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421B1 -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 Google Patents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421B1
KR102297421B1 KR1020210008642A KR20210008642A KR102297421B1 KR 102297421 B1 KR102297421 B1 KR 102297421B1 KR 1020210008642 A KR1020210008642 A KR 1020210008642A KR 20210008642 A KR20210008642 A KR 20210008642A KR 102297421 B1 KR102297421 B1 KR 10229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heave
wire rope
pull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음성식
문기종
Original Assignee
음성식
문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음성식, 문기종 filed Critical 음성식
Priority to KR102021000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8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clutch or a coupling system between several motors, e.g. switching different speeds, progressive starting, torque limitation, fly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고하중 산업용 리프트 카는 승강기 기계실에 복수개의 권상기를 설치시 작업공간이 넉넉하게 확보되지 않아 설치가 까다롭고 각각의 권상기의 가격이 비싸 설치비용이 상승하고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복수개의 권상기를 사용함에 따른 점검 및 소모품 교체 등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무게 중심을 잡기가 어렵고, 복수개의 권상기 모터의 회전속도에 차이가 미세하게라도 발생하게 될 경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쏠림이 발생하여 산업용 리프트 카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한쪽으로 편심하중이 발생할 경우, 쏠림이 발생한 방향으로 산업용 리프트 카가 기울어 안정적이지 못하고, 산업용 리프트 카의 내측에 기울어진 방향으로 화물의 쏠림현상이 발생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증대되고,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 중 편심하중에 따라 일측의 와이어 로프에 큰 하중이 집중되어 위치에 따른 장력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장력의 차이가 큰 와이어 로프가 리프트 카의 반복적인 승하강이 이루어지면 수명이 짧아져 빠르게 마모 및 손상되어 교체주기가 매우 짧아지고, 와이어 로프의 교체에 따라 장시간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하중용 권상기, 고하중용 시브부, 고하중용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로 구성됨으로써, 고하중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권상기의 갯수를 단일화하여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작업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권상기를 단일화하여 로프의 승·하강 운동에 따른 와인딩시 편차를 최소화하여 고하중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개의 와이어 로프에 고른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여 와이어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하중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 이동시 다수개의 와이어 로프 중 일측의 와이어 로프에 마찰 및 인장력이 반복적으로 편중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로프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여 로프의 기대수명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정기적인 유지·보수기간을 늘려 고하중 엘리베이터 카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프트 카의 이상 속도 발생시 속도를 감지하여 리프트 카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HEAVY-LOAD HOISTING MACHINE WITH IMPROVED ROPE LIFE}
본 발명에서는 고하중 리프트 카에 사용되는 권상기의 갯수를 단일화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로프의 승·하강 운동에 따른 와인딩시 편차를 최소화하고,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여 고하중의 무게를 견디며 와이어 로프의 마모 및 손상으로 인한 파단을 방지하여 와이어 로프의 기대수명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고하중 리프트 카의 이상 속도 발생시 속도를 감지하여 리프트 카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고하중 산업용 리프트 카는 적재 화물이 50톤(ton) 이상의 고하중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복수개의 권상기를 설치하여 각각의 권상기에 감긴 와이어 로프를 통해 리프트 카를 지지하며 승하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승강기 기계실에 복수개의 권상기를 설치시 작업공간이 넉넉하게 확보되지 않아 설치가 까다롭고 각각의 권상기의 가격이 비싸 설치비용이 상승하고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복수개의 권상기를 사용함에 따른 점검 및 소모품 교체 등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무게 중심을 잡기가 어렵고, 복수개의 권상기 모터의 회전속도에 차이가 미세하게라도 발생하게 될 경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쏠림이 발생하여 산업용 리프트 카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쪽으로 편심하중이 발생할 경우, 쏠림이 발생한 방향으로 산업용 리프트 카가 기울어 안정적이지 못하고, 산업용 리프트 카의 내측에 기울어진 방향으로 화물에 쏠림현상이 발생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증대되고,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 중 편심하중에 따라 일측의 와이어 로프에 큰 하중이 집중되어 위치에 따른 장력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장력의 차이가 큰 와이어 로프가 리프트 카의 반복적인 승하강이 이루어지면 수명이 짧아져 빠르게 마모 및 손상되어 교체주기가 매우 짧아지고, 와이어 로프의 교체에 따라 장시간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7613호(2018.08.06.등록)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하중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권상기의 갯수를 단일화하여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작업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권상기를 단일화하여 로프의 승·하강 운동에 따른 와인딩시 편차를 최소화하여 고하중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개의 와이어 로프에 고른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여 와이어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하중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 이동시 다수개의 와이어 로프 중 일측의 와이어 로프에 마찰 및 인장력이 반복적으로 편중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로프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여 로프의 기대수명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정기적인 유지·보수기간을 늘려 고하중 엘리베이터 카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프트 카의 이상 속도 발생시 속도를 감지하여 리프트 카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는
승강기 기계실의 상단 일측에 위치하여 둘레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승강기 기계실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인 구동부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력을 형성하여 정·역방향 회전되며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며 고하중 리프트 카 및 고하중용 무게추를 서로 교차시키며 승하강시키는 고하중용 권상기와,
승강기 기계실, 고하중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도르래 형상으로, 고하중용 권상기에 와인딩된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고하중용 권상기의 구동에 따라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며 지지하는 고하중용 시브부와,
승강로 내부에 설치된 리프트 카 형상으로 상단 일측에 고하중용 권상기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고, 내부에 고하중 물체를 적재하여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고하중용 리프트 카와,
승강로 내부에 설치된 무게추 형상으로 상단 일측에 고하중용 권상기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고, 고하중용 리프트 카와 승·하강에 따라 역방향으로 승·하강되며 균형을 유지하는 고하중용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하중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권상기의 갯수를 단일화하여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작업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권상기를 단일화하여 로프의 승·하강 운동에 따른 와인딩시 편차를 최소화하여 고하중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개의 와이어 로프에 고른 하중이 분산되어 와이어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하중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 이동시 마찰 및 인장력이 반복적으로 다수개의 와이어 로프 중 일측의 로프에 편중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로프의 마모 및 손상으로 인한 파단을 방지하여 로프의 기대수명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정기적인 유지·보수기간을 늘려 고하중 엘리베이터 카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프트 카의 이상 속도 발생시 속도를 감지하여 리프트 카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용 권상기의 좌측에 좌측 와이어 로프가 와인딩되고, 우측에 우측 와이어 로프가 와인딩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기 기계실을 투명하게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기 기계실을 투명하게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시브부에 좌측 와이어 로프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를 지지하는 형상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시브부에 와인딩된 좌측 와이어 로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와이어 로프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림 형태로 방향 전환된 형상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시브부에 좌측 와이어 로프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를 지지하는 형상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시브부에 우측 와이어 로프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를 지지하는 형상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시브부에 와인딩된 우측 와이어 로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와이어 로프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림 형태로 방향 전환된 형상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시브부에 우측 와이어 로프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를 지지하는 형상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고하중용 권상기(100), 고하중용 시브부(200),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 고하중용 무게추(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용 권상기(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고하중용 권상기(100)는 승강기 기계실의 상단 일측에 위치하여 둘레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승강기 기계실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인 구동부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력을 형성하여 정·역방향 회전되며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며 고하중 리프트 카 및 고하중용 무게추를 서로 교차시키며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고하중용 모터부(110), 고하중용 감속기(120), 메인 구동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고하중용 모터부(110)는 승강기 기계실의 상단 일측에 좌·우측 내측방향 대칭으로 형성된 모터 형상으로, 동일한 회전력 및 회전속도를 형성하며 감속기의 입력축에 결합되어 제어에 따라 회전되며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하중용 감속기(120)는 승강기 기계실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감속기 형상으로, 입력축의 좌·우측에 고하중용 모터부가 결합되고, 출력축의 좌·우측에 메인 구동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구동부(130)는 감속기의 출력축 좌·우측에 대칭으로 결합된 메인 시브 형상으로, 좌·우측 메인 구동부에 각각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좌측 와이어 로프(2a) 및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지지하며 고하중용 감속기의 출력 회전력을 전달받아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브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시브부(200)는 승강기 기계실, 고하중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도르래 형상으로, 고하중용 권상기에 와인딩된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고하중용 권상기의 구동에 따라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측 시브부(210), 우측 시브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시브부(210)는 승강기 기계실, 고하중용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도르래 형상으로, 메인 구동부의 좌측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지지하며 하중을 분산시켜주고, 메인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좌측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좌측 제1 카 시브부(211), 좌측 제2 카 시브부(212), 좌측 디플렉터 시브부(213), 좌측 제1 균형추 시브부(214),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215)로 구성된다.
첫째, 상기 좌측 제1 카 시브부(211)는 메인 구동부의 좌측 메인 구동축 전방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211a)와, 수평방향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11b) 형상으로, 좌측 메인 구동부의 전방 수직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와인딩하여 정면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르래(211a)는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메인 구동부(130)의 좌측 메인 구동축 전방 수직 하단에 위치하여, 좌측 메인 구동축에서 수직 하단방향으로 향하는 좌측 와이어 로프를 수직 정면 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르래(211b)는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도르래(211a)의 수평방향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하여, 수평방향 전방으로 향하는 좌측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수직 상단방향에 위치한 좌측 제2 카 시브부에 와인딩되도록 방향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제1 카 시브부(211)의 도르래(211a), 도르래(211b)는 메인 구동부(130)의 전방 수직 하단방향으로 와인딩된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정면 수평방향으로 이격하여 제2 카시브부에 수직 상단방향으로 와인딩되도록 와인딩되는 방향을 전환하며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둘째, 상기 좌측 제2 카 시브부(212)는 좌측 제1 카 시브부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상단 좌·우 양측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며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12a)와, 좌·우 양측 도르래 진행방향에 각각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12b) 형상으로, 좌측 제1 카 시브부에서 수직 상단방향으로 형성된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여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르래(212a)는 승강기 기계실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좌측 제1 카 시브부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상단 좌·우측에 직각을 이루며 좌·우측으로 방향전환되어 위치하여, 좌측 제1 카 시브부에 와인딩된 좌측 와이어 로프를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와이어 로프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림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어 와인딩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르래(212b)는 승강기 기계실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도르래(212a)의 좌·우 양측 진행방향에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좌측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수직 하단방향에 위치한 리프트 카 병합부에 와인딩되도록 방향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제2 카 시브부(212)의 도르래(212a), 도르래(212b)는 좌측 제1 카 시브부(211)에 수직 상단방향으로 와인딩된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하고, 좌·우측으로 이격된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에 수직 하단방향으로 와인딩되도록 와인딩되는 방향을 전환하며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측 와이어 로프(2a)가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되고, 수직방향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와이어 로프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림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여 고하중용 리프트의 상단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에 와인딩되도록 한다.
이때, 리프트 카의 승·하강에 따라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좌측 와이어 로프가 제2 카 시브부에 비틀림 형태로 방향전환하여 와인딩되며 승·하강시,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하여 와인딩됨으로써, 좌측 제2 카 시브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하는 좌측 와이어 로프 가닥에 발생하는 마찰력 및 승하강에 따른 로프가닥의 와인딩 위치별 인장력의 차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좌측 와이어 로프의 마모 및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방향전환으로 인해 고하중의 리프트 카 무게를 분산시켜주어 고하중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제2 카 시브부(212)에 와인딩된 좌측 와이어 로프(2a) 전방은 좌측 제2 카 시브부 좌·우 양측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하단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어 위치한 도르래(310a)와, 좌·우측에 각각 전·후 수평방향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310b) 형상의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에 좌측 와이어 로프(2a)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좌측 와이어 로프(2a)가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의 좌·우측 균형을 유지하며 지지하고,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손상 또는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고하중용 리프트 카가 균형을 잃고 일측으로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좌측 디플렉터 시브부(213)는 메인 구동부의 좌측 메인 구동축 후방 하단 일측에 형성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메인 구동부의 후방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며 마찰 구동력을 형성한다.
넷째, 상기 좌측 제1 균형추 시브부(214)는 좌측 디플렉터 시브부의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디플렉터 시브부에서 수직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여 후면 상단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215)는 좌측 제 균형추 시브부의 수직 상단 좌·우 양측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며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15a)와, 우측 도르래 진행방향에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15b) 형상으로, 좌측 제1 균형추 시브부에서 수직 상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여 좌·우측으로 방향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215)의 도르래(215a), 도르래(215b)는 좌측 제1 균형추 시브부(214)에 수직 상단방향으로 와인딩된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하고, 좌·우측으로 이격된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에 수직 하단방향으로 와인딩되도록 와인딩되는 방향을 전환하며 고하중용 무게추의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측 와이어 로프(2a)가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되고, 수직방향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와이어 로프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림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여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에 와인딩되도록 한다.
이때, 고하중용 무게추의 승·하강에 따라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좌측 와이어 로프가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에 비틀림 형태로 방향전환하여 와인딩되며 승·하강시,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하여 와인딩됨으로써,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하는 좌측 와이어 로프 가닥에 발생하는 마찰력 및 승하강에 따른 로프가닥의 와인딩 위치별 인장력의 차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좌측 와이어 로프의 마모 및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방향전환으로 인해 고하중의 무게추의 무게를 분산시켜주어 고하중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215)에 와인딩된 좌측 와이어 로프(2a) 후방은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 좌·우 양측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하단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어 위치한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에 좌측 와이어 로프(2a)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무게추(400)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좌측 와이어 로프(2a)가 고하중용 무게추(400)의 좌·우측 균형을 유지하며 지지하고,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손상 또는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고하중용 무게추가 균형을 잃고 일측으로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우측 시브부(220)는 승강기 기계실, 고하중용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도르래 형상으로, 메인 구동부의 우측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지지하며 하중을 분산시켜주고, 메인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우측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우측 제1 카 시브부(221), 우측 제2 카 시브부(222), 우측 디플렉터 시브부(223),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224),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225)로 구성된다.
첫째, 상기 우측 제1 카 시브부(221)는 메인 구동부의 우측 메인 구동축 전방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221a)와, 수평방향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21b) 형상으로, 우측 메인 구동부의 전방 수직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여 정면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르래(221a)는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메인 구동부(130)의 우측 메인 구동축 전방 수직 하단에 위치하여, 우측 메인 구동축에서 수직 하단방향으로 향하는 우측 와이어 로프를 수직 정면 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르래(221b)는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도르래(221a)의 수평방향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하여, 수평방향 전방으로 향하는 우측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수직 상단방향에 위치한 우측 제2 카 시브부에 와인딩되도록 방향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제1 카 시브부(221)의 도르래(221a), 도르래(221b)는 메인 구동부(130)의 전방 수직 하단방향으로 와인딩된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정면 수평방향으로 이격하여 우측 제2 카시브부에 수직 상단방향으로 와인딩되도록 와인딩되는 방향을 전환하며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둘째, 우측 제2 카 시브부(222)는 우측 제1 카 시브부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상단 좌·우 양측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며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22a)와, 좌·우 양측 도르래 진행방향에 각각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22b) 형상으로, 우측 제1 카 시브부에서 수직 상단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여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르래(222a)는 승강기 기계실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우측 제1 카 시브부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상단 좌·우측에 직각을 이루며 좌·우측으로 방향전환되어 위치하여, 우측 제1 카 시브부에 와인딩된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와이어 로프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림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어 와인딩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르래(222b)는 승강기 기계실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도르래(222a)의 좌·우 양측 진행방향에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우측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수직 하단방향에 위치한 리프트 카 병합부에 와인딩되도록 방향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제2 카 시브부(222)의 도르래(222a), 도르래(222b)는 우측 제1 카 시브부(221)에 수직 상단방향으로 와인딩된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하고, 좌·우측으로 이격된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에 수직 하단방향으로 와인딩되도록 와인딩되는 방향을 전환하며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우측 와이어 로프(2b)가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되고, 수직방향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와이어 로프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림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여 고하중용 리프트의 상단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에 와인딩되도록 한다.
이때, 리프트 카의 승·하강에 따라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우측 와이어 로프가 우측 제2 카 시브부에 비틀림 형태로 방향전환하여 와인딩되며 승·하강시,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하여 와인딩됨으로써, 우측 제2 카 시브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하는 우측 와이어 로프 가닥에 발생하는 마찰력 및 승하강에 따른 로프가닥의 와인딩 위치별 인장력의 차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측 와이어 로프의 마모 및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방향전환으로 인해 고하중의 리프트 카 무게를 분산시켜주어 고하중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제2 카 시브부(222)에 와인딩된 우측 와이어 로프(2b) 전방은 우측 제2 카 시브부 좌·우 양측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하단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어 위치한 도르래(310a)와, 좌·우측에 각각 전·후 수평방향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310b) 형상의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에 우측 와이어 로프(2b)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우측 와이어 로프(2b)가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의 좌·우측 균형을 유지하며 지지하고,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좌측 와이어 로프(2a)의 손상 또는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고하중용 리프트 카가 균형을 잃고 일측으로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우측 디플렉터 시브부(223)는 메인 구동부의 우측 메인 구동축 후방 하단 일측에 형성된 도르래 형상으로, 우측 메인 구동축의 후방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며 마찰 구동력을 형성한다.
넷째,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224)는 우측 디플렉터 시브부의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우측 디플렉터 시브부에서 수직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여 후면 상단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225)는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의 수직 상단 좌·우 양측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며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25a)와, 우측 도르래 진행방향에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225b) 형상으로,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에서 수직 상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여 좌·우측으로 방향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225)의 도르래(225a), 도르래(225b)는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224)에 수직 상단방향으로 와인딩된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하고, 좌·우측으로 이격된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에 수직 하단방향으로 와인딩되도록 와인딩되는 방향을 전환하며 고하중용 무게추의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우측 와이어 로프(2b)가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되고, 수직방향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와이어 로프가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림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여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에 와인딩되도록 한다.
이때, 고하중용 무게추의 승·하강에 따라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우측 와이어 로프가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에 비틀림 형태로 방향전환하여 와인딩되며 승·하강시,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하여 와인딩됨으로써,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하는 우측 와이어 로프 가닥에 발생하는 마찰력 및 승하강에 따른 로프가닥의 와인딩 위치별 인장력의 차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측 와이어 로프의 마모 및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방향전환으로 인해 고하중의 무게추의 무게를 분산시켜주어 고하중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225)에 와인딩된 우측 와이어 로프(2b) 후방은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 좌·우 양측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하단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어 위치한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에 우측 와이어 로프(2b)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무게추(400)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우측 와이어 로프(2b)가 고하중용 무게추(400)의 좌·우측 균형을 유지하며 지지하고,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좌측 와이어 로프(2a)의 손상 또는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고하중용 무게추가 균형을 잃고 일측으로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용 시브부(200)의 좌측 시브부(210)는 좌·우 균형을 이루며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 고하중용 무게추(400)를 지지하는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방향전환시키며 지지하고, 우측 시브부(220)는 좌·우 균형을 이루며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 고하중용 무게추(400)를 지지하는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방향전환시키며 지지하여 와이어 로프에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고하중용 리프트 카 및 고하중용 무게추를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고, 와이어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좌측 와이어 로프(2a) 및 우측 와이어 로프(2b) 중 일부분이 손상되더라도 균형을 이루며 지지할 수 있어 고하중 리프트 카의 기울어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산업재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는 승강로 내부에 설치된 리프트 카 형상으로 상단 일측에 고하중용 권상기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고, 내부에 고하중 물체를 적재하여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는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상단면 좌측과 우측 전·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전·후방 도르래에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분할된 좌측을 병합하여 수용하며 지지하고, 우측 전·후방 도르래에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분할된 우측을 병합하여 수용하며 지지하는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는 좌측 제2 카 시브부의 도르래(212b)와, 우측 제2 카 시브부의 도르래(222b)의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310a)와, 수평방향 후방에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310b) 형상으로, 좌측 시브부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좌측 와이어 로프(2a)와, 우측 시브부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병합하여 와인딩하여 후면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며 고하중용 리프트 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병합하여 지지하여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상단면에 지지되는 시브의 설치 갯수를 최소화하여,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최초 시브부 설치시 설치공간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고,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시브 및 와이어 로프의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용 무게추(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고하중용 무게추(400)는 승강로 내부에 설치된 무게추 형상으로 상단 일측에 고하중용 권상기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고, 고하중용 리프트 카와 승·하강에 따라 역방향으로 승·하강되며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용 무게추(400)는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면 좌측과 우측에 결합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도르래에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분할된 좌측을 병합하여 수용하며 지지하고, 우측 도르래에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분할된 우측을 병합하여 수용하며 지지하는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는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215)와,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225)의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시브부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좌측 와이어 로프(2a)와, 우측 시브부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병합하여 와인딩하여 고하중용 무게추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병합하여 지지하여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면에 지지되는 시브의 설치 갯수를 최소화하여, 고하중용 무게추의 최초 시브부 설치시 설치공간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고,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시브 및 와이어 로프의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메인 구동부의 좌측에 좌측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고, 와인딩된 좌측 와이어 로프의 전방 부분에 좌측 제1 카 시브부, 좌측 제2 카 시브부,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를 순차적으로 와인딩시켜 고하중용 리프트 카를 지지하고, 좌측 와이어 로프의 후방 부분에 좌측 디플렉터 시브부, 좌측 제1 균형추 시브부,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를 순차적으로 와인딩시켜 고하중용 무게추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메인 구동부의 우측에 우측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고, 와인딩된 우측 와이어 로프의 전방 부분에 우측 제1 카 시브부, 우측 제2 카 시브부,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를 순차적으로 와인딩시켜 고하중용 리프트 카를 지지하고, 우측 와이어 로프의 후방 부분에 우측 디플렉터 시브부,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를 순차적으로 와인딩시켜 고하중용 무게추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승·강에 따라 고하중용 권상기의 고하중용 모터부를 작동시켜 고하중용 감속기, 메인 구동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킨다.
여기서, 메인 구동부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고하중용 리프트 카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고하중용 무게추가 교차되며 상승한다.
여기서, 메인 구동부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고하중용 리프트 카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고하중용 무게추가 교차되며 하강한다.
이때, 좌·우측으로 분할되고, 방향전환된 좌측 와이어 로프, 우측 와이어 로프를 통해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고, 고하중 리프트 카의 승·하강시 다수개의 와이어 로프 중 일측의 와이어 로프에 마찰 및 인장력이 반복적으로 편중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로프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한다.
100 : 고하중용 권상기 110 : 고하중용 모터부
120 : 고하중용 감속기 130 : 메인 구동부
200 : 고하중용 시브부 210 : 좌측 시브부
211 : 좌측 제1 카 시브부 212 : 좌측 제2 카 시브부
213 : 좌측 디플렉터 시브부 214 : 좌측 제1 균형추 시브부
215 :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 220 : 우측 시브부
221 : 우측 제1 카 시브부 222 : 우측 제2 카 시브부
223 : 우측 디플렉터 시브부 224 :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
225 :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 300 : 고하중용 리프트 카
310 :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 400 : 고하중용 무게추
410 : 무게추 병합 시브부

Claims (8)

  1. 승강기 기계실의 상단 일측에 위치하여 둘레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승강기 기계실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인 구동부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력을 형성하여 정·역방향 회전되며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며 고하중 리프트 카 및 고하중용 무게추를 서로 교차시키며 승하강시키는 고하중용 권상기(100)와,
    승강기 기계실, 고하중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도르래 형상으로, 고하중용 권상기에 와인딩된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며, 고하중용 권상기의 구동에 따라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며 지지하는 고하중용 시브부(200)와,
    승강로 내부에 설치된 리프트 카 형상으로 상단 일측에 고하중용 권상기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고, 내부에 고하중 물체를 적재하여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와,
    승강로 내부에 설치된 무게추 형상으로 상단 일측에 고하중용 권상기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고, 고하중용 리프트 카와 승·하강에 따라 역방향으로 승·하강되며 균형을 유지하는 고하중용 무게추(400)를 포함하고,
    상기 고하중용 시브부(200)는
    승강기 기계실, 고하중용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도르래 형상으로, 메인 구동부의 좌측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좌측 와이어 로프(2a)를 지지하며 하중을 분산시켜주고, 메인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좌측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는 좌측 시브부(210)와,
    승강기 기계실, 고하중용 리프트 카,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도르래 형상으로, 메인 구동부의 우측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우측 와이어 로프(2b)를 지지하며 하중을 분산시켜주고, 메인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우측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주는 우측 시브부(220)로 구성되는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좌측 시브부(210)는
    메인 구동부의 좌측 메인 구동축 전방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와, 수평방향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메인 구동부의 전방 수직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좌측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여 정면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좌측 제1 카 시브부(211)와,
    좌측 제1 카 시브부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상단 좌·우 양측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며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와, 좌·우 양측 도르래 진행방향에 각각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제1 카 시브부에서 수직 상단방향으로 형성된 좌측 와이어 로프를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여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좌측 제2 카 시브부(212)가 형성되고,
    좌측 제2 카 시브부 좌·우 양측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하단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어 위치한 도르래와, 좌·우측에 각각 전·후 수평방향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 형상의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에 좌측 와이어 로프(2a)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를 지지하고,
    메인 구동부의 좌측 메인 구동축 후방 하단 일측에 형성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메인 구동부의 후방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며 마찰 구동력을 형성하는 좌측 디플렉터 시브부(213)와,
    좌측 디플렉터 시브부의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디플렉터 시브부에서 수직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여 후면 상단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좌측 제1 균형추 시브부(214)와,
    좌측 제 균형추 시브부의 수직 상단 좌·우 양측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며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와, 우측 도르래 진행방향에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제1 균형추 시브부에서 수직 상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여 좌·우측으로 방향전환하는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215)가 형성되고,
    좌측 제2 균형추 시브부 좌·우 양측에 진행방향 끝단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 형상의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에 좌측 와이어 로프(2a)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무게추(4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좌측 제2 카 시브부(212)는
    좌측 제1 카 시브부의 수직 상단 좌·우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제1 카 시브부에 와인딩된 좌측 와이어 로프(2a)가 좌·우 양갈래 대칭으로 분할되고, 수직방향에서 좌·우측으로 분할된 와이어 로프를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비틀림 형태로 방향을 전환하여 와인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6. 제1항에 있어서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는
    고하중용 리프트 카의 상단면 좌측과 우측 전·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전·후방 도르래에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분할된 좌측을 병합하여 수용하며 지지하고, 우측 전·후방 도르래에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분할된 우측을 병합하여 수용하며 지지하는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7. 제1항에 있어서 고하중용 무게추(400)는
    고하중용 무게추의 상단면 좌측과 우측에 결합된 도르래 형상으로, 좌측 도르래에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분할된 좌측을 병합하여 수용하며 지지하고, 우측 도르래에 좌측 와이어 로프(2a), 우측 와이어 로프(2b)의 분할된 우측을 병합하여 수용하며 지지하는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우측 시브부(220)는
    메인 구동부의 우측 메인 구동축 전방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와, 수평방향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우측 메인 구동부의 전방 수직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여 정면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우측 제1 카 시브부(221)와,
    우측 제1 카 시브부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상단 좌·우 양측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며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와, 좌·우 양측 도르래 진행방향에 각각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우측 제1 카 시브부에서 수직 상단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와이어 로프를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여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우측 제2 카 시브부(222)가 형성되고,
    우측 제2 카 시브부 좌·우 양측의 진행방향 끝단 수직 하단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어 위치한 도르래와, 좌·우측에 각각 전·후 수평방향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 형상의 리프트 카 병합 시브부(310)에 우측 와이어 로프(2b)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리프트 카(300)를 지지하고,
    메인 구동부의 우측 메인 구동축 후방 하단 일측에 형성된 도르래 형상으로, 우측 메인 구동축의 후방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며 마찰 구동력을 형성하는 우측 디플렉터 시브부(223)와,
    우측 디플렉터 시브부의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우측 디플렉터 시브부에서 수직 하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와인딩하여 후면 상단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224)와,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의 수직 상단 좌·우 양측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며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와, 우측 도르래 진행방향에 수평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도르래 형상으로, 우측 제1 균형추 시브부에서 수직 상단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로프를 좌·우 양측으로 분할하여 좌·우측으로 방향전환하는 우측 제2 균형추 시브부(225)가 형성되고,
    우측 제2 균형추 좌·우 양측에 시브부 진행방향 끝단 수직 하단에 위치한 도르래 형상의 무게추 병합 시브부(410)에 우측 와이어 로프(2b)가 와인딩되어 고하중용 무게추(4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KR1020210008642A 2021-01-21 2021-01-21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KR10229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42A KR102297421B1 (ko) 2021-01-21 2021-01-21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42A KR102297421B1 (ko) 2021-01-21 2021-01-21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421B1 true KR102297421B1 (ko) 2021-09-01

Family

ID=7777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642A KR102297421B1 (ko) 2021-01-21 2021-01-21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46903A (zh) * 2023-09-15 2023-10-27 中国煤炭地质总局勘查研究总院 一种用于长期监测地质封存观测井内水体的监测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350A (ja) * 1996-05-06 1998-02-17 Masami Sakit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1887613B1 (ko) 2017-10-10 2018-08-1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CN109665426A (zh) * 2017-10-17 2019-04-23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电梯配重对置曳引机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350A (ja) * 1996-05-06 1998-02-17 Masami Sakit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1887613B1 (ko) 2017-10-10 2018-08-1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CN109665426A (zh) * 2017-10-17 2019-04-23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电梯配重对置曳引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46903A (zh) * 2023-09-15 2023-10-27 中国煤炭地质总局勘查研究总院 一种用于长期监测地质封存观测井内水体的监测设备
CN116946903B (zh) * 2023-09-15 2023-11-24 中国煤炭地质总局勘查研究总院 一种用于长期监测地质封存观测井内水体的监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8823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製造
NO336874B1 (no) Heis med kompakt drivverk
US9994424B2 (en) Elevator system
CN1324322A (zh) 牵引绳轮电梯
NO329964B1 (no) Heis med drivende remskive, uten motvekt
US6860367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low the elevator car
KR20030012146A (ko)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JPH0616369A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エレベータ
KR102297421B1 (ko)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KR1003302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713494B2 (ja) エレベータと装置
KR1004157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30160B1 (ko) 축소된 승강로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
JP672704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ケージ姿勢制御方法
US10961085B2 (en)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KR20040007690A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기구 및 승강방법
EP1595840A1 (en) Elevator
WO2005080250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WO2013076790A1 (ja) エレベータ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かご及び釣り合いおもりの昇降方法
JPWO2004022471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81982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249160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ブレーキユニット
KR20080055705A (ko) 승강기 설비
JP47501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382098A (zh) 电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