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13B1 -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13B1
KR101887613B1 KR1020170129150A KR20170129150A KR101887613B1 KR 101887613 B1 KR101887613 B1 KR 101887613B1 KR 1020170129150 A KR1020170129150 A KR 1020170129150A KR 20170129150 A KR20170129150 A KR 20170129150A KR 101887613 B1 KR101887613 B1 KR 101887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car
wound
machine room
sh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70129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에터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를 두 대 이상 복수개 설치하고, 이를 동기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필요한 만큼 용량을 증대시켜 대형 화물을 분해 및 재조립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70)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7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권상기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탑승카(10)를 승강시키는 트랙션 시브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감기도록 탑승카(10) 및 카운터웨이트(70)에 구비되는 복수의 시브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탑승카 로프 고정부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 로프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 시브는 두 개 이상 설치되어 복수의 권상기에 의해 동기 작동되고, 각 트랙션 시브에는 별도의 와이어로프가 감겨져 탑승카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Super Size Rope Type Elevator for Extremely Heavy Load Drived by Plural Traction Machine}
본 발명은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권상기로 탑승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적재용량을 증대시켜 대형 화물을 분해 및 재조립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70)와, 상기 탑승 카(10)와 카운터웨이트(7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탑승카(10)를 승강시키기 위한 트랙션 시브(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트랙션 시브(20)는, 통상 건물 상부의 기계실에 구비된 권상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어 탑승카(10)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탑승카(10)의 상부에는, 4:1 로핑의 경우, 2개의 탑승카 시브(Sa, Sd)가 구비되어 있고, 건물 상부의 기계실에는 2개의 탑승카측 기계실 시브(Sb, Sc)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70)의 상부에는 2개의 카운터웨이트 시브(Se, Sg)가 구비되어 있고, 기계실에는 1개의 카운터웨이트측 기계실 시브(Sf)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 트랙션 시브(20)를 중심으로 탑승카(10)측의 와이어로프(R1)는, Sa → Sb → Sc →Sd 시브에 차례로 감겨진 후, 기계실에 구비된 탑승카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된다. 또한 트랙션 시브(20)를 중심으로 카운터웨이트(70)측 와이어로프(R2)는, Se→ Sf→ Sg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기계실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로프 고정부(9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랙션 시브(20)가 탑승카측 와이어로프(R1)를 끌어올릴 경우, 카운터웨이트(70)는 탑승카(10)가 상승한 높이만큼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로핑방식은 가장 일반적인 로핑방식으로서, 중/대형의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각 시브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는 여러 가닥이 사용되며, 와이어로프의 가닥수는 엘리베이터의 적재 하중에 따라 가감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통상적인 엘리베이터에서는, 탑승카(10)의 한쪽(출입구측에서 왼쪽)을 먼저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즉, 트랙션 시브(20)를 중심으로 탑승카측 와이어로프(R1)가 "Sa" 시브측을 먼저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되므로, 탑승카(10)에 편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소형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적재하중이 수십톤에 달하는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탑승카 시브(Sa,Sd)와 탑승카측 기계실 시브(Sb, Sc)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로핑된 구조이므로, 탑승카의 폭이 길어질 경우 평형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고하중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적용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중,대형 엘리베이터에서는 도 2 및 3과 같은 로핑방식을 적용하기도 한다(카운터웨이트 측의 로핑방식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이하 탑승카 측의 로핑 구조만 설명하기로 한다).
중,대형 엘리베이터의 로핑구조는, 탑승카(10)의 상부에 설치된 4개의 탑승카 시브(Sh, Si, Sl, Sm)와, 건물 상부의 기계실에 설치된 2개의 탑승카측 기계실 시브(Sj, Sk)를 포함하고 있으며, 탑승카(10)의 상부에 설치된 4개의 탑승카 시브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탑승카(10)측의 와이어로프(R1)가, Sh → Si → Sj →Sk → Sl →Sm 시브에 차례로 감긴 후, 기계실에 구비된 탑승카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중,대형 엘리베이터는, 탑승카(10) 한쪽에서 한 쌍의 시브(Sh, Si)를 먼저 감는 구조이므로, 편하중의 발생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지만, 트랙션 시브(20)와 탑승카 로프 고정부(80)가 탑승카(10)의 일측에 배치된 구조이므로, 도 1에 도시된 소형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로핑방식도, "Sh" 시브 및 "Si" 시브가 위치한 쪽(도 2에서 왼쪽)을 먼저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되므로, 탑승카(10)에 편하중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중,대형 엘리베이터에서는, 탑승카(10) 상부에 구비된 탑승카 시브(Si, Sl)와 기계실에 구비된 탑승카측 기계실 시브(Sj, Sk)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고, 90도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가, 탑승카(10)에 구비된 탑승카 시브(Si, Sl)와 기계실에 구비된 탑승카측 기계실 시브(Sj, Sk) 사이를 통과하면서 90도 방향으로 비틀어지게 된다.
즉 와이어로프가 90도 방향으로 심하게 비틀어지면서 권상되므로, 로프의 비틀림 및 꺾임에 의해 로프의 수명이 단축되고, 진동 및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가 90도 방향으로 비틀어질 때, 여러가닥의 로프 중 바깥쪽 로프는 인장하중을 받아 중앙부분의 로프보다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의 전체적인 텐션이 불균일하게 되고, 이완으로 인한 로프의 이탈로 인해 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와이어로프의 텐션이 불균일하게 되면 이를 조정해야 하는데, 이에 따라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와이어로프의 가닥수가 증가할수록 심해지게 되며, 특히 많은 가닥을 사용하는 고하중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해진다.
한편, 도 3은 다른 로핑방식이 적용된 중,소형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탑승카(10)의 하부에 2개의 탑승카 시브(Sn, So)를 배치하고, 와이어로프의 일단부를 탑승카 로프 고정부(80)에 고정시킨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중,소형 엘리베이터의 로핑방식은 로핑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으나, 2개의 탑승카 시브(Sn, So)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편하중이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초대형 엘리베이터에는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로핑방식은, 일반적인 승객용 및 화물용 엘리베이터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 적재하중이 수십톤에 달하는 초대형 엘리베이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1대의 권상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획일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운반물의 크기와 적재하중이 급격히 커지고 아주 많은 탑승인원이 요구되는 대형 플랜트나 건설현장 및 대형 교통시설 등, 초대형 고하중용 엘리베이터가 필요한 사용처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인 권상기를 필요 용량에 맞게 초대형으로 제작하고 설치하기가 어려워,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제작 및 설치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탑승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를 두 대 이상 복수개 설치하고, 이를 동기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필요한 만큼 용량을 증대시켜 대형 화물을 분해 및 재조립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대형 고하중용 엘리베이터의 운행시 탑승카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로프의 비틀림 또는 꺾임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를 매달고 견인하는 하중 지지점이 안정적으로 넓게 분포되도록 하여, 평형성과 견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권상기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탑승카를 승강시키는 트랙션 시브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감기도록 탑승카 및 카운터웨이트에 구비되는 복수의 시브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탑승카 로프 고정부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 로프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 시브는 두 개 이상 설치되어 복수의 권상기에 의해 동기 작동되고, 각 트랙션 시브에는 별도의 와이어로프가 감겨져 탑승카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의 상면 또는 하면에 복수의 탑승카 시브가 구비되고, 건물 상부 기계실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계실 시브는, 상기 탑승카 시브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져 배치되며,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는, 제1 트랙션 시브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고,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는, 제2 트랙션 시브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며, 제1 트랙션 시브에 감긴 탑승카측 와이어로프 및 제2 트랙션 시브에 감긴 탑승카측 와이어 로프 각각은, 먼저 탑승카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된 한 쌍의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복수의 기계실 시브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된 한 쌍의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상기 제1 트랙션 시브 및 제2 트랙션 시브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 및 제2 로프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의 상면에, 제1 트랙션 시브의 제1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제1 탑승카 시브와, 제2 트랙션 시브의 제2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제2 탑승카 시브가 각각 구비되고, 건물 상부 기계실에, 상기 제1 탑승카 시브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와, 상기 제2 탑승카 시브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기계실 시브가 각각 구비되며, 제1 트랙션 시브에 감긴 제1 와이어로프는, 먼저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1 트랙션 시브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고, 제2 트랙션 시브에 감긴 제2 와이어로프는, 먼저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2 기계실 시브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2 트랙션 시브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탑승카 시브와 제2 탑승카 시브는, 한 쌍씩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탑승카 시브는 탑승카의 상면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탑승카 시브는 상기 제1 탑승카 시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계실에 배치되는 제2 기계실 시브는, 와이어로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제1 기계실 시브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탑승카 시브와 제2 탑승카 시브는, 탑승카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탑승카 시브는 탑승카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탑승카 시브는 탑승카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의 상면에, 제1 트랙션 시브의 제1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6개의 제1 탑승카 시브와, 제2 트랙션 시브의 제2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6개의 제2 탑승카 시브가 각각 구비되고, 건물 상부 기계실에, 상기 6개의 제1 탑승카 시브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4개의 제1 기계실 시브 및 상기 6개의 제2 탑승카 시브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4개의 제2 기계실 시브가 각각 구비되며, 제1 트랙션 시브에 감긴 탑승카측 제1 와이어로프는, 먼저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탑승카 시브에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1 트랙션 시브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고, 제2 트랙션 시브에 감긴 탑승카측 제2 와이어로프는, 먼저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2기계실 시브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탑승카 시브에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2 기계실 시브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2 트랙션 시브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기가 크고 무거운 화물이나 다수의 인원을 수송하기 위하여 초대형으로 제작한 탑승카에, 두 대 이상의 트랙션 시브 및 권상기를 설치하고 동기 제어하므로,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초대형 고하중용 엘리베이터를 구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상기의 용량 제약으로 인해 초대형 고하중용 엘리베이터가 꼭 필요한 장소에서도 용량을 낮추어 설치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상기의 용량 부족으로 인해 화물을 분해하여 나누어 운반하고 재조립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대형 고하중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고장, 축이나 연결장치, 모터 등에 이상이 생겼을 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이 복수의 권상기로 분산됨에 따라, 한 대의 권상기에 이상 요소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권상기의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탑승카의 추락, 과속, 이상 동작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트랙션 시브 및 제2 트랙션 시브와 탑승카 로프 고정부를 서로 이격시켜 넓은 범위에 배치함으로써, 탑승카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카의 어느 한쪽이 먼저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평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가 편하중이나 비틀림 하중을 받는 경우에도 평형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탑승카가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시 시브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와이어로프의 비틀림이나 꺾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로프의 손상을 방지하여 로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의 비틀림 및 꺾임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정숙한 운행에 의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를 매달고 로프를 견인하는 하중지지점이 안정적으로 넓게 분포되므로, 평형성과 견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와이어로프에 균일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로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로프 교체비용 및 텐션 조정에 따르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소형 엘리베이터의 로핑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중대형 엘리베이터의 로핑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대형 엘리베이터에서 탑승카 상부의 시브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소형 엘리베이터의 로핑구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로핑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탑승카 상부의 시브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서 탑승카 상부의 시브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로핑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서 탑승카 상부의 시브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70)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7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권상기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탑승카(10)를 승강시키는 트랙션 시브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감기도록 탑승카(10) 및 카운터웨이트(70)에 구비되는 복수의 시브와, 탑승카 시브에 감겨진 와이어로프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탑승카 로프 고정부(80)와, 카운터웨이트 시브에 감겨진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 로프 고정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트랙션 시브는 두개 이상이 설치되어, 복수의 권상기에 의해 동기 작동되고, 각 트랙션 시브는 별도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탑승카를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승카(1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복수의 탑승카 시브가 구비되고, 기계실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계실 시브는 상기 탑승카 시브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져 배치되며, 상기 탑승카 로프 고정부(80)는,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탑승카(10)에 두 대 이상의 권상기가 설치되어 동기 제어되므로,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초대형 고하중용 엘리베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권상기의 용량 제약으로 인해, 초대형 고하중용 엘리베이터가 꼭 필요한 장소에서도 용량을 낮추어 설치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권상기의 용량 부족으로 인해 화물을 분해하여 나누어 운반하고 재조립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권상기(20a) 및 제1 트랙션 시브(20), 제2 권상기(20'a) 및 제2 트랙션 시브(20')를 구비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제1 권상기(20a)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로프는 흰색으로 표시하고, 제2 권상기(20'a)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로프는 사선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실제로는 여러 가닥인 와이어로프를 단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와이어로프가 겹쳐져 도면이 불명확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탑승카, 카운터웨이트 및 시브의 위치를 약간 조절하여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도면에 표시된 각 시브의 배치 위치는 실제와 약간 다를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1 트랙션 시브(20)를 중심으로, 탑승카측에 감기는 와이어로프는 "R1"으로, 카운터웨이트측에 감기는 와이어로프는 "R2"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제2 트랙션 시브(20')를 중심으로, 탑승카측에 감기는 와이어로프는 "R3"로, 카운터웨이트측에 감기는 와이어로프는 "R4"라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R1" 와이어로프와 "R2" 와이어로프는, 별개의 로프가 아니라 하나의 제1로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제1로프에서, "R1"의 단부는 탑승카측 제1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되고, "R3"의 단부는 카운터웨이트측 제1 로프 고정부(90)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R3" 와이어로프와 "R4" 와이어로프도 하나의 제2로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제2로프에서, "R3"의 단부는 탑승카측 제2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되고, "R4"의 단부는 카운터웨이트측 제2 로프 고정부(9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탑승카(10)의 상면에, 제1 트랙션 시브(20)의 제1 와이어로프(R1)가 감기는 4개의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와, 제2 트랙션 시브(20')의 제2 와이어로프(R3)가 감기는 4개의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가 각각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랙션 시브(20)와 연결되는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는 탑승카 상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 트랙션 시브(20)와 연결되는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는 상기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의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2 기계실 시브(32')(33')는, 제1 기계실 시브(32)(33)에 감긴 로프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기계실 시브(32)(33)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건물 상부의 기계실에는, 상기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32)(33) 및 상기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기계실 시브(32')(33')가 각각 구비된다.
즉 탑승카(10)의 상면에는 총 8개의 시브(30)(31)(34)(35)(30')(31')(34')(35')가 구비되고, 기계실에는 총 4개의 시브((32)(33)(32')(33')가 구비된다.
이 경우, 제1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제1 와이어로프(R1)는, 먼저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30)(31)에 연이어 감긴 다음, 건물 상부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기계실 시브(32)(33)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서브(34)(35)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1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된다.
즉 제1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제1 와이어로프(R1)는, 30 → 31 → 32 → 33 → 34 → 35 서브의 순서대로 감긴 후,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카운터웨이트측 제1 와이어로프(R2)는, 카운터웨이트 시브(36)와 카운터웨이트측 기계실 시브(37)를 거친 후, 다시 카운터웨이브 시브(38)에 감긴 후 기계실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로프 고정부(9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카운터웨이트측 제1 와이어로프(R2)는, 36 → 37 → 38 시브의 순서로 감긴후 카운터웨이트 제1 로프 고정부(90)에 고정된다.
또한 제2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제2 와이어로프(R3)는,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탑승카 시브(30')(31')에 연이어 감긴 다음, 건물 상부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2 기계실 시브(32')(33')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34')(35')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2 트랙션 시브(201)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된다.
즉 제2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제2 와이어로프(R3)는, 30' → 31' → 32' → 33' → 34' → 35' 시브의 순서대로 감긴 후,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트랙션 시브(201)에 감긴 카운터웨이트측 제2 와이어로프(R4)는 카운터웨이트 시브(36')와 카운터웨이트측 기계실 시브(37')를 거친 후, 다시 카운터웨이브 시브(38')에 감긴 후 기계실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로프 고정부(9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카운터웨이트측 제2 와이어로프(R4)는, 36' → 37' → 38' 시브의 순서대로 감긴후 카운터웨이트 제2 로프 고정부(9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트랙션 시브(20)와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80)에 감긴 제1 와이어로프(R1) 및 제2 트랙션 시브(20')와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80')에 감긴 제2 와이어로프가, 탑승카(10) 양쪽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승강시, 탑승카(10)에 편하중 및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탑승카 시브(31)(34)와 제1 기계실 시브(32)(33)가 서로 직교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각도로만 비틀어져 있으므로, "31" 시브에 감겨진 다수의 와이어로프가 큰 무리 없이 "32"시브에 감기도록 할 수 있고, "33" 시브에 감겨진 다수의 와이어로프가 큰 무리 없이 "34"시브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1'" 시브에 감겨진 다수의 와이어로프가 큰 무리 없이 ""32'"시스에 감기도록 할 수 있고, "33'" 시브에 감겨진 다수의 와이어로프가 큰 무리 없이 "34'"시브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와이어로프의 비틀림 및 꺾임 현상을 최소화하여, 로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가 있고,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탑승카 시브의 배치를 달리 구성한 것이다.
즉 탑승카의 상면에, 제1 트랙션 시브(20)와 연결되는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와, 제2 트랙션 시브(20)와 연결되는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를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기계실 시브(32)(33) 및 제2 기계실 시브(32')(33')는, 상기 제1 탑승카 시브 및 제2 탑승카 시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와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를 탑승카(10)의 하부에 배치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는 탑승카(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는 탑승카(10)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탑승카의 상면에 제1 탑승카 시브 및 제2 탑승카 시브를 각각 6개, 총 12개를 배치하고, 건물 상부 기계실에는 제1 기계실 시브 및 제2 기계실 시브를 각각 2개, 총 4개를 배치한다.
또한 카운터웨이트에는 각각 3개씩 총 6개의 시브를 배치하고, 기계실에는 각각 2개씩 총 4개의 시브를 배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도면이 너무 복잡하므로 이에 대한 사시도는 생략하기로 하고, 탑승카 측의 평면도만 도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 9의 탑승카측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10)의 상부에 제1 트랙션 시브(20)의 제1 와이어로프(R1)가 감기는 6개의 제1 탑승카 시브(40)(41)(44)(45)(48)(49)와, 제2 트랙션 시브(20')의 제2 와이어로프(R3)가 감기는 6개의 제2 탑승카 시브(40')(41')(45')(45')(48')(49')가 각각 번갈아가면서 구비된다.
또한 기계실에는, 상기 6개의 제1 탑승카 시브(40)(41)(44)(45)(48)(49)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4개의 제1 기계실 시브(42)(43)(46)(47)와, 상기 6개의 제2 탑승카 시브(40')(41')(44')(45')(48')(49')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4개의 제2 기계실 시브(42')(43')(46')(47')가 각각 구비된다.
이 경우 제1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제1 와이어로프(R1)는, 먼저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40)(41)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42)(43)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탑승카 시브(44)(45)에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46)(47)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48)(49)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1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카운터웨이트측 제1 와이어로프(R2)는, 3개의 카운터웨이트 시브와 2개의 카운터웨이트측 기계실 시브(도시 생략)를 거쳐, 기계실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제1 로프 고정부(90)에 고정된다.
또한 제2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제2 와이어로프(R3)는, 먼저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40')(41')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2기계실 시브(42')(43')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탑승카 시브(44')(45')에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2 기계실 시브(46')(47')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48')(49')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2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카운터웨이트측 제2 와이어로프(R4)는, 3개의 카운터웨이트 시브와 2개의 카운터웨이트측 기계실 시브(도시 생략)를 거쳐, 기계실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제2 로프 고정부(90')에 고정된다.
상기한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시브의 개수가 증가되어 초대형 엘리베이터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5 실시예>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기한 제4 실시예에서, 제1 탑승카 시브(40)(41)(44)(45)(48)(49)와 상기 제2 탑승카 시브(40')(41')(44')(45')(48')(49')를 탑승카(10)의 하면에 배치한 것이다(도면이 복잡하므로 이에 대한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5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제1 탑승카 시브(40)(41)(44)(45)(48)(49)는 탑승카(10)의 상면에 배치하고, 제2 탑승카 시브(40')(41')(44')(45')(48')(49')는 탑승카(10)의 하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탑승카(10)에 두 대의 권상기(제1 권상기 및 제2 권상기)가 설치된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권상기를 3개 이상 설치하고 이들이 동기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아니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탑승카
20: 제1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20': 제2 트랙션 시브
20a: 제1 권상기
20'a: 제2 권상기
30, 31, 34, 35: 제1 탑승카 시브
30', 31', 34', 35': 제2 탑승카 시브
32, 33: 제1 기계실 시브
32',33': 제2 기계실 시브
36, 38: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Counterweight Sheave)
36', 38':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
37 : 카운터웨이트측 제1 기계실 시브
37': 카운터웨이트측 제2 기계실 시브
40, 41, 44, 45, 48, 49: 제1 탑승카 시브
40', 41', 44', 45', 48', 49': 제2 탑승카 시브
7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80: 탑승카측 제1 로프 고정부
80': 탑승카측 제2 로프 고정부
90: 카운터웨이트측 제1 로프 고정부
90': 카운터웨이트측 제2 로프 고정부
R1: 탑승카측 제1 와이어 로프(Wire Rope)
R2: 카운터웨이트측 제1 와이어 로프
R3: 탑승카측 제2 와이어 로프(Wire Rope)
R4: 카운터웨이트측 제2 와이어 로프

Claims (11)

  1. 삭제
  2.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카(10)와, 상기 탑승카(1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70)와, 상기 탑승카(10)와 카운터웨이트(7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권상기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탑승카(10)를 승강시키는 트랙션 시브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감기도록 탑승카(10) 및 카운터웨이트(70)에 구비되는 복수의 시브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탑승카 로프 고정부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 로프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 시브는 두 개 이상 설치되어 복수의 권상기에 의해 동기 작동되고,
    각 트랙션 시브에는 별도의 와이어로프가 감겨져 탑승카를 승강시키며,
    상기 탑승카(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복수의 탑승카 시브가 구비되고,
    건물 상부 기계실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계실 시브는, 상기 탑승카 시브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져 배치되며,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80)는, 제1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고,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80')는, 제2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며,
    제1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와이어로프(R1) 및 제2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와이어 로프(R3) 각각은,
    먼저 탑승카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된 한 쌍의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복수의 기계실 시브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된 한 쌍의 탑승카 시브에 연이어 감긴 다음, 상기 제1 트랙션 시브(20) 및 제2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80) 및 제2 로프 고정부(80')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
    제1 트랙션 시브(20)의 제1 와이어로프(R1)가 감기는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와, 제2 트랙션 시브(20')의 제2 와이어로프(R3)가 감기는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가 각각 구비되고,
    건물 상부 기계실에,
    상기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32)(33)와, 상기 제2 탑승카시브(30')(31')(34')(35')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기계실 시브(32')(33')가 각각 구비되며,
    제1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제1 와이어로프(R1)는,
    먼저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30)(31)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32)(33)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34)(35)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1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되고,
    제2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제2 와이어로프(R3)는,
    먼저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30')(31')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2 기계실 시브(32')(33')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34')(35')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2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와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는, 한 쌍씩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는 탑승카(10)의 상면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는 상기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기계실에 배치되는 제2 기계실 시브(32')(33)는, 와이어로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제1 기계실 시브(32)(3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와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는, 탑승카(1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승카 시브(30((31)(34)(35)는 탑승카(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탑승카 시브(30')(31')(34')(35')는 탑승카(1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의 상면에,
    제1 트랙션 시브(20)의 제1 와이어로프(R1)가 감기는 6개의 제1 탑승카 시브(40)(41)(44)(45)(48)(49)와, 제2 트랙션 시브(20')의 제2 와이어로프(R3)가 감기는 6개의 제2 탑승카 시브 (40')(41')(44')(45')(48')(49')가 각각 구비되고,
    건물 상부 기계실에,
    상기 6개의 제1 탑승카 시브(40)(41)(44)(45)(48)(49)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4개의 제1 기계실 시브(42)(43)(46)(47) 및 상기 6개의 제2 탑승카 시브(40')(41')(44')(45')(48')(49')의 배치방향과 일정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4개의 제2 기계실 시브(42')(43')(46')(47')가 각각 구비되며,
    제1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제1 와이어로프(R1)는,
    먼저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40(41)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42)(43)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탑승카 시브(44)(45)에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1 기계실 시브(46)(47)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탑승카 시브(48)(49)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1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1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되고,
    제2 트랙션 시브(20')에 감긴 탑승카측 제2 와이어로프(R3)는,
    먼저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40'((41')에 연이어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2기계실 시브(42')(43')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탑승카 시브(44')(45')에 감긴 다음, 기계실에 배치된 2개의 제2 기계실 시브(46')(47')에 사선방향으로 연이어 감긴 후, 탑승카(10) 상면에 배치된 2개의 제2 탑승카 시브(48')(49')에 연이어 감긴 다음, 제2 트랙션 시브(20')의 맞은편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탑승카 제2 로프 고정부(8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탑승카 시브(40)(41)(44)(45)(48)(49)와 상기 제2 탑승카 시브(40')(41')(44')(45')(48')(49')는, 탑승카(1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승카 시브(40)(41)(44)(45)(48)(49)는 탑승카(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탑승카 시브(40')(41')(44')(45')(48')(49')는 탑승카(1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KR1020170129150A 2017-10-10 2017-10-10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KR101887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150A KR101887613B1 (ko) 2017-10-10 2017-10-10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150A KR101887613B1 (ko) 2017-10-10 2017-10-10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613B1 true KR101887613B1 (ko) 2018-08-10

Family

ID=6322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150A KR101887613B1 (ko) 2017-10-10 2017-10-10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421B1 (ko) 2021-01-21 2021-09-01 음성식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KR102402802B1 (ko) * 2022-01-18 2022-05-3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운반가능하게 모듈화된 로프식 복수구동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369A (ko) * 1998-10-10 2000-05-06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로핑 방법
KR101335496B1 (ko) * 2009-05-27 2013-12-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다이내믹 제동을 이용하는 더블랩 트랙션 엘리베이터 기계의 모듈 구성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369A (ko) * 1998-10-10 2000-05-06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로핑 방법
KR101335496B1 (ko) * 2009-05-27 2013-12-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다이내믹 제동을 이용하는 더블랩 트랙션 엘리베이터 기계의 모듈 구성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421B1 (ko) 2021-01-21 2021-09-01 음성식 로프의 수명을 향상시킨 고하중 권상기
KR102402802B1 (ko) * 2022-01-18 2022-05-3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운반가능하게 모듈화된 로프식 복수구동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6675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tween elevator car and hoistway sidewall
KR100971519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7918319B2 (en) Elevator apparatus
AU2011313972B2 (en) Method for modernizing an elevator
EP1056679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CZ299209B6 (cs) Bezprevodovkový lanový výtah s pohonem hnacího kola, dvojite opásaného paralelními nosnými lany
KR101887613B1 (ko) 복수의 권상기로 구동하는 초대형 고하중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EP1064216A2 (en) Dual sheave rope climber using flat flexible ropes
EP2678258B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4:1 roping arrangement
EP1818303B1 (de) Maschinenraumloser Aufzug
JP4713494B2 (ja) エレベータと装置
JP3841616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交換方法とその装置
EP1717185B1 (en) Elevator
KR20080055705A (ko) 승강기 설비
KR101877955B1 (ko) 고하중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견인 안정성 향상 및 로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로핑 방법
JPH1023107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619203B1 (ko)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
EP3514097A1 (en) H frame for a double deck elevator
WO200601886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402802B1 (ko) 기계실이 운반가능하게 모듈화된 로프식 복수구동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EP3476789B1 (en) Traction system for elevator and elevator
US7874404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tween elevator car and hoistway sidewall
CN116873713A (zh) 无机房复合型曳引机座
JP200131088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10041323A (ko) 승강로 측벽과 엘리베이터 카 사이에 위치된 구동 모터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