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237B1 - 스터브 튜브를 위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터브 튜브를 위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237B1
KR102296237B1 KR1020210033553A KR20210033553A KR102296237B1 KR 102296237 B1 KR102296237 B1 KR 102296237B1 KR 1020210033553 A KR1020210033553 A KR 1020210033553A KR 20210033553 A KR20210033553 A KR 20210033553A KR 102296237 B1 KR102296237 B1 KR 10229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direction
base member
extension
fixing devic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필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3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06Studding of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2Forms of water tubes, e.g. of varying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4Supply mains, e.g. rising mains, down-comers, in connection with water tubes
    • F22B37/141Supply mains, e.g. rising mains, down-comers, in connection with water tubes involving vertically-disposed water tubes, e.g. walls built-up from vertical tub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는, 고정기저부재와 상기 고정기저부재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해 기준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기저부재에 결합되고,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리를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복수의 다리에 의해 둘러싸인 확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터브 튜브를 위한 고정장치 {FIXING APPARATUS FOR STUB TUBE}
본 발명은 스터브 튜브를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정에너지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 주변에서는 석탄을 이용한 화력발전 설비 보다는, 천연가스를 이용한 복합발전 설비가 선호되는 추세이다. 복합발전 설비는 천연가스의 연소열을 이용해 가스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한다.
복합발전 설비는 가스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포함하는 배열을 회수하여 전체적인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배열 회수를 위해 복합발전 설비는 배열회수보일러(HRSG,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배열회수보일러는 고온의 배출가스로부터 회수한 배열을 이용해 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증기가 증기터빈에 제공되어 전력을 더 생산하거나, 지역난방용 열원을 생산할 수 있다.
가스터빈에 의해 배기되는 연소가스는 약 600℃로, 석탄을 이용하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열생산을 위해 3개의 압력단으로 별도의 증기생산 루프를 구성하는 다압식(Multi Pressure Loop)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다압식 배열회수보일러의 경우, 압력 수준에 따라서 HP(High Pressure), IP(Intermediate Pressure) 및 LP(Low Pressure) 계통으로 구분된다.
도 1은 헤더(H)와, 헤더(H)의 관통부(P)와, 스터브 튜브(T)를 나타낸 도면이다.
LP 계통에서 발생하는 포화증기 온도는 유동가속부식(FAC, Flow Accelerated Corrosion)이 발생하기 좋은 온도일 수 있다. 따라서 LP 계통, 특히 LP 계통의 헤더(H)에 부착된 스터브 튜브(stub tube, T)에서 유동가속부식이 일어나기 용이하다. 스터브 튜브(T)에서 손상이 발생할 경우, 스터브 튜브(T)의 교체가 필요하다. 손상된 스터브 튜브를 헤더(H)로부터 제거한 후 새로운 스터브 튜브를 헤더(H)에 용접하여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용접부(W)의 강도 확보를 위해 완전용입(full penetration) 방식으로 용접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을 위해 스터브 튜브(T)가 헤더(H) 상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스터브 튜브(T)를 헤더(H)에 임시로 고정하기 위해 작업자가 스터브 튜브(T)를 직접 지지할 수 있으나, 작업자가 부상 위험에 노출될 수 있거나 정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없다. 가용접(tack welding)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가용접부가 용접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는 산업계에서 허용되기 어려운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터브 튜브를 헤더에 용접이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는, 고정기저부재와 상기 고정기저부재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해 기준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기저부재에 결합되고,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리를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복수의 다리에 의해 둘러싸인 확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용접 등의 부차적이고 위험한 작업 없이도 스터브 튜브를 헤더에 용이하게 고정하고 용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헤더와, 헤더의 관통부와, 스터브 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 바라본 형상에서 착탈 캡을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관통부에 삽입한 상황을헤더의 외측에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스터브 튜브를 헤더에 고정시킨 상황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를 기준방향(D)을 따라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를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을 따라 바라본 형상에서 착탈 캡(30)을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브 튜브(T)를 위한 고정장치(1)는, 고정부(10) 및 확장부(20)를 포함한다. 고정장치(1)는 착탈 캡(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
고정부(10)는 스터브 튜브(T)를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고정부(10)는 외측으로 확장되거나, 내측으로 수축할 수 있다. 고정부(10)는 고정기저부재(11)와 복수의 다리(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기저부재(11)는 기준방향(D)에 직교하는 밑면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고정기저부재(11)에 후술할 착탈 캡(30)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기저부재(11)에 확장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다리(14)는 고정기저부재(11)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다. 복수의 다리(14)는 고정기저부재(11)를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을 따라 봤을 때 서로 이격되어 갭(12)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다리(14)로 둘러싸인 공간인 확장공간(100)에 확장부(20)의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하되 서로 이격된 다리(14) 사이에 갭(12)이 형성된다.
다리(14)의 개수는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일 수 있으며 4개일 경우 각각의 다리(14)를 기준방향(D)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중심각이 직각인 부채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리(14)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가 되는 등 상술한 개수에 다리(14)의 개수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리(14)의 개수가 3개일 경우 각각의 다리(14)를 기준방향(D)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중심각이 120도인 부채꼴의 형상을 가져, 스터브 튜브(T)의 내측면에 모든 다리(14)가 접촉할 수 있다.
다리(14)는 연결다리부(141)와 확장다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다리부(141)는 고정기저부재(11)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이다. 확장다리부(142)는 연결다리부(141)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이다. 확장다리부(142)의 내측면은 기준방향(D)에 대해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확장다리부(142)의 두께는 기준방향(D)을 따라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이러한 확장다리부(142)의 내측면은 확장부(2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20)가 고정부(10)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가질 때, 확장부(20)에 의해서 확장다리부(142)가 외측으로 밀려나, 복수의 다리(14)의 확장다리부(142)들이 서로 멀어지며 고정부(10)가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가 확장된다는 표현은, 기준방향(D)을 따라 고정부(10)를 봤을 때, 고정부(10)의 중심으로부터 고정부(10)의 가장 외측 경계까지 이르는 거리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수축된다는 표현은 그 반대가 된다. 확장부(20)가 고정부(10)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기준방향(D)으로 가질 때, 확장부(20)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났던 확장다리부(142)는 그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다리(14)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파인 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홈(13)은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홈(13)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홈(13)이 형성됨에 따라 다리(14)의 외측면이 스터브 튜브(T)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든다.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다리(14)의 외측면이 스터브 튜브(T)의 내측면에 전부 밀착하여 용접열에 의한 부분 융착 등 쉽게 떨어지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홈(13)은 기준방향(D)을 따라 봤을 때 오목한 곡선형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홈(13)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홈(13)은 다리(14)의 외측면에서, 다리(14)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홈(13)은 기준방향(D)을 따라 다리(14)를 봤을 때 다리(14)의 귀퉁이를 모따기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다리(14)의 기준방향(D)측 말단의 둘레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따기될 수 있다. 다리(14)의 기준방향(D)측 말단의 둘레가 모따기됨에 따라, 상술한 홈(13)의 형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접촉면적 감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확장부(20)
확장부(20)는 고정부(10)에 대해 기준방향(D)을 따라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져, 고정부(10)의 다리(14)를 확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확장부(20)는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다리(14)를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복수의 다리(14)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술한 것과 같이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확장다리부(142)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확장부(20)는 고정부(10)에 대해 기준방향(D)을 따라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고정기저부재(11)에 결합될 수 있다. 확장부(20)는 고정부(10)에 대해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확장부(20)는 확장기저부재(21)와 확장작용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기저부재(21)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되고, 고정기저부재(11)를 관통할 수 있다. 확장기저부재(21)는 고정기저부재(1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0)와 확장부(20)는 확장부(20)를 회전시킴에 따라 확장부(20)가 고정부(10)에 대해 기준방향(D)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기저부재(21)의 외측면에는 수나사산인 확장 나사산(23)이 형성되고, 고정기저부재(11)의 내측면에는 확장 나사산(23)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인 내측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확장 나사산(23)과 내측 나사산(111)이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기저부재(11)에 대해 확장기저부재(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에 의해 확장기저부재(21)는 고정기저부재(11)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기준방향(D) 또는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을 따라 가질 수 있다.
확장작용부재(22)는 확장기저부재(21)의 기준방향(D)측 말단에 결합되어 확장공간(100)에 위치할 수 있고, 고정부(10)의 확장다리부(142)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확장작용부재(22)는 기준방향(D)으로 갈수록 기준방향(D)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확장작용부재(22)는 기준방향(D)에 직교하는 일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 기준방향(D)을 따라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술한 단면에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확장작용부재(22)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확장작용부재(22)와 확장다리부(142)의 내측면이 이와 같은 형상을 가져, 확장부(20)의 전진 및 후퇴시 확장다리부(142)의 내측면을 따라 확장부(20)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확장기저부재(21)의 기준방향(D) 반대측 말단은 후술할 착탈 캡(30)을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관통하고, 착탈 캡(30)에 대해 기준방향(D)을 따라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확장부(20)는 확장걸림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걸림부(24)는 확장기저부재(21)의 기준방향(D) 반대측 말단에 연결되고, 기준방향(D)을 따라 봤을 때 확장기저부재(21)보다 큰 면적을 가진다. 확장기저부재(21)가 착탈 캡(30)을 관통하므로 확장걸림부(24)는 착탈 캡(30)에 대해 기준방향(D)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확장걸림부(24)는 확장기저부재(21)가 통과하는 착탈 캡(30)의 착탈 구멍(310)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져, 확장부(20)가 착탈 캡(30)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준방향(D)을 따라 움직임을 가질 때 착탈 캡(30)의 기준방향(D) 반대측면에 걸려 확장부(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확장부(20)는 확장레버(25)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레버(25)는 확장기저부재(21)의 기준방향(D) 반대측 말단에 위치한 확장걸림부(24)로부터, 기준방향(D)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확장레버(25)는 기준방향(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확장레버(25)의 외측말단은 기준방향(D)의 반대측으로 꺾일 수 있다. 작업자가 확장레버(25)를 파지하고 회전시켜 조작함에 따라, 확장부(20)는 고정부(10)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준방향(D)을 따라 움직이거나 그 반대로 움직일 수 있다.
착탈 캡(30)
착탈 캡(30)은 고정부(10)에 결합되되, 고정부(10)가 스터브 튜브(T)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착탈 캡(30)은 고정부(10)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기준방향(D)을 따라 가져, 헤더(H)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부(10)가 스터브 튜브(T)로부터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착탈 캡(30)은 착탈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몸체는 고정기저부재(11)를 둘러쌀 수 있고, 고정기저부재(11)에 결합될 수 있다. 착탈몸체는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을 따라 고정기저부재(11)가 삽입될 수 있는 착탈공간(300)을 둘러싸서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착탈몸체는 기준방향(D)을 따라 개구될 수 있다.
착탈몸체는 착탈기저부재(31)와 착탈돌출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기저부재(31)는 고정기저부재(11)를 둘러싸고 결합되는 부분이고, 착탈돌출부재(33)는 착탈기저부재(31)의 기준방향(D) 반대측면으로부터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고정부(10)와 착탈 캡(30)은, 착탈 캡(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착탈 캡(30)이 고정부(10)에 대해 기준방향(D)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탈기저부재(31)의 내측면에는 암나사산인 착탈 나사산(32)이 형성되고, 고정기저부재(11)의 외측면에는 수나사산인 외측 나사산(112)이 착탈 나사산(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 나사산(32)과 외측 나사산(112)이 나사결합되어, 고정기저부재(11)에 대해 착탈기저부재(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에 의해 착탈기저부재(31)는 고정기저부재(11)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기준방향(D) 또는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을 따라 가질 수 있다.
확장부(20)는 착탈몸체를 관통할 수 있다. 착탈몸체의 기준방향(D) 반대측에 형성되는 착탈 구멍(310)은 착탈돌출부재(33)에 기준방향(D)을 따라 개구되어 형성되어, 연장부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착탈 캡(30)은 착탈레버(34)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레버(34)는 착탈몸체가 포함하는 착탈돌출부재(33)로부터 기준방향(D)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작업자가 착탈레버(34)를 돌려, 착탈기저부재(31)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회전에 의해 착탈기저부재(31)가 고정기저부재(11)에 대해 기준방향(D) 또는 그 반대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를 관통부(P)에 삽입한 상황을 헤더(H)의 외측에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가 스터브 튜브(T)를 헤더(H)에 고정시킨 상황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를 이용해 스터브 튜브(T)를 헤더(H)에 용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는 헤더(H)의 내측으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고정장치(1)의 고정부(10)를 손상된 스터브 튜브(T)가 제거된 관통부(P)에 삽입하여 도 6과 같은 상태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새 스터브 튜브(T)를 헤더(H)에 접근시킬 수 있고, 스터브 튜브(T)의 일단에 헤더(H)의 외부로 노출된 고정부(1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확장레버(25)를 돌려 확장부(20)를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확장부(20)가 기준방향(D)을 기준으로 후퇴함에 따라 확장부(20)에 접촉하고 있던 복수의 다리(14)가 확장부(20)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 확장되고, 복수의 확장다리부(142)의 외측면에 스터브 튜브(T)의 내측면이 접촉하면서 외측으로 가압되어 스터브 튜브(T)가 고정부(10)에 의해 고정된다.
기준방향(D)을 따라 바라봤을 때 착탈 캡(30)의 면적은 헤더(H)의 관통부(P)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기저부재(31)의 기준방향(D)측 말단은 헤더(H)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고, 고정장치(1)가 관통부(P)를 통해 헤더(H)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착탈 캡(30)이 관통부(P)의 주변 영역에 걸린 상태로 고정부(10)가 스터브 튜브(T)를 고정하므로, 고정장치(1)를 매개로 스터브 튜브(T)가 헤더(H)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스터브 튜브(T)가 헤더(H)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스터브 튜브(T)를 헤더(H)의 외측으로부터 헤더(H)에 용접할 수 있다. 스터브 튜브(T)와 헤더(H)가 맞닿는 경계를 용접함으로써 용접부(W)가 형성될 수 있다. 용접 과정에서 작업자가 스터브 튜브(T)의 위치를 수시로 조정해주는 과정 없이도, 고정장치(1)에 의해 스터브 튜브(T)가 헤더(H)에 고정될 수 있다.
용접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확장레버(25)를 회전시켜 확장부(20)를 기준방향(D)을 따라 전진시킬 수 있다. 확장부(20)가 전진함에 따라, 확장부(20)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났던 복수의 다리(14)가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수축할 수 있다. 복수의 다리(14)가 수축함에 따라, 각 다리(14)의 확장다리부(142)의 외측면은 스터브 튜브(T)의 내측면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고, 스터브 튜브(T)를 헤더(H)에 고정시키는 상태가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확장부(20)를 전진시킴에도 불구하고 고정부(10)가 용이하게 수축하지 않아 고정장치(1)를 스터브 튜브(T)와 관통부(P)로부터 이탈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용접시 고온의 열이 고정부(10)의 다리(14)와 인접한 위치에 가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착탈레버(34)를 회전시켜 착탈 캡(30)을 기준방향(D)을 따라 전진시킬 수 있다. 착탈 캡(30)은 헤더(H)의 내측에서 관통부(P)와 인접한 영역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착탈 캡(30)은 고정된 상태에서 확장부(20)와 고정부(10)가 후퇴할 수 있고, 스터브 튜브(T)의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착탈 캡(30)을 조작하여 스터브 튜브(T)로부터 고정부(10)를 후퇴시켜 고정장치(1)를 헤더(H)와 스터브 튜브(T)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 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 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 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고정장치
10 : 고정부
11 : 고정기저부재
12 : 갭
13 : 홈
14 : 다리
20 : 확장부
21 : 확장기저부재
22 : 확장작용부재
23 : 확장 나사산
24 : 확장걸림부
25 : 확장레버
30 : 착탈 캡
31 : 착탈기저부재
32 : 착탈 나사산
33 : 착탈돌출부재
34 : 착탈레버
100 : 확장공간
111 : 내측 나사산
112 : 외측 나사산
141 : 연결다리부
142 : 확장다리부
300 : 착탈공간
310 : 착탈 구멍
D : 기준방향
H : 헤더
P : 관통부
T : 스터브 튜브
W : 용접부

Claims (12)

  1. 고정기저부재와 상기 고정기저부재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기준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기저부재에 결합되고,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리를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상기 복수의 다리에 의해 둘러싸인 확장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해 기준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기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기저부재를 둘러싸는 착탈 캡을 포함하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확장기저부재; 및
    상기 확장기저부재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고, 기준방향으로 갈수록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는 확장작용부재를 포함하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확장기저부재;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확장기저부재의 기준방향 반대측 말단에서, 기준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레버를 더 포함하는,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확장부는, 상기 확장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확장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기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는, 고정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캡은,
    상기 고정기저부재에 결합되는 착탈몸체; 및
    상기 착탈몸체로부터 기준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착탈레버를 포함하는,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착탈 캡을 기준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착탈 캡은, 상기 착탈 캡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착탈 캡이 상기 고정부에 대해 기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는,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고정기저부재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결다리부; 및
    상기 연결다리부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내측면이 기준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상기 확장부와 접촉하는 확장다리부를 포함하는, 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파이고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이 형성되는,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다리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고정장치.
KR1020210033553A 2021-03-15 2021-03-15 스터브 튜브를 위한 고정장치 KR10229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53A KR102296237B1 (ko) 2021-03-15 2021-03-15 스터브 튜브를 위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53A KR102296237B1 (ko) 2021-03-15 2021-03-15 스터브 튜브를 위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237B1 true KR102296237B1 (ko) 2021-09-01

Family

ID=7777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53A KR102296237B1 (ko) 2021-03-15 2021-03-15 스터브 튜브를 위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2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482A (ja) * 1984-11-02 1986-05-27 Toshiba Corp 管板と伝熱管との接合方法
KR200416308Y1 (ko) * 2006-02-22 2006-05-12 테라 오토텍 코포레이션 튜브 플러그
KR20140066720A (ko) * 2011-08-09 2014-06-02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열교환기용 튜브단을 마찰 교반 용접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482A (ja) * 1984-11-02 1986-05-27 Toshiba Corp 管板と伝熱管との接合方法
KR200416308Y1 (ko) * 2006-02-22 2006-05-12 테라 오토텍 코포레이션 튜브 플러그
KR20140066720A (ko) * 2011-08-09 2014-06-02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열교환기용 튜브단을 마찰 교반 용접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09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using a carbon dioxide circulating working fluid
JP2023036728A (ja) 二酸化炭素循環作動流体を用いる高効率発電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202963B (zh) 一种换热管与管板的非焊接强制性密封结构
US8707673B1 (en) Articulated transition duct in turbomachine
KR102296237B1 (ko) 스터브 튜브를 위한 고정장치
US20150078892A1 (en) Eccentric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mating casings in a turbomachine
US201502042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gas turbine power plant at low load conditions with stack compliant emissions levels
AU2018200914B2 (en) Heat transfer tube, boiler, and steam turbine device
JP4454615B2 (ja) 配管断熱装置
JP2014185805A (ja) 伝熱管用施栓プラグ
AR012342A1 (es) Metodo y disposion para generar energia a partir del fuel oil residual
JP2015529320A (ja) 高速始動型排熱回収蒸気ボイラ
KR101713700B1 (ko) 보일러용 슬라이딩 커넥터
JP4413732B2 (ja)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
JP6301633B2 (ja) テーパねじ及びガスタービン
KR100942657B1 (ko) 폐열회수보일러의 기구적 슬리브 타입 신축이음장치
JP7288459B2 (ja) 排熱回収ボイラ
CN105888755A (zh) 一种复合工质火力发电系统及工作方法
JP6953564B2 (ja) プラグ及び蒸気配管構造物並びにプラグの設置方法
CN214275676U (zh) 一种超超临界机组锅炉的集箱
JP6671146B2 (ja) 節炭器及びボイラ並びに伝熱管の補修方法
US20240159470A1 (en) Once-through heat exchanger and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0409690Y1 (ko) 분할형 메탈 벨로우즈
CN210921345U (zh) 一种避免蒸汽液化回流机构
US20240159172A1 (en) Once-through heat exchanger and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