1 (en) * 2013-10-21 2014-02-11 맹성호 Laminating apparatus
KR101410432B1 (en) * 2014-01-23 2014-06-20 주식회사 삼양토탈비철금속 Metal plate taping Apparatuse
KR20170103407A (en)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탑앤씨 High-speed Lamin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4404B (en) Substrate transport method and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ITMO20060022A1 (en) MACHINE FOR PROCESSING WOOD ELEMENTS WITH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OF THESE ELEMENTS AND METHOD TO LOAD THESE ELEMENTS
JP63430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workpieces
JPS6244367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grinding front glass of braun tube
CN104555396B (e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and method for PCB processing and detection device
EP0580809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pper clad, glass fibre reinforced epoxy resin laminates
JP4516067B2 (en) Substrate carry-in / out device and substrate carry-in / out method
CN111634634A (e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equipment of pad printing machine
KR102298194B1 (en) CMP polishing pad manufacturer device
JPS5918624A (en) Iron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0480692Y1 (en) Machining apparatus of plate
CN209922398U (en) Feed supplement conveyor
TWI644843B (en) Feeding method and equipment
KR100296662B1 (en) An installation for the production of laminates particularly industrial laminates
CN212502541U (e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equipment of pad printing machine
ITMI20101707A1 (en) SUPPORTING SYSTEM OF MATERIALS IN SHEET AND ITS FUNCTIONING
TWI644844B (en) Pick and place device
JP2004136300A (en) Press line
JP4947675B1 (en) Polishing system
KR101984467B1 (en) Packing Robot System
JP2000141048A (en) Seam welding machine
CN218430374U (en) Composite fabric assembling equipment
JP2798578B2 (en) Apparatus for forming an intermediate produc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laminate
CN114589593B (en) Automatic polisher
JP7372825B2 (en) Transport system and consumables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