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708B1 - 전류 모드 로직 회로 - Google Patents

전류 모드 로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708B1
KR102295708B1 KR1020200068655A KR20200068655A KR102295708B1 KR 102295708 B1 KR102295708 B1 KR 102295708B1 KR 1020200068655 A KR1020200068655 A KR 1020200068655A KR 20200068655 A KR20200068655 A KR 20200068655A KR 102295708 B1 KR102295708 B1 KR 10229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input
current mode
log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덕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708B1/ko
Priority to PCT/KR2021/004994 priority patent/WO2021246641A1/ko
Priority to US17/922,907 priority patent/US202301709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9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9/0943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coupled sources or source coupled logi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69Modifications for compensating variations of temperature,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K19/00384Modifications for compensating variations of temperature,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field effect transist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3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field effect transist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15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4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or parasitic voltages or currents
    • H03K19/003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or parasitic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 effect transist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14Interface arrangements with at least one differential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4Astabl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는 공급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 및 제2트림 저항,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및 상기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류 모드 로직 회로{Current Mode Logic Circuit}
본 발명은 고속 동작을 위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신호 처리용 반도체 회로에 사용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캐스코딩 기법을 적용하여 고전압으로 회로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전류 모드 로직 회로(Current Mode Logic Circuit)는 반도체 논리 디바이스의 일종으로, 차동 연결된 전류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한 비포화형 고속 논리 회로를 의미한다.
고속 동작 신호처리 회로들은 전류-모드-로직 (Current Mode Logic, CML)이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구현되는데, 일반적으로 차동 증폭기에 저항 소자를 부하로 사용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NMOS(N-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 나 PMOS(N-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 소자를 쌍으로 연결한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방식보다 높은 동작 속도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류 모드 로직 회로는 차등 신호로 전송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측면에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10Gbps급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Gigabit capable Passive Optical Network: GPON)를 지원하기 위한 고속 동작을 필요로 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기가 대역 집적회로에는 대부분 전류 모드 로직을 사용하고 있다.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 레벨은 차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가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차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노드에 인가돠는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출력 전압의 레벨을 높이기 위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계속 증가시키면, 트랜지스터 소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압의 범위를 벗어나 트랜지스터 소자가 파괴(breakdown)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의 레벨이 트랜지스터가 소자가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로 설계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소자의 내구성이 약해짐에 따라, 드레인 노드에 인가할 수 있는 전압의 크기는 계속 작아질 수 밖에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의 레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과거에는 1.8V 정도의 고전압을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노드에 인가할 수 있어, 높은 출력 전압을 얻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였는데, 현재는 소자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노드에0.8V 이하의 전압을 인가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34177호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는 상기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서 입력 전압을 증가시켜도 트랜지스터 소자가 파괴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의 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는 공급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 및 제2트림 저항,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및 상기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트림 저항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트림 저항과 제2트랜지스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공급 전압,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 및 상기 제3트랜지스터와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와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와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가 하이(High) 전압인 경우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는 로우(Low) 전압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가 로우(Low) 전압인 경우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는 로우(High) 전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과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전압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는 로우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는 하이 전압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전압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전압이 입력되지 경우,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는 하이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는 로우 전압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다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는, 공급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 및 제2트림 저항,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는 상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 전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류 모드 로직 회로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 AC 커플링 캐패시터 및 상기 제4트랜지스터와 상기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 AC 커플링 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AC 커플링 캐패시터와 제2 AC 커플링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은 상기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는, 공급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 및 제2트림 저항,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 및 제3트림 저항, 제4트림 저항, 제5트랜지스터 및 제6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차동 증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5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 전압과 연결되고, 상기 제6트랜지스터는 상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입력 전압에서 출력하는 전압과 연동되어 가변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반전 입력 전압에서 출력하는 전압과 연동되어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는 회로의 구동 전압을 높여도 종래 기술과 다르게 트랜지스터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회로의 출력 스윙 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신호 및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을 향상시켜 노이즈 및 간섭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의 식과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식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서 있어서, 시간에 따른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파형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있어서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에서 출력되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 산화물 파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과 도8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있어서, 회로에 입력되는 여러 종류의 전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회로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의 파형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있어서 캐스코드 트랜지스터에 입력되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파형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서 입력 전압(Vdip)과 반전 입력 전압(Vdin)이 Vdd(V) 와 0(V)로 입력 된다면,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Vop)과 반전 전압 출력(Von)은 (Vtt -Itx*Rt) (V) 와 VTT(V)로 출력이 된다. 이와 반대로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이 0(V) 와 VDD (V)로 입력 된다면,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Vop)과 반전 전압 출력(Von)은 Vtt(V)와 (Vtt -Itx*Rt) (V)로 출력이 된다.
회로의 출력 전압이 0 ~ Vtt (V)범위가 아닌 이유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는 그 특성상 차동 트랜지스터인 제1트랜지스터(M1)와 제2트랜지스터(M2)가 수렴(saturation)영역에서 동작하여야 하고, 동시에 전류원(Itx)도 구동되어야 하므로 일정한 전압을 필요로 하므로, 전류 모드 회로의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은 0 ~ Vtt (V)가 아닌 그보다 작은 (Vtt -Itx*Rt) ~ Vtt (V)로 출력이 된다.
그리고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서 출력 폭(스윙)은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차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출력 전압의 레벨이 높은 값과 출력 전압의 레벨이 낮은 값의 차이가 출력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도 1과 같은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서의 출력의 폭은 Itx*Rt가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경우 그 특성상 출력의 폭이 CMOS로 구현된 회로보다 작아지게 되는데, 이는 노이즈나 간섭이 큰 환경에서 높은 전압을 유지하면서 고속으로 전류 모드 로직 회로를 구동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서 출력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경우 구동 전압인 Vtt의 크기를 높이는 방법으로 회로의 출력의 폭을 넓힌다.
그러나, 일반적인 트랜지스터는 트랜지스터가 스트레스(stress)를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압 범위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구동 전원의 전압의 크기를 무작정 높이는 것은 자칫 트랜지스터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소자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NMOS 트랜지스터의 경우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Vgs) 또는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의 전압(Vdg)이 일정 전압보다 높으면, 소자가 그 전압을 견딜 수 없어 게이트-산화물의 파괴(gate-oxide breakdown)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회로를 제작함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은 소자가 파괴되지 않도록 일정 수준을 넘지 않게 제어가 되는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공정이 미소화될수록 소자들은 전압 스트레스에 더욱 민감해지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최대 전압의 크기는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경우 출력 스윙을 높이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전압의 크기를 높이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데, 구동 전압의 크기를 계속 높이게 되면, 입력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의 전압(Vdg)값이 더욱 커지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가 계속 증가하게 되면, 소자가 견딜 수 있는 한계 동작 전압 범위(Vbreak)를 벗어나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게이트-산화물의 파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서 구동 전압을 높여서 출력 스윙 폭을 결정하는 경우, 트랜지스터 소자가 파괴되지 않도록 그 한계 값을 먼저 정한 뒤, 이를 기준으로 입력 전압의 크기를 정하는 방법으로 출력의 폭을 결정하다보니 회로 설계에 많은 제약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낮은 입력 전압 레벨을 0V가 아닌 좀 더 큰 값(Vlow)로 인가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회로에서 입력 전압에 Vdd(V)가 입력이 된 경우 반전 입력 전압에 도 2와 다르게 0 (V)가 아닌 0 (V) 보다 조금 높은 값의 전압(Vlow)이 입력되도록 회로에 입력되는 전압들의 크기를 제어 하면, 그만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작은 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가 파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동시에 Vlow 전압 만큼 구동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구동 전압을 많이 증가시키기 위해 전압Vlow를 이에 비례하여 계속 증가시키면 낮은 입력 전압에서도 트랜지스터들이 완전히 턴-오프(turn-off)가 되지 않아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구동 전압을 높여서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의 폭을 넓히되, 입력 전압들의 크기를 시간에 따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가 파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이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는 공급 전압(Vtt)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R1) 및 제2트림 저항(R2), 입력 전압(Vdip)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M1), 반전 입력 전압(Vdin)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M2) 및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출력 전압(Vop)과 반전 출력 전압(Von)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1트랜지스터(M1) 및 제2트랜지스터(M2)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M3) 및 제4트랜지스터(M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트랜지스터(M3)는 제1트림 저항(R1)과 제1트랜지스터(M1) 사이에 배치되며, 제4트랜지스터(M4)는 제2트림 저항(R2)과 제2트랜지스터(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에 입력되는 모든 종류의 전압(입력 전압, 반전 입력 전압, 캐스코드 입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가 구성되는 경우, 차동 트랜지스터에 해당하는 제1트랜지스터(M1)와 제2트랜지스터(M2)에 각각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가 캐스코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트랜지스터(M1)와 제2트랜지스터(M2)에 부하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는 감소되는 전압의 크기만큼 제1트랜지스터(M1)와 제2트랜지스터(M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의 크기로 이를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에 전압VDD (V)가 입력되고, 반전 입력 전압에 0 (V)가 입력되고, 제3트랜지스터(M3) 입력 전압(Vcas)에는 전압 Vca (V)가 입력되고, 제4트랜지스터 (M4)의 입력 전압(Vcas)에는 전압 Vca (V)가 입력되는 경우, 제4트랜지스터(M4)의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의 전압이 구동 전압인 Vtt (V)가 아니라 Vtt-Vca (V)가 된다. 따라서, Vca (V) 전압만큼 여유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구동 전압을 Vca (V) 만큼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7 과 도8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전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회로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의 파형의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있어서 캐스코드 트랜지스터에 입력되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파형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경우, 회로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회로와 동일하나 캐스코드 트랜지스터에 해당하는 제3및 제4 트랜지스터(M3, M4)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 가변된다는 점에서 도 6의 회로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경우, 회로에 입력되는 전압들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이 Vdd(V)와 0(V)로 입력되며, 캐스코드 트랜지스터인 제3트랜지스터(M3)에 입력되는 캐스코드 입력 전압(Vcasn)은 하이(High) 전압인 VcasH(V)가 입력되고,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캐스코드 반전 입력 전압(Vcasp)은 로우(Low) 전압인 VcasL(V)가 입력되면, 제1트랜지스터에(M1)는 높은 전압(Vdd)이 입력되고, 제3트랜지스터(M3)에는 낮은 전압(VcasL)이 입력되므로, 이에 따라 제3트랜지스터(M3)의 수렴 동작 영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동시에 제2트랜지스터(M2)에는 낮은 전압인0(V)가 입력되고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전압은 제3트랜지스터(M3)에 입력되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VcasH)이 입력되므로 제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제4트랜지스터(M4)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전압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더 확보할 수 있어 높은 전압으로 인해 트랜지스터가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이 0(V)와 VDD(V)로 입력되며, 캐스코드 트랜지스터인 제3트랜지스터(M3)에는 로우(Low) 전압인 VcasL(V)가 입력되고, 제4트랜지스터(M4)에는 하이(High) 전압인 VcasH(V)가 입력된다면, 제2트랜지스터(M2)에는 높은 전압인Vdd(V)가 입력되고 제4트랜지스터(M4)에는 낮은 전압(VcasL)이 입력되므로 제2트랜지스터(M2)의 수렴 동작 영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제1트랜지스터(M1)에는 낮은 전압인 0(V)가 입력되고 제3트랜지스터(M3)에 입력되는 전압은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VcasH)이 입력되므로 제3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의 전압(Vdg)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제3트랜지스터(M3)가 견딜 수 있는 전압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더 확보할 수 있어 트랜지스터가 입력되는 높은 전압으로 인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트랜지스터에는 높은 전압 Vdd(V)가 입력되고 제3트랜지스터(M3)에는 낮은 전압(VcasL)이 입력되므로 제4트랜지스터(M4)의 수렴 동작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를 구동시키는 경우,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에 의해 제1트랜지스터(M1)와 제2트랜지스터(M2)에 인가되는 전압의 여유분을 확보할 수 있어 구동 전압(Vtt)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도 그 만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스윙 폭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즉, 도 11에 비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출력 전압의 폭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의 폭보다 넓게 개선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는 공급 전압(Vtt)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R1) 및 제2트림 저항(R2),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M1),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M2) 및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1트랜지스터(M1) 및 제2트랜지스터(M2)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M3) 및 제4트랜지스터(M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트랜지스터(M3)는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며, 제4트랜지스터(M4)는 입력 전압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는 제4트랜지스터(M4)와 입력 전압 사이에 위치하여 입력 전압에서 입력하는 전압을 AC 커플링하는 제1 AC 커플링 캐패시터(C1)와 제3트랜지스터(M3)와 반전 입력 전압 사이에 위치하여 반전 입력 전압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AC 커플링하는 제2 AC 커플링 캐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는 입력전압과 반접입력전압에 연동되어 가변될 수 있다.
도 12에서의 제3캐패시터(C3)와 제4캐패시터(C4)는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캐패시터로 구현되거나, 제3캐패시터(C3)와 제4캐패시터(C4)의 기생 캐패시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3저항(R3)와 제4저항(R4)의 값은 제1트림 저항(R1) 및 제2트림 저항(R2)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 값을 가지는 저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패시터(C1,C2,C3,C4), 저항(R3,R4) 및 전원(Vb)을 추가하여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전압에 대해AC 커플링을 구현하면, 입력전압과 반전입력전압은 서로 반전 관계에 있기 때문에 공통 성분 및 차동 성분(Vdi_dn = Vdip-Vd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과 반전입력전압은 아래와 같이 식 (1)과 (2)로 표현될 수 있다.
식(1) - Vdip = Vdd/2 + (Vdi_dn)/2
식(2) - Vdin = Vdd/2 -(Vdi_dn)/2
즉,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은 공통 성분인Vdd/2와 차동 성분인 (Vdi_dn)/2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Vdi_dn은 고주파 영역에 있고 입력 전압(Vdip)와 반전 입력 전압(Vdin)은 0 (V)또는 Vdd (C)이므로 Vdi_dn의 진폭은 Vdd가 된다.
도 12에 도시된 회로를 기초로 캐스코드 트랜지스터인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전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아래 설명은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전압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제3트랜지스터(M3)에 입력되는 전압 또한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회로에 입력되는 전압이 저주파인 경우 제1캐패시터(C1)은 개방(open)이 되기 때문에 제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전압은 Vb (V)가 되나, 입력되는 전압이 고주파인 경우에는 제1커패시터(C1)과 제3커패시터(C3)에 의해 제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전압은 Vdip*(C1/(C1+Cp)) (V)가 된다. 그리고 Vdip의 고주파 성분은 (Vdi_dn)/2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제4트랜지스터(M4)의 전압은 (Vdi_dn)/2*(C1/(C1+Cp)) (V)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전압(Vdip)에 들어오는 전압이 충분히 높은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압이 들어온다고 가정하면 제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전압은 결국 Vb+(Vdi_dn)*(C1/(C1+Cp)) (V) 가 된다.
또한, Vdi_dn의 값은 입력 전압(Vdip)이 Vdd (V)인 경우에는 Vdd (V)로, 0 (V)인 경우에는 -Vdd(V)이므로, 제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전압은 Vdip=Vdd인 경우에는 Vb+(Vdd/2)*(C1/(C1+Cp)) (V), Vdip=0인 경우에는 Vb-(Vdd/2)*(C1/(C1+Cp)) (V)가 된다.
따라서 Vb+(Vdd/2)*(C1/(C1+Cp)) (V)와 Vb-(Vdd/2)*(C1/(C1+Cp)) (V)의 값을 도 7과 도8에서 설명한 VcasH와 VcasL이 되도록 각각 조정을 하면 도 7과 도8에서 설명한 회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회로를 구현 할 수 있다.
즉, Vb+(Vdd/2)*(C1/(C1+Cp))=VcasH, Vb-(Vdd/2)*(C1/(C1+Cp))=VcasL 이 되도록 Vb 의 값과 제1캐패시터(C1) 정전 용량의 값을 설정하면, AC 커플링 캐패시터(C1, C2)을 이용하여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전압을 입력 전압(Vdip)과 반전 입력 전압(Vdin)에 연동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는 공급 전압(Vtt)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R1) 및 제2트림 저항(R2),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M1),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M2) 및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1트랜지스터(M1) 및 제2트랜지스터(M2)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M3) 및 제4트랜지스터(M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3트림 저항(R3), 제4트림 저항(R4), 제5트랜지스터(M5) 및 제6트랜지스터(M6)를 포함하는 차동 증폭 회로(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5트랜지스터(M5)는 입력 전압과 연결되고, 제6트랜지스터(M6)는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13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는 입력 전압을 차동 증폭 회로(20)단에 연동시켜 인가시키므로, 캐스코드 트랜지스터에 해당하는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전압을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입력 전압에 연동시켜 회로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전압(Vdip)이 Vdd (V)이고 반전 입력 전압(Vdin)이0 (V)이며, Vcas로 전압 Vca (V)가 입력이 된다면, 제5트래지스터(M5)는 오픈되고, 제6트랜지스터(M6)는 닫혀 제3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압은 Vca-(Ic*R3) (V)가 되고, 제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전압은 Vca (V)가 된다.
반대로, 입력 전압(Vdip)이 0 (V) 이고, 반전 입력 전압(Vdin)이 Vdd(V) 이면, 제5트랜지스터(M5)는 닫히고, 제6트랜지스터(M6)는 열리게 되어 제3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압은 Vca (V)가 되고, 제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전압은 Vca-(Ic*R4) (V) 가 된다.
따라서, 입력 전압(Vdip)이 Vdd(V)인 경우 제3트랜지스터(M3)에 입력되는 전압과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전압을 각각 VcasL과 VcasH과 되도록 조정하면, 앞서 도 7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원리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ca=VcasH로, 제3저항(R3)와 제4저항(R4)의 저항의 크기를 같게 한 후, 저항에 흐르는 전류(Ic)의 크기를 조정하여 Vca-Ic*R3=VcasL이 되도록 R3, Ic값을 정하면 캐스코드 트랜지스터인 제3트랜지스터(M3)와 제4트랜지스터(M4)에 입력되는 게이트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면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경우 트랜지스터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키면서 동시에 구동 전압을 높일 수 있어 회로의 출력 스윙 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류 모드 로직 회로(10)의 출력 신호 및 SNR을 향상시켜 노이즈 및 간섭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 컨트롤러들,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 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10: 전류 모드 로직 회로 20: 차동 증폭 회로
M1: 제1트랜지스터 M2: 제2트랜지스터
M3: 제3트랜지스터 M4: 제4트랜지스터
M5: 제5트랜지스터 M6: 제6트랜지스터
Von: 출력 전압 Vop: 반전 출력 전압
Vdin: 입력 전압 Vdip: 반전 입력 전압
Vcasn: 제1캐스코드 입력 전압
Vcasp: 제2캐스코드 입력 전압
Vtt: 구동 전압

Claims (15)

  1.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있어서,
    공급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 및 제2트림 저항;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 및
    상기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공급 전압,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 및 상기 제3트랜지스터와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 모드 로직 회로의 출력 전압과 반전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트림 저항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트림 저항과 제2트랜지스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과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와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가 하이(High) 전압인 경우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는 로우(Low) 전압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가 로우(Low) 전압인 경우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는 로우(High) 전압으로 제어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전압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는 로우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는 하이 전압을 입력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전압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는 하이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는 로우 전압을 입력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11.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있어서,
    공급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 및 제2트림 저항;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는 상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 AC 커플링 캐패시터 및 상기 제4트랜지스터와 상기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 AC 커플링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AC 커플링 캐패시터와 제2 AC 커플링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은,
    상기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과 반전 입력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14. 전류 모드 로직 회로에 있어서,
    공급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림 저항 및 제2트림 저항;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와 각각 캐스코드(Cascode) 방식으로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 및
    제3트림 저항, 제4트림 저항, 제5트랜지스터 및 제6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차동 증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5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 전압과 연결되고, 상기 제6트랜지스터는 상기 반전 입력 전압과 연결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트랜지스터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입력 전압에서 출력하는 전압과 연동되어 가변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반전 입력 전압에서 출력하는 전압과 연동되어 가변되는 전류 모드 로직 회로.
KR1020200068655A 2020-06-05 2020-06-05 전류 모드 로직 회로 KR10229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55A KR102295708B1 (ko) 2020-06-05 2020-06-05 전류 모드 로직 회로
PCT/KR2021/004994 WO2021246641A1 (ko) 2020-06-05 2021-04-21 전류 모드 로직 회로
US17/922,907 US20230170904A1 (en) 2020-06-05 2021-04-21 Current mode logic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55A KR102295708B1 (ko) 2020-06-05 2020-06-05 전류 모드 로직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708B1 true KR102295708B1 (ko) 2021-08-30

Family

ID=7750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655A KR102295708B1 (ko) 2020-06-05 2020-06-05 전류 모드 로직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70904A1 (ko)
KR (1) KR102295708B1 (ko)
WO (1) WO20212466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312A (ko) * 2021-12-08 2023-06-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션트 트랜지스터 기반의 전류 모드 로직 회로 및 테일리스 회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1552A (ja) * 1993-08-10 1997-02-10 マイクロユニティ システムズ エンジニアリ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iCMOS電流モードドライバ及びレシーバ
KR20070034177A (ko) 2005-09-23 2007-03-28 한국과학기술원 셋/리셋 래치 회로, 시미트 트리거 회로 및 셋/리셋 래치회로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의 d형 플립 플롭 회로와주파수 분배기 회로
US20110235450A1 (en) * 2010-03-26 2011-09-29 Micron Technology, Inc. Current mode sense amplifier with passive load
US20180083624A1 (en) * 2016-09-22 2018-03-22 Mediatek Singapore Pte. Ltd. Current-mode logic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285B1 (ko) * 1999-01-13 2001-05-15 윤종용 프리스케일러의 입력 버퍼
KR101163457B1 (ko) * 2006-02-24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압 레귤레이티드 캐스코드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시모스아날로그 회로
KR102094491B1 (ko) * 2016-11-22 2020-03-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캐스코드 스위치 회로
KR20180128600A (ko) * 2017-05-24 2018-12-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출력 구동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1552A (ja) * 1993-08-10 1997-02-10 マイクロユニティ システムズ エンジニアリ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iCMOS電流モードドライバ及びレシーバ
KR20070034177A (ko) 2005-09-23 2007-03-28 한국과학기술원 셋/리셋 래치 회로, 시미트 트리거 회로 및 셋/리셋 래치회로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의 d형 플립 플롭 회로와주파수 분배기 회로
US20110235450A1 (en) * 2010-03-26 2011-09-29 Micron Technology, Inc. Current mode sense amplifier with passive load
US20180083624A1 (en) * 2016-09-22 2018-03-22 Mediatek Singapore Pte. Ltd. Current-mode logic circu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312A (ko) * 2021-12-08 2023-06-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션트 트랜지스터 기반의 전류 모드 로직 회로 및 테일리스 회로
KR102605742B1 (ko) 2021-12-08 2023-11-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션트 트랜지스터 기반의 전류 모드 로직 회로 및 테일리스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6641A1 (ko) 2021-12-09
US20230170904A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63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output buffer with dynamic impedance control
US6653878B2 (en) Low-power output controlled circuit
US9397622B2 (en) Programmable hysteresis comparator
KR20040068212A (ko) 레벨 시프팅 회로 및 하프 브리지 구동기 구동 방법
JP2015208016A (ja) 低歪みのプログラマブルゲインアンプ用の動的スイッチドライバ
US11190172B1 (en) Latch-based level shifter circuit with self-biasing
US7339433B2 (en) Differential amplifier stage
KR102295708B1 (ko) 전류 모드 로직 회로
US5039953A (en) Class AB CMOS output amplifier
US7847600B2 (en) Track and hold circuit
JPH04313907A (ja) 信号処理装置
US4924120A (en) Low noise output circuit
JP2006129481A (ja) レベルシフト回路装置
US20180188764A1 (en) Start-up circuits
US6940353B2 (en)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US6188284B1 (en) Distributed gain line driver amplifier including improved linearity
CN106105028B (zh) 用于高频信号相位调整的线性化电路
KR100221072B1 (ko) 지연회로
JPH04227102A (ja) 線形増幅器
KR102593336B1 (ko) 전류 모드 로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pam4 구동 회로
JP2016171487A (ja) 駆動回路
US20230090005A1 (en) Comparator architecture supporting lower oxide breakdown voltages
KR102577282B1 (ko) 출력특성이 개선된 인버터 및 부트스트랩 인버터
KR100668455B1 (ko) 가변 이득 증폭기
US9851732B2 (en) Split power supply bias with kill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